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39190A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 Google Patent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190A
KR20190139190A KR1020190162954A KR20190162954A KR20190139190A KR 20190139190 A KR20190139190 A KR 20190139190A KR 1020190162954 A KR1020190162954 A KR 1020190162954A KR 20190162954 A KR20190162954 A KR 20190162954A KR 20190139190 A KR20190139190 A KR 2019013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osed
outer case
inner case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7472B1 (en
Inventor
정원영
지성
이명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72B1/en
Publication of KR2019013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190A/en
Priority to KR1020200183219A priority patent/KR1023304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7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which can increase insulation effects by forming a vacuum space between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and can promote a compact external volume. The refrigerato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predetermined storage materials can be stored. Moreover, the main body comprises: the inner case having the storage space; the outer case having the inner case stored therein, and having an inner surface spaced apart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vacuum space unit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having an inner portion sealed to be kept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on fun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Description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A refrigerator comprises a vaccum space

본 발명은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부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단열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vacuum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improving a heat insulating function of a refrigerator by forming a vacuum space between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constituting a main body.

냉장고는 냉매싸이클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영상 또는 영하의 온도로 형성하여, 저장물을 냉장보관 또는 냉동보관할 수 있는 전기제품이다. A refrigerator is an electric product that uses a refrigerant cycle to form a temperature of a storage room at an image or sub-zero temperature so that the storage can be refrigerated or frozen.

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storage is formed, and a door dispos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or slide-movabl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본체의 경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n inner cas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n outer case in which the inner case is accommodated, and an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이러한 단열재에 의하여 외부 온도에 의하여 저장공간 내의 온도가 영향받는 것이 억제된다. It is suppressed that the temperature in a storage space is influenc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by this heat insulating material.

다만,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가 어느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이는 그만큼 단열재가 두꺼워지는 것을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내부 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벽 두께가 두꺼워져서 냉장고의 크기가 그만큼 커지게 된다.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insulation effect using the insulation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material must be secured to some extent, which means that the insulation material becomes thicker, and naturally, the wall thickness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becomes thicker, so that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is large. You lose.

그런데, 최근에는 냉장고의 컴팩트화 경향이 대두되어, 내부 저장공간의 용적은 크게하면서도 외부 크기는 종전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However, in recent years, the trend toward compactness of the refrigerator has emerged, and the necessity of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external size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internal storage space has emerged.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외부 용적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atisfy this need, and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heat insulation effect and compacting the external volume while forming a vacuum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와;상기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와;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the main body and the inner case is provided with the storage space; The inner case is accommodated, the inner surface is the An outer cas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opera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cuum space portion.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이격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support them and maintain the spaced state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rib provided to protrude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상기 보강리브의 돌출높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truding height of the reinforcing ri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상기 보강리브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rib is composed of a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면에 마련되는 내측 보강리브와,The reinforcing ribs and the inner reinforcing rib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에 마련되는 외측 보강리브를 포함하되, Including an outer reinforcing ri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상기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측 보강리브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측 보강리브는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reinforcing ribs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s may be alternately disposed so that the inner reinforcing ribs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s do not interfere.

상기 내측보강리브 또는 상기 외측 보강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호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one of the inner reinforcing ribs or the outer reinforcing ribs may be disposed to face in mutually intersecting direction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at least one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rib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보강리브와; The reinforcing rib may include: a first reinforcing rib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보강리브와 상호 교차되는 제2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reinforcing rib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reinforcing rib.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마련되며,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포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rming unit is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상기 포밍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m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상기 포밍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에 형성되는 내부 포밍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외부 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ming part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may include an inner forming part formed on the inner case and an outer forming part formed on the outer case.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마련되고, 상기 포밍부가 배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inforcing fram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disposed in a different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ming portion is disposed to further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을 둘러싸며 연결되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fram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ring connect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을 지지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을 따라서 연결되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fram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a ring shape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connec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상기 보강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상기 포밍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1포밍부와;The forming unit includes a first forming unit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2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forming part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진공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복사 또는 가스에 의한 열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다공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disposed in the vacuum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rous material for preventing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of at least any one of heat radia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or heat conduction by gas.

상기 진공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s disposed inside the vacuum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etter for absorbing the gas present in the vacuum space.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통상의 단열재가 아닌 진공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진공공간부에 의하여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간의 열 전달이 억제되는 단열작용이 이루어진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vacuum space portion that is not a normal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the vacuum space portion makes a heat insulating action in which heat transfer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s suppressed.

