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07352A -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352A
KR20200007352A KR1020180081373A KR20180081373A KR20200007352A KR 20200007352 A KR20200007352 A KR 20200007352A KR 1020180081373 A KR1020180081373 A KR 1020180081373A KR 20180081373 A KR20180081373 A KR 20180081373A KR 20200007352 A KR20200007352 A KR 20200007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lare
rail
basket
m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053B1 (ko
Inventor
요하네스
박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053B1/ko
Priority to CN201980046869.0A priority patent/CN112423641B/zh
Priority to EP19834582.9A priority patent/EP3813628B1/en
Priority to US16/502,597 priority patent/US11166619B2/en
Priority to PCT/KR2019/008119 priority patent/WO2020013512A1/en
Publication of KR2020000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29C2045/0034Mould parting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6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2Wheels, pinions, pulleys, castors or rollers, Rims
    • B29L2031/322Wheels, pinions, pulleys, castors or rollers, Rims made wholly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구름면 상에 버(burr)가 형성되지 않아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한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케이스와, 식기를 수납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 및 상기 바스켓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롤러로서,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름부와, 상기 구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어부 및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어부를 포함하는 바스켓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직경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ROLLER, METHOD OF MAUUFACTURING THE SAME AND A DISH 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전면에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식기를 수납하고 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바스켓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바스켓의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는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결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형 롤러는 2개의 부품을 축 방향으로 결합하여 마련될 수 있고, 일체형 롤러는 사출 성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형 롤러는 일체형 롤러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체형 롤러는 사출 성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버(burr)가 구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버(burr)가 롤러의 구름면 상에 형성되면, 롤러가 회전할 때 버(burr)로 인해 롤러의 상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롤러의 부드러운 회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바스켓의 부드러운 인입 또는 인출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름면 상에 버(burr)가 형성되지 않아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한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비대칭 구조를 가짐으로써 롤러의 조립 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한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케이스와, 식기를 수납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 및 상기 바스켓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롤러로서,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름부와, 상기 구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어부 및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어부를 포함하는 바스켓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직경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롤러는 버(burr)를 포함하고, 상기 버(burr)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어부는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플레어부는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와 상기 제1플레어부 및 상기 제2플레어부는 하나의 바디로써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burr)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일 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어부와 상기 제2플레어부는 각각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곡률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곡률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롤러는, 상기 바스켓 롤러의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제1플레어부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 사이에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된 제1홈과, 상기 제2플레어부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 사이에 상기 제1방향으로 함몰된 제2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롤러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제1플레어부를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어부의 두께는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거나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롤러는 사출 성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2플레어부의 내면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롤러는 상기 레일이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의 상면과 상기 레일의 하면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제1단과 상기 레일의 제2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스켓 롤러 및 상기 레일 롤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롤러가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까지 1차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레일 롤러가 상기 제2스토퍼와 접촉할 때까지 2차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름부와, 상기 구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제1플레어부와,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제2플레어부 및 상기 제1플레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버(bur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어부의 직경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버(burr)가 상기 레일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버(burr)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상면 또는 하면은, 상기 구름부와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어부와 상기 제2플레어부는 각각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곡률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곡률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롤러의 제조 방법은,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함께 상기 롤러의 일단에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형성하는 제2금형과, 코어를 폐쇄하고,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코어 사이에 형성된 사출 공간으로 용융재료를 사출하고, 버(burr)가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상기 제1금형을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코어를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사출물인 롤러를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강제로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구름면 상에 버(burr)가 형성되지 않아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한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비대칭 구조를 가짐으로써 롤러의 조립 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한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바스켓과 레일 및 롤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바스켓과 레일 및 롤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롤러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롤러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바스켓이 인출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가 폐쇄되고, 용융재료가 사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제1금형이 제2금형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코어가 제2금형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사출물인 롤러를 강제 취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롤러는 바스켓 롤러를 가리킬 수 있다. 