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39540A - Costal cartilage harvester - Google Patents

Costal cartilage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540A
KR20190139540A KR1020180066139A KR20180066139A KR20190139540A KR 20190139540 A KR20190139540 A KR 20190139540A KR 1020180066139 A KR1020180066139 A KR 1020180066139A KR 20180066139 A KR20180066139 A KR 20180066139A KR 20190139540 A KR20190139540 A KR 2019013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blade
slit
plate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7064B1 (en
Inventor
최지윤
김정아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064B1/en
Publication of KR2019013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0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8Motors;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93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ri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exter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92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ri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골을 최소절개 후 빠르고 손쉽게 일정한 크기로 채취하도록 함으로써, 수술부위에 필요한 연골의 체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하여 이식 수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연골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채취기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연골이 노출된 절개부에 고정되고, 슬릿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대상체를 절개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는 작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ilage harvester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ransplantation surgery to ensure a stable volume of cartilage necessary for the surgical site by collecting the cartilage quickly and easily after a minimum incision.
Cartilag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ixed to the incision that the cartilage is exposed, the plate is formed with a slit; And a work machine having a handpiece coupled to the blades penetrating through the slit and moving along the slit to cut an object.

Description

가슴연골 채취기{Costal cartilage harvester}Chest cartilage harvester

본 발명은 가슴연골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골을 최소절개 후 빠르고 손쉽게 일정한 크기로 채취하도록 함으로써, 수술부위에 필요한 연골의 체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하여 이식 수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연골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st cartilage harvester, in particular, to collect cartilage quickly and easily after a minimum incision, to ensure a stable volume of cartilage required for the surgical site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ransplantation to the cartilage harvester It is about.

최근 얼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코 성형수술이 증가하고 있으며 코 성형수술의 기법 또한 많은 발전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코성형시에 콧등을 세우는 수술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콧등 뿐만 아니라 코끝 성형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코끝 성형은 코성형수술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동양인의 코끝은 피부가 두껍고 긴장이 심하며 뭉뚝한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동양인의 코끝 성형수술은 더욱 어렵다. Recently, as the interest in the face has increased, rhinoplasty has increased, and the technique of rhinoplasty has also been developed. Conventionally, surgery to raise the nose, etc. at the time of nose molding was mainly performed, but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nose, but also a lot of nose tip molding. However, nose tip molding is the most difficult part of nose surgery. In particular, because the nose tip of the Asian is thick, tense and blunt, Asian nose tip plastic surgery is more difficult.

코끝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봉합법과 자가 연골을 이용한 비주 지지대이식과 모자이식이 가장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코끝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이 방법들만으로는 코끝의 융비가 충분하지 않으며 이 방법들을 이용하여 코끝을 많이 올렸을 경우에 과도한 상방회전으로 인해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많은 제한들이 있어왔다. As a method of raising the tip of the nose, suture and autologous cartilage transplantation and hat transplantation have been most widely used. However, as the desire for the tip of the nose increases, these methods alone are not sufficient for the tip of the nose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such as unnaturalness due to excessive upward rotation when the nose tip is raised a lot using these methods.

이러한 제한들을 극복하고 코끝을 안전하면서도 충분히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비중격 연장이식술을 응용한 코끝의 교정이 최근에 많이 시행되고 있다. 비중격 연장이식술은 1997년에 Byrd 등이 발표한 것으로서 비중격 확장 이식편을 비중격의 미부에 고정하여 비첨부의 돌출 및 회전 등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increase the tip of the nose safely and sufficiently, the correction of the tip of the nose using the septal prosthesis has been recently performed. The nasal septal prosthesis, published by Byrd et al. In 1997, is a method of securing the nasal septum extension graft to the tail of the nasal septum to maintain stable protrusion and rotation of the apilla.