진공 상태의 단열효과가 통상적인 단열재에 의한 진공효과보다 현저하게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전의 냉장고보다 단열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n the vacuum state is remarkably superior to the vacuum effect by the conventional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hermal insulation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한편, 진공공간부의 경우, 그 두께(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간의 간격)에 무관하게 진공 상태만 유지되면 단열이 되나, 통상의 단열재의 경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고, 이러한 두께의 증가는 곧 냉장고의 크기의 증가로 이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acuum space portion, the insulation is maintained as long as the vacuum state is maintained regardless of its thickness (gap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 increase in thicknes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래의 냉장고와 비교하여, 그 저장공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외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냉장고의 컴팩트화에 기여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the same storage spa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mpactness of the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 형성되는 진공공간부의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본체의 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에 장착되는 보강프레임의 전체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에 장착되는 보강프레임의 전체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보강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마련되는 진공공간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마련되는 진공공간부 및 진공공간부에 채워진 다공성 물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또는 포어(pore)의 크기에 따른 단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main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n interior of a vacuum space part formed in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main bod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main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main bod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ase and the reinforcement frame mounted to the inn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case and a reinforcement frame mounted to an outer case constituting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vacuum space part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cuum space portion and a porous material filled in the vacuum space portion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graph showing the insul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es or pores of the porous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ing proced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4)와, 상기 본체(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도어(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first door 4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nd a slide in the main body 1. The second door 5 is provided to be movable.

여기서, 상기 제1도어(4)는 저장실 중 냉장실을 개폐하고, 제2도어(5)는 저장실 중 냉동실을 개폐하는 기능을 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door 4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door 5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in the storage compar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1)의 구조를 보면, 그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111)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110)와, 상기 내부케이스(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외부케이스(120)로 구성된다. In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 an inner case 110 in which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111 is formed therei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case 110 are formed, and the inner case 110. It consists of an outer case 120 surrounding.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1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는 별도의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단열작용을 한다.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parat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not disposed in this space, it is maintained only in a vacuum to perform the heat insulating action.

즉,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 케이스(110) 사이에는 진공공간부(130)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20) 간의 열전달을 매개하는 매질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한다. That is, the vacuum case 13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so that the medium mediat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is removed. Keep it.

그럼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120) 외부의 더운 공기의 영향이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온도에 변화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hot air outside the outer case 120 may be prevented from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case 110.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공간부(130)가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스페이서(spacer)역할을 하는 지지부(140)가 필요하며, 이러한 지지부(14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Spacer for maintaini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acuum space 130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The supporting unit 140 is required to act, and the supporting unit 140 is dispos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respectively.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면접하거나,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면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40 is disposed to protrude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to be interviewed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or to protrude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to be disposed on the inner case 110. It may be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view.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o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may be disposed.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120) 내면에 배치되는 지지부(140)와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지지부(140)의 위치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part 14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and the support part 14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re preferably stagger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상기 지지부(140)와 별도로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50)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150 to reinforce the strength separately from the support portion 140.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두께가 두껍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공간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110)나 외부케이스(120)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Since the thickness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is not thick, the inner case 110 or the outer case may be distorted by an external impact or in the air drawing operation to form the vacuum space 130. There may be a variation of 120.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이나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보강리브(150)를 배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reinforcing rib 15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to reinforce the strength.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15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inforcing rib 1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한편, 상기 진공공간부(130)에는 진공공간부(130)에 존재할 수 있는 기체를 포집할 수 있는 게터(getter)(160)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20) 또는 내부 케이스(110)의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체에 의한 열전달을 미연에 방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acuum space 130 is provided with a getter (160) to collect the gas that may exist in the vacuum space 130, the chemical of the outer case 120 or the inner case 110 It prevents heat transfer by gas which can be caused by change.

상기 게터(160)는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천정이나 바닥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tter 16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ceiling or the bottom of the vacuum space 130.

상기 게터(160)는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의 잔류 기체 분자를 흡착하거나 그것과 화합해서 고체 화합물을 만드는 작용이 강한 물질로 구성된다. The getter 160 is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 action of adsorbing or combining residual gas molecules in the vacuum space 130 to form a solid compound.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에서 만족할 만한 진공도를 얻기 위해서는 진공펌프 만으로는 기술적으로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게터(160)를 사용한다. In order to obtain a satisfactory degree of vacuum in the vacuum space 130, the getter 160 is used because it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expensive.

게터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고체 상태이면 흡착 작용이 강한 것을 접촉 게터라고 하고, 기체 상태이며 강한 화합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분산 게터라고 한다. There are many kinds of getters. In the solid state, those having strong adsorption action are called contact getters, and those having gaseous state and strong compounding action are called disperse getters.

현재 사용되는 게터의 재질은 활성탄, 바륨, 마그네슘, 지르코늄, 붉은 인 등이다. Current getter materials include activated carbon, barium, magnesium, zirconium, and red phosphorus.