바스켓 롤러란, 레일의 외부에 배치되고 레일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와, 식기를 수납하고 케이스(10)로부터 인출되거나 케이스(10)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30)과, 바스켓(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40) 및 바스켓(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는 바스켓 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도어(20)를 폐쇄하고,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바스켓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미도시)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스켓(30)을 케이스(10) 내부로부터 인출하거나 케이스(10) 내부로 인입할 때, 바스켓(30) 부드럽게 이동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레일(40)에 안착된 바스켓 롤러(100)가 부드럽게 회전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롤러의 구름면 상에 버(burr)가 위치하여 롤러의 부드러운 회전이 방해되었다. 버(burr)는 사출 성형 시,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따라 반드시 형성되는 일종의 돌출부이다. 버(burr)가 롤러의 구름면 상에 위치하면, 롤러가 회전할 때 버(burr)로 인해 롤러의 상하 유동이 발생하고, 이는 롤러의 부드러운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으로 롤러를 제조하면, 버(burr)가 반드시 발생하므로, 버(burr)를 롤러의 구름면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식기세척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과 롤러를 이용하는 다양한 가전제품 또는 가구 등에도 본 발명의 롤러는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세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바스켓과 레일 및 롤러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30)에는 브라켓(60)이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60)에는 바스켓 롤러(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레일(40)의 외부에서 레일(40)의 외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가 회전함으로써, 바스켓(30)은 레일(4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40)의 내측에는 레일 롤러(70)가 레일(4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40)은 바스켓 롤러(100) 및 레일 롤러(7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레일(40)의 양 끝단에 마련되는 스토퍼(51 내지 54)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롤러(70)는 롤러 고정부(8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 롤러(70)는 케이스(10)의 내벽에 고정되므로, 레일 롤러(70)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레일 롤러(70)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레일 롤러(70)가 회전함으로써 레일(4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바스켓과 레일 및 롤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0)에는 복수의 바스켓 롤러(100)가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상부 롤러(100a, 100c)와 하부 롤러(10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60)에는 2개의 상부 롤러(100a, 100c)와, 1개의 하부 롤러(100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01)가 바스켓 롤러(100a 내지 100c)의 삽입공(140a, 도4 내지 도 6 참고)를 관통하고 브라켓(60)에 결합됨으로써, 바스켓 롤러(100a 내지 100c)가 브라켓(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의 개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별도의 브라켓이 마련되지 않고, 바스켓 롤러는 직접 바스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롤러(100a, 100c)와 하부 롤러(100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롤러(100a, 100c)는 레일(4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 롤러(100a, 100c)는 레일(40)의 상면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롤러(100b)는 레일(40)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 롤러(100b)는 레일(40)의 하면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40)은 상부 롤러(100a, 100c)와 하부 롤러(1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40)이 상부 롤러(100a, 100c)와 하부 롤러(100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레일(40)과 바스켓(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롤러(100a, 100c)는 바스켓(30)이 레일(40)로부터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롤러(100b)는 바스켓(30)이 레일(4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바스켓 롤러(100)가 상부 롤러(100a, 100c)와 하부 롤러(100b)를 포함함으로써, 바스켓(30)이 레일(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롤러(100a, 100c)는 레일(40)의 상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고, 하부 롤러(100b)는 레일(40)의 하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부 롤러(100a, 100c)와 하부 롤러(100b)가 각각 레일(40)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므로 바스켓(30)의 상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30)은 레일(40)에 대해 안정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60)은 연결 브라켓(61)을 통해 바스켓(30)과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61)이 바스켓(30)과 결합되고, 브라켓(60)은 연결 브라켓(61)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 브라켓(61)은 브라켓(60)이 바스켓(30)과 결합할 때,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60)은 직접 바스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롤러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 롤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스켓 롤러(100)는, 상기 롤러의 일 지점(110)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제1플레어부(120)와, 상기 일 지점(110)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제2플레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향은 제1방향과 반대인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일 지점(110)은 바스켓 롤러(100)의 직경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일 지점(110)은 레일(40)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는 구름부를 가리킬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일 지점을 구름부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구름부(110)는 제1플레어부(120)와 제2플레어부(130)의 경계점일 수 있다.
제1플레어부(120)는 바스켓 롤러(100)가 레일(40)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플레어부(120)의 직경은 구름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어부(120)의 직경은 구름부(110)에서 최소(110d)가 되고, 바스켓 롤러(100)의 제1단에서 최대(120d)가 될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는 바스켓 롤러(100)가 레일(40)로부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의 직경은 구름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플레어부(130)의 직경은 구름부(110)에서 최소(110d)가 되고, 바스켓 롤러(100)의 제2단에서 최대(130d)가 될 수 있다.
