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11705A - 선재코일 이송설비 - Google Patents

선재코일 이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705A
KR20200011705A KR1020180086488A KR20180086488A KR20200011705A KR 20200011705 A KR20200011705 A KR 20200011705A KR 1020180086488 A KR1020180086488 A KR 1020180086488A KR 20180086488 A KR20180086488 A KR 20180086488A KR 20200011705 A KR20200011705 A KR 2020001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change
transfer
roller table
rolls
wire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웅
황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1705A/ko
Publication of KR2020001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0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선재코일 이송설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는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을 갖춘 롤러테이블; 롤러테이블의 선재코일이 이송과정에서 폭방향으로 쏠리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선재코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이송감지부 이후의 롤러테이블에 마련되며,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변경롤; 및 이송감지부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위치변경롤의 동작을 제어해 선재코일이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선재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재코일 이송설비{WIRE-ROD COIL TRANSFER EQUIPMENT}
본 발명은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유도하여 선재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선재코일 이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선재를 제조하는 공정은 소재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1000~1200℃로 가열하는 공정, 가열된 소재를 압연기에서 압연하는 공정, 선형으로 압연된 선재를 레잉 헤드(laying head)를 이용하여 원형 코일형태로 만드는 코일화 공정, 선재코일을 롤러테이블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공기로 냉각시키는 냉각공정, 냉각 후 집적기(reforming tub)에서 집적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공정에서 롤러테이블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코일은 비동심 링 형태로 연이어 겹쳐지면서 이송되고,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롤 위에 올려진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 중 롤러테이블의 측방으로 쏠릴 수 있다. 이처럼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측방으로 솔리면 롤러테이블의 사이드월에 부딪혀 표면에 흠이 생길 수 있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고자 롤러테이블의 사이드월 쪽에 사이드롤을 설치하여 측방으로 쏠린 선재코일이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유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코일화 형태가 불량한 선재코일이 오히려 사이드롤에 걸리는 현상으로 인해 설비 고장이나 조업장애를 유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유도하여 선재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을 갖춘 롤러테이블; 상기 롤러테이블의 선재코일이 이송과정에서 폭방향으로 쏠리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선재코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감지부 이후의 상기 롤러테이블에 마련되며,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변경롤; 및 상기 이송감지부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변경롤의 동작을 제어해 선재코일이 상기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선재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위치변경롤은 상기 롤러테이블 좌측에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 및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테이블 우측에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과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좌측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이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우측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이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과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은 선재코일과 접하는 상부가 상기 다수의 이송롤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과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은 상기 롤러테이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감지부와 상기 위치변경롤은 선재코일의 이송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마다 반복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는 제어부가 이송감지부를 통해 선재코일의 이송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선재코일이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쪽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위치변경롤을 동작시켜 선재코일이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선재코일이 이송과정에서 롤러테이블의 사이드월 등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가 적용된 선재제조설비의 냉각라인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가 적용된 선재제조설비의 냉각라인을 나타낸다.
도 1를 참조하면, 선재제조설비는 압연공정에서 선형으로 압연된 선재를 원형의 코일형태로 만드는 레잉 헤드(10, laying head)와, 레잉 헤드(10)에서 배출되는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가운데 공기로 냉각시키는 냉각라인과, 냉각라인을 거친 선재코일(1)을 집적하는 집적기(20, reforming tub)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라인은 비동심 링 형태로 겹쳐진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30)과, 선재코일(1)의 냉각을 위해 롤러테이블(30) 하부로부터 냉각을 위한 공기(A)를 분사하는 송풍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재코일 이송설비는 냉각라인처럼 롤러테이블(30)을 이용해 선재코일(1)을 연속하여 이송하는 곳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선재코일 이송설비는 다수의 이송롤(31)을 갖춘 롤러테이블(30), 롤러테이블(30)에 올려진 선재코일(1)이 이송과정에서 롤러테이블(30)의 폭방향으로 쏠리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부(40), 이송되는 선재코일(1)을 롤러케이블(3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변경롤(60), 이송감지부(40)의 감지를 토대로 위치변경롤(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테이블(30)은 양측에 각각 사이드월(32)을 구비하고, 다수의 이송롤(31)은 양단이 양측 사이드월(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수의 이송롤(31)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모터, 체인-스프라켓장치 등 구동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테이블(30) 위에 놓이는 선재코일(1)은 다수의 이송롤(31) 동작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송감지부(40)는 롤러테이블(30) 상부에 설치된 지지구조물(50)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구조물(50)은 롤러테이블(30) 양측의 사이드월(31)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51)와, 양측 수직지지부(51)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감지부(40)는 수직지지부(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송감지부(40)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등 비접촉식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롤러테이블(30) 상부에서 롤러테이블(30)을 따라 이송되는 선재코일(1)이 폭방향으로 쏠리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이송감지부(4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롤러테이블(30) 위의 선재코일(1)이 롤러테이블(30)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롤러테이블(30) 위의 선재코일(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린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선재코일(1)을 롤러테이블(3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변경롤(60) 동작시킨다.
위치변경롤(6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코일(1)의 이송방향으로 기준으로 이송감지부(40) 이후의 롤러테이블(30)에 마련된다. 위치변경롤(60)은 롤러테이블(30) 좌측에 선재코일(1)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 측방에 위치하도록 롤러테이블(30) 우측에 선재코일(1)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을 포함한다.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과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은 선재코일(1)과 접하는 상부가 다수의 이송롤(31)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과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은 직경이 다수의 이송롤(31)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과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롤러테이블(30)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롤러테이블(30)의 중심부에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위치변경롤(61)과 우측 위치변경롤(62)은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호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과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은 상호 회전속도를 달리함으로써 그 위에 놓인 상태로 진행하는 선재코일(1)을 롤러테이블(30)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감지부(40)와 위치변경롤(60)은 선재코일(1)의 이송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마다 반복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롤러테이블(30)에는 선재코일(1) 이송방향으로 이송감지부(40), 위치변경롤(60), 다수의 이송롤(31)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롤러테이블(30)의 길이가 길어지면 이러한 배치가 반복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롤러테이블(30)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감지부(40)로부터 선재코일(1)의 이송정보를 전달 받아 해당 위치의 선재코일(1) 이송상태를 각각 판단할 수 있고, 선재코일(1)이 롤러테이블(30)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각 위치변경롤(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이송되는 선재코일(1)이 좌측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이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좌측으로 쏠린 선재코일(1)이 롤러테이블(30)의 중심부 쪽으로(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선재코일(1)은 이후의 진행에서 롤러테이블(30)의 중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70)는 이송되는 선재코일(1)이 우측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62)이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61)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해 역시 이후의 진행에서 선재코일(1)이 롤러테이블(30)의 중심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선재코일 이송설비는 제어부(70)가 이송감지부(40)를 통해 선재코일(1)의 이송위치를 판단하고, 선재코일(1)이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한쪽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위치변경롤(60)을 동작시켜 선재코일(1)이 롤러테이블(30)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선재코일(1)이 이송과정에서 롤러테이블(30)의 사이드월(32) 등에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선재코일, 10: 레잉 헤드,
20: 집적기, 30: 롤러테이블,
31: 이송롤, 32: 사이드월,
40: 이송감지부, 50: 지지구조물,
60: 위치변경롤, 61: 좌측 위치변경롤,
62: 우측 위치변경롤, 70: 제어부.

