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433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및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및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334A
KR20190124334A KR1020197031564A KR20197031564A KR20190124334A KR 20190124334 A KR20190124334 A KR 20190124334A KR 1020197031564 A KR1020197031564 A KR 1020197031564A KR 20197031564 A KR20197031564 A KR 20197031564A KR 20190124334 A KR20190124334 A KR 2019012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s
format
dci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279B1 (ko
Inventor
페이페이 선
징싱 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024387.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633070A/zh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2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H04L5/0046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bits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11Semi-persistent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다. SPS가 활성화된 후 스케줄링된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SPS에 의해 활성화되는 스케줄링된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으며, 이것은 리소스(들)의 이용 효율을 크게 높이고 DCI를 모니터링 및 검출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의 전력 소모를 줄이며, SPS의 다운링크 채널의 스케줄 오버헤드및 서비스 지연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및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및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응용들이 고려된다. 5G의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서는, 고속의 액세스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고속 셀 핸드오버의 경우, 핸드오버 레이턴시 요구 사항은 LTE에서의 핸드오버 레이턴시 요구 사항보다 훨씬 작다.
상기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 정보로서만 제시된 것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 본 개시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어떠한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어떠한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적어도 전술한 문제점들 및/또는 단점들을 해결하고 적어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양태는 통신 효율이 높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의 고주파 재송신 응용 상황에 적응되는, 반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는 동작,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포맷 그룹의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는 동작들 이후에, 이 방법은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에 따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송신되는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동작, 및/또는 결정된 송신 포맷에 따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송신되는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동작은,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NDI(new data indicator) 필드에 따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된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동작 및/또는 결정된 송신 포맷에 따라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동작,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초기 송신인 경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초기 송신을 수신 또는 송신하는 동작, 및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 또는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포맷 그룹의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는 동작들 이후에, 이 방법은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에 따라,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프로세스 번호 및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송신되는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동작, 및 결정된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송신 포맷에 따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수신 또는 송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포맷 그룹 또는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각각의 타입은 다음의 필드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데이터 채널 반복 횟수 필드, NDI 필드, HARQ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나타내는 HARQ-ACK 리소스 필드, 스케줄링 시간 지연 필드(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작 위치 및/또는 점유 시간 듀레이션을 포함함), 리소스 할당 필드(점유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를 포함함), 변조 및 코딩 방식 필드,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 및 리던던시 버전 번호 필드.
바람직하게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는 동작은 DCI의 지정된 필드(들)가 미리 정의된 구성(들)인지를 결정하고, 지정된 필드(들)가 미리 구성된 경우, SPS를 활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 DCI는 SPS C-RNTI(SPS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성공적으로 통과한 것이고, 지정된 필드는 다음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스케줄링 시간 지연 필드, 리던던트 버전 번호 필드, HARQ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나타내는 HARQ-ACK 리소스 필드, HARQ 프로세스 번호 필드,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데이터 채널의 반복 횟수 필드 및 DCI 서브프레임 반복 횟수 필드.
바람직하게는,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는 동작 이후에, 이 방법은 ACK/NACK 송신을 위한 리소스에서 SPS 해제를 위한 ACK(acknowledgement)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ACK/NACK 송신을 위한 리소스는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에 의해 표시되거나, 상위 계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값이다.
바람직하게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동작은 다음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초기 송신인 경우,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하고,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송신할 때까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초기 송신을 송신하는 방법;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대응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고,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중지할 때까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송신하는 방법;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초기 송신인 경우, 수신된 초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실패하여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송신하고,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할 때까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초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방법;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수신된 데이터의 재송신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ACK 정보를 송신하고,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의 데이터의 재송신을 중지할 때까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 및 디코딩하는 방법; 또는 결정된 송신 포맷이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 및 디코딩하는 방법; 또는 수신된 데이터의 재송신에 대한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송신하지 않고,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을 계속 수신하는 방법.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운링크 SPS(DL SPS)의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DCI에서 슬롯 포맷 표시(slot format indication, SFI)를 획득하고, SFI에 따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 슬롯들 및/또는 심볼들을 위한 슬롯(들) 및/또는 심볼(들)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동작,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그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에 대한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업링크 송신을 위해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다음 이용 가능한 리소스 위치로 연기하는 동작, 또는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취소하는 동작.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UE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를 디코딩하지 않는다. 즉, 기지국은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 송신을 취소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서 다른 UCI 정보와 동시에 송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UCI 정보는 HARQ-ACK 피드백 정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및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SFI에 의해 리소스 위치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의한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고,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가 PUCCH 단독으로 송신되는 경우,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이 취소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SFI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로서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리소스 위치가 SFI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 송신이 취소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SFI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SFI에 의해 리소스 위치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로서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및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가 PUCCH 단독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이 취소되거나, 또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하나의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가 PUCCH 및 PUSCH에서 다른 UCI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는, HARQ-ACK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NACK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피드백 HARQ-ACK에 대응하는 정보가 송신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위한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이 사용자 장비는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모듈,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해제 모듈을 포함하며,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개시의 효과는 본 개시에서 SPS가 활성화된 후 스케줄링된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가 SPS에 의해 활성화된 스케줄링된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DCI를 모니터링 및 검출하기 위한 UE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SPS의 다운링크 채널의 스케줄 오버헤드 및 서비스 지연을 감소시키며, 리소스 이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SPS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단계;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SPS에 의해 할당된 획득된 리소스들에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디코딩하고 PU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크-업 신호는 UE 식별자, UE 그룹의 식별자 또는 시스템 메시지 변경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형태들은 시퀀스 타입, 파형 타입, DCI 포맷의 타입, DCI 포맷의 특정 필드 타입, 및/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스크램블 코드 타입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동작은 PDCCH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SPS에 의해 할당된 획득된 리소스에서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송신하는 동작은,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PDCCH가 검출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결정의 결과 PDCCH가 검출될 필요가 있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 이후에 PDCCH를 판독하고, PDCCH에 의해 표시된 시간-주파수 리소스에서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이 사용자 장비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리소스 획득 모듈; 및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웨이크-업 신호 검출 모듈; SPS에 의해 할당된 획득된 리소스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디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개시의 기술적 효과는 SPS 리소스 할당과 함께 웨이크-업 신호로서 설계된 작은 페이로드를 갖는 DCI를 포함하고, UE는 웨이크-업 신호를 직접 모니터링한 이후에 PDSCH를 디코딩할지 또는 PUSCH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PDSCH 또는 PUSCH의 SPS 리소스 할당이 동적으로 재작성될 필요가 있는 경우, 여분의 PDCCH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는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UE의 디코딩 시간을 감소시키고, UE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UE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력 절감시킨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따라, UE가 자신이 속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획득하는 동작, 및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따라,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대응하는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이다. UE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을 제 1 전력 값으로 설정하고,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을 제 2 전력 값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력 값 및 제 2 전력 값 중 하나 또는 둘은 기지국 구성에 의해 획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전력 값은 장비 자체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협대역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NPRACH)의 반복 횟수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NPRACH의 반복 횟수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로 램핑 업된 후, 제 1 전력 값, 또는 마지막으로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NPRA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송신 전력, 또는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수신된 목표 전력에 따라 계산된 송신 전력을, NPRACH의 초기 송신 전력으로서 설정하고, 랜덤 액세스 요청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 2 전력 값 또는 최대 NPRACH 시도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전력 램핑 동작에 따라 전력 램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UE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UE가 제 2 강화된 레벨에서 전력 램프를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송신 전력이 설정된 후, Msg3의 리소스 스케줄링 및 설정된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Msg3의 전송 전력을 설정하고, 설정된 Msg3 송신 전력에 따라 Msg3을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UE가 속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 최대 송신 전력이 설정된 후에, UE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특정 최대 송신 전력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특정 최대 송신 전력의 정보에 따라 최대 송신 전력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이 사용자 장비는 UE가 속한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획득하기 위한 커버리지 레벨 획득 모듈,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따라,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개시의 기술적 효과는 깊은 커버리지의 장비에 대해, 더 큰 송신 전력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셀들에 대한 간섭이 없는 경우, 이 셀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전력이 향상되고, 수신기의 성능이 향상되며,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큰 전력 호핑이 회피되며, 이것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NPRACH 송신의 최대 시도 실패 횟수에 도달하더라도, 이러한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최대 송신 전력에 도달하지 않는 동안에,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계속 사용하여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최대 송신 전력을 직접 사용하는 결과이다. 양호한 상태의 UE 채널의 경우, 송신 전력이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최대 송신 전력으로 직접 호핑되는 경우,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NPRACH 리소스를 통해 송신된 모든 신호가 서브머징될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 이점들 및 현저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 예들의 상기 및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활성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스케줄링 시간 지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quest, HARQ) 피드백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해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해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nwl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ACK 피드백 정보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동적 스케줄링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일 타입의 HARQ 재송신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다른 타입의 HARQ 재송신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운링크 SPS의 HACK-ACK 피드백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운링크 SPS의 다른 HACK-ACK 피드백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사용자 장비의 모듈 블록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페이징 서비스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다른 페이징 서비스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다른 사용자 장비의 모듈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업링크 전력 제어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최대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장비의 모듈 블록도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특징 및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에 유의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은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가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단어는 서지적 의미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자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 표면"에 대한 언급은 그러한 표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 접근 방식이 일례로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의 관점을 배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및 전력 제어를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신호,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칭하는 용어 및 장치의 요소들을 지칭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다음의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적인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일부 통신 표준들(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겠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들일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용이하게 수정되어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들의 일부로서 기지국(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이 하나의 BS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BS(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BS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BS(110)는 단말기들(120 및 130)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이다. BS(110)는 신호가 송신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서 정의되는 커버리지를 갖는다. BS(11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eNodeB(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노드", "무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및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기들(120 및 130) 각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무선 채널을 통해 BS(1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기들(120 및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동작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들(120 및 130) 중 적어도 하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를 수행하는 장치이며, 사용자가 휴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기들(120 및 130) 각각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 "가입자국", "원격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사용자 장치" 및 "단말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는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컨대, 28 GHz, 30 GHz, 38 GHz 및 60 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BS(110), 단말기(120) 및 단말기(130)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방향성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BS(110) 및 단말기들(120 및 130)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들(112, 113, 121 및 131)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서빙 빔들(112, 113, 121 및 131)을 반송하는 리소스들과 준-동일 위치(quasi co-located) 관계를 갖는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송되는 채널의 대규모(large-scale) 특성들이 제 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전송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제 1 안테나 포트 및 제 2 안테나 포트는 준-동일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특성들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천이,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구조는 단말기(120) 또는 단말기(130)의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 또는 "-기"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지칭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단말기(12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스토리지 유닛(220)(예를 들어, 메모리) 및 제어기(230)(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와 비트스트림들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송신 비트스트림들을 인코딩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에,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함으로써 수신 비트스트림들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혼합기, 발진기,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컨대, DSP)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들을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용된다.
스토리지 유닛(220)(예를 들어, 메모리)은 기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및 단말기(120)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 유닛(2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220)은 제어기(23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기(230)는 단말기(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3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기(230)는 스토리지 유닛(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제어기(230)는 통신 표준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이 통신 인터페이스(21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 또는 제어기(230)의 일부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로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은 사물 인터넷의 중요한 브랜치들 중 하나이며, 이 NB-IoT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기타 시스템들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배치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NB-IoT의 경우,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애플리케이션의 향상된 커버리지 상황을 지원하며, 높은 신뢰성(예를 들면,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반복 방법을 사용하여 송신해야 한다. 반복 송신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다량의 채널 리소스를 차지하기 때문에, 고효율 NB-IoT를 설계하는데 있어서의 핵심은 다운링크 채널 리소스의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이다.
