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091A - Condenser - Google Patents
Cond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3091A KR20190143091A KR1020180070622A KR20180070622A KR20190143091A KR 20190143091 A KR20190143091 A KR 20190143091A KR 1020180070622 A KR1020180070622 A KR 1020180070622A KR 20180070622 A KR20180070622 A KR 20180070622A KR 20190143091 A KR20190143091 A KR 201901430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condensation
- region
- plate
- condensation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3—Condensers made by assembling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랭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매의 비체적 변화에 따른 유속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제1응축영역, 제1구획 플레이트 및 제2응축영역을 통해 응축이 일어나는 냉매의 유로가 지그재그방식으로 연장되어,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유속이 감소하지 않고, 제2응축영역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배출된 냉매가 연결플레이트를 통해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부분인 냉매유입통로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냉매의 유속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capable of preventing a decrease in flow rate due to a specific volume change of a refrigerant in a water-cooled condenser.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through which the condensation occurs through the first condensation region, the first compartment plate, and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is zigzag. Extend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flow rate does not decrease even when the specific volume changes, and the refrigerant inflow passage,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in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and the portion where the discharged refrigerant flows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By being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that can prevent a decrease i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랭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매의 비체적 변화에 따른 유속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er capable of preventing a flow rate decrease caused by a specific volume change of a refrigerant in a water-cooled condenser.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In general, in a refrigeration cycl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 cooling action occurs by an evaporator in which a liquid heat exchange medium absorbs the amount of heat as vaporized heat from the surroundings and vaporizes.
상기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여,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The heat exchange medium in the gaseous state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from the evaporator is compressed at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and liquefied heat is released to the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liquefaction of the compressed gaseous heat exchange medium through the condenser. After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again, it becomes a low-temperature / low-pressure wetted vapor state,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evaporator to vaporize, thereby forming a cycle.
즉, 응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하는데, 냉매의 열교환매체에 따라 공기를 이용하는 공랭식과 액체를 이용하는 수랭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ndenser is a high-temperature / high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liquid state while releasing the liquefied heat by heat exchange, and discharged, it can be formed by the air-cooling type using the air and the water-cooling type using the liquid according to the heat exchange medium of the refrigerant. have.
도 1은 종래 수랭식 응축기(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는 응축영역(20), 기액분리기(30) 및 과냉각영역(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된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cooled
냉매는 응축영역(20)에서 이상(Two-phase)상태가 되면서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종래 수랭식 응축기는 이러한 비체적의 변화를 고려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냉매의 유속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refrigerant is in a two-phase state in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의 목적은 응축영역에서 냉매의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냉매의 유속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enser that can prevent the refrigerant flow rate is reduced even if the specific volume of the refrigerant in the condensation region occurs In provi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는, 길이 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응축영역(200); 길이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과냉각영역(300);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기액분리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 각각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영역(200)을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 각각의 냉매유동부(140)를 연결시키는 제1연결구가 높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영역(200)은 상기 제1응축영역(210) 또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구획하는 제2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대상유체는 물 또는 공기이고, 상기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부 및 기액분리된 냉매를 상기 과냉각영역으로 배출시키는 냉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상기 냉매유입부의 입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매유출입홀(151)과 냉매유동홀(152) 및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 간에 연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유출입홀(153)과 냉각유체유동홀(154)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출입홀(151)은 둘레에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유동홀(152)은 둘레에 상기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유출입홀(153)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출부(163)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체유동홀(154)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출부(16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면을 바라보도록 적층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각유체유동홀(154)이 연통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는 냉매유입통로(431)와, 상기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을 연통시키는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유동통로(4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개방된 형태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기액분리기(500)와 결합되는 기액분리기 결합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에 의하면, 제1응축영역, 제1구획 플레이트 및 제2응축영역을 통해 응축이 일어나는 냉매의 유로가 지그재그방식으로 연장됨으로써, 냉매의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유속이 감소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through which the condensation occurs through the first condensation region, the first compartment plate and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is extended in a zigzag manner, even if the specific volume of the refrigerant changes. The effect is that the flow rate does not decrease.
또한, 제2응축영역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배출된 냉매가 연결플레이트를 통해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는 부분인 냉매유입부의 입구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냉매의 유속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por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and the inlet portion of the refrigerant inlet, which is the por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into the gas-liquid separator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can be prevented from decreasing. There is.
