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71U - Bookshelf - Google Patents
Bookshel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171U KR20200001171U KR2020180005470U KR20180005470U KR20200001171U KR 20200001171 U KR20200001171 U KR 20200001171U KR 2020180005470 U KR2020180005470 U KR 2020180005470U KR 20180005470 U KR20180005470 U KR 20180005470U KR 20200001171 U KR20200001171 U KR 2020000117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partition plate
- insertion groove
- supports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반장은 복수 개의 지지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선반 및 제2 선반, 그리고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사이에 위치하고 각 선반의 연장 연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f, wherein the shelf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nd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respectively. It includes a partition plate movably positioned along the extended extension of each shelf.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반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구획판(partition)을 구비한 조립식 선반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helf with a movable partition.
선반을 구비하고 있는 선반장은 책이나 액자 등을 진열하거나 수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선반 위에 원하는 물건을 위치시켜 놓는다.A shelf with a shelf serves to display or store books or picture frames, and the user places desired objects on the shelf.
일반적으로 선반의 전체 높이(단의 개수)는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선반 위에 놓여 지는 책의 경우 고정된 선반 칸막이에 기대거나 별도의 칸막이 악세사리(예, 북엔드)를 활용해 세워 위치시키는 것도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overall height of the shelf (the number of stages) is fixed. In the case of books placed on a shelf, it is also common to lean against a fixed shelf divider or use a separate divider accessory (eg, bookend) to place it upright.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선반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by facilitating the use of a shelf.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선반장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hel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반장은 복수 개의 지지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선반 및 제2 선반, 그리고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사이에 위치하고 각 선반의 연장 연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The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urality of supports,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each And a partition plate movably positioned along the extended extension of the shelf.
상기 각 선반은 상면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구획판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부 삽입홈 및 하면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구획판의 상단이 삽입되는 하부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shelf may include an upper insert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being inserted, and a lower insert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being inserted. .
상기 각 선반은 하단과 상단에 각 위치하여 대응하는 상부 삽입홈과 하부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shelves may include inser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respectively, to be inserted into corresponding upper insertion grooves and lower insertion grooves.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각각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may have a bar shape.
상기 각 선반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shelf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respectively inserted.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해당 선반 칸에 위치하는 구획판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X축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조립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선반 칸의 공간의 분할과 선반장의 단 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arbitrarily and eas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helf compartment in the X-axis direction, the user divides the space of the shelf compartment and the number of shelves. Since it can be assembled as desired, the user's satisfaction is improved.
또한, 해당 선반 칸에 위치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 동일 선반 칸에 존재하는 구획판의 이격 간격을 조정하여 존재하는 물품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가로 물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별도의 지지대가 불필요한다.In addition, the spacing of the partition plates present in the same shelf compartment may be adjusted to stably fix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artic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article located in the shelf compartment. For this reason, a separate suppor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rticle is unnecessary.
이에 더하여, 구획판을 가림판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선반장은 수납 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사용되어 선반장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plate can be used as a blanking plate, the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storage function but also as an interior accessory,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helf.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반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선반장의 선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반장에서 선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에서 선반과 구획판의 결합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of a shelf of the shelf shown in FIG. 1.
4 is a bottom view of the shelf in the shelf shown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a shelf and a partition plate in a shelf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m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persons or practices related to the field.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for referring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comprising' embodies certain properties, regions, integers, steps, ac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properties, regions, integers, steps, ac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선반장(1)은 복수 개의 지지대(10), 복수 개의 지지대(10)의 높이 방향(즉, Z 방향)을 따라 지지대(11)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선반(20),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판(30)을 구비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5, the