LTE 시스템은 물리적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quest channel, HARQ) 표시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에 의해 업링크 동기화 비-적응 재송신을 달성하지만, PHICH가 리소스를 예비해야 하며, 이로 인해 여전히 다운링크 채널 리소스의 낭비가 야기된다. 또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보호 없는, PHICH의 신뢰성은 PDCCH보다 낮으며, 이에 따라 NB-IoT의 설계가 업링크 ACK(Acknowledgegment)/NACK(negative-ACK)를 송신하기 위한 PHICH 채널을 도입하지 못하게 된다.
SPS는 LTE 음성 서비스에서 PDCCH 채널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SPS 기술에서는,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포함)가 PDCCH 채널에 의해 한 번만 할당되거나 지정될 필요가 있으며,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주기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먼저, 시스템은 상위 계층의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에 의해 SPS 모드의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고, SPS의 기간을 동시에 지정하며, 그 후에, SPS 모드가 PDCCH 채널에서 UE에 대한 대응하는 리소스를 할당하는 기지국에 의해 활성화되며, UE는 후속 스케줄링 기간에서 재사용되는 대응하는 리소스 할당을 저장하는 한편, 적응적 재송신을 위한 데이터는 PDCCH 채널에 의해 리소스를 재할당해야 할 필요가 있다. SPS 송신의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은 또한 PDCCH 채널에 의한 송신을 위해 대응하는 리소스를 재할당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PDCCH 채널의 표시에 의해 SPS를 해제한다.
그러나, 기존 LTE 시스템의 SPS 스케줄링은 다운링크 스케줄링의 오버헤드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에, 기지국은 평소와 동일한 크기의 포맷 길이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해야 하며, UE는 동일한 페이로드 크기의 DCI 포맷에 대한 PDCCH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 및 검출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전력 절감을 제공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SPS 스케줄링 모드가 활성화된 후, 재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다른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이것은, 스케줄링된 리소스가 SPS 활성화 이후의 재송신을 위해 직접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래의 SPS는 대량의 송신 및 재송신을 갖는 NB-IoT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재송신용의 스케줄링을 위해 다운링크 채널 스케줄링 오버헤드가 증가된다.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상기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리소스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사용자 장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UE는 LTE 시스템 또는 NB-IoT 시스템에서 페이징 정보를 얻기 위해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CCH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PDSCH에 포함된 페이징 정보는 이 U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PDCCH 및 PDSCH를 디코딩하기 위한 UE의 전력 소모가 낭비된다. 연결 상태의 DRX에 유사한 조건이 존재하며, 즉, UE가 PDCCH를 모니터링할 때, 이 UE의 PDCCH가 존재하지 않는다. UE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력 절감 페이징 또는 DRX 모니터링 메커니즘과 사용자 장비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사물의 인터넷의 일부 단말기들의 경우, 서비스의 요구 사항으로 인해, 이들은 실내 또는 지하에 배치되며, 이것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단말기와 비교하여 열악한 채널 상태를 초래한다. 3GPP는 Rel-13 및 Rel-14에서 NB-IoT 시스템을 설계하고, LTE 시스템에서 eMTC의 새로운 타입의 단말기를 도입할뿐만 아니라, LTE 단말기에 대한 커버리지 강화 기능을 도입한다. NB-IoT 단말기의 경우, 3개의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이 정의되며 각 커버리지 레벨의 구성이 시스템 정보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다. eMTC와 관련하여, 두 가지 타입의 커버리지 레벨(CE(coverage enhancement) 모드 A 및 CE 모드 B)이 정의된다. LTE 및 NB-IoT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UE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성한다. 현재, 어떤 커버리지 상태와 관계없이, NB-IoT 시스템과 eMTC 시스템은 이 구성의 최대 값을 준수한다. 그러나, 커버리지 레벨이 강화된 UE의 경우, 그 능력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결과, 업링크 채널이 송신에 있어서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이전에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송신될 수 있었음). 이러한 방식으로, 리소스가 낭비될뿐만 아니라 UE의 전력 소모에 큰 데미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열악한 채널 상태에 있는 UE가 그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최대 송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제어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PS를 위한 방법의 실시 예는 다음 동작들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UE는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시킨다. 동작 302에서, UE는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한다. 여기서,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다. 여기서,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DCI의 정보 비트 수를 나타내며, 이를 DCI 포맷 길이(DCI format length)라고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SPS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실시 예가 먼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활성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UE는 PDCCH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한다. UE가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고 SPS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CRC 검사를 통과하여 추가 검증이 달성되면(예를 들어, DCI의 일부 필드 값이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지 검증), DCI는 SPS 활성화를 위한 DCI로 취급된다. 여기서, SPS C-RNTI는 RRC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특정 RNTI이다.
동작 403에서, UE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리소스(PDSCH 채널 및/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채널)의 송신 포맷, 즉 리소스가 초기 송신에 사용되는지(새로운 데이터로 표시되는지) 또는 재송신에 사용되는지(이전 데이터로 표시되는지)를 결정한다.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리소스가 새로운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동작 405에서, UE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표시되는 리소스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리소스가 이전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동작 407에서, UE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표시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기지국은 UL 및 DL 송신을 구별하기 위해 UE에 대하여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은 DCI를 사용하여 UL 또는 DL 송신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409에서, UE는 SPS가 활성화된 후 PDCCH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하나의 타입의 DCI 포맷 그룹은 하나의 타입 또는 복수의 타입의 DCI 포맷(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타입의 DCI 포맷의 DCI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포맷 그룹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타입 또는 두 개의 타입 DCI 포맷(들)을 포함한다. 제 2 포맷 그룹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타입 DCI 포맷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UE에 의한 DCI에 대한 블라인드 검출이 더 복잡하지 않을 것이며,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는 UE의 전력 소모 결과가 감소될 것이다. DCI 포맷의 일 타입은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포맷일 수 있고,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포맷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포맷 그룹은 N0, N0-A, N1, N1-A, N2 및 N2-A 중 어느 하나의 타입 또는 두 타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0 및 N0-A는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맷이고, N1 및 N1-A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거나, SC-MTCH(single cell-multicast traffic channel)를 베어링하거나 SC-MCCH(single cell-multicast control channel)의 변경을 알리는데 사용되는 포맷이다. N2 및 N2-A는 채널을 페이징하는데 사용되는 포맷으로서, 시스템 정보 변경의 DCI를 직접 표시하고, SC-MCCH를 베어링하기 위해 NPDSCH를 스케줄링하거나 SC-MCCH의 변경을 알리는 포맷이다. 제 2 포맷 그룹은 N0-B, N1-B 및 N2-B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포함하며, 여기서 N0-B는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포맷이고, N1-B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포맷이며, N2- B는 페이징 채널 또는 SC-MCCH에 사용되는 포맷이다.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비트 수)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비트 수)보다 작다. 예를 들어, N0-B, N1-B 및 N2-B의 포맷 길이는 N0, N0-A, N1, N1-A, N2 및 N2-A 중 하나의 포맷 길이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은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 포맷의 일부 필드를 생략하여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은 데이터 채널(PDSCH 및/또는 PUSCH)의 반복 횟수 필드 및 새로운 데이터 인디케이터(new data indicator, NDI) 필드만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UL 및 DL의 SPS들이 동시에 활성화되는 경우,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은 업링크 스케줄링 및 다운링크 스케줄링을 구별하기 위한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해,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한 HARQ-ACK 리소스를 나타내는 필드(HARQ-ACK 리소스 필드로 표시됨)를 더 포함하거나, 스케줄링 지연 필드(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시작 위치 및/또는 점유되는 시간 듀레이션 포함), 리소스 할당 필드(점유되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 포함) 또는 변조 코딩 방식 필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스케줄링을 위해,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 리소스 스케줄링 필드, 스케줄링 지연 필드, 변조 코딩 방식 필드 및 리던던시 버전 필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페이로드 크기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의 페이로드 크기와 동일하다. 이때,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 포맷에 대한 모니터링은 UE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들이 리소스를 공유하는 것에 의하여 DL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은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포맷일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계산에 의해 자신에 대응하는 필드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HARQ의 하나 또는 다수의 ACK/NACK는 그것에 대응하는 필드에 의해서 반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 HARQ의 ACK/NACK 정보는 단일 상태(ACK 또는 NACK)이거나 또는 다중 상태(ACK 및 NACK)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호핑 또는 트리거링의 정보는 그것에 대응하는 필드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극단적인 조건에서,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은 1 비트 정보, 즉 하나의 UE에 의해 지정된 시퀀스 또는 파형, 예를 들어 스크램블링된 RNTI 시퀀스로 디그레이드될 수 있다. RNTI는 사용자, 사용자 그룹 또는 셀들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비트가 매우 적은 1 비트 또는 새로운 DCI 포맷은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예를 들면, 페이징 정보 및 시스템 정보) 또는 멀티캐스트 정보(SC-PTM(Single Cell Point To Multi-point)에서의 SC-MCCH 또는 SC-MTCH)에 적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지연에 대해, PUSCH의 시작 위치는 미리 정의된 값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스케줄링 시간 지연의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PUSCH/PDSCH 송신의 시작 위치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를 반송하는 PDCCH의 종료 서브프레임 이후의 고정된 시간에 존재한다(예를 들어, 8ms 이후에 PUSCH에서 송신하거나 4ms 이후에 PDSCH에서 수신). 이러한 고정된 시간은 사양에서 미리 정의/미리 표시되거나 또는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스케줄링 지연은 또한 SPS 활성화를 위해 DCI로 표시될 수도 있다(이 상황을 위한 스케줄링 지연 필드 예비). 본 명세서에서, 스케줄링 지연의 시간 단위는 절대 시간(예를 들어, ms)이거나, 또는 심볼/슬롯/서브프레임, 또는 유효한 심볼/슬롯/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다음의 명세서에서, 지연 또는 시간 도메인 위치 등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간 도메인 유닛은 일 예로서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USCH/PDSCH의 첫 번째 송신을 위한 시작 위치는 DCI에서 지연 필드를 스케줄링함으로써 표시되며, 이후, 각 기간 송신의 시작 위치는 고정된 값(20ms, 40ms 및 80ms 등)을 추가하는 PUSCH/PDSCH의 첫 번째 송신을 위한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이 고정된 값은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SPS의 기간은 PDCCH 기간(PDCCH 기간(PP))의 배수이며, 예를 들어 1PP, 2PP, 4PP, 8PP 등이다. 또한, 보다 긴 SPS 기간을 지원하기 위해, 기간의 구성은 하이퍼-프레임, 무선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심볼 등과 같은 다수의 차원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SPS 기간은 동적 스케줄링(새로운 DCI 필드)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DCI는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를 얻기 위해, 다수의 시간-주파수 리소스 위치(또는 시간-도메인 리소스의 위치)를 스케줄링하거나, 동일한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를 채택하거나, 또는 사전 구성 방식으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수 있다.
더 긴 기간을 가진 SPS를 사용하여 정보를 페이징할 수 있다. UE가 유휴 상태인 경우에도 SPS 기간을 기록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SPS의 기간 구성 정보가 UE에게 구성될 수 있다. 페이징을 위해 SPS 스케줄링 리소스를 사용하는 경우, UE는 UE 자체의 UE 식별자가 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자체 호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식별자는 하나의 타입의 시퀀스에 의해 달성되거나, 또는 PDSCH 또는 PDCCH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타입의 스크램블링된 RNTI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 식별자는 PDSCH 또는 PDCCH 및 RNTI의 상이한 스크램블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 SPS가 DRX에서서 사용될 수 있으며, UE는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다운링크 데이터 정보를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다.
