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122A -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6122A KR20190106122A KR1020180027128A KR20180027128A KR20190106122A KR 20190106122 A KR20190106122 A KR 20190106122A KR 1020180027128 A KR1020180027128 A KR 1020180027128A KR 20180027128 A KR20180027128 A KR 20180027128A KR 20190106122 A KR20190106122 A KR 201901061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support
- portable terminal
- hook
- hook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A'형태가 되어 걸이부 전방 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게 되어 사용상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it is made of a folding type structure of '工' shape can be adjusted to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s,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finger is in contact In addition to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one-touch operation makes the terminal 'A' shap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erminal and is configured for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st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o that more comfortable video viewing or web surfing i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tha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hook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A'형태가 되어 걸이부 전방 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게 되어 사용상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it is made of a folding type structure of '工' shape can be adjusted to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s,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finger is in contact In addition to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one-touch operation makes the terminal 'A' shap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erminal and is configured for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st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o that more comfortable video viewing or web surfing is possible.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ecome widespread and have become essential portable products for both young and old.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전체적인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고 두께는 얇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동영상이나 음악감상, 촬영, 인터넷검색, 일정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도가 점점 많아지면서 대중교통 이용시는 물론 보행중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As the display becomes larger, the overall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becomes larger and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or music listening, shooting, internet search, schedule management, etc. As the number of applications increases, there is a tendency to use portable terminal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or walking.
하지만,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얇아진 휴대 단말기의 경우 한 손으로의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므로 사용 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large size and a thin thickness, it is not only difficult to operate with one hand but also slips easily in a hand, so that the mobile terminal is frequently dropped during us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 또는 그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 또는 고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홀더장치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그립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문자입력, 사진촬영 등의 조작이 불편하고 방향전환이 제한적이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older device having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ring or ring shap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case is used, such holder devices are impossible to adjust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or h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ip feeling is lowered when worn, so the operation of text input, taking pictures, etc. is inconvenient and the change of direction is limited, thereby reducing the portability and operabili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050호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정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걸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07050 discloses a portable terminal case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ts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es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thereof. It includes a support plate, a rod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engaging plat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로드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판은 손바닥에 접하고 걸림판은 손등에 접하게 되어 거치동작이 간편하면서도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서는 로드부가 손가락 사이 깊숙한 위치까지 삽입되어야 하고 지지판이 손바닥에 접하게 되어 거치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기 조작, 즉 한 손으로의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hand and the engaging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rod is inserted between the user's finger is configured to reliably mount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mounting operation is easy. However, for stable mounting, the rod portion must be inserted deep between the fingers, and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han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의 조작은 엄지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지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로드부가 검지와 중지 또는 중지와 약지 사이의 바깥쪽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지지판이 손바닥에 접하고 걸림판이 손등에 접한 상태에서만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거치가 불안정해지고, 안정적인 거치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manipulation in the state of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through the thumb, and in order to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thumb, the rod part should be located outside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or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hand and the locking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the stable mounting is 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ecomes inconvenient.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일정 각도로 세워두기 위한 거치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cradle is formed separately to stand the portable terminal at a certain angle on the fl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press the user's finger portion using the seesaw structure when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to be operated in a stable gripping stat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be held at the tip of the finger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while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operability in the gripp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extended in range.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worn by automatically releasing the folded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by a one-touch opera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is automatically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further manipula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enables a function and a function change as a holder to be quick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걸이부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rther object to provide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to increase the size of the hook portion to improve the stability when using the holder or holde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hook portion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서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selectively receive the connection portion, the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 전방에는 손가락의 단부가 지지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s supported the end of the finger.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지지부와 걸이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 및 걸이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and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ing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제1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된 탄성편이 구비되고,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탄성편의 고정돌부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member,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having a fix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for locking the fixing projections of the elastic piec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재에는 연결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1토션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ota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orsion spring for applying a force to rotate the connecting portion in a stan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art.