제1플레어부의 직경(120d)은 제2플레어부의 직경(130d)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1플레어부의 직경(120d)은 제1플레어부의 최대 외경을 가리킬 수 있고, 제2플레어부의 직경(130d)은 제2플레어부의 최대 외경을 가리킬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스켓 롤러(100)는 구름면 상에 버(burr)가 형성되지 않아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플레어부(120)를 달리 표현하면, 제1벽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플레어부(130)는 제2벽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제1벽은 제2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1플레어부(120) 및 제2플레어부(130)는 곡률(curvature)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곡률이 크다”는 “많이 휘어졌다”는 의미이다.
제1플레어부의 곡률(120c)은 제2플레어부의 곡률(130c)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구름부(11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축 방향(R)으로 멀어지면, 제1플레어부(120)의 직경은 제2플레어부(13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제1플레어부(12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제1플레어부(120)와 샤프트 결합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50)는 샤프트 결합부(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어부(120)와 샤프트 결합부(140) 사이에는 제1홈(recess, 144)이 마련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의 특성상 사출물의 두께가 두꺼우면, 사출물의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제1홈(144)은 제1플레어부(12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홈(144)은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스켓 롤러(100)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홈(144)은, 바스켓 롤러(100)를 제조할 때, 금형이 바스켓 롤러(100)의 축 방향(R)으로 용이하게 후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1홈(144)이 마련되면, 제1홈(144)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1플레어부(120)의 두께가 얇아진다. 제1플레어부(120)의 두께가 얇아지면, 제1플레어부(12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어부(1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1홈(144)에 복수의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8개의 리브가 마련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리브의 개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샤프트 결합부(140)와 제2플레어부(130) 사이에 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2홈(recess, 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43)은 축 방향으로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반경 방향으로의 폭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홈(143)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플레어부(130)의 내면은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의 내면이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바스켓 롤러(100)를 제조할 때 코어를 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후퇴시킬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의 내면이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제2플레어부(130)의 두께는 축 방향을 따라 점차 변하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의 두께는 구름부(110)로부터 축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지거나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플레어부(130)의 두께는 구름부(110)에서 최대(131d)이고, 축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작아져 제2플레어부(130)의 타단에서 최소(132d)가 될 수 있다. 제2플레어부의 최대 두께(131d)와 최소 두께(132d)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플레어부(130)는 축 방향을 따라 유사한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의 두께는 제2플레어부(130)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얇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플레어부(130)의 두께는 3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플레어부(130)의 두께가 두꺼우면 제2플레어부(130)의 탄성이 떨어지고, 바스켓 롤러(100)를 제조할 때, 강제 빼기 공법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강제 빼기 공법은 사출물의 탄성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금형에서 강제로 추출하는 공법이다. 사출물의 탄성이 부족하면 사출물이 파손되기 때문에 강제 빼기 공법을 사용할 수 없다.
바스켓 롤러(100)는 버(burr, 101)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의 특성상 바스켓 롤러(100)는 버(101)를 반드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버(101)는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101)는 제1플레어부(120)의 직경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버(101)는 제1플레어부(120)의 제1단에 형성될 수 있다. 버(101)는 제1플레어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는 레일(40)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은 구름부(110)와, 제1플레어부(120)의 일부와 제2플레어부(13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은 구름부(110)로부터 양 측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명시적인 경계점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플레어부(120)의 직경이 최대가 되는 지점은 레일(4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어부(120)의 직경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버(101)가 형성되면, 버(101)는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버(101)가 구름면 상에서 벗어난 곳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버(101)는 일종의 돌출부이므로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 상에 위치하면, 바스켓 롤러(100)의 부드러운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버(101)가 바스켓 롤러(100)의 구름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바스켓 롤러(100)가 레일(40) 상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롤러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스켓 롤러(100)는 바스켓(30)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또는 편중이 발생하는 경우, 바스켓 롤러(100)의 실제(real) 회전축(R1)과 이상(ideal) 회전축(R)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회전축(R1)과 이상 회전축(R)은 상황에 따라 α만큼 어긋날 수 있다. α는 임의의 각도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스켓 롤러(100)는 실제 회전축(R1)과 이상 회전축(R)이 어긋나더라도 종래의 바스켓 롤러에 비해 바스켓 롤러(100)와 레일(40)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이 작아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바스켓 롤러는 같은 높이의 플레어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바스켓 롤러는 실제 회전축(R1)과 이상 회전축(R)이 α만큼 어긋나면, a와 b, 두 부분에서 레일과 접촉하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종래의 바스켓 롤러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어부 각각에서 레일과 간섭이 발생한다. 