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44A - Stairs assembly - Google Patents
Stairs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1344A KR20190131344A KR1020180056104A KR20180056104A KR20190131344A KR 20190131344 A KR20190131344 A KR 20190131344A KR 1020180056104 A KR1020180056104 A KR 1020180056104A KR 20180056104 A KR20180056104 A KR 20180056104A KR 20190131344 A KR20190131344 A KR 201901313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upler
- coupling
- fixing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04F11/038—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each modular part having a load-bearing balustrade par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26—Stairways having treads supported by bal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간단한 구조물로 조립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계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cas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ircase assembly that can improve construction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by assembling the stair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oors, such as buildings, to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2층 이상의 복층으로 건축된 건축물의 경우, 상층과 하층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계단이 설치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building constructed of two or more floors, a stairway is provided to allow the upper and lower floors to rise and fall.
이러한 계단은 업무용 빌딩이나 공동주택과 같이 고층을 이루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보편적이나, 2층 이상의 단독주택 또는 상층과 하층을 모두 영업 공간으로 사용하는 각종 영업시설 등에서는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내부 공간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Such stairs are commonly constructed by concrete pouring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business buildings or multi-unit houses, but the upper floors in single-family houses with two or more floors or in various sales facilities that use both upper and lower floors as business spaces. In many cases, a staircase connecting the floor and the lower floor is constructed in the interior space.
즉, 복층의 실내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계단은 건축물의 시공 시 콘크리트를 비롯한 석재나 목재 및 금속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서 일정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동시에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경우 실내 인테리어를 감안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ther words, the staircase for connecting the interior spaces of the multi-storey floor is designed to withstand a certain loa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crete, stone, wood, and metal 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construction is made. Construction is being done in a variety of designs.
그런데, 미리 시공이 이루어진 복층 건축물에서 필요에 따라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기 위한 계단을 나중에 후 시공하게 되는 경우, 상층의 바닥면이면서 하층의 천정면을 일정 크기로 개방시킨 후,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시공해야 하는데, 이의 경우 그 시공성이 좋지 못하여 공기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 그에 따라 시공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a multi-storey building in which 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in advance, when a stairway for connecting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is later constructed as necessary,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ceiling are opened to a certain size, and the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are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taircase, in which case the construction is not good, the air is increased as well as the construction cost is also required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 등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간단한 구조물로서 조립함에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킴과 아울러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계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the stair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oors, such as buildings as a simple structure, the construction is made, It is to provide a staircase assembly to shorten the air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 등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간단한 구조물로서 조립하여 시공하되, 각 구조물들의 결속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큰 하중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계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ssembling the stairs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building as a simple structure, the stairs that can withstand large loads firmly 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f each structure It is to provide an assembl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독창적인 미적 감각을 갖춤으로써,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계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case assembly improved in design by having a unique aesthetic sens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는,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층에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층면 중, 서로 대향되는 양측 절개층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 상기 결합구에 일단이 관통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포트; 및 상기 복수의 서포트들의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층과 하층에 걸쳐 단차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계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ortion of the incision layer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boundary layer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build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incision layer surface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couplers which are fixed and installed;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one end penetrated through the coupler and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fixedly coupled, and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taircase members are stepped over the upper and lower layers.
이 경우. 상기 결합구는, 서포트가 삽입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서포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홀을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서포트가 상기 결합구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tool has a longitudinal insertion space for inserting a support, and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in a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and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s it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여기서, 상기 결합구의 일 면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암나사공을 통해 수나사부를 체결하여 상기 수나사부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서포트의 일면을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구에 대하여 상기 서포트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 fixing guide having a female threaded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tool,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is fastened through the female threaded hole of the fixing guide to press the surface of the support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coupling tool. By doing so, the support can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coupler.
또한, 상기 양측 절개층면에는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결하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fram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layer, and the plurality of hollow holes may be fixed to the fixing frame at fixed intervals.
한편, 상기 계단 부재는, 보행자가 밟게 되는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일면과 결합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양 단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측 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ircase member is a footrest plate that the pedestrians step on, a connecting tabl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ootrest plate, a pair of fixing brackets to which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outside of the fixing bracket Is fixedly coupled to the surface, the support may include a coupler is inserted and coupled.