도 1은 종래 수랭식 응축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적층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의 단면도.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water-cooled condens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tacked schematic view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응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ondense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denser is decom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축기는 응축영역(200), 과냉각영역(300), 연결플레이트(400) 및 기액분리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영역(200)은 제1응축영역(210), 제2응축영역(220) 및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제1응축영역(21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가 교번되어 형성된다. 냉각유체유동부에서 유동하는 냉각대상유체는 물, 공기 또는 기타 유체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대상유체가 물, 즉 냉각수인 경우를 설명한다.The
제1응축영역(2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4에는 제1플레이트(110)가 전면에 노출된 상태의 적층체가, 제5에는 제2플레이트(120)가 전면에 노출된 상태의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plates constituting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적층된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매유출입홀(151)과 냉매유동홀(152)이 형성되며, 적층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에 연통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유출입홀(153)과 냉각유체유동홀(15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rst and
이때, 냉매유출입홀(151), 냉매유동홀(152), 냉각유체유출입홀(153) 및 냉각유체유동홀(154)은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 내에서 각 코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refrigerant flow inlet and
냉매유출입홀(151)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61)가 형성된다.The refrigerant flow inlet / out
냉매유동홀(152)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62)가 형성된다.The
냉각유체유출입홀(153)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간에 돌출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출부(163)가 형성된다.The cooling fluid flow in and out
냉각유체유동홀(154)은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간에 냉각수가 유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되며, 그 둘레에는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출부(164)가 형성된다.The coolin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는 제1응축영역(210)을 구성할 뿐 아니라, 제2응축영역(220) 및 과냉각영역(30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응축영역(210)은 제2응축영역(220) 및 과냉각영역(300)과 동일하되,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은 냉매가 우선적으로 유입되고, 과냉각영역(300)은 냉각수가 우선적으로 유입된다는 점이 다르다.4 and 5, the
단,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는 제2응축영역(22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동일한 것이고,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적층된다고 했을 때, 제1응축영역(21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개수 총 합은 제2응축영역(22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의 개수 총 합보다 많을 수 있다.However, the length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는 길이 방향 최외곽에 위치한 냉매유출입홀(151)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51) 및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배출구(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냉매유입구(51)는 제1응축영역(210)의 높이 방향 일측(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 플레이트(230)는 응축영역(200)의 길이 방향 중단에 형성되어 응축영역(200)을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으로 구획하여,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방향 일측 최외곽에 형성된 냉각유체유동부 또는 냉매유동부를 차폐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state in which a par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way, and FIG. 7 show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 sec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 플레이트(230)는 높이 방향 타측(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제1응축영역(210)의 냉매유동부와 연결되어, 제1응축영역(210)의 냉매를 제2응축영역(220)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연결구(231)가 형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입구(51)로 제1응축영역(210) 내부의 냉매유동부로 유입된 냉매는 제1응축영역(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 뒤, 제1연결구(231)를 통해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부로 유동한다. 이는 제1 및 제2응축영역(210, 220)에서 응축되며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는 냉매를 고려하여 유턴 구조로 냉매의 유로를 구성한 것으로, 냉매의 유속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6 and 7, the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통과한 냉매는 연결플레이트(400)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로 유입된 후, 기액분리기(500)에서 과냉각영역(300)으로 다시 유입되며, 이후 냉매배출구(52)를 통해 배출된다.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통해, 응축이 일어나 비체적의 변화가 일어나는 냉매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유로를 연장시키되, 유턴구조를 통해 냉매의 유속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필요시 제2응축영역(220)과 연결플레이트(400의 사이, 즉 제2응축영역(220)의 일측에 제1구획 플레이트(230) 및 제2응축영역(2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구획 플레이트(미도시) 및 제3응축영역(미도시)을 부가하여, 냉매의 유로를 연장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 각각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서로 동일한 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적층된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적층될 수 있는데, 이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구성된 제1응축영역(210)의 냉매유동부를 통과하여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속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동일한 목적을 위해, 제2응축영역(22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의 높이와, 제2응축영역(220)에서 배출된 냉매가 연결플레이트(400)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로 유입되는 부분인 냉매유입통로(431)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7,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길이 방향으로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사이에 배치되어,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며, 연결플레이트(400)는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플레이트(110) 또는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적층된 엔드플레이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2 to 4,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제2응축영역(22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제1플레이트(110) 또는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연결플레이트몸체(410)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가질 수 있다면, 중량의 최소화를 위해 간소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되,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연결하는 냉각수연결파이프(4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냉각수연결파이프(4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연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cooling
