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04143A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143A
KR20200004143A KR1020180077222A KR20180077222A KR20200004143A KR 20200004143 A KR20200004143 A KR 20200004143A KR 1020180077222 A KR1020180077222 A KR 1020180077222A KR 20180077222 A KR20180077222 A KR 20180077222A KR 20200004143 A KR20200004143 A KR 2020000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waveguide
signal transmission
antenna unit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469B1 (ko
Inventor
오세원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469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47 priority patent/WO2020009283A1/ko
Priority to US17/255,864 priority patent/US11502421B2/en
Publication of KR2020000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4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4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horn or slot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2Waveguide ho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0Wire waveguides, i.e. with a single solid longitudinal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신호 전송 경로를 갖는 제 1 도파관; 제 1 도파관과 연결는 제 2 도파관; 및 제 2 도파관과 연결되고 제 1 개구를 갖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제 2 도파관은 신호 전송 경로를 분리하는 제 1 분리부를 포함하고, 안테나부는 제 1 안테나부와 제 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개시에서는 전자기파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에 관해 개시된다.
종래의 어레이 패치 안테나는 패치 형태의 어레이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향성을 갖는다. 즉, 모든 방향이 아니라, 특정 방향에 대해서만 높은 퍼포먼스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하지 못하는 방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레이 패치 안테나는 기판의 유전율 및 기판 편차에 따른 성능 변화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전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손실이 높은 FR4와 같은 기판보다는 테프론 기판이나 로저스 기판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테프론 기판이나 로저스 기판 등을 이용하는 경우, 고가의 재료비 및 가공비로 인하여 제품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회사 및 연구원들이 새로운 기판이나 새로운 형태의 어레이 방식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여러 방향에 대해서 높은 퍼포먼스를 갖는 안테나에 대한 산업적 니즈가 존재한다.
본 개시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방향으로의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가 개시된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안테나는 제 1 신호 전송 경로를 갖는 제 1 도파관; 상기 제 1 도파관과 연결되고 제 2 신호 전송 경로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를 갖는 제 2 도파관; 및 상기 제 2 도파관과 연결되고 제 1 개구를 갖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1 신호 전송 경로를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 및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1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제 1 안테나부와 제 2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부의 상기 제 1 개구는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안테나부의 상기 제 1 개구는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와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는 상기 제 1 신호 전송 경로와 수직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를 2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2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를 2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3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인접한 제 3 안테나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와 인접한 제 4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파관의 상기 제 2 분리부는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상기 제 3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파관의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제 2 안테나부와 상기 제 4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상기 제 2 안테나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안테나부와 상기 제 4 안테나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는 상기 제 1 개구보다 큰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부의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제 2 안테나부의 상기 제 2 개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른 안테나는 제 1 도파관; 상기 제 1 도파관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도파관; 상기 제 2 도파관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안테나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안테나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3 안테나부,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4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1 도파관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분리부,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제 3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분리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와 제 4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측면에 따른 안테나는 신호 전송 경로; 상기 신호 전송 경로를 복수 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복수 개의 신호 전송 경로와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넓은 영역에 대해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관해 개시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n, n'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l, l'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안테나의 m, m' 면을 나타낸 단면도를 제 1 도파관의 길이와 관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파 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파 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의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파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파관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파 신호의 전달에 이용되는 젠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x, y, z 방향에 따라 개시될 수 있으며, z 방향이 상(위)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은 회로의 일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100)는 기판 또는 기판에 포함된 일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은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Rogers, Teflon, organic 계열의 FR4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격 측면을 고려할 때, 저렴한 organic 계열의 FR4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고주파 대역에서 우수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LTCC가 이용될 수 있다.
