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5254A -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254A
KR20190125254A KR1020190134597A KR20190134597A KR20190125254A KR 20190125254 A KR20190125254 A KR 20190125254A KR 1020190134597 A KR1020190134597 A KR 1020190134597A KR 20190134597 A KR20190134597 A KR 20190134597A KR 20190125254 A KR20190125254 A KR 2019012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ating roller
blade member
roller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미치히라
마사시 미야케
도모유키 세노
신 곤도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25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4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blades
    • B05C11/048Scrapers, i.e. metering blades having their edge oriented in the upstream direction in order to provide a reverse angle of at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08Details thereof, e.g. surfa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6Details
    • B41F9/061Inking devices
    • B41F9/063Using inking rolle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도공 롤러와, 도공액을 끝까지 문지르는 제1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도공액의 누출을 억제하는 제2 블레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에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과 상기 도공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된, 도공 장치.

Description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본 발명은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공 장치로서, 예를 들어 시트 부재 등의 피도공물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를 구비한 그라비아 도공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그라비아 도공 장치는,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는 원기둥상의 도공 롤러와, 도공 롤러의 외주면에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한다. 해당 그라비아 도공 장치는, 도공 롤러의 외주면에 공급된 도공액을 피도공물에 접촉시키면서, 도공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도공액을 피도공물에 연속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라비아 도공 장치에서는, 공급된 도공액이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오목부에 들어가고, 외주면의 일부가 피도공물과 접촉하면서 도공 롤러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도공물과 접촉한 외주부의 도공액이 피도공물에 도공된다. 또한, 이러한 그라비아 도공 장치에서는, 도공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도공액이 피도공물에 전사되어 도공되고, 또한 도공 롤러가 회전한다. 그리고, 오목부 내에 공극이 생긴 외주면에, 공급부로부터 도공액이 공급된다.
이러한 도공 장치로서, 도공 롤러와, 해당 도공 롤러의 오목부에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해당 공급부가,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시일하면서 도공 롤러에 부착된 여분의 도공액을 문질러 내어 제거하는 닥터 블레이드(제1 블레이드 부재)와,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도공액을 시일하는 시일 플레이트(제2 블레이드 부재)를 갖고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8688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공 장치에서는, 도공액에 공기가 혼입된 상태에서 해당 도공액이 피도공물에 전사되어, 기포의 혼입이라는 도공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충분히 안정되게 도공을 행할 수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도공 불량을 억제하면서 도공액을 피도공물에 도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바, 하기의 지견을 알아내었다.
즉, 공급부로부터 도공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블레이드 부재와 도공 롤러가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서, 도공액에 공기가 기포로서 혼입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와 같이 도공액에 기포가 혼입되는 원인으로서, 공급부의 챔버로부터 제2 블레이드 부재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가 관계하고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 원인에 대해 예의 연구를 행한 바, 도공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은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른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과 도공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도,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설정됨으로써, 공급부에 있어서의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제2 블레이드 부재와 도공 롤러 사이로부터 도공액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 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도공액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도공 후의 도공막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도공 장치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이고,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는 도공 롤러와,
챔버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에 공급된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도공액을 문질러 내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보다도 상기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도공액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과 상기 도공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도공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도공 롤러의 접촉 부분보다도,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의 최상부의 쪽이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도공막의 제조 방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이며,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는 도공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에 공급된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도공 공정은,
챔버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 공정을 갖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도공액을 문질러 내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보다도 상기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도공액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과 상기 도공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의 쪽을, 0.1 내지 5㎜ 길게 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를 도공 롤러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도공 롤러의 오목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제1 블레이드 부재와, 챔버 내의 도공액의 액면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제2 블레이드 부재와 도공 롤러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제2 블레이드 부재가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시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시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공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도공물(50)로서 시트 부재(50)를 채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피도공물(50)은, 시트 부재(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50)에 도공액(30)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2)이며, 외주면에 오목부(2a)를 갖는 도공 롤러(2)와, 챔버를 갖고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적어도 오목부(2a)에 챔버 내의 도공액(30)을 공급하는 공급부(3)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도공 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오목부(2a)에 공급된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접촉시킴으로써,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도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공 롤러(2)를 구비한 도공 장치(1)는, 일반적으로, 그라비아 도공 장치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공급부(3)는, 도공액(30)을 문질러 내도록 챔버(3a)로부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6)보다도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도공액(30)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챔버(3a)로부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8)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도공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과 도공 롤러(2) 사이의 거리보다도,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선단(8b)까지의 길이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공급부(3)에서 도공액(30)을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하고, 외주면에 공급된 도공액(30) 중 오목부(2a) 밖의 도공액(30)을 제1 블레이드 부재(6)에 의해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공급부(3)에 대해 시트 부재(50)를 상대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도공 롤러(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된 도공액(30)의 일부를, 피도공물(50)로서의 시트 부재(50)에 접촉시키면서, 오목부(2a) 내의 도공액(30)을 시트 부재(50)에 연속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즉,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이동 방향)과, 시트 부재(50)의 이동 방향이, 도공 부분에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공액(30)은 통상, 시트 부재(50)에 도공된 후에, 해당 시트 부재(50) 상에서 고화되어 도공막(40)으로 되는 것이다. 도공액(30)으로서는, 예를 들어 경화되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용액을 들 수 있다. 경화되는 중합체 재료로서는, 열경화성 재료, 자외선 경화성 재료, 전자선 경화성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상기 중합체 재료는, 자외선 경화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공이란, 인쇄나 코팅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도공액(30)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내지 100mPa·s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50mPa·s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도공액(30)의 점도는, 레오미터(형식 RS1, HAAKE사제)를 사용하여, 20℃에서, 전단 속도 1(1/s)의 조건에서 측정된 값이다.
