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502A - A coupling device of rung for cable tray - Google Patents
A coupling device of rung for cable tr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2502A KR20200012502A KR1020180087871A KR20180087871A KR20200012502A KR 20200012502 A KR20200012502 A KR 20200012502A KR 1020180087871 A KR1020180087871 A KR 1020180087871A KR 20180087871 A KR20180087871 A KR 20180087871A KR 20200012502 A KR20200012502 A KR 202000125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ng
- frame
- flange
- hole
- cable t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외에 배선되는 다량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트레이의 양측 프레임 사이를 렁으로 연결할 때 그 연결부위에 다수의 플랜지가 구비된 브라켓을 개입되게 한 후 각각의 플랜지를 압축 변형시켜 연결부위를 리벳팅 결합함으로써, 나사결합에 비해 내구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용접시 화재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양측 프레임에 구비된 측벽과 그 하부를 절곡하여 된 날개에 리벳 결합을 위한 각각의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렁의 상부면 양측 단부에 통공를 형성하고, 상기 렁의 내부에 다수의 플랜지를 구비한 다각형의 브라켓이 개입되게 하되 상부측 플랜지는 렁에 형성된 통공을, 측면 플랜지는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하부측 플랜지는 프레임의 날개에 형성된 통공을 각각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각 플랜지의 머리부위를 압축 변형시켜 리벳팅 결합하게 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a frame between the two frames of the tray that accommodates a large amount of cable wired indoors and outdoors with a rung through the bracke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anges in the connection portion, each flange is compressed and deformed to rivet the connection portion. It is related to the rung connection device of the cable tray, which improves durability and workability compared to screwing and prevents the risk of fire during welding, thereby ensuring safety.
That is, the through-holes for riveting are formed on the wings formed by bending the sidewalls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two-side frames constituting the cable tray, and forming through-holes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ung, and a plurality of insides of the rung. The bracket of the polygon is provided with the flange of the upper side flange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rung, the side flange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frame, the lower flang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lade of the frame, respectively The head of each flange protruding outward is deformed by compression de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내외에 배선되는 다량의 케이블이 수용되는 트레이의 양측 프레임 사이를 렁으로 연결할 때 그 연결부위에 다수의 플랜지가 구비된 브라켓을 개입되게 한 후 각각의 플랜지를 압축 변형시켜 연결부위를 리벳팅 결합함으로써, 나사결합에 비해 내구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용접시 화재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ng connection device of a cable tray,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rung is connected between both frames of a tray that accommodates a large amount of cables that are wired indoors and outdoors, a plurality of flanges ar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After the flanges are compressed and deformed, the joints are riveted to connect the joints, which improves durability and workability compared to screwing, and prevents the risk of fire during welding. It relates to the rung conne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대형 건물에 통신이나 전력공급을 위해 케이블을 배선할 대량의 케이블을 수용하면서 안전한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내구성 소재의 구조물로 제작하여 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에 고정설치하게 된 설비로서, 대량의 케이블이 인입 및 분배되는 시설에 널리 시공되고 있다.In general, the cable tray is made of durable material to secure a safe moving path while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cables to wire the cable for communication or power supply in a large building to be fixed to the wall, ceiling or floor As a facility, it is widely installed in a facility in which a large amount of cables are drawn in and distributed.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의 일 예로, 도 1a 및 1b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절곡된 한 쌍의 금속 프레임(1) 사이에 균일한 크기의 렁(2)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한 후 각 프레임(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하는 렁(2)의 양측 단면을 관통하게 나사못(3)을 체결한 사다리 형태의 구조물로 제작된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의 케이블 트레이는 양측 프레임과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렁의 연결부를 용접으로 접합한 제품도 등장한 바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cable tray, as shown in Figure 1a and 1b, between the pair of
그러나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프레임(1)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렁(2)이 하나 또는 2개의 나사못(3)으로 체결된 구조이므로, 상기 렁(2)에 안착되어 있는 케이블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과정에 나사못(3) 체결부위가 취약해지면서 프레임(1)으로부터 렁(2)이 강제로 이완 및 분리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부위를 용접으로 접합할 경우에는 장소의 제약과 더불어 화재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able tra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한편,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체결부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복수의 행거로 연결 지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면에 슬롯부를 형성하되 행거의 양단부에 절곡편을 형성하여 그 절곡편이 상기 슬롯부에 결합되게 한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가 등록특허 제10-0740900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roblem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able tray, to form a slot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frame in order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in a plurality of hangers, bending pieces at both ends of the hang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ble tray to form a bent piece is coupled to the slot portion has been proposed by the Patent No. 10-0740900.