기판은 일정한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기판의 두께는 안테나가 적용되는 대상에 따라, 또는 곡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기판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은 x방향, 위쪽 방향은 y방향, 수직 방향은 z방향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신호(예: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는 경우에 대해서 주로 개시하였으나, 안테나(100)는 신호의 방사 뿐 아니라 신호의 수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100)는 신호를 방사하는 반대 순서로 신호의 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본 개시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제 1 도파관(130)과 안테나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안테나부(360)는 제 1 도파관(13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부(360)는 복수개의 방향을 지향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방향에 대해서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부(360)는 제 1 안테나부, 제 2 안테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안테나(100)가 4개의 방향을 지향하는 실시 예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안테나(100)는 개구의 개수에 따라 3개 방향, 5개 방향, 6개 방향, 8개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복수개의 방향을 지향함으로써 360도 전부를 커버할 수 있다. 안테나(100)는 제 1 도파관(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파 신호를 360도의 전체 방향에 대해 출력할 수도 있고, 360도의 전체 방향에 대해서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 1 안테나부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100)는 안테나부(360) 및 제 1 도파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은 안테나부(3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과 안테나부(360)의 구체적인 연결관계 및 내부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n, n'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안테나부(360)는 복수개의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부(360)는 제 1 안테나부(361) 및 제 2 안테나부(3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제 3 안테나부(363) 및 제 4 안테나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부(360)는 제 1 안테나부(361), 제 2 안테나부(362), 제 3 안테나부(363) 및 제 4 안테나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부(361)는 제 1 개구(311), 제 2 안테나부(362)는 제 1 개구(312), 제 3 안테나부(363)는 제 1 개구(313), 제 4 안테나부(364)는 제 1 개구(314)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1 안테나부(361)는 제 1 개구(311), 제 2 안테나부(362)는 제 1 개구(312), 제 3 안테나부(363)는 제 1 개구(313), 제 4 안테나부(364)는 제 1 개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360)는 제 2 도파관(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도파관(320)은 제 1 도파관(1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부(360)는 제 2 도파관(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은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를 포함하고, 제 2 도파관(320)은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360)는 제 1 개구(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개구(311, 312, 313, 314)는 안테나부(360) 내부의 개구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개구(311, 312, 313, 314)는 제 2 도파관(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부(361)의 제 1 개구(311)는 제 1 안테나부(361)의 제 2 개구(351)와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부(362)의 제 1 개구(312)는 제 2 안테나부(362)의 제 2 개구(352)와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1 개구(313)는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2 개구(353)와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4 안테나부(364)의 제 1 개구(314)는 제 4 안테나부(364)의 제 2 개구(354)와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은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은 제 1 도파관(130)과 연결되고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360)는 제 2 도파관(320)과 연결되고 제 1 개구(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은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를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로 분리하는 제 1 분리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부(361)의 제 2 개구(351)는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와 연결되고, 제 2 안테나부(362)의 제 2 개구(352)는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와 연결되고,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2 개구(353)는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와 연결되고, 제 4 안테나부(364)의 제 2 개구(354)는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와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는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와 수직방향일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은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를 2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2 분리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은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2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3 분리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360)는 제 1 안테나부(361)와 인접한 제 3 안테나부(363) 및 제 2 안테나부(362)와 인접한 제 4 안테나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의 제 2 분리부(342)는 제 1 안테나부(361)와 제 3 안테나부(363)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도파관(320)의 제 3 분리부(343)는 제 2 안테나부(362)와 제 4 안테나부(3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부(361)와 제 2 안테나부(36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3 안테나부(363)와 제 4 안테나부(36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부(361) 및 제 2 안테나부(362)는 제 1 개구(311, 312)보다 큰 제 2 개구(351, 352)를 포함하고, 제 1 안테나부(361)의 제 2 개구(351)와 제 2 안테나부(362)의 제 2 개구(35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3 안테나부(363) 및 제 4 안테나부(364)는 제 1 개구(313, 314)보다 큰 제 2 개구(353, 354)를 포함하고,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2 개구(353)와 제 4 안테나부(364)의 제 2 개구(35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제 1 도파관(130), 제 1 도파관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도파관(320), 제 2 도파관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안테나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360)는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안테나부(361),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안테나부(362), 제 1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3 안테나부(363), 제 2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4 안테나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00)는 제 2 도파관(320)은 제 1 도파관(130)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분리부(341), 제 1 안테나부(361)와 제 3 안테나부(363)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분리부(342) 및 제 2 안테나부(362)와 제 4 안테나부(364)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분리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l, l'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3 안테나부(363) 및 제 4 안테나부(364)는 제 1 개구(313, 314) 및 제 2 개구(353, 354)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3 안테나부(363) 및 제 4 안테나부(364)는 제 1 개구(313, 314) 및 제 2 개구(353, 35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360)는 제 2 도파관(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도파관(320)은 제 1 도파관(1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은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를 포함하고, 제 2 도파관(320)은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360)는 제 1 개구(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개구(313, 314)는 안테나부(360) 내부의 개구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개구(313, 314)는 제 2 도파관(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1 개구(313)는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2 개구(353)와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안테나부(362)의 제 1 개구(312)는 제 2 안테나부(362)의 제 2 개구(352)와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은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은 제 1 도파관(130)과 연결되고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360)는 제 2 도파관(320)과 연결되고 제 1 개구(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파관(320)은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를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로 분리하는 제 1 분리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안테나부(363)의 제 2 개구(353)는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와 연결되고, 제 4 안테나부(364)의 제 2 개구(354)는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신호 전송 경로(332)와 제 3 신호 전송 경로(333)는 제 1 신호 전송 경로(331)와 수직방향일 수 있다.