DCI 서브프레임 반복 횟수 필드의 경우, 스케줄링된 PUSCH 또는 PDSCH의 시작 위치는 PDCCH의 시작 위치 또는 PDCCH 탐색 공간의 시작 위치 또는 미리 정의된(또는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시작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프레임 등). 이 조건에서, DCI 서브프레임 반복 횟수 필드는 미리 정의된 값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모두 "0" 또는 모두 "1"), PDSCH의 초기 송신 위치 또는 PDCCH의 종료 위치에 의한 PUSCH를 결정할 필요는 없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ARQ-ACK 리소스 필드(들)에 대해, PDSCH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의 ACK/NACK 정보의 리소스 위치(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포함)가 미리 정의된 값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ACK 리소스 필드(들)는 모두 "0"으로 구성되거나 존재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시간-도메인 위치가 PDSCH 이후의 13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경우,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는 서브캐리어 45(서브캐리어 간격이 3.75kHz인 경우) 또는 서브캐리어 0(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이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I 포맷 N1의 HARQ-ACK 리소스 필드(들)는 "0000"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PDSCH에 대한 HARQ-ACK 피드백의 시간-도메인 또는 주파수-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도메인 리소스는 예를 들어 SPS-Config 정보 또는 SPS-ConfigDL 정보, 또는 SPS-ConfigUL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ACK/NACK 정보의 리소스 위치는 예를 들어, 시간-도메인 또는 주파수-도메인의 리소스 위치를 고정하는 것만을 통해 HARQ-ACK 리소스 필드(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가변 주파수-도메인 또는 시간-도메인 리소스 위치가 HARQ-ACK 리소스 필드(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표 1은 SPS 활성화를 위한 DCI의 특수 필드 구성 예들을 나타낸다.
DCI 포맷 N0 DCI 포맷 N1
스케줄링 지연 '00'으로 설정 '000'으로 설정
리던던시 버전 '0'으로 설정 '00'으로 설정
HARQ 프로세스 번호(존재하는 경우, 예컨대, Rel-14) '0'으로 설정 '0'으로 설정
HARQ-ACK 리소스(들) NA '0000'으로 설정
리던던시 버전의 경우: SPS가 새로운 데이터 송신용인 경우, 리던던시 버전(존재하는 경우)은 고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RV 0). 예를 들어,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는 DCI에 의해 재송신이 트리거될 경우, 리던던시 버전은 디코딩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SPS가 이전 데이터 재송신에 사용하되는 경우에는, 리던던시 버전을 추가로 표시할 필요가 없다. 각각의 재송신 또는 반복에 대한 리던던시 버전은 미리 정의된 순서(예를 들면, 0, 1, 0, 1 ……)에서 라운드 로빈일 수 있다.
SPS는 신호 커버리지 상태가 양호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DCI의 데이터 채널(PDSCH 및/또는 PUSCH)의 반복 횟수 필드는 특정 고정 값 미만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DCI에서 데이터 채널의 반복 횟수가 고정된 값보다 클 경우, UE는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SPS는 검증에 실패한다. 마찬가지로, DCI의 반복 횟수(존재하는 경우)가 고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만, SPS의 유효성이 확인된다.
NDI 필드의 경우, UE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가 새로운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지 또는 이전 데이터 재송신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리소스가 새로운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경우, 새로운 데이터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표시되는 스케줄링된 리소스에서 수신 또는 송신되며, HARQ 프로세스가 새로운 송신에 따라 수행된다. 리소스가 이전 데이터 재송신에 사용되는 경우, 이전 데이터는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표시되는 스케줄링된 리소스에서 수신 또는 송신되고, HARQ 프로세스가 이전 데이터에 따라 수행되며, 예를 들어 이전 데이터 재송신을 수신한 후 조합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HARQ 엔티티에서 버퍼를 재판독하고 이전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HARQ 프로세스 번호 필드에 대해, UE는 다수의 HARQ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결정에 따라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하고; 다수의 HARQ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단 하나의 HARQ만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다수의 HARQ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는 경우, UE는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추가로 결정한다. 다수의 HARQ 프로세스가 있는 경우, SPS 활성화를 위한 DCI의 NDI는 다수의 프로세스에 적합하며, 즉, NDI는 다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송신 및 이전 데이터 재송신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HARQ 프로세스 중 하나 또는 다수가 최초 송신인 경우, 이것이 새로운 송신인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다수의 HARQ 프로세스를 지원할 경우, 하나의 사용자의 다수의 HARQ 프로세스의 ACK/NACK 피드백이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으로 반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HARQ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UE에 대해, UE는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하기 위해 LTE에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하는 방법, 즉 HARQ 프로세스 ID = [floor(CURRENT_TTI/semiPersistSchedIntervalDL)] modulo numberOfConfSPS-Processes를 재사용하며, 여기서 CURRENT_TTI = [(SFN * 10) + 서브프레임 번호]이다. 또는, DCI에서 HARQ 프로세스 번호의 표시는 특히 재송신을 위한 SPS 스케줄링을 위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HARQ 프로세스의 재송신이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el-14 버전의 NB-IoT 시스템에서는, 최대 2개의 HARQ 프로세스가 지원되며, 현재 numberOfConfSPS-Processs는 최대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BWP(bandwidth part) 인디케이터 필드의 경우, 이것은 활성화된 BWP의 주파수 도메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활성화를 위한 DCI에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것은 활성화를 위한 DCI에 유지될 수 없다(예를 들면, 생략되거나 디폴트 값으로 설정). 이때, SPS 송신을 위한 BWP는 활성화된 BWP일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이것은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활성화를 위한 DCI가 없는 업링크 송신에도 적용된다.
보충 업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및 UL 캐리어 인디케이터 필드의 경우, 이것은 SPS 활성화를 위한 DCI에 유지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기반 업링크 송신과 유사하게, 이 필드는 SUL 또는 UL에서의 활성화된 업링크 SPS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PS가 성공적으로 활성화된 후, UE는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를 모니터링한다. UE가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를 모니터링할 경우, UE는 UE 특정 탐색 공간, 또는 셀 특정 탐색 공간 또는 UE 그룹 특정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UE는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를 모니터링할 때 SPS C-RNTI 및/또는 C-RNTI를 사용하여 디코딩하거나, UE 그룹에 의해 지정된 RNTI를 사용하거나, SPS C-RNTI 또는 C-RNTI와 상이한 N-RNTI를 사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SPS가 성공적으로 활성화된 후, UE는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DCI 및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두 가지 타입의 DCI 포맷은 동일한 PDCCH 탐색 공간에서 송신되거나 또는 상이한 PDCCH 탐색 공간들, 예를 들어 상이한 다른 Rmax(최대 반복 횟수), 상이한 탐색 공간들의 시작 포인터 위치(예를 들면, 상이한 오프셋), 상이한 탐색 공간 타입(예를 들어, UE 특정 탐색 공간, 셀 특정 탐색 공간 및 UE 그룹 특정 탐색 공간)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의 SPS의 해제 프로세스가 아래에 도입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해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UE는 PDCCH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를 모니터링한다. 동작 703에서, UE는 SPS 해제를 위한 DCI에 대하여 추가의 특수한 구성 검증을 수행한다. UE가 SPS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고 CRC 검사를 통과하여 추가 검증이 달성되면(예를 들어, 일부 필드의 값이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지 검증), DCI는 SPS 해제를 위한 DCI로서 취급되며, 동작 705에서, SPS에 대한 기지국과 UE 간의 어긋난 이해를 피하기 위해, HARQ의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에서 SPS 해제를 위한 ACK 정보를 송신한다.
SPS 활성화를 위한 DCI와 유사하게, SPS는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 번호 필드,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PUSCH의 주파수-도메인 리소스), 리소스 할당 필드, 스케줄링 지연 필드, 리던던시 버전 필드, 변조 코딩 방식 필드 및 DCI 서브프레임 반복 횟수 필드, SUL 또는 UL 표시 인디케이터 및 BWP 표시 인디케이터(표 2에 도시됨) 중의 하나 이상과 같은 DCI의 일부 필드들을 표시 없이 해제할 수 있다. 표 2는 SPS 해제를 위한 DCI의 특수 필드 구성 예들을 나타낸다.
DCI 포맷 N0 DCI 포맷 N1
스케줄링 지연 '00'으로 설정 '000'으로 설정
HARQ 프로세스 번호(존재하는 경우, 예컨대, Rel-14) '0'으로 설정 '0'으로 설정
서브캐리어 표시 모두 '1'로 설정 NA
리소스 할당 모두 '1'로 설정 모두 '1'로 설정
리던던시 버전 '0'으로 설정 NA
반복 횟수 '000'으로 설정 '0000'으로 설정
변조 및 코딩 방식 '1111'로 설정 '1111'로 설정
DCI 서브프레임 반복 횟수 '00'으로 설정 '00'으로 설정
SUL 또는 UL 인디케이터 '0'으로 설정 NA
BWP 인디케이터 '1'로 설정 모두 '1'로 설정
UE는 SPS 해제를 위한 DCI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값(예를 들면, 사양에서 미리 정의된 값)인, SPS(즉,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를 포함하는 HARQ의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해제하기 위한 ACK 정보를 송신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해제 DCI의 ACK 피드백 정보의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PS를 해제하기 위한 ACK 정보를 송신하는 UE를 위한 리소스가 SPS 해제를 위한 DCI에 의해 표시될 경우, UE의 시간-도메인 위치는 PDCCH의 송신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E는 PDCCH 송신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이후의 t 개의 서브프레임에서 SPS를 해제하기 위한 ACK 정보를 송신하기 시작하며, 여기서, t는 DCI 포맷 N1의 HARQ-ACK 리소스 필드, 그 동안의, 주파수-도메인 서브캐리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HARQ-ACK 리소스 필드로 표시된다. PUSCH 송신을 나타내기 위한 DCI 포맷 N0의 경우, HARQ-ACK 리소스 필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DCI 포맷 N0의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 및 스케줄링 지연 필드는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은 DCI 포맷 N0의 일부 필드를 다시 작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의 6 비트에서 4 비트, 또는 변조 코딩 방식 필드에서 4 비트,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다음 필드들의 조합: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 리소스 할당 필드, 스케줄링 지연 필드, 변조 및 역변조 필드, 리던던시 버전 필드, 반복 횟수 필드, DCI 서브프레임 반복 횟수 필드 등.
SPS를 해제하기 위한 ACK 정보를 송신하는 UE를 위한 리소스가 SPS-Config 정보, SPS-ConfigDL 정보 또는 SPS-ConfigUL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것과 같이,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때. 또한, 다른 예에서는, 주파수-도메인 리소스가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한편, 시간-도메인 리소스는 DCI에 의해 표시된다(예를 들어, 스케줄링 지연 필드 재사용 등).