즉, 한 쌍의 측면프레임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부에 행거의 양단부에 형성된 절곡편을 결합되게 함으로써 단순히 나사못으로 체결할 때에 비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었으나, 측면프레임에 슬롯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행거의 양단부에 절곡편을 형성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로웠음은 물론 슬롯부를 펀칭 성형하는 과정에 측면프레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by coupling the bent piec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ger to the slot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the coupling force could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simply fastening with screws, but the process of forming the slots in the side frames and both ends of the hangers The process of forming the bent piece on the very troublesome, as well as the problem of the durability of the side frame in the process of punching the slot por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부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플랜지가 구비된 브라켓을 별도로 성형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렁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통공에 개입되게 한 후 그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플랜지의 머리부위를 압축 변형시켜 리벳팅 결합함으로써, 나사결합에 비해 내구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용접시 화재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able tray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rung to form a cable tray by separately forming a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flanges By engaging in the through hole and compressing and deforming the head of the flange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riveting combination improves durability and workability compared to screwing and prevents the risk of fire during welding. It is to provide a rung connection device of the cable tray that can be secur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의 프레임과 그 사이에 적당한 간격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렁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에 구비된 측벽과 그 하부를 절곡하여 된 날개에 리벳 결합을 위한 각각의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렁의 상부면 양측 단부에 통공를 형성하고, 상기 렁의 내부에 다수의 플랜지를 구비한 다각형의 브라켓이 개입되게 하되 상부측 플랜지는 렁에 형성된 통공을, 측면 플랜지는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하부측 플랜지는 프레임의 날개에 형성된 통공을 각각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각 플랜지의 머리부위를 압축 변형시켜 리벳팅 결합하게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 tray composed of a plurality of rungs connected to a frame at both sides and a proper distance therebetween, wherein the side wall and each lower portion of each frame are bent and riveted to a wing formed by bending. Each through hole for the coupling is formed,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ung, and a polygonal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flanges inside the rung is interposed, but the upper flange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rung, the side Fl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frame, the lower flange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lade of the frame through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head portion of each flange protruding outwards, the riveting coupling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는 양측의 프레임에 렁을 연결할 때 그 연결지점에 각각 통공을 형성한 후 이에 상응하는 다수의 플랜지가 구비된 브라켓을 개입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각 플렌지의 머리부위를 리벳팅 결합하게 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이 보강력을 발휘하여 종래의 나사결합 구조에 비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a rung connecting device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rough the brackets having a plurality of flan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holes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s when connecting the rung to the frame on both sides By riveting the head portion of each flange, the bracket exhibits a reinforcing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crew coupling structure.
또한, 리벳팅 공정이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종래에 용접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riveting process is easy to improve workability and maintain a strong bonding force,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risk of fire that can occur in the conventional welding operation.
도 1a 및 1b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일 예에 대한 분리사시도와 그 결합상태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의 분리상태와 그 조립상태 및 리벳팅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시도,
도 3a 및 3b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부에 대한 리벳팅 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렁 연결장치가 적용된 다른 예의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1A and 1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able tray,
Figure 2a and 2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rung connection device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ssembled state and riveting combined state,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d after riveting the rung connection of the cable tray, respectively;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tray of another example to which the rung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ung connection device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의 분리상태와 그 조립상태 및 리벳팅 결합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부에 대한 리벳팅 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양측의 프레임(10)과 그 사이에 적당한 간격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렁(20)을 별도로 성형된 브라켓(30)을 매개로 리벳팅 방법으로 결합하게 된 것이다.Figure 2a and 2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rung connection device of the cab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ssembled state and riveting coupling state, Figures 3a and 3b is before the riveting the rung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 tray , A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ach state after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ivets the