이 때, 상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대는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브래킷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대의 양 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대의 양 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한 쌍의 고정 브래킷들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affold plate and the connecting rod is fixedly coupled by a coupling means, the scaffolding plate and the fixing bracket are fixedly coupled by a coupling means,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Is coupled to be fixed by, the total length of the pair of fixing brackets can be varied by adjusting the depth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양 단부측 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의 폭 간격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 중앙 부위로부터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의 양 단은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xing brackets, the first fixing portion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interval of the scaffold plate in order to be fixedly coupled to one end surface of both ends of the scaffold plate, and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It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crossing from the sit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
또한, 상기 결합구는, 서포트가 삽입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서포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홀을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서포트가 상기 결합구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er has a longitudinal insertion space for inserting the suppor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oupling hole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As the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member, the suppor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여기서, 상기 결합구의 일 면에는,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암나사공을 통해 수나사부를 체결하여 상기 수나사부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서포트의 일면을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구에 대하여 상기 서포트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 fixing guide having a female threaded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upling tool,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is fastened through the female threaded hole of the fixing guide to press the surface of the support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coupling tool. By doing so, the support can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coupler.
또 한편, 상기 상층에는 상기 절개층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난간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의 일단은 상기 난간 프레임에 결합된 결합구들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rail frame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ision layer surface on the upper layer, one end of the suppor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coupled to the handrail frame.
또한, 상기 하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절개층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의 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결합구들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upport fram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lay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ision layer surfac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oupling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의하면, 건축물 등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간단한 구조물로서 조립됨에 따라 시공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시공에 따른 공기가 단축됨과 아울러 시공비용이 크게 줄어들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assembling the stair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building as a simple structure, which is useful to shorten the air according to construction and grea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Effect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의하면, 건축물 등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간단한 구조물로서 조립되어 시공되되, 각 구조물들의 결속력이 증대됨에 따라 큰 하중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ir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building, etc. are assembled and constructed as a simple structure, it is able to withstand large loads firmly as the binding force of each structure is increased Effects can also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의하면, 독창적인 미적 감각을 갖춤으로써,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계단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n original aesthetic sen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designe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of the staircas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를 상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C부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를 하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서포트들과 계단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제공되는 결합구와 서포트가 다른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제공되는 결합구와 서포트가 또 다른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를 상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를 하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 upper layer;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C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i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upports and the stairs in FIG. 6; FIG.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tool and the support provided in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in different ways.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tool and the support provided in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another method. FIG.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ir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layer.