비주 지지대이식과 모자이식을 이용한 코끝성형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코끝이 내려오고 코끝을 무리하게 올렸을 때 과도한 회전이 되지만, 비중격 연장이식술은 융비를 충분히 하면서도 과도한 회전이 되지 않고 비구순각(nasolabial angle)을 유지하면서 코끝 융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중격 연장이식술은 여러가지 방법이 필요 없이 하나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술 전 계획이 쉽고 예측가능한 결과를 가져오며 한가지 술식을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간단하고 숙달되면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고 다른 방법에 비해 비중격 전방부(caudal septum)를 강화하고 편위의 교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부분의 코성형이 비중격 연장이식술을 이용해 이루어지고 있다. Nose support and nasal endoplasty using maternal grafts are excessively rotated over time when the tip of the nose is lowered and the tip of the nose is excessively raise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nose tip can be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In addition, prosthetic planning is easy and predictable by using one method without the need for multiple method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time if it is simple and mastered by using one method. Strengthen the caudal septum and correct the deviation. Therefore, most of the rhinoplasty has recently been performed using a septal prolongation.

이러한 비중격 연장이식술 외에도 기형을 해소하기 위한 수술, 재수술과 같은 수술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연골 또는 대량의 연골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때문에, 최근에는 연골의 양과 크기를 확보할 수 있는 가슴연골을 채취하여 이러한 수슬들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such prosthetic septal transplantation, surgery such as surgery to relieve anomalies, and re-surgery often require cartilage of a certain size or a large amount of cartilage. Therefore, recently, it is common to collect chest cartilage that can secure the amount and size of cartilage and use it in these shackles.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의사의 숙련도에 의지하여 가슴을 절개하고, 가슴연골을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수술 방법은 수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의인성 기흉, 연부조직, 신경 및 혈관의 손상과 같은 합병증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o this end, it is common to incision the chest and extract the breast cartilage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ian's skill in the prior art. However, the conventional surgical method takes a lot of time for the ope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mplications such as damage to human pneumothorax, soft tissues, nerves and blood vessels frequently occur.

또한,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채취되는 연골의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여 이를 이식한 후의 경과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artilage to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doctor is variou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cess after transplantation is not unifor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7500호(등록일 2002년 07월 23일) "연골 채취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347500 (Registration date July 23, 2002) "Cartilage sampl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골을 최소절개 후 빠르고 손쉽게 일정한 크기로 채취하도록 함으로써, 수술부위에 필요한 연골의 체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하여 이식 수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연골 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tilage harvester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ransplantation surgery to ensure a stable volume of cartilage required for the surgical site by quickly and easily collecting cartilage at a constant size after minimal incis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의사의 숙련도 의존을 최소화 함으로써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연골 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tilage harvester that can shorten the operation time,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by minimizing the dependence of the skill of the do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채취기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연골이 노출된 절개부에 고정되고, 슬릿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대상체를 절개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는 작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rtilag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is fixed to the incision in which the cartilage is exposed, the plate is formed with a slit; And a work machine having a handpiece coupled to the blades penetrating the slit and moving along the slit to cut an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채취기는 연골을 최소절개 후 빠르고 손쉽게 일정한 크기로 채취하도록 함으로써, 수술부위에 필요한 연골의 체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하여 이식 수술의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The cartilag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asily collect cartilage at a constant size after minimal incision, thereby stably securing the volume of cartilage necessary for the surgical site,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transplantation surg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슴연골 채취기는 수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의사의 숙련도 의존을 최소화 함으로써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reast cartilage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operation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by minimizing the dependence of the skill of the do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채취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플레이트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플레이트의 측면 예시도.
도 4는 블레이드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블레이드와 플레이트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tilag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plate.
3 is a side view of the plate.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various types of blades.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blade and the plat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the drawings to designate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채취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tilag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채취기는 플레이트(10)와 작업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artilag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 10 and the work machine 50.

플레이트(10)는 연골 재취를 위해 연골의 절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10)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작업기(50)에 포함되는 블레이드(70)를 안내하기 위한 슬릿(13)이 복수로 형성된다. The plate 10 serves to guide the incision of the cartilage for cartilage retake. To this end, the plat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lits 13 for guiding the blade 70 included in the work machine 50 are formed.

이 슬릿(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과 제1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10)는 연골을 추출하기 위한 절개부에 고정되고,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슬릿(13)을 관통하여 블레이드(70)가 연골에 접촉한 후 슬릿(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을 절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slits 13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slit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and slit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plate 10 is fixed to the incision for extracting the cartilage, penetrates the slit 13 formed in the plate 10, the blade 70 contacts the cartilage, and moves along the slit 13.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is cut.