아울러, 냉각수연결파이프(420)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되, 연결플레이트몸체(410)와 별도로 제작되어 필요 시 브레이징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즉, 냉각수연결파이프(420)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된 냉각수연결파이프(420)를 통해 냉각수를 유동시키므로, 불필요한 중량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시간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이때, 연결플레이트몸체(410)는 냉각수연결파이프(420)가 관통되어 냉각유체유동부(130)를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냉매유동통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냉매유동통로(430)는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과 기액분리기(500) 및 과냉각영역의 냉매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크게 냉매유입통로(431)와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되,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과 기액분리기(500)의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며, 냉매유입통로(431)는 길이 방향으로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과 연통되되, 기액분리기는 연결플레이트(400)의 폭 방향 일측에 설치되므로,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서 절곡되어 기액분리기(500)의 냉매유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냉매배출통로(432)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되,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며, 냉매배출통로(432)는 연결플레이트(400)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된 기액분리기(500)의 냉매배출부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4)과 연통되도록,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에서 절곡되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400)는 폭 방향 일측으로 기액분리기(500)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 기액분리기결합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기액분리기결합부(4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액분리기(50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완곡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를 연결플레이트(400) 폭 방향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gas-liqui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0)는 연결플레이트(400)를 통해 기액분리기(500)를 폭 방향 일측에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기액분리기(500)의 배치 및 고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이는 응축기(1000)가 구비되는 차량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condenser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by positioning the gas-
또한, 연결플레이트(400)의 기액분리기결합부(440)를 폭 방향 양측 중 선택되는 위치에 위치시켜 기액분리기(500)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응축기(1000)가 구비되는 다양한 차량 내에서 간편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 다양한 차량에 적용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as-liqui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may have variou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 수랭식 응축기
20 : 응축영역
30 : 기액분리기
40 : 과냉각영역
51 : 냉매유입구
52 : 냉매배출구
110 : 제1플레이트
120 : 제2플레이트
130 : 냉각유체유동부
140 : 냉매유동부
151 : 냉매유출입홀
152 : 냉매유동홀
153 : 냉각유체유출입홀
154 : 냉각유체유동홀
161 : 제1돌출부
162 : 제2돌출부
163 : 제3돌출부
164 : 제4돌출부
200 : 응축영역
210 : 제1응축영역
220 : 제2응축영역
230 : 구획 플레이트
231 : 제1연결구
300 : 과냉각영역
400 : 연결플레이트
410 : 연결플레이트몸체
420 : 냉각유체연결파이프
430 : 냉매연결파이프
431 : 냉매유입통로
432 : 냉매배출통로
440 : 기액분리기결합부
500 : 기액분리기10: water-cooled condenser
20: condensation area
30: gas-liquid separator
40: supercooling area
51: refrigerant inlet 52: refrigerant outlet
110: first plate 120: second plate
130: cooling fluid flow section 140: refrigerant flow section
151: refrigerant flow in and out holes 152: refrigerant flow holes
153: cooling fluid flow hole 154: cooling fluid flow hole
161: first projection 162: second projection
163: third projection 164: fourth projection
200: condensation area
210: first condensation region 220: second condensation region
230: partition plate 231: first connector
300: supercooling area
400: connecting plate 410: connecting plate body
420: cooling fluid connection pipe 430: refrigerant connection pipe
431: refrigerant inlet passage 432: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40: gas-liquid separator coupling unit 500: gas-liquid separator
Claims (12)
길이방향으로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120)가 다수 교번 적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유체유동부(130)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부(140)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과냉각영역(300);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응축영역(200)과 과냉각영역(3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기액분리기(500);
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 및 제2응축영역(220) 각각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유체의 진행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alternately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oling fluid flow unit 130 in which the cooling target fluid flows and the refrigerant flow unit 140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re alternately formed. Condensation zone 200;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alternately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oling fluid flow unit 130 in which the cooling target fluid flows and the refrigerant flow unit 140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re alternately formed. Subcooling zone 300;
A connection plate 400 disposed between the condensation region 200 and the subcooling region 300, the condensation region 200 and the subcooling region 300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 gas-liquid separator 500 formed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late;
Including,
The condensation region 200 includes a first condensation region 210 and a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which are part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condensation region 210 and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in the first condensation zone is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in the second condensation zone.
