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709A - 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 Google Patents
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0709A KR20190140709A KR1020180067537A KR20180067537A KR20190140709A KR 20190140709 A KR20190140709 A KR 20190140709A KR 1020180067537 A KR1020180067537 A KR 1020180067537A KR 20180067537 A KR20180067537 A KR 20180067537A KR 20190140709 A KR20190140709 A KR 201901407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support
- user
- waist
- w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유아 체중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weight support apparatus capable of supporting an infant in a state of being worn on a waist of a user.
일반적으로 유아용 캐리어는 걸음마를 하지 못하거나 어린 유아들과 외출할 때, 유아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데리고 다니면서 돌보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a baby carrier is used to take care of a baby when traveling with children, when they are unable to walk or go out with young children.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가슴 쪽 또는 등쪽에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fant carrier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being placed on the chest side or the back side while being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user.
그러나, 종래 기술의 유아용 캐리어는 대부분 벨트 등을 통해 사용자의 어깨에 메거나 허리 등 상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체중이 사용자의 상체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에 상당히 무리가 따르게 되어 유아 돌봄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infant carrier of the related art is mostly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or the upper body such as the waist through a belt or the like, the weight of the infan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body of the user as it is, and thus the user's spine is considerab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rowd is not easy to take care of the infant.
또한, 종래 기술의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를 담아서 보호 및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 이동시에만 이용되고, 이때 유아가 활발하고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fant carrier of the prior art is mostly used only when moving because it consists of a form that protects and supports the inf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ant can not move freely and free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는 물론 다리 쪽까지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 돌봄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earable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to support the infant in the state of wearing not only the user's waist but also to the side of the leg wearab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관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다리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다리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와; 상기 힙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앞쪽과 뒤쪽으로 반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허리 착용대와; 상기 허리 착용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joint link structure and a pair of leg support made to support the load while wearing on the user's leg; A hip support connected to the top of the pair of leg supports and positioned at the hip of the user; A waist wear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to be worn on a user's waist and configured to be inver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ant support made to support the infan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ist wear.
상기 다리 지지대는, 상기 힙 지지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쪽에 착용되는 대퇴부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착용되는 종아리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와 종아리 링크가 연결되는 무릎 관절 부분 쪽에 구성되어 굽힘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g support is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and is worn on the thigh side of the user, the calf link is connected to the thigh link and worn on the calf side of the user, the thigh link and the calf link to the knee joint portion is connecte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tiffness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bending stiffness.
상기 대퇴부 링크와 종아리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다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착용 벨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thigh link and the calf link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wearing belt to be worn on the leg.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상기 종아리 링크 쪽에 구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로부터 상기 대퇴부 링크 쪽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종아리 링크 또는 대퇴부 링크 내에 구비되어 와이어의 위치 및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체와,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gidity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body provided on the calf link side, a wire connected from the connecting body toward the femoral link,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wire to provide elasticity, and provided in the calf link or thigh link. And a wir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wire,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thigh link sid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상기 연결체는 상기 종아리 링크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감길 수 있게 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so that the wire can be wound in a state fixed to the calf link.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일정 변위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레버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레버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결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provided on the thigh link sid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while moving a certain displacement, and provided on the thigh link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ever at the same time operating position of the leve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crystal for fixing the.
상기 허리 착용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ist bel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to be worn on the user's waist.
상기 힙 지지대와 허리 착용대 사이에는 상기 허리 착용대가 사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반전된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etween the hip support and the waist wea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osition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waist wear in a state inver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user.
