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3842A -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 Google Patents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842A
KR20190103842A KR1020180024765A KR20180024765A KR20190103842A KR 20190103842 A KR20190103842 A KR 20190103842A KR 1020180024765 A KR1020180024765 A KR 1020180024765A KR 20180024765 A KR20180024765 A KR 20180024765A KR 20190103842 A KR20190103842 A KR 20190103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ous
push rod
rod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휘
안남옥
Original Assignee
안남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남옥 filed Critical 안남옥
Priority to KR102018002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842A/ko
Publication of KR2019010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84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28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co-operating with fixe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다공마대의 입구를 기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APPARATUS FOR OPENING BAG AND PACKAG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 접합되어 있는 다공마대의 선단을 벌려 개방하기 위한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산품은 유통과정에서 보다 간편한 이송이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포대에 담아 이동하게 된다.
포대(Bag)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마대, 자루 또는 봉투로도 불리고 있다. 포대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포대에 넣고 입구를 막아 내용물을 포장하게 된다.
포대 중 다공마대는 예를 들어, PP 재질의 밴드를 가로 세로로 엮어 만든 직물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에, 다공마대는 매우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표면이 균일하게 매끄럽지 못하고 수많은 틈새가 존재하는 다공성의 재질 특성을 갖는다.
다공마대는 직물이므로 연속적인 제조 과정에서 입구 쪽 단부에 열을 가해 절단하게 된다. 열을 가하지 않는 경우 절단된 선단의 밴드가 풀어져 보푸라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다공마대의 입구 쪽 선단은 양면이 열에 의해 접합된 상태가 된다.
통상 표면이 치밀한 포대의 경우 입구를 벌리기 위해 흡착 빨판을 이용하나, 다공마대의 경우 그 특성상 표면에 흡착력을 가하기 어려워 종래의 구조를 통해서는 입구를 개방하기 어려웠다. 이에, 다공마대를 이용한 포장 작업에 있어 자동화를 실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일일이 서로 붙어 있는 입구의 양면을 분리하여 입구를 벌리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공마대의 입구를 기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된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를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개방장치는,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과 하판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대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벌림부는 상기 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벌림부는 상기 작업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의 구동에 따라 상밀착판에 의해 밀려나 위로 볼록하게 솟은 상판의 주름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상기 밀대을 지지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밀착판을 다공마대 상판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 및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더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밀대 선단의 상밀착판과 수직실린더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분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켜 상기 밀대를 상기 작업대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작업대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경사진 각도는 작업대 수평면에 대해 1ㅀ내지 4ㅀ일 수 있다.
상기 전후진부의 구동실린더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실린더는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포장설비는 다공마대를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장치, 상기 개방장치에서 개방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벌려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공마대의 벌어진 입구로 내용물을 넣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표면에 다공의 홀이 형성되어 흡인력을 가하기 어려운 다공마대의 접합된 입구를 기계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다공마대 입구 개방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공마대 입구 개방을 포함하여 내용물을 포장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포장 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공마대 개방장치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는 표면이 다공성 재질로 된 다공마대의 입구 개방을 위한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공마대 외에 표면을 흡착하거나 잡기 어려운 다양한 재질의 포대에 대해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설비는 다공마대(도 2의 10 참조)를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100),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공마대(10)의 입구(도 2의 16 참조)를 개방하는 개방장치(200), 개방장치에서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벌려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 및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공마대(10)의 벌어진 입구로 내용물을 넣는 충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공마대(10)를 공급하여 입구가 막혀 있는 다공마대(10)의 입구를 개방하고,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넣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해서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공급부(100)는 예를 들어, 적층되어 있는 다공마대(10)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는 흡착기를 이용하여 다공마대(10)를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부 상부에는 흡착기가 이동하는 이송레일이 공급부와 개방장치 사이로 연장된다. 이에, 흡착기는 다공마대(10)를 흡착하여 이송레일을 따라 개방장치로 이송할 수 있다. 공급부는 상기한 진공 흡착기를 이용한 이송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개방장치(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이송된 다공마대(10)의 접합된 입구의 양면을 개방시킨다. 다공마대(10)는 PP 재질의 밴드를 가로 세로로 엮어 제조한 직조물로 만들어진다. 이에, 다공마대(10)는 표면에 수많은 틈새가 존재하며, 단부의 보푸라기 발생 방지를 위해 입구를 이루는 선단은 절단 과정에서 양면이 열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개방장치(200)는 접합되어 있는 다공마대(10)의 입구의 양면을 기계적으로 벌려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별도의 조치 없이 후 공정에서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게 된다. 다공마대(10) 입구 개방을 위한 개방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설비는 개방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다공마대(10)를 사용하더라도 다공마대(10) 공급에서부터 내용물을 장입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다공마대(10)의 접합된 입구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개방해야 하므로, 일련의 공정을 연속해서 자동화하여 처리하기 어려웠다.