한편,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전방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전방 테두리를 연결하여 실링하는 전면 커버(170)에 의하여 차폐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vacuum space 130 is shielded by the front cover 170 for connecting and sealing the front edge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리브(150)와 상기 지지부(140)는 서로 겹치지 않게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3(a)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를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상기 외부 케이스(120)를 나타낸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reinforcing ribs 150 and the support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3 (a) shows the inner case 110, and FIG. 3 (b) shows the outer case 120.

상기 보강리브(150)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전후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reinforcing ribs 150 are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but are shown to cross each other, but may be arranged in only one direction.

여기서, 제1방향(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제1보강리브(151)라고 하고, 제2방향(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제2보강리브(152)라고 하면, 상기 제1,2보강리브(151,152)는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며, 직교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ere, the reinforcing rib 150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irst reinforcing rib 151, and the reinforcing rib 150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second reinforcement. Speaking of the rib 152,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ribs 151 and 152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t is most preferably provided in an orthogonal state.

그리고,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보강리브(150)와 보강리브(150) 사이에 있는 표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140 is preferably disposed on a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rib 150 and the reinforcing rib 150.

여기서,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외부 보강리브(150a)라고 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보강리브(150)를 내부 보강리브(150b)라고 하는 경우,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a)와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b)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겹치지 않게 상호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Here, the reinforcing rib 15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is called an out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reinforcing rib 15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is an inner reinforcing rib 150b. ),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b should b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서로 겹쳐지거나 간섭되는 경우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두께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간의 겹침 또는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When overlapping or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he vacuum space portion 130 becomes thick, so that the overlap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vacuum space portion 130 or To prevent interference.

따라서,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는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에서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may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vacuum space 130.

즉,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특정한 지역에서 내부보강리브(150a)-외부보강리브(150b)-내부 보강리브(150a)-외부 보강리브(150b)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inner reinforcing ribs 150a, the outer reinforcing ribs 150b, the inner reinforcing ribs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s 150b in a specific region of the vacuum space 130.

그리고,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 또는 외부 케이스(120)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may be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case 110 or the outer case 120 to cross each other.

상기 보강리브(150)가 일방향으로만 배치되어도 보강기능을 할 수 있으나, 교차되는 경우, 강도보강의 효과가 현저하게 크기 때문이다. Even if the reinforcing rib 150 is disposed only in one direction, the reinforcing rib 150 may serve as a reinforcing function.

한편, 상기 지지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는 보강리브(150)와 보강리브(150)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과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140,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 150 and the reinforcing rib 1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이는 상기 진공공간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20)간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maintain the overall distance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constituting the vacuum space 130.

도4는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에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가 서로 겹치지 않게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4 illustrates a part of the vacuum space part 130, wherein the inner reinforcement ribs 150a and the outer reinforcement ribs 150b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한편,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및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의 돌출 길이 또는 돌출 높이는 상기 진공공간부(1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 보강리브(150b)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가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protruding length or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and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vacuum space 130, which is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o prevent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from tou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만약에 상기 보강리브(150)의 접촉이 있는 경우, 그 부분으로 열전달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필요에 의하여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또는 내부 보강리브(150a)의 돌출길이 또는 돌출 높이를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re is a contact of the reinforcing rib 150, heat transfer may occur to the portion, so as to prevent this, the protruding length or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rib 150b or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may be increased. It is preferable to form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130.

한편,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게 함으로써, 상기 진공공간부(130)의 폭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140 by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130, it should be performed to maintai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130.

다만, 상기 지지부(140)를 통해서 상기 열전달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140)의 폭을 유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지지부(140)의 수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since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heat transfer through the support 140,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quantity of the support 140 within a limit capable of maintaining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140.

도5는 상기 보강리브(150)가 상기 진공공간부(130) 내부에 하나의 방향으로만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5 shows that the reinforcing rib 150 is disposed in only one direction in the vacuum space 1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150)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150 is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ut it is conceivable that the reinforcing rib 15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도6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20)에 각각 상기 보강리브(150)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보강리브(150)가 상기 내부케이스(110)에만 마련되거나, 상기 외부 케이스(120)에만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6 shows that the reinforcing ribs 150 are disposed i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respectively, but the reinforcing ribs 150 are provided only in the inner case 110, or It may be provided only in the outer case 120.

상기 보강리브(150) 중 내부 보강리브(150a)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벽 측면과 상면과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The inner reinforcing ribs 150a of the reinforcing ribs 150 ar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uter wall sid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50) 중 외부 보강리브(150b)는 상기 외부 케이스(120)의 내벽 측면과 내벽 상부,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reinforcing ribs 150b of the reinforcing ribs 150 ar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inner wall side, the inner wall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ase 120.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보강리브(150)와 보강리브(15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The support portion 140 is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 150 and the reinforcing rib 150, respectively.

