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054A -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1054A KR20190141054A KR1020180067548A KR20180067548A KR20190141054A KR 20190141054 A KR20190141054 A KR 20190141054A KR 1020180067548 A KR1020180067548 A KR 1020180067548A KR 20180067548 A KR20180067548 A KR 20180067548A KR 20190141054 A KR20190141054 A KR 201901410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member
- heat insulating
- frame
- longitudinal direction
- receiving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26352—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 E06B2003/26354—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filled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8—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프레임부재와 단열재 사이의 접착면적의 증대 및 그에 따른 물리적인 결합력의 향상을 매개로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하고, 창호의 프레임부재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대체하여 열차단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우수한 단열 효과를 기반으로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을 개시한다.
전술한 단열성 창호 프레임은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재(10), 상기 프레임부재(10)에서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11)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각각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12),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12)와 함께 일체로 충전되는 단열재(20), 및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컷팅부(16)를 포함하고, 상기 내향 돌기부(12)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14)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stiffness standard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of the window grade agent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dhesion area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f the window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the physical bonding forc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 the frame member of the window and the foam rigi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nsulating window frame that can be replaced with a polyurethane foam to improve thermal barrier performance and save energy based on an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effect.
The above-mentioned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is open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part from the inner side wall 11 facing each other in the frame member 10 and the frame member 10, the upper part of which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part therein. Inwardly protruding portions 12 protruding from each other, a heat insulating material 20 integrally filled with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12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15 of the frame member 10 Including a cutting portion 16 to be cut along the,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12 has a plurality of curved incisions 14 which are concave opening toward the bottom portion 15 of the frame member 10. .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재와 단열재 사이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ng window fr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ulating window fr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meet the stiffness standards according to the strengthening of the window grade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will be.
특히,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에 대한 기계적 절삭가공을 통해 단열재를 중심으로 실내측 프로파일과 실외측 프로파일로 분할함으로써 열차단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ng window fr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ensur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y dividing the inner profile and the outdoor profile around the insulation through mechanical cutting of the frame member.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출입의 단속이나 채광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창호 시설물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창호 시설물은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거나 이동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 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a building is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window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cracking down or mining. Such window facilities include window frame frames fixed to walls and window frame frames fixed or movable and pivotable to the window frame frames. Can be distinguished.
또한, 창호 시설물은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과 여닫이식 및 고정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 목재 창호와 PVC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ows and doors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sliding type, opening type and fixed typ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can be divided into wooden windows, PVC windows and aluminum window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window frame.
이와 같은 창호 시설물에 있어, 창호 프레임은 에너지의 절감 차원에서 외부와의 단열 성능과 차음 성능 및 기밀 성능 등이 요구되는 데, 공개특허 제2017-0043737호에 개시된 고단열 알루미늄 창호의 경우에는 프레임 사이에 블록형 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외기의 유입과 내기의 누설에 따른 열손실을 방지하였다.In such a window installation facility, the window frame is required to heat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nd airtight performance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save energy, in the case of high-insulation aluminum window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0043737 Block type insulation was installed in to prevent heat loss due to inflow of outside air and leakage of inside air.
즉, 종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고단열 알루미늄 창호는 실내측 프로파일과 실외측 프로파일에 대해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발포 폴리우레탄 소재의 블록형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대류와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high-insulation aluminum window disclosed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comprises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indoor profile and the outdoor profile, and a block-type insulating member made of foamed polyurethane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s facing each other In order to minimize heat transfer due to convection and radiatio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창호 시설물에서는 프레임과 블록형 단열부재 사이의 결합력이 낮음으로 인해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프레임과 블록형 단열부재 사이의 결합력 저하는 내구시 만족스러운 수준의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ndows and door facilities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low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ame and the block-shaped insulation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meet the stiffness standard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window grader,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ame and the block-shaped insulation member is lowered Can not achieve a satisfactory level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resulting in unnecessary energy los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창호의 프레임부재와 단열재 사이의 접착면적 증대 및 그에 따른 물리적 결합력의 향상을 매개로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ulating window fr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meet the stiffness standard according to the strengthening of the window grade agent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dhesive area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f the window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the physical coupling force.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창호의 프레임부재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대체하여 열차단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우수한 단열 효과를 기반으로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 the frame member of the window with a polyurethane foam of a flexible hard material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to save energy based on the excellent heat insulation effect It is to provide an insulating window fr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각각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와 함께 일체로 충전되는 단열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컷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향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를 구비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frame member which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respectively protrud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from the inner wall facing each other in the frame member An inwardly projecting portion,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integrally filled with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and a cutting portion which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wherein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is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A thermally insulating window frame is provided having a plurality of curved cutouts that are concavely opened toward a portion.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열재의 충전시 상기 수용공간부의 외부로 단열재의 누설을 차단하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진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내측벽은 상단부에 상기 덮개부재의 조립을 위해 요홈부를 갖춘 걸림턱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blocks the leakag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w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having a recess for assembling the cover membe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향 돌기부는 상기 내측벽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곡형 절개부는 상기 내향 돌기부의 전장에 걸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while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the curved incision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It feature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열재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컷팅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made of a polyurethane foam of a foamed rigid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wherein the cut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do.