이송부(300)는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벌려 후 공정으로 이송한다. 예를 들어, 이송부는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입구를 잡는 클램핑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는 클램핑 암으로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를 잡아 벌린 상태로 다공마대(10)를 후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는 클램핑 암을 이용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송부(300)에 의해 다공마대(10)는 충전부로 이송된다. 충전부(400)에서는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담는다. 충전부는 예를 들어, 내용물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이송컨베이어 출측에 배치된 다공마대(10)로 내용물을 낙하하여 담을 수 있다. 다공마대(10)는 입구가 개방되어 벌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조치없이 바로 내용물을 다공마대(10)에 담아 포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 설비는 개방장치(20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입구 개방이 어려운 다공마대에 대해서도 내용물 포장의 전 과정을 기계적으로 연속해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개방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방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방장치(200)는 작업대(210)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10)의 입구(16) 쪽 하판(14)과 접하는 하밀착판(220), 다공마대(10)의 입구(16) 쪽 상판(1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240), 밀대(240)에 설치되어 다공마대(10)의 상판(12)에 밀착되는 상밀착판(230), 및 밀대(240)를 이동시켜 하밀착판(220)에 밀착된 다공마대(10)의 하판(14)에 대해 상밀착판(230)에 밀착된 상판(12)을 밀어 상판(12)과 하판(14)의 접합된 입구(16)를 분리하는 분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개방장치(200)는 분리부(250)에 의해 분리된 입구쪽 다공마대(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하, 하방향이라 함은 도 1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아래쪽을 의미하며, 상, 상방향이라 함은 그 반대쪽인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공마대(10)의 마주하는 양면 중 작업대(210) 상에 놓여져 위쪽에 위치한 면을 상판(12)이라 하고, 아래쪽에 위치한 면을 하판(14)이라 한다.
이에, 입구쪽 선단 양면 중 상판(12)은 상밀착판(230)에 밀착되고 하판(14)은 하밀착판(220)에 밀착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접합되어 있던 입구(16)의 양면이 벌어져 개방된다.
하밀착판(220)은 작업대(2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하밀착판(220) 위로 다공마대(10)가 놓여져 하밀착판(220)은 다공마대(10)의 하판(14)에 밀착된다. 하밀착판(220)은 고무 등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밀착판(220)은 다공마대(10)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밀착판(22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대(240)에는 상밀착판(230)이 설치된다. 상밀착판(230)은 다공마대(10)의 상판(12)에 밀착된다. 상밀착판(230)은 고무 등의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밀착판(230)은 상대적으로 다공마대(10)의 마찰력보다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상밀착판(23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밀착판(230)과 하밀착판(220)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다공마대(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에는 다공마대(10) 간에 마찰력이 가해지며, 상판(12)과 상밀착판(230) 사이 및 하판(14)과 하밀착판(220) 사이에는 실리콘에 의한 마찰력이 가해지게 된다. 실리콘에 의한 마찰력은 다공마대(10)간의 마찰력보다 높으므로, 밀대(240)를 이동시키게 되면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공마대(10)의 상판(12)과 하판(14) 사이가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판(12)과 하판(14) 사이가 미끄러지면서 상밀착판(230)에 밀착된 상판(12)이 하밀착판(220)에 밀착되어 있는 하판(14)에 대해 이격되면서 접합되어 있던 상판(12)과 하판(14) 사이 입구가 분리된다.