상기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힙 지지대와 허리 착용대 사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The position support means may be a compressio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hip support and the waist wea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clearly through examples such as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or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wherein In addition to 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 sol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presented and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허리는 물론 다리 쪽까지 착용한 상태에서 지지대 위에 올려진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아기 돌봄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를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infant placed on the support in the state of wearing not only the user's waist but also to the side of the leg to increase the baby care convenience of the user, more stable to care for the infant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무릎 관절부에 굽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강성조절장치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ve smoothly in the state supporting the infant because the rigidity adjusting devic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bending stiffness in the knee joi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착용자의 앞쪽 이용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착용자의 뒤쪽 이용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로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의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의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의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상세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wearer in front us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wearer back.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knee joint stiffness control device of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knee joint stiffness control device of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nee joint stiffness control device of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은 착용자의 앞쪽 이용시의 사시도, 도 2는 착용자의 뒤쪽 이용시의 사시도, 도 3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에 구성되는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4는 측면 구성도, 도 5는 주요부 상세도, 도 6은 작동 상태도이다.1 to 3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when using the front of the wear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when using the wearer's back, Figure 3 is a side view to be. And, 4 to 6 is a view showing the knee joint stiffness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in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Figure 5 is a main part detail,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관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다리 지지대(10)와, 이 한 쌍의 다리 지지대(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30)와, 이 힙 지지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허리 착용대(40)와, 이 허리 착용대(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Thus, the main components of th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유아 지지대(50)는 아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아기의 다리가 올려질 수 있는 판형 구조를 비롯하여 아기가 앉을 수 있는 의자 구조까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First, the
또한 유아 지지대(50)는 아기가 발 등 신체가 닺는 부분에 쿠션 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유아 지지대(50)는 아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아기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안전 착용물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다음, 허리 착용대(4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 지지대(50)를 지지하고 힙 지지대(30)를 통해 한 쌍의 다리 지지대(10) 쪽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Next, the
이러한 허리 착용대(40)는 기본적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할 수 있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경량의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안착시킨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허리 착용대(40)는 적어도 사용자의 허리에 닿는 부분에는 쿠션 소재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허리 착용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쪽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착용대(40)의 분리 및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유아 지지대(50) 쪽에 버클 구조(42)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허리 착용대(40)의 결합 및 분리 위치, 개수는 실시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허리 착용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 쪽과 등 쪽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앞뒤로 역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허리 착용대(40)는 힙 지지대(30)에 힌지축(32)으로 연결되어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면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허리 착용대(40)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는 회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위치 지지수단(4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위치 지지수단(45)은 힙 지지대(30)에 구성되어 허리 착용대(40)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는 더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하는 스토퍼 구조물(미도시)일 수 있다.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구조물은 널리 공지된 구성으로 이에 대한 도면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Position support means 45 may be a stopper structure (not shown) that is configured to the
또한 위치 지지수단(45)은 힙 지지대(30)와 허리 착용대(40) 사이에 연결된 탄성 구조물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탄성 구조물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 스프링(47)을 이용하여 허리 착용대(40)를 탄성력 있게 지지하고, 이와 함께 반전 상태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압축 스프링(47)이 설치될 경우에 유아 지지대(50)에 아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아기가 상하로 움직일 때 압축 스프링(47)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upport means 45 may be an elastic structure connected between the
또한 위치 지지수단(45)은 압축 스프링(47)이 아니더라도 이와 유사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여러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허리 착용대(40)와 힙 지지대(30)를 연결하는 힌지축(32)에 스프링 구조물을 설치하여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support means 45 may be configured using a variety of known elastic members that provide a similar elastic force even if the
다음, 힙 지지대(30)는 사용자의 엉덩이 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허리 착용대(40)의 하중을 다리 지지대(1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부분으로서, 인체 모형에 따라 연결 링크 등을 이용하여 자유도를 추가하는 등 모션 구조 및 형상 등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Next, the
