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285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8285A KR20190128285A KR1020180052257A KR20180052257A KR20190128285A KR 20190128285 A KR20190128285 A KR 20190128285A KR 1020180052257 A KR1020180052257 A KR 1020180052257A KR 20180052257 A KR20180052257 A KR 20180052257A KR 20190128285 A KR20190128285 A KR 201901282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guide
- water
- dripping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 F24F2003/161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흘러내림을 안내하는 트레이를 통해 비산 없이 공기와 접촉 되어 공기 정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발생이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in which air is purged, humidity control and anion are generated by contacting air without scattering through a tray for guiding water flowing down.
대기 오염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변국의 산업화로 인해 미세 먼지를 동반한 오염된 대기가 연중 수시로 유입되고 있어 한반도의 대기 오염 수준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Despit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air pollution, the pol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deteriorating day by day due to the influx of polluted air with fine dust due to industrializ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이에 실내라도 쾌적한 공기를 얻고자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성능이 구비된 필터로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건식 공기청정기와 물의 흡착 능력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습식 공기청정기로 대별된다. Therefore, the demand for air purifiers is increasing day by day to obtain comfortable air even indoors. These air cleaners are roughly classified into dry air cleaners that filter contaminants with filters having various performances and wet air cleaners that remove contaminants by using water adsorption capacity.
기존의 습식 공기청정기를 살펴보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0792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도 1) 메쉬망(1)에 물을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한 다음 여기에 공기를 통과시켜 정화시키거나, 또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104482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도 2) 분사수단(2)을 이용하여 물을 상방으로 분사, 그 상부를 통과 중에 있는 공기와 충돌시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existing wet air cleaner, as introduced in Korea Utility Model Model No. 20-0470792 (Fig. 1) to supply water to the mesh network (1) to form a water film and then to pass through the air to purify or Or, as introduc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104482 (FIG. 2), spraying water upward by using the injection means 2, and colliding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to purify the gas. The scheme is disclosed.
다만, 이러한 종래 습식 공기청정기의 경우 물과 공기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물이 비산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et air cleaner has a problem in that water is scattered and noise is generated in a process in which water collides with air.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와의 충돌에도 물이 비산하지 않으며 공기 정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발생이 이루어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 which water does not scatter even when colliding with air, the air purification, humidity control and anion is generat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터 플레이트, 필터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어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흡기부; 상기 흡입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1트레이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트레이 및 상기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 사이의 낙수공간에 배치되는 낙수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낙수부; 상기 제2트레이와 연결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물을 제1트레이에 공급하는 송급모터로 이루어지는 집수부; 상기 낙수공간과 연결되는 유도벽을 포함하는 배기부; 및 상기 흡입팬과 송급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낙수 가이드는, 단면이 원호 형상인 곡면판으로 형성되며 오목한 부위가 상기 흡입팬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낙수 가이드와, 원기둥 몸체, 상기 원기둥 몸체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낙수 가이드판, 및 상기 낙수 가이드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비산 방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낙수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take portion including a filter plat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a suction fan disposed on the rear of the filter plate to introduce air into the case; A dripping part including a first tra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fan and a second tra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econd tra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dripping guide disposed in the dripping space between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A water collecting unit comprising a water tank connected to the second tray and a feeding motor for supplying water of the water tank to the first tray; An exhaust unit including a guide wall connected to the fall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ction fan and the feeding motor, wherein the drop guide comprises: a first drop guide formed by a curved plat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ving a concave portion facing the suction fan; And a second dripping guide formed of a falling guide plate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spirally disposed, and a scattering preventing plat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dripping guide plat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송급모터의 가동 시간을 누적 카운팅하여 물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알람 기능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function for notifying the water replacement time by cumulative count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feeding motor.
