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
1-symbol PUCCH에 따르면, 이하의 2개의 채널 구성이 검토된다.
첫 번째의 채널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CI와 참조 신호(RS : Reference Signal)를 주파수 분할 다중(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하는 방법에 해당한다(이하, 그 방법은 "Option 1"이라고 표기한다). Option 1에서는,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에 근거하여 BPSK 또는 QPSK 변조가 행하여진다. 변조된 신호(UCI)와 참조 신호는 FDM에 의해 서브캐리어(RE : Resource Element) 상에 매핑된다.
Option 1에서는,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UCI의 비트의 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컨대, UCI를 송신하는 계열(이하 "UCI 계열"이라고 부른다) 및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계열(이하 "RS 계열"이라고 부른다)로서 CAZAC 부호 계열이 이용되는 경우,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유저(UE) 사이의 직교 다중이 행하여지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하나의 PRB(12RE)에 최대 6UE가 다중될 수 있다. 한편, Option 1은 UCI와 RS가 FDM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송신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PAPR : Peak-to-Average Power Ratio)이 커진다.
두 번째의 채널 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에 근거하여 송신되는 계열을 선택하는 방법(sequence selection)을 나타낸다(이하 "Option 4"라고 표기한다). Option 4에서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부호 계열의 순회 시프트(CS : Cyclic Shift)가 계열 선택에 이용될 수 있다.
Option 4에서는, UCI 비트의 수에 따라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바뀐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비트의 UCI를 송신하기 위해, UE마다 2계열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Option 4에서는, 1PRB(12RE)에 최대 6UE가 다중될 수 있다. 한편, 2비트의 UCI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UE마다 4계열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PRB에 다중될 수 있는 UE의 최대 수는 3이기 때문에, 1비트의 UCI가 송신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리소스 이용 효율이 나빠진다. Option 4는 하나의 계열의 송신을 나타내고, 싱글 캐리어 송신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을 유의하라. 결과적으로, PAPR이 저감될 수 있다.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에 대하여 상술한 2개의 채널 구성(Option 1 및 Option 4)이 검토되었다. 하지만, 이들 채널 구성의 검토의 주요 목표는 UCI 역할을 하는 HARQ-ACK이다. 2개의 채널 구성은 SR의 송신에 대해서는 검토되지 않았다.
또한, 단말에서는,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단말이 HARQ-ACK 또는 SR 중 어느 한쪽을 송신 정지(드롭)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지연이 증대된다. NR에 있어서, 1-symbol PUCCH는 지연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되는 기능이지만, HARQ-ACK 및 SR 중 하나의 드롭 처리가 행하여지면 NR에 의해 예상되는 낮은 지연이 제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NR에 있어서 SR과 HARQ-ACK의 동시 송신은 필요한 기능이고,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에 있어서 SR과 HARQ-ACK의 동시 송신은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1-symbol PUCCH에 있어서 HARQ-ACK의 송신에 더하여 SR의 송신 및 SR과 HARQ-ACK의 동시 송신을 적절히 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1-symbol PUCCH에 있어서 SR 및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한 채널 구성]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에 있어서,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여, 단말이 HARQ-ACK와 SR을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 Option 1의 채널 구성 및 Option 4의 채널 구성의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2개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첫 번째의 기술은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 SR 및 HARQ-ACK의 각각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SR 및 HARQ-ACK를 동시 송신하는 기술이다.
두 번째의 방법은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 SR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는 단말로부터 SR 및 HARQ-ACK를 동시 송신하는 기술이다.
Option 1 및 Option 4의 각각에 상기 2개의 방법의 각각이 적용되는 경우가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Option 1에 상기 첫 번째의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를 "Option 1-1"이라고 표기하고, Option 1에 상기 두 번째의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를 "Option 1-2"라고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Option 4에 상기 첫 번째의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를 "Option 4-1"이라고 표기하고, Option 4에 상기 두 번째의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를 "Option 4-2"라고 표기한다.
[Option 1-1(도 3)]
Option 1-1에서는, 단말이 HARQ-ACK 및 SR의 각각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 이하, HARQ-ACK를 위한 PUCCH 리소스를 "HARQ-ACK 리소스"라고 부르고, SR을 위한 PUCCH 리소스를 "SR 리소스"라고 부른다.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 및 HARQ-ACK 리소스의 양쪽을 이용하여 SR 및 HARQ-ACK를 동시에 송신한다. 이때, HARQ-ACK는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되고, SR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도 3은, Option 1-1에 있어서, PUCCH 리소스 사이즈가 1PRB로 설정되고, UCI 계열 및 RS 계열로서 CAZAC 부호 계열이 이용되고,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가 직교 다중되는 경우의 PUCCH 리소스(#0~#23)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0(PRB#0, Cyclic shift#0)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HARQ-ACK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12(PRB#2, Cyclic shift#0)가 단말에 대하여 할당된다. 따라서,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12(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을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 및 PUCCH 리소스#12(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SR 및 HARQ-ACK를 각각 송신한다.
Option 1-1에서는, UE마다 할당되는 PUCCH 리소스의 수는 2(예컨대, 도 3에서는 PUCCH 리소스#0, #12)이다. 단, SR이 "SR 있음" 및 "SR 없음"의 2개의 모드를 갖는 경우, On/Off keying에 의해 SR이 송신될 수 있고, 2개의 UE는 동일한 PUCCH 리소스의 실축과 허축에 각각 다중될 수 있다. 이 경우, UE마다 할당되는 PUCCH 리소스의 수는 1.5로 볼 수 있다.
또한, Option 1-1의 경우에, SR과 HARQ-ACK가 동시 송신되는 경우, 단말은 2개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PAPR은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Option 1-2(도 4)]
Option 1-2에서는, Option 1-1과 마찬가지로, 단말에 대하여 HARQ-ACK 리소스와 SR 리소스가 확보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Option 1-1과 달리,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HARQ-ACK가 송신되는 리소스를 전력 판정 등의 블라인드 검출에 의해 판정한다. 기지국이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가 송신된다고 판정한 경우, 기지국은 "SR 있음"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SR 리소스의 신호를 이용하여 HARQ-ACK를 복호한다. 한편, 기지국이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가 송신된다고 판정한 경우, 기지국은 "SR 없음"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복호한다.
도 4는, Option 1-2에 있어서, PUCCH 리소스 사이즈가 1PRB로 설정되고, UCI 계열 및 RS 계열로서 CAZAC 부호 계열이 이용되고,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가 직교 다중되는 경우의 PUCCH 리소스(#0~#23)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4에서는,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0(PRB#0, Cyclic shift#0)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HARQ-ACK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12(PRB#2, Cyclic shift#0)가 단말에 대하여 할당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12(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을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Option 1-2에서는, UE마다 할당되는 PUCCH 리소스의 수는 2(예컨대, 도 4에서는 PUCCH 리소스#0, #12)이다.
[Option 4-1(도 5)]
Option 4-1에서는, 1비트 UCI의 경우, 단말이 ACK, NACK, 및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 이하, ACK를 위한 PUCCH 리소스를 "ACK 리소스"라고 부르고, NACK를 위한 PUCCH 리소스를 "NACK 리소스"라고 부르고, SR을 위한 PUCCH 리소스를 "SR 리소스"라고 부른다.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ACK 리소스 또는 N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2개의 PUCCH 리소스, 즉 ACK 리소스 또는 NACK 리소스 중 하나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와 SR을 동시에 송신한다. 이때, HARQ-ACK는 ACK 리소스 또는 N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되고, SR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기지국은 HARQ-ACK(ACK 또는 NACK)가 송신되는 리소스를 전력 판정 등의 블라인드 검출에 의해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이 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ACK가 송신된다고 판정한다. 한편, 기지국이 N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NACK가 송신된다고 판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전력 판정 등의 블라인드 검출에 의해 SR 리소스에서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기지국이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기지국은 "SR 있음"으로 검출한다.