시트 부재(50)는, 통상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50)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트 부재(50)의 폭은, 통상 도공 롤러(2)의 회전축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시트 부재(5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내지 80㎛ 정도이고, 1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공 롤러(2)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공 롤러(2)는, 원기둥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공 롤러(2)는, 외주면에 공급된 도공액(30)의 일부가 시트 부재(50)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공 롤러(2)는, 적어도 1회전함으로써, 외주면 상의 도공액이 주위 방향을 따라 시트 부재(50)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은, 원기둥상의 도공 롤러(2)의 원기둥 축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보아 원기둥를 따라 배치된 주위면부(2b)와, 주위면부(2b)보다도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2a)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2a)는,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a)는, 도공 롤러(2)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다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오목부(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선상으로 형성된 오목부(2a)로서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선상의 홈에 의해 형성된 허니콤상의 오목부(2a)나, 서로 교차하지 않는(예를 들어 평행의) 복수의 선상의 홈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2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상의 오목부(2a)가, 100 내지 2500선/인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공 롤러(2)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60 내지 120㎜이다. 또한, 이러한 외경은, 도공 롤러(2)의 최외주의 직경이다.
도공 롤러(2)의 외경 회전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150m/분이다. 또한, 이러한 회전 속도는,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이동 속도(주속)이다.
도공 롤러(2)의 길이 방향의 길이(폭)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500 내지 2500㎜이다.
시트 부재(50)의 이동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내지 100m/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시트 부재(50)가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50)의 장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트 부재(50)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도공액(30)이 도공되는 위치보다도 하류측의 시트 부재의 장력이, 5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3)는, 내부에 저장된 도공액(30)을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하는 챔버(3a)와, 챔버(3a)에 도공액(30)을 유입시키는 유입 경로(3b)와, 챔버(3a)로부터 도공액(30)을 유출시키는 유출 경로(3c)와, 유출 경로(3c)를 거쳐 유출된 도공액(30)을 유입 경로(3b)에 보내어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용 탱크(3d)를 갖는다.
상기 챔버(3a)는,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도공액(30)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3a)는, 도공액(30)의 공급처측이 개구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3a)는, 내부 공간을 도공액(30)으로 채우면서, 상기 개구로부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도공액(30)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챔버(3a)는, 일반적으로 클로즈드 챔버라 칭해지는 것이다.
상기 챔버(3a)는, 도공액(30)이 시트 부재(50)에 도공되는 부분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챔버(3a)는, 상기한 개구가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챔버(3a)는, 유입 경로(3b)로부터 유입된 도공액(30)을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챔버(3a)는, 도공액(30)이 누출되지 않도록, 도공 롤러(2)의 외주면과 근접하는 부분에, 제2 블레이드 부재(8)를 갖는다. 챔버(3a)는, 제2 블레이드 부재(8)에 의해, 도공액(30)이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도공액(30)의 일부를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 경로(3b)는, 일방측이 순환용 탱크(3d)와 연결되고, 타방측이 챔버(3a)와 연결되어 있다. 유입 경로(3b)는, 도공액(30)을 보내기 위한 펌프(4)를 갖는다. 유입 경로(3b)는, 펌프(4)에 의해 송액된 도공액(30)을 순환용 탱크(3d)로부터 챔버(3a)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4)로서는, 예를 들어 기어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플런저 펌프, 스네이크 펌프와 같은 종래 공지된 펌프를 들 수 있다.