즉, a와 b 모두에서 바스켓 롤러와 레일의 간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바스켓의 인입 또는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바스켓 롤러는 레일과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을 위해 큰 힘을 필요로 하거나 회전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도 7의 A와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스켓 롤러(100)는 제1플레어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플레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바스켓 롤러(100)와 레일(4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거나 작게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를 참조하면, 바스켓 롤러(100)는 제2플레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바스켓 롤러(100)와 레일(40) 사이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바스켓 롤러(100)의 제1플레어부가 레일(40)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제2플레어부가 제1플레어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 A에서도 바스켓 롤러(100)와 레일(40)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스켓 롤러(100)는 제1플레어부(120)보다 직경이 작은 제2플레어부(130)를 포함함으로써 레일(40)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레일(40)은, 레일(40)의 상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절곡부(41)와, 레일(40)의 하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 절곡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곡부(41)와 하부 절곡부(42) 사이에는 개구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레일(40)은 C자형 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절곡부(41)와 하부 절곡부(42)는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절곡부(41)의 곡률(41c)과 하부 절곡부(42)의 곡률(42c)은 각각 제1플레어부(120)의 곡률(120c)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일(40)이 C자형 레일로 마련됨으로써, 바스켓 롤러(100)는 레일(40)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레일 롤러(70)는 레일(40)의 내측에 배치되어 레일(4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C자형 레일은 내면과 외면 모두에서 롤러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바와 같이, 바스켓(30)의 인출 거리를 레일(40)의 길이 대비 늘릴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롤러(100)의 이상 회전축(R)과 실제 회전축(R2)은 바스켓(30)의 과도한 하중이나 편중으로 인해 β만큼 어긋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상부 절곡부(41)의 곡률이 제1플레어부(120)의 곡률보다 크기 때문에, 이상 회전축(R)과 실제 회전축(R2)이 어긋나더라도 바스켓 롤러(100)와 상부 절곡부(41) 사이에 과도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제2플레어부(130)의 최대 직경이 제1플레어부(120)의 최대 직경 보다 작게 마련되기 때문에, 이상 회전축(R)과 실제 회전축(R2)이 어긋나더라도, 제2플레어부(130)와 레일(40) 사이에 과도한 마찰 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c와 d를 참조하면, 종래의 바스켓 롤러는 제2플레어부와 제1플레어부의 직경이 동일하게 마련된다. 또한, 종래의 바스켓 롤러는 제1플레어부와 제2플레어부의 곡률이 동일하게 마련된다. 종래의 바스켓 롤러는 도 8의 c와 d에서 플레어부와 레일 사이에 과도한 간섭이 생겨 바스켓 롤러의 회전을 방해한다. 이 경우, 플레어부가 간섭으로 인해 파손될 수도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바스켓 롤러(100)는 제2플레어부(130)를 포함하여, 이상 회전축(R)과 실제 회전축(R2)이 어긋나더라도 제2플레어부(130)와 레일(40) 사이에 과도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바스켓이 인출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레일 롤러(70)와 바스켓 롤러(100)와 레일(40) 및 스토퍼(51 내지 54)를 이용하여 바스켓(30)이 인출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레일(4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스토퍼(51 내지 54)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는 제1바스켓 스토퍼(51)와 제2바스켓 스토퍼(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제1레일 스토퍼(53)와 제2레일 스토퍼(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스켓 스토퍼(51)와 제2바스켓 스토퍼(52)는 바스켓 롤러(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레일 스토퍼(53)와 제2레일 스토퍼(54)는 레일(4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바스켓(30)이 인입되었을 때, 제1상부 롤러(100a)는 제2바스켓 스토퍼(52)에 의해 레일(4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제1레일 롤러(71)는 제1레일 스토퍼(53)와 접촉하고, 레일(40)은 케이스(1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스켓(30)을 인출할 때, 1차적으로 바스켓 롤러(100)가 레일(4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스켓 롤러(100)와 함께 브라켓(60) 및 바스켓(30)이 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레일(40)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바스켓이 인출됨에 따라 제1상부 롤러(100a)는 제2바스켓 스토퍼(52)로부터 멀어지고, 제2상부 롤러(100c)는 제1바스켓 스토퍼(51)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상부 롤러(100c)는 제1바스켓 스토퍼(51)에 의해 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바스켓(30)을 계속해서 인출하면, 레일 롤러(70)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레일(40)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40)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바스켓(30)이 2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바스켓(30)이 인출됨에 따라 제1레일 롤러(71)는 제1레일 스토퍼(53)로부터 멀어지고, 제2레일 롤러(72)는 제2레일 스토퍼(54)와 접촉할 수 있다. 제2레일 롤러(72)가 제2레일 스토퍼(54)와 접촉하면, 바스켓(30)은 더 이상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가 폐쇄되고, 용융재료가 사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제1금형이 제2금형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코어가 제2금형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과 제2금형 및 코어의 단면도로서, 사출물인 롤러를 강제 취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롤러(100)는 사출 성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의 특성상 롤러(100)에는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따라 버(burr)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롤러(100)는 파팅 라인이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100)의 파팅 라인 위치를 조정하여 롤러(100)의 구름면 상에 버(burr)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롤러(100)는 강제빼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강제빼기란, 사출물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할 때에 사출물의 탄성을 이용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 및 코어(230)를 폐쇄한 후, 내부 공간에 용융재료를 사출할 수 있다. (S100)