SPS의 재송신 응용, 즉 SPS 활성화와 SPS 해제 사이의 HARQ 재송신 응용이 아래에서 도입될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시 예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방법이 SPS 활성화 후에 제 1 스케줄링 리소스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 1 스케줄링 후에 특정 스케줄링 리소스에서 재송신될 이전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채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SPS 활성화 이후의 제 1 스케줄링된 리소스로부터 SPS 해제 이전의 마지막 스케줄링된 리소스까지 모든 리소스에서 재송신될 이전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방법은 LTE와 유사한 SPS 동적 스케줄링을 지원하며, 즉, SPS 송신 프로세스에서, 기지국은 DCI에 의해 송신하기 위해 대응하는 리소스(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위치 및 리소스의 주기 등)를 재할당할 수 있고, 그 차이는 이 실시 예에서는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DCI를 모니터링하는 UE에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 동적 스케줄링의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며, 여기서는 4 번의 재송신이 표시된다. 후속적으로, UE는 SPS 활성화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며, 여기서는 단 한번의 재송신이 표시된다. SPS 기간의 간격에서, UE 또는 기지국은 재송신이 성공적으로 수락되었는지를 검증하고, ACK 정보를 피드백하여 송신을 중지하거나, ACK 정보를 피드백함으로써 새로운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SPS 스케줄링을 위해, SPS 활성화를 위해 DCI에 의해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새로운 데이터인 것으로 결정되면,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NACK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되는 이전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초기 송신은 PDCCH(1000)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재송신은 다운링크 채널(1001)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업링크 채널에서 새로운 데이터(초기 송신)를 송신한 후, UE는 ACK/NACK 정보를 갖는 다운링크 채널(1001)을 검출한다. UE가 다운링크 채널(1001)에서 NACK 정보를 수신하면, 재송신이 트리거되며, 여기서 재송신의 반복 횟수는 초기 송신의 반복 횟수와 동일하지 않거나, 또는 반복 횟수가 초기 송신과 동일하다. 다음 프로세스에서, UE는 ACK 정보가 UE에 의해 수신되거나 최대 재송신 횟수에 도달하거나, 또는 UE가 SPS에 의해 할당된 마지막 하나의 리소스에 도달할 때까지, 항상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일 타입의 SPS의 HARQ 재송신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0에서, UE는 다운링크 채널들(1001 및 1002)에서 ACK 정보를 검출하지만, UE는 ACK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며, UE는 계속해서 리소스(1012)를 통해 재송신한다. UE가 다운링크 채널(1003)에서 ACK 정보를 검출하는 동안, UE는 재송신을 중지한다.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SPS 스케줄링을 위해, SPS 활성화를 위한 DCI에 의해 결정된 송신 포맷이 이전 데이터인 경우, UE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송신하고; 대응하는 ACK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UE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의 송신을 중지한다. 이 방법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 리소스 낭비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초기 송신은 PDCCH(1000)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재송신은 다운링크 채널(1001)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UE가 업링크 채널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송신한 후, UE는 ACK/NACK 정보를 갖는 다운링크 채널(1001)을 검출한다. UE가 다운링크 채널(1001)에서 NACK 정보를 수신하면, UE는 계속해서 리소스(1011)를 통해 재송신한다. 다음의 재송신 프로세스에서, UE는 다운링크 채널들(1001 및 1002)에서 NACK 정보를 검출하고, 만약 UE가 NACK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UE는 리소스(1012) 이후의 전체 후속 리소스들에서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는, 다음의 재송신 프로세스에서, UE는 다운링크 채널들(1001 및 1002)에서 NACK 정보를 검출하고, UE가 NACK 정보를 검출하지 못하면, UE는 리소스(1012)에서 송신을 수행하지 않으며; UE가 다음 다운링크 채널(1003)에서 NACK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출하면, UE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리소스(1013)에서 송신한다. 즉, UE가 NACK 정보를 검출하지 못한 후, 다음 동작들은 하나의 SPS에만 유효하므로, 이 방법은 기지국이 보다 유연한 스케줄링 송신을 행하게 만들 수 있다.
초기 송신은 PDCCH(1000)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재송신은 다운링크 채널(1001)에 의해(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스케줄링된다. UE가 업링크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한 후, UE는 ACK/NACK 정보를 갖는 다운링크 채널(1001)을 검출한다. UE가 다운링크 채널들(1001, 1002 또는 1003)에서 ACK 정보를 수신하면, UE는 대응하는 리소스들(1011, 1012 또는 1013)으로부터의 재송신을 중지한다. UE가 항상 ACK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UE는 최대 재송신 횟수에 도달하거나 SPS가 완전히 사용될 때까지 항상 재송신한다.
상기 예들에서, 리소스(1001)의 시간-도메인 위치, 주파수-도메인 위치 또는 시간-주파수-도메인 위치 및/또는 리소스들(1011, 1012 및 1013)의 파라미터들은 물리 계층, 예를 들어 PDCCH(1000) 또는 다운링크 채널(1001)에서의 DCI와 같은, DCI에 의해 획득된다. 리소스(1001) 및/또는 리소스들(1011, 1012 및 1013)의 시간-도메인 위치, 주파수-도메인 위치 또는 시간-주파수-도메인 위치의 파라미터들은 또한 상위 계층 RRC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과 물리 계층 표시를 결합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재송신의 반복 횟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어, 1001)에서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1001)은 HARQ의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PDCCH 채널 또는 PHICH 채널일 수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의 SPS 스케줄링을 위해, SPS 활성화를 위한 DCI에 의해 결정된 송신 타입이 이전 데이터인 경우, UE는 수신되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어 대응하는 ACK 정보가 송신되고, UE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할 때까지,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한다. 또한,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계속 수신하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다른 타입의 HARQ 재송신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UE는 PDCCH(1100)에 의해 PDSCH 초기 전송 리소스(1110)를 획득한다. UE는 다운링크 채널(1100 및/또는 1101)에 의해 PDSCH 재송신 리소스들(1111, 1112 및 1113)을 획득한다. UE가 1110에서 송신된 PDSCH(새로운 데이터일 수 있거나, 송신된 이전 데이터일 수 있음)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만약 UE가 1110에서 송신된 PDS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ACK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UE가 어떠한 정보도 송신하지 않는다. 기지국이 ACK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eNB는 PSDCH의 재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다운링크 채널(1101)을 송신하지 않게 된다. 이에 상응하여, UE는 재송신에 사용되는 SPS 스케줄링 정보를 기대하지 않게 된다. 또한, 그것이 리소스(1110)에서 송신된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UE는 리소스들(1111, 1112 및 1113)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계속 수신하고 디코딩한다. 그것이 리소스(1110)에서 송신되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인 경우, UE는 재송신 리소스들(1111, 1112 및 1113)이 해제된 것으로 간주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의 SPS 스케줄링을 위해, SPS 활성화를 위한 DCI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 포맷이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UE가 수신된 새로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송신하는데 실패하고,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의 SPS 스케줄링을 위해, SPS 활성화를 위한 DCI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 포맷이 이전 데이터인 경우,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UE가 수신되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디코딩하는데 실패하고, UE가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송신하지 않는 경우,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계속 수신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UE는 PDCCH(1100)에 의해 PDSCH 초기 송신 리소스(1110)를 획득한다. UE는 다운링크 채널(1100 및/또는 1101)에 의해 PDSCH 재송신 리소스들(1111, 1112 및 1113)을 획득한다. UE가 1110에서 송신되는 PDSCH(새로운 데이터일 수 있거나,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일 수 있음)를 수신 및 디코딩하며, 만약 UE가 PDSCH를 디코딩하지 못하면, UE는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1) 그것이 리소스(1110)에서 송신되는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UE는 NACK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이 NACK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며, 기지국은 이전 데이터를 재송신하고, UE는 리소스(1111) 및 후속 리소스들을 통해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수신하고; (2) 그것이 리소스(1110)에서 송신되는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인 경우, UE가 NACK 정보(예를 들어, DTX)를 송신하거나 또는 송신하지 않으며, 기지국은 이 NACK 정보를 상응하게 수신 또는 수신하지 못하고, 기지국은 계속해서 이전 데이터를 재송신하고, UE는 리소스(1111) 및 후속 리소스들에서 재송신된 이전 데이터를 계속 수신한다.
상기한 예들에서, 리소스들(1111, 1112 및 1113)의 시간-도메인 위치, 주파수-도메인 위치 또는 시간-주파수-도메인 위치의 파라미터들은 물리 계층, 예를 들어 PDCCH(1100) 또는 다운링크 채널(1101)에서의 DCI와 같은, DCI에 의해 얻어진다. 리소스들(1111, 1112 및 1113)의 시간-도메인 위치, 주파수-도메인 위치 또는 시간-주파수-도메인 위치의 파라미터들은 또한 상위 계층 RRC 또는 MAC 신호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상위 계층 신호 구성과 물리 계층 표시를 결합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재송신의 반복 횟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어, 1101)에서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1101)은 HARQ의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PDCCH 채널 또는 PHICH 채널일 수 있다.
또한, 낮은 UE 복잡성을 유지하기 위해, SPS를 활성화할 경우 그 동안 UL 및 DL의 SPS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면 UE는 하나의 DCI의 페이로드 크기를 모니터링하고, 동시에 업링크 스케줄링 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얻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SPS 활성화 후에, 모니터링되는 원본 PDCCH의 갯수를 감소시키거나 모니터링되는 원본 PDCCH의 갯수를 유지하는 것에 기초하여, UE는 상이한 크기의 DCI 또는 웨이크-업 신호를 추가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되는 DCI의 위치는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원본 PDCCH 탐색 공간(예를 들면, 탐색 공간의 시작 위치 또는 탐색 공간의 종료 위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원본 PDCCH 탐색 공간 내의 각 대안 PDCCH의 위치(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되는 PDCCH의 위치는 각각의 대안적인 PDCCH의 시간-주파수 위치의 종료 위치에서 시작된다. 다운링크 스케줄링에서, eMTC가 1ms 동안 스케줄링 지연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NB-IoT는 적어도 4ms 동안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며, 새로운 작은 크기 PDCCH가 스케줄링 지연을 가지고 리소스에서 송신될 수 있는 경우, 다운링크 스펙트럼 효율은 상당한 정도까지 향상될 수 있다. 유사하게, NR(new radio) 시스템에서, UE가 상이한 DCI들의 크기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작은 DCI의 탐색 공간은 큰 DCI의 탐색 공간 또는 대안적인 PDC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3GPP의 NR 시스템에서는, 보다 유연한 프레임 구조 구성 방법이 도입된다. 먼저,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슬롯들 및 심볼들이 RRC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주기(DL-UL-TransmissionPeriodicity) 사이에서 유연한 서브프레임들 및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 및 심볼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유연한) 부분은 슬롯 포맷 표시(slot format indication, SFI)에 의해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SFI는 측정,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송신 및 SPS 업링크 송신(그랜트 프리 업링크 송신이라고도 하며 이 업링크 송신은 구성되는 그랜트 또는 반영구적 스케줄링에 기초함) 그리고 SPS 다운링크 송신과 같은 준-정적 구성들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즉, UE가 RRC에 의해 SPS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구성을 획득할 경우, UE는 업링크 송신 방향(다운링크 송신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준-정적 구성의 심볼 또는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슬롯을 통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또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DCI에 의해 활성화되는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SPS의 경우, DCI에 의해 표시된 제 1 리소스는 DCI에 의해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 리소스로 간주될 수 있으며, 후속 SPS 리소스들은 모두 우선 순위가 SFI보다 낮은 측정치로 간주된다. DCI에 의해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 리소스의 우선 순위는 SFI에 의해 재작성된 리소스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그러나 이들 모두가 RRC 준-정적 구성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향과 상충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원리가 또한 DCI에 따라 표시된 제 1 DL SP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HARQ-ACK 리소스에 적합할 수 있으며, 즉 그것의 우선 순위가 SFI보다 높고, SFI 또는 유연한 서브프레임/슬롯/심볼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향이 재작성될 수 있으며,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하기 위한 다른 업링크 리소스들의 우선 순위는 SFI에 의해 재작성될 수 있는 측정의 우선 순위와 동일하다. 또는,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리소스의 우선 순위는 SFI에 의해 재작성될 수 있는 측정의 우선 순위와 동일하다. 또는,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리소스의 우선 순위는 SFI에 의해 재작성될 수 있는 DCI에 의해 동적으로 스케줄링된 리소스의 우선 순위와 동일하다.