상기 유출 경로(3c)는, 일방측이 챔버(3a)와 연결되고, 타방측이 순환용 탱크(3d)와 연결된다. 유출 경로(3c)는, 챔버(3a)로부터 순환용 탱크(3d)에 도공액(30)을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용 탱크(3d)는, 유출 경로(3c)를 거쳐 보내져 온 도공액(30)을 일시적으로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부(3)는, 유입 경로(3b)로부터 유입된 도공액(30)을 챔버(3a)에 모으고, 모은 도공액(30)의 일부를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3)는, 챔버(3a)에서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되지 않은 도공액(30)을, 유출 경로(3c)를 거쳐 순환용 탱크(3d)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급부(3)는, 도공액(30)을 순환시키면서 순환시키고 있는 도공액(30)의 일부를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공급부(3)에 있어서의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시일하면서, 도공 롤러(2)의 외주면에 공급된 도공액(30) 중 오목부(2a) 밖의 도공액(30)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챔버(3a)의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고,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통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적어도 일부가,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주위면부(2b)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상기한 접촉 부분(P)에서,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주위면부(2b)에 부착된 도공액(30)을 제거하고, 오목부(2a) 내의 도공액(30)을 남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로서는,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를 들 수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비스 등의 고정 부재(61)에 의해 챔버(3a)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에 있어서의 해당 도공 롤러(2)에 대한 접선이 연장하고 있는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이 0 내지 45°가 되도록, 도공 롤러(2)에 대해 압접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챔버(3a) 내의 도공액(30)의 최상부(여기서는 도공액(30)의 액면)(30a)의 쪽이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챔버(3a) 내의 도공액(30)의 최상부(30a)의 위치(접촉 부분(P)에 대한 최상부(30a)의 높이(d))의 쪽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부재(6)의 배치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도공액(30)의 최상부(30a)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배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블레이드 부재(6)는, 상기 접촉 부분(P)에 대한 도공액(30)의 최상부(30a)의 높이(d)가, 0㎜를 초과하고 10㎜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블레이드 부재(6)의 두께는, 0.1 내지 1㎜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0.5㎜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블레이드 부재(8)는, 공급부(3)로부터 도공액(30)이 누설되지 않게 시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블레이드 부재(8)는,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챔버(3a)의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고,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다. 즉, 제1 블레이드 부재(6)보다도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블레이드 부재(8)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챔버(3a) 내에서 도공액(30)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블레이드 부재(8)는, 비스 등의 고정 부재(81)에 의해 챔버(3a)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블레이드 부재(8)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스테르(PEs)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 부재(8)는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도 4의 백색 화살표 참조)을 따른 가상 직선(N)과, 해당 가상 직선(N)과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교점을 통하는 해당 외주면에 대한 가상 접선(S)과의 이루는 경사 각도 θ2가 0 내지 90°가 되도록, 도공 롤러(2)에 대해 압접되어 있다.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두께는, 0.1 내지 1㎜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0.5㎜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공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과 도공 롤러(2) 사이의 거리(L)(㎜)보다도,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선단(8b)까지의 길이(W)(㎜)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거리(L)에 대한 상기 길이(W)의 차 E가, 0.1 내지 5㎜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W-L=E).
거리(L)는, 예를 들어 10 내지 50㎜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L)는,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에 따라,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즉,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근원)과 도공 롤러(2)를 연결하는 최단 거리에 상당한다. 또한 다시 말해, 상기 거리(L)는,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에 따라,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도공 롤러(2)를 향하여 가상 직선(N)을 연장시켰을 때, 해당 가상 직선(N)이 기단(8a)으로부터 도공 롤러(2)에 도달할 때까지의 거리에 상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W)는, 제2 블레이드 부재(8)가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챔버(3a)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거리(L)보다도, 상기 길이(W)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되어 있고, 0.1 내지 3㎜ 길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에 의해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오목부(2a)에 잔존한 도공액(30)을, 시트 부재(50)에 전사함으로써, 도공을 행하여 도공막(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50)에 도공된 도공액(30)의 두께가, 0.1 내지 10㎛여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도공막의 제조 방법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도공 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50)에 도공액(30)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2)이며, 외주면에 오목부(2a)를 갖는 도공 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2a)에 공급된 도공액(30)을 상기 피도공물(50)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공액(30)을 상기 피도공물(50)에 도공하여 도공막(40)을 형성하는 도공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도공 공정은, 챔버(3a)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2a)에 상기 챔버(3a) 내의 상기 도공액(30)을 공급하는 공급부(3)를 사용하고,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2a)에, 상기 챔버(3a)내의 상기 도공액(30)을 공급하는 공급 공정을 갖는다.