복수 개의 지지대(1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높이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어, 높이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선반(20)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 plurality of
따라서, 하나의 선반 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지지대(10)와 네 개의 지지대(10) 각각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하부 선반(예, 제1 선반)(20) 그리고 네 개의 지지대(10) 각각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선반(예, 제2 선반)(20)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one shelf compartment, each of the lower supports (eg, the first shelf) 20 and the four
본 예에서, 하나의 선반 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지지대(10)가 필요하고, 조립하고자 하는 선반 칸의 개수에 따라 사용되는 지지대(10)의 총 개수가 정해진다.In this example, four
이때, 하나의 선반 칸을 위한 지지대(10)의 개수는 네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또한, 본 예의 경우, 각 지지대(10)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각 선반(20)의 가장자리부와 연결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지지대(10)가 판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하나의 선반 칸을 구성하는 지지대(10)의 개수는 한 예로서 2개일 수 있고, 이 경우, 각 지지대(10)는 선반장(1)의 양 측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example, each
이러한 각 지지대(10)의 길이는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의 간격인 선반 칸의 높이에 따라 정해진다.The length of each of these
복수 개의 선반(20)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양 측부(즉, 단변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해당 지지대(10)와 결합된다.The plurality of
이를 위해, 각 선반(20)은 원하는 물품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선반장(10)의 높이 방향으로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에 형성된 해당 공간인 선반 칸에 책이나 액자 등과 같은 원하는 물품이 존재한다.To this end, each
본 예에서, 선반(20)과 해당 지지대(10)는 나사 결합이나 홈 삽입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선반(20)과 지지대(10)가 서로 나사 결합될 경우, 선반(20)과 지지대(10) 중 하나[예, 지지대(10)]에 나사(11)가 체결되어 있고, 선반(20)과 지지대(10) 중 나머지 하나[예, 선반(20)]는 나사(11)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나사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이처럼, 해당 지지대(10)와의 결합을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선반(20)은 각 지지대(10)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21) 및 구획판(30)이 삽입되는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for coupling with the
삽입홈(2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지지대(10)의 하단부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으로서, 해당 선반(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홈이다.The
따라서, 각 선반(20)의 한 면에 위치하는 삽입홈(21)의 개수는 하나의 선반 칸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대(10)의 개수와 동일하며, 삽입홈(21)의 형성 위치는 해당 지지대(10)의 배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Therefore, the number of
본 예의 경우, 각 선반(20)의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1)의 개수는 지지대(10)의 개수와 동일하게 4개이며, 이중 2개는 선반(20)의 해당 면의 일측 측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단축 방향[즉, Y축 방향(Y)]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나머지 2개는 타측 측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number of
이러한 삽입홈(21)의 단면 형상은 그 속으로 삽입되는 해당 지지대(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며, 한 예로서 원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상부 삽입홈(221)와 하부 삽입홈(222)은 각 선반(20)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상부 삽입홈(221)은 선반(2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해당 선반(21)의 연장 방향인 장축 방향[즉, X축 방향(X)]을 따라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고, 하부 삽입홈(222)은 해당 선반(21)의 하면 가운데 부분에 해당 선반(21)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The
이미 기술한 것처럼,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은 해당 선반(21)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응되게 해당 면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하며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the
이때,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은 해당 선반(20)의 양 측단까지 연장되거나 양 측단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각 선반(20)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이 위치하므로, 선반장(1)의 높이 방향[즉, Z축 방향(Z)]으로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선반(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은 서로 대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따라서, 높이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두 선반(20) 중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선반(예, 제1 선반)(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삽입홈(221)과 위쪽에 위치하는 선반(예, 제2 선반)(20)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 삽입홈(22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이 삽입되어, 해당 선반 칸에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이 위치하게 된다.Therefore, the
이로 인해, 선반장(1)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에 있는 두 선반(20) 사이의 간격은 구획판(30)의 Z 방향으로의 길이[이하, 이 구획판(30)의 Z 방향으로의 길이를 '구획판(30)의 기립 길이'라 함]에 따라 정해진다.Due to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구획판(3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선반(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획판(30)의 하단은 인접한 두 선반(20)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선반(20)의 상부 삽입홈(221) 속에 삽입되고, 해당 구획판(30)의 상단은 인접한 두 선반(20)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2 선반(20)의 하부 삽입홈(222) 속에 삽입된다.The
이때, 각 구획판(30)의 상단과 하단에는 해당 삽입홈(221, 222)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이미 기술한 것처럼,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은 해당 선반(20)의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각 해당 삽입홈(221, 222) 사이에 위치하는 각 구획판(30)은 자신에 삽입되어 있는 해당 삽입홈(221, 222) 속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해당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은 해당 구획판(30)의 가이드 홈 역할을 하게 된다. As already described, since the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의 해당 삽입홈(221, 222) 사이에 삽입되어,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공간(즉, 동일한 선반 칸) 내에 위치하는 구획판(30)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이다. The number of