DL SPS의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UE에 의해, DCI에서 슬롯 포맷 표시(slot format indicator, SFI)를 획득하고, SFI에 따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 슬롯들 및/또는 심볼들을 위한 슬롯(들) 및/또는 심볼(들)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동작;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그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에 대한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업링크 송신을 위해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다음 이용 가능한 리소스 위치로 연기하는 동작; 또는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취소하는 동작.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UE는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를 디코딩하지 않는다. 즉, 기지국은 HARQ-ACK에 대응하는 PDSCH 송신을 취소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PUSCH에서 다른 UCI 정보와 동시에 송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른 UCI 정보는 HARQ-ACK 피드백 정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및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SFI에 의해 리소스 위치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의한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고,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가 PUCCH 단독으로 송신되는 경우,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이 취소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SFI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로서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리소스 위치가 SFI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 송신이 취소된다.
바람직하게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에 사용된 리소스가 SFI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지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로 재작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SFI에 의해 리소스 위치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로서 또는 플렉서블하게 구성되는 리소스로서 재작성되는 경우 및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1 회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가 PUCCH 단독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HARQ-ACK 피드백 정보의 송신이 취소되고; 또는 DL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적어도 하나의 PDSCH 송신의 HARQ-ACK 피드백 정보가 PUCCH 및 PUSCH에서 다른 UCI 정보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는, HARQ-ACK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NACK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피드백 HARQ-ACK에 대응하는 정보가 송신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운링크 SPS의 HACK-ACK 피드백의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DL SPS의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리소스가 플렉서블 리소스 또는 다운링크 리소스로서 재작성될 경우, HARQ-ACK의 송신은 다음 업링크 리소스에서로 연기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업링크 리소스는 HARQ-ACK 정보를 완전히 송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슬롯/심볼(들)일 수 있다. HARQ-ACK의 반복이 있을 경우, 모든 반복이 제거될 때까지 다음 업링크 리소스로 지연될 수 있다. 상기 동작들은 SPS에 의해 스케줄링된 각각의 PDSCH 리소스에서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DL SPS의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리소스가 플렉서블 리소스 또는 다운링크 리소스로 재작성될 경우, HARQ-ACK의 송신이 취소되며, 즉, 송신되지 않는다. HARQ-ACK의 반복이 있을 경우, 하나의 업링크 리소스가 HARQ-ACK를 송신할 수 없는 한, HARQ-ACK의 송신이 취소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때, 기지국은 UE가 HARQ-ACK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기지국이 DL SPS 리소스에서 PDSCH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다운링크 SPS의 PDS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이 송신을 계속할 수 있고, UE도 또한 SPS PDSCH를 계속 디코딩할 수 있지만, 피드백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상기 예에서, DL SPS의 HARQ-ACK는 SFI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또는 플렉서블 리소스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리소스를 통해서만 송신될 수 없다.
DL SPS의 HARQ-ACK는 다른 PDSCH(들)의 HARQ-ACK(들)과 동일한 UCI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다른 PDSCH(들)은 동일한 다운링크 캐리어 또는 상이한 다운링크 캐리어(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서 DL SPS와 함께 있을 수 있다. DL SPS의 PDSCH의 HARQ-ACK만이 PUCCH를 통해 송신되고 SFI에 의한 재기록으로 인해 DL SPS의 PDSCH 송신이 취소될 경우, DL SPS의 PDSCH에 대응하는 HARQ-ACK가 송신되지 않을 수 있으며(이로 인해 PUCCH 리소스가 절감될 수 있음), 또는 송신되는 HARQ-ACK 정보 비트는 NACK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운링크 SPS의 다른 HACK-ACK 피드백의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PDSCH 1은 캐리어 1을 통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기반 PDSCH이고; PDSCH 2는 다운링크 송신이다(SPS의 스케줄링 기반 PDSCH 또는 PDSCH일 수 있음). HARQ-ACK 시간 구성에 따르면, 3개의 PDSCH의 HARQ-ACK가 동일한 UCI를 통해 송신된다. SFI에 의해 재기록되는 것으로 인해 캐리어 1에서의 DL SPS 송신이 취소될 경우, DL SPS를 송신하기 위한 UCI의 정보 비트는 NACK일 수 있다. 또는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으며, 즉, UCI의 정보 비트 수가 감소된다. 기지국과 UE는 동일한 이해를 갖기 때문에, 디코딩에 문제가 없다. 특히, DL SPS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SR) 및 HARQ-ACK 피드백이 동시에(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이루어지는 경우, HARQ-ACK 피드백은 스케줄링 기반 규칙들에 따라 SR의 리소스들을 통해 송신된다. SPS의 PDSCH 송신이 취소되면, 이때 SR의 리소스에서 SR의 시퀀스가 송신된다. 또는 NACK의 시퀀스가 SR의 리소스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사용자 장비의 모듈 블록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SPS를 위한 사용자 장비는 구체적으로, 제 1 포맷 그룹의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1 포맷 그룹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모듈(1410), 및 제 2 포맷 그룹의 DCI를 모니터링하고, 제 2 포맷 그룹의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해제 모듈(14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제 1 포맷 그룹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다. 활성화 모듈(1410) 및 해제 모듈(1420)의 동작 프로세스는 각각 본 실시 예에서의 SPS 방법의 동작들(301 및 303)에 대응하며,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가 더 긴 기간을 가질 경우 슈퍼-프레임, 시스템-프레임, 시스템-서브프레임 및 다중 차원들을 결합하는 다른 방법들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긴 기간의 SPS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 SPS 활성화 프로세스의 설명에서 설명되었으며, 이 SPS 방법은 페이징 서비스 또는 불연속 수신(DRX)에 적용될 수 있다(브로드하게, 페이징 서비스는 일 타입의 DRX 서비스에 속한다). 페이징 서비스에 적용되는 SPS 방법이 다음과 같이 도입될 것이다. 이 방법은 업링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01에서, UE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한다. UE는 SPS 활성화를 달성하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주기적 분포들을 갖는 PDSCH 또는 PUSCH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UE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RRC 또는 UE에 의해 지정된 시스템 정보)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PDSCH 또는 PUSCH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획득한다. UE가 유휴 상태에서도 SPS 기간을 기록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NAS(non-access stratrum) 시그널링)에 의해 SPS 기간 구성 정보를 UE에 구성하며, UE가 SPS 기간을 계산할 필요가 있을 때, SPS 기간 구성 정보는 UE의 상위 계층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UE는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검출한다.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웨이크-업 신호를 모니터링하며, UE가 웨이크-업 신호를 모니터링했을 때에, 기지국이 자신에게 페이징 정보의 송신을 요구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UE는 이 웨이크-업 신호가 자신의 식별자(UE identifier), UE가 있는 UE 페이징 그룹의 식별자(UE group identifier) 또는 시스템 메시지 변경의 식별자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자신이 호출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UE 식별자, UE 그룹 식별자 또는 시스템 메시지 변경의 식별자는 아래에서 페이징 식별자로 표시된다.
UE는 기지국 구성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NAS 시그널링)에 의해 웨이크-업 신호의 시간-주파수 리소스 위치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스템-프레임(SFN), 시스템-슈퍼프레임(HFN) 및 시스템 번호 중 하나 또는 다수와 같은, RRC 메시지(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에 의해 웨이크-업 신호의 시작 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은 PRB(physical resource block)의 시퀀스 번호 및 비-앵커 캐리어 주파수 포인트 중의 하나 또는 다수와 같은, 웨이크-업 신호의 주파수-도메인 리소스 위치를 구성한다. PRB 시간-도메인 또는 주파수-도메인의 개수, 웨이크-업 신호의 반복 횟수 등과 같은, 웨이크-업 신호를 구성하는 기지국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크기.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예를 들어 NB-IoT 시스템이 독립형 배치인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의 처음 3개의 OFDM 심볼 중 하나 또는 다수를 채택하는 것으로 표준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웨이크-업 신호는 유효 서브프레임(들) 또는 절대 서브프레임(들) 또는 페이징 서브프레임(PO) 앞의 k개의 슬롯(들) 또는 심볼(들) 중의 하나 또는 k개(k는 사양에서 미리 정의되거나 RRC 시그널링 또는 계층 1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일 수 있다. 또한, 웨이크-업 신호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PDCCH를 통해 또는 PDCCH 및 PDSCH를 제외한 다른 채널 리소스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UE는 기지국 구성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형태를 획득한다. 웨이크-업 신호는 시퀀스 타입, 신호 파형 타입, DCI 포맷 타입, DCI 포맷의 지정된 필드 타입(예를 들면, 반복 횟수 필드), PDCCH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스크램블의 타입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의 형태는 극단적 조건에서 1 비트의 정보를 코딩(예를 들어, 반복 코딩)하고 변조함으로써 생성되는 시퀀스이다. 다른 예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시퀀스는 디코딩을 위한 1 비트의 정보 및 파일럿 시퀀스를 코딩(예를 들어, 반복 코딩) 및 변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시퀀스로 구성된다. UE는 다수의 타입의 수신 단말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퀀스 검출(예를 들어, 상관 검출, 에너지 검출), 또는 디코딩 판단, 또는 CRC 검사와 같은 자신의 페이징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웨이크-업 신호의 형태가 RNTI 시퀀스의 신호 파형, 또는 RNTI에 따른 코딩 및 변조에 의해 생성된 신호 파형이거나, 또는 신호 파형은 RNTI에 따라 코딩 및 변조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 파형 및 디코딩을 위한 파일럿 신호 등으로 구성된다.
동작 1505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면, UE는 SPS에 의해 할당되는 획득된 리소스에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송신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디코딩한다.
UE가 자신이 호출된 것으로 결정한 후, UE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SPS 주기적 분포를 갖는 PDSCH 또는 PUSCH 시간-주파수 리소스에서 페이징 서비스(또는 이 방법이 업링크 서비스에 적용될 경우에는 다른 DRX 서비스, 예컨대 업링크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및 데이터를 추가로 디코딩한다. 시스템 정보를 나타내는 웨이크-업 신호가 변경되는 경우(즉, 웨이크-업 신호가 시스템 메시지 변경의 식별자를 포함함), UE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PDSCH 또는 PUSCH 시간-주파수 리소스에서 시스템 정보를 직접 더 디코딩한다. 다른 예에서는, 웨이크-업 신호가 시스템 정보 변경을 나타내는 경우, UE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PDSCH 또는 PUSCH 시간-주파수 리소스에서 페이징 서비스 정보를 더 디코딩하고, 특정 시스템 정보 변경의 표시를 더 획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UE는 변경되지 않은 시스템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고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소모 절감에 유리하게 된다.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송신하기 위한 정보는 RRC, 미리 정의된 규칙, 웨이크-업 신호의 정보 표시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시간-주파수 리소스 위치(예를 들어, 초기 서브프레임, 점유 송신 시간), 주파수-도메인 리소스 위치, 반복 횟수, 코딩 및 변조 방식, 송신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 HARQ 시퀀스 번호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직접 송신하기 위해 TBS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페이징에 응답하기 위해 매번 UE의 수를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페이징을 위한 UE의 수가 표준에서 미리 고정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하나의 UE). UE는 페이징을 위한 UE의 수를 계산함으로써, 페이징 정보를 갖는 PDSCH의 TBS를 얻을 수 있다. 또한 UE의 수는 매번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페이징 서비스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UE가 웨이크-업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UE가 현재 시간-주파수 리소스(1601)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페이징 식별자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UE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다음 시간-주파수 리소스(1602)까지 유휴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UE가 시간-주파수 리소스(1602)에서 웨이크-업 신호의 페이징 식별자를 성공적으로 검출하는 경우, UE는 후속 SPS에 의해 할당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예를 들어, SPS에 의해 할당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1611) 및 주기적 분포를 갖는 후속의 다른 리소스들)에서 계속해서 PDSCH를 디코딩하거나 또는 PUSCH를 송신한다. 여기서, UE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웨이크-업 신호는 매우 작은 페이로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PS 웨이크-업 신호는 DCI 포맷이고, 이 DCI의 비트 수는 매우 작다. 또는 극단적인 조건에서는, 웨이크-업 신호가 8 비트의 RNTI 또는 16 비트의 RNTI 또는 24 비트의 RNTI와 같은, RNTI 포맷이다.