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ir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 known structures and well known technique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including and / or comprising means not to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actions other than the components, steps, and / or actions mentioned. Used a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cross-sectional, side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hapes of the exemplary view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include changes in forms generat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processes. In addition,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own to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를 상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 결합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또한,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C부 결합 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part C of FIG. 1.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를 하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서포트(200)들과 계단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는, 상층의 바닥과 하층의 천정을 이루는 경계층(110)에 일정 길이와 일정 폭으로 절개된 절개부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1 to 11, the
이러한 계단 조립체(100)는, 상층과 하층의 경계층(110)에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층면(112) 중, 서로 대향되는 양측 절개층면(112)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120)과, 이 고정 프레임(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결합구(300)와, 이 결합구(300)들을 각각 종 방향으로 관통하되, 결합구(300)와 결합부재들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서포트(200) 및 복수의 서포트(200)들에 대하여 단차진 상태로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어 층을 이루게 되는 복수의 계단 부재(500)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참고로, 결합구(300)는 고정 프레임(120)이 배제된 상태에서 양측 절개층면(112)에 직접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여기서, 복수의 서포트(200) 일단은 하층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30)과도 결합구(300)들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서포트(200) 타단은 상층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난간 프레임(140)과도 결합구(300)들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의 구성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층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서포트(200)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130)이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이러한 지지 프레임(130)에는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구(300)들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때 지지 프레임(130)과 복수의 결합구(300)들은 용접 등과 같이 종래에 공지된 고정 방법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The
결합구(300)는, 서포트(20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중앙 부위에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302)이 형성되며, 결합구(300)의 일 면에는 결합 홀(302)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걸쳐 각각 암나사공(312)을 갖는 고정 가이드(3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130)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결합구(300)에 서포트(200)의 일단을 삽입시킨 후, 결합 홀(302)을 통해 볼트(330)와 너트(332) 등의 결합부재를 관통시켜서 고정시킴으로써, 결합구(300)에 대하여 서포트(2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inserting one end of the
이에 더하여 고정 가이드(310)의 암나사공(312)을 통해 수나사부(320) 등의 다른 결합부재를 체결시킴에 따라 수나사부(320)의 단부가 서포트(200)의 일단을 가압시키도록 하여 밀착력에 의해 다시 한 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서포트(200) 일단을 지지 프레임(130)에 고정된 결합구(30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other coupling member such as the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적용되는 결합구(300)의 경우, 서포트(200)와 볼트(330) 및 너트(332)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1차로 결합되고, 수나사부(320)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2차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결합부재로서만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또한,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층면(112)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20)에는 그 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구(300)들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때 고정 프레임(120)과 복수의 결합구(300)들은 용접 등과 같이 종래에 공지된 고정 방법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5.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xing frame is fixed to the
여기서,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결합구(300)들은 앞서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결합구(300)와 그 구성 및 서포트(200)와의 결합 관계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할 수 있다.Here, the
예컨대,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결합구(300)들은, 서포트(200)가 관통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중앙 부위에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302)이 형성되며, 결합구(300)의 일 면에는 결합 홀(302)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걸쳐 각각 암나사공(312)을 갖는 고정 가이드(31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holes 300 coupled to the fixed
따라서, 고정 프레임(120)의 일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결합구(300)에 서포트(200)를 관통되게 삽입시킨 후, 결합 홀(302)을 통해 볼트(330)와 너트(332) 등의 결합부재를 관통시켜서 고정시킴으로써, 결합구(300)에 대하여 서포트(2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이에 더하여 고정 가이드(310)의 암나사공(312)을 통해 수나사부(320) 등의 다른 결합부재를 체결시킴에 따라 수나사부(320)의 단부가 서포트(200)의 일단을 가압시키도록 하여 밀착력에 의해 다시 한 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서포트(200) 일단을 지지 프레임(130)에 고정된 결합구(30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other coupling member such as the
즉,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결합구(300)들은 서포트(200)가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서포트(200)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예를 들어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양 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서포트(200)들 중, 어느 한쪽 방향의 서포트(200)들은 하층 바닥면의 지지 프레임(13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층 영역의 난간 프레임(140)에 타단이 고정됨에 따라 절개층면(112)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된 결합구(300)에 대해서는 서포트(200)가 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반면, 다른 한쪽 방향의 서포트(200)들은 하층 바닥면의 지지 프레임(130)에 일단이 고정되고, 절개층면(112)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120)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7, one of the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의 경우, 서로 양쪽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서포트(200)들 중, 어느 한쪽의 서포트(200)들은 상층 영역에 배치되는 난간 프레임(140)에 그 타단이 결합되도록 하여 난간이 설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양 