도 5는, Option 4-1에 있어서, PUCCH 리소스 사이즈가 1PRB로 설정되고, CAZAC 부호 계열이 이용되고,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가 직교 다중되는 경우의 PUCCH 리소스(#0~#47)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0(PRB#0, Cyclic shift#0)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ACK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24(PRB#2, Cyclic shift#0)가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NACK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30(PRB#2, Cyclic shift#6)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된다. 따라서,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24(ACK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30(NACK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을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24 또는 PUCCH 리소스#30 중 하나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 및 SR을 송신한다.
또한, Option 4-1에서는, 2비트 UCI의 경우, 단말에는 ACK/ACK, ACK/NACK, NACK/ACK, NACK/NACK, 및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도시하지 않음).
즉, Option 4-1에서는, UE마다 할당되는 PUCCH 리소스의 수는 1비트 UCI의 경우에는 3(예컨대, 도 5에서는 PUCCH 리소스#0, #24, #30)이고, 2비트 UCI의 경우에는 5이다.
또한, Option 4-1에서는, SR과 HARQ-ACK가 동시 송신되는 경우, 단말이 2개의 PUCCH 리소스 상에서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PAPR이 커지는 것이 예상된다.
[Option 4-2(도 6)]
Option 4-2에서는, 1비트 UCI의 경우, 단말이 ACK without SR, NACK without SR, ACK with SR, 및 NACK with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 이하, ACK without SR을 위한 PUCCH 리소스를 "ACK without SR 리소스"라고 부르고, NACK without SR을 위한 PUCCH 리소스를 "NACK without SR 리소스"라고 부르고, ACK with SR을 위한 PUCCH 리소스를 "ACK with SR 리소스"라고 부르고, NACK with SR을 위한 PUCCH 리소스를 "NACK with SR 리소스"라고 부른다.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ACK without SR 리소스 또는 NACK without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NACK with SR 리소스(또는 ACK with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ACK with SR 리소스 및 NACK with SR 리소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기지국은 ACK without SR 리소스, NACK without SR 리소스, ACK with SR 리소스, 및 NACK with SR 리소스에 전력 판정 등의 블라인드 검출에 의해 판정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이 ACK without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신호는 ACK라고 판정하고, "SR 없음"을 더 검출한다. 기지국이 NACK without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신호는 NACK라고 판정하고, "SR 없음"을 더 검출한다. 기지국이 ACK with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신호는 ACK라고 판정하고, "SR 있음"을 더 검출한다. 기지국이 NACK with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신호가 송신된다고 판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신호는 NACK라고 판정하고, "SR 있음"을 더 검출한다.
도 6은, Option 4-2에 있어서, PUCCH 리소스 사이즈가 1PRB로 설정되고, CAZAC 부호 계열이 이용되고,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PUCCH 리소스가 직교 다중되는 경우의 PUCCH 리소스(#0~#47)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ACK with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0(PRB#0, Cyclic shift#0)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NACK with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6(PRB#0, Cyclic shift#6)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ACK without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24(PRB#2, Cyclic shift#0)가 단말에 대하여 할당되고, NACK without SR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30(PRB#2, Cyclic shift#6)이 단말에 대하여 할당된다.
즉, 도 6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24(ACK without SR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30(NACK without SR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6(NACK with SR 리소스)(또는 PUCCH 리소스#0)을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PUCCH 리소스#0(ACK with SR 리소스) 또는 PUCCH 리소스#6(NACK with SR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또한, Option 4-2에서는, 2비트 UCI의 경우, 단말에는 ACK/ACK without SR, ACK/NACK without SR, NACK/ACK without SR, NACK/NACK without SR, 및, ACK/ACK with SR, ACK/NACK with SR, NACK/ACK with SR, NACK/NACK with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도시하지 않음).
즉, Option 4-2에서는, UE마다 할당되는 PUCCH 리소스의 수는 1비트 UCI의 경우에는 4(도 6에서는 PUCCH 리소스#0, #6, #24, #30)이고, 2비트 UCI의 경우에는 8이다.
또한, Option 4-2에서는, SR과 HARQ-ACK가 동시 송신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SR과 HARQ-ACK가 송신되므로 PAPR은 증가하지 않는다.
이상, Option 1-1, Option 1-2, Option 4-1, Option 4-2가 설명되었다.
[잡음 전력 제한 환경 및 간섭 전력 제한 환경]
일반적으로, 셀룰러 시스템은 "잡음 전력 제한 환경" 및 "간섭 전력 제한 환경"의 2개의 시나리오에서 운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셀 에지 등으로 대표되는 잡음 전력 제한 환경에서는, 송신 전력이 엄격히 제한된다. 따라서, PAPR을 증가시키는 송신 방법은 회피될 필요가 있다.
한편, 간섭 전력 제한 환경은 송신 전력 제한보다 리소스 이용 효율이 우선되는 시나리오이다.
[PAPR과 리소스 이용 효율의 관계]
상술한 Option 1(Option 1-1, Option 1-2를 포함한다)에 있어서, UCI 계열 및 RS 계열의 각각으로서 각각 CAZAC 부호 계열이 이용되고, UCI에 의해 UCI 계열이 BPSK 또는 QPSK 변조된다. 따라서, 하나의 PUCCH 리소스에는 2개의 계열이 할당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계열 선택 및 계열 송신의 관점에서, Option 1 및 Option 4는 통일된 방식으로 생각될 수 있다.
Option 1과 Option 4를 계열 선택 및 계열 송신의 관점에서 통일된 방식으로 생각하면, 상술한 Option 1-1, Option 1-2, Option 4-1 및 Option 4-2의 송신 계열의 수와 UE마다 할당되는 계열의 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ption 1-1에서는, HARQ-ACK 리소스와 SR 리소스가 확보된다. 이때, HARQ-ACK 리소스 및 SR 리소스의 각각에는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이 포함된다. 따라서, Option 1-1에서는, UE마다 필요한 계열의 수(required number of sequence per UE)는 4이다(도 7을 참조). 단, SR이 "SR 있음" 및 "SR 없음"의 2개의 상태를 갖는 경우, On/Off keying을 이용하여 SR이 송신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UE 중 하나가 SR 계열의 실축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동일한 SR 계열의 허축에 할당되며, UE는 다중될 수 있다. 이 경우, Option 1-1에서는, UE마다 할당되는 필요한 계열의 수는 3.5로 볼 수 있다(도 7을 참조).
또한, Option 1-1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HARQ-ACK only), 단말은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므로,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SR only),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하므로, 2개의 계열, 즉 SR 계열 및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HARQ+SR), 단말은 HARQ-ACK 리소스 및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 및 SR을 각각 송신하므로, 합계 4개의 계열, 즉 UCI 계열, HARQ-ACK용의 RS 계열, SR 계열, 및 SR용의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7을 참조).
Option 1-2에서는, HARQ-ACK 리소스와 SR 리소스가 확보된다. 이때, HARQ-ACK 리소스 및 SR 리소스의 각각에는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이 포함된다. 따라서, Option 1-2에서는, UE마다 필요한 계열의 수는 4이다(도 7을 참조).
또한, Option 1-2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HARQ-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므로,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하므로, 2개의 계열, 즉 SR 계열 및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므로,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7을 참조).
Option 4-1에서는, 1비트 UCI의 경우, ACK 리소스, NACK 리소스 및 SR 리소스가 확보된다. 또한, 2비트 UCI의 경우, ACK/ACK, ACK/NACK, NACK/ACK, NACK/NACK 및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 이때, 각 리소스는 하나의 계열을 포함한다. 따라서, Option 4-1에서는, 1비트 UCI의 경우, UE마다 할당되는 필요한 계열의 수는 3이다. 2비트 UCI의 경우, UE마다 할당되는 필요한 계열의 수는 5이다(도 7을 참조).