또한, 상기 연결부재가 펼쳐지면 상기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member is unfolded,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상기 제2회동부재에는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pivot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torsion spring for applying a forc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rotate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전방 단부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며, 하면에는 지지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ing member is formed to support the connecting portion selectively protrud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front e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fixing piec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upport member, the engag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부 측에 위치한 단부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턱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jaw supported by the support projection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그리고, 상기 걸이부는 안쪽 중앙부에 지지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이 형성된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의 상면에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member is formed with a support member receiving groove for allowing the support portion to be receiv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and a case coup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member.
또한, 상기 걸이부에는 걸이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is provided to secure and release the hook portion to the support.
그리고, 상기 버튼은 일측에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걸이부재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부의 단부에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ok member of the hook portion is provid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th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jaw, the support member of the support portion The second locking jaw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jaw is formed.
아울러, 상기 버튼은 일측이 상기 걸이부재에 구비되는 제3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third torsion spring provided in the hook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한 손 만으로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to fit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and by using the seesaw structure to enable the user to press the back of the user's hand by using a hand holding a stable grip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operate the mobile terminal in the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be hung on the tip of the finger,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and thus the operability in the state of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ly. It furth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and extending the operable r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d state of the connection member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one-touch operation, thereby making it easy to wear, and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is automatically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perated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It further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quickly switch between the function as a function and a function as a hol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부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ok portion to improve the stability when using the holder or hol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1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도 1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a) 내지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지지부 및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의 (a) 내지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사용상태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
Figure 5 (a) to (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to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to 1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1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a) 및 (b)는 도 1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a) 내지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지지부 및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연결부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사용상태에 따른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a) and (b) of Figure 1 A-A '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and FIGS.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to (c)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connection, Figures 8 to 1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lder holder.
본 발명은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A'형태가 되어 걸이부 전방 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게 되어 사용상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100)(이하, '거치대 겸용 홀더(10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10), 연결부(120) 및 걸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made of a folding structure of '工' type,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ng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as well as one-touch operation By the 'A'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ront end of the hook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it is configured as a use state, and the terminal can b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certain angle to make the video more comfortable. It relates to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lder holder holder 100) for allowing viewing or web surfing,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largely supported as shown in Figs. It comprises 110, the connect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가 휴대 단말기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재(112)와 상기 지지부재(112)에 결합되는 하우징(114)과, 접착수단(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즉, 상기 지지부재(112)는 후술할 연결부(120) 및 걸이부(130)가 휴대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14)은 상기 지지부재(112)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접착수단(116)은 하우징(114)의 하면, 즉 하우징(114)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접착제 또는 통상의 양면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means 11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지지부(110)는 0.5 ~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립감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홀더의 경우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110)에 대응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얇은 두께, 즉 낮은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 걸리는 부분이 없게 되어 손가락의 바닥면 또는 손바닥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서만 휴대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10)의 두께를 0.5 ~ 1.5cm정도로 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 끝이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a holder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부(110)의 외측면에 손가락 끝이 걸리게 되면 보다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므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기가 훨씬 안정적이고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닿을 수 있는 범위가 보다 넓어지게 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ngertip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두께가 0.5cm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효과, 즉 휴대 단말기의 안정적인 파지와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지지부(110)의 두께가 1.5cm를 초과하게 되면 전체적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hickness of the
