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64U - Handy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Handy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0264U KR20200000264U KR2020190000381U KR20190000381U KR20200000264U KR 20200000264 U KR20200000264 U KR 20200000264U KR 2020190000381 U KR2020190000381 U KR 2020190000381U KR 20190000381 U KR20190000381 U KR 20190000381U KR 20200000264 U KR20200000264 U KR 2020000026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cleaner
- air
- mounting
- air discharg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도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 필터망, 공기흡입기, 먼지흡입관, 공기배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 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1단에는 공기흡입구가 개설되며, 상기 먼지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구가 연통되고, 상기 필터망이 상기 수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물질을 모으는데 사용되는 집진 실린더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흡입기는 수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망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에는 공기배출구가 개설되며, 상기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구가 연통되고; 공기배출관이 공기배출구에 끼워져 연결되어, 원래 청소기 후단부에서 자유롭게 배출되는 공기를 모음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하게 되며, 이로써 공기배출과 흡입이 일체화되고 두 기능이 어울리며, 사용이 편리하고 청소 효과가 양호하여 시장 전망이 매우 밝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leaning to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ype of handy vacuum cleaner. The handy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acuum cleaner main body, a filter net, an air suction unit, a dust suction pipe, and an air discharge tube, and an accommodating chamber is install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an air su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first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Is opened, the dust suction pipe and the air suction port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filter network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air suction hole to form a dust collecting cylinder used to collect foreign matters; The air suction unit is installed in a receiving chamber, is located at a rear side of the filter network, and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second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the air discharge pipe communicates with the air discharge port; The ai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is connected, and by collecting the air freely discharged from the rear end of the original cleaner,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function to discharge the air in a certain direction, thereby air discharge and suction This integrated, two function, easy to use and good cleaning effect, the market prospect is very bright.
Description
본 고안은 청소도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leaning to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ype of handy vacuum cleaner.
자동차 안의 틈새나 전자제품 내부와 같이 비교적 좁은 모서리를 청소할 때, 보통은 비교적 사용이 편리한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한다. 작동 원리는 전기모터가 고속으로 작동하면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공기흡입기 임펠러가 고속으로 청소기의 후단부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고, 공기흡입기 전단부에 위치한 먼지흡입구의 공기가 끊임없이 공기흡입기 안에 보충되어 진공청소기 내부에 순간적인 진공이 형성되며, 이때 외부와의 압력 차가 상당히 커지고, 먼지흡입구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이 핸디형 진공청소기 안으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집진 실린더 안에 모이게 된다.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단지 먼지흡입 기능만 구비된 경우가 많으며, 청소기 후단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할 수 없어 기능이 단순하다.When cleaning relatively narrow edges, such as gaps in automobiles or inside electronics, you usually use a handy vacuum clean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is that when the electric motor operates at high speed, the air intake impeller of the handy vacuum cleaner discharges the air toward the rear end of the cleaner at high speed, and the air of the dust intak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air intake is constantly replenished in the air intake. A momentary vacuum is formed in the chamber, and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becomes considerably large, and the dust and foreign matter at the dust intake are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into the handy vacuum cleaner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Conventional handy vacuum cleaners are often equipped with only a dust suction function, and the function is simple becaus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end of the cleaner cannot be used.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핸디형 진공청소기가 청소기 후단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할 수 없어 기능이 단순하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일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kind of handy vacuum cleaner which solves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handy vacuum cleaner cannot us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ar end of the cleaner in the prior art.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채택한 기술적 방안은 일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로서, 진공청소기 본체, 필터망, 공기흡입기, 먼지흡입관, 공기배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 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1단에는 공기흡입구가 개설되며, 상기 먼지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구가 연통되고, 상기 필터망이 상기 수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물질을 모으는데 사용되는 집진 실린더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흡입기는 수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망의 후측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에는 공기배출구가 개설되며, 상기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구가 연통된다.The technical scheme adop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the above object is a handy vacuum cleaner, which is composed of a vacuum cleaner body, a filter net, an air suction, a dust suction pipe, an air discharge pipe, and a storage chamber is installed inside the vacuum cleaner body. The first stag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port, the dust suction pipe and the air suction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filter net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air suction port to install foreign substances. It forms the dust collection cylinder used to collect. The air suction unit is installed in a receiving chamber,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filter network, and an air outlet is formed at a second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the air discharge pipe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챔버 내에 제1장착대와 제2장착대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대와 상기 제2장착대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장착구역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흡입기는 임펠러와 전기모터가 포함되며, 상기 임펠러가 상기 장착구역 안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모터가 상기 제2장착대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임펠러는 연결되고, 상기 필터망이 상기 제1장착대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1단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임펠러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격리시킨다. Preferably, a