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7209A -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209A
KR20190127209A KR1020180051501A KR20180051501A KR20190127209A KR 20190127209 A KR20190127209 A KR 20190127209A KR 1020180051501 A KR1020180051501 A KR 1020180051501A KR 20180051501 A KR20180051501 A KR 20180051501A KR 20190127209 A KR20190127209 A KR 20190127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osts
coupling
support devic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654B1 (ko
Inventor
김샤론
Original Assignee
메가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가솔라(주) filed Critical 메가솔라(주)
Priority to KR102018005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6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6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04H12/2223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by screw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모듈을 지지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로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복수의 포스트; 및 포스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재는 복수의 포스트를 연결하도록 인접한 포스트들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포스트들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모듈장착프레임에 태양광 발전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SUPPORT FOR SOLAR PHOTOVOLTAIC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매장량이 유한하고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른 환경 오염이 심각한 문제가 되면서 최근에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과 환경 규제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다.
신에너지는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3개 분야가 지정되어 있고, 재생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등 8개 분야가 지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방식은 무한한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것으로 별도의 에너지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소규모에서 대규모 시스템의 시공이 간단하고, 환경문제에 따른 설치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가능성이 무한하다.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광발전모듈이 장착되는 모듈장착프레임과, 모듈장착프레임을 지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복수의 포스트 및 포스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를 지면에 고정시킨 다음 복수의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가 장착될 수 있고, 복수의 포스트의 상부에 모듈장착프레임이 설치되며, 모듈장착프레임 상에 태양광발전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종래의 지지장치는 복수의 지주 및 복수의 보강재를 복수의 클램프, 복수의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설치됨에 따라 공정을 복잡하고, 그 시공작업을 번거로우며, 이로 인해 공기의 길어져 공사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08269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22696 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0244 선행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42898 선행문헌 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8734 선행문헌 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0295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복수의 포스트; 및 포스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재는 복수의 포스트를 연결하도록 인접한 포스트들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포스트들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모듈장착프레임에 태양광 발전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각 포스트는 그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고, 복수의 관통공은 각 포스트의 주위에 배치된 포스트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도록 포스트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각 포스트의 주위에 배치되는 포스트의 갯수에 대응하는 개수일 수 있다.
각 보강재는 다울핀에 의해 포스트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고, 각 보강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다울핀이 보강재의 삽입공에 수직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각 보강재는 그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다울핀은 그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포스트 중에서 일부의 포스트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포스트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포스트의 하단에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는 결합핀 및 다울핀에 의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는 결합슬롯을 가지고, 상기 제2플랜지부는 결합공을 가지며, 결합핀이 상기 제1플랜지부의 결합슬롯 및 상기 제2플랜지부의 결합공에 수직하방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포스트의 제1플랜지부 및 상기 보조 포스트의 제2플랜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롯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는 상기 결합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결합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스크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은, 복수의 포스트를 지면에 회전압입방식으로 설치하고, 복수의 포스트 중에서 일부의 포스트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인접한 포스트들 사이에 복수의 보강재를 설치하며, 보조 포스트가 결합되지 않은 포스트들의 상단 및 보조 포스트들의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모듈장착프레임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그 외주면에 스크류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복수의 결합돌기를 가진 회전압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를 지면에 회전압입함으로써 상기 포스트를 지면 상에서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복수의 결합슬롯을 가지고, 각 결합슬롯은 상기 결합돌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대직경부 및 상기 결합돌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소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압입장치를 상기 소직경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슬롯의 소직경부에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포스트를 결합하기 위한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포스트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포스트의 하단에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포스트의 제2플랜지부 및 상기 포스트의 제1플랜지부를 결합핀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가 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도록 고정된 이후에, 복수의 보강재들이 인전합 포스트들을 관통하여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인접한 포스트들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복수의 포스트를 회전압입방식으로 시공하고,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를 끼움결합 및 다울핀(dowel pin)을 이용하여 장착함으로써 지지장치의 설치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에 의해 태양광 발전모듈이 지지되는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포스트를 회전압입방식에 의해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복수의 포스트(11) 및 포스트(11)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21)를 포함한다.