한편, 상기 지지부재(112)의 상면에는 수용홈(11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홈(112a)은 지지부재(112)의 상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가 접혀지는 경우 수용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수용홈(112a)의 후단에는 차단턱(112c)이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차단턱(112c)에 지지되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12a) is formed with a blocking jaw (112c) is supported by the blocking jaw (112c) in a state in which the
다음, 상기 연결부(120)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를 연결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결부(120)의 일측 단부는 지지부(110)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걸이부(130)에 연결 설치된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연결부재(122)와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연결부재(122)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는 연결부재(122)의 양측 단부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110)와 걸이부(13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120) 및 걸이부(130)가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를 각각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즉, 상기 연결부재(122)는 제1회동부재(124)와 제2회동부재(126)의 중심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파지시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부재(122)의 양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회동부재(124,126)를 관통홀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1회동부재(124)는 지지부(110)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12)의 일측 단부에 수용홈(112a)을 가로지도록 하여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122)의 일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1회동부재(124)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수용홈(112a)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수용홈(112a)의 외측, 즉 지지부(110)에 대하여 기립하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2회동부재(126)는 연결부재(122)의 타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걸이부(130)의 하면, 즉 안쪽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130)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2회동부재(126)는 제1회동부재(124)와 대응되도록 하여 그 양측 단부가 걸이부(13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걸이부(130)가 제2회동부재(126)를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걸이부(130)가 시소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the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상기 걸이부(130)는 사용 도중 제2회동부재(126)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122)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두께차이에 의해 하측은 휴대 단말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측은 휴대 단말기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게 되어 "A" 형상이 되며, 연결부재(122)의 상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하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조작 중에도 편안하면서도 견고한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112)는 수용홈(112a)이 형성된 상부면에 안착홈(112b)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12b)에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지 상태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지지부재(112)와 걸이부(130)간에 거리가 차이나게 되어 자연적으로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이부(130) 상부에 비해 걸이부(130) 하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되어 시소형상으로 상부측에 위치한 손가락을 보다 가압하게 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10)에는 상기 연결부(1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118)가 구비되어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6 and 7, the
즉,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야 하는데, 사용자에 따라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사용시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도조절부재(118)에 의해 연결부(120)의 회동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적합한 간격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각도로 회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order to grip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must insert a finge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재(118)는 하면에 상기 지지부재(112)에 형성되는 결합공(113a)에 결합되는 고정편(118a)이 형성되고, 지지부재(112)에 형성되는 걸림홈(113b)에 결합되는 걸림부(118b)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결합공(113a) 및 걸림홈(113b)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절부재(118)가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홈(113b)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각도조절부재(118)의 걸림부(118b)가 각 단 사이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118)의 전방 단부에는 지지돌기(118c)가 돌출 형성되어 각도조절부재(118)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120)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며 연결부(1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a
이때,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의 지지부(110) 측에 위치한 단부에는 상기 지지돌기(118c)에 대응되는 지지턱(122c)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118)의 이동에 따라 각도조절부재(118)의 지지돌기(118c)가 연결부재(122)의 지지턱(122c) 중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부재(122)의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에 적합되도록 상기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다음, 상기 걸이부(130)는 연결부(120)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외측면을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파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는 경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이때, 상기 걸이부(13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홀더에 비해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사용하다가 바닥면에 놓는 경우 바로 거치상태로 전환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시에도 걸이부(130)가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대 단말기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통화 도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130)는 안쪽, 즉 지지부(110)와 마주하는 부분에 연결부(120)의 제2회동부재(126)가 힌지 결합되고, 연결부재(122)가 접힌 상태에서 지지부(110)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133)이 형성되는 걸이부재(132)와, 상기 걸이부재(132)의 상면에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134)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즉,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는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는데, 이 경우 지지부(110) 및 걸이부(130)의 두께로 인해 거치대 겸용 홀더(100)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지지부재(112)가 걸이부(13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 