여기서도, 제1실시예와 같이, 어느 하나의 케이스(110, 120)에 형성되는 보강리브(150)는 다른 케이스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Her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important that the reinforcing ribs 150 formed in one of the cases 110 and 120 do not contact the other case.

따라서, 상기 지지부(140)의 돌출 높이 또는 길이 보다 상기 보강리브(150)의 돌출길이 또는 돌출높이가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length or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inforcing rib 150 is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r the length of the support 140.

그리고,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 보강리브(150b) 모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내부보강리브(150a)와 상기 외부보강리브(150b)는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거나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both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are provided,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are spaced apart or alternately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desirable.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 외부케이스(21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제1,2실시예에 나타난 보강리브(150) 대신, 포밍부(250)가 마련된다. 7 and 8 are for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reinforcing ribs 150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210 and the outer case 210. The forming unit 250 is provided.

상기 포밍부(250)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표면과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표면에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210) 및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표면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The forming unit 250 is formed to be bent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ase 210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case 22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the surfaces of the inner case 210 and the outer case 220 Are arranged continuous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케이스(210)에 형성되는 포밍부(250)를 내부 포빙부(250a)라고 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20)에 형성되는 포밍부(250)를 외부 포밍부(250b)로 정의하겠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ming unit 250 formed on the inner case 210 is referred to as an inner foaming unit 250a and the forming unit 250 formed on the outer case 220 is referred to as an external forming unit 250b. I will define it.

상기 내부 포밍부(250a)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양측면과, 상면, 하면, 후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다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The inner forming unit 250a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both side surfaces,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210. However,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그리고, 상기 외부 포밍부(250b)도 상기 외부 케이스(220)의 양측면과, 상면, 하면, 후면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forming unit 250b is also formed to protrude inward or outward from both side surfaces,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220.

상기 제1,2실시예에서 보강리브(150)의 돌출높이 또는 길이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공간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 처럼, 상기 포밍부(250)의 돌출된 정도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공간부(2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orming height or length of the reinforcing rib 15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130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250 is also preferab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230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밍부(250)를 통한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외부케이스(220)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inner case 210 and the outer case 220 through the forming unit 250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외면 또는 상기 내부케이스(210)의 내면에도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외부케이스(220) 사이의 진공공간부(230)의 간격 또는 폭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240)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or width of the vacuum space portion 230 between the inner case 210 and the outer case 220 also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210 or the inner case 210 ( 240 is provided.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포밍부(250)의 주위에 마련되는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art 240 is preferably formed on a plane provided around the forming part 250.

상기 제1,2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보강리브(150a)와 외부 보강리브(150b)가 상호 접촉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한 것 처럼, 상기 내부 포밍부(250a)와 상기 외부 포밍부(250b)도 상호 접촉하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inner reinforcing rib 150a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150b do not contact or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inner forming part 250a and the outer forming part 250b are also mutually It is preferred to be arranged so as not to contact or interfere.

이와 같은 상기 내부 포밍부(250a)와 상기 외부 포밍부(250b)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진공공간부(230)의 폭을 최소화 하여 냉장고의 컴팩트 화에 기여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internal forming unit 250a and the external forming unit 250b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unit 230 may be minimized to contribute to the compactness of the refrigerator.

도7와 도8에서 나타난 상기 포밍부(250)는 제1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포밍부(251)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 또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포밍부(252)를 포함한다. The forming unit 250 shown in FIGS. 7 and 8 includes a first forming unit 251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r in a front-rear directio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or an up-down or left-right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forming unit 252 is arranged to.

상기 제1포밍부(251)와 제2포밍부(252)를 교차하게 배치하는 것은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강도 보강이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rranging the first forming unit 251 and the second forming unit 252 to cross each other is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210 and the outer case 220 more effectively.

상기 제1포밍부(251)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포밍부(252)도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orming unit 251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forming unit 25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포밍부(251)와 상기 제2포밍부(252)가 상호 교차되게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10)와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강도가 보강되면, 별도의 강도 보강을 위한 부재가 불필요할 것이다. When the first forming part 251 and the second forming part 252 cross each other, and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210 and the outer case 220 is reinforced, a member for additional strength reinforcement is provided. Would be unnecessary.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60은 게터이고, 270은 상기 진공공간부(230)의 전방을 차폐하여 상기 진공공간부(230)를 밀폐하는 전방커버이다. Reference numeral 260, which is not described, denotes a getter, and 270 denotes a front cover that closes the front of the vacuum space part 230 to seal the vacuum space part 230.

