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19747A -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747A
KR20190119747A KR1020180043093A KR20180043093A KR20190119747A KR 20190119747 A KR20190119747 A KR 20190119747A KR 1020180043093 A KR1020180043093 A KR 1020180043093A KR 20180043093 A KR20180043093 A KR 20180043093A KR 20190119747 A KR20190119747 A KR 20190119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lug
terminal
rotary arm
plu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백두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4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747A/ko
Publication of KR2019011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플러그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하므로, 멀티 탭에 꽂을 때는 단자와 연결선이 일자(一字)가 되게 하여 쉽게 끼울 수 있게 하고, 휴대용 단말에 끼워서 사용할 때는 연결선이 휴대용 단말의 위치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연결선이 꺾이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플러그 보디에 회전 암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이 회전 암 끝에 연결선을 연결하여 연결선의 끝이 휴대용 단말에 연결한 연결선을 당김에 따라 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편안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ELECTRICAL PLUG FOR CHARG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과 연결하는 연결선이 플러그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때도 편리하게 꽂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할 때도 연결선이 꺾이거나 접히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은 한 손 위에 올려놓고 다른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단말로, 근래 들어 다양한 크기와 종류 그리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이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은 기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다. 이때, 배터리는 휴대용 단말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분리하여 다른 배터리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기도 한다.
한편, 이처럼 이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은 휴대용 단말에 장착한 배터리가 방전함에 따라,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충전하면서 휴대용 단말을 사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248051호
휴대전화기의 접속 소켓에 결합 사용되는 충전 플러그에서, 충전 어댑터의 플러그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삽입구에 발광소자를 갖는 별도의 회로기판을 결합형성하고, 그 회로기판에는 충전와이어를 연결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하면에는 각각 회로기판 및 분리버튼을 지지하는 리브 및 돌출부를 형성하므로, 휴대전화기의 소켓에 플러그의 빈번한 삽입 및 분리시에도 그 충전와이어의 단선 및 접촉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부 및 하부의 지지리브에 의해 견고한 회로기판의 고정이 이루어짐은 물론, 착탈 버튼의 이동폭을 제한하므로 착탈 버튼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하고, 회로기판에 형성된 발광소자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5695호
충전기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가 절곡되고, 상부에 제1 터미널이 매립되게 장착된 케이스; 상기 제1 터미널의 일단부에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핀; 상기 제1 터미널의 타단부와 압입됨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장착되는 제2 터미널;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측부를 복개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8174호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충전기가 달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아도 충전기에 있는 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서 플러그가 빠져도 충전기에 있는 전기로 사용하여 정전이 될 경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플러그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존 플러그는, [도 1]과 같이, 일자형 플러그(10)와 "ㄱ"자형 플러그(20)로 나눌 수 있다. 이때, 그 기준은 교류 전원에 꽂는 단자와 휴대용 단말에 연결하는 연결선의 끝 부분이 이루는 형태를 기준으로 나눈다.