아울러,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상기 유도벽의 내벽에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출몰하는 제습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제어부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습도측정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of the induction wa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humidification plate which is wander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humidity sensor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do.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단면이 원호 형상인 낙수 가이드가 흡입팬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공기와 물의 접촉이 정숙하게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상품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of air and water is made quiet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op guid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fan, the productability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메쉬망을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개요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 분사식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낙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낙수부에서 물과 공기의 접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습도조절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습도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AA' 부위 단면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낙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et air cleaner using a mesh network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ater jet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wnpou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contact process of water and air in the downpou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cleaner equipped with a humidity control mean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AA 'part of Figure 6 for explaining the humidity control proces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ownpou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낙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낙수부에서 물과 공기의 접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wnpou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tact of water and air in the downpour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s to explain the process.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박스형 케이스(a)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케이스(a)의 정면 측에 배치되는 흡기부(10), 흡기부(10)의 후방에 배치되는 낙수부(20), 케이스(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집수부(30) 및 케이스(a)의 후면 측에 구비되는 배기부(40)로 이루어지며, 낙수부(20)의 안내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에 외부 공기를 충돌시키되 충돌로 인한 물의 비산 없이 공기 정화,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발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4 and 5,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x-shaped case (a), the
이하, 상기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는 통상 피엘씨(PLC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형태로 제공되며, 후술할 흡입팬(13)이나 송급모터 등의 온/오프 제어 외에도 물 교체를 위한 카운팅 및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한 비교 판단 작업을 수행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control unit is usu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in addition to the on / off control such as the
흡기부(10)는 외부 공기를 케이스(a)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으로서, 케이스(a)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터 플레이트(11), 필터 플레이트(11)의 후면에 배치되어 케이스(a)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팬(13) 및 흡입팬(13)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필터 플레이트(11)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 중 입자가 큰 생활 먼지나 냄새 입자를 1차적으로 걸러내는 구성으로서, 통상 프리 필터와 탈취 필터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제작된다.The
또한, 장시간 여과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분진이 적층되게 되는데, 이러한 분진의 제거 편의를 위해 필터 플레이트(11)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filtration for a long time inevitably the dust is laminated, for the convenience of removing the