한편, 제4실시예와 관련된 도9내지 도10에서도 포밍부(350)가 형성되는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역시 내부케이스(310)와 상기 내부케이스(310)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320)로 나뉜다.Meanwhile, FIGS. 9 to 10 related to the fourth embodiment also show a case in which the forming part 350 is formed, and the case also includes an inner case 310 and an outer case in which the inner case 310 is accommodated. 320).

상기 내부케이스(310)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는 상기 내부케이스(310)와 상기 외부케이스(320)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부(340)가 마련된다. A support part 340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다만, 도7과 도8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포밍부(350)가 특정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었다는 점이다. 다만, 상기 포밍부(350)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S. 7 and 8 is that the forming unit 350 is continuously disposed in a specific direction, specific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the forming unit 35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도, 포밍부(350) 중에서 상기 외부케이스(320)에 형성되는 것은 외부 포밍부(320),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 형성되는 것은 내부 포밍부(350a)라고 하겠다.Here, the forming part 350 is formed in the outer case 320, the outer forming part 320, and the forming in the inner case 310 will be referred to as the inner forming part (350a).

본 실시예서 중요한 점은 상기 포밍부(350)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 중 어느 한 쪽을 향해서만 배치되었다는 점이다.An important point in this embodiment is that the forming unit 350 is disposed only in either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포밍부(350)를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배치하는 것의 장점은, 도7내지도8의 경우보다 케이스 형성을 위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As such, the advantage of arranging the forming part 350 in only one direction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mold for forming the case can be simpler than in the case of FIGS. 7 and 8.

다만, 상기 포밍부(350)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시간이나 비용적으로 도 7내지 도8의 경우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으나, 강도 보강이라는 측면에서는 뒤쳐질 수 밖에 없다.However, when the forming part 350 is disposed only in one direction, it is in a superior position than the case of FIGS. 7 to 8 in terms of time and cost, but is inferior in terms of strength reinforcement.

따라서, 강도 보강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ount a separate member for strength reinforcement.

도11과 도12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 프레임(380)을 도시하였다.11 and 12 illustrate a reinforcing frame 380 for strength reinforcement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상기 보강프레임(380) 중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380)을 내부 보강프레임(380a)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320)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380)을 외부 보강프레임(380b)이라고 정의한다.The reinforcement frame 380 disposed on the inner case 310 of the reinforcement frame 380 is defined as an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and the reinforcement frame 380 disposed on the outer case 320 is an outer reinforcement frame. It is defined as (380b).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보강프레임(380a)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을 둘러싸는 띠 또는 링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11,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or ring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it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내부 보강프레임(380a)의 배치방향은 상기 내부 포밍부(350a)의 배치방향과 교차되게 함으로써, 상기 내부포밍부(350a)가 커버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한다.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frame 380a is made to cros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ner forming unit 350a, thereby forming a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that the inner forming unit 350a cannot cover. Prevent deformation of the inner case.

본 도면에서처럼, 상기 내부 포밍부(350a)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양 측면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inner forming unit 350a is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is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case 310, and the inner case 31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to the both sides of the up-and-down direction.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 표면에 상기 내부 포밍부(350a)에 의한 돌출부(P)와 리세스(R) 부가 형성되면, 상기 내부 보강부재(380a)는 상기 돌출부(P)와 상기 리세스 부(R)의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When the protrusion P and the recess R are formed by the inner forming part 350a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the inner reinforcing member 380a is formed with the protrusion P and the recess. I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ortion (R).

즉, 상기 내부 포밍부(350a)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은 그 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 포밍부(350a)와 내부 포밍부(350a)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 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외부로 돌출된 부분 보다는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That i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portion protruding by the inner forming portion 350a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contacts the recess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ner forming portion 350a and the inner forming portion 350a. The part is to be arranged in a form that went into the inner side than the portion projecting outward.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외부 보강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an outer reinforcement frame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outer case 320.

상기 외부 보강프레임(380b)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는 띠 또는 링 형태(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며,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80b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ip or ring (closed loop shape) dispos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and is preferably form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외부 보강프레임(380b)의 배치방향은 상기 외부 포밍부(350b)의 배치방향과 교차되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포밍부(350b)가 커버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변형을 방지한다.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80b is made to cros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outer forming unit 350b, thereby forming a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that the outer forming unit 350b cannot cover. The deformation of the outer case 320 is prevented.

본 도면에서처럼, 상기 외부 포밍부(350b)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부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양 측면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outer forming unit 350b is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80b is dispos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320, the outer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h sides of the 320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320) 표면에 상기 외부 포밍부(350b)에 의한 돌출부(P)와 리세스 부(R)가 형성되면, 상기 외부 보강프레임(380b)는 상기 돌출부(P)와 상기 리세스 부(R)의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When the protrusion P and the recess R are formed by the external forming part 350b on the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the external reinforcement frame 380b includes the protrusion P and the recess. It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t portion R.