각 포스트(11)는 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포스트(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압입기구에 의해 회전압입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11)가 지면 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면, 모듈장착프레임(2)은 복수의 포스트(1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모듈장착프레임(2)에 태양광 발전모듈(1)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재(21)는 복수의 포스트(1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보강재(21)는 인접한 포스트(11)들 사이에서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보강재(21)는 트러스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보강재(21)는 인접한 포스트(11)들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접한 포스트(11)들이 서로 간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보강재(21)가 각 포스트(11)를 서로 교차하도록 관통할 수 있고, 이에 인접한 2 이상의 포스트(11)들은 복수의 보강재(21)를 통해 서로 간에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지지장치(10)는 모듈장착프레임(2) 및 태양광 발전모듈(1)을 강화된 지지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포스트(11)는 그 외면에 복수의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관통공(11a)은 각 포스트(11)의 주위에 배치된 포스트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11a)은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도록 포스트(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각 보강재(21)가 포스트(11)의 관통공(11a)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11a)은 포스트(11)의 주위에 배치된 포스트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화살표 A 부분에 위치한 포스트(11)의 주위에는 3개의 포스트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도 1의 화살표 A 부분에 위치한 포스트(1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관통공(11a)을 가질 수 있고, 각 관통공(11a)에는 연결 대상의 포스트를 향해 연장되는 보강재(21)가 관통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각 보강재(21) 및 포스트(11)의 관통공(11a)은 상호 대응하는 미세한 경사각의 테이퍼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각 보강재(21)가 포스트(11)의 관통공(11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강재(21)는 그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22)를 가질 수 있고, 헤드부(22)에 의해 포스트(11)의 관통공에 끼움결합되는 보강재(21)의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각 보강재(21)는 다울핀(25)에 의해 포스트(11)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각 보강재(2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을 가질 수 있고, 다울핀(25)이 보강재(21)의 삽입공에 수직하방으로 삽입됨으로써 보강재(21)는 포스트(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울핀(25)은 그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26)를 가질 수 있고, 헤드부(26)에 의해 다울핀(25)이 하부로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21)가 포스트(11)의 관통공(11a)에 끼움결합되고, 다울핀(2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보강재(21)들이 인접한 포스트(11)들을 연결하는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의 외주면에 스크류부(13)가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부(13)에 의해 포스트(11)의 회전압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각 포스트(11)는 기초콘크리트(12)에 의해 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포스트(11)의 상단에는 결합부재(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부재(30)는 포스트(11)의 상단에 끼워지는 원통부(31) 및 원통부(31)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32)를 가질 수 있다. 제1플랜지부(32)의 내측에는 포스트(11)의 상단이 걸려지는 걸림턱(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30)는 결합핀(15)에 의해 포스트(1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부재(30)의 원통부(31) 및 포스트(11)의 상단에는 상호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결합핀(15)이 결합부재(30)의 원통부(31)의 결합공 및 포스트(11)의 결합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결합핀(15)은 그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15a)를 가질 수 있다. 