또한, Option 4-1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ACK 리소스 또는 NACK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므로, 1개의 계열이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하므로, 1개의 계열이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2개의 PUCCH 리소스, 즉 ACK 리소스 및 NACK 리소스 중 하나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 및 SR을 동시에 송신하므로, 2개의 계열, 즉 ACK 계열 및 NACK 계열 중 하나와 SR 계열이 송신된다(도 7을 참조).
Option 4-2에서는, 1비트 UCI의 경우, ACK without SR 리소스, NACK without SR 리소스, ACK with SR 리소스 및 NACK with SR 리소스가 확보된다. 또한, 2비트 UCI의 경우, 단말에는 ACK/ACK without SR, ACK/NACK without SR, NACK/ACK without SR, NACK/NACK without SR, 및, ACK/ACK with SR, ACK/NACK with SR, NACK/ACK with SR, NACK/NACK with SR을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가 확보된다. 따라서, Option 4-2에서는, 1비트 UCI의 경우에 UE마다 할당되는 필요한 계열의 수는 4이고, 2비트 UCI의 경우에는 UE마다 할당되는 필요한 계열의 수는 8이다(도 7을 참조).
또한, Option 4-2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ACK without SR 리소스 또는 NACK without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므로, 1개의 계열이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NACK with SR 리소스(또는 ACK with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을 송신하므로, 1개의 계열이 송신된다(도 7을 참조).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ACK with SR 리소스 및 NACK with SR 리소스 중 하나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하므로, 1개의 계열이 송신된다(도 7을 참조).
도 7로부터 볼 수 있듯이, Option 1-1, Option 1-2, Option 4-1 및 Option 4-2의 비교는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PAPR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리소스 이용 효율(UE마다 할당되는 필요한 계열의 수)의 관점에서는,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리소스 이용 효율이 개선된다. 예컨대, Option 1-1은, 다른 Option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리소스 이용 효율을 갖지만 보다 높은 PAPR을 갖는다. 한편, Option 4-2는, 다른 Option과 비교하여, 보다 낮은 PARA를 갖지만 보다 낮은 리소스 이용 효율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수의 관점으로부터, PAPR과 리소스 이용 효율의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가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셀룰러 시스템의 시나리오(잡음 전력 제한 환경 또는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있어서 우선되어야 할 특징(PAPR 또는 리소스 이용 효율)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PAPR과 리소스 이용 효율의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고려하여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이 설정된다.
각 실시형태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 실시형태)
[통신 시스템의 개요]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구비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단말(200)에 있어서, 신호 할당부(215)는, 업링크 제어 채널(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Option) 중,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HARQ-ACK) 및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PUCCH 리소스)에 할당한다. 송신부(217)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의 구성]
도 9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데이터 생성부(102)와, 부호화부(103)와, 재송 제어부(104)와, 변조부(105)와,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와, 부호화부(107)와, 변조부(108)와,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와, 부호화부(110)와, 변조부(111)와, 신호 할당부(112)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13)와, 송신부(114)와, 안테나(115)와, 수신부(116)와, FFT(Fast Fourier Transform)부(117)와, 추출부(118)와, SR 검출부(119)와, PUCCH 복조/복호부(120)와, 판정부(121)를 갖는다.
제어부(101)는 다운링크 신호(예컨대, 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하고, 다운링크 신호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 및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HARQ-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예컨대, 시간, 주파수, 또는 계열)의 할당을 결정하고, HARQ-ACK에 대한 PUCCH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PUCCH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 및 추출부(118)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SR의 송신을 위한 PUCCH 리소스(예컨대, 시간(주기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주파수, 또는 계열)의 할당을 결정하고, SR에 대한 PUCCH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PUCCH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 및 추출부(118)에 출력한다.
이때, 상술한 PUCCH 채널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01)는 RS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계열), HARQ-ACK 신호를 송신하는 PUCCH 리소스(계열), 또는 SR을 송신하는 PUCCH 리소스(계열)를 결정하고, 결정한 PUCCH 리소스 정보를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PUCCH 채널 구성에 관한 모드(예컨대, Option 1-1, 1-2, 4-1, 또는 4-2)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PUCCH 모드 정보를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에 출력한다. PUCCH 모드에 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단말(200)에 보내지지 않는 경우에는, 결정한 PUCCH 모드 정보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에 출력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라.
데이터 생성부(102)는 단말(20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다운링크 데이터를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3)는 데이터 생성부(102)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를 재송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처음 송신 때에는, 재송 제어부(104)는 부호화부(10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를 유지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변조부(105)에 출력한다. 또한, 판정부(121)(후술한다)로부터,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는 NACK를 수신하면, 재송 제어부(104)는 대응하는 유지한 데이터를 변조부(105)에 출력한다. 한편, 판정부(121)로부터, 송신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는 ACK를 수신하면, 재송 제어부(104)는 대응하는 유지한 데이터를 삭제한다.
변조부(105)는 재송 제어부(10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고, 그 데이터 변조된 신호를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PUCCH 리소스 할당 정보 또는 PUCCH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비트열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 비트열을 부호화부(107)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7)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생성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비트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된 제어 신호를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변조부(108)는 부호화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제어 신호를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 PUCCH 리소스 할당 정보, 또는 PUCCH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 비트열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 비트열을 부호화부(110)에 출력한다. 제어 정보가 복수의 단말에 송신되는 일도 있는 것을 유의하라. 따라서, 단말의 각각에 대하여,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는 단말로 향하는 제어 정보에 단말의 단말 ID를 설정하여 비트열을 생성하더라도 좋다.
부호화부(110)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 비트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된 제어 신호를 변조부(111)에 출력한다.
변조부(111)는 부호화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제어 신호를 신호 할당부(112)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112)는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무선 리소스에 매핑한다. 또한, 신호 할당부(112)는 변조부(108) 또는 변조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매핑한다. 신호 할당부(112)는, 매핑된 다운링크 신호를, IFFT부(113)에 출력한다.
IFFT부(113)는, 신호 할당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OFDM 등의 송신 파형 생성 처리를 실시한다. CP(Cyclic Prefix)가 부가되는 OFDM 송신의 경우에는, IFFT부(113)는 CP를 부가한다(도시하지 않음). IFFT부(113)는 생성한 송신 파형을 송신부(114)에 출력한다.
송신부(114)는, IFFT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D/A(Digital-to-Analog) 변환 및 상향 변환 등의 RF(Radio Frequency) 처리를 행하고, 그 신호를 안테나(115)를 거쳐서 단말(200)에 송신한다.
수신부(116)는, 안테나(115)를 거쳐서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 파형에 대하여, 하향 변환 및 A/D(Analog-to-Digital) 변환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수신 처리 후의 업링크 신호 파형을, FFT부(117)에 출력한다.
FFT부(117)는 수신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업링크 신호 파형에 대하여 FFT 처리를 실시한다. FFT 처리는 시간 영역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FFT부(117)는, FFT 처리를 통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 신호를, 추출부(118)에 출력한다.
추출부(118)는, FFT부(11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제어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예컨대, PUCCH 리소스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SR 또는 HARQ-ACK에 대한 PUCCH의 무선 리소스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한 무선 리소스의 성분을 SR 검출부(119) 및 PUCCH 복조/복호부(120)에 출력한다.
SR 검출부(119)는 추출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전력 검출을 행하고, SR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한, SR 검출부(119)가 SR이 존재하고 또한 HARQ-ACK가 SR 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SR 검출부(119)는, 추출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PUCCH 복조/복호부(120)에 출력한다.
PUCCH 복조/복호부(120)는 추출부(118) 또는 SR 검출부(119)로부터 입력되는 PUCCH 신호에 대하여 등화, 복조, 복호, 또는 전력 검출을 행하고, 복호된 비트 계열 또는 전력 검출 후의 신호를, 판정부(121)에 출력한다.