낙수부(20)는 필터 플레이트(11)를 통과한 미세 오염 물질을 물의 흡착 특성을 이용하여 걸러 내는 구성으로서, 흡입팬(13)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1트레이(21)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트레이(23) 및 상기 제1트레이(21)와 제2트레이(23) 사이의 공간(이하 ‘낙수공간’이라 한다)에 배치되는 낙수 가이드(25)로 이루어진다.Falling down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레이(21)에는 복수의 토출공(21a)이 형성되고 각 토출공(21a)에는 낙수 가이드(25)의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술할 집수부(30)의 송급모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고이게 되며, 이 물은 다시 각 토출공(21a)을 통해 낙수 가이드(25)로 흘러 내리게 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낙수 가이드(25)는 제1 낙수 가이드(25a) 및 제2 낙수 가이드(25b)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낙수 가이드(25a)는 단면이 원호 형상인 곡면판으로 형성되며, 오목한 부위가 흡입팬(13)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따라서, 제1 낙수 가이드(25a)를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낙수공간(s)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충돌과 제1 낙수 가이드(25a)의 제약에 의해 비산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호 상으로 퍼지게 되며, 이러한 퍼짐(b)으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오염 물질의 흡착 효율이 증대되게 된다.Accordingly, the stream of water flowing down the
상기 제2 낙수 가이드(25b)는 원기둥 몸체(251b), 그 외주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낙수 가이드판(252b), 및 낙수 가이드판(252b)에 수직으로 형성된 비산 방지판(253b)으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제2 낙수 가이드(25b)로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낙수 가이드판(252b)을 따라 나선형으로 흐르게 되고 제1 낙수 가이드(25a)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낙수 가이드판(252b)을 따라 흐르는 물과 접촉하게 되는바 물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더욱 증대되어 오염 물질의 추가적인 흡착이 이루어지므로 오염 물질의 흡착 효율 또한 더욱 증대되게 된다.Therefore, the stream flowing down to the
또한, 상기 비산 방지판(253b)은 낙수 가이드판(252b)으로 유도되는 물줄기가 원기둥 몸체(251b)와의 사이에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고 물과 공기의 충돌에 의한 물의 비산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위에서 낙수 가이드(25)는 제1 낙수 가이드(25a) 및 제2 낙수 가이드(25b)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기청정기가 사용되는 장소의 오염 정도에 따라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낙수 가이드(25)에 추가적으로 제1 낙수 가이드(25a) 및/또는 제2 낙수 가이드(25b)가 선택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더불어, 토출공(21a)의 공기 흐름 방향(x) 배치는 지그재그 형태(z)로 배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낙수 가이드(25)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낙수공간(s)을 통과하는 공기가 낙수 가이드(25)를 흘러내리는 물줄기와 반복적으로 충돌하여 흡착 효율이 더욱 증대되고, 이 과정에서 음이온이 생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air flow direction x of the
한편, 낙수 가이드(25)를 흘러 내린 물은 먼저 제2트레이(23)에 고인 다음, 제2트레이(23)에 형성된 배수관(23a)을 통해 하부에 구비되는 집수부(30)의 수조(31)에 모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flowing down the
집수부(30)는 제2트레이(23)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거하는 한편, 이를 다시 제1트레이(21)에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제2트레이(23)의 배수관(23a)과 연결되는 수조(31) 및 수조(31)에 저장된 물을 상부에 위치한 제1트레이(21)로 공급하는 송급모터를 포함한다. The water collecting
또한, 제1트레이(21)에 정제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조(31)와 송급모터의 흡입측 연결관 부위에는 여과망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더불어, 물을 반복 사용할수록 물에 오염 물질이 누적되므로, 새로운 청수 교체와 세척 편의를 위해 수조(31)는 케이스(a)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작된다.In addition, as water is used repeatedly, contaminants accumulate in the water, and the
또한, 보다 합리적인 청수 교체를 위해, 제어부에는 적정 교체 주기에 대한 기초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송급모터의 가동 시간을 누적 카운팅하여 이를 기초 정보와 비교를 통해 물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알람 기능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more rational fresh water replacement,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alarm function that accumulatively counts the operation time of the supply motor whil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proper replacement cycle is input, and compares it with the basic information to inform the water replacement time. Can be.
배기부(40)는 낙수공간(s)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케이스(a)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공기 흐름을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벽(41)과 유도벽(41)의 말단에 구비되는 배기구(43)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공기청정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곡면을 포함하는 별도의 보조 가이드판(미도시)이 유도벽(41) 전면에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of course, a separate auxiliary guide plate (not shown) including a curved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또한, 배기구(43)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 중에는 실내 수분과 낙수공간(s) 통과 과정에서 기화된 수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습도조절수단으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도벽(41)의 일측 내벽에 복수의 수용홈(41a)을 형성한 다음, 각 수용홈(41a)에 제습판(45)을 설치하고, 케이스(a) 일측에는 습도측정센서(47)가 구비되는 방식으로 습도조절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As the humidity control means as shown in Figure 6 to form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41a) on one side inner wall of the