first mounting stand and a second mounting stand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the first mounting stand and the second mounting st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to form a mounting area, and the air suction unit is formed of an impeller and an electric motor. Included, the impeller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area, the electric motor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tage and the second end of the vacuum cleaner body, the drive shaft and the impeller of the electric motor is connected, A filter net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ount and the first end of the vacuum cleaner body to isolat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mpe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장착대에는 제1개구부가 개설되며, 상기 제2장착대에는 다수의 제2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개구부, 각각의 상기 제2개구부, 상기 공기배출구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한다.Preferab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porti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the air intake, the first opening, each of the second opening, the air The outle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개구부의 수량이 4개이다.Preferably, the number of the second openings is fou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개구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펠러를 보호하는 투각 프레임이 설치된다. Preferably, a hollow frame for protecting the impeller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open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에 덮판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덮판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기 공기배출구에 끼워져 연결된다.Preferably, a cover plate is installed at the second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air outlet port is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and the air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port.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관이 감입되며, 상기 장착관에 감입부와 장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감입부의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구의 내벽에 감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의 일단이 상기 감입부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배출관이 상기 장착부의 다른 일단에 끼워져 연결된다.Preferably, a mount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air outlet, and a mounting part and a mounting part are included in the mounting pipe, one end of the fitting part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air outlet, and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is installed in the inlet part.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ai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관에 과도부도 포함되며, 상기 과도부가 상기 감입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감입부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모두 편평한 형상이고 서로 매칭되며, 상기 장착부와 상기 공기배출관이 모두 원형이고 서로 매칭된다.Preferably, the mounting tube also includes a transient portion, the transient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intake and the mounting portion, both the inlet and the air outlet is a flat shape and match each other,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air discharge pipe is All are circular and match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먼지흡입관이 모두 편평한 형상이다.Preferably, both the air suction port and the dust suction pipe have a flat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공기흡입기를 제어하여 켜고 끄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버튼이 설치된다.Preferably, the vacuum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witch button used to turn on and off the air intake control.
본 고안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부가 수납 챔버이며, 상기 수납 챔버 내에 공기흡입기와 필터망이 설치되고,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1단에 공기흡입구가 설치되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에 공기배출구가 설치되고, 이때 필터망이 공기흡입구와 공기흡입기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공기흡입기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격리시키고 공기흡입기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필터망과 공기흡입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 실린더가 형성되고, 이어서 먼지흡입관이 공기흡입구에 끼워져 연결되고 공기배출관이 공기배출구에 끼워져 연결되어, 원래 청소기 후단부에서 자유롭게 배출되는 공기를 수집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 본체를 잡고 작은 모서리 안의 이물질을 청소해야 할 때, 먼지흡입관을 손쉽게 신장시켜 이물질을 집진 실린더 안으로 흡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물질을 먼지흡입관을 통해 흡입하기 어려울 때에는 진공청소기 본체를 돌려서, 다른 일단의 공기배출관을 신장시킴으로써 공기배출관에서 배출되는 풍력을 통해 이물질을 날려보낼 수 있고, 이렇게 하면 공기흡입과 공기배출 기능이 일체화되고 두 기능이 어울리며, 사용이 편리하고 청소 효과가 양호하여 시장 전망이 매우 밝다.Handhel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rior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is an accommodating chamber, the air suction and the filter net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the air inlet is installed in the first stag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air outlet is installed in the second stage, and the filter network is installed between the air intake and the air intak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ir intake, to prevent damage to the air intake, and the filter network and the air intake are spaced apart. A dust collecting cylinder is installed to collect foreign matter, and then a dust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port and connected, and an ai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thereby collecting the air freely discharged from the rear en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also has a function of discharging air in a constant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user needs to hold the vacuum cleaner body and clean the foreign matter in the small corners, the dust suction pipe can be easily extended to suck the foreign matter into the dust collecting cylinder, which is convenient to use. When it is difficult to inhale foreign matter through the dust suction pipe, it is possible to blow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ipe by rotating the vacuum cleaner body and extending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thereby integrating the air suction and air discharge functions. The combination of the two functions, easy to use and good cleaning effect, the market prospect is very bright.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제공된 기술적 방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히 소개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도면은 단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당업자라면 창의적 노동이 없이도 이러한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첨부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제공된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제공된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제공된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제공된 핸디형 진공청소기 장착관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To describe the technical solutions provi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following briefly introduces the accompanying drawings required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r the prior ar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obtained based on these attached drawings without creative labor.