판정부(121)는 PUCCH 복조/복호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비트 계열 또는 전력 검출 후의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HARQ-ACK 신호가 송신된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는 ACK 또는 NACK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21)는 판정의 결과를 재송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단말의 구성]
도 10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단말(200)은 안테나(201)와, 수신부(202)와, FFT부(203)와, 추출부(204)와,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와,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복조부(206)와,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와, 오류 검출부(208)와, 제어부(209)와, SR 생성부(210)와, 변조부(211)와, HARQ-ACK 생성부(212)와, 부호화부(213)와, 변조부(214)와, 신호 할당부(215)와, IFFT부(216)와, 송신부(217)를 갖는다.
수신부(202)는, 안테나(201)를 거쳐서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의 신호 파형에 대하여, 하향 변환 및 A/D(Analog-to-Digital) 변환 등의 RF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수신 신호(베이스밴드 신호)를 FFT부(203)에 출력한다.
FFT부(203)는 수신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시간 영역 신호)에 대하여 FFT 처리를 실시한다. FFT 처리에서는, 시간 영역 신호가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된다. FFT부(203)는, FFT 처리를 통해 얻어진 주파수 영역 신호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추출부(204)는 제어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FFT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그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에 출력한다. 또한, 추출부(204)는 제어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및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고,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를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복조부(206)에 출력하고,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에 출력한다.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는 추출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대하여 블라인드 복호를 행한다.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자기에게 향하는 신호라고 판단하는 경우,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는 그 제어 신호를 복조하고, 그 제어 신호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복조부(206)는 추출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는 추출부(204)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고, 복호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오류 검출부(208)에 출력한다.
오류 검출부(208)는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복조부(207)로부터 입력되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 검출의 결과를 HARQ-ACK 생성부(212)에 출력한다. 또한, 오류 검출부(208)는, 오류 검출의 결과로서 오류가 없다고 판정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제어부(209)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무선 리소스 할당을 산출하고, 산출된 무선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9)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복조부(206)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 및 다운링크 제어 신호 복조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SR 및 HARQ-ACK에 대한 PUCCH 리소스 할당에 관한 PUCCH 리소스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SR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PUCCH 리소스(SR 리소스) 및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PUCCH 리소스(HARQ-ACK 리소스)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산출된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신호 할당부(215)에 출력한다.
또한, 후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부(209)는 단말(200)이 실제로 SR 및 HARQ-ACK를 송신하는 PUCCH에 대한 모드, 시간/주파수 리소스, 및 계열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결정된 정보를 신호 할당부(215) 및 송신부(217)에 출력한다.
단말(200)이 업링크 송신에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기지국(100)에 요구하는 경우에, SR 생성부(210)는 SR을 생성하고, 생성된 SR 신호를 변조부(211)에 출력한다.
변조부(211)는 SR 생성부(210)로부터 입력되는 SR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SR 신호를 신호 할당부(215)에 출력한다. 변조부(211)는 하나의 계열만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변조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좋은 것에 유의하라.
HARQ-ACK 생성부(212)는 오류 검출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오류 검출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HARQ-ACK 신호(ACK 또는 NACK)를 생성한다. HARQ-ACK 생성부(212)는 생성된 HARQ-ACK 신호(비트 계열)를 부호화부(213)에 출력한다.
부호화부(213)는 HARQ-ACK 생성부(212)로부터 입력되는 비트 계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된 비트 계열(HARQ-ACK 신호)을 변조부(214)에 출력한다.
변조부(214)는 부호화부(213)로부터 입력되는 HARQ-ACK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HARQ-ACK 신호를 신호 할당부(215)에 출력한다. 변조부(214)는 하나의 계열만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변조 처리를 행하지 않더라도 좋은 것에 유의하라.
신호 할당부(215)는 변조부(211)로부터 입력되는 SR 신호 또는 변조부(214)로부터 입력되는 HARQ-ACK 신호를 제어부(209)에 의해 지시되는 무선 리소스에 매핑한다. 신호 할당부(215)는, 신호가 매핑된 업링크 신호(예컨대,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IFFT부(216)에 출력한다.
IFFT부(216)는, 신호 할당부(2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OFDM 등의 송신 파형 생성 처리를 실시한다. CP(Cyclic Prefix)가 부가되는 OFDM 송신의 경우에는, IFFT부(216)는 CP를 부가한다(도시하지 않음). 또는, IFFT부(216)가 싱글 캐리어 파형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신호 할당부(215)의 상류(upstream)에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가 추가되더라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IFFT부(216)는 생성된 송신 파형을 송신부(217)에 출력한다.
송신부(217)는, 제어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IFFT부(21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송신 전력 제어, D/A(Digital-to-Analog) 변환, 및 상향 변환 등의 RF(Radio Frequency)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201)를 거쳐서 기지국(1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에 의해 행하여지는 동작]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에 의해 행하여지는 동작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00)에 의해 행하여지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200)은,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Option) 중,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에 근거하여,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를 특정한다(ST101).
이하,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Option)로서 단말(200)이 2개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가 설명된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2개의 모드의 일례인 Option 1-1과 Option 4-2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Option 4-2는 Option 1-1보다 PAPR이 낮은 모드이다. 한편, Option 1-1은 Option 4-2보다 PUCCH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높은 모드이다.
이 경우, 예컨대, 기지국(100)은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따라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Option 1-1 및 Option 4-2)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예컨대, 단말(200)이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있는(예컨대, 단말이 셀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가장 좋은 리소스 이용 효율을 갖는(다시 말해,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적합한) Option 1-1이 선택된다. 한편, 단말(200)이 잡음 전력 제한 환경에 있는(예컨대, 단말(200)이 셀 에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PAPR을 가장 저감할 수 있는(다시 말해, 잡음 전력 제한 환경에 적합한) Option 4-2가 선택된다.
단말(200)이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있는지 또는 잡음 전력 제한 환경에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예컨대, 단말(200)에 의해 보고되는 파라미터(수신 품질 및 수신 전력)에 근거하여 기지국에 의해 이루어지더라도 좋은 것에 유의하라.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200)에 의해 사용되는 모드는 기지국(100)에 의해 선택되더라도 좋고 또는 단말(200)에 의해 선택되더라도 좋다.
단말(200)은 단말(200)에 설정된 채널 구성의 모드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ACK 및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CI를 단말(200)에 할당된 PUCCH 리소스에 할당한다(ST102). 즉, 단말(200)이 간섭 제한 환경에 있는 경우, 단말(200)은 Option 1-1에 근거하여 UCI(HARQ-ACK 및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를 PUCCH 리소스에 할당한다(예컨대, 도 3을 참조). 한편, 단말(200)의 동작 환경이 잡음 전력 제한 환경인 경우, 단말(200)은 Option 4-2에 근거하여 UCI를 PUCCH 리소스에 할당한다(예컨대, 도 6을 참조).
그리고, 단말(200)은 1-symbol PUCCH를 이용하여 UCI를 송신한다(ST103).
이와 같이 셀 내에 있어서의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200)은 단말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PUCCH 채널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의 송신 전력 효율 또는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단말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단말(200)이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이하에 방법 1~방법 4가 설명된다.
<방법 1>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시그널링(예컨대,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 그룹 고유의 다이내믹 시그널링(Group common PDCCH), 단말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 또는 단말 고유의 다이내믹 시그널링(DCI :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의해 단말(200)에 모드가 통지되더라도 좋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모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동작을 위해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특정한다.
<방법 2>
또는,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고서 2개의 모드 중 어느 모드를 채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Option 1-1 및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송신되어야 할 RS의 유무에 따라 모드를 결정한다. 이것은,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symbol PUCCH 송신에 따라, Option 1-1(Option 1)에서는 RS의 송신이 발생하는 반면, Option 4-2(Option 4)에서는 RS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단말(200)은 RS가 있는 경우에는 Option 1-1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한편, 단말(200)은 RS가 없는 경우에는 Option 4-2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방법 3>
또한, 복수의 랜덤 액세스 채널(RACH : Random Access Channel) 리소스가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200)은 RACH 리소스에 근거하여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기지국(100)은 셀 고유 또는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에 의해 복수의 RACH 리소스를 단말(200)에 통지한다.