DRX에 적용되는 SPS의 실시 예는 페이징 서비스에 적용되는 SPS와 유사하며,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인 DCI를 채택하는 LTE에서의 페이징 또는 DRX의 방법과 비교하면, 본 실시 예의 방법에서는 PDCCH 앞에 웨이크-업 채널을 추가하여 PDCCH의 디코딩을 무시할 필요가 없다. 또한, 웨이크-업 신호는 페이로드가 매우 작은 웨이크-업 신호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UE의 디코딩 시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UE의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더 많은 전력 절감형 UE를 얻을 수 있게 된다. MBMS 또는 SC-PTM의 채널에도 유사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및 저전력 소모를 고려하기 위해, UE가 여분의 PDCCH를 추가로 모니터링해야 하는지의 여부는 기지국 구성 방법에 의해(예를 들어, RRC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물리 계층 채널 또는 신호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UE가 여분의 PDCCH를 더 모니터링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UE는 다음의 시간 슬롯들에서 여분의 PDCCH를 판독하고, 여분의 PDCCH에서의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정보에 따라 원본 SPS에 의해 할당된 PDSCH 또는 PUSCH 리소스의 시간-주파수 위치 정보를 동적으로 재기록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의 다른 페이징 서비스 응용의 개략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UE는 웨이크-업 신호(1701)를 모니터링하고, 웨이크-업 신호(1701)에서 UE가 PDSCH 또는 PUSCH의 SPS 스케줄링 정보(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의 시간-주파수 위치)를 재기록해야 하는 것으로 표시되면, UE는 여분의 PDCCH(1711)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PDCCH(1711)에서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정보에 따라 시간-주파수 리소스(1722)를 획득한 다음,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송신한다. UE가 시간-주파수 리소스(1701)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UE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다음 시간-주파수 위치(1702)까지 계속하여 유휴 상태를 유지한다. UE가 웨이크-업 신호(1702)를 검출하고, 웨이크-업 신호(1702)가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정보를 재기록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UE는 원본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의 시간-주파수 위치에 따라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1722)를 송신한다.
다른 예에서는,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정보가 동적으로 재기록되어야 하는지의 여부가, RRC 정보(예를 들어, SIB)에 의해서 기지국으로부터 UE로 구성된다. UE가 RRC 정보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정보를 동적으로 재기록해야 하는 것으로 통지되면, UE는 웨이크-업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PDCCH를 직접 검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폴백 메커니즘으로 간주될 수 있다. 폴백 메커니즘은 이 실시 예에서 SPS 방법이 페이징 서비스에 적용될 때 유연성을 확장시킨다.
페이징(유휴 상태), DRX(연결 상태) 또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에 적용되는 SPS의 경우, 활성화 프로세스는 DCI 활성화가 아니라 RRC 구성 및 사전 정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SPS 페이징 또는 DRX 또는 MBMS/SC-PTM을 구성하기만 하면, UE가 상기 정보를 수신할 때 디폴트로서 SPS를 활성화하도록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SPS를 위한 다른 사용자 장비의 모듈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 실시 예의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위한 다른 사용자 장비는,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리소스 획득 모듈(1810),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웨이크-업 신호 검출 모듈(1820), 및 SPS에 의해 할당된 획득 리소스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면, PDSCH를 디코딩하거나 PUSCH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디코딩 모듈(1830)을 포함한다. 동작들 1501, 1503 및 1505에 각각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검출 모듈(1810), 웨이크-업 신호 검출 모듈(1820) 및 디코딩 채널 모듈(1830)의 작동 프로세스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력 제어 방법이 도입될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업링크 최대 송신 전력의 구성 방법 및 전력 램핑 방법의 구성 방법이 도입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UE 송신 전력이 너무 높아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셀들의 기지국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UE에 의해 송신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 제한될 것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업링크 전력 제어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UE(a01)는 기지국(a03)이 있는 셀에 상주하며, 그것의 최대 송신 전력은 인접 셀의 기지국(a04)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이 시점에서, UE(a02)는 제한된 전력으로 업링크 채널을 송신하지만, 기지국(a0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 강도는 a22이며, 이것은 UE를 서빙하는 기지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기지국은 이 셀의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최대 업링크 전송 전력 P-max를 브로드캐스트할 것이다. UE가 랜덤 액세스 신호(예를 들어, 협대역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NPRACH), PRACH) 또는 업링크 공유 채널(예를 들어, PUSCH, NPUSCH) 또는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송신할 경우, UE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은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P-max보다 작다. NB-IoT 또는 eMTC 시스템에서는, 일부 UE들이 실내 또는 지하에 위치하지만, 이 시점에서, UE 조차도 기지국의 지점으로부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 신호 강도는 여전히 약하다. 예를 들어, UE(a01)는 최대 송신 전력 PPowerClass를 사용하더라도, 상주 셀 또는 다른 셀에 강한 간섭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UE에 대하여, 다른 UE들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최대 송신 전력을 제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이러한 타입의 UE가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 PPowerClass를 송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수 있다면, 반대로 UE의 전력 소모에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은 최대 3개의 그룹 NPRACH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룹 리소스는 NPRACH의 하나의 반복 횟수에 대응하며, 이것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0, 1 및 2로 각각 정의된다. 최소 반복 횟수, 즉 커버리지 레벨 0을 갖는 NPRACH 리소스 그룹에 대해, UE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 결과에 따라 그것의 송신 전력을 구성하고, 전력 램핑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들에 대해, UE는 NPRACH를 송신하기 위해 최대 송신 전력을 선택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UE는 또한 다른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들에서 전력 램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은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최대 전력(P-max)과 UE의 PA(Power Amplifier)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 능력 사이의 최소값이다.
Figure pct00001
… 수학식 1
여기서, PEMAX,c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들 P-max에 의해 결정된다.
낮은 커버리지 레벨(예를 들어,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 및 2)에 속하는 UE가 PA(PPowerClass)의 능력까지 최대 전력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력 램핑이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에서 또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2에서 더 도입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최대 전력을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전력 제어 방법은 다음 동작들을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2001에서, UE는 UE가 속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획득한다. 동작 2003에서,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따라, UE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UE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그것의 최대 송신 전력은 제 1 전력 값으로서 구성되고;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그것의 최대 송신 전력은 제 2 전력 값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력 값 또는 제 2 전력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제 2 전력 값은 UE 자체의 능력의 최대 전력 값일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최대 송신 전력은 NPDCCH 최대 반복 횟수(Rmax)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Rmax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은 제 2 전력 값으로서 구성된다. 유사하게, 업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채널은 상호성(reciprocity)을 갖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 2 전력 값을 사용할 때 NPUSCH 포맷 1 또는 포맷 2의 반복 횟수와 같은, 업링크 채널의 반복 횟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NPRACH 반복 횟수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NPRACH 반복 횟수보다 많다.
일 예에서, UE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RSRP에 따르면, UE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초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고, 이 초기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 요청이 실패하는 경우, UE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최대 전력까지 파워 업되거나 또는 최대 송신 횟수를 달성할 때까지 전력 램핑을 수행한다.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초기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전력은, 이전의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최대 송신 전력, 또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NPRA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공칭 송신 전력, 또는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목표 수신 전력에 따라 계산된 송신 전력으로서 구성된다. UE는 이 초기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하며, 랜덤 액세스 요청이 실패한 경우, UE는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제 2 전력 값까지 파워 업될 때까지, 전력 램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은 PA에 의해 제한된다. 여기서,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UE는 다음 두 경우를 포함한다: UE는, RSRP에 따라,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UE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최대 시도 횟수에 도달했기 때문에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로 더 램핑 업된다. 일 예에서, UE가 낮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높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로 램핑되는 경우, 또는 UE가, RSRP 임계값에 따라,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NPRACH 리소스가 NPRA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이들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초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선택한다.
또한, 초기 송신 전력 및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전력 램핑이 필요한지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 구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 전력 구성 방법의 개략도인 도 21을 참조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동작 2101에서, UE는 자신이 속한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한다. 동작 2103에서 UE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RSRP에 따라, UE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초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고, 동작 2105에서 이 초기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 2107에서, UE가 RAR(Random-Access Response)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수행하여, NPRACH 신호를 재송신하며, 여기서 송신 전력의 최대 값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다.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최대 시도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UE는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NPRACH 리소스를 계속 사용하여 NPRACH를 송신한다. 동작 2109에서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 또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NPRACH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공칭 송신 전력에 따라, 또는 초기 송신 전력인,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목표 수신 전력에 따라 계산된 송신 전력에 따라, 동작 2111에서 UE는 초기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 2113에서, UE가 RAR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수행하여 다시 NPRACH 신호를 재송신하며, 여기서 송신 전력의 최대 값은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제 2 전력 값이다. 동작 2115에서 UE가 제 3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동작 2117에서 UE는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 또는 제 2 전력 값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0에 속하는 UE의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수행하고, UE의 최대 송신 전력은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최대 전력(P-max)과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의 능력 사이의 최소값이며, 즉 PCMAX,CE0=MIN{PEMAX,PPowerClass}이다.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에 속하는 UE의 경우, UE는 계속해서 전력 램핑을 수행하고, 그 초기 값은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최대 전력(P-max)과 UE의 UE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의 능력 사이의 최소값으로 구성되며, 즉 PCMAX,CE0이고; UE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에 속할 경우, 그것의 최대 송신 전력은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 PPowerClass(PCMAX,CE1로 표시됨)이다. 다시 말해서, UE는 먼저 시스템이 최대 전력 PEMAX를 브로드캐스트하는지 여부 및 브로드캐스트된 최대 전력 PEMAX가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PEMAX<PPowerClass이고, UE가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에 속하는 경우, UE는 PEMAX에서 PPowerClass까지 파워 업될 때까지 계속 전력 램핑을 수행한다. RSRP로 인해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0에서의 UE가 최대 시도 횟수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UE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로 램핑 업된다. 이 경우,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의 초기 전력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0)에서 NPRACH의 마지막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2가 있는 경우,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은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한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 즉, PCMAX,CE2)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랜덤 액세스 신호의 송신 전력의 다른 구성 방법의 개략도이다. 동작 2201에서, UE는 자신이 속한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한다. 동작 2203에서 UE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동작 2205에서 RSRP에 따라, UE는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초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고, 이 초기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 2207에서, UE가 랜덤 액세스 응답 RAR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수행하여, NPRACH 신호를 재송신하며, 여기서 전송 전력의 최대 값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다. 동작 2209에서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동작 2211에서 UE는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 2213에서 UE가 제 3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동작 2215에서, 제 1 송신 전력인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UE는 초기 송신 전력으로 NPRACH 신호를 송신한다. 동작 2217에서, UE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수행하여 NPRACH 신호를 재송신하며, 여기서, 송신 전력의 최대 값은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다른 예에서,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0에 속하는 UE의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사용하며, UE의 최대 송신 전력은 시스템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최대 전력(P-max)과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의 능력 사이의 최소값이며, 즉, PCMAX,CE0=MIN{PEMAX,PPowerClass}이다.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1에 속하는 UE의 경우, UE는 전력 램핑을 지원하지 않으며, 계속해서 PCMAX,CE1=PCMAX,CE0를 사용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한다.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2에 속하는 UE의 경우, PCMAX,CE0로부터 시작하는 UE는 UE의 PA의 최대 송신 전력(PPowerClass, 즉, PCMAX,CE2)으로 램핑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한다.
i 번째 시간 슬롯에서 Msg3를 송신하는 NPUSCH의 경우, 이것의 송신 전력은 대응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k의 최대 송신 전력
Figure pct00002
에 따라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Msg3의 반복 횟수가 임계값(예를 들어 2)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 전력은 그것의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 즉
Figure pct00003
[dBm]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그 밖의 경우, 송신 전력은 점유되는 대역폭, NPRACH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전송 전력 PO_PRE, 및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전력 편차 ΔPREAMBLE _ Msg3, 및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 k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
Figure pct00004
에 따라 결정된다. 일 예에서,
Figure pct00005
[dBm]이며, 여기서 MNPUSCH(i)는 신호 점유되는 대역폭의 임팩트 팩터이고, PL은 다운링크 경로 손실이다. Msg3의 최대 송신 전력을 위한 상기 구성 방법은 Msg3의 재송신 및 Msg4의 HARQ-ACK 정보 송신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른 업링크 NPUSCH에 의해 반송되는 Msg3 또는 전력 헤드 룸(power headroom report, PHR)의 계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력 헤드 룸의 기준값은 송신된 NPUSCH의 최대 송신 전력 값, 즉 Msg3의 최대 송신 전력 값에 대응하는 Msg3의 PHR이다.