이 플레이트(1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인체에 무독하고, 기계적으로 견고한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유사한 특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late 10 may be made of a non-toxic, mechanically rigid alloy such as stainless steel, but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he plate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other drawings below.

작업기(50)는 플레이트(10)가 고정된 부위의 연골을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이 추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작업기(50)는 동력을 공급하고,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52)가 마련되는 본체(51), 본체(51)와 연결되어 동력에 의해 블레이드(70)를 구동하는 핸드피스(60) 및 블레이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orking machine 50 cuts the cartilage of the portion where the plate 10 is fixed so that the cut portion can be extracted. To this end, the work machine 50 supplies power, a main body 51 having an interface 52 for operation, a handpiece 60 connected to the main body 51 to drive the blade 70 by pow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ade 70.

본체(51)는 핸드피스(60)에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체(51)는 작업기(50)의 동작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 동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기, 조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와 같은 구성이 마련되는 인터페이스(52)가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5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공기압 또는 전력을 핸드피스(60)에 생성하거나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체(51)는 튜브나 케이블과 같은 연결수단(53)에 의해 핸드피스(60)와 연결된다.The main body 51 serves to power the handpiece 60. To this end, the main body 51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52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such as an on / off switch for the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50, a regulator for adjusting the power level, and a display unit for checking the adjustment state. The main body 51 operate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generate or transmit air pressure or power to the handpiece 60. To this end, the main body 51 is connected to the handpiece 60 by a connecting means 53 such as a tube or a cable.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1)가 별도로 구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력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핸드피스(60)와 본체(51)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main body 51 is separately illustrated i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uggested that the handpiece 60 and the main body 51 can be integrally formed when electric power is used as the power.

핸드피스(60)는 동력에 의해 블레이드(70)를 일방향으로 왕복시키거나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핸드피스(60)에 의해 블레이드(70)가 플레이트(10)를 따라 이동하여 추출부위의 연골을 절개하게 된다. 이러한 핸드피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 외에도, 의료용 로봇의 암(ARM)에 결합되는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The handpiece 60 causes the blade 70 to reciprocate or rotate in one direction by power. Then, the blade 70 is moved along the plate 10 by the handpiece 60 to cut the cartilage of the extraction portion. The handpiece 6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s coupled to the arm of the medical robot, in addition to the form that the user can directly grip and use as shown.

이러한 핸드피스(60)는 블레이드(70) 별로 마련되거나, 블레이드(70)의 동작 방향에 따라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방향으로 왕복하는 형태로 동작하는 블레이드(70)와 회전하는 블레이드(70)를 위한 핸드피스(6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The handpiece 60 may be provided for each blade 70 or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blade 70. Specifically, the handpiece 60 for the blade 70 and the rotating blade 70 to operate in a reciprocating direction in one direction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핸드피스(60)는 블레이드(7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일측 종단에 암부(61)가 마련된다. 핸드피스(60)의 바디(63)에는 본체부(51)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의해 블레이드(70)를 구동하는 기어 또는 모터가 마련되고, 이 기어 또는 모터와 블레이드(70)를 암부(61)에 의해 연결하게 된다. 이 암부(61)의 내부에는 바디(63)의 기어 또는 모터와 결합되는 샤프트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샤프트의 종단은 블레이드(7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The handpiece 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lade 70. For this purpose, the arm 61 is provided at one end. The body 63 of the handpiece 60 is provided with a gear or motor for driving the blade 70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51, and the gear or motor and the blade 70 are armed 61. Connected by A shaft coupled to a gear or a motor of the body 63 may be provided in the arm 61, and an end of the shaf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blade 70 is detachably coupled.

특히, 암부(61)의 종단에는 플랜지(62)가 마련된다. 플랜지(62)는 연골의 절개가 진행되는 동안 블레이드(7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플랜지(62)는 블레이드(70)가 슬릿(13)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플레이트(10)의 상면(12)에 접촉하여 블레이드(70)가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고, 블레이드(70)의 구동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a flange 6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rm portion 61. The flange 62 serves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 blade 70 during the incision of the cartilage. The flange 62 contacts the upper surface 12 of the plate 10 when the blade 70 is inserted through the slit 13 to limit the depth at which the blade 70 is inserted, It allows the driving depth to be kept constant.