도 5는 안테나(100)의 m, m' 면을 나타낸 단면도를 제 1 도파관(130)의 길이와 관련하여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도파관(130)은 사각형 기둥의 형상이고, 제 1 도파관(130)의 길이(L)는 전자기파 신호의 파장보다 길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의 길이(L)는 이용하고자 하는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 또는 파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도파관(130)의 길이(L)를 전자기파 신호의 파장보다 길게 함으로써, 전자기파 신호의 전달 및/또는 분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1 분리부(341)는 제 1 도파관(130)에서 안테나부(360)로 전달되는 전자기파 신호를 복수의 측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도파관(130)를 통해 안테나부(360)로 전달되는 전자기파 신호는 제 1 분리부(341)를 기준으로 우측과 좌측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분리부(341)를 통해 제 1 도파관(130)에서 안테나부(360)로 전달되는 전자기파 신호가 절반씩 우측 및 좌측으로 분할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정확히 50%씩 분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제 실시 상황에 따라 분배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분리부(341)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분리부(341)의 길이(420)는 안테나부(360) 내부의 제 2 도파관(320)의 두께(410)의 절반(b/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분리부(341)의 끝부분은 구형의 일부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분리부(341)의 끝부분은 반구형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분리부(341)는 원기둥 형상과 반구형 형상이 결합한 형상일 수 있다. 제 1 분리부(341)의 끝부분이 구형인 경우, 그 곡률은 반지름(43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지름(430)은 약 0.5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도파관(130)를 통해 전달된 전자기파 신호가 제 1 분리부(341)를 통해 반으로 나뉘고, 반으로 나뉜 전자기파 신호는 다시 제 2 분리부(342) 또는 제 3 분리부(343)를 통해 반으로 나뉘어 안테나(1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부(360)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는 제 1 도파관(130)으로 인가되고, 제 1 도파관(130)은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제 1 도파관(130)과 연결된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100) 4개의 방향을 지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안테나(100) 4개의 방향을 지향하는 경우, 안테나(100)의 평면도는 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제로 안테나(100)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안테나부(360)의 모서리 부분이 이상적인 사각형의 꼭지점 형상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안테나부(360)의 평면도의 형상은 완전한 사각형의 형상은 아닐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어있는 제 1 도파관(130)을 통해, 제 1 분리부(341)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도파관(130)을 통해 전달된 전자기파 신호는 제 1 분리부(341)를 통해 반으로 나뉘어 복수개의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100)의 평면 형상과 저면 형상은 대칭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파 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100)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도파관(130)으로 인가된 전자기파 신호가 일종의 T 정션(junction) 형상을 통해 복수의 측면으로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파 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100)의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도파관(130)으로 인가된 전자기파 신호가 안테나부(360)로 전송되어, 제 1 안테나부 내지 제 4 안테나부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파관(13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파관(130)은 사각형 기둥의 형상이고, 제 1 도파관(130)의 단면의 가로 길이(a) 및 세로 길이(b)는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제 1 도파관(130)의 단면의 가로 길이(a) 및 세로 길이(b)가 결정되는 구체적인 예가 도 12에서 개시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파관(130)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도파관(130)의 크기는 이용하는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하는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에따라 제 1 도파관(130)의 단면의 가로 길이(a) 및 세로 길이(b)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 길이(a) 및 세로 길이(b)를 각각 8.64mm, 4.32mm로 결정하여 제 1 도파관(130)가 5G 전대역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 제 1 도파관(130)의 소재의 두께나 측정 오차 등에 따라 합리적인 범위에서 그 값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도파관(130)의 단면의 가로 길이(a)는 약 8mm 내지 9mm이고, 제 1 도파관(130)의 단면의 세로 길이(b)는 약 4mm 내지 5mm일 수 있다.