(2) 일자형 플러그(10)는, [도 1(a)]와 같이, 콘센트에 꽂는 단자와 휴대용 단말에 연결하는 연결선(20)의 끝 부분이 일자 형태로 이루어진 플러그를 말한다. 이러한 일자형 플러그(10)는 전체 폭이 작으므로 콘센트에 꽂을 때 유리하나,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3) 즉, 일자형 플러그(10)는 전체 폭이 작으므로 멀티 탭 등에 꽂을 때는 이웃한 다른 플러그와 겹치는 부분이 거의 없어 여러 개의 다른 플러그와 함께 한꺼번에 멀티 탭에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을 사용하다 보면 연결선이 젖혀지거나 당기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와 연결선이 만나는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4) 이러한 연결 부분의 파손은 플러그를 포함한 휴대용 충전기의 고장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피복이 벗겨지면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5) 반대로, "ㄱ"자형 플러그(10')는, [도 1(b)]와 같이, 멀티 탭에 꽂는 단자(11)와 휴대용 단말에 연결하는 연결선(20)의 끝이 "ㄱ"자 형태로 꺾인 형태로 이루어진 플러그를 말한다. 이러한 "ㄱ"자형 플러그(10')는 전체 폭이 일자형 플러그(10)보다 넓으므로 휴대용 단말을 사용할 때는 연결선을 잡아당기더라도 꺾이는 현상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ㄱ"자형 플러그(10')를 멀티 탭에 꽂을 때는 이웃한 다른 플러그와 간섭이 생겨 끼우는 데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248051호 (등록일 : 2001.09.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5695호 (공개일 : 2014.01.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8174호 (공개일 : 2017.11.2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플러그 보디에서 휴대용 단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의 끝이 플러그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멀티 탭에 꽂을 때는 단자와 연결선이 일자(一字)가 되게 하여 쉽게 끼우거나 뺄 수 있게 하고, 휴대용 단말에 끼워서 사용할 때는 연결선이 휴대용 단말의 위치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연결선이 꺾이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플러그 보디에 회전 암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이 회전 암 끝에 연결선을 연결하여 연결선의 끝이 휴대용 단말에 연결한 연결선을 당김에 따라 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제작하여 편안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센트에 꽂는 단자와 회전 암을 핀으로 연결하여 회전 암이 단자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특히 회전 암이 탄성 지지를 받아 단자와 밀착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회전 암이 회전하더라도 단자와의 접촉 효율을 높여 충전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자를 갖춘 플러그 보디(100);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통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보디(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200); 및 상기 회전 암(200)에 연결하여 플러그 보디(100) 밖으로 돌출하게 장착하고, 휴대용 단말에 연결하는 연결선(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플러그 보디(100)는, 상기 회전 암(200)이 회전하면서 생긴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암(200)은, 상기 단자와 함께 핀에 관통하게 끼워지고,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단자와 밀착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에 꽂아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폰, PDA, 노트북,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전화기, 또는 넷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플러그 보디에 연결선의 끝이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때나 연결선에 휴대용 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때는, 단자와 연결선이 일자(一字) 형태로 길게 늘어지게 하여 폭을 최소화하므로 멀티 탭 등에 꽂을 때 이웃한 다른 플러그와 간섭이 생기지 않아 쉽고 편리하게 콘센트에 꽂거나 뺄 수 있어 편리하다.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고서 연결선에 휴대용 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연결선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연결선의 끝이 회전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연결선이 꺾이거나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한편, 플러그 보디는 연결선의 끝을 연결하는 끝 부분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플러그 보디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회전하는 회전 암이 플러그 보디와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5) 또한, 상기 회전 암은 단자에 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끼워서 설치하되, 이 핀에 스프링을 끼워서 회전 암과 단자 사이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휴대용 단말의 이용으로 연결선이 회전을 반복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단자와 회전 암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6)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전화기, 그리고 넷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어떠한 휴대용 단말이라도 쉽게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기 플러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일자(一字)형 플러그의 정면도이고, (b)는 "ㄱ"자형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플러그 보디(100), 회전 암(200), 그리고 연결선(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연결선(300)은 한쪽이 휴대용 단말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선으로, 다른 한쪽이 상기 플러그 보디(100)에 구성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하는 단자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200)에 연결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멀티 탭에 삽입하거나 뺄 때는 플러그 보디(100)와 연결선(300)이 일자(一字)가 되게 하여 이웃한 다른 플러그와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멀티 탭에 꽂고 연결선(300)에 휴대용 단말을 꽂아서 사용할 때는 휴대용 단말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연결선(300)이 회전 암(200)을 회전시켜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결선(300)이 꼬이거나 접혀 단선 등이 생기지 않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 보디(100)는 회전 암(200)에 연결선(300)을 연결하는 끝 부분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연결선(300)의 끝이 이 원호 형상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여 간섭이 없이 매끄럽게 연결선(300)이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암(200)은 단자와 함께 핀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특히 이 핀에는 스프링을 끼워서 회전 암(200)이 단자와 접촉할 수 있게 가압하도록 구성하므로, 항상 회전 암(200)이 단자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단자와 회전 암(200)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거나 스파크 발생 그리고 단선 단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 보디>
플러그 보디(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콘센트에 삽입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단자(110)를 갖춘다. 여기서, "콘센트"는 옥내배선에서 전신주 등을 통해 공급받은 외부 전원을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기구를 말하며, 이 외에도 이러한 콘센트에 끼워서 사용하여 여러 개의 플러그를 끼워서 사용하는 멀티 탭일 수도 있다. 또한, "단자"는 상기 콘센트에 끼워서 실질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플러그에 구성하는 일종의 연결 핀을 말한다.