즉, 상기 외부 포밍부(350b)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은 그 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 포밍부(350b)와 외부 포밍부(350b)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 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외부로 돌출된 부분 보다는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art which contacts the part which protruded by the said external forming part 350b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protrude outside, and contact | connects the recess part formed between the said external forming part 350b and the external forming part 350b. The part is to be arranged in a form that went into the inner side than the portion projecting outward.

도13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보강 프레임(380) 중 하나인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FIG. 13 shows a cross section of an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which is one of the reinforcement frames 380 dispos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은 "I" 자 형태, 또는 "I"자가 옆으로 누운 형태로 형성된다.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frame 380a is formed in the shape of "I" or "I" lying sideways.

즉, 상부(385)와 하부(386)의 폭이 이들을 잇는 중간부(387)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That i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385 and the lower portion 386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387 connecting them.

이와 같이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을 형성한 이유는 재료를 절약하면서도 그 상하 폭이 동일한 경우보다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크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is formed is that the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the same while saving material.

이와 같은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단면 형태는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in the same manner.

도14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가 결합된 경우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14 illustrates a cross section wh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의 높이와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높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공간부(330)의 높이 또는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eight of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and the height of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are smaller than the height or width of the vacuum space part 330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It is preferably formed.

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 간의 열전달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minimize heat transfer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따라서,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에는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이 배치되되, 상기 내부 보강프레임(380a)의 상단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Accordingly,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는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이 배치되되,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하단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80b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the lower end of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80b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340)가 마련되어 상기 진공공간부(330)의 변형을 방지한다. Meanwhile, the support part 340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320 and the inner case 31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vacuum space part 330.

즉,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외부케이스(320)의 내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에 동시에 접촉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That is, the support part 340 simultaneously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outer case 320 and the inner case 310.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공간부(330)의 형상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deformation of the vacuum space part 330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320 and the inner case 310 is prevented.

상기 지지부(340)는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보스 또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14에서는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내부 케이스(310)를 둘러싸는 벨트 또는 띠 형태의 베이스부(341)와, 상기 베이스부(341)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342)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The support part 3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ss or a colum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In FIG. 14, the support part 340 has a belt or belt-shaped base part 341 surrounding the inner case 310. And, it is shown that composed of the support member 342 protruding to one si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41.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42)는 상기 베이스 부(341)를 따라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pport member 342 is preferably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base portion 341.

다만,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324)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과 접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However, the support part 34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the support member 324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I can think of doing.

도 14에서,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 그리고 상기 지지부(340)를 제외한 공간은 텅 빈 공간으로서 진공공간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In FIG. 14, the space except for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and the support part 340 forms an empty space and forms the vacuum space part 330.

도15는 도14에서 나타난 상기 진공공간부(330)를 채우기 위한 다공성 물질(400)을 도시하고 있다. FIG. 15 illustrates a porous material 400 for filling the vacuum space 330 shown in FIG.

상기 진공공간부(330)는 이상적으로 진공형태를 지향하여, 공기와 기타 잔류 가스를 제거하여 열전달량을 0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가스 함유를 배제하기 어렵다.The vacuum space portion 330 ideally aims to form a vacuum, and removes air and other residual gas to zero the heat transfer amount, but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exclude a certain amount of gas.

이러한 가스로 인하여 약간의 열전달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330) 내부에 소정의 크기의 공극 또는 포어(pore)(401)를 갖는 단열 물질로 구성되는 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Since some heat transfer may occur due to such a gas,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such heat transfer, a heat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pores or pores 401 is formed in the vacuum space 330. The member is placed.

상기 공극 또는 포어(401)는 가스 입자가 움직일 수 있는 활동공간이 될 수 있는데,작은 지름의 공극 또는 포어를 갖는 상기 단열 물질(400)은 열전달의 매개가 되는 가스 입자의 이동을 제한하여 열전달을 억제한다. The pore or pore 401 may be an active space in which gas particles may move, and the insulating material 400 having a small diameter pore or pore restricts the movement of gas particles which are a medium for heat transfer to provide heat transfer. Suppress

어쨌거나, 상기 진공공간부(330)가 단열작용의 메인이 되고, 상기 공극(401)을 갖는 부재에 의한 단열은 보조적 것이라는 점에서 종래의 단열재 또는 진공단열재와는 차이가 있다. In any case, the vacuum space 330 is the main heat insulating action, and the heat insulation by the member having the air gap 401 is auxiliary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heat insulating material or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상기 다공성 물질(4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극 또는 포어(401)의 지름(D)은, 작으면 작을수록 효과적이다. The smaller the diameter D of the pores or pores 401 formed in the porous material 400, the more effective it is.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압력(A선)에서도 상기 공극 또는 포어의 지름이 작으면 작을수록, 열전달이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voids or pores is, the smaller the heat transfer is, even at the same pressure (A line).