이때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의 동일한 선반 칸 내에 위치하는 구획판(30)이 복수 개일 때, 각 구획판(30)의 기립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하지만, 각 두 선반(20) 사이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두 선반 칸 내에 위치하는 구획판(30)의 기립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또한, 각 구획판(30)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가운데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멍이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이와 같이, 본 예의 선반장(1)은 인접한 두 선반(20) 사이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30)이 위치하므로, 해당 구획판(30)의 위치를 사용자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두 선반(20) 사이의 공간 분할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실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또한, 동일한 층에 두 개 이상의 구획판(30)이 존재할 경우, X축 방향으로 인접한 두 구획판(30)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두 구획판(30) 사이에 존재하는 책 등과 같은 물품의 양에 적합하게 구획판(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책 등과 같이 스스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X축 방향으로 인접한 두 구획판(30) 사이에 원하는 책 등을 위치시키므로, 별도의 지지대의 존재가 불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two or
이에 더하여, 구획판(30)이 각 선반의 X축 방향으로 위치하므로, 구획판(30)이 존재하는 부분에서의 선반장(1)의 후면은 존재하는 구획판(3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선반 칸에서의 구획판(30) 위치를 사용자 임의로 조정하여 원하는 부분을 가려주는 가림판으로 구획판(3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반장(1)은 수납 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기능도 발휘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to this, since the
또한, 각 구획판(30)의 하단과 상단이 인접한 두 선반(20)의 각 상부 삽입홈(221)과 하부 삽입홈(222) 사이에 삽입될 때,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하단과 상단 각각 삽입되어 있는 해당 삽입홈(221, 222)과 해당 하단 및 상단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선반 칸에 위치하는 해당 구획판(30)을 해당 유격만큼 위쪽 방향으로 들어올려 용이하게 해당 선반 칸에서 원하는 구획판을 분리할 수 있거나, 반대로 선반장(1)의 분해 없이 원하는 선반 칸에 구획판(3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each
본 예와 달리, 선반장(10)의 맨 하부에 위치하는 선반(20)의 하면에는 하면 삽입홈(222)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선반장(10)의 맨 상부에 위치하는 선반(20)의 상면 역시 상면 삽입홈(221)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Unlike this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이상, 본 고안의 선반장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선반장
10: 지지대
20: 선반
21: 삽입홈
221: 상부 삽입홈
222: 하부 삽입홈
30: 구획판1: Shelf 10: Support
20: shelf 21: insertion groove
221: upper insertion groove 222: lower insertion groove
30: partition plate
Claims (5)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선반 및 제2 선반, 그리고
상기 제1 선반과 상기 제2 선반 사이에 위치하고 각 선반의 연장 연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구획판
을 포함하는 선반장. Multiple supports,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A partition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and movably positioned along an extended extension of each shelf
Shelf comprising a.
상기 각 선반은 상면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구획판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부 삽입홈 및 하면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구획판의 상단이 삽입되는 하부 삽입홈을 포함하는 선반장.In claim 1,
Each shelf extend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includes an upp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is inserted and a lower insert groove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and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is inserted. .
상기 각 선반은 하단과 상단에 각 위치하여 대응하는 상부 삽입홈과 하부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선반장. In claim 2,
Each shelf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top of the shelf cabinet including an insertion protrusion that i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upper insertion groove and lower insertion groove.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는 각각 바 형태를 갖고 있는 선반장.In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is a shelf having a bar shape.
상기 각 선반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선반장.
In claim 4,
Shelves includ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uppor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shel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470U KR20200001171U (en) | 2018-11-28 | 2018-11-28 | Bookshel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470U KR20200001171U (en) | 2018-11-28 | 2018-11-28 | Bookshel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171U true KR20200001171U (en) | 2020-06-05 |
Family
ID=7107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5470U Ceased KR20200001171U (en) | 2018-11-28 | 2018-11-28 | Bookshel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1171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363Y1 (en) | 2013-07-01 | 2013-10-15 | 이현우 | Bookcase with removable shelf |
-
2018
- 2018-11-28 KR KR2020180005470U patent/KR20200001171U/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363Y1 (en) | 2013-07-01 | 2013-10-15 | 이현우 | Bookcase with removable shel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57148A (en) | Slidably staggerable tiered document tray | |
US4223966A (en) | Glass display case | |
US4419938A (en) | Plug-assembled sectional display rack | |
US6073794A (en) | Organizer | |
US4596195A (en) | Shelf cabinet | |
US20040004420A1 (en) | Asymmetric expandable silverware tray | |
US3695190A (en) | Knockdown sectional shelving | |
US20140270932A1 (en) | Modular Furniture Part | |
US4881708A (en) | Shelf for displaying articles | |
US3300057A (en) | Shelf organizer | |
KR101316014B1 (en) | Self assembly storage goods for drawer | |
KR20200001171U (en) | Bookshelf | |
KR101385118B1 (en) | Supporting structure assemble of bookstand | |
KR102187533B1 (en) | Honeycomb chest of drawers | |
KR101375749B1 (en) | Detachable hanger for modular sectional partition | |
KR200315595Y1 (en) | bookcase | |
KR20110000759U (en) | Divider for furniture | |
KR20150083451A (en) | Removable dividers bookshelf | |
JP6018371B2 (en) | Storage rack using board material | |
KR200211627Y1 (en) | A partition and book-end equipment for two side bookshelf | |
KR102172503B1 (en) | Bookshelf with varialble sliding door | |
KR200310209Y1 (en) | A goods shelf | |
KR200279882Y1 (en) | A length changable book stand | |
KR101548258B1 (en) | Book shelf with a slope shelf | |
KR870001064Y1 (en) | Goods display ra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12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41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1012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