상기 제습판(45)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유도벽(41) 공간으로 출몰하거나 수용홈(41a)에 수용되고,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판이 사용된다.The
이때, 상기 제습판(45)의 수직 방향으로는 수용홈(41a)을 폐쇄하기 위한 밀폐판(45a)이 구비되고, 상기 밀폐판(45a)은 제습 작용을 하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된다.At this time, a
또한, 제어부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적정 습도에 대한 정보가 기입력된 상태에서 습도측정센서(47)로부터 실내의 실시간 습도를 입수 받아 적정 습도와 비교를 통해 제습판(45)의 출몰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al-time humidity of the room from the
즉, 실내 습도를 낮출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습판(45)이 유도벽(41) 내부로 돌출되면, 유도벽(41)을 따라 상승하는 기류에 의해 냉각된다. That is, when the indoor humidity is lowered, when the
이로 인해 제습판(45)에 충돌한 수분 일부는 결로(結露)되고, 결로로 제습판(45)에 형성된 물방울이 하방으로 흘러내려 제2트레이(23)를 거쳐 수조(31)에 수거되며, 이러한 수거 과정이 지속되면 실내의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As a result, a part of the moisture that has collided with the
반대로, 실내 습도를 높일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습판(45)이 수용홈(41a)에 수용됨으로써 결로 없이 배기구(43)로 공기가 배출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출되는 공기 중에는 낙수공간(s) 통과 과정에서 기화된 수분이 더해지게 되어 실내 습도가 높아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indoor humidity is increased, air is discharged to the
한편, 상기 제습판(45)은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유도벽(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습판(45)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내 습도의 조절이 훨씬 용이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range tha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흡기부
11: 필터 플레이트
13: 흡입팬
20: 낙수부
21: 제1트레이
23: 제2트레이
25: 낙수 가이드
30: 집수부
31: 수조
40: 배기부
41: 유도벽
43: 배기구
45: 제습판
47: 습도측정센서10: intake part
11: filter plate 13: suction fan
20: downpour
21: first tray 23: second tray
25: Falling Guide
30: catchment
31: Countertop
40: exhaust
41: guide wall 43: exhaust port
45: dehumidification plate 47: humidity sensor
Claims (3)
상기 흡입팬(13)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1트레이(21)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트레이(23) 및 상기 제1트레이(21)와 제2트레이(23) 사이의 낙수공간(s)에 배치되는 낙수 가이드(25)로 이루어지는 낙수부(20);
상기 제2트레이(23)와 연결되는 수조(31) 및 상기 수조(31)의 물을 제1트레이(21)에 공급하는 송급모터로 이루어지는 집수부(30);
상기 낙수공간(s)과 연결되는 유도벽(41)을 포함하는 배기부(40); 및
상기 흡입팬(13)과 송급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낙수 가이드(25)는,
단면이 원호 형상인 곡면판으로 형성되며 오목한 부위가 상기 흡입팬(13)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낙수 가이드(25a)와,
원기둥 몸체(251b), 상기 원기둥 몸체(251b)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낙수 가이드판(252b), 및 상기 낙수 가이드판(252b)에 수직으로 형성된 비산 방지판(253b)으로 이루어지는 제2 낙수 가이드(2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n intake part 10 including a filter plate 11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se a and a suction fan 13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lter plate 11 to introduce air into the case a;
The first tray 21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fan 13 and disposed above and the second tray 23 disposed below and the falling water space between the first tray 21 and the second tray 23. Falling part 20 which consists of a falling down guide 25 arrange | positioned at (s);
A water collecting part 30 including a water tank 31 connected to the second tray 23 and a feeding motor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31 to the first tray 21;
An exhaust part 40 including an induction wall 41 connected to the dripping space 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uction fan 13 and a feeding motor;
Including;
The dripping guide 25,
A first drip guide 25a formed of a curved plate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disposed such that a concave portion faces the suction fan 13;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body 251b, a falling guide plate 252b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51b and spirally arranged, and a scattering prevention plate 253b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alling guide plate 252b.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drip guide (25b).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송급모터의 가동 시간을 누적 카운팅하여 물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알람 기능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function for informing the time of water replacement by cumulative count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feed motor.
