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7714A -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714A
KR20190107714A KR1020197024614A KR20197024614A KR20190107714A KR 20190107714 A KR20190107714 A KR 20190107714A KR 1020197024614 A KR1020197024614 A KR 1020197024614A KR 20197024614 A KR20197024614 A KR 20197024614A KR 20190107714 A KR20190107714 A KR 2019010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unit
electronic carte
car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스케 유아사
마사히로 시오야
토모후미 나카가와
키요테루 타케노우치
Original Assignee
고에키 자이단 호징 고베 이료 산교 도시 스이신 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에키 자이단 호징 고베 이료 산교 도시 스이신 기코 filed Critical 고에키 자이단 호징 고베 이료 산교 도시 스이신 기코
Publication of KR2019010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71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표준화 스토리지(231)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정의정보 생성부와,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와,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인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는 검사값 정보 추출부(5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단말과, 상기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 서버를 구비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 서버에는 의료기관에서 취득된 처방 의약품이나 진단명, 검사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76761호
한편,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 서버가 복수개 존재하고, 그들의 벤더가 서로 달라 서로 호환성이 없는 형식으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축적하고 있다고 하자. 여기서, 사용자가 이들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특정 임상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개의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 서버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 각각에 포함되는 검사값 정보를 각 임상시험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개별적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확인하여 거기에 포함되는 임상정보를 읽어내는 작업이나 읽어낸 검사값 정보를 기록 매체에 보존하는 작업을 강요당한다. 이 경우,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임상정보의 수집 효율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임상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症例)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정의정보 생성부와,
상기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와,
상기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임상정보 추출부를 구비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임상정보 취득 서버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가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취득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임상정보 추출부를 구비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방법은,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정의정보 생성부,
상기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
상기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임상정보 추출부,
로서 기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가,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가, 정의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고, 임상정보 추출부가,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한다. 이로써,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에 액세스하는 것만으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개별적으로 그들에 포함되는 임상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임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임상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로써, 수집된 임상정보의 2차 이용이 촉진되기 쉬워질 가능성도 있는 등의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의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 및 전자 카르테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표준화 스토리지의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값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 및 스토리지 서버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 및 전자 카르테 서버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검사값 정보 취득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가 실행하는 검사값 정보 송신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가 실행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가 실행하는 표준화 스토리지 관리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카르테 서버가 실행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a는 변형예에 따른 판정기준 기억부가 기억하는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변형예에 따른 PPV 기억부가 기억하는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변형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PPV 평가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전자 카르테 정보를 축적하는 스토리지 서버를 구비하고, 스토리지 서버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원하는 임상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약품의 임상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기관에 설치된 단말장치(1)와, 의료시설에 설치된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임상정보 취득 서버)(5), 스토리지 서버(2) 및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를 구비한다. 단말장치(1)는 검사 기관에 부설된 네트워크(NT1)에 접속되어 있다.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 및 스토리지 서버(2)는 의료시설에 부설된 네트워크(NT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는 의료시설에 부설된 네트워크(NT2) 또는 네트워크(NT2)와는 다른 네트워크(NT4)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는 서로 벤더가 달라, 각각 다른 형식으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NT2)에는 의료시설의 사용자(예를 들면, 의사, 약제사 등)가 이용하는 단말장치(4)가 접속되어 있다. 검사 기관의 네트워크(NT1)와 의료시설의 네트워크(NT2)는 각각 방화벽 장치(61, 62)를 사이에 두고 광역 네트워크(NT3)에 접속되어 있다. 검사 기관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단말장치(1)에 대하여, 특정 병을 앓은 환자에게 실시된 검사의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입력한다. 그리하면, 단말장치(1)는 입력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의정보를 의료시설의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 한편,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정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의정보를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 스토리지 서버(2)는 수신한 정의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검색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고, 얻어진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송신한다.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여 검사 기관의 단말장치(1)에 송신한다. 단말장치(1)는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로부터 검사값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검사값 정보를 기억한다.
단말장치(1)는 예를 들면 범용 PC로 구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와 메인 기억부(102)와 보조 기억부(10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와 통신부(105)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버스(106)를 구비한다. 메인 기억부(102)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고, CPU(101)의 작업 영역으로 이용된다. 보조 기억부(103)는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고, 단말장치(1)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그리고 CPU(101)가 이 프로그램을 메인 기억부(102)에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단말장치(1)의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통신부(105)는 검사 기관에 부설된 네트워크(NT1)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를 가진다.