측의 서포트(200)들 모두 상층 영역에 난간 프레임(140)을 각각 배치되도록 하여 그 타단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난간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양측에 각각 난간이 없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여기서, 난간 프레임(140)이 구비되는 경우, 난간 프레임(140)의 저면에는 결합구(300)들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고, 이 결합구(300)에 서포트(200)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지지 프레임(130)과 결합구(300)에 의한 서포트(200)의 일단이 결합되는 구성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한편, 도 1 및 도 7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서로 대향되는 절개층면(112)에 대하여 고정 프레임(120)과 결합구(300)들에 의해 종 방향을 유지하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포트(200)들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단차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계단 부재(500)들이 역시 다른 결합구(300)들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의 구성 및 그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7, a plurality of supports are fixedly installed to mainta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ixing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계단 부재(500)는 보행자가 밟을 수 있도록 일정 너비와 일정 폭을 갖는 발판 플레이트(510)와, 이 발판 플레이트(51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저면과 결합되는 연결대(520)와, 이 연결대(520)의 양 단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과, 이 고정 브래킷(600)들의 외측 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서포트(200)와 고정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구(300)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8 to 10, the
여기서, 발판 플레이트(510)는 고정 브래킷(600)과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Here, the
발판 플레이트(510)는 일정 너비와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로 이루어진 판재 형상으로서, 목재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The
이러한 발판 플레이트(510)는 중앙 부위와 양 측에 각각 체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중앙 부위에는 연결대(520)와 볼트와 너트, 나사, 못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기 위한 제1 체결공(512)이 형성되고, 양 측에는 고정 브래킷(600)들과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기 위한 제2 체결공(514)들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제1 체결공(512)이 하나로 형성되고, 제2 체결공(514)은 양 측에 2개씩 모두 4개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위치 관계 및 개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drawings for suppor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연결대(520)는, 발판 플레이트(510)의 저면 중앙 부위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각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table 520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bottom center portion of the
여기서, 연결대(520)는 사각 봉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삼각 이상의 다각 형상의 봉 형태일 수도 있다.Here, 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대(520)의 중앙 부위에는 제3 체결공(522)이 형성되며, 이 제3 체결공(522)은 발판 플레이트(510)의 제1 체결공(512)과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수단 등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510)와 연결대(520)를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A
또한, 고정 브래킷(600)은 연결대(520)의 양 단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발판 플레이트(510)의 양 단부 측 저면과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대략 T 형상인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즉, 고정 브래킷(600)은 발판 플레이트(510)의 양 단부측 저면 부위와 고정되게 결합되기 위하여 발판 플레이트(510)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즉 폭 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610)와, 이 제1 고정부(610)의 일면 중앙 부위로부터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부(6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여기서, 고정 브래킷(600)의 제2 고정부(620)에는 연결대(5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연결대(52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고정부(620)의 일면으로부터 나사 등의 결합수단을 강제 압입하여 연결대(520)의 단부를 고정 브래킷(600)의 제2 고정부(6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end of the connecting
또한, 고정 브래킷(600)의 제1 고정대에는 양 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4 체결공(612)이 형성되며, 이 제4 체결공(612)은 발판 플레이트(510)의 제2 체결공(514)과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 나사, 못 등의 체결수단 등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발판 플레이트(510)와 고정 브래킷(600)을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고정 브래킷(600)의 제1 고정부(610) 외면 측에는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구(300)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 결합구(300)에는 서포트(200)가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여기서, 결합구(300)에 서포트(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지지 프레임(130)과 결합구(300)에 의해 서포트(200)가 결합되는 구성과, 고정 프레임(120)과 결합구(300)에 의해 서포트(200)가 결합되는 구성 및 난간 프레임(140)과 결합구(300)에 의해 서포트(200)가 결합되는 구성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할 수 있다.He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즉, 결합구(300)는, 서포트(200)가 관통되거나 또는 서포트(20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중앙 부위에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302)이 형성되며, 결합구(300)의 일 면에는 결합 홀(302)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걸쳐 각각 암나사공(312)을 갖는 고정 가이드(310)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고정 브래킷(600)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결합구(300)에 서포트(200)를 삽입시킨 후, 결합 홀(302)을 통해 볼트(330)와 너트(332) 등의 결합부재를 관통시켜서 고정시킴으로써, 결합구(300)에 대하여 서포트(2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이에 더하여 고정 가이드(310)의 암나사공(312)을 통해 수나사부(320) 등의 다른 결합부재를 체결시킴에 따라 수나사부(320)의 단부가 서포트(200)의 일단을 가압시키도록 하여 밀착력에 의해 다시 한 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서포트(200) 일단을 지지 프레임(130)에 고정된 결합구(30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other coupling member such as the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제공되는 결합구와 서포트가 다른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300)의 일 면에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 가이드의 구성을 배제하고, 소정 크기의 통과홀(312)만을 형성한 후, 이 통과홀(312)을 통해 피스(320)를 강제로 압입시킴에 따라 결합구(300)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서포트(200)를 결합구(300)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chanism and the support provided in the stai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n different ways, as shown, on one surface of the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합구(300)의 일 면에는 암나사공(312)을 갖는 고정 가이드(310)를 형성하여 수나사부(320)에 의해 결합구(300)와 서포트(200)를 고정시키고, 대향되는 반대 면이나 측 면에는 통과홀을 통해 피스를 강제로 압입시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결합구(300)와 서포트(20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the