다만, 도 12의 구체적인 수치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그 수치로 권리범위가 제한해석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도파관(130)은 마이크로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1GHz 이상)의 전기 에너지나 신호(예: 전자기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기파 신호의 전달에 이용되는 젠더(13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젠더(1300)는 제 1 도파관(130)과 회로와의 연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부(1310)는 케이블과 연결되고, 제 2 연결부(1320)는 제 1 도파관(130)과 연결될 수 있다. 젠더(1300)를 통해 제 1 도파관(130)과 케이블간에 전자기파 신호가 전달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통해 회로로 전자기파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회로에서 발생된 전자기파 신호가 케이블 및 젠더(1300)를 통해서 제 1 도파관(1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테나
130: 제 1 도파관 320: 제 2 도파관
311, 312, 313, 314 : 제 1 개구 351, 352, 353, 354: 제 2 개구
331: 제 1 신호 전송 경로 332: 제 2 신호 전송 경로
333: 제 3 신호 전송 경로 341: 제 1 분리부
342: 제 2 분리부 343: 제 3 분리부
360: 안테나부
361: 제 1 안테나부 362: 제 2 안테나부
363: 제 3 안테나부 364: 제 4 안테나부
1300: 젠더
1310: 제 1 연결부 1320: 제 2 연결부

Claims (10)

  1. 제 1 신호 전송 경로를 갖는 제 1 도파관;
    상기 제 1 도파관과 연결되고 제 2 신호 전송 경로 및 제 3 신호 전송 경로를 갖는 제 2 도파관; 및
    상기 제 2 도파관과 연결되고 제 1 개구를 갖는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1 신호 전송 경로를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 및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1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제 1 안테나부와 제 2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부의 상기 제 1 개구는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안테나부의 상기 제 1 개구는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와 연결되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와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는 상기 제 1 신호 전송 경로와 수직방향인 안테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2 신호 전송 경로를 2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2 분리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3 신호 전송 경로를 2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제 3 분리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인접한 제 3 안테나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와 인접한 제 4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파관의 상기 제 2 분리부는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상기 제 3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파관의 상기 제 3 분리부는 상기 제 2 안테나부와 상기 제 4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는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상기 제 2 안테나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안테나부와 상기 제 4 안테나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테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는 상기 제 1 개구보다 큰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부의 상기 제 2 개구와 상기 제 2 안테나부의 상기 제 2 개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테나.
  9. 제 1 도파관;
    상기 제 1 도파관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도파관;
    상기 제 2 도파관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는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안테나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안테나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3 안테나부,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4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파관은 상기 제 1 도파관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분리부, 상기 제 1 안테나부와 제 3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분리부 및 상기 제 2 안테나부와 제 4 안테나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분리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10. 신호 전송 경로;
    상기 신호 전송 경로를 복수 개의 신호 전송 경로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복수 개의 신호 전송 경로와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안테나.