Claims (6)

  1. 선재코일을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을 갖춘 롤러테이블;
    상기 롤러테이블의 선재코일이 이송과정에서 폭방향으로 쏠리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부;
    선재코일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감지부 이후의 상기 롤러테이블에 마련되며,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변경롤; 및
    상기 이송감지부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변경롤의 동작을 제어해 선재코일이 상기 롤러테이블의 중심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선재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롤은,
    상기 롤러테이블 좌측에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 및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러테이블 우측에 선재코일의 진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과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좌측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이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이송되는 선재코일이 우측으로 쏠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이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과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은 선재코일과 접하는 상부가 상기 다수의 이송롤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좌측 위치변경롤과 상기 복수의 우측 위치변경롤은 상기 롤러테이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감지부와 상기 위치변경롤은 선재코일의 이송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마다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선재코일 이송설비.

KR1020180086488A 2018-07-25 2018-07-25 선재코일 이송설비 Ceased KR20200011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88A KR20200011705A (ko) 2018-07-25 2018-07-25 선재코일 이송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88A KR20200011705A (ko) 2018-07-25 2018-07-25 선재코일 이송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05A true KR20200011705A (ko) 2020-02-04

Family

ID=6957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488A Ceased KR20200011705A (ko) 2018-07-25 2018-07-25 선재코일 이송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17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3335A (zh) * 2021-09-13 2021-12-10 哈尔滨理工大学 汽轮发电机定子绕组分侧分组换位及分侧分组端部连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3335A (zh) * 2021-09-13 2021-12-10 哈尔滨理工大学 汽轮发电机定子绕组分侧分组换位及分侧分组端部连接方法
CN113783335B (zh) * 2021-09-13 2022-07-29 哈尔滨理工大学 汽轮发电机定子绕组分侧分组换位及分侧分组端部连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287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5975232B2 (ja) 鋼管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KR101921909B1 (ko)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JP4913822B2 (ja) 熱間圧延装置
KR20200011705A (ko) 선재코일 이송설비
KR20140056581A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센터링장치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JP5681253B1 (ja) 管材の熱処理装置
CN106500511B (zh) 推进式加热炉送料机构
KR101522165B1 (ko)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KR101736616B1 (ko) 코일 이송 장치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90366B1 (ko) 열연강판 표면 냉각수 제거 장치
KR101746486B1 (ko) 단조용 볼트 소재의 가열 공급 장치
KR20090071135A (ko) 선재코일 집적 조정장치
KR100910485B1 (ko) 컨베이어 설비의 발열 이송물 안내장치
KR102027903B1 (ko) 코일 운반용 장치
KR100913044B1 (ko) 선재 코일 이송용 가이드 장치
KR102448746B1 (ko) 선재코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1330541B1 (ko) 스트립 이송장치
KR100928582B1 (ko) 선재코일 이송장치
KR101277994B1 (ko) 열처리 설비
KR101353855B1 (ko) 선재코일 균일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