도17은 도11 및 도12에서 나타난 내부 케이스(310)와 외부 케이스(320), 그리고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외부 보강프레임(380b), 상기 지지부(340)의 결합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equence of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and the support part 340 shown in FIGS. 11 and 12. to be.

우선, 조립자가 상기 내부 포밍부(350a)가 마련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310)를 상기 외부 포밍부(350b)가 마련되는 외부 케이스(320)에 넣는다. First, the assembler puts the inner case 310 in which the inner forming unit 350a is provided in the outer case 320 in which the outer forming unit 350b is provided.

이때,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후방은 막혀있고, 전방만 개방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전방과 후방은 모두 개방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rear of the inner case 310 is blocked and only the front is open, but both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outer case 320 are open.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이유는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외부 보강프레임(380b), 그리고 상기 지지부(340)를 개방된 후방을 통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 사이에 넣기 위함이다. The rear of the outer case 320 is open because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and the support part 340 are opened through the rear of the outer case 320 and the This is to put between the inner case (310).

상기 내부 케이스(310)가 외부 케이스(320)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외부 케이스(320) 사이는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When the inner case 31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32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이 이격공간이 나중에 진공공간부(330)가 된다. This space becomes the vacuum space 330 later.

다만, 이격공간을 유지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이격공간 내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340) 중 하나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배치한다( (1) 단계 ).However, the spaced space is maintained and one suppor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40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1) ) step ).

상기 지지부(340)의 배치로 인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케이스 (320)간의 간격이 유지된다.The spacing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is maintained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part 340.

상기 지지부(340)의 배치가 완료되면, 복수의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 중 하나를 이격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에 배치하되, 상기 지지부(340)와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2) 단계 ). When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part 340 is completed,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nal reinforcement frames 380a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and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but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art 340. (Step (2)).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은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과 이격되어야 한다. The inner reinforcing frame 380a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그 후, 복수의 외부 보강 프레임(380b) 중 하나를 이격 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내면에 배치하되,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과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3) 단계).Thereafter,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reinforcement frames 380b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and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320,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step (3)). .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외면과 이격되어야 한다.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

그리고, 상기 (1)-(2)-(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Then, steps (1)-(2)-(3) are repeatedly performed.

다만, 상기 (1)-(2)-(3) 단계 수행시, 상기 지지부(340),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배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However, when the steps (1)-(2)-(3) are performe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upport part 340,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and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may be changed.

이때, 상기 (1)-(2)-(3) 단계 수행시, 도15에서 설명하였던 다공성 물질(400)을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At this time, when the steps (1)-(2)-(3) are performed, the porous material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may be inserted.

이와 같은 상기 지지부(340), 상기 내부 보강 프레임(380a), 상기 외부 보강 프레임(380b)의 교번적인 배치가 완료되면, 개방된 상기 외부 케이스(320)의 후방을 후방 커버(321)를 이용하여 덮는다. When the alternate arrangement of the support part 340, the inner reinforcement frame 380a and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80b is completed, the rear of the opened outer case 320 is formed by using the rear cover 321. Cover.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외부 케이스(320)간의 전방 테두리는 전방 커버(370)를 이용하여 덮어서 상기 이격공간이 밀폐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ront edge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is covered using the front cover 370 to seal the separation space.

그 후, 상기 이격공간에 대하여 공기 빼기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이격공간이 진공공간부(330)가 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air is degassed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so that the separation space becomes the vacuum space part 330.

이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외부 케이스(320) 사이에 진공공간부(330)가 형성되면, 어떠한 단열재보다 현저하게 효과적인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vacuum space part 33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310 and the outer case 320, a heat insulating function that i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any heat insulating material can be performed.

그리고, 단열재의 경우, 그 두께가 두꺼워져야 효과적인 단열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진공단열의 경우, 진공층의 두께와 무관하게 단열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단열층을 가진 냉장고를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effective, but in the case of vacuum heat insulating, since the heat insulating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vacuum layer, a refrigerator having a smaller heat insulating layer may be manufactured.