결합핀(15)은 다울핀(16, dowel pin)에 의해 원통부(31)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결합핀(15)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을 가질 수 있고, 다울핀(16)이 결합핀(15)의 삽입공에 수직하방으로 삽입됨으로써 결합핀(15)은 원통부(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울핀(16)은 그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17)를 가질 수 있고, 헤드부(17)에 의해 다울핀(16)이 하부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부(32)는 복수의 결합슬롯(35)을 가질 수 있고, 인접한 결합슬롯(35)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 결합슬롯(35)은 대직경부(35a) 및 소직경부(35b)를 가질 수 있으며, 대직경부(35a)는 후술하는 결합핀(36)의 직경 및 회전압입장치(50)의 결합돌기(52)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직경부(35b)는 후술하는 결합핀(36)의 직경 및 회전압입장치(50)의 결합돌기(5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11)의 상단에는 보조 포스트(41)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있고, 보조 포스트(41)의 높이는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포스트(11)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41)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해당 포스트(11) 및 보조 포스트(41)에 의한 지지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보조 포스트(41)는 그 하단에 제2플랜지부(34)가 형성될 수 있고,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 및 포스트(11)의 제1플랜지부(32)는 결합핀(36)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핀(36)은 그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37)를 가질 수 있다.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는 복수의 결합공(38)을 가질 수 있고, 결합핀(36)이 결합공(38)에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핀(36)이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의 결합공(38)에 억지끼워맞춤된 상태에서,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가 포스트(11)의 제1플랜지부(32)에 접근하면 결합핀(36)이 결합슬롯(35)의 대직경부(35a)에 삽입될 수 있다. 그 이후에,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를 결합슬롯(35)의 소직경부(35b)를 향해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핀(36)은 포스트(11)의 제1플랜지부(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포스트(11)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41)를 결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의 상단에서 결합부재(30)를 분리한 후에 포스트(11)의 상단에 캡(45)을 장착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포스트(11)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10)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포스트(11)를 지면에 회전압입방식으로 설치하고(S1), 복수의 포스트(11)들 중에서 일부의 포스트(11)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41)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며(S2), 인접한 포스트(11)들 사이에 보강재(21)를 설치하며(S3), 보조 포스트(41)가 결합되지 않은 포스트(11)들의 상단 및 보조 포스트(41)들의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2)을 설치하고(S4), 모듈장착프레임(2)에 태양광 발전모듈(1)을 장착한다(S5).
도 9를 참조하면, 포스트(11)의 상단에 결합부재(30)를 결합핀(15) 및 다울핀(16)에 의해 결합하고, 복수의 결합돌기(52)를 가진 회전압입장치(50)를 이용하여 포스트(11)를 지면에 회전압입함으로써 포스트(11)를 지면 상에서 설치할 수 있다(S1).
회전압입장치(50)는 그 하단에 형성된 소켓부(51)를 가지고, 소켓부(51)는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결합돌기(52)를 가진다. 이에, 회전압입장치(50)의 소켓부(51)가 포스트(11)의 결합부재(30)에 근접하면, 결합돌기(52)들이 결합부재(30)의 플랜지부(32)의 결합슬롯(3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52)가 결합슬롯(35)의 대직경부(35a)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에 따라 회전압입장치(50)의 결합돌기(52)가 결합슬롯(35)의 대직경부(35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그 이후에 회전압입장치(50)의 소켓부(51)를 소직경부(35b)를 향해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돌기(52)가 결합슬롯(35)의 소직경부(35b)에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회전압입장치(50)의 회전 및 압입작동에 의해 포스트(11)는 스크류부(13)를 통해 지면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회전압입될 수 있다. 이렇게 포스트(11)가 지면 상에 일정한 깊이로 회전압입되면, 포스트(11)를 기초콘크리트(12)에 의해 지면 상에서 고정할 수도 있다.