특히, 상기 플러그 보디(1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후술할 연결선(300)을 연결하는 한쪽 끝을 원호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플러그 보디(100)의 한쪽에 이 플러그 보디(10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 회전 암(200)에 연결선(300)이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회전하는 연결선(300)이 플러그 보디(100)에 걸려 더는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 보디(10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는 상기 단자와 연결하여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시켜 주는 AC-DC 변환기를 탑재한다. AC-DC 변환기는 상기 콘센트에 끼운 단자 통해 공급받은 외부 전원인 AC 전원을 통상 휴대용 단말에서 필요로 하는 내부 전원인 DC 전원으로 변환시켜 주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변환기를 말한다.
<회전 암>
회전 암(2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플러그 보디(100) 내부에 한쪽이 핀 등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 암(200)은 회전 중심이 되는 핀에 상술한 단자(110)를 함께 끼워서 단자를 통해 공급받은 외부 전원이 회전 암(200)을 통해 연결선(300)으로 공급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단자(110)는 음극과 양극의 두 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접촉하여 스파크나 단선 그리고 단락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회전 암(200)이 회전할 수 있게 하나의 핀(111)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암(200)은 쌍으로 구성하여 각 단자(110)에 하나의 회전 암을 연결하거나, 중간에 절연재를 갖춘 하나의 회전 암(200)의 양쪽에 각각 하나의 단자(110)를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통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핀(111)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지지 수단을 장착하고, 이 탄성 지지 수단이 항상 회전 암(200)을 눌러서 단자(110)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 암(200)이 회전할 때나 멈춰 있을 때 단자(110)와 분리되거나 단선이나 단락 현상이 발생하거나, 단자(110)와 접속과 분리가 반복되면서 합선이나 스파크 등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회전 암(2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단자에 연결하지 않은 한쪽을 후술할 연결선(300)에 연결한다. 이때, 이 회전 암(200)은 단자에 핀(111)으로 연결하여 회전하므로, 회전 암(200)과 연결선(300)을 연결한 부분이 플러그 보디(100)의 한쪽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 암(200)은 상술한 단자(110)와 같은 재질이나,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외부 전원을 연결선(300)으로 전해줄 수 있게 한다.