상기 응축영역(200)은 길이 방향 중단에 형성되어 상기 응축영역(200)을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응축영역(210)과 제2응축영역(220) 각각의 냉매유동부(140)를 연결시키는 제1연결구가 높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구획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densation zone 200 is formed at a longitudinal stop to divide the condensation zone 200 into the first condensation zone 210 and the second condensation zone 220, and the first condensation zone 210 and the first condensation zone 200. The condenser further comprises a first partition plate (230) having a firs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refrigerant flow unit (140) of each of the two condensation regions (220) to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응축영역(200)은 상기 제1응축영역(210) 또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구획하는 제2구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densation region (200)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mpartment plate for partitioning the first condensation region (210) or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상기 냉각대상유체는 물 또는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fluid is a cond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or air.
상기 제1응축영역(210)의 길이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condensation region 21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상기 기액분리기(5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부 및
기액분리된 냉매를 상기 과냉각영역으로 배출시키는 냉매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liquid separator 500 includes a refrigerant inlet uni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flows, and
And a refrigerant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gas-liquid separated refrigerant to the subcooling area.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과 상기 냉매유입부의 입구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denser of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wherein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the inlet of the refrigerant inle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with each other.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20)는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매유동부(140)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매유출입홀(151)과 냉매유동홀(152) 및
적층 방향으로 교번되어 형성되는 냉각유체유동부(130) 간에 연통되어 냉각대상유체가 유동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유출입홀(153)과 냉각유체유동홀(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late 110 and the second plate 120 are communicated between the refrigerant flow unit 140 alternately formed in the stacking direction, the refrigerant flow inlet and outlet holes 151 and the refrigerant flow hole 152 to be hollow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And
A condenser comprising: a cooling fluid flow inlet hole 153 and a cooling fluid flow hole 154 which are communicated between the cooling fluid flow units 130 alternately formed in a stacking direction and are hollowed so that the cooling target fluid flows.
상기 냉매유출입홀(151)은 둘레에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유동홀(152)은 둘레에 상기 냉각유체유동부(130)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162)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유체유출입홀(153)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출부(163)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체유동홀(154)은 둘레에 상기 냉매유동부(140) 측으로 돌출되는 제4돌출부(1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rigerant flow inlet and outlet 151 is forme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161 protruding toward the cooling fluid flow unit 130,
The refrigerant flow hole 152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162 protruding toward the cooling fluid flow portion 130 side,
The cooling fluid flow inlet and outlet 153 is formed with a third protrusion 163 protruding toward the coolant flow unit 140.
The cooling fluid flow hole (154) is a cond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protrusion 164 protruding toward the coolant flow portion 140 side is formed.
상기 제1응축영역(21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응축영역(220)에 포함되는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면을 바라보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9,
A plate included in the first condensation region 210 and a plate included in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are stacked to face the same surface.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 사이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2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몸체(410),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에 상기 제2응축영역(220)과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각유체유동홀(154)이 연통되도록 중공되는 냉각유체연결파이프(420)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몸체(4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응축영역(220)의 냉매유동홀(152)과 상기 냉매유입부를 연통시키는 냉매유입통로(431)와, 상기 냉매배출부와 상기 과냉각영역(300)의 냉매유동홀(152)을 연통시키는 냉매배출통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유동통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plate 400 is a connection plate body 410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plate 110 or the second plate 120 between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and the subcooling region 300. ),
A cooling fluid connection pipe 420 which is hollow such that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and the cooling fluid flow hole 154 of the subcooling region 300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late body 410;
A refrigerant inflow passage 431 formed in the connection plate body 410 to communicate the refrigerant flow hole 152 of the second condensation region 220 with the refrigerant inlet,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and the supercooling region ( And a refrigerant flow passage (430) comprising a refrigerant discharge passage (432) for communicating the refrigerant flow hole (152) of the (300).