상기 공급부(3)는, 상기 도공액(30)을 문질러 내도록 상기 챔버(3a)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6)보다도 상기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도공액(30)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챔버(3a)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8)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도공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과 도공 롤러(2) 사이의 거리보다도,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선단(8b)까지의 길이의 쪽을, 0.1 내지 5㎜ 길게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상기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상기 챔버(3a) 내의 상기 도공액(30)의 최상부(30a)의 쪽이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공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한 공급부(3)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도공액(30)을 순환시키면서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오목부(2a)에 도공액(30)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도공액(30)이 공급되면서, 도공 롤러(2)가 회전함으로써,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오목부(2a)에 공급된 도공액(30)이 피도공물(50)에 도공된다. 즉, 오목부(2a) 내의 도공액(30)이 피도공물(50)에 접촉하여 전사되어서, 도공막(40)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50)에 도공액(30)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2)이며, 외주면에 오목부(2a)를 갖는 도공 롤러(2)와,
챔버를 갖고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적어도 오목부(2a)에 챔버 내의 도공액(30)을 공급하는 공급부(3)를 구비하고,
도공 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오목부(2a)에 공급된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접촉시킴으로써,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도공하여 도공막(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공급부(3)는, 도공액(30)을 문질러 내도록 챔버(3a)로부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6)보다도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도공액(30)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챔버(3a)로부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8)를 더 구비하고,
도공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과 도공 롤러(2) 사이의 거리보다도,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선단(8b)까지의 길이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과 도공 롤러(2) 사이의 거리(L)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선단(8b)까지의 길이(W)의 쪽이 0.1 내지 5㎜ 긴 것에 의해, 공급부(3)에 있어서의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제2 블레이드 부재(8)와 도공 롤러(2) 사이에서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부(3)에 대해 도공 롤러(2)가 들어가는 측에 있어서,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공 불량을 억제하면서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도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상기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보다도, 상기 챔버(3a) 내의 상기 도공액(30)의 최상부(30a)의 쪽이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지견 이외에도,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가 접촉하고 있는 위치에서,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6)를 통과시킨 후의 도공 롤러(2) 상의 도공액(30)에 공기가 기포로서 혼입되는 것도 알아 내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블레이드 부재(6)를 통과시킨 후의 도공 롤러(2) 상의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원인으로서,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에 대한 챔버(3) 내의 도공액(30)의 표면(즉, 최상부(30a))의 높이가 관계되어 있는 것도 알아 내었다.
그리고,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챔버(3) 내의 도공액(30)의 최상부(30a)의 쪽이 높아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 사이에서 제1 블레이드 부재(6)를 통과시킨 후의 도공 롤러(2) 상의 도공액(30)(피도공물(50))에 전사되기 직전의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도 알아 내었다.
이와 같이, 상기 최단으로 연결하는 거리(L)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길이(W)의 쪽이 0.1 내지 5㎜ 긴 것 외에도, 또한,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챔버(3) 내의 도공액(30)의 최상부(30a)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 뿐만 아니라, 하류측에서도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도 알아 내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도공 롤러(2)의 접촉 부분(P)보다도, 챔버(3a) 내의 도공액(30)의 최상부(30a)의 쪽이 높게 위치함으로써, 공급부(3)에 있어서의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서 제1 블레이드 부재(6)를 통과시킨 후의 도공 롤러(2) 상의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부(3)에 비해 도공 롤러(2)가 나오는 측에 있어서,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공급부(3)에 비해 도공 롤러(2)가 들어가는 측 및 나오는 측의 양쪽에 있어서,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공 불량을 보다 억제하면서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도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도공액(30)의 점도가, 0.5 내지 100mPa·s 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도공액(30)이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50)에 도공액(30)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2)이며, 외주면에 오목부(2a)를 갖는 도공 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2a)에 공급된 도공액(30)을 상기 피도공물(50)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공액(30)을 상기 피도공물(50)에 도공하여 도공막(40)을 형성하는 도공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도공 공정은,
챔버(3a)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2a)에 상기 챔버(3a) 내의 상기 도공액(30)을 공급하는 공급부(3)를 사용하고,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2a)에, 상기 챔버(3a) 내의 상기 도공액(30)을 공급하는 공급 공정을 갖고,
상기 공급부(3)는, 상기 도공액(30)을 문질러 내도록 상기 챔버(3a)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6)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6)보다도 상기 도공 롤러(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도공액(30)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챔버(3a)로부터 도공 롤러(2)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8)를 더 구비하고,
도공 롤러(2)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도공 롤러(2)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과 도공 롤러(2) 사이의 거리보다도, 제2 블레이드 부재(8)의 기단(8a)으로부터 선단(8b)까지의 길이의 쪽을, 0.1 내지 5㎜ 길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부(3)에 대해 도공 롤러(2)가 들어가는 측에 있어서, 도공액(30)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공 불량을 억제하면서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도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공 불량을 억제하면서 도공액(30)을 피도공물(50)에 도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도공 장치(1) 및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1) 및 도공막(40)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 하에서, 시험예 1의 도공 장치를 가동시켜, 도공막의 제조 방법을 행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 형태의 도공 장치를 가동시키고, 시트 상에 도공된 도공액(도공막) 중의 결점수를 계측함으로써 도공 성능을 조사했다. 또한, 가동시의 상세한 가동 조건은, 하기한 바와 같다.