복수의 포스트(11)가 지면 상에 설치된 이후에 일부의 포스트(11)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41)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S2). 도 5와 같이, 보조 포스트(41)의 제2플랜지부(34) 및 포스트(11)의 제1플랜지부(32)를 결합핀(36)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보조 포스트(41)를 결합할 필요가 없는 포스트(11)들의 상단에 캡(45)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스트(11)의 상단에는 보조 포스트(41)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보조 포스트(41)의 높이는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포스트(11) 중에서 일부 포스트(11)들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41)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해당 포스트(11) 및 보조 포스트(41)에 의한 지지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11)가 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도록 고정되면, 복수의 보강재(21)들이 인전합 포스트(11)들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보강재(21)들을 포스트(11)의 관통공(11a)에 끼움결합함으로써 인접한 포스트(11)들을 연결할 수 있다(S3). 이를 통해 포스트(11)들은 보강재(21)들에 의해 서로 간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보강재(21)는 인접한 포스트(11)들 사이에서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보강재(21)는 트러스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21)들이 인접한 포스트(11)들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접한 포스트(11)들이 서로 간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포스트(41)가 결합되지 않은 포스트(11)들의 상단 및 보조 포스트(41)들의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2)을 설치하고(S4), 모듈장착프레임(2)에 태양광 발전모듈(1)을 장착한다(S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태양광 발전모듈 2: 모듈장착프레임
10: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11: 포스트
11a: 관통공 12: 기초 콘크리트
13: 스크류 15: 결합핀
16: 다울핀 21: 보강재
25: 다울핀 30: 결합부재
31: 원통부 32: 제1플랜지부
34: 제2플랜지부 35: 결합슬롯
35a: 대직경부 35b: 소직경부
36: 결합핀 41: 보조 포스트
45: 캡 50: 회전압입장치
51: 소켓부 52: 결합돌기

Claims (17)

  1. 태양광 발전모듈을 지지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로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복수의 포스트; 및
    포스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재는 복수의 포스트를 연결하도록 인접한 포스트들을 관통하여 끼움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포스트들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모듈장착프레임에 태양광 발전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포스트는 그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고, 복수의 관통공은 각 포스트의 주위에 배치된 포스트를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도록 포스트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각 포스트의 주위에 배치되는 포스트의 갯수에 대응되는 갯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보강재는 다울핀에 의해 포스트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고, 각 보강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다울핀이 보강재의 삽입공에 수직하방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각 보강재는 그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다울핀은 그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스트 중에서 일부의 포스트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포스트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포스트의 하단에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결합핀 및 다울핀에 의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는 결합슬롯을 가지고, 상기 제2플랜지부는 결합공을 가지며, 결합핀이 상기 제1플랜지부의 결합슬롯 및 상기 제2플랜지부의 결합공에 수직하방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포스트의 제1플랜지부 및 상기 보조 포스트의 제2플랜지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가지고, 상기 대직경부는 상기 결합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직경부는 상기 결합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스크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
  13. 복수의 포스트를 지면에 회전압입방식으로 설치하고,
    복수의 포스트 중에서 일부의 포스트의 상단에 보조 포스트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인접한 포스트들 사이에 복수의 보강재를 설치하며,
    보조 포스트가 결합되지 않은 포스트들의 상단 및 보조 포스트들의 상단에 모듈장착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모듈장착프레임에 태양광 발전모듈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그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복수의 결합돌기를 가진 회전압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를 지면에 회전압입함으로써 상기 포스트를 지면 상에서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복수의 결합슬롯을 가지고, 각 결합슬롯은 상기 결합돌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대직경부 및 상기 결합돌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소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압입장치를 상기 소직경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슬롯의 소직경부에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조 포스트를 결합하기 위한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포스트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포스트의 하단에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포스트의 제2플랜지부 및 상기 포스트의 제1플랜지부를 결합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복수의 포스트가 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도록 고정된 이후에, 복수의 보강재들이 인접한 포스트들을 관통하여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인접한 포스트들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모듈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80051501A 2018-05-03 2018-05-03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Active KR10211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01A KR102115654B1 (ko) 2018-05-03 2018-05-03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01A KR102115654B1 (ko) 2018-05-03 2018-05-03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09A true KR20190127209A (ko) 2019-11-13