CPU(101)는 보조 기억부(103)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의정보 생성부(111) 및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로서 기능한다. 또한, 보조 기억부(103)는 정의정보 기억부(131)를 가진다. 정의정보 기억부(131)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그 정의정보에 대응하는 병명과 정의정보 식별정보와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정의정보 생성부(111)는 후술의 표준화 스토리지가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이하, "포텐셜 케이스"라고 칭함.)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한다. 검색 키는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병명, 치료약, 진료 행위를 나타내는 정보로 구성된다. 그리고 포텐셜 케이스는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기계적으로 추출된 전자 카르테 정보에 대응하는 증례에 상당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단말장치(1)에 입력한, 특정 병을 앓은 환자에게 실시된 의료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으로부터 정의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정의정보 생성부(111)는 생성한 정의정보에 정의정보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정의정보 기억부(131)에 기억시킨다. 정의정보는 예를 들면 XML형식의 파일로 정의정보 기억부(131)에 기억되어 있다.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는 정의정보 기억부(131)로부터 정의정보를 취득하여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송신함으로써,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로부터 정의정보의 검색 키에 해당하는 환자(이하, "포텐셜 케이스"라고 칭함.) 각각의 검사값 정보를 취득한다.
스토리지 서버(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01)와 메인 기억부(202)와 보조 기억부(20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와 통신부(205)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버스(206)를 구비한다. 보조 기억부(203)는 스토리지 서버(2)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그리고 CPU(201)가 이 프로그램을 메인 기억부(202)에 읽어내서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 서버(2)의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통신부(205)는 의료시설에 부설된 네트워크(NT2)에 접속되어 있다.
CPU(201)는 보조 기억부(203)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신부(211), 해석부(212), 정보 관리부(213),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 및 커넥션 제어부(218)로서 기능한다. 보조 기억부(203)는 표준화 스토리지(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231)를 가진다.
표준화 스토리지(231)는 예를 들면 SS-MIX 표준화 스토리지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가 서로 다른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한다. 동일한 형식으로는 예를 들면 HL7(Health Level 7)에 적합한 형식을 들 수 있다. 여기서, HL이란, 전자화 헬스케어 정보의 포괄적 틀에 관한 표준을 의미한다. 각 파일의 명칭은 예를 들면 "(환자식별정보)_(진료일)_(데이터 종별)_(오더 No)_(발생일시)_(진료과)_(컨디션 플래그)"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데이터 종별은 도 5의 말풍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료 정보의 교환에 관련된 정보로 구성된다. 오더 No는 의사나 간호사 등의 지시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번호이다. 발생일시는 파일 작성일시를 나타낸다. 컨디션 플래그는 파일이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이다. 파일의 구조는 도 5의 말풍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건정보, 환자식별정보, 환자내원정보, 장애정보 및 검사결과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건정보는 환자가 의료시설을 방문한 날짜나 병이 발생한 날짜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환자식별정보는 환자의 이름이나 주소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환자내원정보는 환자와 동행한 사람의 이름이나 의료시설에 방문한 횟수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장애정보는 환자에게 보여지는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검사결과정보는 환자에게 실시한 결과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표준화 스토리지(231)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카르테 정보를,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각각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는 디렉토리 구조로 관리하고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수신부(211)는 검사 기관의 단말장치(1)로부터 송신된 정의정보와,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송신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수신한다. 해석부(212)는 수신부(211)가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해석하여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한다.
정보관리부(213)는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의 파일 패스를 설정한다. 그리고 정보관리부(213)는 설정한 파일 패스에 기초하여 전자 카르테 정보를 표준화 스토리지(231)에 기억시킨다.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는 전자 카르테 정보 취득 요구로부터 정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여 취득한다.
포텐셜 케이스 송신부(215)는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가 검색하여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송신한다.
커넥션 제어부(218)는 접속 요구의 송신원인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커넥션 제어부(218)는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전자 카르테 서버(3)와의 커넥션을 확립하고,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접속 허가 통지를 송신한다.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501)와 메인 기억부(502)와 보조 기억부(50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504)와 통신부(505)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버스(506)를 구비한다. 보조 기억부(503)는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그리고 CPU(501)가 이 프로그램을 메인 기억부(502)에 읽어내서 실행함으로써,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의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통신부(505)는 의료시설에 부설된 네트워크(NT2)에 접속되어 있다.
CPU(501)는 보조 기억부(503)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514), 검사값 정보 추출부(임상정보 추출부)(515), 결합부(516) 및 검사값 정보 송신부(517)로서 기능한다. 보조 기억부(503)는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를 가진다.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의정보에 대응하는 검사값 정보를 정의정보 식별정보 및 포텐셜 케이스와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한다. 검사값 정보는 검사항목과 그에 대응하는 검사값으로 구성된다. 또한,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는 하나의 정의정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한 검사값 정보도 기억하고 있다. 검사값 정보는 예를 들면 XML형식의 파일로서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되어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검사 기관의 단말장치(1)로부터 수신한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생성한다. 그리고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생성한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함으로써,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한다.