시트 부재의 이동 속도: 20m/분
시트 부재의 이동 방향과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반대 방향
도공 롤러의 외주면 회전 속도비(쌍 시트 부재 이동 속도): 1.6
도공 롤러의 오목부: 허니콤상, 1500선/인치, 2mL/㎡
도공액: 알폰(40wt%)
도공액의 점도: 40mPa·s
공급부에서 도공액을 순환
제1 블레이드 부재(재질: 스테인리스, 두께: 0.2㎜)
제2 블레이드 부재(재질: 수지(플라스틱), 두께: 0.2㎜)
제2 블레이드 부재에 관한 상기 거리(L)에 대한 상기 길이(W)의 차(W-L): 0㎜, 0.1㎜, 0.3㎜, 1㎜, 3㎜, 5㎜, 8㎜, L=20㎜
제1 블레이드 부재와 도공 롤러의 접촉 부분에 대한 액면의 위치(높이) d: -2㎜, 0㎜, 2㎜, 10㎜
(점도의 측정)
레오미터(형식 RS1, HAAKE사제)를 사용하여, 20℃에서, 전단 속도 1(1/s)의 조건으로 도공액의 점도를 측정했다.
(도공 성능)
시트 부재에 도포된 도공액의 외관을 분해능 35㎛의 카메라로 관찰하고, 폭 30㎜×길이 100m의 영역의 범위에서 줄무늬나 얼룩의 수량을 계수함으로써, 도공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도 6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L)에 대한 상기 길이(W)의 차(W-L)가 0.1 내지 5㎜인 경우에는,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보다도, 결점수가 적어졌다. 한편, 상기 차(W-L)가 0㎜인 경우에는, 도공액이 누설되어 도공할 수 없었다.
이 경향은, 제1 블레이드 부재와 도공 롤러의 접촉 부분에 대한 챔버 내의 도공액 최상부(여기서는 액면)의 높이(d)에 상관없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높이(d)가 0㎜인 경우(양자의 높이가 일치하는 경우) 및 -2㎜인 경우(도공액의 최상부의 쪽이 낮은 경우)보다도, 상기 높이(d)가 2㎜인 경우(도공액의 최상부의 쪽이 높은 경우)의 쪽이, 결점수가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재질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면의 높이(d)를 -2mm로 설정하면서 두께를 0.4㎜로 변경하는 것 및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두께를0.2mm로 하고, 액면의 높이를 -2mm로 설정하면서 재질을 스테인리스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공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표2, 도 7에는, 시험예 1에 있어서, 액면의 높이(d)를 -2mm로 설정하고, 두께를 0.2㎜로 설정한 경우의 결과(표 1)를, 함께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재질이 수지(플라스틱)인 경우에는, 두께의 차이에 의한 결점수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재질이 스테인리스인 경우에는, 해당 제2 블레이드 부재가 충분히 휘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공 롤러에 충분히 압접되지 않기 때문에, 챔버 내에 기포가 들어가, 도공액(도공막)의 결점수는 증가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행했지만, 각 실시 형태 및 실시예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당초부터 예정되어 있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도공 장치
2: 도공 롤러
2a: 오목부
2b: 주위면부
3: 공급부
3a: 챔버
3b: 유입 경로
3c: 유출 경로
3d: 순환용 탱크
6: 제1 블레이드 부재(닥터 블레이드)
8: 제2 블레이드 부재
30: 도공액
30a: 최상부
50: 피도공물(시트 부재)

Claims (3)

  1.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이며,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는 도공 롤러와,
    챔버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에 공급된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도공액을 문질러 내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보다도 상기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도공액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과 상기 도공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의 쪽이, 0.1 내지 5㎜ 길게 구성된, 도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도공 롤러와의 접촉 부분보다도,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의 최상부의 쪽이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된, 도공 장치.