하밀착판(220)은 다공마대(10) 하판(14)과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으로 평판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밀착판(220)의 크기는 다공마대(1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한 구조 외에 하밀착판(220)은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대(240)는 길게 연장된 바 구조물로, 선단에는 상밀착판(230)이 설치된다. 밀대(240)는 상밀착판(230)을 다공마대(10) 상판(12)에 가압 밀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대(24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밀착판(220)은 밀대(240) 선단에 감싸여져 설치되거나 밀대(240)의 하단에 접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24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두 밀대(240) 사이 간격은 다공마대(10)의 크기나 설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분리부(250)는 밀대(240)를 이동시켜 상밀착판(230)에 밀착된 상판(12)을 밀어 하판(14)과 접합된 입구(16)를 분리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250)는 밀대(2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251), 밀대(240)을 지지하며 레일(25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252), 및 이동블럭(252)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210)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253) 상에 레일(251)이 하밀착판(220)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다. 레일(251) 상에 이동블럭(252)이 놓여져 레일(251)을 따라 이동된다. 이동블럭(252)에는 두 개의 밀대(240)가 하밀착판(22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전후진부의 구동에 따라 이동블럭(252)이 레일(251)을 따라 이동되어 밀대(240) 선단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하밀착판(220) 상에서 왕복 이동된다. 전후진부는 예를 들어,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구동실린더(2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실린더(254)는 이동블럭(252)의 후단과 브라켓(253) 후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51)은 작업대(210)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R)를 두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251)의 경사진 각도(R)는 작업대(210) 수평면에 대해 1ㅀ내지 4ㅀ일 수 있다.
레일(251)이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레일(25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252)과 이동블럭(252)에 설치된 밀대(240)는 작업대(210)에 수평설치된 하밀착판(220)에 대해 경사지게 진행하게 된다. 이에, 밀대(240)가 다공마대(10) 입구쪽 선단에서 계속 진행하면서 상밀착판(230)에 의한 가압력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밀착판(230)이 상판(12)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어 하판(14)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12)을 밀어 이동시킨 후 밀대(240)가 반대쪽으로 후진할 때에 점차적으로 상판(12)에 대한 상밀착판(230)의 가압력이 줄게 된다. 이에, 상밀착판(230)이 상판(1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되어 상판(12)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251)의 경사 각도(R)가 1ㅀ보다 작은 경우에는 경사에 따른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레일(251)의 경사 각도(R)가 4ㅀ를 넘게 되면 밀대(240) 이동에 따른 상밀착판(230)의 상판(12) 가압력이 너무 커져 상판(12)과 하판(14)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는 이동블럭(252)에 설치되고 밀대(240)에 연결되어 밀대(24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밀착판(230)을 다공마대(10) 상판(12)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에 의해 상밀착판(230)은 다공마대(10) 위쪽으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다공마대(10) 상판(12)을 확실하게 가압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밀착부는 이동블럭(252)에 설치되고 밀대(240)에 연결되어 밀대(240)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255), 이동블럭(252)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256), 및 밀대(240)에 설치되어 가이드홀더(256)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257)를 포함할 수 있다. 밀대(240)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바(257)가 가이드홀더(256)를 따라 안내되므로, 밀대(240)가 보다 정밀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바(257)는 밀대(240) 선단의 상밀착판(230)과 수직실린더(2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밀대(240)가 하방향으로 하강되어 상밀착판(230)이 상판(12)에 가압 밀착시에 수직실린더(255)에 걸리는 힘을 최소화하고, 밀대(240)가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부(250)는 레일(251)을 따라 이동블럭(252)을 이동시켜 밀대(240)를 작업대(210) 상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의 구동에 따라 밀대(240)가 작업대(210) 상에 위치하거나 작업대(210)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동부는 예를 들어,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이동실린더(2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실린더(258)는 이동블럭(252)과 브라켓(253) 선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후진부의 구동실린더(254)와 이동부의 이동실린더(258)는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실린더(254)와 이동실린더(258)는 동일축선상에 놓여지고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선단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258)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이동블럭(252)에 연결되고,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구동실린더(254)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브라켓(253)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이동실린더(258)의 구동을 통해 밀대(240)를 작업대(210) 상으로 위치시키고, 구동실린더(254)의 구동을 통해 작업대(210) 상에서 밀대(240)를 이동시켜 상밀착판(230)으로 상판(12)을 밀어내는 일련의 작업을 구분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이동실린더(258)와 구동실린더(254)의 구동에 따라 이동블럭(252)을 다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작업대(210)의 상부에는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16)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270)가 구비된다.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16)는 벌림부(270)에 의해 보다 넓게 벌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다공마대의 접합된 상판과 하판이 이격되어 입구가 개방되고, 상판이 벌림부에 의해 들어올려져 입구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벌림부(270)는 작업대(210) 상부에 배치되고 분리부(250)의 구동에 따라 상밀착판(230)에 의해 밀려나 위로 볼록하게 솟은 상판(12)의 주름(18)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272), 및 클램핑부(27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는 예를 들어, 상하로 배치되어 신축구동되는 승강실린더(274)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210) 상에 설치된 프레임(275)에 승강실린더(274)가 설치된다. 승강실린더(274)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클램핑부(272)가 설치된다.