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dy vacuum cleaner provid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provid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provid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andy vacuum cleaner mounting tube provid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실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곧 동등 또는 유사한 부호는 동등 또는 유사한 소자, 또는 동등 또는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표시한다. 이하 참조 도면 1내지 도면 4를 통하여 서술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 대한 한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xamples of the above embodiments indicate that equivalent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equivalent or similar devices, or devices with equivalent or similar functions, as shown in the figures.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should be interpreted as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설명에서 이해가 필요한 부분은, '길이', '폭',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안', '바깥' 등의 서술어가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관계이며, 단지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한 것이지, 지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향을 구비해야 하고 특정한 방향으로 제작 및 조작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The parts that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ength', 'width', 'up', 'low', 'before', 'after', 'left', 'right', 'vertical', 'horizontal' The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indicated by the descriptors such as 'top', 'bottom', 'in' and 'outside' is a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merely to help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at a device or device having a specific orientation must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nd be manufactured and manipulated in a particular orientation. Therefore, it is not to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제2'라는 술어는 단지 서술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의 특징적인 수량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1' , '제2'라는 관형어가 달린 특징은 달리 명확하고 구체적인 한정어가 없는 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해당 특징을 1개 또는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서술에서 '다수'는 달리 명확하고 구체적인 한정어가 없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Also, the predicate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understood as indicating or implying relative importance or indicative of the characteristic quantities of the indicated techniques. Therefore, a tubular feature of 'first' and 'seco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se features, either explicitly or implicitly,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specific.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e' means two or more than two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specific.
본 고안에서 달리 명확히 규정되거나 한정되지 않은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의 서술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일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이 될 수 있고 전기적 연결도 가능하며, 직접 서로 연결하거나 중간 매개체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두 소자 내부가 연결되어 통하거나 두 소자의 상호적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술어가 본 고안에서 갖는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such as 'mounting', 'connecting each other', 'connecting', and 'fixing' should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For example, it may be fixedly connected, detachably connected, or may be integrally formed. It can also be a mechanical or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by using an intermediate medium. In addition, the two elem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y be an interaction between the two ele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specific implications of the predicate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situation.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일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며, 이는 진공청소기 본체(10), 필터망(20), 공기흡입기(30), 먼지흡입관(40), 공기배출관(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 내에 수납 챔버(13)가 설치되며,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1단에 공기흡입구(111)가 설치되고, 상기 먼지흡입관(40)과 상기 공기흡입구(111)가 연통된다. 