  3.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피도공물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도공 롤러이며,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는 도공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에 공급된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도공액을 상기 피도공물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형성하는 도공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도공 공정은,
    챔버를 갖고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사용하여,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의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 상기 챔버 내의 상기 도공액을 공급하는 공급 공정을 갖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도공액을 문질러 내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1 블레이드 부재와, 해당 제1 블레이드 부재보다도 상기 도공 롤러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도공액의 누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도공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는 제2 블레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공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도공 롤러에 압접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른 거리이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기단과 상기 도공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블레이드 부재의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의 쪽을, 0.1 내지 5㎜ 길게 하는, 도공막의 제조 방법.
KR1020190134597A 2017-03-29 2019-10-28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Withdrawn KR20190125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5501 2017-03-29
JP2017065501 2017-03-29
JP2017127416A JP6649919B2 (ja) 2017-03-29 2017-06-29 塗工装置及び塗工膜の製造方法
JPJP-P-2017-127416 2017-06-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833A Division KR102198728B1 (ko) 2017-03-29 2018-02-05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254A true KR20190125254A (ko) 2019-11-06

Family

ID=6401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97A Withdrawn KR20190125254A (ko) 2017-03-29 2019-10-28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649919B2 (ko)
KR (1) KR20190125254A (ko)
TW (1) TWI666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172754A (ja) * 2023-06-01 2024-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塗工方法およ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888A (ja) 2000-12-19 2002-07-02 Fuji Kikai Kogyo Kk グラビア塗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6754B1 (en) * 2000-06-30 2004-0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applying a polymer coating
EP1820639A4 (en) * 2004-12-08 2011-04-06 Nippon Steel Corp PREPARED METAL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EPARED METAL PLATE
CN204159501U (zh) * 2014-10-17 2015-02-18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往复式浆料涂膜装置
JP5989843B2 (ja) * 2015-03-30 2016-09-07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塗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888A (ja) 2000-12-19 2002-07-02 Fuji Kikai Kogyo Kk グラビア塗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6065B (zh) 2019-07-21
TW201836714A (zh) 2018-10-16
JP2018167254A (ja) 2018-11-01
JP6649919B2 (ja) 2020-02-19
JP2020019019A (ja)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728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KR20190125254A (ko)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KR102431647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CN113474171A (zh) 用于用流体加载喷嘴的装置、方法和组件
KR102325716B1 (ko) 도포 장치 및 도포 시스템
JP2008036536A (ja) 撥油剤溶液の塗布方法
KR20160138945A (ko) 도포장치, 도포방법 및 도막을 가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CN102905797B (zh) 用于将介质涂覆到移动的纤维料幅两侧上的涂覆设备和方法
CN113000296A (zh) 涂布装置及涂布方法
JP6446233B2 (ja) 塗工装置及び塗工方法
KR20190110035A (ko)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US11312060B2 (en) Fluid channel
JP2016186327A (ja) プレート一体ガスケットの成形方法
US7270711B2 (en) Nozzle for use in rotational casting apparatus
KR20120031114A (ko) 접착제의 도포 장치
JP2017047414A (ja) 低分散高速応答混合デバイス
US20050208222A1 (en) Nozzle for use in rotational casting apparatus
JP4897866B2 (ja) ロールコーター装置を用いた塗装方法
JP2018131251A (ja) カットノズル
US7041171B2 (en) Nozzle for use in rotational casting apparatus
KR101257886B1 (ko) 그라비아 코팅장치
FI87254B (fi) Foerfarande foer reparation av raefflan som slitits av sugvalsens aendtaetning i en pappersmaskin.
Kim et al. Omni‐Liquid Droplet and Bubble Manipulation Platform Using Functional Organogel Blocks
JP2013144293A (ja) 塗液塗布方法および塗液塗布装置
JP4155459B2 (ja) ダイ塗布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20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1383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