110,210,310: 내부 케이스 120,220,320: 외부케이스
130,230,330: 진공공간부 140,240,340: 지지부
150: 보강리브 250, 250: 포밍부
350: 보강 프레임
110,210,310: inner case 120,220,320: outer case
130,230,330: vacuum space portion 140,240,340: support portion
150: reinforcing rib 250, 250: forming part
350: reinforcement frame

Claims (21)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내부 케이스;
그 내면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
상기 진공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 및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변형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보강리브가 포함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돌출높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n outer case whose inn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vacuum spac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 heat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 getter disposed in the vacuum space and configured to absorb a gas present in the vacuum space; And
Reinforcemen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so that deformation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can be reduced during the air drawing operation to warp an external impact or to form the vacuum space part. Ribs are included,
The reinforcing rib is provided to protrude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cuum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접촉하여 이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upport provide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support them and maintaining a spaced stat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gap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a base part disposed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mount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rib is composed of a plurality,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면에 마련되는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면에 마련되는 외측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측 보강리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보강리브와 상기 외측 보강리브는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rib includes an inner reinforcing rib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outer reinforcing ri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reinforcing rib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are alternately disposed so that the inner reinforcing rib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리브 또는 상기 외측 보강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호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of the inner reinforcing ribs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disposed so as to face in the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so a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at least one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 1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ement rib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correspond to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 2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inforcing rib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내부 케이스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냉장고의 전후 방향인 제 1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1 보강리브;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보강리브와 상호 교차되는 제 2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rib,
First reinforcing rib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correspond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And
And a second reinforcing rib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reinforcing rib.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내부 케이스;
그 내면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
상기 진공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 및
외부 충격에 뒤틀리거나 또는 상기 진공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인출 작업시 상기 내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변형이 저감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포밍부가 포함되고,
상기 포밍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포밍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 1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n outer case whose inn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vacuum spac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 heat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 getter disposed in the vacuum space and configured to absorb a gas present in the vacuum space; And
Foaming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so that deformation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can be reduced during an air drawing operation to warp an external impact or to form the vacuum space part. Part is included,
The forming unit is provided to protrude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forming unit has a plurality,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상기 포밍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내부 포밍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외부 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forming part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includes an inner forming part formed on the inner case and an outer forming part formed on the outer cas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마련되고, 상기 포밍부가 배치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A reinforcing fram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disposed in another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forming unit is dispos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inner case or the outer case; Refrigerator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을 둘러싸며 연결되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inforcing fram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ring connect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을 지지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서 연결되는 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inforcement fram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he refrigerator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ring connec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2,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formed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 1 포밍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 2 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form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orming unit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forming unit disposed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접촉하여 이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upport part provid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support them, and maintaining a separation stat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소정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7,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gap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And a base part disposed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mount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내부 케이스;
그 내면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
상기 진공 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게터;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접촉하여 이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소정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An outer case whose inner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vacuum spac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 heat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 getter disposed in the vacuum space and configured to absorb a gas present in the vacuum space; And
A support part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support them and to maintain a spaced stat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gap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And a base part disposed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mount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9,
The support memb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 1 항, 제 10 항,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열복사 또는 가스에 의한 열전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다공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10 and 17,
And a porous material disposed in the vacuum space, the porous material preventing heat transfer between at least one of heat radia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or heat conduction due to gas.

.
KR1020190162954A 2019-12-09 2019-12-09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Active KR102197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54A KR102197472B1 (en) 2019-12-09 2019-12-09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KR1020200183219A KR102330498B1 (en) 2019-12-09 2020-12-24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54A KR102197472B1 (en) 2019-12-09 2019-12-09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200A Division KR102056745B1 (en) 2018-08-22 2018-08-22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19A Division KR102330498B1 (en) 2019-12-09 2020-12-24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90A true KR20190139190A (en) 2019-12-17
KR102197472B1 KR102197472B1 (en) 2020-12-31

Family

ID=6905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54A Active KR102197472B1 (en) 2019-12-09 2019-12-09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7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707A (en) *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EP0071090A1 (en) * 1981-07-16 1983-02-09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Thermal insul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ive realization process
JPH10281635A (en) * 1997-04-07 1998-10-23 Toshiba Corp Easily disassemblable refrigerator
JP2007017053A (en)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EP2133643A2 (en) * 2008-06-13 2009-12-16 Karton S.p.A.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liner
KR20100012750A (en) * 2008-07-29 2010-02-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Incase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707A (en) *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EP0071090A1 (en) * 1981-07-16 1983-02-09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Thermal insul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ive realization process
JPH10281635A (en) * 1997-04-07 1998-10-23 Toshiba Corp Easily disassemblable refrigerator
JP2007017053A (en)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EP2133643A2 (en) * 2008-06-13 2009-12-16 Karton S.p.A.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liner
KR20100012750A (en) * 2008-07-29 2010-02-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Incase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472B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4559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KR101227516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1147779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KR20120139648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20130048530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56745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KR102480925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KR20190139190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KR101898494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cum space
JP2013053819A (en) Refrigerator
CN112204327B (en)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cool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8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982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9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8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9820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