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696A - 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 Google Patents
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8696A KR20190108696A KR1020180030047A KR20180030047A KR20190108696A KR 20190108696 A KR20190108696 A KR 20190108696A KR 1020180030047 A KR1020180030047 A KR 1020180030047A KR 20180030047 A KR20180030047 A KR 20180030047A KR 20190108696 A KR20190108696 A KR 201901086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slide block
- hole
- inner space
- b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를 파지하여 굽히거나 서로 꼬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ntal wire ligation devices, and to devices used to grip and bend or twist each other wire.
치과에서 와이어의 사용이 빈번하다. 예컨대 치열 교정을 위해서는 치아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각 브래킷을 와이어로 연결, 고정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견인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두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꼬아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통상 '결찰(ligation)'이라고 칭한다.Frequent use of wire in dentistry For example, for orthodontic treatment, a method of attaching a bracket to a tooth, connecting and fixing each bracket with a wire, and pulling the bracket in a specific direction is use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twist the two strands of wire to each other,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ligation' (ligation).
결찰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좁은 구강 내에서의 작업이므로 작업하기가 곤란하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나아가서 결찰이 정확하지 않으면 장기간 사용 중 와이어가 풀림으로써 치열 교정 등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Ligation is performed by hand, it is difficult to work and time-consuming because it is a job in a narrow oral cavity. Furthermore, if the ligation is inaccurate, the wire may loosen during prolonged use and may not achieve its intended purpose, such as orthodontic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등록특허 제10-0472905호는 콜레트척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파지한 채로 콜레트척을 회전시키는 결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결찰 장치로 두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꼬기 위해서는, 하나의 콜레트척에 두 가닥의 와이어를 나란히 포개어 삽입해야 하며, 이는 와이어들의 꼬임이 길이방향에 따라 균일하지 않거나, 콜레트척의 파지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와이어가 콜레트척에 대해 미끄러지면, 콜레트척이 와이어에 대해 헛도는 만큼 와이어의 꼬임이 저하되므로 꼬임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Patent No. 10-0472905 discloses a ligation apparatus for rotating a collet chuck while holding a wire using a collet chuck. However, in order to twist the wires of two strands with this ligation apparatus, the two strands of wire must be stacked and inserted side by side in a single collet chuck. If the wire slips against the collet chuck, the twist of the wire decreases as much as the collet chuck fails against the wire, so that the twist may not proceed smoothl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가닥의 와이어를 원활히 꼬을 수 있는 와이어 결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ligation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twisting two wires.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조절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한 쌍의 삽입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한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구멍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구멍이 관통 형성된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볼구멍에 삽입된 압박볼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절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손잡이와,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상기 제1 단부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한 쌍의 삽입구멍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에서 서로 이격된 구멍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단부를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d shap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djustment hole penetrates radially from the inner space, and a pair of insertion holes penetrates from the first end to the inner space, and the casing can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nd a slide block formed with a gripping ho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toward the first end of the casing and a ball hole penetrating outwardly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gripping hole, and a pressing inserted into the ball hole. The slide and engaging the slide block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with the ball An actuating handle slidably mounted with the id block and a spring for biasing the slide block to the first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casing, wherein the pair of insertion holes of the casing are mutually adjacent at the first end of the casing; Starting from the spaced apart hole, the closer to one end of the slide block, the closer to each other,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may include a first tapered portion whose inn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first end.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볼구멍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제2 테이퍼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block includes a second tapered portion whose outer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first end of the casing, and the ball hole of the slide block is the second tapered portion of the slide block. Can be formed on.
또한, 상기 볼구멍은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3개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볼은 상기 3개의 볼구멍에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hole may have three through hole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lide block with the same center angle, and the pressing ball may be inserted into the three ball holes one by one.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pring may be disposed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between the second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lide block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삽입구멍은 각각 제1 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파지구멍은 일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insertion holes of the casing may have an opening extending to the first end. In addition, an opening to one end of the gripping hole of the slide block may be extended.
한편, 상기 작동 손잡이는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handle may include a ring-shaped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ing.