상기 연결플레이트(400)는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개방된 형태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기액분리기(500)와 결합되는 기액분리기 결합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late 400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cludes a gas-liquid separator coupling part 440 coupl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500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gas-liquid separator 500 in an open form. Condenser made.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622A KR102653343B1 (en) | 2018-06-20 | 2018-06-20 | Condenser |
US16/113,054 US10935288B2 (en) | 2017-08-28 | 2018-08-27 | Condenser |
CN201810987757.2A CN109425149B (en) | 2017-08-28 | 2018-08-28 | Condenser |
JP2018159379A JP6722242B2 (en) | 2017-08-28 | 2018-08-28 | Condenser |
DE102018120965.7A DE102018120965A1 (en) | 2017-08-28 | 2018-08-28 | capaci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622A KR102653343B1 (en) | 2018-06-20 | 2018-06-20 | Conden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3091A true KR20190143091A (en) | 2019-12-30 |
KR102653343B1 KR102653343B1 (en) | 2024-04-02 |
Family
ID=6910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0622A Active KR102653343B1 (en) | 2017-08-28 | 2018-06-20 | Conden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334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8156A1 (en) * | 2020-10-02 | 2022-04-06 | Michael Rehberg |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ing or cooling system |
KR20230075771A (en) * | 2021-11-23 | 2023-05-31 |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 Integrated plate-type heat exchanger |
US12311727B2 (en) | 2019-12-18 | 2025-05-27 | Estra Automotive Systems Co., Ltd. | Heat exchanger for vehic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8907A1 (en) * | 2009-03-24 | 2010-09-30 | Valeo Systemes Thermiques | Condenser with two heat exchange units for an air-conditioning circuit |
KR20120061534A (en) | 2010-12-03 | 2012-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Water-cooled condenser |
KR20130043906A (en) * | 2011-10-21 | 2013-05-02 | 주식회사 두원공조 | Receiver dryer integrated condenser |
KR20170079223A (en) * | 2015-12-30 | 2017-07-10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Water cooled condenser of integrated type |
-
2018
- 2018-06-20 KR KR1020180070622A patent/KR1026533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8907A1 (en) * | 2009-03-24 | 2010-09-30 | Valeo Systemes Thermiques | Condenser with two heat exchange units for an air-conditioning circuit |
KR20120061534A (en) | 2010-12-03 | 2012-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Water-cooled condenser |
KR20130043906A (en) * | 2011-10-21 | 2013-05-02 | 주식회사 두원공조 | Receiver dryer integrated condenser |
KR20170079223A (en) * | 2015-12-30 | 2017-07-10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Water cooled condenser of integrated typ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311727B2 (en) | 2019-12-18 | 2025-05-27 | Estra Automotive Systems Co., Ltd. | Heat exchanger for vehicles |
EP3978156A1 (en) * | 2020-10-02 | 2022-04-06 | Michael Rehberg |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ing or cooling system |
KR20230075771A (en) * | 2021-11-23 | 2023-05-31 |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 Integrated plate-type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3343B1 (en) | 2024-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5288B2 (en) | Condenser | |
KR102477289B1 (en) | Water cooled condenser of integrated type | |
KR102228167B1 (en) | Condenser | |
EP2869000B1 (en) |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 |
JP6497262B2 (en) | Laminate heat exchanger | |
US20160223231A1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JP4358981B2 (en) | Air conditioning condenser | |
EP3141859B1 (en) | Micro channel type heat exchanger | |
WO2018116929A1 (en)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US12123653B2 (en) | Heat exchanger | |
KR20190143091A (en) | Condenser | |
KR20200011149A (en) | Water cooled condenser | |
WO2020217271A1 (en) | Refrigerant distributor,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KR102653244B1 (en) | Condenser | |
KR102653331B1 (en) | Condenser | |
KR101144262B1 (en) | Condenser | |
JP2018013322A (en) | Capacitor | |
JP2001174103A (en) | Refrigerant condenser | |
US20170328615A1 (en) | Refrigerant evaporator | |
US11885569B2 (en) | Heat exchanger | |
KR102593768B1 (en) | Water cooled condenser | |
KR20180085458A (en) | Water cooled condenser | |
KR200279353Y1 (en) | Integral Condenser | |
WO2016067551A1 (en) | Stacked heat exchanger | |
JP2008256234A (en) | Evapo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2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2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7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7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