검사값 정보 추출부(515)는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인, 의료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값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사값 정보 추출부(515)는 추출된 검사값 정보를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시킨다.
결합부(516)는 사용자가 지정한 결합 조건을 따라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한다. 사용자가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4)를 통해 결합 조건을 특정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결합부(516)는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하도록 요구하는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한다. 이 검사값 정보결합 요구는 사용자가 지정한 결합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부(516)는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에 포함되는 결합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따라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한다. 또한, 결합부(516)는 서로 결합된 검사값 정보를 압축하고 나서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시킨다.
검사값 정보 송신부(517)는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로부터 압축된 검사값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검사값 정보를 단말장치(1)에 송신한다.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는 각각 다른 형식으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각 전자 카르테 서버(3)는 CPU(301)와 메인 기억부(302)와 보조 기억부(30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304)와 통신부(305)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버스(306)를 구비한다. 보조 기억부(303)는 전자 카르테 서버(3)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그리고 CPU(301)가 이 프로그램을 메인 기억부(302)에 읽어내서 실행함으로써, 전자 카르테 서버(3)의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통신부(305)는 의료시설에 부설된 네트워크(NT2)에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보조 기억부(303)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취득부(311), 패킷 생성부(312) 및 송신부(313)로서 기능한다. 또한, 보조 기억부(303)는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를 가진다.
취득부(311)는 단말장치(4)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여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에 기억시킨다.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는 서로 호환성이 없는 다른 형식으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패킷 생성부(312)는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가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 송신부(313)는 패킷 생성부(312)에 의해 HL7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된 전자 카르테 정보에, HL7에 기초하는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 및 스토리지 서버(2)의 동작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검사 기관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단말장치(1)에 포텐셜 케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입력하면, 단말장치(1)는 입력된 검색 키의 조합으로부터 정의정보를 생성한다(단계(S1)). 다음으로, 생성된 정의정보가 단말장치(1)로부터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송신된다(단계(S2)).
한편,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정의정보를 수신하면,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생성한다(단계(S3)). 이어서,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가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로부터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된다(단계(S4)). 한편, 스토리지 서버(2)는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취득하면,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정의정보를 추출하고, 그 정의정보를 이용하여, 표준화 스토리지(231)를 검색하며(단계(S5)),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취득된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가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송신된다(단계(S6)). 그리고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수신한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여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시킨다(단계(S7)).
다음으로, 의료시설의 사용자가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검사값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조작을 실시했다고 하자. 이 경우,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검사값 정보를 결합하도록 요구하는 검사값 정보결합 요구를 접수한다(단계(S8)).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04)의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작 화면(204a)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결합하고자 하는 검사값 정보의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고 나서(도 8 중의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CB) 참조), 머지 데이터(merge data) 출력 버튼(EK)을 클릭했다고 하자. 이 경우,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식별번호 1 내지 3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하는 취지의 결합조건을 포함하는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한다.
도 7로 되돌아가서,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결합 조건을 따라 검사값 정보를 결합한다(단계(S9)). 이어서,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결합된 검사값 정보를 압축하여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시킨다(단계(S10)). 그 후, 압축된 검사값 정보가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로부터 단말장치(1)에 송신된다(단계(S11)).
한편, 단말장치(1)는 검사값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검사값 정보를 전개하여 메인 기억부(102)에 기억시킨다(단계(S12)).
다음으로, 스토리지 서버(2) 및 전자 카르테 서버(3)의 동작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토리지 서버(2)는 앞에 나온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과 병행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의료시설의 사용자가 단말장치(4)에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송신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전자 카르테 서버(3)가 단말장치(4)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한다(단계(S21)). 이때, 커넥션의 확립을 요구하는 접속 요구가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된다(단계(S22)). 또한, 전자 카르테 서버(3)는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에 기억시킨다.
한편, 스토리지 서버(2)는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접속 요구의 송신원인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23)). 여기서, 스토리지 서버(2)는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전자 카르테 서버(3)와의 커넥션을 확립시킨다(단계(S24)). 다음으로, 전자 카르테 서버(3)에 대하여 스토리지 서버(2)로의 접속을 허가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접속 허가 통지가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전자 카르테 서버(3)로 송신된다(단계(S25)).
한편, 전자 카르테 서버(3)는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접속 허가 통지를 수신하면,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단계(S26)). 여기서, 전자 카르테 서버(3)는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로부터 복수개의 포텐셜 케이스 각각에 대응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
이어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이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스토리지 서버(2)로 송신된다(단계(S27)).