블레이드(70)는 핸드피스(60)의 암부(61)에 결합되어 핸드피스(6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진동, 왕복 및 회전과 같은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연골을 절개하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70)는 용도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70)가 마련되고, 연골 채취 순서에 따라 사용된다. 특히, 블레이드(70)는 핸드피스(6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레이드(70)가 소모되거나, 수술 대상이 변경되거나, 사용부위나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 교체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The blade 70 is coupled to the arm 61 of the handpiece 60 is driven by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handpiece 60, such as vibration, reciprocation and rotation is made, through which the cartilage is cut. The blade 7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70 according to the use, it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cartilage harvesting order. In particular, the blade 70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handpiece 60, so that the blade 70 is replaced when the blade 70 is consumed, the surgical object is changed, or the use site or purpose is chang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2 및 도 3은 플레이트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들로서, 도 2는 플레이트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3은 플레이트의 측면 예시도이다.2 and 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plate in more detail.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late,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lat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골이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균일한 형태로 추출되도록 블레이드(7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2 and 3, the plate 10 serves to guide the blade 70 so that cartilage is cut to a certain depth and extracted in a uniform form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플레이트(1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블레이드(70)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13 : 13a, 13b, 13c)이 형성된다. 플레이트(10)의 크기는 제1방향으로 40mm, 제2방향으로 1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채취되는 연골의 크기를 고려한 크기로 연골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연골의 추출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변경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lat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slits 13: 13a, 13b, 13c for guiding the blade 70 are formed. The plate 10 may have a size of about 40 mm in the first direction and about 10 mm in the second direction. This may be changed when the size of the cartilage is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artilage to be collected or when the extraction position of the cartilage is changed.

슬릿(13)은 제1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슬릿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슬릿(13a),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13b) 및 제3슬릿(13c)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t 13 may include a first slit 13a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med side by side, a second slit 13b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 third slit 13c formed in a first direction. have.

제1슬릿(13a)은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된다. 이 제1슬릿(13a)은 대략 1m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릿(13a)에는 제1블레이드가 관통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골을 절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슬릿(13a)은 사용자가 적절한 간격의 슬릿을 이용하여 절개할 수 있게 나란하게 복수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slits 13a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lit 13a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1 mm. The first blade penetrates the first slit 13a to move the cartilage while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lits 13a are formed in plural in parallel to allow the user to cut using slits at appropriate intervals.

제2슬릿(13b)은 제1슬릿(13a)의 일측 종단에 제1슬릿(13a)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제2슬릿(13b)은 제1슬릿(13a)에 의해 절개된 연골의 제2방향 부분 일단을 절단함과 아울러, 연골의 하부를 절취하기 위한 제3블레이드의 삽입위치를 마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제1슬릿(13a)의 일측 종단을 따라 형성되고, 제1슬릿(13a)의 폭에 비해 넓은 폭, 예를 들어, 3mm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슬릿(13b)의 폭은 제2블레이드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lit 13b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t 13a at one end of the first slit 13a and is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slit 13b is used to cut one end of the second direction portion of the cartilage cut by the first slit 13a and to prepar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third blade for cutting the lower part of the cartilage. . To this end, it is formed along one end of the first slit 13a,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for example, 3mm,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lit 13a. Here, the width of the second slit 13b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hape of the second blad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제3슬릿(13c)은 제1슬릿(13a)의 타측 종단에 제1슬릿(13a)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제3슬릿(13c)은 제2슬릿(13b)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하부가 절취된 연골의 타측 종단을 절단하여 분리하기 위해 제1블레이드 또는 제3 블레이드가 삽입 관통된다.The third slit 13c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lit 13a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t 13a and is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slit 13c is formed side by side with the second slit 13b, and the first blade or the third blade is inserted to cut and separate the other end of the cartilage from which the lower part is cut.

