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3312A -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 - Google Patents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312A
KR20190103312A KR1020197022950A KR20197022950A KR20190103312A KR 20190103312 A KR20190103312 A KR 20190103312A KR 1020197022950 A KR1020197022950 A KR 1020197022950A KR 20197022950 A KR20197022950 A KR 20197022950A KR 20190103312 A KR20190103312 A KR 20190103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uction
corrugated
downstream
convey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아키타
마코토 시모하츠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3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31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4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 B31B50/96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in an overlapping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2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8Printin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8Delivering in stacks or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0Sucti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 B65H5/2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3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 B31B2120/3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llapsible; temporarily collapsed during manufacturing collapsible into a flat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7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4Rollers conveyor
    • B65H2404/1542Details of patter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1Suction box; Suction chambers
    • B65H2406/312Suction box; Suction chambers incorpora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handled material against suction force
    • B65H2406/312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 B65H2406/363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adjust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vacuum for a plurality of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65H2701/1762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로서, 송출 롤러(15b)에 재치된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하는 상류 측 반송부(24A)와, 상류 측 반송부(24A)에 대하여 하류 측에 인접하며, 상류 측 반송부(24A)로부터 송출된 골판지 시트(100a)를 시트 처리부로 반송하는 하류 측 반송부(24B)를 구비한다. 하류 측 반송부(24B)는,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여 개구부(21a)를 갖는 하류 측 석션부(21A)와, 하류 측 석션부(21A)에 수용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시트 반송 경로 측으로 돌출되는 피드 롤러(11b)를 갖는다. 개구부(21a)의 하류단(21b)과, 최하류 측의 송출 롤러(15b)의 축심 CL1과의 거리 L1이, 상기 시트 처리부의 반송 롤러의 상호 간 거리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 이하로 설정된다.

Description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
본 발명은, 제함기 등의 지공(紙工) 기계의 급지부에 이용하여 적합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골판지 시트를 가공하는 제함기는, 예를 들면 상류 측으로부터, 급지부, 인쇄부, 배지부(排紙部), 다이컷팅부, 폴딩부 및 카운터 이젝터부가 이 순서대로 마련되고, 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골판지 시트를 가공하여 골판지 상자를 제조한다.
이 제함기의 급지부에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가 장비된다.
종래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로서, 급지 테이블 상에 적중된 골판지 시트를, 최하층의 시트로부터 1매씩, 부압에 의하여 흡착시키면서, 순차적으로 하류 측으로 이송하는 리드 에지 방식이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그리고, 대표적인 리드 에지 방식의 급지 장치에 있어서는,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가속된 골판지 시트를, 다음 공정인 인쇄부에 대하여 동일한 속도로 안정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석션 반송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하의 반송 롤러로 압압하여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비교하여, 이와 같은 석션 반송 장치에서는, 골판지 시트가 반송 롤러 또는 반송 벨트 측으로 끌어당겨지면서 반송 롤러 또는 반송 벨트에 의하여 반송되므로, 골판지 시트가 찌그러지는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진공 박스에 의하여 골판지 시트를 흡착시켜 무단(無端) 벨트로 끌어당기고, 이 무단 벨트를 이용하여 하류 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 박스의 하류 측에는, 다른 무단 벨트의 루프 내에, 진공 박스 측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골판지 시트를 상기 다른 무단 벨트로 끌어당기기 위한 진공 플리넘이 배치되고, 이 골판지 시트의 상면을 판지 가이드로 누르면서 상기 다른 무단 벨트에 의하여 인쇄 실린더로 반송된다.
또, 특허문헌 2에는, 급지부 호퍼 내에 적중된 골판지 시트를, 최하층의 시트로부터 1매씩 흡착시키면서, 송출 롤러에 의하여 1매씩 이송시킴과 함께, 이송된 골판지 시트를 석션 박스 내에 수용된 피드 롤에 의하여 인쇄부와 동일한 속도로 흡착 반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6-22769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9-295719호
그런데, 골판지 상자의 제조 공장에 있어서는, 고객으로부터의 오더(주문)에 따라, 반송 방향으로 긴 골판지 시트나 짧은 골판지 시트 등, 다양한 길이의 골판지 시트를 제함기를 통하여 골판지 상자를 제조한다.