본 발명은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를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벽에 각각 구비하는 프레임부재를 제작하는 압출성형공정, 상기 내향 돌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를 성형하는 전단가공공정, 상기 프레임부재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각각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덮개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액상의 발포제를 주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충전공정,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재를 절개하는 절단가공공정을 포함하는 단열성 프레임부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usion molding for forming a fram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is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respectively provided on a pair of inner walls facing each other the inward protrusions projecting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Process, a shearing process for forming a plurality of curved incisions that are concavely opened toward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the accommodating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member are finished, respectively. After the cover memb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pace part, the filling process of forming a heat insulation layer by injecting a liquid foaming agent in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part, and cutting processing to cut the materi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Disclos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ulating frame member comprising a step.
본 발명은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탈장착을 위해 요홈부를 갖춘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는 상기 내측벽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단가공공정에서 상기 만곡형 절개부는 상기 내향 돌기부의 전장에 걸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rame member in 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with a locking jaw having a recess for the removal of the cover member, in the extrusion process the inward projection projec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While being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the curved incision in the shearing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단열층의 형성물질은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단열층 형성물질의 주입량은 폴리우레탄 폼의 팽창에 의한 여유공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상기 절단가공공정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 대한 절단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서 나란하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filling process is made of a polyurethane foam of a foamed rigid material,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nsulating layer form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filling process.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learance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polyurethane foam, the cutting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portion for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member is se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opposite par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은 프레임부재의 내측벽에서 수용공간부를 향해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에 대해 만곡형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창호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와 단열재 사이의 접착면적을 보다 넓게 확장시켜 이들 사이의 물리적인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forming a curved incision for the inward projection project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frame member to form an adhesive area between the frame member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window. It can be expanded more broadly to promote the physical bonding between them, thereby meeting the stiffness criteria of strengthening window grades.
이 경우, 프레임부재는 저면부에 대한 기계적 절삭가공을 통해 단열재를 중심으로 실내측 프로파일과 실외측 프로파일로 분할할 수 있으므로, 열차단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rame member may be divided into an indoor side profile and an outdoor side profile with respect 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rough mechanical cutting to the bottom part, thereby ensuring thermal cut-off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은 창호의 프레임부재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기존의 비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에서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대체함으로써 실내측 프로파일과 실외측 프로파일 사이에 대한 열차단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우수한 단열 효과를 기반으로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s a foamed rigid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in the polyurethane foam of the existing non-foamable hard material fill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 the frame member of the window The replacement with polyurethane foam improves the thermal barrier performa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profiles, as well as saving energy based on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에 대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향 돌기부에 구비되는 만곡형 절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있어, 압출성형공정과 전단가공공정에 의해 제작된 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있어, 단열층의 형성을 위해 덮개부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있어, 단열층의 형성을 위해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발포제를 주입하는 충전공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단열재가 경화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있어,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 대한 절단가공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에 대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rved cutout provided in the inward protrusion shown in FIG. 1.