다음, 다리 지지대(10)는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힙 지지대(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무릎 관절 부분(10a)을 중심으로 대퇴부 링크(11)와 종아리 링크(15)로 이루어지고, 무릎 관절 부분(10a)은 굽힘 강성(또는 댐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즉, 다리 지지대(10)는, 상기 힙 지지대(30) 쪽에 연결축(35)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쪽에 착용되는 대퇴부 링크(11)와, 이 대퇴부 링크(11)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착용되는 종아리 링크(15)와, 대퇴부 링크(11)과 종아리 링크(15)가 연결되는 무릎 관절 부분(10a) 쪽에 구성되어 관절 부분의 탄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여기서, 대퇴부 링크(11)와 종아리 링크(15)에는 모두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 벨트(12)(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대퇴부 링크(1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링크 구조로 힙 지지대(3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대퇴부 링크(11)와 힙 지지대(30) 사이에 링크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힙 지지대(30)와 대퇴부 링크(11)의 연결축(35)에는 필요에 따라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 구조물(즉, 회전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와는 달리, 대퇴부 링크(11)를 힙 지지대(30)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대퇴부 링크(11)가 힙 지지대(30)에 대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이러한 대퇴부 링크(11)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강성조절장치(20)가 내장 또는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조절장치(20)의 설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The
종아리 링크(15)는 대퇴부 링크(1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강성조절장치(20)에 의해 상대 회전 강성 즉, 관절부 굽힘 강성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The
강성조절장치(20)는,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무릎 관절 부분(10a)의 굽힘 강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음직일 때는 무릎 관절 부분(10a)의 굽힘 강성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성조절장치(20)는, 종아리 링크(15) 쪽에 구비되는 연결체(21)와, 이 연결체(21)로부터 대퇴부 링크(11) 쪽으로 연결되는 와이어(23)와, 와이어(23)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4)와, 종아리 링크(15) 또는 대퇴부 링크(11) 내에 구비되어 와이어(23)의 위치 및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체(25)와, 대퇴부 링크(11) 쪽에 구비되어 와이어(23)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연결체(21)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와이어(23)가 감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종아리 링크(15) 쪽에 고정되어 종아리 링크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체(21)는 도 6에서와 같이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종아리 링크(15)가 움직일 때 와이어(23)를 당겨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Here, the
와이어(23)는 통상의 금속성의 선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금속 소재가 아닌 로프, 벨트 등의 선형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탄성 부재(24)는 와이어(23)의 중간에 설치되어 인장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 부재(24)는 와이어(23)의 중간 위치가 아닌 와이어(23)가 연결되는 양단부에 다른 구조물 사이에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와이어 안내체(25)는 회전 도르래 등으로 이루어져 와이어(23)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와이어가 지나가는 적절한 위치에 수 개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특히, 장력조절수단(26)은 대퇴부 링크(11) 쪽에서 와이어(23)를 당겨줄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ension adjusting means 26 is a portion configured to pull the
수동인 경우에는 대퇴부 링크(11) 쪽에서 사용자가 레버(27)를 직접 당겨서 와이어(23)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자동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서 와이어(23)를 당겨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anual,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수동 방식의 장력조절수단(26)을 예시하고 있다.In the drawing of this embodiment, a manual tension adjusting means 26 is illustrated.
수동 방식의 장력조절수단(26)은, 와이어(23)에 연결되고 대퇴부 링크(11) 쪽에 구비되어 일정 변위를 이동하면서 와이어(23)의 장력을 조절하는 레버(27)와, 대퇴부 링크(11)에 구비되어 레버(27)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레버(27)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결정체(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anual tension adjusting means 26 is connected to the
여기서 레버(27)의 이동 궤적은 실시 조건에 따라 직선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으로 상하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Here,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가이드 결정체(28)는 레버(27)의 작동 경로를 구성하고, 또한 레버(27)가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 등의 방법으로 그 위치가 정지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레버(27)의 걸림 및 위치 고정 구조는 공지의 가이드 구조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면 예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와 같은 강성조절장치(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와이어(23)의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을 때는 레버(27)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당겨서 와이어(23)의 장력을 크게 함으로써 무릎 관절 부분의 굽힘 강성을 크게 하여 다리 지지대(10)를 통해 안정된 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동할 때는 도 3에서와 같이 레버(27)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장력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무릎 관절 부분(10a)의 강성이 약해져서 사용자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다리 지지대 11 : 대퇴부 링크
15 : 종아리 링크 20 : 강성조절장치
21 : 연결체 23 : 와이어
24 : 탄성 부재 25 : 와이어 안내체
26 : 장력조절수단 27 : 레버
28 : 가이드 결정체 30 : 힙 지지대
40 : 허리 착용대 45 : 위치 지지수단
50 : 유아 지지대10: leg support 11: thigh link
15: calf link 20: rigidity control device
21: connector 23: wire
24: elastic member 25: wire guide
26: tension control means 27: lever
28: guide crystal 30: hip support
40: waist belt 45: position support means
50: infant support
Claims (9)
상기 한 쌍의 다리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와;
상기 힙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앞쪽과 뒤쪽으로 반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허리 착용대와;
상기 허리 착용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A pair of leg supports formed of a joint link structure to support a load while being worn on a user's leg;
A hip support connected to the top of the pair of leg supports and positioned at the hip portion of the user;
A waist wear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to be worn on a user's waist and configured to be inver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user;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ant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ist wearing to support the infant.
상기 다리 지지대는,
상기 힙 지지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쪽에 착용되는 대퇴부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착용되는 종아리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와 종아리 링크가 연결되는 무릎 관절 부분 쪽에 구성되어 굽힘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g support,
A thigh link connected to the hip support and worn on the thigh side of the user,
A calf link connected to the thigh link and worn on the calf side of the user,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ffness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the knee join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emoral link and the calf link is connected to the bending stiffness.