상기 내부 공간은 롤러(100)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은 롤러(100)의 끝단부에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형성할 수 있다. 버(burr)는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따라 형성되므로, 버(burr)가 롤러(100)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압 공정과 냉각 공정을 거친 후, 제1금형(210)을 열 수 있다. 이 때, 제1금형(210)은 롤러(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제2금형(2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S200)
파팅 라인(parting line)은 금형을 이형시키는 방향과 직교하는 면(plane)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파팅 라인(parting line)은 제1플레어부(120)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금형(210)이 제2금형(220)으로부터 이격된 후, 코어(230)를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코어(230)를 후퇴시킬 수 있다. (S300)
최종적으로, 사출물인 롤러(100)를 강제 취출할 수 있다. 강제 취출하는 이유는, 롤러(100)를 제2방향으로 취출할 때, 제2금형(220)과 제2플레어부(130, 도 6 참조)가 간섭되기 때문이다. 롤러(100)가 탄성이 없는 경우, 강제 취출하는 과정에서 제2플레어부(13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더라도 제2플레어부(130)의 직경이 너무 크거나, 제2홈(recess, 143)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마찬가지로 파손될 수 있다. 강제 취출 시 제2플레어부(1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2플레어부의 높이(h, 도 6 참조)는 2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식기세척기 10 : 케이스
20 : 도어 30 : 바스켓
40 : 레일 50 : 스토퍼
60 : 브라켓 70 : 레일 롤러
100 : 바스켓 롤러 101 : 버(burr)
110 : 중심부 120 : 제1플레어부
130 : 제2플레어부 140 : 샤프트 결합부

Claims (20)

  1. 케이스;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 및
    상기 바스켓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롤러로서,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름부와, 상기 구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플레어부 및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어부를 포함하는 바스켓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직경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롤러는 버(burr)를 포함하고,
    상기 버(burr)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어부는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플레어부는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와 상기 제1플레어부 및 상기 제2플레어부는 하나의 바디로써 일체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burr)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일 단에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어부와 상기 제2플레어부는 각각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곡률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곡률보다 크게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롤러는,
    상기 바스켓 롤러의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제1플레어부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 사이에 상기 제2방향으로 함몰된 제1홈과,
    상기 제2플레어부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 사이에 상기 제1방향으로 함몰된 제2홈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롤러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샤프트 결합부와 상기 제1플레어부를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어부의 두께는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거나 일정한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롤러는 사출 성형으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2플레어부의 내면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롤러는 상기 레일이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의 상면과 상기 레일의 하면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제1단과 상기 레일의 제2단에 각각 마련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스켓 롤러 및 상기 레일 롤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롤러가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까지 1차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레일 롤러가 상기 제2스토퍼와 접촉할 때까지 2차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5.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름부;
    상기 구름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제1플레어부;
    상기 구름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는 제2플레어부; 및
    상기 제1플레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버(burr); 를 포함하는 롤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어부의 직경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롤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버(burr)가 상기 레일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버(burr)는 상기 제1플레어부의 끝단에 마련되는 롤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면 또는 하면은, 상기 구름부와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마련되는 롤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어부와 상기 제2플레어부는 각각 곡률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어부의 곡률은 상기 제2플레어부의 곡률보다 크게 마련되는 롤러.