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member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molding process and a shearing proces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of installing a cover member for forming a heat insulating laye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lling process of injecting a foaming agent into the frame member to form a heat insulating laye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process for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member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insulated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은 창호의 실내측 프로파일(1)과 실외측 프로파일(2)을 구성하는 프레임부재(10),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20), 및 상기 프레임부재(10)에 대해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the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프레임부재(10)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사각틀 형상의 압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단부에 위치한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도 역시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내측벽(11)을 구비하고, 각각의 내측벽(11)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12)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내측벽(11)은 상단부에 상기 덮개부재(30)의 탈장착이 가능한 조립을 위해 요홈부를 갖춘 걸림턱(13)을 구비하는 데, 상기 걸림턱(13)은 도 1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벽(11)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를 향해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덮개부재(30)는 상기 걸림턱(13)이 형성하는 요홈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내부 수용공간부를 폐쇄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턱(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벽(11)의 상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덮개부재(30)의 양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상부를 향해 개구되는 상기 걸림턱(13)의 요홈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13)에 의한 상기 덮개부재(30)의 장착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내향 돌기부(12)는 상기 내측벽(11)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wardly protruding
또한, 상기 내향 돌기부(12)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14)를 구비하는 바, 상기 만곡형 절개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향 돌기부(12)의 전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만곡형 절개부(14)는 상기 내향 돌기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재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분할편(14a)이 하향 굴곡진 형태로 변형되게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wardly projecting
이에 따라, 상기 내향 돌기부(12)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 내부로 충전되어 단열층을 형성하는 상기 단열재(20)에 대한 충전과정에서 상기 만곡형 절개부(14)가 가지는 분할편(14a)의 형성을 매개로 상기 단열재(20)와의 접착면적을 보다 넓게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부재(10)와 상기 단열재(20) 사이의 물리적인 결속력의 증진에 따른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wardly protruding
즉, 상기 만곡형 절개부(14)가 가지는 분할편(14a)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 내에서 상기 단열재(20)와의 차이의 접촉면적을 보다 넓게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단열재(20)와의 물리적인 결합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재(10)의 구조적 강성은 한층 더 크게 보강될 수 있으므로,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ivided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저면부(15)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컷팅부(16)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컷팅부(16)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의 폭 만큼 절개되어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에 형성되는 상기 컷팅부(16)는 실내측 프로파일(1)과 실외측 프로파일(2)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전도성 열전달의 경로를 중간에서 차단하는 일종의 열차단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재(10)에 대한 우수한 단열 성능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이 결과,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상기 단열재(20)와 상기 컷팅부(16)를 중심으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각각 분리되는 구조적인 분할 기능과 함께 열전달의 단절 기능을 가진 창호의 실내측 프로파일(1)과 실외측 프로파일(2)의 구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상기 단열재(20)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내부에 위치한 수용공간부 내에서 충전되어 상기 내향 돌기부(12)를 포함한 상기 만곡형 절개부(14)와 함께 일체를 이루게 된다. The
상기 덮개부재(3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대해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스트립 형태의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단열재(20)의 충전시 장착되어 수용공간부의 외부로 상기 단열재(20)의 누설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부재(30)를 대체하여 별도의 금속재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 내부를 외부에서 밀폐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금속재 몰드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매개로 동작하여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단부에 대해 탈장착이 가능한 상태의 밀착 구조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금속재 몰드를 적용할 경우에는 보다 용이한 탈장착을 위해 몰드의 이면에 이형제의 도포가 수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금속재 몰드는 이면에 이형제의 도포를 통해 상기 단열재(20)의 충전후 상기 프레임부재(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lace the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상기 프레임부재(10)를 제작하는 압출성형공정,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내부에 내향 돌기부(12)와 만곡형 절개부(14)를 각각 성형하는 전단가공공정,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 내부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충전공정, 및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에서 컷팅부(16)를 형성하는 절단가공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6,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al insulation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상기 압출성형공정은 상기 프레임부재(10)를 압출하여 제작하는 과정으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제작되는 상기 프레임부재(10)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단부에 위치한 전방단부와 후방단부가 각각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12)를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벽(11)에 각각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압출성형공정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용융시킨 다음 특정의 금형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의 압출 구조물인 상기 프레임부재(10)를 제작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is a process of extruding the
또한,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상단부에 상기 덮개부재(30)의 탈장착을 돕기 위해 요홈부를 갖춘 걸림턱(1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12)는 상기 내측벽(11)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the
상기 전단가공공정은 상기 내향 돌기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14)를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출형 전단돌기를 갖춘 펀치(미도시)를 이용한 전단가공에 의해 부재의 전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분할편(14a)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단가공공정에 있어, 상기 만곡형 절개부(14)는 상기 내향 돌기부(12)의 전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earing process is a process of continuously forming a plurality of
상기 충전공정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 상부에 탈장착이 가능한 스트립 형태의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진 덮개부재(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액상의 발포제를 주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즉, 상기 덮개부재(3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 상부에 조립되어 내부를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e filling process is to inject a liquid foaming agent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단열층의 형성물질은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외부와의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rming material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filling process is made of a polyurethane foam of a foamed rigid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is configured to maximize the heat insulating effect with the outside.