이 경우에, 각 RACH 리소스는 단말(200)에 의해 측정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에 링크된다. 또한, 단말(200)에 의해 설정 가능한 2개의 모드는 RACH 리소스와 대응된다. 다시 말해, 단말(200)에 의해 설정 가능한 2개의 모드는 RACH 리소스에 링크된 RSRP/RSRQ에도 대응된다.
그래서, 단말(200)은 자신의 RSRP/RSRQ를 측정하고, 측정된 RSRP/RSRQ에 대응하는 RACH 리소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RACH 리소스에 근거하여 단말(200)이 이용하는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1-symbol PUCCH 채널 구성에 관한 모드를 결정한다.
<방법 4>
NR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예컨대, 15㎑, 30㎑, 및 60㎑)에 의한 동작을 지원한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Option 1-1과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PUCCH 송신 때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Option 1-1 및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15㎑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서는 Option 1-1을 설정하고, 30㎑ 또는 60㎑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서는 Option 4-2를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심볼 길이가 감소하고, 따라서 커버리지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큰 경우에는, 보다 작은 PAPR을 갖고, 보다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모드(이 경우에는 Option 4-2)가 설정된다.
상술한 방법 2~방법 4와 같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200)은 복수의 모드(도 12에서는 2개의 모드) 중에서 단말(200)의 동작 환경(상정되는 환경(시나리오))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근거하여 1-symbol PUCCH 송신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0)은 단말(200)의 상황(예컨대, 잡음 전력 제한 환경 또는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따라 PAPR의 저감 및 리소스 이용 효율의 향상 중 하나를 우선하여 PAPR의 저감 또는 리소스 이용 효율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은 1-symbol PUCCH에 있어서 HARQ-ACK의 송신, SR의 송신, 및 SR과 HARQ-ACK의 동시 송신 중 하나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1-symbol PUCCH에 있어서, HARQ-ACK에 더하여, SR이 적절히 송신될 수 있다.
[모드의 수]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 채널 구성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모드의 수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개로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라. 3개 이상의 모드가 설정되더라도 좋다. 설정될 수 있는 모드의 수를 늘림으로써,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보다 세세한 PUCCH 채널 구성을 설정 가능하다.
[모드의 조합]
또한, 단말(200)에 설정될 수 있는 PUCCH 채널 구성 모드는 도 12에 나타내는 Option 1-1과 Option 4-2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Option 1-1, 1-2, 4-1, 4-2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조합이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 즉, PAPR 또는 리소스 이용 효율이 상이한 모드의 조합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Option 1-1과 Option 4-1의 조합, Option 1-2와 Option 4-1의 조합, 또는 Option 1-2와 Option 4-2의 조합 등과 같이, Option 1(Option 1-1, 1-2) 중 하나가 Option 4(Option 4-1, 4-2) 중 하나와 조합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Option 1-1과 Option 4-1의 조합 및 Option 1-2와 Option 4-1의 조합은 리소스 이용 효율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Option 1-2와 Option 4-1의 조합은 PAPR의 저감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Option 1-1과 Option 1-2의 조합 또는 Option 4-1과 Option 4-2의 조합이 사용되더라도 좋다. Option 1-1과 Option 1-2의 조합은 리소스 이용 효율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Option 4-1과 Option 4-2의 조합은 PAPR의 저감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Option 1-1의 변형]
Option 1-1에 있어서, HARQ-ACK용의 RS 계열과 SR용의 RS 계열은 공통의 계열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SR의 송신과 HARQ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200)로부터는 합계 3개의 계열, 즉 HARQ-ACK 계열과, SR 계열과, 공통의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 즉, 이 경우, HARQ 리소스와 SR 리소스는 동일한 PRB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1-symbol PUCCH 송신에 사용되는 RS가 공통이므로, 기지국(100)에 의해 행하여지는 수신 신호 처리가 간소화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을 원용하여 기지국 및 단말이 이하에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HARQ-ACK의 송신과 SR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단말(200)은,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Option) 중,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하나에 근거하여, HARQ-ACK 및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CI를 PUCCH 리소스에 할당하고 송신을 행한다.
또한, HARQ-ACK의 송신 및 SR의 송신 중 어느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 단말(200)은 단말(200)의 모든 동작 환경에 공통인 모드에 근거하여 UCI를 PUCCH 리소스에 할당하여 송신을 행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도 12)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ARQ-ACK의 송신과 SR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모드(Option)로서 2개의 모드, 즉 Option 1-1 및 Option 4-2가 설정되고, 상술한 공통의 모드로서 Option 4(예컨대, Option 4-1 또는 4-2)가 설정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200)이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있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단말(200)은 가장 좋은 리소스 효율을 갖는 Option 1-1에 근거하여 1-symbol PUCCH 송신을 행한다. 한편, 단말(200)이 잡음 전력 제한 환경에 있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 단말(200)은 PAPR을 가장 저감할 수 있는 Option 4-2에 근거하여 1-symbol PUCCH 송신을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말(200)이 SR과 HARQ-ACK를 동시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셀 내에 있어서의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따라 모드를 설정한다. 따라서, 동작 환경에 적합한 PUCCH 채널 구성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의 송신 전력 효율 또는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ARQ-ACK의 송신 및 SR의 송신 중 어느 한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Option 4를 공통 모드로서 설정하고 1-symbol PUCCH 송신을 행한다.
단말(200)에 있어서의 HARQ-ACK와 SR의 동시 송신의 발생은 기지국(100)에서 실행되는 스케줄링에 의해 어느 정도 회피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라. 즉, 단말(200)에 있어서 HARQ-ACK와 SR의 동시 송신의 발생의 빈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단말(200)에서는, HARQ-ACK 송신 또는 SR 송신 중 어느 한쪽의 발생의 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HARQ-ACK 송신 또는 SR 송신 중 어느 한쪽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를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함으로써, 단말(200)은 공통 모드의 PUCCH 채널 구성을 가능한 한 자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에 의해 행하여지는 처리가 간소화될 수 있다.
[단말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SR과 HARQ-ACK를 동시 송신하는 경우에 단말(200)이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방법 1~방법 3이 이하에 설명된다.
<방법 1>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시그널링(예컨대,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 그룹 고유의 다이내믹 시그널링(Group common PDCCH), 또는 단말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 또는 단말 고유의 다이내믹 시그널링(DCI))에 의해 단말(200)에 모드가 통지되더라도 좋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모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동작을 위해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특정한다.
<방법 2>
또는,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고서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Option 1-1 및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송신되어야 할 RS의 유무에 따라 모드를 결정한다. 이것은,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symbol PUCCH 송신에 있어서, Option 1-1(Option 1)에서는 RS의 송신이 발생하는 반면, Option 4-2(Option 4)에서는 RS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단말(200)은 RS가 있는 경우에는 Option 1-1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한편, 단말(200)은 RS가 없는 경우에는 Option 4-2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방법 3>
또한, 복수의 RACH 리소스가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200)은 RACH 리소스에 근거하여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기지국(100)은 셀 고유 또는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에 의해 복수의 RACH 리소스를 단말(200)에 통지한다.
이 경우에, 각 RACH 리소스는 단말(200)에 의해 측정되는 RSRP/RSRQ에 링크된다. 또한, 단말(200)에 의해 설정 가능한 2개의 모드는 RACH 리소스와 대응된다. 다시 말해, 단말(200)에 의해 설정 가능한 2개의 모드는 RACH 리소스에 링크된 RSRP/RSRQ에도 대응된다.