한편, 스토리지 서버(2)는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수신하면, 그에 포함되는 전자 카르테 정보에 대응하는 파일 패스를 설정한다(단계(S28)). 그 후, 스토리지 서버(2)는 설정된 파일 패스에 기초하여,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표준화 스토리지(231)에 기억시킨다(단계(S29)). 다음으로,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가 표준화 스토리지(231)에 기억된 것을 통지하는 기억 완료 통지가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전자 카르테 서버(3)로 송신된다(단계(S30)).
한편, 전자 카르테 서버(3)가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기억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다른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이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스토리지 서버(2)로 송신된다(단계(S31)). 한편, 스토리지 서버(2)는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파일 패스를 설정하고(단계(S32)), 그 파일 패스에 기초하여 전자 카르테 정보를 표준화 스토리지(231)에 기억시킨다(단계(S33)). 이어서, 기억 완료 통지가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전자 카르테 서버(3)로 송신된다(단계(S34)). 이후, 전자 카르테 서버(3)가 생성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의 모든 송신을 완료할 때까지, 단계(S31 내지 S34)의 처리가 반복되어 실행된다.
그 후, 전자 카르테 서버(3)가, HL7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모두 송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35)), 전자 카르테 정보의 송신을 종료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송신 종료 통지가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스토리지 서버(2)로 송신된다(단계(S36)). 한편, 스토리지 서버(2)는 송신 종료 통지를 수신하면, 전자 카르테 서버(3)와의 커넥션을 차단한다(단계(S37)).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가 실행하는 검사값 정보 취득 처리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검사값 정보 취득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장치(1)에 대하여 검사값 정보 취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우선, 정의정보 생성부(111)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단말장치(1)에 입력한, 특정 병을 앓은 환자에게 실시된 검사의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으로부터 정의정보를 생성한다(단계(S101)). 이때, 정의정보 생성부(111)는 생성한 정의정보에 정의정보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정의정보 기억부(131)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는 정의정보를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S102)). 이어서,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는 정의정보 송신 후의 미리 설정된 기다리는 시간 동안, 검사값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03)).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는 기다리는 시간 동안에 검사값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단계(S103): No), 다시 정의정보를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S102)). 한편,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는 검사값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103): Yes), 수신한 검사값 정보를 전개하여 메인 기억부(102)에 기억시킨다(단계(S104)).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가 실행하는 검사값 정보 송신 처리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검사값 정보 송신 처리는 스토리지 서버(2)에 전원이 투입된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우선,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단말장치(1)로부터 정의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01)).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가 정의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201): No), 후술의 단계(S210)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가 정의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201): Yes),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수신한 정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요구를 생성하여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S202)). 다음으로,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03)).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203): No), 다시 단계(S202)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203): Yes), 수신한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메인 기억부(102)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검사값 정보 추출부(515)는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검사값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검사값 정보를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시킨다(단계(S204)).
이어서, 결합부(516)는 전술의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05)). 결합부(516)는 전술과 같이 사용자가 스토리지 서버(2)에 대하여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조작을 실시했을 때에,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한다. 결합부(516)가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205): No), 후술의 단계(S209)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결합부(516)는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를 접수했다고 판정하면(단계(S205): Yes), 검사값 정보 결합 요구에 포함되는 결합 조건을 취득하고(단계(S206)), 결합 조건을 따라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한다(단계(S207)). 그 후, 결합부(516)는 서로 결합된 검사값 정보를 압축하고 나서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에 기억시킨다(단계(S208)).
다음으로, 검사값 정보 송신부(517)는 검사값 정보 기억부(532)가 기억하는 압축된 검사값 정보를 단말장치(1)에 송신한다(단계(S209)). 이어서,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504)를 통해 검사값 정보 송신 처리를 종료시키도록 지령하는 종료 지령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10)).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에 의해 종료 지령이 있었다고 판정되면(단계(S210): Yes), 검사값 정보 송신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514)는 종료 지령이 없다고 판정하면(단계(S210): No), 다시 단계(S201)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2)가 실행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 처리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 처리는 스토리지 서버(2)에 전원이 투입된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우선, 수신부(211)는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01)). 수신부(211)가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601): No), 후술의 단계(S605)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수신부(211)가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601): Yes),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는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정의정보를 추출한다(단계(S602)). 다음으로,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는 추출한 정의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검색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한다(단계(S603)).
이어서, 포텐셜 케이스 송신부(215)는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가 검색하여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에 송신한다(단계(S604)).