또한,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단열층 형성물질의 주입량은 폴리우레탄 폼의 팽창에 의한 여유공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바, 이는 충전과정에서 폴리우레탄 폼이 팽창됨에 따라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 내에서 발포제가 팽창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insulating layer form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in the filling process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ree space by the expansion of the polyurethane foam, which is leaked to the outside as the polyurethane foam is expanded during the filling proce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foaming agent can be expand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또한,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수용공간부는 탈장착이 가능한 금속재 몰드에 의해 밀폐되어 수용공간부를 외부에서 마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금속재 몰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구동수단을 매개로 동작하여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단부에 대해 탈장착이 가능한 상태의 밀착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space of the
상기 절단가공공정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재의 일부를 절개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별도의 절삭설비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절단가공공정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저면부(15)에 대한 절단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서 일정거리의 폭 만큼 나란하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utting process corresponds to a process of cutting a part of the materi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from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은 프레임부재(10)의 내측벽(11)에서 수용공간부를 향해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12)에 대해 만곡형 절개부(14)를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창호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10)와 단열재(20) 사이의 접착면적을 확대시켜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창호 등급제의 강화에 따른 강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sulating window fram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이 경우, 프레임부재(10)는 저면부(15)에 대한 기계적 절삭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컷팅부(16)를 매개로 하여 단열재(20)를 중심으로 실내측 프로파일(1)과 실외측 프로파일(2)로 분할할 수 있으므로, 열차단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창호 프레임과 이의 제조방법은 창호의 프레임부재(10)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20)를 기존의 발포성 연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에서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대체함으로써 실내측 프로파일(1)과 실외측 프로파일(2) 사이에 대한 열차단 성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우수한 단열 효과를 기반으로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window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s a polyurethane foam of a foamable hard material from the polyurethane foam of the existing foamable soft material to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below.
1-실내측 프로파일
2-실외측 프로파일
10-프레임부재
11-내측벽
12-내향 돌기부
13-걸림턱
14-만곡형 절개부
14a-분할편
15-저면부
16-컷팅부
20-단열재
30-덮개부재1-Indoor Profile 2-Outside Profile
10-frame member 11-inner wall
12-inward projection 13-jaw
14-
15-base 16-cut
20-insulation material 30-cover member
Claims (13)
상기 프레임부재에서 상호 대향하는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부를 향해 각각 돌출되는 내향 돌기부,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와 함께 일체로 충전되는 단열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컷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향 돌기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를 구비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 A fram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Inwardly projecting portions respectively projecting from the inner side wall facing each other in the frame member toward the receiving space,
Insulation material which is integrally filled with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in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ing a cutting portion which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And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curved cutouts that are recessed toward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탈장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열재의 충전시 상기 수용공간부의 외부로 단열재의 누설을 차단하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진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ulating window frame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space so as to be detachable and prevents leakag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w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상기 내측벽은 상단부에 상기 덮개부재의 조립을 위해 요홈부를 갖춘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inner wall is an insulating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has a locking step having a recess for the assembly of the cover member.
상기 내향 돌기부는 상기 내측벽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곡형 절개부는 상기 내향 돌기부의 전장에 걸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wardly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and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and the curved cutou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wardly protruding portion. frame.
상기 단열재는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ulating material is an insulating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lyurethane foam of a foamed rigid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pores therein.
상기 컷팅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t portion is a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member.
상기 내향 돌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를 향해 오목하게 개구되는 다수의 만곡형 절개부를 성형하는 전단가공공정,
상기 프레임부재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각각 마감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덮개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액상의 발포제를 주입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충전공정,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서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재를 절개하는 절단가공공정을 포함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An extrusion molding process of manufacturing a fram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each having a pair of inner walls facing each other with an inward protrusion projecting toward the receiving space;
A shearing process for forming a plurality of curved cutouts that are concavely opened toward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wardly projecting portion,
Filling process of forming a heat insulation layer by installing a cover memb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rame member, respectively, and then injecting a liquid blowing agent in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ulating window frame comprising a cutting process for cutting the materi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탈장착을 위해 요홈부를 갖춘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In 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the upper end of the fram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sulating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with a recess for integrally removing the cover member is formed integrally.