상기 대퇴부 링크와 종아리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다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착용 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t least one of the thigh link and the calf link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ing belt is provided to be worn on the leg.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상기 종아리 링크 쪽에 구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로부터 상기 대퇴부 링크 쪽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종아리 링크 또는 대퇴부 링크 내에 구비되어 와이어의 위치 및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체와,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tiffness control device,
A connector provided at the calf link side;
A wire connected from the connector toward the femoral link,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wire to provide elasticity;
A wire guide provided in the calf link or thigh link to guide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wir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thigh link side including a tens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상기 연결체는 상기 종아리 링크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감길 수 있게 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ng body is a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so that the wire can be wound in a state fixed to the calf link.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일정 변위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레버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레버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결정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ension control means,
A lever connected to the wire and provided at the femoral link side to adjust a tension of the wire while moving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provided on the thigh link comprising a guide crysta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and at the same time fixing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lever.
상기 허리 착용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waist wearable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to be worn on the user's waist.
상기 힙 지지대와 허리 착용대 사이에는 상기 허리 착용대가 사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반전된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 지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hip support and the waist wear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waist wear in a state inverted to the front or back of the user.
상기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힙 지지대와 허리 착용대 사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earable infant weigh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support means is a compressio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hip support and the waist we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537A KR102080685B1 (en) | 2018-06-12 | 2018-06-12 | 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537A KR102080685B1 (en) | 2018-06-12 | 2018-06-12 | 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0709A true KR20190140709A (en) | 2019-12-20 |
KR102080685B1 KR102080685B1 (en) | 2020-04-24 |
Family
ID=6906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7537A Active KR102080685B1 (en) | 2018-06-12 | 2018-06-12 | 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68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5260B1 (en) * | 2020-06-02 | 2021-01-20 | 채병식 | Baby carrier |
KR102205261B1 (en) * | 2020-06-02 | 2021-01-20 | 채병식 | Baby carri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08010A (en) * | 2011-03-14 | 2014-04-03 | カデンス バイオ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Orthosis and how to use an orthosis |
KR20150039640A (en) * | 2013-10-02 | 2015-04-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by carrier |
US20180020843A1 (en) | 2016-07-22 | 2018-01-25 | Jason Hornor | Wearable Portable Baby Changing Table |
KR101829876B1 (en) | 2017-07-03 | 2018-02-20 | 주식회사 아이엔젤 | Baby carrier |
-
2018
- 2018-06-12 KR KR1020180067537A patent/KR1020806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08010A (en) * | 2011-03-14 | 2014-04-03 | カデンス バイオ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Orthosis and how to use an orthosis |
KR20150039640A (en) * | 2013-10-02 | 2015-04-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by carrier |
US20180020843A1 (en) | 2016-07-22 | 2018-01-25 | Jason Hornor | Wearable Portable Baby Changing Table |
KR101829876B1 (en) | 2017-07-03 | 2018-02-20 | 주식회사 아이엔젤 | Baby carri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5260B1 (en) * | 2020-06-02 | 2021-01-20 | 채병식 | Baby carrier |
KR102205261B1 (en) * | 2020-06-02 | 2021-01-20 | 채병식 | Baby c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685B1 (en) | 2020-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52691B2 (en) | Middle waist work assist device | |
EP3998054A1 (en) | Waist assistance device | |
US11801596B2 (en) | System for assisting an operator in exerting efforts | |
KR102541908B1 (en) | A frame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 |
KR102218960B1 (en) | Torso support exoskeleton and how to use it | |
KR20150112592A (en) | Joint assembly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 |
WO2020129300A1 (en) | Bending/stretching motion assist device | |
KR20200015621A (en) | Device for supporting both arms of user | |
KR102115016B1 (en) | A driv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 |
EP1991182B1 (en) | Harness for stretching the penis | |
US20060167395A1 (en) | Shoulder brace with body to arm attachment straps | |
KR20170058634A (en) | A support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 |
US4802466A (en) | Lightweight, compact orthotic device for controlling knee instabilities | |
KR102197708B1 (en) | A support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 |
KR101641883B1 (en) | Apparatus for joint brace | |
US20180272524A1 (en) | Assist device | |
AU2019224931B2 (en) | Baby carrier | |
KR101518174B1 (en) | Suspend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having backpack and backpack | |
KR20190140709A (en) | 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 |
JP6270663B2 (en) | Walking assist device | |
KR102042519B1 (en) | Baby carrier | |
WO2018229772A1 (en) | A harness comprising interconnecting beams | |
US245524A (en) | Shoulder-brace | |
KR102042517B1 (en) | Baby carrier | |
CN108697521B (en) | Steering element for steering a cable at or in an orthopaedic or medical or exercise a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