상기 유도벽(41)의 내벽에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출몰하는 제습판(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a) 일측에는 제어부에 측정값을 전달하는 습도측정센서(4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wall of the induction wall 41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humidifying plate 45 which is sunk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 case (a) is further provided with a humidity measuring sensor 47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257A KR102152263B1 (en) | 2018-05-08 | 2018-05-08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257A KR102152263B1 (en) | 2018-05-08 | 2018-05-08 |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285A true KR20190128285A (en) | 2019-11-18 |
KR102152263B1 KR102152263B1 (en) | 2020-09-04 |
Family
ID=6872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2257A Expired - Fee Related KR102152263B1 (en) | 2018-05-08 | 2018-05-08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226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744B1 (en) * | 2020-07-29 | 2021-09-03 | (주)클린에어스 | Humidified sterile air purifier |
CN114952646A (en) * | 2022-02-17 | 2022-08-30 | 合肥宏立电子有限公司 | Improved tool fixtur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8740A (en) * | 2003-03-05 | 2004-09-13 | 주식회사 비에스텍 | An air cleaner with water- filter |
KR20080104482A (en) | 2007-05-28 | 2008-12-03 |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 Water washing air cleaner |
KR200470792Y1 (en) | 2013-08-07 | 2014-01-08 | 이길순 | Air Cleaner Using Water Curtain Filter |
KR20140009775A (en) * | 2012-07-13 | 201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combined air cleaner |
KR20140140449A (en) * | 2013-05-29 | 2014-12-09 | 강선희 | Impurities precipitation device |
KR101583808B1 (en) * | 2015-07-03 | 2016-01-20 |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 indoor air quality control system |
-
2018
- 2018-05-08 KR KR1020180052257A patent/KR1021522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8740A (en) * | 2003-03-05 | 2004-09-13 | 주식회사 비에스텍 | An air cleaner with water- filter |
KR20080104482A (en) | 2007-05-28 | 2008-12-03 |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 Water washing air cleaner |
KR20140009775A (en) * | 2012-07-13 | 201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combined air cleaner |
KR20140140449A (en) * | 2013-05-29 | 2014-12-09 | 강선희 | Impurities precipitation device |
KR200470792Y1 (en) | 2013-08-07 | 2014-01-08 | 이길순 | Air Cleaner Using Water Curtain Filter |
KR101583808B1 (en) * | 2015-07-03 | 2016-01-20 |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 indoor air quality control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744B1 (en) * | 2020-07-29 | 2021-09-03 | (주)클린에어스 | Humidified sterile air purifier |
CN114952646A (en) * | 2022-02-17 | 2022-08-30 | 合肥宏立电子有限公司 | Improved tool fixture |
CN114952646B (en) * | 2022-02-17 | 2024-03-29 | 合肥宏立电子有限公司 | Improved tool fix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2263B1 (en) | 2020-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6799B1 (en) | Wet type dust collector for air purifying apparatus | |
KR20090087652A (en) | Wet air purifier with multi-stage dust collection layer | |
KR100902921B1 (en) | Air purifie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 |
KR102111216B1 (en) |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 |
KR20190128285A (en) | Air Cleaner | |
KR101817092B1 (en) | Air cleaner | |
KR20110001637A (en) | Air purifier | |
KR20050110233A (en) | Air cleaner | |
JP4390738B2 (en) | Air cleaner | |
US10190786B2 (en) | Humidifying air cleaner | |
KR20090026981A (en) | Door integrated air cleaner | |
JP4756888B2 (en) | Air cleaner | |
KR200417118Y1 (en) | Air purifier | |
KR100519301B1 (en) | wall air-cleaner combined ventilation function | |
KR20200018980A (en) | Air cleaner | |
KR20050060564A (en) | Air purifier | |
KR20140034368A (en) | Air cooling-cleaning apparatus | |
KR100605730B1 (en) | Collection Structure of Wet Air Purifier | |
KR100605729B1 (en) | Wet air freshener | |
KR100610502B1 (en) | Air cleaning filter | |
KR102242149B1 (en) |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 |
KR20200115776A (en) | Air cleaner using water | |
JP7442040B2 (en) | air purifier | |
KR20190036043A (en) | Air purifier equipped with spray type wet nozzle | |
CN212431102U (en) | an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