상기 필터망(20)은 상기 수납 챔버(13) 안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111)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 실린더(14)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흡입기(30)는 수납 챔버(13) 내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망(20)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2단에 공기배출구(121)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관(50)과 상기 공기배출구(121)가 연통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nd of a handy vacuum cleaner, which is a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10)의 내부가 수납 챔버(13)이며, 상기 수납 챔버(13) 안에 공기흡입기(30)와 필터망(20)이 설치되고, 또한 진공청소기(10)의 제1단에 공기흡입구(111)가 설치되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2단에 공기배출구(121)가 설치되고, 이때 필터망(20)이 공기흡입구(111)와 공기흡입기(30)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공기흡입기(30) 안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격리시키고 공기흡입기(30)의 손상을 방지하며, 한편 필터망(20)과 공기흡입구(11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물질을 모으는데 사용되는 집진 실린더(14)를 형성하고, 이어서 먼지흡입관(40)이 공기흡입구(111)에 끼워져 연결되며, 공기배출관(50)이 공기배출구(121)에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원래 청소기 후단부에서 자유롭게 배출되는 공기를 수집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 본체(10)를 잡고, 작은 모서리 안의 이물질을 청소해야 할 때, 손쉽게 먼지흡입관(40)을 신장시켜 이물질을 집진 실린더(14) 안으로 흡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물질을 먼지흡입관(40)을 통해 흡입하기 어려울 때에는 진공청소기 본체를 돌려서, 다른 일단의 공기배출관(50)을 신장시킴으로써 공기배출관에서 배출되는 풍력을 통해 이물질을 날려보낼 수 있고, 이렇게 하면 공기흡입과 공기배출 기능이 일체화되고 두 기능이 어울리며, 사용이 편리하고 청소 효과가 양호하여 시장 전망이 매우 밝다.Specifically,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ior of the vacuum cleaner
더 나아가, 진공청소기 본체(10)에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포함되며, 제1케이스(11)의 제1단과 제2케이스(12)의 제1단이 서로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수납 챔버(13)를 형성하고, 제1케이스(11)의 제2단에 열린 공기흡입구(111)가 설치되고 제2케이스(12)의 제2단에 열린 공기배출구(121)가 설치된다.Furthermore, the vacuum cleaner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전원선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 공기흡입기(3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내장된 전원을 통해 공기흡입기(30)를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0) 안에 축전지(70)가 설치되어 공기흡입기(30)를 회전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축전지(70)가 리튬전지이다.Furthermore, the handy vacuum clean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otate the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챔버(13) 안에 제1장착대(112)와 제2장착대(122)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대(112)와 상기 제2장착대(122)가 마주 설치되어 장착구역(15)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흡입기(30)에 임펠러(31)와 전기모터(32)가 포함되고 상기 임펠러(31)가 상기 장착구역(15) 안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모터(32)가 상기 제2장착대(122)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2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모터(32)의 구동축과 상기 임펠러(31)가 연결된다. 상기 필터망(20)이 상기 제1장착대(112)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1단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임펠러(31)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격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장착대(112)가 제1케이스(11)의 제1단에 설치되고, 제2장착대(122)가 제2케이스(12)의 제1단에 설치되며, 필터망(20)이 제1케이스(11) 안에 설치되고, 전기모터(32)와 축전지(70)가 모두 제2케이스(12) 안에 설치되며, 임펠러(31)가 제1장착대(112)와 제2장착대(122) 사이의 장착구역(15) 안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기모터(32)가 임펠러(31)를 회전시킬 때, 제1케이스(11) 안의 공기가 제2케이스(12)의 공기배출구(121)에서 배출되고, 진공청소기 본체(10)에서 공기흡입기(30)가 설치된 중간부분을 통과하여, 공기흡입기(30)가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의 풍력과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의 풍력이 서로 대응되어, 풍력의 편차가 크지 않도록 한다. 양자가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루면 상기 핸디형 진공청소기에서 흡입 기능과 배출 기능을 자유롭게 전환하는데 유리하고, 흡입력이 크지만 배출력이 지나치게 작거나, 배출력이 크지만 흡입력이 지나치게 작은 불편한 상황이 방지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장착대(112)에 열린 제1개구부(112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장착대(122)에 열린 다수의 제2개구부(1221)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111), 상기 제1개구부(1121), 각각의 상기 제2개구부(1221), 상기 공기배출구(121)가 공기를 유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흡입기(30)가 제1개구부(1121)를 통해 빠른 속도로 제1케이스(11) 안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때 제1케이스(11) 내부는 순간적으로 진공 상태가 되며,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와의 압력 차가 비교적 커지고, 먼지흡입구의 먼지와 이물질이 공기를 따라 핸디형 진공청소기 안으로 흡입되며, 집진 실린더(14) 안에 모이게 된다. 이어서 공기는 각각의 제2개구부(1221)에서 빠르게 제2케이스(12) 안으로 배출되고, 이에 제2케이스(12) 안의 공기는 공기배출구(121)를 통해 공기배출관(50)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공기의 유통 경로가 형성되고, 즉 상기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흡입 기능을 사용해야 할 때, 먼지흡입관(40)이 이물질을 향하도록 하는 것으로 족하고, 공기배출 기능을 사용해야 할 때에는 공기배출관(50)을 이물질에 향하도록 하기만 하면 족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개구부(1221)의 수량은 4개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장착대(122)에 제2개구부(1221) 4개를 설치하고 제2개구부(1221) 4개가 제2장착대(122)의 둘레에서 제2케이스(12) 내벽에 가까운 위치에 분포함으로써, 공기흡입기(30)가 제1케이스(11) 안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적시에 각각의 제2개구부(1221)를 통해 제2케이스(12) 안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배출 시 공기가 제2케이스(122)의 내벽을 향해 유동하며, 이로써 제2케이스 안의 부품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진공청소기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더욱 순조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number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개구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펠러(31)를 보호하는 투각 프레임(1122)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개구부의 