또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blo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rtions divided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ortion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결찰할 와이어들을 각각의 삽입구멍으로 도입되게 한 뒤 파지구멍 내에서 압박볼에 의해 파지할 수 있으므로 좁은 구강 내에서도 와이어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파지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를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두 가닥의 와이어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대 위치에서 꼬이기 시작하므로 균일하고 원활한 꼬임이 가능하다. 아울러, 파지구멍 내에서 와이어가 압박볼이나 파지구멍에 대해 미끄러지더라도 삽입구멍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두 가닥 사이의 꼬임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s to be ligated are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the wires can be gripped by the pressing balls in the holding holes, so that the wires can be easily held even in the narrow oral cavity. In addition, when th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its longitudinal axis while the wire is held, the two strands of wire begin to twist at relative distan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enabling uniform and smooth twisting. 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hole is spaced even if the wire slips against the pressing ball or the gripping hole in the gripping hole, the twisting between the two strands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제1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제2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illustrating a first use state.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illustrating a second use stat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싱(110)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그 길이방향 양 끝단에 각각 제1 단부(110a)와 제2 단부(110b)가 위치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케이싱(110)이 대체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원통 형상임을 전제로 하여 원주, 반경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케이싱(110)이 반드시 원통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타원통 또는 다각통의 형상일 수도 있다.The
한편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은 제1 단부(110a)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111a)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절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구멍(112)은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 공간(111)으로부터 제1 단부(110a)에 이르기까지 관통하여 한 쌍의 삽입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113)은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가 한 쌍의 삽입구멍(113)에 각각 나뉘어 삽입된다. 삽입구멍(113)은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외부로 개방된 한쪽 끝단이 확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반대쪽 끝단, 즉 이하에서 설명할 슬라이드 블록(120)을 향한 반대쪽 끝단에서는 두 삽입구멍(113)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는 각 삽입구멍(113)으로부터의 두 가닥의 와이어를 슬라이드 블록(120)에 형성된 하나의 파지구멍(121)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구멍(113)의 끝단과 파지구멍(121)의 끝단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도시된 것과 달리 삽입구멍(113)은 슬라이드 블록(120)을 향한 끝단에서 하나로 합쳐지지 않고 여전히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시된 예에서 케이싱(110)은 제1 단부(110a) 측의 일부분과 중앙 부분, 그리고 제2 단부(110b) 측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3개의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조각의 수는 제조, 조립 등의 편의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케이싱(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각들은 끼워맞춤이나 나사결합 또는 접착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슬라이드 블록(120)은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수용된다. 슬라이드 블록(120)의 외경면 중 일부는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제2 테이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테이퍼부(123)는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의 제1 테이퍼부(111a)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한 일단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구멍(121)은 케이싱(110)의 삽입구멍(113)을 통해 도입된 와이어를 이어서 수용하는 부분으로, 삽입구멍(1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한 끝단이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볼구멍(122) 및 압박볼(130)의 작용을 위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이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최대한 전진한 상태에서 적어도 케이싱(110)의 제1 테이퍼부(111a)에 이를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The
파지구멍(121)으로부터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볼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볼구멍(122)은 제2 테이퍼부(123)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슬라이드 블록(120)는 헤드(120a) 및 로드(120b)와 연결블록(120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파지구멍(121)과 볼구멍(122), 따라서 제2 테이퍼부(123)는 모두 헤드(120a)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120a), 로드(120b) 및 연결블록(120c)은 특히 도 3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부재로 만들어져 끼워맞춤, 나사결합 등 통상의 방식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시된 예에서 볼구멍(122)은 3개가 서로 120°의 중심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데, 볼구멍(122)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