또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제공되는 결합구와 서포트가 또 다른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300)의 일 면에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 가이드의 구성을 배제하고, 볼트(330)와 너트(332)의 구성도 배제한 채, 일면 측에 소정 크기의 통과홀(312)만을 형성한 후, 이 통과홀(312)을 통해 피스(320)를 강제로 압입시킴에 따라 결합구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서포트(200)를 결합구(300)와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er and the support provided in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n another manner, as shown, on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계단 부재(500)의 조립 및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ssembly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먼저, 연결대(520)의 양 측단을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 중, 제2 고정부(620)에 삽입시킨 후,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대(520)와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을 고정되게 결합시킨다.First, of the pair of fixing
이 때, 연결대(520)의 양 단부가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 중 제2 고정부(620)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바,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의 간격은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520 is inserted into the
즉, 연결대(520)의 단부들을 고정 브래킷(600)의 제2 고정대에 깊게 삽입시키거나 또는 얕게 삽입시킴에 따라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그 간격 조절은 설치하고자 하는 발판 플레이트(510)의 좌우 너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connecting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발판 플레이트(510)의 좌우 너비에 따라 연결대(520)와 고정 브래킷(600)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sembling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table 520 and the fixing
이와 같이, 연결대(520)와 고정 브래킷(600)들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600)들의 외면 측에 결합구(300)들을 고정되게 결합시키고, 결합구(300)들에 서포트(200)들이 관통되거나 또는 서포트(200)들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330)와 너트(332), 수나사부(320)와 피스 등의 결합부재로서 결합구(300)에 대하여 서포트(200)를 고정되게 결합시키면 된다.As such, in the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connecting table 520 and the fixing
이후에, 연결대(520)와 고정 브래킷(600)의 상부에 발판 플레이트(510)를 안착시킨 후, 결합수단으로서 고정되게 결합시키면 된다.Thereafter, the
즉, 연결대(520)의 제3 체결공(522)과 발판 플레이트(510)의 제1 체결공(512)이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체결수단으로 결합시키고, 고정 브래킷(600)의 제4 체결공(612)과 발판 플레이트(510)의 제2 체결공(514)이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체결수단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대(520)와 고정 브래킷(600)의 상부에 발판 플레이트(51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결합시키면 된다.That i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는, 상층과 하층의 경계층(110)에 절개부위를 형성하고, 이 절개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층면(112) 중, 서로 마주보는 절개층면(112)에 각각 고정 프레임(120)을 고정설치한 후, 이 고정 프레임(120)에 대하여 일정 간격마다 고정되게 설치되는 결합구(300)들에 의해 일정 배열로 복수의 서포트(200)들이 종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 다음, 복수의 서포트(200)들에 대하여 계단 부재(500)들을 다른 결합구(300)에 의해 단차진 상태로 조립시킴에 따라 간단하게 계단 조립체(1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에 의하면, 건축물의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간단한 구조물들로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그에 따라 시공비용도 줄어들게 되는 유용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를 상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를 하층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100)는, 하층의 바닥면에 지지 프레임(130)을 설치하지 않고, 서포트(200)의 단부가 계단 부재(500)의 고정 브래킷(600)에 결합된 결합구(3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14 and 15, in the
즉, 도 14 및 도 15에서 어느 한쪽 방향의 서포트(200)는, 그 일단이 절개층면(112)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120)에 대하여 결합구(300)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그 타단은 계단 부재(500)의 고정 브래킷(600)에 결합된 결합구(300)들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은 경우, 난간 프레임(140)과 지지 프레임(130)의 구성이 배제됨에 따라 그 구성이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참고로, 도 14 및 도 15에서는 어느 한쪽의 서포트(200)는 그 일단이 고정 프레임(120)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계단 부재(500)에 결합되는 반면, 다른 한쪽의 서포트(200)는 그 일단이 난간 프레임(140)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 도면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난간 프레임(140) 및/또는 지지 프레임(130)의 구성을 모두 배제하여 서포트(200)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FIGS. 14 and 15, one of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계단 조립체
110 : 경계층
112 : 절개층면
120 : 고정 프레임
130 : 지지 프레임
140 : 난간 프레임
200 : 서포트
300 : 결합구
302 : 결합 홀
310 : 고정 가이드
312 : 암나사공
320 : 수나사부
330 : 볼트
332 : 너트
500 : 계단 부재
510 : 발판 플레이트
512 : 제1 체결공
514 : 제2 체결공
520 : 연결대
522 : 제3 체결공
600 : 고정 브래킷
610 : 제1 고정부
612 : 제4 체결공
620 : 제2 고정부100: stair assembly 110: boundary layer
112: incision layer surface 120: fixed frame
130: support frame 140: handrail frame
200: support 300: coupler
302: coupling hole 310: fixed guide
312: female thread 320: male thread
330: bolt 332: nut
500: step member 510: scaffolding plate
512: first fastening hole 514: second fastening hole
520: connecting rod 522: third fastening hole
600: fixing bracket 610: first fixing part
612: fourth fastening hole 620: second fixing part
Claims (11)
상기 결합구(300)에 일단이 관통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포트(200); 및
상기 복수의 서포트(200)들의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층과 하층에 걸쳐 단차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계단 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A plurality of couplings are fixedly installed at fixed intervals with respect to both incision layer surfaces 112 facing each other, among the incision layer surfaces 112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area on the boundary layer 110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ilding. Sphere 300;
A plurality of supports 200 through which one end penetrates the coupler 300 and is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200) is fixedly coupled, the staircas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taircase members (500) disposed stepped over the upper and lower layers.