내측에 투각 프레임(1122)이 설치됨으로써 이물질이 먼지흡입관(40)에서 들어간 후 공기흡입기(30)의 임펠러(31)에 부딪칠 확률이 낮아져서, 임펠러(3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a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2단에 덮판(123)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21)가 상기 덮판(123)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관(50)이 상기 공기배출구(121)에 끼워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케이스(12)의 제2단에 분리 가능한 덮판(123)이 하나 설치되고, 덮판(123)의 바깥 둘레에 다수의 바브(barb)를 설치하여 제2케이스(12)에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청소기 본체(10)를 수리해야 할 때, 덮판(123)을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2 to 3, in this embodiment, the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배출구(121)에 장착관(60)이 감입되고, 상기 장착관(60)에 감입부(61)와 장착부(62)가 포함된다. 상기 감입부(61)의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구(121)의 내벽에 감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62)의 일단이 상기 감입부(61)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배출관(50)과 상기 장착부(62)의 다른 일단이 끼워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배출구(121)에 장착관(60)이 감입되고 감입부(61)가 공기배출구(121)의 내벽에 고정식으로 감입되며, 장착부(62)가 제2케이스(12)의 외측에서 돌출되고, 공기배출관(50)이 장착부(62)의 바깥 둘레에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공기배출관(50)이 장착관(6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공기배출관(50)의 규격을 유연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교적 깊은 곳에 있는 이물질을 불어내야 할 때, 원래의 공기배출관(50)을 분리하고 길이가 더 긴 공기배출관(50)으로 교환하여 이물질을 불어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 경험이 더욱 우수하다.2 to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관(60)에는 과도부(63)도 포함되며, 상기 과도부(63)가 상기 감입부(61) 및 상기 장착부(6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감입부(61)와 상기 공기배출구(121)는 모두 편평한 형상이며 서로 매칭된다. 상기 장착부(62)와 상기 공기배출관(50)은 모두 원형이며 서로 매칭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배출구(121)가 편평한 형상이고, 공기배출구(121) 내벽에 감입되어 설치된 감입부(61)도 편평한 형상이며, 장착부(62)가 원형으로 설치되어 원통 형상인 공기배출관(50)에 쉽게 끼워져 연결된다. 원통 형상인 공기배출관(50)은 이물질을 불어내기 편리하다. 이렇게 편평한 형상인 감입부(61)와 원통 형상인 장착부(62) 사이에 과도부(63)가 설치되어, 공기를 불어낼 때 더욱 순조로운 기류통로를 구비하여, 장애물에 막혀 풍력이 약해지는 정도가 감소된다.2 to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더 나아가, 장착부(62)에 안쪽 나사산이 설치되고, 공기배출관(50)에 바깥 나사산이 설치되어, 공기배출관(50)이 장착부(62)의 바깥 둘레에 끼워져 설치되고 나사산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공기배출관(50)을 손쉽게 분리하고 장착할 수 있다.Further, the inner thread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구(111)와 상기 먼지흡입관(40)은 모두 편평한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흡입구(111)가 편평한 형상이며, 먼지흡입관(40)이 공기흡입구(111)에 감입되는 내벽도 편평한 형상으로서, 편평한 형상인 먼지흡입관(40)은 이물질이 더욱 쉽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하기 좋다.As shown in Figure 2 to Figure 3,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기흡입기(30)를 제어하여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 버튼(124)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버튼(124)이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제2케이스(12)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버튼(124)이 사람이 잡았을 때의 엄지손가락 위치에 가까워서, 사용자가 손쉽게 스위치 버튼(124)을 눌러 움직여 상기 진공청소기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하기 좋다. As shown in Figur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cuum cleaner
이상은 본 고안에 따른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사상과 원리 안에서 이루어진 모든 변경,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is only a relatively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ll changes, equivalent substitutions, and improvements made within the spirit and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진공청소기 본체 11: 제1케이스
12: 제2케이스 13: 수납 챔버
14: 집진 실린더 15: 장착구역
20: 필터망 30: 공기흡입기
31: 임펠러 32: 전기모터
40: 먼지흡입관 50: 공기배출관
60: 장착관 61: 감입부
62: 장착부 63: 과도부
70: 축전지 111: 공기흡입구
112: 제1장착대 121: 공기배출구
122: 제2장착대 123: 덮판
124: 스위치 버튼 1121: 제1개구부
1122: 투각 프레임 1221: 제2개구부10: vacuum cleaner body 11: the first case
12: second case 13: storage chamber
14: dust collection cylinder 15: mounting area
20: filter network 30: air intake
31: impeller 32: electric motor
40: dust suction pipe 50: air discharge pipe
60: mounting tube 61: inlet
62: mounting portion 63: transient portion
70: storage battery 111: air intake
112: first mounting table 121: air outlet
122: second mounting table 123: cover plate
124: switch button 1121: first opening
1122: hollow frame 1221: second opening
Claims (10)