슬라이드 블록(120)의 볼구멍(122)에는 압박볼(130)이 수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압박볼(130)은 볼구멍(122)의 수에 맞추어 3개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압박볼(130)의 수가 볼구멍(122)의 수에 맞추어 증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압박볼(130)은 슬라이드 블록(120)이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압박볼(130)의 최외곽면이 제1 테이퍼부(111a)와 접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감소하는 제1 테이퍼부(111a)에 의해 압박되어 파지구멍(121) 내로 진입하며, 파지구멍(121)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와이어를 파지구멍(121)의 반대편 내벽 또는 다른 압박볼 쪽으로 압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와이어는 파지구멍(121)의 내벽과 압박볼(130) 사이 또는 압박볼들 사이에 파지된다. 계속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이 제1 단부(110a)측으로 진행하면 슬라이드 블록(120)의 제2 테이퍼부(123)가 케이싱(110)의 제1 테이퍼부(111a)와 접촉하며, 이 지점이 슬라이드 블록(120)의 제1 단부(110a)를 향한 슬라이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슬라이드 블록(120)을 케이싱(110)의 제2 단부(110b) 측으로 이동시키면 압박볼(130) 제1 테이퍼부(111a)의 직경이 점차 커지므로 압박볼(130)은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며, 따라서 파지구멍(121)에 삽입되어 있던 와이어에 대한 압박이 해제된다. 요컨대, 압박볼(130)의 직경, 따라서 볼구멍(122)의 직경을 적절히 선택하면 제2 테이퍼부(123)가 없어도 압박볼(130)이 파지구멍(121) 내의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에 대해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테이퍼부(123)는 생략되거나, 직경이 급작스럽게 확대된 확경부 또는 걸림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슬라이드 블록(120)의 슬라이드 움직임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스프링(150)이 슬라이드 블록(120)과 케이싱(110)의 제2 단부(110b)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스프링(150)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슬라이드 블록(120)과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블록(120)과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A
작동 손잡이(14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케이싱(110)의 조절구멍(112)을 통해 슬라이드 블록(120)과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 손잡이(140)는 대체로 조절구멍(112)의 길이만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작동 손잡이(140)는 케이싱(110)의 둘레방향 어느 쪽에서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작동 손잡이(140)는 슬라이드 블록(120)의 연결블록(120c)에 나사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슬라이드 블록(120)의 다른 부분, 예컨대 헤드(120a)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결합수단 또한 나사 이외의 다른 통상의 수단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handle 140 is disposed outside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use state of one embodiment of th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use state.
도 4에 예시된 제1 사용 상태는 와이어의 파지를 준비하는 상태로서, 작동 손잡이(140)를 케이싱의 제2 단부(110b) 측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블록(120)을 후퇴시키고 스프링(150)을 압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케이싱(110)의 한 쌍의 삽입구멍(113)에 두 가닥의 와이어를 각각 나누어 삽입시키고 계속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의 파지구멍(121)에 두 가닥의 와이어가 합쳐져서 삽입되도록 한다. 와이어가 파지구멍(121)에 충분히 삽입되면, 즉, 적어도 압박볼(130)과 접할 수 있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작동 손잡이(140)를 잡고 있던 외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스프링(150)이 원래 상태로 팽창하면서 슬라이드 블록(120)을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전진시킨다. 이 때 압박볼(130)들이 케이싱(110)의 제1 테이퍼부(111a)에 접하면서 압박되어 파지구멍(121) 내의 와이어를 파지하게 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110)을 회전시키면, 두 가닥의 와이어가 서로 꼬이고, 결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결찰이 완료되면, 다시 작동 손잡이(140)를 후퇴시킨 채로 결찰된 와이어가 파지구멍(121), 나아가서 삽입구멍(113)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한 다음, 와이어의 꼬이지 않은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결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The first use state illustrated in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of the wire is prepared, and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8)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한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구멍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구멍이 관통 형성된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볼구멍에 삽입된 압박볼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절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손잡이와,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상기 제1 단부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한 쌍의 삽입구멍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에서 서로 이격된 구멍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단부를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A rod shap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n inner spac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djustment hole penetrates radially from the inner space, A casing formed by passing a pair of insertion holes into the inner space;
It is slidably recei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 gripping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toward the first end of the casing and view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gripping hole A slide block formed with holes therethrough,
Compression ball inserted into the ball hole,
An operating handle engaged with the slide block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through the adjusting hole and slidably installed with the slide block;
A spring for biasing the slide block to the first end side relative to the casing,
The pair of insertion holes of the casing are closer to each other as the closer to one end of the slide block starting from the holes spaced from each other at the first end of the cas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tapered portion whose inner diameter is smaller toward the first end.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볼구멍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제2 테이퍼부에 형성된 치과용 와이어 결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block includes a second taper portion whose outer diameter is smaller toward the first end of the casing,
The ball hole of the slide block is a dental wire binding device formed in the second tapered portion of the slide block.