KR102115654B1 KR102115654B1 (ko) 2020-05-26

Family

ID=6853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501A Active KR102115654B1 (ko) 2018-05-03 2018-05-03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2010A (zh) * 2021-05-17 2021-08-10 中国电建集团海南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太阳能光伏发电系统的光伏支架
CN114892706A (zh) * 2022-05-23 2022-08-12 山东电力工程咨询院有限公司 一种phc管桩防松光伏支架立柱及其组装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03A (ja) * 1996-07-04 1998-01-20 Honda Motor Co Ltd 簡易建築物の基礎構造
JP3097221U (ja) * 2003-04-16 2004-01-22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鋼管杭継手
KR101022696B1 (ko) 2010-07-29 2011-03-22 케이피브이(주) 태양광 발전유닛용 지지프레임의 기초 시공방법
KR101108269B1 (ko) 2009-01-29 2012-01-31 (주)탑인프라솔라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KR101142898B1 (ko) 2011-02-15 2012-05-10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체
JP2012164723A (ja) * 2011-02-04 2012-08-30 Daiwa House Industry Co Ltd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200244B1 (ko) 2010-08-11 2012-11-09 디에치이앤이 (주) 태양광 발전모듈용 연결유닛,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구조체 및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48734B1 (ko) 2013-10-29 2014-01-14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태양광 발전 모듈용 지지 구조물
JP2015106990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アドバンス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用連結部カバーとそれを使用した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602953B1 (ko) 2014-06-19 2016-03-11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높이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발전모듈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03A (ja) * 1996-07-04 1998-01-20 Honda Motor Co Ltd 簡易建築物の基礎構造
JP3097221U (ja) * 2003-04-16 2004-01-22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鋼管杭継手
KR101108269B1 (ko) 2009-01-29 2012-01-31 (주)탑인프라솔라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KR101022696B1 (ko) 2010-07-29 2011-03-22 케이피브이(주) 태양광 발전유닛용 지지프레임의 기초 시공방법
KR101200244B1 (ko) 2010-08-11 2012-11-09 디에치이앤이 (주) 태양광 발전모듈용 연결유닛,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구조체 및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JP2012164723A (ja) * 2011-02-04 2012-08-30 Daiwa House Industry Co Ltd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142898B1 (ko) 2011-02-15 2012-05-10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체
KR101348734B1 (ko) 2013-10-29 2014-01-14 주식회사 고강알루미늄 태양광 발전 모듈용 지지 구조물
JP2015106990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アドバンス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用連結部カバーとそれを使用した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602953B1 (ko) 2014-06-19 2016-03-11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높이조절이 가능한 태양광발전모듈의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2010A (zh) * 2021-05-17 2021-08-10 中国电建集团海南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太阳能光伏发电系统的光伏支架
CN113242010B (zh) * 2021-05-17 2022-05-27 中国电建集团海南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应用于太阳能光伏发电系统的光伏支架
CN114892706A (zh) * 2022-05-23 2022-08-12 山东电力工程咨询院有限公司 一种phc管桩防松光伏支架立柱及其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654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511B1 (ko) 포스트용 분할형 지지장치
KR102134462B1 (ko) 지붕 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프레임 고정구조체
KR101572859B1 (ko) 태양광 발전시설 설비 브라켓
TW201432119A (zh) 具有太陽能追日裝置之建築物體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127209A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3286832B1 (en) Foldable device containing several solar panels
KR101892606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150117513A (ko)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CN116142401A (zh) 咬合连接漂浮式光伏组件支架系统
KR101619949B1 (ko) 태양전지 구조물
KR101626593B1 (ko) 태양전지 구조물 설치공법
KR102112354B1 (ko)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20090124593A (ko)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전지판 지지 장치
KR101836200B1 (ko) 에어스포일러 회동에 의한 다운포스 발생을 이용하여 지지블록의 밀림을 방지하는 솔라패널 지지대
KR102016285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연결구조
KR20240178745A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90056792A1 (en) Interconnecting support panel providing substantially planar upper surface
JP6170750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20170069439A (ko) 태양광발전장치
KR101993819B1 (ko) 태양광 발전구조물용 지주장치
KR102167380B1 (ko) 태양광 패널용 지지체 및 그의 연결 구조체
JP2015053305A (ja) 基礎杭及び基礎杭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
KR101200244B1 (ko) 태양광 발전모듈용 연결유닛,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구조체 및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200006759A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