상기 수납 챔버 내에 제1장착대와 제2장착대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대와 상기 제2장착대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장착구역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흡입기는 임펠러와 전기모터가 포함되며, 상기 임펠러가 상기 장착구역 안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모터가 상기 제2장착대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임펠러는 연결되고, 상기 필터망이 상기 제1장착대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1단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임펠러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격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mounting stand and a second mounting stand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the first mounting stand and the second mounting stand are installed at intervals to form a mounting area, and the air suction unit includes an impeller and an electric motor. The impeller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area, the electric motor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mount and the second end of the vacuum cleaner body, the driv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impeller are connected, the filter network is the A hand-held vacuum clean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ounting table and the first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o insulate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mpeller.
상기 제1장착대에는 제1개구부가 개설되며, 상기 제2장착대에는 다수의 제2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개구부, 각각의 상기 제2개구부, 상기 공기배출구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porti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the air intake, the first opening portion, each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the air outlet is air A handhel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passage for circulation.
상기 제2개구부의 수량이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3,
A handy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second opening is four.
상기 제1개구부의 내측에는 상기 임펠러를 보호하는 투각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3,
Handheld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frame for protecting the impeller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opening.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제2단에 덮판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덮판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기 공기배출구에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1,
A handheld vacuum cleaner, wherein a cover plate is installed at a second end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air outlet port is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and the air outlet tube is fitted to the air outlet port.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관이 감입되며, 상기 장착관에 감입부와 장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감입부의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구의 내벽에 감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의 일단이 상기 감입부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배출관이 상기 장착부의 다른 일단에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6,
A mounting tube is inserted into the air outlet, and a fitting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are included in the mounting tube, and one end of the f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air outlet, and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portion. And the air discharge pipe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장착관에 과도부도 포함되며, 상기 과도부가 상기 감입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감입부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모두 편평한 형상이고 서로 매칭되며, 상기 장착부와 상기 공기배출관이 모두 원형이고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tube also includes a transient portion, the transient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intake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both the intake portion and the air outlet is a flat shape and match each other,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air discharge pipe are all circular and Handy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matching.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먼지흡입관이 모두 편평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Handy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air intake and the dust suction pipe is flat.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공기흡입기를 제어하여 켜고 끄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vacuum cleaner body is a handy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button is used to control the air intake is turned on and of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821180135.0U CN209122069U (en) | 2018-07-24 | 2018-07-24 | Hand-held cleaners |
CN201821180135.0 | 2018-07-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264U true KR20200000264U (en) | 2020-02-03 |
KR200491534Y1 KR200491534Y1 (en) | 2020-04-23 |
Family
ID=6669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381U Active KR200491534Y1 (en) | 2018-07-24 | 2019-01-25 | Handy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221609U (en) |
KR (1) | KR200491534Y1 (en) |
CN (1) | CN209122069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273U (en) * | 2020-11-26 | 2022-06-03 | 우한 스마트다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Air injection and dust inhalation integrated equipment |
KR20230052143A (en) * | 2021-10-12 | 2023-04-19 | 주식회사 오토모인터내셔널 | Portable vacuum cleaner with selectable intake/exhaust mode |