다른 NPUSCH의 송신을 위해, 최대 업링크 전력은 대응하는 강화 커버리지 레벨 k의 최대 송신 전력
Figure pct00006
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최대 송신 전력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PUSCH 송신을 구성하는 RRC 시그널링에서 재기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하나의 P-max 파라미터가 도입될 수 있으며, 이 파라미터는 구성 이후에 유효하게 된다. 일 예에서, 이 파라미터는 비-Msg3의 업링크 NPUSCH 채널에만 유효하다. 다른 예에서, 구성이 일단 유효하게 되면,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이것이 적용될 수 있다. NPDCCH에 의해 트리거되는 NPRACH 송신의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은 계속해서 기존 구성을 사용하거나, 해당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 다시 구성될 수 있다. NPRACH가 송신된 후, 최대 송신 전력은 NPRACCH에 의해 트리거된 NPRACH에 대응하는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 다시 재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원래 연결된 상태의 최대 송신 전력을 계속 재사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장비의 모듈 블록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SPS를 위한 사용자 장비는 UE가 속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리지 레벨 획득 모듈(2310), 및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따라, 이 타입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전력 결정 모듈(2320)을 포함한다.
커버리지 레벨 획득 모듈 및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의 동작 프로세스들은 각각 본 실시 예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의 동작들 2001 및 2003에 대응하며,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 예의 상기 상세한 설명과 조합할 경우,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여, 이 실시 예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개시에서 SPS가 활성화된 후 스케줄링되는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SPS에 의해 활성화되는 스케줄링된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으며, 따라서 UE의 DCI 모니터링 및 검출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SPS의 다운링크 채널의 스케줄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서비스 지연을 줄이며, 또한 이용 리소스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둘째, SPS 스케줄링 모듈이 활성화될 때 HARQ 이전 데이터 재송신을 위한 채널 리소스를 직접 나타내고 할당할 수 있으며, 이것은 NB-IoT에서 커버리지 조건이 낮은 경우에 큰 데이터 볼륨을 갖는 송신 및 고주파를 갖는 재송신 상황에 적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SPS가 활성화된 이후에 리소스를 다시 스케줄링하고 HARQ 이전 데이터 재송신에 리소스를 할당하는 다운링크 채널 오버헤드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전체(예를 들어, 전부) 성능을 향상시킨다.
셋째, SPS 활성화 및 동적 스케줄링의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DCI 포맷을 다양한 방식들, 즉 DCI에 포함된 필드들로 결합 또는 설계함으로써 SPS 스케줄링의 유연성 및 확장성이 확대된다.
넷째, 서로 다른 상황들에서 HARQ 재송신을 위한 SPS 할당 요건을 충족시키고, 인터랙티브 HARQ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줄이며,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진시키는 다수의 재송신 응답 방법들이 제공된다.
다섯째, 보다 긴 기간을 갖는 SPS가 도입되어 페이징 채널 또는 DRX 채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UE의 다운링크 신호 오버헤드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여섯째, 제 2 최대 송신 전력을 도입함으로써, 즉 커버리지 강화된 채널 조건에서 최대 송신 전력에 대해 구성된 제 1 송신 전력으로부터 제한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UE는 더 큰 송신 전력으로 업링크 채널 또는 신호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송신 시간을 줄이고, UE의 업링크 신호 오버헤드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몇몇 실시 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모드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 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들의 분류는 단지 논리적 기능 분류이다. 실제 구현들에서는 다른 분류 모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구성 요소들을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하거나, 일부 기능들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점에서, 표시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모드들일 수 있는 일부 인터페이스들을 통한 장치들 또는 유닛들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예시를 위한 분리기로서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있으며, 디스플레이 구성 요소로서의 유닛이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즉, 이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시 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에서 각각의 기능 유닛들이 하나의 프로세스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으로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유닛에 의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한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실시 예들의 방법의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로그램에 따른 관련 하드웨어의 표시에 의해 완료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다른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가 다양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의 표시에 따라 SPS(semi-persistent scheduling)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 포맷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상기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에 따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에 따라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의 NDI(new data indicator) 필드에 따라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송신된 송신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에 따라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초기 송신인 경우,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초기 송신을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 송신용 리소스에서 SPS를 해제하기 위한 ACK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초기 송신인 경우,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송신할 때까지,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초기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대응하는 ACK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중지할 때까지,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초기 송신인 경우, 수신된 초기 송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 실패하여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할 때까지,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초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ACK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중지할 때까지,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송신 포맷이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인 경우,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 또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에 대한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 대응하는 NACK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송신하지 않고,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송신을 계속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포맷 그룹의 DCI에서의 지시에 따라 제 1 포맷 그룹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모니터링하고 반-영구 스케줄링(SPS)을 활성화하고,
    제 1 포맷 그룹에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의 표시에 따라 SPS(semi-persistent scheduling)를 활성화하며, 또한
    제 2 포맷 그룹에서 DCI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의 표시에 따라 SPS를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는 상기 제 1 포맷 그룹에서의 상기 DCI 포맷의 페이로드 크기보다 작은, 사용자 장비(UE).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E)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UE가 속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enhanced coverage level)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UE가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을 제 1 전력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UE가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경우, 최대 송신 전력을 제 2 전력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값, 또는 상기 제 1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서의 NPRACH(narrowband physical random-access channel)를 송신하는데 사용된 가장 마지막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제 2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목표 수신 전력에 따라 계산된 송신 전력을, NPRACH의 초기 송신 전력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UE가 랜덤 액세스 요청(random access request, RAR)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력 값 또는 최대 NPRACH 시도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전력 램핑 동작(power ramping operation)에 따라 전력 램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Msg3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메시지의 리소스 스케줄링(Msg3) 및 최대 송신 전력에 따른 상기 설정된 Msg3 송신 전력에 따라 Msg3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UE)로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E가 속하는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을 획득하고, 또한
    상기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의 타입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획득하는 단계;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SPS에 의해 할당된 획득된 리소스들에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UE 식별자, UE 그룹의 식별자 또는 시스템 메시지 변경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형태들은,
    시퀀스 타입, 파형 타입,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포맷의 타입, DCI 포맷의 특정 필드 타입, 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스크램블 코드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UE)로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며; 또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SPS에 의해 할당된 획득된 리소스들에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KR1020197031564A 2017-03-24 2018-03-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및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604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86528 2017-03-24
CN201710186528.6 2017-03-24
CN201710282233 2017-04-26
CN201710282233.9 2017-04-26
CN201710439018 2017-06-12
CN201710439018.5 2017-06-12
CN201810024387.2 2018-01-10
CN201810024387.2A CN108633070A (zh) 2017-03-24 2018-01-10 半静态资源调度方法、功率控制方法及相应用户设备
PCT/KR2018/003484 WO2018174664A1 (en) 2017-03-24 2018-03-23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334A true KR20190124334A (ko) 2019-11-04
KR102604279B1 KR102604279B1 (ko) 2023-11-20

Family

ID=6358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564A Active KR102604279B1 (ko) 2017-03-24 2018-03-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영구적 스케줄링 및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399364B2 (ko)
EP (2) EP3603268A4 (ko)
KR (1) KR102604279B1 (ko)
WO (1) WO20181746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92A1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Mbs 수신을 위한 sps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030926A1 (ko) * 2020-08-06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준 정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2961B (zh) * 2015-05-13 202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叠加发送的网络节点,用户设备及其方法
KR101895170B1 (ko) * 2016-08-11 2018-09-05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캐스트 통신 방법 및 장치
EP3603216A4 (en) * 2017-03-31 2020-04-08 Nec Corporation Methods, terminal device, and apparatuses for uplink power control and receiving
US11395340B2 (en) * 2017-05-24 2022-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NB-IoT CE level selection
WO2019032016A1 (en) * 2017-08-08 2019-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1399365B2 (en) * 2017-09-08 2022-07-26 Ipla Holdings Inc. Communications management using down link control information
JP7406483B2 (ja) 2017-09-08 2023-12-2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Nrのための動的帯域幅を用いた複数のtrpおよびパネル送信
US20190045529A1 (en) 2017-09-11 2019-02-07 Intel IP Corporation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opportunity and resource configuration in new radio
WO2019059657A1 (ko) * 2017-09-25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 세이빙 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채널 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US11363624B2 (en) * 2017-09-28 202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L data on SPS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EP3700273B1 (en) * 2017-10-26 2022-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01950B2 (en) * 2018-01-12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bundling in slot aggregation and slot format considerations for new radio
US12082199B2 (en) * 2018-01-15 2024-09-03 Qualcomm Incorporated Group common control channel in ultra-reliable/low-latency communications
WO2019143131A1 (ko) * 2018-01-17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99652B (zh) * 2018-02-07 2023-10-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号的方法及支持该方法的装置
WO2019158603A1 (en) * 2018-02-15 2019-08-22 Sony Corporation Unused portion of radio resources
US11751132B2 (en) * 2018-02-15 2023-09-05 Sony Corporation Wake-up signal candidate indicator
US11515966B2 (en) * 2018-02-16 2022-11-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US10880914B2 (en) * 2018-02-26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Grant free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EP4300902A3 (en) * 2018-04-04 2024-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downlink shared channels
KR20190116927A (ko) * 2018-04-05 201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51357B2 (en) * 2018-04-05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Cancellation policy for radio resource control configured uplink transmissions
CN108702777B (zh) * 2018-05-03 2022-04-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及装置、基站和用户设备
US11617193B2 (en) * 2018-05-11 2023-03-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signalling for a repeated transmission
US11284477B2 (en) * 2018-07-24 2022-03-22 Apple Inc. Downlink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improving UE power consumption
US20200037247A1 (en) * 2018-07-25 2020-01-30 Mediatek Inc. Wake-up signal operation for ue power saving
US11956788B2 (en) * 2018-07-30 2024-04-09 Qualcomm Incorporated Expiration periods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WO2020032746A1 (ko) * 2018-08-09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536396A (zh) * 2018-08-10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和装置、确定目标接收功率的方法和装置
US20210344467A1 (en) * 2018-09-04 2021-11-04 Nokia Technologies Oy Arrangement for Reliable Relaying
US11751242B2 (en) * 2018-09-27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Radio-unlicensed multi-channel access for low-radio frequency-capable user equipment
CN110536460A (zh) * 2018-09-28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Sps激活或去激活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11297569B2 (en) * 2018-10-05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ing resource occasions
CN109496454A (zh) * 2018-10-17 2019-03-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带宽部分切换方法及装置
CN109496452B (zh) * 2018-10-19 2021-08-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省电信号监听方法及装置
CN109496457B (zh) * 2018-10-25 2022-04-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Dci的接收方法、发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8119023A (zh) 2018-11-01 2024-05-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Pdcch监听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30638B2 (en) * 2018-11-01 2022-05-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rame structure and channel access in a radio system
WO2020089450A1 (en) * 2018-11-02 2020-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keup signals (wus) based 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US12063598B2 (en) * 2018-11-02 2024-08-13 Apple Inc. Reduced power consumption by obtaining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patterns in advance via additional signaling
US11589312B2 (en) * 2018-11-20 2023-02-21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a channel occupancy time declared by an interfering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262662B (zh) * 2018-12-14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和终端
US11647460B2 (en) * 2018-12-26 2023-05-09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ower sav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CN116939851A (zh) * 2019-01-02 2023-10-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
JP7420812B2 (ja) * 2019-01-04 2024-01-23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不連続受信中の起動シグナリングを容易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909162A1 (en) * 2019-01-11 2021-1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on nack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s