그 후, 수신부(211)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 처리를 종료시키도록 지령하는 종료 지령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05)). 수신부(211)에 의해 종료 지령이 있었다고 판정되면(단계(S605): Yes),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수신부(211)는 종료 지령이 없다고 판정하면(단계(S605): No), 다시 단계(S601)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토리지 서버(2)가 실행하는 표준화 스토리지 관리 처리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표준화 스토리지 관리 처리는 전술의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 처리와 병행되어 실행되며, 스토리지 서버(2)에 전원이 투입된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우선, 수신부(211)는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01)). 수신부(211)가 접속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301): No), 후술의 단계(S312)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수신부(211)가 접속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301): Yes), 커넥션 제어부(218)는 접속 요구의 송신원인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302)). 커넥션 제어부(218)가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단계(S303): No), 후술의 단계(S312)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커넥션 제어부(218)는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단계(S303): Yes), 전자 카르테 서버(3)와의 커넥션을 확립하고(단계(S304)),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접속 허가 통지를 송신한다(단계(S305)).
다음으로, 해석부(212)는 접속 허가 통지의 송신 후 미리 정해진 기다리는 시간 안에,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06)). 해석부(212)가 기다리는 시간 안에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306): No), 후술의 단계(S310)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해석부(212)는 기다리는 시간 안에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306): Yes), 수신부(211)가 수신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해석하여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정보 관리부(213)가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의 파일 패스를 설정한다(단계(S307)).
이어서, 정보 관리부(213)는 설정한 파일 패스에 기초하여, 전자 카르테 정보를 표준화 스토리지(231)에 기억시킨다(단계(S308)). 그 후, 정보 관리부(213)는 전자 카르테 정보의 표준화 스토리지(231)로의 기억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기억 완료 통지를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송신한다(단계(S309)).
다음으로, 수신부(211)는 전자 카르테 서버(3)로부터 송신 종료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10)). 수신부(211)가 송신 종료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310): No), 다시 단계(S306)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수신부(211)가 송신 종료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310): Yes), 커넥션 제어부(218)는 전자 카르테 서버(3)와의 커넥션을 차단한다(단계(S311)). 이어서, 수신부(211)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표준화 스토리지 관리 처리를 종료시키도록 지령하는 종료 지령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12)). 수신부(211)에 의해 종료 지령이 있었다고 판정되면(단계(S312): Yes), 표준화 스토리지 관리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수신부(211)는 종료 지령이 없다고 판정하면(단계(S312): No), 다시 단계(S301)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카르테 서버(3)가 실행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처리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처리는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전원이 투입된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우선, 취득부(311)는 단말장치(4)로부터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01)). 취득부(311)가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401): No), 후술의 단계(S410)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취득부(311)가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401): Yes), 송신부(313)는 접속 요구를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S402)). 다음으로, 패킷 생성부(312)는 접속 요구 송신 후 미리 설정된 기다리는 시간 안에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접속 허가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03)). 패킷 생성부(312)가 기다리는 시간 안에 접속 허가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단계(S303): No), 다시 단계(S402)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패킷 생성부(312)는 기다리는 시간 안에 접속 허가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403): Yes),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331)로부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단계(S404)). 이어서, 송신부(313)는 생성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S405)).
그 후, 송신부(313)는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후 미리 설정된 기다리는 시간 안에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기억 완료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06)). 송신부(313)는 기다리는 시간 동안에 기억 완료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단계(S406): No), 동일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스토리지 서버(2)에 재송신하고 나서(단계(S407)), 다시 단계(S406)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송신부(313)는 기다리는 시간 안에 기억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단계(S406): Yes), 생성한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모두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08)). 송신부(313)는 생성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 중에 미송신의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이 남아있다고 판정하면(단계(S408): No), 다시 단계(S405)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송신부(313)는 생성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패킷을 모두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했다고 판정하면(단계(S408): Yes), 송신 종료 통지를 스토리지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S409)). 다음으로, 취득부(311)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를 통해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처리를 종료시키도록 지령하는 종료 지령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10)). 