KR20230058980A (en) *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오토모인터내셔널 | Vacuum cleaner with air blower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37873B (en) * | 2019-08-30 | 2024-10-18 |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 Ash scraping structure |
GB2591797B (en) * | 2020-02-07 | 2022-04-06 | Dyson Technology Ltd | A vacuum cleaning appliance |
CN111557615A (en) * | 2020-05-19 | 2020-08-21 | 苏州莱智得电器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handheld dust collector |
CN115363470A (en) * | 2021-05-21 | 2022-11-22 |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 Hand-held vacuum cleaner |
CN113812885A (en) * | 2021-09-23 | 2021-12-21 | 中山市荣之发新能源有限公司 | Integrated shuttle-shaped blowing and sucking electric dust collector convenient to hold |
CN113693483B (en) * | 2021-09-27 | 2025-07-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Hand-held cleaner |
CN113892851A (en) * | 2021-10-15 | 2022-01-07 |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 Compressed air kinetic energy dust collecto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1797U (en) * | 1998-12-09 | 2000-07-05 | 조웅기 | Whisker |
JP2001218706A (en) * | 2000-02-14 | 2001-08-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ic vacuum cleaner |
JP2001241398A (en) * | 2000-02-29 | 2001-09-07 | Toshiba Tec Corp | Electric blower for circulation type vacuum cleaner |
KR20030016633A (en) * | 2001-08-21 | 2003-03-03 | 강윤기 | A portable vacuum cleaner |
JP2004202185A (en) * | 2002-12-24 | 2004-07-22 | C3I Co Ltd | Blowing-and-vacuum cleaner |
KR20160026603A (en) * | 2014-08-28 | 2016-03-09 |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 cleaner |
-
2018
- 2018-07-24 CN CN201821180135.0U patent/CN209122069U/en active Active
-
2019
- 2019-01-25 KR KR2020190000381U patent/KR200491534Y1/en active Active
- 2019-03-27 JP JP2019001090U patent/JP3221609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1797U (en) * | 1998-12-09 | 2000-07-05 | 조웅기 | Whisker |
JP2001218706A (en) * | 2000-02-14 | 2001-08-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ic vacuum cleaner |
JP2001241398A (en) * | 2000-02-29 | 2001-09-07 | Toshiba Tec Corp | Electric blower for circulation type vacuum cleaner |
KR20030016633A (en) * | 2001-08-21 | 2003-03-03 | 강윤기 | A portable vacuum cleaner |
JP2004202185A (en) * | 2002-12-24 | 2004-07-22 | C3I Co Ltd | Blowing-and-vacuum cleaner |
KR20160026603A (en) * | 2014-08-28 | 2016-03-09 |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 clean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273U (en) * | 2020-11-26 | 2022-06-03 | 우한 스마트다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Air injection and dust inhalation integrated equipment |
KR20230052143A (en) * | 2021-10-12 | 2023-04-19 | 주식회사 오토모인터내셔널 | Portable vacuum cleaner with selectable intake/exhaust mode |
KR20230058980A (en) *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오토모인터내셔널 | Vacuum cleaner with air blower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21609U (en) | 2019-06-06 |
CN209122069U (en) | 2019-07-19 |
KR200491534Y1 (en) | 2020-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00264U (en) | Handy vacuum cleaner | |
AU2021266191B2 (en) | Cleaning apparatus | |
EP3209175B1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KR100654393B1 (en) | Vacuum cleaner | |
TW201500026A (en) | Dust collecting method and apparatus of self-propelled cleaning equipment | |
EP3311721B1 (en) | Vacuum cleaner | |
CN216854552U (en) | Handheld dust collector host structure and dust collector | |
CN105935275A (en) | Cyclone type dust collector with transverse dust barrel | |
EP3795049B1 (en) | Vacuum cleaner | |
CN113395925B (en) | Air blower | |
CN211022445U (en) | Portable handheld dust collector | |
CN104367266A (en) | Handheld dust collector | |
CN211381100U (en) | Cleaning equipment | |
EP4056092A1 (en) | Dust cup and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same | |
JP2019090401A (en) | Suction/blowout air pump and suction valve for storage bag | |
CN110754992A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CN211459995U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US10888206B2 (en) | Vacuum cleaner with disposable dirt collector | |
CN2684751Y (en) | Electric dust separator | |
EP2789282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CN202821192U (en) | Blow-suction dual-purpose vacuum cleaner and its fan | |
CN113598649B (en) | Cleaning device | |
CN216020767U (en) | Cleaning device | |
CN214180284U (en) | Vacuum cleaner | |
CN221180298U (en) | Dust box cleaning device of dust coll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1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004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4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