  20.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과 함께 상기 롤러의 일단에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형성하는 제2금형과, 코어를 폐쇄하고,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코어 사이에 형성된 사출 공간으로 용융재료를 사출하고,
    버(burr)가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상기 제1금형을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코어를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사출물인 롤러를 상기 제2금형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강제로 취출하는 롤러의 제조 방법.
KR1020180081373A 2018-07-13 2018-07-13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Active KR10263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73A KR102632053B1 (ko) 2018-07-13 2018-07-13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201980046869.0A CN112423641B (zh) 2018-07-13 2019-07-03 滚轮、制造该滚轮的方法以及具有该滚轮的洗碗机
EP19834582.9A EP3813628B1 (en) 2018-07-13 2019-07-03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US16/502,597 US11166619B2 (en) 2018-07-13 2019-07-03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PCT/KR2019/008119 WO2020013512A1 (en) 2018-07-13 2019-07-03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73A KR102632053B1 (ko) 2018-07-13 2018-07-13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352A true KR20200007352A (ko) 2020-01-22
KR102632053B1 KR102632053B1 (ko) 2024-02-02

Family

ID=6913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73A Active KR102632053B1 (ko) 2018-07-13 2018-07-13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6619B2 (ko)
EP (1) EP3813628B1 (ko)
KR (1) KR102632053B1 (ko)
CN (1) CN112423641B (ko)
WO (1) WO20200135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42A1 (ko) * 2020-05-19 2021-11-25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2823A1 (zh) * 2018-12-24 2020-07-0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滑动结构、碗篮及洗碗机
US12227330B2 (en) 2021-02-01 2025-02-18 Electrolux Professional, Inc. Molded collection basket
USD1038714S1 (en) * 2021-02-01 2024-08-13 Electrolux Professional, Inc. Collection baske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217A (en) * 1972-07-17 1974-01-15 Cons Foods Corp Roll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982802A (en) * 1975-11-03 1976-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shwasher rack having retention means
US5165142A (en) * 1990-10-04 1992-11-24 Inventio Ag Runner guide for a sliding elevator door
EP0679499A1 (de) * 1994-04-18 1995-11-02 F. & G. Hachtel GmbH & Co. Verfahren, spritzgegossene Laufrolle und Spritzgiessform zur Herstellung einer Laufrolle, insbessondere für Schubauszüge von Geschirrspülmaschinen
EP2904940A1 (de) * 2014-02-06 2015-08-12 Grass GmbH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Auszugs und Möbel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6217940A1 (de) * 2016-09-20 2018-03-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2743A (en) * 1970-08-17 1972-06-27 W L Molding Co Roller and retainer for a wire basket
US3736037A (en) * 1971-06-01 1973-05-29 Gen Electric Rack level adjustment apparatus in an appliance cabinet
US3726581A (en) * 1971-06-01 1973-04-10 Gen Electric Rack level adjustment apparatus in an appliance cabinet
US3829191A (en) * 1972-12-29 1974-08-13 Gen Electric Means for sealing a component supporting assembly in a washing appliance tub
US3851943A (en) * 1972-12-29 1974-12-03 Gen Electric Rack support assembly in a dishwasher
DE3927214C2 (de) * 1989-08-17 1995-09-07 Miele & Cie Frontseitig beschickbare Geschirrspülmaschine mit Geschirrkörben
JP2596687B2 (ja) 1993-01-08 1997-04-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軽合金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5474378A (en) * 1993-12-03 1995-12-12 Whirlpool Corporation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a dishrack
DE19843277B4 (de) * 1998-09-22 2007-06-14 Friedrich Hachtel Laufrolle aus Kunst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00352071B1 (ko) * 2000-08-28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장고용 미끄럼장치
DE10120577A1 (de) * 2001-04-26 2002-10-3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Höhenposition eines aus dem Spülbehälter einer Geschirrspülmaschine ausziehbaren Geschirrkorbs