취득부(311)에 의해 종료 지령이 있었다고 판정되면(단계(S410): Yes), 전자 카르테 정보 송신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취득부(311)는 종료 지령이 없다고 판정하면(단계(S410): No), 다시 단계(S401)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예를 들면 서로 벤더가 다른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 각각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에 호환성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 각각에 포함되는 검사값 정보를, 각 전자 카르테 서버(3)에서 개별적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확인하여 거기에 포함되는 검사값 정보를 읽어내는 작업이나 읽어낸 검사값 정보를 기록 매체에 보존하는 작업을 강요당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스토리지 서버(2)의 표준화 스토리지(231)가,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가,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한다. 검사값 정보 추출부(515)가,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포텐셜 케이스의 검사값 정보를 추출한다. 이로써, 스토리지 서버(2)의 표준화 스토리지(231)에 액세스하는 것만으로, 전술의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 각각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개별적으로 그들에 포함되는 검사값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검사값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의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검사값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집된 검사값 정보의 2차 이용을 촉진하기 쉬워질 가능성도 있는 등의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는 사용자가 지정한 결합 조건을 따라 복수개의 검사값 정보를 결합하는 결합부(516)를 가진다. 이로써, 사용자는, 포텐셜 케이스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스스로가 지정한 결합 조건을 따라 정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전자 카르테 정보의 관리를 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준화 스토리지(231)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각각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는 디렉토리 구조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정보관리부(213)가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면,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및 데이터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의 파일 패스를 설정한다. 이로써,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환자식별정보나 진료일을 나타내는 정보 등에 기초하여, 표준화 스토리지(231)가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의 파일 패스를 특정하기 쉬워지므로, 전자 카르테 정보의 검색 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NT1)와 네트워크(NT2)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단말장치(1)로부터 스토리지 서버(2)로의 정의정보의 주고받음 및 스토리지 서버(2)로부터 단말장치(1)로의 검사값 정보의 주고받음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스토리지 서버(2)에 축적된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의료정보를 추출할 때에 이용하는 정의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 변형예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예를 들면, 전술의 정의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의료정보를 지적(至適)표준(골드 스탠다드)으로 하는 정보원과 대조하여 추출한 의료정보의 양성 적중도(PPV: Positive Predictive Value)를 산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산출한 양성 적중도가 높은 검색 키의 조합일수록 그 타당성이 높다고 평가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른 단말장치(2001)는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와 메인 기억부(102)와 보조 기억부(103)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와 통신부(105)와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버스(106)를 구비한다. 한편, 도 15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CPU(101)는 보조 기억부(103)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의정보 생성부(111),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 판정부(113), PPV 산출부(양성 적중도 산출부)(114) 및 정의 타당성 평가부(115)로서 기능한다. 또한, 보조 기억부(103)는 정의정보 기억부(131)와 판정기준 기억부(132)와 PPV 기억부(133)를 가진다.
판정기준 기억부(132)는 검사값 정보로부터 병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현재 이용 가능한 판정기준 중 최선으로 여겨지고 있는 판정방법(골드 스탠다드)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판정기준은 예를 들면 "화학적 근거에 기초하는 당뇨병 진료 가이드 라인 2010"이나 "동맥 경화성 질환 예방 가이드 라인 2007년판" 등을 참고로 결정된다. 판정기준 기억부(132)는 예를 들면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기준값을 나타내는 판정기준값 정보를 대응하는 임상검사항목 및 병명과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한다. PPV 기억부(133)는 각 정의정보에 의해 얻어진 검사값 정보에 대응하는 PPV를 정의정보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한, 판정기준 기억부(132)는 판정대상이 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대상기간정보와, 판정대상의 환자가 진짜 환자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방법을 나타내는 판정방법정보를 추가로 기억한다.
PPV 기억부(133)는 예를 들면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PV와 정의정보 식별정보와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한다.
도 15로 되돌아가서, 판정부(113)는 판정기준 기억부(132)가 기억하는 판정기준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검사값 정보 취득부(112)에 의해 취득된 검사값 정보를 이용하여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가 양성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가 양성인 경우를 "진짜 케이스"라고 칭한다. 판정부(113)는 예를 들면 검사값 정보가 판정 대상 기간 내의 같은 날 또는 다른 날에 2회 실시된 검사에서의 검사값의 양쪽이 판정기준값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그 검사값 정보에 대응하는 포텐셜 케이스를 진짜 케이스로 판정한다.
PPV 산출부(114)는 판정부(113)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의 양성 적중도(이하, "PPV"라고 칭함.)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PPV 산출부(114)는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 전체에 대해, 판정부(113)에 의해 진짜 케이스로 판정된 환자의 인원수와 진짜 케이스로 판정되지 않은 환자의 인원수를 집계한다. 그리고 PPV 산출부(114)는 진짜 케이스로 판정된 환자의 인원수를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전체 환자의 인원수로 나눔으로써 PPV를 산출한다. PPV 산출부(114)는 산출된 PPV를 정의정보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PPV 기억부(133)에 기억시킨다.
정의 타당성 평가부(115)는 PPV 기억부(133)를 참조하여,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의 PPV에 기초해서 정의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정의 타당성 평가부(115)는 각 정의정보에 대해, PPV의 크기가 큰 정의정보일수록 타당성이 높아지도록 순위 매김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단말장치(2001)가 실행하는 PPV 평가 처리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PPV 평가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장치(2001)에 대하여 PPV 평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계기로 하여 개시된다.