수용홈(133)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에서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 use, the holder holder according to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부재(126)에는 제2토션스프링(126a)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토션스프링(126a)은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holder according to the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로 삽입시켜야 하는데,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가 겹쳐져 있어 휴대 단말기의 파지가 불가하므로 제2토션스프링(126a)에 의해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걸이부(130)가 회전하게 되고,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면 그 지지력에 의해 걸이부(130)의 후방 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제1회동부재(124)를 중심으로 연결부재(122)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in order for the user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a finger needs to be inserted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가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 사용되는 경우, 연결부재(122)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부재(112)와 걸이부(1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2토션스프링(126a)에 의해 걸이부(130)에 상기와 같은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걸이부(130)의 전방 안쪽면이 사용자의 손가락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2토션스프링(126a)은 접혀진 상태의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는 경우, 걸이부(130)가 지지부(110)로부터 이격될 때, 제2토션스프링(126a)의 회전력에 의해 걸이부(130)가 회전하며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이때, 상기 걸이부(13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버튼(136)이 구비되는데, 상기 버튼(136)은 걸이부(130)를 지지부(110)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지지부(110)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면 연결부재(122)가 지지부(110)에 대하여 기립하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토션스프링(126a)에 의한 토션이 걸이부(130)에 작용하는 경우, 연결부(120)의 연결부재(122)는 수용홈(112a) 내측에 수용된 상태, 즉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버튼(136)에 의해 지지부(110)와 걸이부(130)가 서로 고정되거나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제2토션스프링(126a)에 의한 토션에 의해 연결부(12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rsion by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튼(136)은 일측에 걸림돌부(138)가 형성되어 걸이부(130)의 걸이부재(132)에 형성된 결합공(132a)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부(138)의 단부에는 제1걸림턱(138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0)의 지지부재(112)에는 상기 걸림돌부(138)가 삽입되는 결합홈(111)이 형성되고, 결합홈(111)에는 상기 제1걸림턱(138a)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111a)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그래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제1걸림턱(138a) 및 제2걸림턱(111a)이 서로 결합되어 걸이부(130)와 지지부(11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136)을 가압하면 제1걸림턱(138a)과 제2걸림턱(111a)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며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as shown in (a) of FIG. 3, the first catching
여기서,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36)은 상기 걸이부재(132)에 구비되는 제3토션스프링(139)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제1걸림턱(138a)과 제2걸림턱(111a)의 결합이 임의 해제 되지 않고, 외력에 의한 버튼(136)의 가압에 의해서만 해제되도록 하여 지지부(110)와 걸이부(13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Here, as shown in (a) and (b) of FIG. 4,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동부재(124)에 설치되는 제1토션스프링(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토션스프링(140)은 접혀진 상태, 즉,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2)의 수용홈(112a) 내측에 수용된 상태의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지지부(110)에 대하여 기립하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즉, 제2토션스프링(126a)에 의해 걸이부(130)가 지지부(11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1토션스프링(140)에 의해 연결부재(122)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걸이부(130)와 지지부(110)간의 간격을 더욱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 사용하는 경우, 도 3의 (a) 및 (b) 와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접착수단(116)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어 버튼(136)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고정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수용홈(112a) 내측에 접혀지고, 지지부(110)는 걸이부(130)의 지지부 수용홈(133)에 수용되도록 접혀진 채로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이부(130)의 버튼(136)을 가압하면, 버튼(130)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130)의 고정 상태, 즉 버튼(136)의 제1걸림턱(138a)이 지지부재(112)의 제2걸림턱(111a)에 걸림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고, 제1회동부재(124)에 결합된 제1토션스프링(140)의 토션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지면서 지지부(110)와 걸이부(130)의 사이가 이격된다.First, in the case of using the holder holder according to the
즉, 사용자가 버튼(136)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버튼(136)에 의한 지지부(110)와 걸이부(1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서 연결부재(122)가 펼쳐지면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된다.That is, only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이때, 상기 제2회동부재(126)에 결합된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하여 휴대 단말기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어 "A" 형상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by the torsion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는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바닥이 지지부(110)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22)가 검지와 중지 사이 또는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삽입한다.In this state, the user inserts a finger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에 따라 편안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에 차이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각도조절부재(118)에 의해 연결부재(122)의 회동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즉,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118)를 전후 이동시켜 연결부재(122)의 지지턱(122c) 중 하나에 지지되도록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a) to (c) of Figure 7, by moving the
상기와 같은 파지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10)가 0.5 ~ 1.5cm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지지부(110)의 외측면, 즉 안착홈(112b)에 걸리면서 힘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조작 가능 범위도 넓어지게 된다.In the gripping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uses the mobi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경우 제2회동부재(126)에 의해 시소 구조를 이루는 걸이부(130)가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조작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operated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held, the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부재(126)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걸이부(130)는 제2회동부재(126)를 중심으로 하여 한 쪽이 벌려지는 경우 다른 한 쪽은 좁혀지면서 사용자의 손가락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파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이부(130)를 회전시켜 연결부재(122)가 지지부(110)에 형성된 수용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고, 지지부(110)는 걸이부(130)의 지지부 수용홈(133)에 수용되도록 하는데, 이 경우 버튼(136)의 제1걸림턱(138a)이 지지부재(112)의 제2걸림턱(111)에 걸림 고정되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2)가 수용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지지부(110)는 걸이부(130)의 지지부 수용홈(13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미사용 상태에서의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Next, when not using the holder holder according to the