CN111436095B (zh) * 2019-01-11 202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3412657B (zh) * 2019-02-08 2024-11-01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节点以及无线通信控制方法
US11438838B2 (en) * 2019-02-11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uplink resource assignment for power-efficient C-DRX operation
US11497042B2 (en) * 2019-02-15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cheduling techniques in wireless systems
US10651906B1 (en) 2019-02-15 2020-05-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dicating frequency and time domain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ssion points
WO2020188815A1 (ja) * 2019-03-20 2020-09-2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T3845011T (pt) * 2019-03-28 2023-09-27 Ofinno Llc Bwp ativa de poupança de energia
WO2020191764A1 (en) * 2019-03-28 2020-10-01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serving cell activation
CN119485734A (zh) * 2019-03-29 2025-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US12022393B2 (en) 2019-03-29 2024-06-25 Apple In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based wake up signal
JP7316373B2 (ja) * 2019-03-29 2023-07-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CN111757434A (zh) 2019-03-29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EP3949546A1 (en) 2019-04-02 2022-02-09 Apple Inc. Cross-slot scheduling power saving techniques
ES2966513T3 (es) * 2019-04-09 2024-04-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y aparato de retroalimentación de datos, método y aparato de transmisión de datos, estación base y equipo de usuario
EP3954157A4 (en) * 2019-04-10 2022-11-30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e grouping
CN111262663B (zh) * 2019-04-30 2021-08-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反馈消息的发送方法及终端设备
CN111885682A (zh) * 2019-05-03 2020-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唤醒终端设备的方法、装置、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595897B2 (en) * 2019-05-15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addressing conflicts with a wake-up signal
CN111614444B (zh) * 2019-05-29 2021-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确认反馈方法和终端
US12063647B2 (en) * 2019-07-19 2024-08-1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monitoring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occasions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11464001B2 (en) * 2019-08-16 2022-10-04 Qualcomm Incorporated Joint activation of multiple semi-persistent scheduling configurations in a single message
CN114342495B (zh) * 2019-09-11 2024-07-09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nr-light系统的唤醒信号传输
US11864216B2 (en) * 2019-09-30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ment feedback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2238712B2 (en) * 2019-10-03 2025-02-25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s for multiple active semi-persistent scheduling configurations
CN110740475A (zh) * 2019-10-24 2020-01-31 国网信息通信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力无线专网中的半静态调度装置
BR112022001524A2 (pt) * 2019-11-08 2022-05-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nformações, e dispositivo
CN112787787B (zh) * 2019-11-08 2022-07-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Sps pdsch的harq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1097596A1 (en) * 2019-11-18 2021-05-27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 pool for waking up multiple user equipments
WO2021138854A1 (zh) * 2020-01-08 2021-07-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方法、装置及设备
CN114866198A (zh) * 2020-01-16 2022-08-0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4586437B (zh) * 2020-01-16 2024-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冲突的解决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1497027B2 (en) * 2020-01-21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Half duplex FDD user equipment operation
US11582715B2 (en) * 2020-02-12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Radio (NR) multicast feedback switching
WO2021162515A1 (ko) * 2020-02-14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1343710B (zh) * 2020-02-26 2023-04-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率调整方法及电子设备
US12041637B2 (en) * 2020-03-05 2024-07-16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broadcast or multicast communication
US11737125B2 (en) * 2020-03-09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feedback reduction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EP4122128A1 (en) * 2020-03-20 2023-01-25 Nokia Technologies Oy Extended channel quality report for 1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i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US20230147173A1 (en) * 2020-04-08 2023-05-11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EP4135396A4 (en) * 2020-04-08 2023-08-09 Ntt Docomo, Inc.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11671980B2 (en) * 2020-05-08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hanced coverage semi-persistent scheduling
US11950184B2 (en) * 2020-06-15 2024-04-02 Qualcomm Incorporated Zone identification (ID) for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s
CN113950147B (zh) * 2020-07-17 2023-05-09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在nr小区中sc-ptm配置信息的发送方法及设备
US11736990B2 (en) * 2020-07-21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plink performance optimization in dual carrier operation
WO2022018322A1 (en) * 2020-07-21 2022-01-27 Nokia Technologies Oy Trigger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reporting for 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US11770809B2 (en) * 2020-07-22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antenna array for cross division duplex
WO2022021215A1 (en) * 2020-07-30 2022-02-03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and configured grant (cg) transmission parameter adjustment
JP2023536535A (ja) * 2020-08-07 2023-08-25 華為技術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12127191B2 (en) * 2020-09-28 2024-10-22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s to delay HARQ-ACK for SPS PDSCH
US20220141860A1 (en) * 2020-10-29 2022-05-05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resource release timing signaling
CN114630367B (zh) * 2020-12-10 2025-04-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接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EP4243528A4 (en) * 2020-12-11 2023-11-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mi-persistent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bs service,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778561B2 (en) * 2021-06-10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mat for sleep configuration
CN113692053B (zh) * 2021-08-11 2024-08-27 成都中科微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dvb系统的资源分配方法、系统、基站及终端
CN115175284A (zh) * 2022-07-04 2022-10-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接收方法、装置、终端、芯片、存储介质及程序产品
US20240098643A1 (en) * 2022-09-20 2024-03-21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coding scheme
GB2629019A (en) * 2023-04-14 2024-10-16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relating to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a configured scheduling ses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7337A1 (en) * 2012-02-19 2015-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5904A2 (en) * 2008-03-20 2009-09-24 Nokia Corporation New data indicator for persistently allocated packets in a communication system
BRPI0923008B1 (pt) * 2008-12-17 2021-01-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étodo e aparelho para fazer com que um agente de usuário libere pelo menos um de um recurso de comunicação semi-persistente
KR20110073334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harq 수행 장치 및 방법
US8423856B2 (en) * 2010-03-26 2013-04-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ctivation detection
EP2642682B1 (en) * 2010-11-18 2021-07-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 device therefor
WO2012149322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naging group messages for lte wakeup
US9420572B2 (en) * 2011-09-30 2016-08-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29319B2 (en) * 2011-12-23 2015-01-06 Blackberry Limited Updating scheduling request resources
US9544876B2 (en) * 2012-03-16 2017-01-10 Intel Corporati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validation for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EP2848082B1 (en) 2012-05-11 2019-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tended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configuration flexibility for infrequent dense resource allocations
US20140003312A1 (en) * 2012-07-02 2014-01-02 Vadim Sergeyev Wake-up functionality for an lte enodeb
EP2922357B1 (en) 2012-11-14 2020-03-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said method
CN110149691A (zh) * 2013-08-13 2019-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前导序列的方法及用户设备
WO2015039313A1 (zh) * 2013-09-18 2015-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确认的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WO2015056924A1 (ko) * 2013-10-14 2015-04-23 주식회사 케이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10250374B2 (en) * 2013-10-30 2019-04-02 Lg Electronics Inc. HARQ operation when TDD cell and FDD cell are included in carrier aggregation
CN111083771B (zh) * 2014-01-28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随机接入信道增强传输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
JP6243051B2 (ja) 2014-01-28 2017-12-0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カバレッジ拡張シナリオにおいて送信電力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353440A1 (en) * 2014-01-29 2016-12-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of access and link adaptation for coverage enhanced wireless transmissions
KR101794055B1 (ko) * 2014-02-19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승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41203A1 (en) * 2014-09-19 2016-03-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uplink sps release
WO2016128930A1 (en) 2015-02-12 2016-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ve distribution of system information for mtc
US10631330B2 (en) * 2015-04-03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ocedures under coverage limitations
EP3311516B1 (en) * 2015-06-18 2021-01-20 Apple Inc. Uplink resource collision reduction in fd-mimo
EP3326315B1 (en) * 2015-07-17 2020-04-01 Intel IP Corporation Nb-pr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iques for cellular internet of things
CN106961721B (zh) * 2016-01-11 2020-05-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上行功率控制的方法及终端
EP4145719A1 (en) * 2016-02-03 2023-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2019510390A (ja) * 2016-02-05 2019-04-1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狭帯域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割当
WO2017134556A1 (en) * 2016-02-05 2017-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coverage enhancement level ramp up procedure
CN108886716B (zh) * 2016-03-31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4216645A1 (en) * 2016-04-01 2023-07-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sidelink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0382170B2 (en) * 2016-09-25 2019-08-13 Ofinno, Llc HARQ process in semi-persistent scheduling
US10992425B2 (en) * 2016-11-01 2021-04-27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0757690B2 (en) * 2016-11-03 2020-08-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information piggyback in shared channel
US10595336B2 (en) * 2016-11-15 2020-03-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US10154481B2 (en) * 2016-11-15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of search space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 placement for improved decoding timeline
US10869333B2 (en) * 2016-12-16 2020-1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grant-free and grant-based uplink transmissions
WO2018121621A1 (en) * 2016-12-27 2018-07-05 Chou, Chie-Ming Method for signaling bandwidth part (bwp) indicators 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US11546929B2 (en) * 2017-01-09 2023-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for semi-static configuration in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EP3592066B1 (en) * 2017-02-28 2022-08-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10743338B2 (en) * 2017-03-20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for high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s systems
US10448414B2 (en) * 2017-03-23 2019-10-15 Sharp Kabushiki Kaish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uplink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CN110662251B (zh) * 2018-06-29 2023-11-07 夏普株式会社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7337A1 (en) * 2012-02-19 2015-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4878* *
3GPP R1-170185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92A1 (ko) * 2020-07-13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Mbs 수신을 위한 sps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2030926A1 (ko) * 2020-08-06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준 정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9364B2 (en) 2022-07-26
KR102604279B1 (ko) 2023-11-20
US20220361157A1 (en) 2022-11-10
WO2018174664A1 (en) 2018-09-27
EP4236492A2 (en) 2023-08-30
EP3603268A4 (en) 2020-04-08
EP3603268A1 (en) 2020-02-05
US12114327B2 (en) 2024-10-08
EP4236492A3 (en) 2023-09-20
US20180279274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14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063178B2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11160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797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determination, resource configuration, transmitting random access preamble and random access
US11849479B2 (en) Base stations and methods
EP3619876B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20200128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determination, resource configuration, transmitting random access preamble and random access
US12200763B2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CN108633070A (zh) 半静态资源调度方法、功率控制方法及相应用户设备
EP3874866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EP36466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ased on frame structure
CN112655257A (zh) 基站和方法
US202104007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99829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2403240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ention wind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80260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20220353894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20230379966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EP3499830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40788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 adaptation
US20230319842A1 (en)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20230046231A1 (en) Different reliability levels for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ack/nack) transmissions
CN115104271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反馈harq-ack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