우선, 판정부(113)는 판정기준 기억부(132)가 기억하는 판정기준값 정보, 대상기간정보 및 판정방법정보를 참조하여, 메인 기억부(102)가 기억하는 검사값 정보를 이용해서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가 진짜 케이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701)). 여기서, 판정부(113)는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 전체에 대해 각각 진짜 케이스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메인 기억부(102)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PPV 산출부(114)는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환자 전체에 대해, 판정부(113)에 의해 진짜 케이스로 판정된 환자의 인원수와 진짜 케이스로 판정되지 않은 환자의 인원수를 집계한다. 그리고 PPV 산출부(114)는 진짜 케이스로 판정된 환자의 인원수를 포텐셜 케이스에 대응하는 전체 환자의 인원수로 나눔으로써 PPV를 산출한다(단계(S702)). PPV 산출부(114)는 산출된 PPV를 정의정보 식별정보와 대응시켜 PPV 기억부(133)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정의 타당성 평가부(115)는 PPV 기억부(133)를 참조하여, 각 정의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한다(단계(S703)).
본 구성에 의하면, 판정부(113)가,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의 검사값 정보 추출부(515)가 추출한 검사값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가 양성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PPV 산출부(114)가 판정부(113)에 의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PPV 평가 처리를 산출한다. 게다가, 정의 타당성 평가부(115)가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PPV에 기초하여 정의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의 타당성의 평가 결과를 참조하여 적절히 정의정보의 선택이나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절한 검색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높은 확률로 양성인 환자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이용한 임상시험의 정밀도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임상정보가 의료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값 정보인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든 임상에 관련된 다른 정보(환자의 전신상태, 국소상태, 약제에 대한 감수성, 재발의 유무, 생존 상황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스토리지 서버(2)가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 및 포텐셜 케이스 송신부(215)를 가지는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5)와 같은 스토리지 서버(2) 이외의 서버가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214) 및 포텐셜 케이스 송신부(215)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의 일부가 네트워크(NT2)에 접속되고 다른 전자 카르테 서버(3)가 다른 네트워크(NT4)에 접속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가 각각 각별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혹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스토리지 서버(2)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3) 사이에서의 전자 카르테 정보의 주고받음이 USB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 스토리지 서버(2) 및 전자 카르테 서버(3)의 각종 기능은 전용 시스템에 상관없이,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에, 상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낼 수 있는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CD-ROM이나 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하여 배포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함으로써, 상술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장치(1), 스토리지 서버(2) 및 전자 카르테 서버(3)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통신 회선의 게시판(BBS)에 업로드되고, 통신 회선을 통해 컴퓨터에 전송되어도 된다. 그리고 컴퓨터는 이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OS의 제어하에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이로써, 컴퓨터는 상술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장치(1), 스토리지 서버(2) 및 전자 카르테 서버(3)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표준화 스토리지를 들고 있는데, 표준화 스토리지 이외의 것(예를 들면 확장 스토리지 등)도 포함된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보충설명에 기재한 것을 포함함. 이하 동일.)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 및 변형예가 적절히 조합된 것, 그에 적절히 변경이 가해진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2017년 2월 1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7-026368호에 기초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7-026368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가져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약제역학 연구에서 전자 카르테 정보를 2차 이용하는 경우 등에 매우 적합하다.
1, 2, 4, 2001: 단말장치 2: 스토리지 서버
3: 전자 카르테 서버 5: 검사값 정보 취득 서버
61, 62: 방화벽 장치 101, 201, 301, 501: CPU
102, 202, 302, 502: 메인 기억부 103, 203, 303, 503: 보조 기억부
104, 204, 304, 504: 사용자 인터페이스 105, 205, 305, 505: 통신부
106, 206, 306, 506: 버스 111: 정의정보 생성부
112: 검사값 정보 취득부 113: 판정부
114: PPV 산출부 115: 정의 타당성 평가부
131: 정의정보 기억부 132: 판정기준 기억부
133: PPV 기억부 204a: 조작 화면
211: 수신부 212: 해석부
213: 정보 관리부 214: 포텐셜 케이스 검색부
215: 포텐셜 케이스 송신부 218: 커넥션 제어부
231: 표준화 스토리지 311: 취득부
312: 패킷 생성부 313: 송신부
331: 전자 카르테 스토리지 514: 포텐셜 케이스 취득부
515: 검사값 정보 추출부 516: 결합부
517: 검사값 정보 송신부 532: 검사값 정보 기억부
NT1, NT2, NT4: 네트워크 NT3: 광역 네트워크

Claims (7)

  1.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症例)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정의정보 생성부와,
    상기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와,
    상기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임상정보 추출부를 구비하는,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결합 조건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임상정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각각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는 디렉토리 구조로 관리하고,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면,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의 파일 패스를 설정하는 정보 관리부를 추가로 가지는,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임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가 양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양성 적중도를 산출하는 양성 적중도 산출부와,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양성 적중도에 기초하여 정의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타당성 평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5.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가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症例)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취득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임상정보 추출부를 구비하는, 임상정보 취득 서버.