상기 결합구(300)는,
상기 서포트(200)가 삽입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30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서포트(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홀(302)을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서포트(200)가 상기 결합구(3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er 300,
It has a longitudinal insertion space for the support 200 is inserted,
Coupling holes 302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in one direction from one side is formed,
The support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300 as the coupling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302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tair assembly.
상기 결합구(300)의 일 면에는,
암나사공(312)을 갖는 고정 가이드(3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310)의 암나사공(312)을 통해 수나사부(320)를 체결하여 상기 수나사부(320)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300)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서포트(200)의 일면을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구(300)에 대하여 상기 서포트(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2,
On one side of the coupling sphere 300,
Fixed guide 310 having a female thread hole 312 is formed,
The male thread part 320 is fastened through the female thread hole 312 of the fixing guide 310 so that one end of the male thread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coupler 300. Stai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200 is fixed to the coupler 300 by pressing.
상기 양측 절개층면(112)에는 고정 프레임(120)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구(300)는 상기 고정 프레임(112)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ixing frame (1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layer (112),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00) is a stai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fix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fixing frame (112).
상기 계단 부재(500)는,
보행자가 밟게 되는 발판 플레이트(510)와,
상기 발판 플레이트(510)의 일면과 결합되는 연결대(520)와,
상기 연결대(520)의 양 단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 및
상기 고정 브래킷(600)의 외측 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ir member 500,
Footrest plate 510 on which the pedestrians step on,
A connection table 520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caffold plate 510,
A pair of fixing brackets 600 to which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520 are detachably coupled, and
Stair assembly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6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er 30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200 is coupled.
상기 발판 플레이트(510)와 상기 연결대(520)는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 플레이트(510)와 상기 고정 브래킷(600)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대(520)의 양 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600)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대(520)의 양 단이 상기 고정 브래킷(60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들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scaffold plate 510 and the connecting table 520 is fixedly coupled by a coupling means,
The scaffold plate 510 and the fixing bracket 600 are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means,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5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600 is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means,
Stai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length of the pair of fixing brackets (600) is variable by adjusting the depth that th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5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600).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600)은,
상기 발판 플레이트(510)의 양 단부측 일면과 고정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발판 플레이트(510)의 폭 간격과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610)와,
상기 제1 고정부(610)의 일면 중앙 부위로부터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부(6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520)의 양 단은 상기 제2 고정부(62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6,
The pair of fixing brackets 600,
A first fixing part 610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shorter than a width interval of the scaffolding plate 510 so as to be fixedly coupled to both end sides of the scaffolding plate 510;
And a second fixing part 620 extending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610,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5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 620,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ircase assembly.
상기 결합구(300)는,
서포트(200)가 삽입되기 위한 종 방향의 삽입 공간을 갖고,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30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상기 서포트(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홀(302)을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서포트(200)가 상기 결합구(3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coupler 300,
Has a longitudinal insertion space for the support 200 is inserted,
Coupling holes 302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in one direction from one side is formed,
The support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300 as the coupling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302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tair assembly.