한편, 이러한 플레이트(10)의 하면(14)에는 복수의 돌기(15)가 형성된다. 이 돌기(15)는 핀과 같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절개부의 신체에 박힐 수 있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4 of the plate 10. This protrusion 15 is formed pointed like a pin, so that it is embedded in the body of the incision.

도 4 및 도 5는 블레이드와 이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로서, 도 4는 블레이드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블레이드와 플레이트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and 5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blade and its use,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various forms of the blade,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using the blade and the plate.

도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70)는 제1 내지 제3블레이드(70a, 70b, 70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블레이드(70a, 70b, 70c0가 도 4의 (a), (b), (c)에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lade 70 may include first to third blades 70a, 70b, and 70c. Such first to third blades 70a, 70b, 70c0 are shown in FIGS. 4 (a), (b) and (c).

(a)에 도시된 제1블레이드(70a)는 제1슬릿(13a)를 관통하여 연골에 접촉한다. 이 제1블레이드(70a)는 일측에 톱니 형태의 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70a)는 암부의 길이방향 즉, 플레이트(10)의 상면(1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여, 톱니 형태의 날이 연골을 절개하게 된다.The first blade 70a shown in (a) passes through the first slit 13a and contacts the cartilage. The first blade 70a may be formed with a sawtooth blade on one side. The first blade 70a vib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12 of the plate 10, so that the sawtooth-shaped blade cuts the cartilage.

(b)에 도시된 제2블레이드(70b)는 제2슬릿(13b)을 관통하여 연골에 접촉하고 연골을 절삭한다. 이 제2블레이드(70b)는 원통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연마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슬릿(13b)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골에 일정한 폭의 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제2블레이드(70b)는 회전에 의해 연골을 절삭하게 된다.The second blade 70b shown in (b) passes through the second slit 13b to contact the cartilage and cut the cartilage. The second blade 70b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columnar shape and formed of abrasive stone. Through this, the bone of a certain width may be formed in the cartilage while moving along the second slit 13b. The second blade 70b cuts cartilage by rotation.

(c)에 도시된 제3블레이드(70c)는 제2블레이드(70b)에 의해 형성된 골에 삽입되어, 제1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연골을 늑연골과 분리되도록 부분연골의 하부를 절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3블레이드(70c)는 끌 형태로 형성되고, 제1블레이드(70a)와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고, 이와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The third blade 70c shown in (c) is inserted into the bone formed by the second blade 70b, and cuts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al cartilage to separate the partial cartilage cut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rib cartilage. To this end, the third blade 70c may be formed in a chisel shape, vibr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blade 70a, and may vib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특히, 제2블레이드(7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62)와 날 본체 사이에 제3간격(h3)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1블레이드(70a)도 플랜지(62)와 인접한 부분에 일정폭으로 날이 형성되지 않는 제2간격(h2)이 마련된다.In particular, the second blade 70b is provided with a third gap h3 between the flange 62 and the blade body as shown. Similarly, the first blade 70a is also provided with a second gap h2 at which a blade is not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flange 62.

이러한 제2 및 제3간격(h2, h3)는 플레이트(10)의 두께(h1)에 대응되는 것으로 블레이드(70a, 70b)의 날 부분이 플레이트(10)와 접촉하여 블레이드(70a, 70b)의 날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레이트(10)와의 접촉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연골 부분의 절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econd and third intervals h2 and h3 correspond to the thickness h1 of the plate 10, and the blade portions of the blades 70a and 70b come into contact with the plate 10 to form the blades 70a and 70b. It is provided to prevent the blade portion from being damaged and to cut or damage the cartilage portion that is not intended by contact with the plate 10.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는 연골의 일부를 채취하고자 하는 위치의 절개부에 고정된다. 이때 플레이트(10)에 마련되는 고정돌기(15)가 연골 또는 근육조직을 파고들어가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plate 10 is fixed to an incision at a position where a part of cartilage is to be collected.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s 15 provided on the plate 10 are fixed by digging cartilage or muscle tissue.