DE10163875A1 (de) * 2001-12-22 2003-07-10 Aeg Hausgeraete Gmbh Rollenführung für insbesondere schubladenartig herausfahrbare Behältnisse von Haushaltsgeräten
KR100457587B1 (ko) *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100739563B1 (ko) * 2003-08-20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rack) 높이 조절장치
EP1602317B1 (de) * 2004-05-17 2007-08-22 Friedrich Hachtel Rastbuchse mit Ausknüpfschutz
KR101154959B1 (ko) * 2005-03-17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KR100798776B1 (ko) * 2006-07-12 200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바구니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JP4985001B2 (ja) * 2007-03-19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装置
US9131014B2 (en) 2012-08-20 2015-09-08 Cisco Technology, Inc. Hitless pruning protocol upgrade on single supervisor network devices
CN204091913U (zh) * 2014-09-28 2015-01-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碗篮滚轮及碗篮、洗碗机
CN204504146U (zh) * 2015-03-16 2015-07-29 江苏南山冶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辊颈组合钢模
US9579010B2 (en) * 2015-06-11 2017-02-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CN105266739B (zh) * 2015-11-30 2018-06-1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喷臂装置
CN205514453U (zh) * 2015-11-30 2016-08-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喷臂装置
US10010239B2 (en) * 2016-08-04 2018-07-03 Whirlpool Corporatio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CN106424398B (zh) * 2016-11-23 2018-07-17 中国人民解放军63926部队 一种大口径钢管喇叭口制作设备及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217A (en) * 1972-07-17 1974-01-15 Cons Foods Corp Roll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982802A (en) * 1975-11-03 1976-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shwasher rack having retention means
US5165142A (en) * 1990-10-04 1992-11-24 Inventio Ag Runner guide for a sliding elevator door
EP0679499A1 (de) * 1994-04-18 1995-11-02 F. & G. Hachtel GmbH & Co. Verfahren, spritzgegossene Laufrolle und Spritzgiessform zur Herstellung einer Laufrolle, insbessondere für Schubauszüge von Geschirrspülmaschinen
EP2904940A1 (de) * 2014-02-06 2015-08-12 Grass GmbH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Auszugs und Möbel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6217940A1 (de) * 2016-09-20 2018-03-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642A1 (ko) * 2020-05-19 2021-11-25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CN115666353A (zh) * 2020-05-19 2023-01-31 世客思株式会社 洗碗机用轨道装置
US12185896B2 (en) 2020-05-19 2025-01-07 Segos Co., Ltd. Rail device for dishwasher
CN115666353B (zh) * 2020-05-19 2025-05-23 世客思株式会社 洗碗机用轨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5654A1 (en) 2020-01-16
EP3813628B1 (en) 2024-08-28
EP3813628C0 (en) 2024-08-28
EP3813628A1 (en) 2021-05-05
KR102632053B1 (ko) 2024-02-02
WO2020013512A1 (en) 2020-01-16
US11166619B2 (en) 2021-11-09
EP3813628A4 (en) 2021-05-05
CN112423641A (zh) 2021-02-26
CN112423641B (zh) 202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7352A (ko) 롤러와 그 제조방법 및 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EP2671494B1 (en) Dish washing machine
KR20170139805A (ko) 식기 세척기
AU2018200106B2 (en) Drawer rail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20170139801A (ko) 식기 세척기
KR101362316B1 (ko)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KR100793412B1 (ko) 회전 다각 코어 유니트
US11930986B2 (en) Dishwasher
US20200154976A1 (en) Roller device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20230027235A1 (en) Dishwasher
KR20040091478A (ko) 냉장고의 바스켓커버 자동닫힘 구조
KR102762467B1 (ko)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102753378B1 (ko)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20059738A (ko) 식기 세척기
KR100906819B1 (ko) 시간차 캠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장치
KR100302986B1 (ko) 사출성형용 금형
CN102091769B (zh) 洗衣机的轴承座
KR101839211B1 (ko) 나선방향 작동 경사코어를 가지는 사출금형
KR102804245B1 (ko) 나사빼기 금형용 코어유닛
KR102743500B1 (ko) 연결부재의 조립구조가 개선된 코어유니트
CN222796008U (zh) 洗涤剂盒组件及衣物处理设备
KR101343094B1 (ko) 냉장고용 바스켓어셈블리
KR101295256B1 (ko) 냉장고용 바스켓의 장착구조
US7014457B2 (en) Mould assembly provided with centering means
KR20100103248A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