클램핑부(272)는 간격을 두고 이격된 두 개의 밀대(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상판(12)을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밀대(240) 선단쪽에서 상판(12)이 위로 들어 올려져 볼록한 형태의 주름(18)이 만들어진다.
다공마대(10)는 입구를 제외한 상판(12)과 하판(14)의 삼면이 모두 접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판(12) 입구쪽을 밀면 뒤쪽은 밀려나지 않으면서 밀려난 만큼 위쪽으로 불록하게 솟아 주름(18)을 형성하게 된다. 두 밀대(240) 사이에 배치된 클램핑부가 이동하여 이 주름(18)을 잡게 된다.
클램핑부(272)는 밀대(240)의 상밀착판(230)이 완전히 상판(12)을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판(12)의 주름(18) 형성 위치 바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승강실린더(274)가 구동되면 클램핑부(272)가 상하로 이동되어 작업대(210) 위의 다공마대(10) 상판(12)의 주름(18)쪽으로 이동된다. 클램핑부(272)는 예를 들어, 한쌍의 클램핑암(276)을 구비하여 클램핑암(276)이 벌어지거나 모아지면서 주름(18)을 선택적으로 잡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부(272)로 상판(12)을 들어올려 개방된 다공마대(10)의 입구(16)를 넓게 벌려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개방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장치의 작업대(210) 상으로 공급된 다공마대(10)는 하밀착판(220)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밀대(240)가 작업대(210) 상부로 이동되어,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밀대(240)가 다공마대(10) 위쪽으로 이동되면 밀대(240)가 하강되어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상판(12)에 가압 밀착된다. 이에, 다공마대(10)는 작업대(210)에 고정된 하밀착판(220)과 밀대(240)에 설치된 상밀착판(230) 사이에서 가압 상태로 놓여진다. 다공마대(10)의 상판(12)은 상밀착판(230)에 밀착된다. 다공마대(10)의 하판(14)은 하밀착판(220)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밀대(240)가 이동되고, 밀대(240)의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상판(12)을 밀착한 상태로 상판(12)을 밀어 이동하게 된다. 밀대(240)의 상밀착판(230)은 다공마대(10)를 하밀착판(220)에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고 있는 상태로, 다공마대(10)의 하판(14)은 하밀착판(220)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상밀착판(230)이 다공마대(10) 상판(12)을 밀게 되면, 마찰력이 큰 상밀착판(230)과 상판(12) 사이 및 하밀착판(220)과 하판(14) 사이에서는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고,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판(12)과 하판(14) 사이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된다. 따라서, 하밀착판(220)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하판(14)에 대해 상밀착판(230)에 밀착되어 있는 상판(12)이 미끄러지면서 하판(14)에 대해 상판(12)이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판(14)에 대해 상판(12)이 이동됨에 따라 상판(12)과 하판(14)의 접합되어 있던 입구(1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겨져 벌려지면서 개방된다.
이 과정에서, 상밀착판(230)에 의해 밀려난 상판(12)은 진행방향을 따라 상밀착판(230) 앞쪽부분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위로 볼록하게 솟은 주름(18)을 형성한다.
밀대(240)가 완전히 이동되어 입구의 개방이 완료되면, 주름(18) 형성 위치 바로 위쪽에 위치한 클램핑부(272)가 하강하고, 클램핑암(276)이 주름을 잡아 고정한다.
클램핑암이 주름을 완전히 고정하면, 밀대(240)가 후진한다. 상판(12)은 클램핑암에 의해 주름이 잡혀 고정된 상태이므로, 밀대(240) 후진에 따라 상밀착판(230)은 상판(12)에서 벗어나 하판(14)의 내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하판(14)으로 이동된 상밀착판(230)은 하판(14)을 눌러 고정하게 된다. 이에, 상판(12)은 클램핑암에 의해 주름이 잡혀 있고, 하판(14)은 하밀착판(220)과 상밀착판(230) 사이에서 눌려져 고정된 상태가 된다.