그리고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슬릿(13a)를 통해 제1블레이드(70a)를 삽입함과 아울러 제1블레이드(70a)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제1블레이드(70a)가 연골을 얇은 폭으로 잘라내어 절개부(81)를 만들게 된다. In the fixed state, the user inserts the first blade 70a through the first slit 13a and operates the first blade 70a. Through this, the first blade 70a cuts the cartilage into a thin width to make an incision 81.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어 일정 깊이로 절개부(81)를 형성하면, 플랜지(62)가 플레이트(10)의 상부표면(12)과 일치되면서 제1블레이드(70a)의 삽입위치를 제한하여 절개부(81)의 깊이가 더 깊어지지 않고 제1블레이드(70a)의 날 길이만큼의 깊이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블레이드의 길이(플랜지로부터 날끝까지의 가장 긴 길이)가 7mm이면, 7mmn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절개부(81)가 형성된다.If the process proceeds to form the cutout portion 81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flange 62 is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12 of the plate 10 while limit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first blade 70a to cut the cutout portion ( The depth of 81 does not become deeper and is as deep as the blade length of the first blade 70a.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first to third blades (the longest length from the flange to the blade edge) is 7 mm, a cutout portion 81 having a depth of about 7 mmn is formed.

이후 사용자는 제1슬릿(13a)을 따라 제1블레이드(70a)를 이동시켜, 절개부(81)를 제1방향으로 확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정한 깊이로 제1슬릿(13a) 길이의 절개부(8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moves the first blade 70a along the first slit 13a to extend the cutout portion 81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cutout 82 of the length of the first slit 13a to a predetermined depth.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제1슬릿(13a)을 이용하여 먼저 형성한 절개부(81)와 나란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절개부(81)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cutouts 8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utouts 81 formed by using the other first slits 13a.

그리고, 절개부(81) 사이에 마련되는 부분연골을 양측 종단은 제2슬릿(13b)와 제3슬릿(13c)을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분연골의 하부는 제2슬릿(13b)을 통해 삽입되는 제3블레이드(70c)를 통해 부분연골의 하부를 조금씩 잘라내는 방법을 통해 부분연골을 늑연골과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partial cartilage provided between the incisions 81 can be cut using the second slit 13b and the third slit 13c.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partial cartilage is able to completely separate the partial cartilage from the rib cartilage through a method of cutting the lower part of the partial cartilage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third blade 70c inserted through the second slit 13b.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specific example in order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ithin the limits that various modifications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i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플레이트 12 : 상면
13 : 슬릿 50 : 작업기
51 : 본체 52 : 인터페이스
60 : 핸드피스 61 : 암부
62 : 플랜지 70 : 블레이드
10: plate 12: upper surface
13: slit 50: working machine
51: body 52: interface
60: handpiece 61: female
62: flange 70: blade

Claims (5)

판 형태로 형성되어 연골이 노출된 절개부에 고정되고, 슬릿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대상체를 절개하는 핸드피스를 구비하는 작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연골 채취기.
A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ixed to an incision in which cartilage is exposed, and a slit formed; And
And a working machine having a handpiece coupled to the blades penetrating through the slit and moving along the slit to cut an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제1폭으로 제1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슬릿;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폭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
상기 제2방향으로 형성되고 제3폭으로 형성되는 제3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연골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t is
At least one first slit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with a first width;
A second slit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formed in a second width;
And a third slit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third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절개부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연골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te is
Chest cartila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 fixing to the inci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골을 절개하는 제1블레이드;
상기 제2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골을 제2폭으로 절개하는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연골의 하부를 절개하는 제3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연골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blade moving along the first slit to cut the cartilage;
A second blade moving along the second slit to cut the cartilage to a second width; And
Chest cartilag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ird blade to cut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il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블레이드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핸드피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핸드피스부 사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연골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orking machine
A power unit for providing power for driving the blade;
The blade is coupled, and further comprises a handpiece portion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blade,
A breast cartilag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formed between the blade and the handpiece.
KR1020180066139A 2018-06-08 2018-06-08 Costal cartilage harvester Active KR102157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139A KR102157064B1 (en) 2018-06-08 2018-06-08 Costal cartilage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139A KR102157064B1 (en) 2018-06-08 2018-06-08 Costal cartilage harv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40A true KR20190139540A (en) 2019-12-18
KR102157064B1 KR102157064B1 (en) 2020-09-18