KR1020180077222A 2018-07-03 2018-07-03 안테나 Active KR10248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22A KR102483469B1 (ko) 2018-07-03 2018-07-03 안테나
PCT/KR2018/013747 WO2020009283A1 (ko) 2018-07-03 2018-11-13 안테나
US17/255,864 US11502421B2 (en) 2018-07-03 2018-11-13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22A KR102483469B1 (ko) 2018-07-03 2018-07-03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143A true KR20200004143A (ko) 2020-01-13
KR102483469B1 KR102483469B1 (ko) 2023-01-02

Family

ID=6906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222A Active KR102483469B1 (ko) 2018-07-03 2018-07-03 안테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2421B2 (ko)
KR (1) KR102483469B1 (ko)
WO (1) WO20200092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036A (ja) * 1996-04-15 199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切換機構付アンテナ
US20170271740A1 (en) * 2016-03-16 2017-09-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ltra-Wideband Radial Waveguide to Coaxial Combiner/Divi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2864B1 (fr) * 1985-06-04 1987-07-31 Labo Electronique Physique Modules unitaires d'antenne hyperfrequences et antenne hyperfrequences comprenant de tels modules
GB2238914B (en) * 1989-11-27 1994-05-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aveguide feeding array antenna
US7091921B2 (en) * 2002-02-21 2006-08-15 Matsh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veling-wave combining array antenna apparatus
US20090303147A1 (en) * 2008-06-09 2009-12-10 Intel Corporation Sectorized, millimeter-wave antenna arrays with optimizable beam coverage for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N102882014A (zh) * 2012-08-14 2013-01-16 陕西黄河集团有限公司 一种Ku波段全向天线
DE102017102284A1 (de) * 2016-02-08 2017-08-10 Nidec Elesys Corporation Wellenleitervorrichtung und Antennenvorrichtung mit der Wellenleitervorrichtung
GR1009318B (el) * 2017-04-07 2018-06-22 Ιωαννης Κωνσταντινου Κομινης Κβαντικη βιομετρικη ταυτοποιηση υπερυψηλης ασφαλειας βασισμενη στην κβαντικη στατιστικη ανιχνευσης φωτονιων απο τον αμφιβληστροειδη χιτωνα του ματιο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4036A (ja) * 1996-04-15 199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切換機構付アンテナ
US20170271740A1 (en) * 2016-03-16 2017-09-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Ultra-Wideband Radial Waveguide to Coaxial Combiner/Div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283A1 (ko) 2020-01-09
US20210376487A1 (en) 2021-12-02
KR102483469B1 (ko) 2023-01-02
US11502421B2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6184B2 (en) Broadband antenna array
US4758843A (en) Printed, low sidelobe, monopulse array antenna
CN110649388B (zh) 低损耗馈电网络和高效率天线设备
RU2295809C2 (ru) Печатная антенна с питанием от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поля печатной платы
EP1597793B1 (en) Wideband 2-d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with compact cts feed and mems phase shifters
US4649391A (en) Monopulse cavity-backed multipole antenna system
US4912436A (en) Four port dual polarization frequency diplexer
JP4856078B2 (ja) 反射アンテナ
US20200091599A1 (en) Antenna device
US10003117B2 (en) Two-port triplate-line/waveguide converter having two probes with tip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CN106067602B (zh) 双极化滤波天线阵列
US8773318B2 (en) System of multi-beam antennas
US20240162616A1 (en) Antenna and communication system
US3422437A (en) Reciprocal omni-directional rapid scan antenna system
Cao et al. Multi‐beam SIW leaky‐wave antenna with 2‐D beam scanning capability for millimeter‐wave radar applications
US20100321251A1 (en) Antenna elements, arrays and base stations including mast-mounted antenna arrays
US11916298B2 (en) Patch antenna
US5548299A (en) Collinearly polarized nested cup dipole feed
CN111585050B (zh) 一种宽频带平板阵列天线
KR20200004143A (ko) 안테나
US20220359993A1 (en) Antenna device which is suita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a 5g network standard, rf transceiver containing an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a 5g network standard
KR100686606B1 (ko) 원편파 수신용 도파관 슬롯 배열 안테나
CN103974405A (zh) 功率分配器及射频收发系统
EP2463958B1 (en) Compact system of multi-beam antennas
US10680307B2 (en) Waveguide to strip line transducer including a waveguide wall forming substrate having an end surface bonded to a second conductor, and a power feed circuit form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