<연결선>
연결선(3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회전 암(200)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휴대용 단말에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 통상의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연결선(3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플러그 보디(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200) 끝에 장착하여 이 연결선(300)이 플러그 보디(100) 밖으로 연장하여 다른 한쪽에 휴대용 단말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은 이용자가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특히 충방전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PDA, 노트북,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전화기, 그리고 넷북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플러그 보디에 연결선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멀티 탭 등에 꽂거나 뺄 때는 단자와 연결선을 일자(一字) 형태로 펼쳐서 그 폭을 좁게 하여 쉽고 편리하게 멀티 탭에 꽂거나 뺄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 탭에 꽂아서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휴대용 단말을 사용함에 따라 충전을 위해 연결한 연결선이 당겨지더라도 이 연결선이 플러그 보디의 외주를 따라 회전할 수 있으므로, 연결선이 꺾이거나 접히는 문제나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선이나 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플러그 보디
200 : 회전 암
300 : 회전 암

Claims (4)

  1. 콘센트에 삽입할 수 있도록 단자를 갖춘 플러그 보디(100);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통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보디(1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200); 및
    상기 회전 암(200)에 연결하여 플러그 보디(100) 밖으로 돌출하게 장착하고, 휴대용 단말에 연결하는 연결선(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2.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보디(100)는,
    상기 회전 암(200)이 회전하면서 생긴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3. 제1항에서,
    상기 회전 암(200)은,
    상기 단자와 함께 핀에 관통하게 끼워지고,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단자와 밀착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폰, PDA, 노트북,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전화기, 또는 넷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KR1020180043093A 2018-04-13 2018-04-13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Ceased KR20190119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93A KR20190119747A (ko) 2018-04-13 2018-04-13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93A KR20190119747A (ko) 2018-04-13 2018-04-13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47A true KR20190119747A (ko) 2019-10-23

Family

ID=6846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093A Ceased KR20190119747A (ko) 2018-04-13 2018-04-13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97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8857A (zh) * 2020-12-21 2021-03-30 广东职业技术学院 电脑底座及可移动充电口的电脑
KR20210088933A (ko) 2020-01-07 2021-07-15 전병민 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냅볼 케이블
WO2023048435A1 (en) * 2021-09-23 2023-03-30 Lg Electronics Inc. Multi-socket adaptor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051B1 (ko) 1997-08-07 2000-03-15 윤종용 정렬간극 관측용 슬릿홈을 구비한 광아이솔레이터
KR20140005695A (ko) 2012-07-06 2014-01-15 삼성전기주식회사 충전기용 플러그
KR20170128174A (ko) 2017-11-02 2017-11-22 김민서 충전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051B1 (ko) 1997-08-07 2000-03-15 윤종용 정렬간극 관측용 슬릿홈을 구비한 광아이솔레이터
KR20140005695A (ko) 2012-07-06 2014-01-15 삼성전기주식회사 충전기용 플러그
KR20170128174A (ko) 2017-11-02 2017-11-22 김민서 충전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3A (ko) 2020-01-07 2021-07-15 전병민 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스냅볼 케이블
CN112578857A (zh) * 2020-12-21 2021-03-30 广东职业技术学院 电脑底座及可移动充电口的电脑
WO2023048435A1 (en) * 2021-09-23 2023-03-30 Lg Electronics Inc. Multi-socket adaptor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6712B2 (ja) 伸縮変形可能なusb接続装置及び伸縮変形可能な接続装置
TW201535895A (zh) 具有連接模組的牆壁插座
CN104518380B (zh) 续接式电源模块以及包含续接式电源模块的电子装置
US10061351B2 (en) Portable user device
KR20190119747A (ko)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CN105762582A (zh) 一种usb连接插头
CN104218412A (zh) 便携式软排插
CN204144624U (zh) 可变换不同制式插头的充电器
CN204992178U (zh) 一种收纳式多功能插排
CN108565926A (zh) 一种无线充电移动电源
JP4047167B2 (ja) 電気リード及びそれを使用した充電方法
CN105553043B (zh) 一种通用无线充电接收器接口及接收器
CN216903653U (zh) 电源转接装置
TWM583645U (zh) 多國充電器結構
CN105577865B (zh) 多充电/数据接口的电子设备保护壳及与其匹配的插接件
TWM624117U (zh) 電源轉接裝置
KR101697125B1 (ko) Usb 충전기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JP7657162B2 (ja) Usb充電器付ケーブルスイッチ
CN205335941U (zh) 一种通用无线充电接收器接口及接收器
EP2256869B1 (en) Improved charging interface for rechargeable devices
CN221767060U (zh) 端子组件及连接器
CN217769561U (zh) 一种能转换电源输出方向的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