그래서, 단말(200)은 자신의 RSRP/RSRQ를 측정하고, 측정된 RSRP/RSRQ에 대응하는 RACH 리소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RACH 리소스에 근거하여 단말(200)이 이용하는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1-symbol PUCCH 채널 구성에 관한 모드를 결정한다.
<방법 4>
NR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예컨대, 15㎑, 30㎑, 및 60㎑)에 의한 동작을 지원한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Option 1-1과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PUCCH 송신 때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방법 2~방법 4와 같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HARQ-ACK와 SR을 동시 송신하는 경우에, 단말(200)은 복수의 모드(도 13에서는 2개의 모드) 중에서 단말(200)의 동작 환경(상정되는 환경(시나리오))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에 근거하여 1-symbol PUCCH 송신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단말(200)의 상황에 따라 PAPR의 저감 및 리소스 이용 효율의 향상 중 하나를 우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200)은 1-symbol PUCCH에 있어서 SR과 HARQ-ACK의 동시 송신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HARQ-ACK의 송신 및 SR의 송신 중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200)은 단말(200)의 어느 동작 환경에도 공통인 모드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200)에 있어서의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이 가능한 한 공통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1-symbol PUCCH의 송신 처리가 간소화될 수 있다.
[모드의 수]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 채널 구성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모드의 수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개로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라. 3개 이상의 모드가 설정되더라도 좋다. 설정될 수 있는 모드의 수를 늘림으로써,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보다 세세한 PUCCH 채널 구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드의 조합]
또한, SR과 HARQ-ACK가 동시 송신되는 경우에, 단말(200)에 설정될 수 있는 PUCCH 채널 구성 모드는 도 13에 나타내는 Option 1-1과 Option 4-2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Option 1-1, 1-2, 4-1, 4-2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조합이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 즉, PAPR 또는 리소스 이용 효율이 상이한 모드의 조합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Option 1-1과 Option 4-1의 조합, Option 1-2와 Option 4-1의 조합, 또는 Option 1-2와 Option 4-2의 조합과 같이, Option 1(Option 1-1, 1-2) 중 하나가 Option 4(Option 4-1, 4-2) 중 하나와 조합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Option 1-1과 Option 4-1의 조합 및 Option 1-2와 Option 4-1의 조합은 리소스 이용 효율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Option 1-2와 Option 4-1의 조합은 PAPR의 저감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Option 1-1과 Option 1-2의 조합 또는 Option 4-1과 Option 4-2의 조합이 사용되더라도 좋다. Option 1-1과 Option 1-2의 조합은 리소스 이용 효율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Option 4-1과 Option 4-2의 조합은 PAPR의 저감에 보다 중점을 둔 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공통 모드]
또한, HARQ-ACK 및 SR 중 하나만이 송신되는 경우에 설정되는 공통 모드는 도 13에 나타내는 Option 4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공통 모드는 Option 1이더라도 좋고, 또는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방법(Proposal 3)이더라도 좋다. Option 1이 공통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리소스 이용 효율을 우선하는 방법이 채용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Option 4가 공통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PAPR의 저감을 우선하는 방법이 채용된다고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을 원용하여 기지국 및 단말이 이하에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200)은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는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으로서 단일 모드를 지원한다. 이 단일 모드의 1-symbol PUCCH 채널 구성은 리소스 이용 효율의 향상과 PAPR의 저감의 트레이드오프를 고려하여, Option 1-1, 1-2, 4-1, 4-2와 비교하여, 리소스 이용 효율의 향상 및 PAPR의 저감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는 채널 구성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3개의 계열, 즉 RS를 위한 계열(RS 계열), HARQ-ACK를 변조하여 송신하기 위한 계열(HARQ-ACK 계열), 및 SR을 송신하기 위한 계열(SR 계열)이 확보된다. 즉, 단말(200)에 대하여 RS 리소스와, HARQ-ACK 리소스와, SR 리소스가 할당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200)은 RS 계열(RS 리소스) 및 HARQ-ACK 계열(HARQ-ACK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이때, HARQ-ACK 계열은 UCI에 의해 BPSK 또는 QPSK 변조된다. 다시 말해, 단말(200)은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을 동시에 송신한다.
또한,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200)은 RS 계열(RS 리소스) 및 SR 계열(SR 리소스)을 이용하여 SR을 송신한다. 다시 말해, 단말(200)은 2개의 계열, 즉 SR 계열 및 RS 계열을 동시에 송신한다.
또한,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200)은 RS 계열(RS 리소스) 및 SR 계열(SR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이때, SR 계열은 HARQ-ACK에 의해 BPSK 또는 QPSK 변조된다. 다시 말해, 단말(200)은 2개의 계열, 즉 SR 계열 및 RS 계열을 동시에 송신한다.
즉, 단말(200)은 SR 및 HARQ-ACK의 송신 상태에 따라 HARQ-ACK 리소스 및 SR 리소스 중 하나와 RS 리소스를 이용하여 UCI(HARQ-ACK 또는 SR) 및 RS를 송신한다.
도 14는 PUCCH 리소스 사이즈가 1PRB로 설정되는 경우에 CAZAC 부호 계열 및 순회 시프트를 이용하여 계열 사이의 직교 다중을 행하는 경우의 PUCCH 리소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단말(200)(UE)에 대하여 RS 리소스, SR 리소스, ACK 리소스로서 PUCCH 리소스#0(PRB#0, Cyclic shift#0), PUCCH 리소스#4(PRB#0, Cyclic shift#4), HARQ-PUCCH 리소스#8(PRB#0, Cyclic shift#8)이 각각 할당된다.
즉, 도 14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PUCCH 리소스#0(RS 리소스) 및 PUCCH 리소스#8(HARQ-ACK 리소스)을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 및 RS를 송신한다.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PUCCH 리소스#0(RS 리소스) 및 PUCCH 리소스#4(SR 리소스)를 이용하여 SR 및 RS를 송신한다.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단말(200)은 PUCCH 리소스#0(SR 리소스) 및 PUCCH 리소스#4(RS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ACK 또는 NACK) 및 RS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HARQ-ACK의 송신, SR의 송신, 및 HARQ-ACK와 SR의 동시 송신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HARQ-ACK 계열 또는 SR 계열과 동시에 송신되는 RS 계열은 공통 계열이다. 즉, LTE에서는, HARQ-ACK만의 송신 때와 HARQ-ACK와 SR의 동시 송신 때에 상이한 RS 계열이 사용된다. 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와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공통의 RS 계열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R 리소스와 HARQ-ACK 리소스가 동일한 PRB에 할당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상술한 채널 구성("Proposal 3"으로 나타낸다)과, Option 1-1, Option 1-2, Option 4-1 및 Option 4-2의 각각에 있어서의 송신 계열의 수 및 UE마다 할당되는 계열의 수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Proposal 3에서는, 각 UE에 대하여 HARQ-ACK 리소스와, SR 리소스와, RS 리소스가 확보된다. 따라서, Proposal 3에서는, UE마다 할당되는 계열의 수는 3이다(도 15를 참조).