밀대(240)가 후진하여 상판(12)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클램핑부(272)가 상승하여 상판(12)을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고정된 하판(14)에 대해 상판(12)이 들어올려지면서 간격이 벌어져 다공마대(10)의 개방된 입구가 넓게 벌어지게 된다.
입구가 벌어지면 이송부가 다공마대의 개방되어 벌어진 입구를 잡고 다공마대를 후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름을 잡고 있던 클램핑부와 하판을 하밀착판에 가압하고 있던 밀대는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다공마대 12 : 상판
14 : 하판 16 : 입구
18 : 주름 100: 공급부
200: 개공장치 300: 이송부
400: 충전부 210: 작업대
220: 하밀착판 230: 상밀착판
240: 밀대 250: 분리부
251: 레일 252: 이동블럭
253: 브라켓 254: 구동실린더
255: 수직실린더 256: 가이드홀더
257: 가이드바 258: 이동실린더
270: 벌림부 272: 클램핑부
274: 승강실린더 276: 클램핑암

Claims (9)

  1.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상기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상기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기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
    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과 하판 사이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부를 더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벌림부는 상기 밀대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는 상기 작업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의 구동에 따라 상밀착판에 의해 밀려나 위로 볼록하게 솟은 상판의 주름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대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상기 밀대을 지지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부를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밀착판을 다공마대 상판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 및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홀더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밀대 선단의 상밀착판과 수직실린더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작업대의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공마대 개방장치.
  9. 다공마대를 이송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작업대 상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입구쪽 하판과 접하는 하밀착판, 상기 다공마대의 입구쪽 상판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대, 상기 밀대에 설치되어 다공마대의 상판에 밀착되는 상밀착판, 및 상기 밀대를 이동시켜 하밀착판에 밀착된 다공마대의 하판에 대해 상밀착판에 밀착된 상판을 밀어 상판과 하판 선단의 접합된 입구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장치:
    상기 개방장치에서 개방된 다공마대의 입구를 벌려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다공마대의 벌어진 입구로 내용물을 넣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포장설비.
KR1020180024765A 2018-02-28 2018-02-28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Abandoned KR20190103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65A KR20190103842A (ko) 2018-02-28 2018-02-28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65A KR20190103842A (ko) 2018-02-28 2018-02-28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842A true KR20190103842A (ko) 2019-09-05

Family

ID=6794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65A Abandoned KR20190103842A (ko) 2018-02-28 2018-02-28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8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0140A (zh) * 2020-12-07 2021-0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开袋装置及自动化垃圾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0140A (zh) * 2020-12-07 2021-0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开袋装置及自动化垃圾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5294B (zh) 与包装蓄电池配套的拆钉及盖帽装置
CN113753329B (zh) 全自动真空包装设备
CN105799958A (zh) 一种自动包装机及其自动包装工艺
US9272804B2 (en) Bundle unwrapping machine
CN109941515B (zh) 一种薄膜手套自动包装机
KR101854537B1 (ko) 비닐백의 주입구측 캡 자동 설치 시스템
KR20190103842A (ko) 다공마대 개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설비
CN209757675U (zh) 一种薄膜手套自动包装机
GB2265596A (en) Valve bag handling apparatus
KR101962809B1 (ko)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CN114735310A (zh) 一种锯链自动包装生产线及包装工艺
CN112777044A (zh) 套袋机
CN113979117A (zh) 一种座框自动化包裹系统
JPS60194105A (ja) 面状の繊維製品を接着するための装置
IT8224603A1 (it) Dispositivo per produrre confezioni a sacco evacuate
KR102599074B1 (ko) 단위제품의 포장장치
CN211391893U (zh) Pe袋包装系统
CN117602189B (zh) 一种全自动拆膜设备
CN210116994U (zh) 取料卸料装置
KR20220133025A (ko) 언랩핑 장치
JP3850167B2 (ja) 柱状ワークの袋の自動脱着方法および自動脱着装置
JPS59217541A (ja) シ−ト束の分離供給装置
KR100913764B1 (ko) 김적재 장치
CN119319454B (zh) 一种钢管焊接喷涂设备
CN116022427B (zh) 一种培养皿自动拆包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6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