Family

ID=6905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139A Active KR102157064B1 (en) 2018-06-08 2018-06-08 Costal cartilage harv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0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574A (en) * 2021-11-24 2022-02-25 深圳市第二人民医院(深圳市转化医学研究院) Cartilage sampling device with accurate positioning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075B1 (en) 2021-09-28 2022-02-08 주식회사 이노브바이오 Cartilage extraction uni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0101B2 (en) * 1986-12-24 1996-12-04 オーソメッ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one cutting guide and its use
JPH10507107A (en) * 1994-09-02 1998-07-14 ハドソン・サージカル・デザ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ction of femur and tibia
KR100347500B1 (en) 1998-06-03 2002-08-03 윤영석 Apparatus for harvesting cartilage
KR100818730B1 (en) * 2000-02-03 2008-04-02 사운드 써지칼 테크놀로지 엘엘씨 Surgical handpiece with surgical blade
US20090024224A1 (en) * 2007-07-16 2009-01-22 Chen Silvia S Implantation of cartilage
KR20140109924A (en) * 2011-12-03 2014-09-16 아우로보로스 메디컬, 아이엔씨 Safe cutting heads and systems for fast removal of a target tissue
US20170143354A1 (en) * 2013-08-15 2017-05-25 Biomet Manufacturing, Llc X-ray based cutblock positioning ji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0101B2 (en) * 1986-12-24 1996-12-04 オーソメッ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one cutting guide and its use
JPH10507107A (en) * 1994-09-02 1998-07-14 ハドソン・サージカル・デザ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ction of femur and tibia
KR100347500B1 (en) 1998-06-03 2002-08-03 윤영석 Apparatus for harvesting cartilage
KR100818730B1 (en) * 2000-02-03 2008-04-02 사운드 써지칼 테크놀로지 엘엘씨 Surgical handpiece with surgical blade
US20090024224A1 (en) * 2007-07-16 2009-01-22 Chen Silvia S Implantation of cartilage
KR20140109924A (en) * 2011-12-03 2014-09-16 아우로보로스 메디컬, 아이엔씨 Safe cutting heads and systems for fast removal of a target tissue
US20170143354A1 (en) * 2013-08-15 2017-05-25 Biomet Manufacturing, Llc X-ray based cutblock positioning ji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574A (en) * 2021-11-24 2022-02-25 深圳市第二人民医院(深圳市转化医学研究院) Cartilage sampling device with accurate positioning mechanism
CN114081574B (en) * 2021-11-24 2022-10-11 深圳市第二人民医院(深圳市转化医学研究院) A cartilage material harvester with a precise position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064B1 (en)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0216B2 (en) Tissue repair kit
CA2892580C (en) Follicle punch for use with curled follicles
US67558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US7427285B2 (en) Keratome with suspended stabilized blade, applanator and guided engagement with keratome cutter head
US8021364B2 (en) Rasp attachment for a motor-driven surgical hand-held device
US20120022434A1 (en) Disposable handheld phacomorcellation device
KR20180102107A (en) Minimally invasive tissue sampling device
EP2051639B1 (en) Device for performing selective dissection of lung tissue
US105486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follicular unit transplantation
KR102157064B1 (en) Costal cartilage harvester
EP3260064A1 (en) Treatment instrument and treatment system
CN110809443A (en) Saw blade
US20110295375A1 (en) Allogenic Articular Cavity Prosthesis and Method for Implanting the Same
US20100241125A1 (en) Oscillating bone chipper
AU764116B2 (en) Keratome and blade changer
US10159508B2 (en) Follicle punch for use with curled follicles
US9192451B2 (en) Oscillating blade for cutting periodontal ligaments and luxating tooth roots
EP3849443B1 (en) Cutting tool for the vertical incision of a tendon
US20250049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a tendon
US11311310B2 (en) Fixed depth skin flap elevator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9048242U (en) Tomography costal cartilage cuts pincers
EP2939617A1 (en) Follicle punch for use with curled follicles
CN109788961B (en)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 breaking tool
CN215899820U (en) Breast augmentation operation stripper
CN211156098U (en) Blade for poking holes on body surface of endoscopic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