  6.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를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症例)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
  7. 컴퓨터를,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서버 각각이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를 동일한 형식으로 기억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스토리지,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특정 증례(症例)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조합을 정의하는 정의정보를 생성하는 정의정보 생성부,
    상기 정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 카르테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증례에 관한 전자 카르테 정보를 취득하는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
    상기 전자 카르테 정보 검색부가 취득한 전자 카르테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증례에 대응하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추출하는 임상정보 추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97024614A 2017-02-15 2018-02-15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Withdrawn KR20190107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6368 2017-02-15
JPJP-P-2017-026368 2017-02-15
PCT/JP2018/005149 WO2018151181A1 (ja) 2017-02-15 2018-02-15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臨床情報取得サーバ、医療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714A true KR20190107714A (ko) 2019-09-20

Family

ID=6317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14A Withdrawn KR20190107714A (ko) 2017-02-15 2018-02-15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76043A4 (ko)
JP (1) JP6833878B2 (ko)
KR (1) KR20190107714A (ko)
CN (1) CN110313035A (ko)
WO (1) WO2018151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1325A1 (en) * 2018-09-05 2020-03-12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l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mobile platform for patient engagement and treatment compliance
JP2020166431A (ja) * 2019-03-28 2020-10-08 富士通株式会社 検索結果表示プログラム、検索結果表示方法および検索結果表示システム
CN112541064B (zh) * 2020-12-09 2024-07-02 联仁健康医疗大数据科技股份有限公司 健康评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6761A (ja) 2007-04-06 2008-11-13 Sbs Joho System:Kk データ収集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98328C2 (ru) * 2010-09-30 2016-09-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истема уточне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запросов
JP6117483B2 (ja) * 2012-06-18 2017-04-19 マクロコム株式会社 医用データ変換送信装置及び医用データ変換送信方法
JP6023520B2 (ja) * 2012-09-06 2016-11-09 メビックス株式会社 電子カルテ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電子カルテスクリーニング装置、電子カルテ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電子カルテスクリーニングプログラム
CN103049556B (zh) * 2012-12-28 2016-11-09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海量医疗数据的快速统计查询方法
JP6626649B2 (ja) 2015-07-17 2019-12-2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微粒子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6761A (ja) 2007-04-06 2008-11-13 Sbs Joho System:Kk データ収集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6043A4 (en) 2020-07-15
JPWO2018151181A1 (ja) 2020-01-09
CN110313035A (zh) 2019-10-08
WO2018151181A1 (ja) 2018-08-23
JP6833878B2 (ja) 2021-02-24
EP3576043A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2821A1 (en) Medical information navigation engine (mine) system
KR101270514B1 (ko) 의료정보 교류 시스템
US10636515B2 (en) Medical or health information search support apparatus and medical or health information search support system
US20090006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ata from data sources and using data collection tools
JP2005110944A (ja) 診療支援装置、診療支援方法及び診療支援プログラム
CN106778002A (zh) 一种医疗信息查询方法、设备和系统
JP2013200752A (ja) 医療機器の情報開示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107714A (ko)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 임상정보 취득 서버, 의료정보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JP2016091298A (ja) 問診票作成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問診票作成方法、問診票作成プログラム、及び、問診票管理サーバ
JP2010039900A (ja) 診断依頼支援装置、医師検索装置、診断依頼方法および画像診断管理方法
JP2010026899A (ja) 医療情報システム
JP2002169898A (ja) 情報記憶カード、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センタにおけ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医療情報処理方法、及び医療情報保管処理方法
JP6985721B2 (ja) 病理診断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82584B1 (ko)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67042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
CN112102965A (zh) 一种基于临床辅助和区域协同的医疗信息管理系统
KR20130094484A (ko)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318645B2 (ja) 患者情報表示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患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KR20160115169A (ko) 의료 정보 등록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0267041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5799155B1 (ja) 処方箋データ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60174B1 (ko) 영상검사자료 통합검색기능이 구비된 병원진료검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97213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linical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JP7354560B2 (ja) 通知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20230117932A (ko) 전자의무 기록장치와 연계된 모바일 문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0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