한편,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22)를 펼치는 작업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when using the holder holder according to the
즉,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지 않은 미사용 상태의 휴대 단말기를 바로 바닥면에 거치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연결부재(122)를 펼치기 위해 사용자가 버튼(136)을 가압하면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연결부재(122)가 자동으로 펼쳐지면서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므로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of the unused state, which is not held by the user, is direct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user presses the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도중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사용자의 손가락을 빼기만 하면, 마찬가지로 제2토션스프링(126a)의 토션에 의해 걸이부(130)가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추가적인 조작 없이 바로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floor while the user i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원 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130)가 종래 실시예들에 비해 충분히 크므로 휴대 단말기를 방향에 상관없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floor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한편,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 또는 바닥면에 거치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부(130)를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대 단말기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통화 도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is to be held in the state of holding the mobile terminal or mount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ure 11, the user can utilize the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를 승용차 등의 차량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전면에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포켓부(172)가 형성되고 후면에 차량의 송풍구 등에 삽입 결합되는 집게부(174)가 형성된 차량용 거치대(170)의 포켓부(172) 내측으로 걸이부(130)를 삽입 결합시키는 과정만으로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2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such as a
이때, 상기 포켓부(172)의 상부 중심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의 연결부(120)가 삽입되는 삽입홈(172a)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30)를 포켓부(172)의 내측 깊숙한 곳까지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n
한편,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22')의 경우 제1회동부재(124)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122a)와 제2회동부재(126)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122b)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122a,122b)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 in the case of the
즉, 연결부재(122')를 제1연결부재(122a)와 제2연결부재(122b)로 분리 구성하고, 제1연결부재(122a)에는 고정돌부(123a)가 돌출 형성된 탄성편(123)이 구비되고, 제2연결부재(122b)에는 상기 탄성편(123)의 고정돌부(123a)가 걸림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홈(125)이 형성되어 제2연결부재(122b)에 제1연결부재(122a)가 삽입되고 탄성편(123)의 고정돌부(123a)가 고정홈(125) 중 하나의 고정홈(125)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사용시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지지부(110)와 걸이부(130) 사이의 거리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한 손 만으로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110)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가능 범위를 확장킬 수 있으며,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122)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130)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걸이부(130)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통화시 걸이부(130)를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A'형태가 되어 걸이부 전방 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게 되어 사용상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it is made of a folding type structure of '工' shape can be adjusted to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s,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finger is in contact In addition to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one-touch operation makes the terminal 'A' shap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erminal and is configured for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stan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o that more comfortable video viewing or web surfing is possible.
100 : 거치대 겸용 홀더
110 : 지지부
112 : 지지부재
112a : 수용홈
112b: 안착홈
114: 하우징
116 : 접착수단
120 : 연결부
122 : 연결부재
122a : 제1연결부재
122b : 제2연결부재
124 : 제1회동부재
126 : 제2회동부재
126a : 제2토션스프링
130 : 걸이부
132: 걸이부재
133 : 지지부 수용홈
134: 케이스
136: 버튼
138: 걸림돌부
138a: 제1걸림턱
139: 제3토션스프링
140 : 제1토션스프링
170 : 차량용 거치대
172 : 포켓부
172a : 삽입홈
174 : 집게부100: holder for both holder 110: support
112:
112b: seating groove 114: housing
116: bonding means 120: connecting portion
122: connecting
122b: second connecting member 124: first rotating member
126: second rotating
130: hook portion 132: hook member
133: support receiving groove 134: case
136: button 138: obstruction
138a: first catching jaw 139: third torsion spring
140: the first torsion spring 170: vehicle holder
172:
174: tongs
Claims (15)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 support fix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nnect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Combined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rotatably.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연결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서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support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selectively receive the connection portion, the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 전방에는 손가락의 단부가 지지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der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finger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연결부는 지지부와 걸이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 및 걸이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회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par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and first and second pivot memb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ing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respectively. A holder for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연결부재는 제1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회동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된 탄성편이 구비되고,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탄성편의 고정돌부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member,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having a fixing protrus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to secure the fixing projections of the elastic piece.