상기 결합구(300)의 일 면에는,
암나사공(312)을 갖는 고정 가이드(3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310)의 암나사공(312)을 통해 수나사부(320)를 체결하여 상기 수나사부(320)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300)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서포트(200)의 일면을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구(300)에 대하여 상기 서포트(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8,
On one side of the coupling sphere 300,
Fixed guide 310 having a female thread hole 312 is formed,
The male thread part 320 is fastened through the female thread hole 312 of the fixing guide 310 so that one end of the male thread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coupler 300. Stai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200 is fixed to the coupler 300 by pressing.
상기 상층에는 상기 절개층면(112)과 나란한 방향으로 난간 프레임(140)이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200)의 일단은 상기 난간 프레임(140)에 결합된 결합구(300)들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rail frame 14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ision layer surface 112,
One end of the support (200) is a staircas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300) coupled to the handrail frame (140).
상기 하층의 바닥면에는 상기 절개층면(112)과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 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200)의 타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된 결합구(300)들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lay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13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cision layer surface 112,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200 is a staircas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coupled to the coupler (30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104A KR20190131344A (en) | 2018-05-16 | 2018-05-16 | Stairs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104A KR20190131344A (en) | 2018-05-16 | 2018-05-16 | Stairs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344A true KR20190131344A (en) | 2019-11-26 |
Family
ID=6873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104A Abandoned KR20190131344A (en) | 2018-05-16 | 2018-05-16 | Stairs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31344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346851B1 (en) * | 2022-01-19 | 2023-01-30 | Rolf Wee Transp As | STAIRCASE AND PROCEDURE FOR ASSEMBLING THE SAME |
KR102556166B1 (en) * | 2022-01-28 | 2023-07-19 |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 Floating interior stair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ing interior stair manufactured by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6430A (en) | 2012-10-25 | 2014-05-12 | 기언관 | Assembly type stairway |
-
2018
- 2018-05-16 KR KR1020180056104A patent/KR20190131344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6430A (en) | 2012-10-25 | 2014-05-12 | 기언관 | Assembly type stairway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346851B1 (en) * | 2022-01-19 | 2023-01-30 | Rolf Wee Transp As | STAIRCASE AND PROCEDURE FOR ASSEMBLING THE SAME |
WO2023140737A1 (en) * | 2022-01-19 | 2023-07-27 | Rolf Wee Transport As | Stairw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KR102556166B1 (en) * | 2022-01-28 | 2023-07-19 |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 Floating interior stair manufacturing method and floating interior stair manufactured by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40609A (en) | Connectors for modular buildings | |
KR102334512B1 (en) | Stair modules which co-operate to form a temporary staircase | |
KR101887183B1 (en) | folding type floor frame | |
KR20190131344A (en) | Stairs assembly | |
KR101008261B1 (en) | Prefab stairs | |
KR101609759B1 (en) | Stripping Deck | |
KR101483908B1 (en) | Spacer for Stripping Deck Plate and Stripping Deck | |
KR101537762B1 (en) | A panel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s using the panel | |
NL1022571C2 (en) | Structure of main profiles and auxiliary profiles extending transversely thereto. | |
JP6649922B2 (en) | Joint set, wooden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joint set, joint structure of wooden frame and wooden building | |
US11391043B2 (en) | Modular system and ki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as well as a building method thereof | |
KR102079030B1 (en) | Truss type assembly for form supporting member | |
EP1853774B2 (en) | A construction element | |
KR100593191B1 (en) | Constru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Steel Stairs | |
JP6077241B2 (en) | Indoor staircase and corrugated board fixing bracket | |
US20200232203A1 (en) | Structur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JP6522055B2 (en) | Load-bearing face of timber structure and load-bearing surface of wooden fram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
JP6808196B2 (en) | Connected structure | |
JP3732846B2 (en) | Open stair unit | |
JP2013087606A (en) | Fitting structure for staircase | |
CN104963469A (en) | Stairway installation method | |
US20240093486A1 (en) | System for construction | |
JP3895696B2 (en) | Building connection panels and building structures | |
JP4010232B2 (en) | Stair railing mounting structure | |
CN219365219U (en) | Folding hanging ladder railing with bamboo-wood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