상기 각 프레임(10)에 구비된 측벽(11)과 그 하부를 절곡하여 된 날개(12)에 리벳 결합을 위한 각각의 통공(13)(13')이 형성되고, 상기 렁(20)의 상부면 양측 단부에 날개(12)에 형성된 통공(13')에 상응하게 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
이때, 각 프레임(10)의 측벽(11)에 형성된 통공(13)과 날개(12)에 형성된 통공(13')은 서로 직각면을 경계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렁(20)에 형성된 통공(21)은 날개(12)에 형성된 통공(13')의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리벳팅 결합할 때 상호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rough-
상기 렁(20)의 내부에는 각 부위에 형성된 통공(13)(13')(21)을 관통하게 다수의 플랜지(31a)(31b)(31c)가 각 면에 구비된 다각형의 브라켓(30)이 개입되어 양측의 프레임(10) 사이를 렁(20)으로 연결할 때 그 연결부위에 개입된 브라켓(30)의 상부측 플랜지(31a)는 렁(20)에 형성된 통공(21)을, 측면 플랜지(31b)는 프레임의 측벽(11)에 형성된 통공(13), 하부측 플랜지(31c)는 프레임의 날개(12)에 형성된 통공(13')을 각각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각 플랜지(31a)(31b)(31c)의 머리부위를 압축 변형시켜 리벳팅 결합하게 된 것이다.A
즉, 도 3a와 같이, 프레임(10)의 측벽(11) 하부로 절곡된 날개(12)에 렁(20)을 안착되게 할 때 그 내부에 개입한 브라켓(30)의 각 플랜지(31a)(31b)(31c)를 인접된 각각의 통공(13)(13')(21)을 관통되게 한 후, 도 3b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전용공구를 사용하여 리벳 형태로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프레임과 렁을 일체로 고정되게 하였다.That is, as shown in FIG. 3A, when the
한편, 위에서는 양측의 프레임(10)이 평행한 상태에서 렁(20)을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4와 같이, 양측의 프레임(10)중 어느 한쪽이 분기되는 형태인 경우도 렁의 연결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above described the connection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프레임(10)에 렁(20)을 연결할 때 그 연결지점에 각각 통공(13)(13')(21)을 형성한 후 이에 상응하는 다수의 플랜지(31a)(31b)(31c)를 구비한 브라켓(30)을 개입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각 플렌지의 머리부위를 리벳팅 결합하게 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이 보강력을 발휘하여 종래의 나사결합 구조에 비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리벳팅 공정이 간편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용접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게 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10 : 프레임
11 : 측벽
12 : 날개
13, 13', 21 : 통공
020 : 렁
30 : 브라켓
31a, 31b, 31c : 플랜지10 frame 11: side wall
12: wing 13, 13 ', 21: through hole
020: rung 30: bracket
31a, 31b, 31c: flange
Claims (2)
상기 각 프레임(10)에 구비된 측벽(11)과 그 하부를 절곡하여 된 날개(12)에 리벳 결합을 위한 각각의 통공(13)(13')을 형성하되 상기 렁(20)의 상부면 양측 단부에 통공(21)를 형성하고, 상기 렁(20)의 내부에 다수의 플랜지(31a)(31b)(31c)를 구비한 다각형의 브라켓(30)이 개입되게 하되 상부측 플랜지(31a)는 렁(20)에 형성된 통공(21)을, 측면 플랜지(31b)는 프레임의 측벽(11)에 형성된 통공(13)을, 하부측 플랜지(31c)는 프레임의 날개(12)에 형성된 통공(13')을 각각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각 플랜지(31a)(31b)(31c)의 머리부위를 압축 변형시켜 리벳팅 결합하게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렁 연결장치.In the cable tray composed of a frame 10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rungs 20 connected at appropriate intervals therebetween,
The through-holes 13 and 13 ′ for riveting are formed on the side walls 11 and the wings 12 formed by bend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frames 10,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ungs 20.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polygonal bracket 30 having a plurality of flanges 31a, 31b, 31c is introduced into the rung 20, and the upper flange 31a is provided.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rung 20, the side flange 31b is a through hole 13 formed in the side wall 11 of the frame, the lower flange 31c i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lade 12 of the frame ( 13 '), the rung connecting device of the cabl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riveting coupling by deforming the head portion of each of the flanges (31a) (31b) (31c)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a state to pass throug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7871A KR20200012502A (en) | 2018-07-27 | 2018-07-27 | A coupling device of rung for cable tr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7871A KR20200012502A (en) | 2018-07-27 | 2018-07-27 | A coupling device of rung for cable tr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2502A true KR20200012502A (en) | 2020-02-05 |
Family
ID=6951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7871A Ceased KR20200012502A (en) | 2018-07-27 | 2018-07-27 | A coupling device of rung for cable tr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1250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47317S1 (en) * | 2019-09-04 | 2022-03-29 | Tianjin Bright Sight Commerce Co., Ltd. | Filter |
-
2018
- 2018-07-27 KR KR1020180087871A patent/KR2020001250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47317S1 (en) * | 2019-09-04 | 2022-03-29 | Tianjin Bright Sight Commerce Co., Ltd. | Fil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66830B2 (en) | Deck framing system | |
US11065667B2 (en) | Offset notch bridging connector | |
KR101954359B1 (en) | Cable tray | |
KR100740900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cable tray | |
KR100689873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cable tray | |
CA2880759C (en) | Bracing bridging member | |
KR20200012502A (en) | A coupling device of rung for cable tray | |
KR102042237B1 (en) | Cable tray | |
KR101864568B1 (en) | One-touch assembly type cable tray for electrical work | |
KR101908432B1 (en) | Cable tray | |
KR20100093163A (en) | Insert for fitting rung and cable tray for using the same | |
KR101803723B1 (en) | Cable tray | |
KR20170025729A (en) | Cable Tray | |
JPS58185892A (en) | Prefabricated type ladder | |
KR102043350B1 (en) | Cable tray ru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EP2182128A1 (en) | A suspendable ceiling island system | |
KR101767118B1 (en) | Rung for cable tray | |
KR101480480B1 (en) | Connector for Cable Tray Assembly | |
JP6265476B2 (en) | Connecting structure and fastener | |
KR20190096198A (en) | Rung joint structure of cable tray | |
KR101809190B1 (en) | Rugged and easy to assemble rung | |
GB2273824A (en) | Cable Ladder | |
US11674309B2 (en) | Connecting element for a non-bearing wall structure to allow a sliding compensation movement | |
JP6047291B2 (en) | Horizontal member joint structure | |
KR102678783B1 (en) | Mold Bar Joint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