상기 볼구멍은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3개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볼은 상기 3개의 볼구멍에 하나씩 삽입되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all hole includes three through holes having the same center angle and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lide block, and the pressing balls are inserted one by one into the three ball holes.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타단 사이에 배치된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pring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lide block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상기 케이싱의 삽입구멍은 각각 제1 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sertion holes of the casing are each extended with openings to the first ends thereof.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파지구멍은 일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pping hole of the slide block is a dental wire ligation device, the opening to one end is extended.
상기 작동 손잡이는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ctuating handle comprises a ring-shaped portion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portions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portions are dental wire ligation apparatus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047A KR102106529B1 (en) | 2018-03-15 | 2018-03-15 | 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047A KR102106529B1 (en) | 2018-03-15 | 2018-03-15 | 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696A true KR20190108696A (en) | 2019-09-25 |
KR102106529B1 KR102106529B1 (en) | 2020-05-06 |
Family
ID=6806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047A Active KR102106529B1 (en) | 2018-03-15 | 2018-03-15 | 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6529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16002A (en) * | 1943-12-20 | 1947-02-18 | John J Greer | Wire twisting hand tool |
US3596357A (en) * | 1968-11-14 | 1971-08-03 | Takeshi Matsumoto | Method for performing orthodontic ligation of the bands and the archwire applied to a series of teeth, and an orthodontic ligation brace and a preshaped ligation wire piece for use in said method |
US4875855A (en) * | 1986-11-25 | 1989-10-24 | David Beckett | Tool |
EP0342514A2 (en) * | 1988-05-19 | 1989-11-23 | Peter Reinhard | Device for fastening an orthodontic bow |
JP2015136567A (en) * | 2014-01-24 | 2015-07-30 | 佩祺 李 | Automatic ligation processing system for orthodontics |
US9893507B2 (en) * | 2014-11-14 | 2018-02-13 | Robert Findley | Ball grip compression fitting |
-
2018
- 2018-03-15 KR KR1020180030047A patent/KR1021065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16002A (en) * | 1943-12-20 | 1947-02-18 | John J Greer | Wire twisting hand tool |
US3596357A (en) * | 1968-11-14 | 1971-08-03 | Takeshi Matsumoto | Method for performing orthodontic ligation of the bands and the archwire applied to a series of teeth, and an orthodontic ligation brace and a preshaped ligation wire piece for use in said method |
US4875855A (en) * | 1986-11-25 | 1989-10-24 | David Beckett | Tool |
EP0342514A2 (en) * | 1988-05-19 | 1989-11-23 | Peter Reinhard | Device for fastening an orthodontic bow |
JP2015136567A (en) * | 2014-01-24 | 2015-07-30 | 佩祺 李 | Automatic ligation processing system for orthodontics |
US9893507B2 (en) * | 2014-11-14 | 2018-02-13 | Robert Findley | Ball grip compression fit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6529B1 (en) | 2020-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477736B (en) | Hand held tool and handle therefor | |
US2715028A (en) | Socketed wrench holder | |
US2579438A (en) | Screw holding screw driver | |
JP4409801B2 (en) | Adapter for remote control Yatco | |
US20090004914A1 (en) | Method of seating a connector on a coaxial cable | |
JP4600852B2 (en) | Medical / dental handpiece with locking mechanism | |
US7357659B2 (en) | Connector and female plug | |
US20040021276A1 (en) | Quick-connect chuck mechanism | |
JP4601448B2 (en) | Dental or surgical handpiece | |
JP2008284633A (en) | Coupler | |
US8256102B2 (en) | Selectable plunger siz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application tool | |
KR20190108696A (en) | 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 |
CN100405985C (en) | Surgical Instruments | |
JP4679508B2 (en) | Tooth gap cleaning device | |
US20170100779A1 (en) | Drill Chuck Assembly | |
JP2010078026A (en) | Cylindrical object holder | |
US7617959B2 (en) | Adjusting device for a nail gun | |
JP4180510B2 (en) | Pre-winding device as a tool for mounting screw inserts | |
TW201109157A (en) | Pipe connection device | |
JP7286143B2 (en) | Collet device | |
JP4750815B2 (en) | Adapter for remote control Yatco | |
US3161087A (en) | Wire stripping tool | |
JP4757304B2 (en) | Chuck and rotary direction aligner | |
CN220833127U (en) | Kirschner wire bending device | |
US20030000345A1 (en) | Simple skinning pli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