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내향 돌기부는 상기 내측벽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In the extrusion molding process, the inwardly protruding portion is protru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while being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상기 전단가공공정에서 상기 만곡형 절개부는 상기 내향 돌기부의 전장에 걸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rved cutou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wardly projecting part.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단열층의 형성물질은 발포성 경질소재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orming material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filling process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lyurethane foam of a rigid foam material.
상기 충전공정에서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단열층 형성물질의 주입량은 폴리우레탄 폼의 팽창에 의한 여유공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injection amount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form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filling step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ree space by the expansion of the polyurethane foa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sulating window frame.
상기 절단가공공정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저면부에 대한 절단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서 나란하게 설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cutting process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window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portion for the bottom portion of the frame member is se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opposite par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548A KR102071562B1 (en) | 2018-06-12 | 2018-06-12 |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548A KR102071562B1 (en) | 2018-06-12 | 2018-06-12 |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1054A true KR20190141054A (en) | 2019-12-23 |
KR102071562B1 KR102071562B1 (en) | 2020-02-04 |
Family
ID=6905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7548A Active KR102071562B1 (en) | 2018-06-12 | 2018-06-12 |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56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7588A (en) * | 2021-05-21 | 2022-1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Window with insulation block applie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0714B1 (en) * | 2021-07-27 | 2024-01-29 | 김성호 | Manufacturing apparatus of Frame for heat insulation windows |
KR102630698B1 (en) * | 2021-07-27 | 2024-01-29 | 김성호 | Frame for heat insulation windows and methode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2949A (en) * | 1993-08-31 | 1995-03-07 | Tateyama Alum Ind Co Ltd | Heat insulated composite structural angle |
KR20170043737A (en) | 2015-10-14 | 2017-04-24 | (주)엘지하우시스 | aluminium window for high thermal insulating |
KR101852089B1 (en) * | 2017-12-07 | 2018-04-27 | (주)콘즈 | Aluminum Window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High Adiabatic Performance |
-
2018
- 2018-06-12 KR KR1020180067548A patent/KR1020715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2949A (en) * | 1993-08-31 | 1995-03-07 | Tateyama Alum Ind Co Ltd | Heat insulated composite structural angle |
KR20170043737A (en) | 2015-10-14 | 2017-04-24 | (주)엘지하우시스 | aluminium window for high thermal insulating |
KR101852089B1 (en) * | 2017-12-07 | 2018-04-27 | (주)콘즈 | Aluminum Window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High Adiabatic Performan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7588A (en) * | 2021-05-21 | 2022-11-2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Window with insulation block appli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1562B1 (en) | 2020-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1570B1 (en) |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71562B1 (en) | Window and door frame with insulat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514022B1 (en) | Manufacture method of the insulation improved frame for windows and doors | |
KR101144649B1 (en) | 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 |
CN100478209C (en) | Glass run | |
KR101291800B1 (en) | Frame for windows and doors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on | |
US20080196342A1 (en) | Thermal composite window | |
EP3084109B2 (en) | Plastic insulating course, composite profile and window that comprise such an insulating cours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rame for a window | |
KR20170074069A (en) | Adiabatic window | |
JP6527756B2 (en) | Insulated door | |
KR20170130162A (en) | Aluminum sliding window for improving airtight and heat insulation | |
US20160222653A1 (en) | Mullion-Transom Structure | |
KR20070114016A (en) | Fully insulated flat glass rolling door | |
KR101722463B1 (en) | Windows and doors curtain wall insulation system | |
KR101852089B1 (en) | Aluminum Window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High Adiabatic Performance | |
KR101769180B1 (en) | Structure reinforcement assembly for fittings | |
KR101630675B1 (en) | heat shield type window structure | |
KR20120003262U (en) | Windows filled with insulation | |
KR101549043B1 (en) | A complex windos frame | |
KR101953406B1 (en) | reinforced insulation structure of windows | |
KR20170104201A (en) | Air filled door having high adiabatic and airtight property | |
KR102167411B1 (en) | How to Assemble Panel Assembly of Refrigerated Freezer | |
CN105042999A (en) | Foam glass door of cold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5371573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door body used for refrigerator, door body used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 |
KR101467446B1 (en) | Thermally Insulated Wind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