또한, Proposal 3에서는, SR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200)은 HARQ-ACK 리소스 및 RS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 및 RS를 송신한다. 따라서, 2개의 계열, 즉 UCI 계열 및 RS 계열이 동시에 송신된다(도 15를 참조). 또한, SR의 송신이 발생하고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말(200)은 SR 리소스 및 RS 리소스를 이용하여 SR 및 RS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200)은 2개의 계열, 즉 SR 계열 및 RS 계열을 동시에 송신한다(도 15를 참조). 또한, SR의 송신과 HARQ-ACK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단말(200)은 SR 리소스 및 RS 리소스를 이용하여 HARQ-ACK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200)은 2개의 계열, 즉 SR 계열 및 RS 계열을 동시에 송신한다(도 15를 참조).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구성(Proposal 3)에서는,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수(2개의 계열)가 Option 1-1(4개의 계열)과 비교하여 저감된다. 따라서, PAPR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구성(Proposal 3)에서는,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수(2개의 계열)가 Option 4-1(1개 또는 2개의 계열) 또는 Option 4-2(1개의 계열)와 비교하여 증가된다. 따라서, 리소스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ption 1-2에서는, UE마다 4개의 계열이 확보될 필요가 있는 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 구성(Proposal 3)에서는, SR과 HARQ-ACK에서 RS 계열이 공통으로 사용되므로, 3개의 계열만 확보되면 된다. 따라서, 리소스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200)의 동작 환경(시나리오) 또는 HARQ-ACK 및 SR의 송신 상태에 상관없이 PUCCH 채널 구성이 공통으로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복잡한 PUCCH 설계(복잡한 리소스 할당 또는 시그널링 방법)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송신 상태, 즉 HARQ-ACK의 송신, SR의 송신, 및 SR과 HARQ-ACK의 동시 송신에 상관없이, 1-symbol PUCCH 송신에 사용되는 RS가 공통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기지국(100)에 의해 행하여지는 신호 수신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각 송신 상태(HARQ-ACK의 송신 및 SR의 송신)에 있어서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수를 2로 저감함으로써, Option 1-1과 비교하여, PAPR의 증가를 막으면서 높은 리소스 이용 효율이 실현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
제 3 실시형태는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으로서 하나의 모드(Proposal 3)를 지원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1-symbol PUCCH의 채널 구성의 설명은 하나의 모드에 있어서 리소스 이용 효율과 PAPR의 트레이드오프를 고려하여 리소스 이용 효율의 향상 및 PAPR의 저감의 양쪽이 어느 정도 실현되도록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송신 상태 또는 SR의 송신이 발생하는 송신 상태에서 2개의 계열이 송신되는 경우를 참조하여 이루어졌다.
한편, 상기 모드에서는, HARQ-ACK의 송신이 발생하는 송신 상태 또는 SR의 송신이 발생하는 송신 상태에서 2개의 계열이 송신된다. 따라서, 하나의 계열이 송신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PAPR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송신 전력의 제한이 매우 엄격한 환경에서는 커버리지가 열화될 수 있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PAPR의 증가를 막기 위해, 단말(200)은 송신 전력의 제한이 매우 엄격한 환경에서는 1-symbol PUCCH의 송신 때에 하나의 계열만을 송신한다. 즉,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하나의 모드(Proposal 3)에 더하여, 하나의 계열만을 송신하기 위한 모드(추가 모드)인 Option 4-2가 설정될 수 있다. Option 4-2는 송신 전력의 제한이 매우 엄격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단, Option 4-2에서는, 리소스 이용 효율의 열화가 매우 증가한다(특히 2비트의 UCI가 송신되는 경우)(예컨대, 도 15를 참조). 따라서, Option 4-2의 모드는 1비트 UCI가 송신되는 경우에만 사용되더라도 좋다.
단말(200)이 2개의 모드(Proposal 3 및 Option 4-2)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 1~방법 3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방법 1>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시그널링(예컨대,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 그룹 고유의 다이내믹 시그널링(Group common PDCCH), 또는 단말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 또는 단말 고유의 다이내믹 시그널링(DCI))에 의해 단말(200)에 모드가 통지되더라도 좋다.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모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동작을 위해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특정한다.
<방법 2>
또는, 단말(200)은 기지국(200)으로부터의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고서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Proposal 3 및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송신되어야 할 RS의 유무에 따라 모드를 결정한다. 이것은,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symbol PUCCH 송신에 있어서, Proposal 3에서는 RS의 송신이 발생하는 반면, Option 4-2에서는 RS의 송신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단말(200)은 RS가 있는 경우에는 Proposal 3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한편, 단말(200)은 RS가 없는 경우에는 Option 4-2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방법 3>
또한, 복수의 RACH 리소스가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200)은 RACH 리소스에 근거하여 2개의 모드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기지국(100)은 셀 고유 또는 그룹 고유의 상위 레이어 통지에 의해 복수의 RACH 리소스를 단말(200)에 통지한다.
이 경우에, 각 RACH 리소스는 단말(200)에 의해 측정되는 RSRP/RSRQ에 링크된다. 또한, 단말(200)에 의해 설정 가능한 2개의 모드는 RACH 리소스와 대응된다. 다시 말해, 단말(200)에 의해 설정 가능한 2개의 모드는 RACH 리소스에 링크된 RSRP/RSRQ에도 대응된다.
그래서, 단말(200)은 자신의 RSRP/RSRQ를 측정하고, 측정된 RSRP/RSRQ에 대응하는 RACH 리소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RACH 리소스에 근거하여 단말(200)이 이용하는 1비트 또는 2비트의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1-symbol PUCCH 채널 구성에 관한 모드를 결정한다.
<방법 4>
NR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예컨대, 15㎑, 30㎑, 및 60㎑)에 의한 동작을 지원한다. 예컨대, 2개의 모드, 즉 Option 1-1과 Option 4-2가 설정 가능한 경우, 단말(200)은 PUCCH 송신 때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모드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방법 2~방법 4와 같이,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을 원용하여 기지국 및 단말이 이하에 설명한다.
제 1~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200)이 복수의 계열을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의 조합에 따라 PAPR의 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일이 있다. 예컨대, 복수의 계열이 동일한 CAZAC 계열의 순회 시프트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연속하는 순회 시프트 계열의 조합의 경우에는 PAPR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연속하지 않는 순회 시프트 계열의 조합의 경우에는 PAPR의 값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1-symbol PUCCH의 송신에 사용되는 계열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즉, PUCCH 리소스에 사용되는 복수의 계열은 동일한 그룹 내의 계열의 조합의 PAPR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복수의 그룹 중, 동일한 그룹 내의 계열이 동일한 UE에 할당된다.
예컨대, 복수의 그룹은 동시에 송신된 경우에 감소하는 PAPR을 각각 갖는 계열을 포함하는 계열 그룹(다시 말해, 간섭 전력 제한 환경에 적합한 그룹) 및 동시에 송신된 경우에 증가하는 PAPR을 각각 갖는 계열을 포함하는 계열 그룹(다시 말해, 잡음 전력 제한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그룹)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복수의 계열 그룹(예컨대, 도 17에 나타내는 Group 0 및 Group 1) 중,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것이 단말(200)에 할당된다. 그리고, 단말(200)은 동일한 계열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열을 동시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계열이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 얻어지는 PAPR의 값에 따라 복수의 계열 그룹을 설정함으로써, 셀 내에 있어서의 단말(200)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계열의 할당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의 송신 전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셀 사이의 계열간 간섭을 랜덤화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계열 번호가 변경되는 계열 호핑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계열 호핑은 동일한 계열 그룹 내의 계열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 감소하는 PAPR을 갖는 계열을 포함하는 계열 그룹에 있어서 계열 호핑이 행하여지더라도, 동시에 송신되는 계열에 있어서 PAPR의 값이 증가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계열 호핑이 행하여지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은, 예컨대, 심볼, 미니슬롯, 슬롯,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 등의 시간 단위이더라도 좋은 것에 유의하라.
(제 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을 원용하여 기지국 및 단말이 이하에 설명된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UE에 할당되는 계열은 동일한 PRB 또는 동일한 코히렌트 대역 내에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계열간의 송신 전력 차이가 알려져 있다고 가정된다. 예컨대, 각 계열의 송신 전력은 동일하더라도 좋다(다시 말해, 계열간의 송신 전력 차이는 0).