상기 제1회동부재에는 연결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1토션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rotating member is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rsion spring is applied to apply a force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standing relative to the support.
상기 연결부재가 펼쳐지면 상기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unfolded,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2회동부재에는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2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pivot member is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orsion spring for applying a force to rotate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member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전방 단부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며,
하면에는 지지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9,
The angle adjusting member protrudes to form a support protrusion at the front end to selectively support the connecting portion,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fixing piece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upport member, the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부 측에 위치한 단부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턱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0,
At the end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jaw supported by the support projection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상기 걸이부는 안쪽 중앙부에 지지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이 형성된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의 상면에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unit is a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member is formed with a support member receiving groove for allowing the support portion to be receiv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the case is coupled to cov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member.
상기 걸이부에는 걸이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part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is provided to secure and release the hook portion to the support.
상기 버튼은 일측에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의 걸이부재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부의 단부에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대응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3,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ok member of the hook portion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 first catching ja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The support member holder of the portab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ocking jaw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버튼은 일측이 상기 걸이부재에 구비되는 제3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4,
The button holde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third torsion spring provided on the hook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7128A KR20190106122A (en) | 2018-03-07 | 2018-03-07 |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
CN201880001481.4A CN109716741A (en) | 2017-08-18 | 2018-08-17 | Bracket-retainer for portable terminal |
EP18768748.8A EP3471382B1 (en) | 2017-08-18 | 2018-08-17 |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JP2018550768A JP6695444B2 (en) | 2017-08-18 | 2018-08-17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PCT/KR2018/009433 WO2019035676A1 (en) | 2017-08-18 | 2018-08-17 |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US16/135,440 US20190058782A1 (en) | 2017-08-18 | 2018-09-19 |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US16/593,167 US10806043B2 (en) | 2017-08-18 | 2019-10-04 |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7128A KR20190106122A (en) | 2018-03-07 | 2018-03-07 |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6122A true KR20190106122A (en) | 2019-09-18 |
Family
ID=6807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7128A Abandoned KR20190106122A (en) | 2017-08-18 | 2018-03-07 |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0612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98343A (en) * | 2022-01-25 | 2022-06-07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 Mobile operation terminal based on Beidou satellite communic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7050A (en) | 2012-07-06 | 2014-01-16 | 박요섭 | Case for portable device |
-
2018
- 2018-03-07 KR KR1020180027128A patent/KR20190106122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7050A (en) | 2012-07-06 | 2014-01-16 | 박요섭 | Case for portable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98343A (en) * | 2022-01-25 | 2022-06-07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 Mobile operation terminal based on Beidou satellite communication |
CN114598343B (en) * | 2022-01-25 | 2023-05-19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 Mobile operation terminal based on Beidou satellite commun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3569B1 (en) | Stabilising device | |
JP6695444B2 (en)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CN102084315B (en) |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 |
US8382059B2 (en) |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 |
JP2010268237A (en) |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device | |
JP2021510208A (en) | Selfie stick that doubles as a stand | |
KR101847406B1 (en) |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80011601A (en) | Holder for display device | |
KR20190106122A (en) | Holder with 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 |
JPWO2020075772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se | |
EP3813346A1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case | |
JP4705136B2 (en) | Mobile phone with headphone function | |
GB2479605A (en) |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90058782A1 (en) |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822255B1 (en) | Cosmetic containers | |
KR20210125853A (en) | 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 |
KR20200081198A (en) |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102027709B1 (en) |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654704B1 (en) | 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484140Y1 (en) | Portable device holder | |
JP4373148B2 (en) | Mobile phone with headphone function | |
CN212305408U (en) | Folding support | |
JP2002344600A (en) | Cellular phone | |
CN210890927U (en) | Multifunctional support | |
KR102199563B1 (en) |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