동일한 UE에 대한 2개의 계열이 코히렌트 대역 밖에 할당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기지국에 의해 행하여지는 전력 검출에 있어서 채널 주파수 선택성의 영향에 기인하여 전력 검출 성능이 나빠진다. 또한, 계열간의 송신 전력 차이를 알 수 없는 경우, 마찬가지로 기지국의 전력 검출 성능의 열화가 일어난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PUCCH 리소스에 사용되는 복수의 계열 중, 동일한 PRB 내의 계열 또는 코히렌트 대역 내의 계열이 동일한 UE(단말(200))에 할당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100)에 의해 행하여지는 전력 검출에 있어서 채널 주파수 선택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전력 검출이 정밀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계열간의 송신 전력 차이가 알려져 있으므로, 전력 검출이 기지국(100)에 의해 정밀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일한 PRB 또는 동일한 코히렌트 대역 내에 계열을 할당하거나 또는 계열간의 송신 전력 차이를 알려지게 함으로써, 제 1~제 3 실시형태 중 하나에서 필요하게 되는 전력 검출 특성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코히렌트 대역"이라는 용어는 "근접 대역(PRB)" 또는 인접 대역(PRB)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것에 유의하라.
[제 5 실시형태의 변형]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동일한 UE에 상이한 PRB 계열이 할당되는 경우가 설명된다.
동일한 UE에 상이한 PRB 계열이 할당되는 경우, SR 리소스 및 ACK/NACK 리소스의 각각에 대하여, 예컨대, 시스템 대역 내의 PRB 중 하나를 할당하는 방법은 리소스 할당의 유연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PRB를 할당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증가된다.
그래서,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동일한 UE에 상이한 PRB 계열(이 예에서는, 2개의 계열)이 할당되는 경우, 2개의 계열은 근접 PRB 또는 인접 PRB로 결정된다. 근접 PRB 또는 인접 PRB의 계열은, 예컨대, 코히렌트 대역 내의 계열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동일한 UE에 할당되는 근접 PRB 또는 인접 PRB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UE에 대한 SR 리소스 및 ACK/NACK 리소스의 각각에 대하여 시스템 대역 내의 어느 PRB를 독립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없다. 또한, SR 리소스 및 ACK/NACK 리소스 중 하나의 PRB 위치의 통지는 다른 리소스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100)은 ACK/NACK 리소스가 할당되는 PRB로부터의 오프셋을 이용하여 SR 리소스가 할당되는 PRB를 단말(200)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반대로, 기지국(100)은 SR 리소스가 할당되는 PRB로부터의 오프셋을 이용하여 ACK/NACK 리소스가 할당되는 PRB를 단말(200)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또한, 동일한 UE에 할당되는 상이한 PRB 계열은 근접 PRB 또는 인접 PRB이기 때문에, 오프셋 값의 범위는 최대 몇 PRB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PUCCH 리소스에 사용되는 복수의 계열 중 상이한 PRB 계열이 동일한 UE에 할당되는 경우, 동일한 UE에 할당되는 계열에 대응하는 상이한 PRB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다른 PRB의 위치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오프셋 값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대역 내의 모든 PRB 중 하나의 통지가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PRB 오프셋 값의 통지의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저감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대역이 100개의 PRB로 구성되는 경우, 시스템 대역 내의 PRB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ceil(log2(100))=7bit이다. 이것에 비하여, 제 5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르면, 오프셋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패턴(-2, -1, 0, 1)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단 2bit이다.
도 18은 SR 리소스의 PRB를 기준으로 하여 ACK/NACK 리소스의 PRB의 통지가 오프셋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내는 것에 유의하라. 단, 통지 기술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지국(100)은 ACK/NACK 리소스의 PRB를 기준으로 하여 SR 리소스의 PRB의 통지를 오프셋을 이용하여 송신하더라도 좋다. 도 18에 나타내는 오프셋 값(-2, -1, 0, 1)은 단지 일례이고, 오프셋 값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라.
또한, 오프셋 값은 규격에 의해 결정된 값이더라도 좋고, 혹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더라도 좋다. 또한, 동일한 UR에 동일한 PRB 계열이 할당되는 경우, 상술한 PRB 오프셋의 값은 순회 시프트 오프셋으로서 사용되더라도 좋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설명되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는 복수의 계열이 동일한 CAZAC 계열의 순회 시프트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복수의 계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의 계열은 상이한 계열 번호의 CAZAC 계열에 의해 생성되더라도 좋다. 또는, 복수의 계열은 상이한 PRB의 동일한 계열에 의해 생성되더라도 좋다. 또는, 복수의 계열은 동일한 PRB 내의 Comb에 의해 생성되더라도 좋다.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을 이용하여 복수의 계열이 정의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PUCCH 리소스 사이즈가 X[RE]인 경우, 계열 길이 X를 갖는 CAZAC 계열의 순회 시프트에 의해 복수의 계열을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이한 순회 시프트 값을 갖는 X개의 계열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계열이 동일한 PRB 내의 Comb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계열 길이 X/2를 갖는 CAZAC 계열의 순회 시프트에 의해 생성되는 상이한 순회 시프트를 갖는 X/2개의 계열과, 2개의 Comb에 의해, 합계 X개의 계열이 생성된다.
(2) 상기 실시형태는 단말(200)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의 역할을 하는 SR 및 HARQ-ACK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단말(200)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제어 정보는 SR 및 HARQ-ACK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업링크 제어 정보(예컨대, CSI)가 사용되더라도 좋다.
(3)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협력하는 소프트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되더라도 좋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해 제어되더라도 좋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더라도 좋고 혹은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더라도 좋다. LSI는 데이터 입력과 데이터 출력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LSI"라는 용어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또는 "울트라 LSI"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회로 집적은 LSI로 한정되지 않고, LSI 이외의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좋다. LSI의 제조 후에 프로그램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 및 설정의 재구성을 허용하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더라도 좋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그 기술로부터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회로 집적 기술이 등장하면,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이 집적되더라도 좋다. 다른 가능성은, 예컨대, 바이오 기술의 적용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은 회로와 송신기를 구비한다. 회로는 업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 중 단말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 및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한다. 송신기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은 회로와 송신기를 구비한다. 회로는 응답 신호의 송신과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업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 중 단말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기 응답 신호 및 상기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한다. 송신기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은 회로와 송신기를 구비한다. 회로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 및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한다. 송신기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리소스와,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리소스와,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와 주파수 다중되는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3 리소스가 단말에 할당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리소스 및 상기 제 2 리소스 중 하나와 상기 제 3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 1 리소스 및 상기 제 2 리소스는 동일한 리소스 블록에 할당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 및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의 송신 중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모든 동작 환경에 공통인 상기 채널 구성에 관한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모드보다 낮은 최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율(PAPR)을 갖는 제 2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동작 환경이 간섭을 제한하는 환경에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리소스에 할당한다. 상기 단말의 동작 환경이 전력을 제한하는 환경에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 2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리소스에 할당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제 1 모드와, 상기 제 1 모드보다 낮은 업링크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갖는 제 2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동작 환경이 간섭을 제한하는 환경에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리소스에 할당한다. 상기 단말의 동작 환경이 전력을 제한하는 환경에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 2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리소스에 할당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사용되는 복수의 계열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그룹 중 동일한 그룹 내의 계열은 동일한 단말에 할당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사용되는 복수의 계열 중, 동일한 리소스 블록 내의 계열 또는 코히렌트 대역 내의 계열은 동일한 단말에 할당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사용되는 복수의 계열 중, 상이한 리소스 블록의 계열이 동일한 단말에 할당된다. 상기 상이한 리소스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의 위치는 다른 리소스 블록의 위치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오프셋 값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본 개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은 업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 중 단말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 및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은 응답 신호의 송신과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업링크 제어 채널의 채널 구성에 관한 복수의 모드 중 단말의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모드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상기 응답 신호 및 상기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 및 업링크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업링크 제어 채널의 리소스에 할당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것과,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리소스와, 상기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리소스와,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와 주파수 다중되는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3 리소스를 단말에 할당하는 것과, 상기 제 1 리소스 및 상기 제 2 리소스 중 하나와 상기 제 3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리소스 및 상기 제 2 리소스는 동일한 리소스 블록에 할당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