그리고, 종래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특히 각 오더의 1매째의 골판지 시트를 급지할 때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짧은 골판지 시트(이하, "단척 시트"라고도 함)의 경우, 충분한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 이유를 설명한다. 특허문헌 1의 장치 및 특허문헌 2의 장치는, 진공 플리넘이나 석션 박스의 개구부로부터 흡착력을 골판지 시트에 작용시키면서, 무단 벨트나 송출 롤러에 의하여 반송하는 것이다. 진공 플리넘이나 석션 박스의 개구부로부터 골판지 시트에 작용하는 흡착력은, 상기 골판지 시트가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덮었을 때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장치에서는, 단척 시트를 급지하는 경우, 특히 1매째에 대해서는, 상류 측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단척 시트가, 단척이기 때문에 진공 플리넘이나 석션 박스의 개구부의 하류 측을 덮지 못하여 개구부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단척 시트를 무단 벨트나 송출 롤러로 끌어당기기 위한 부압이 부족하다. 이로 인하여, 하류 측의 인쇄부에 대한 소정의 반송력이 부족해지는 경향이 생겨, 무단 벨트나 송출 롤러가 단척 시트에 대하여 슬립한다. 이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 위치의 어긋남 등의 품질 저하를 발생시킨다.
이 반송력 부족의 대책으로서, 진공 플리넘이나 석션 박스에 접속하는 블로어에 흡인력이 높은 대형 블로어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대형 블로어를 사용함으로써, 설비 비용이나 공급 전력의 증대나, 공장 내의 소음, 레이아웃 상의 문제 등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장단(長短)이 다양한 길이의 골판지 시트에 대하여, 시트 처리부에 대하여 소정의 반송력으로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면에 재치된 골판지 시트를 송출하는 복수의 송출 롤러를 갖고, 상기 송출 롤러에 재치된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상류 측 반송부와, 상기 상류 측 반송부에 대하여 시트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인접하며, 상기 상류 측 반송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골판지 시트를 상기 하류 측의 시트 처리부로 반송하는 하류 측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 측 반송부는,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여 개구부를 갖는 하류 측 석션부와, 상기 하류 측 석션부에 수용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시트 반송 경로 측으로 돌출되는 피드 롤러를 가짐과 함께, 상기 개구부의 상기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단과,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 중 상기 시트 반송 방향 최하류 측의 상기 송출 롤러의 축심과의 상기 시트 반송 방향 거리가, 상기 시트 처리부의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의 상호 간 거리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골판지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치수가, 상기 최대 거리와 동일한 길이, 즉 시트 처리부에서 취급 가능한 최소 길이이더라도, 복수의 송출 롤러에 재치된 골판지 시트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후단이 최하류에 배치된 송출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송출 롤러로부터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게 된 시점에서, 골판지 시트가 하류 측 석션부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게 된다. 이로써, 개구부가 덮어진 하류 측 석션부 내에는 적정한 부압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는 개구부로부터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하여 피드 롤러를 향하여 확실히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피드 롤러와 골판지 시트와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피드 롤러에 의한 적정한 반송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시 적정한 부압을 부여함으로써, 골판지 시트를 적정한 위치에서 시트 처리부로 반송할 수 있어, 장단이 다양한 길이의 골판지 시트에 대하여, 시트 반송 방향 하류 측의 시트 처리부로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하류 측 반송부가, 상기 피드 롤러의 상방에, 송출된 상기 골판지 시트의 상면을 규제하는 누름 기구를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누름 기구가, 하방의 피드 롤러와 협동하여 골판지 시트를 가볍게 그립함으로써, 골판지 시트가 흔들거리지 않아,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누름 기구가, 반송 중인 상기 골판지 시트의 상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공동부를 구비한 누름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롤은 공동부를 구비하고 높은 탄력성을 갖는 점에서, 골판지 시트를 찌그러지지 않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피드 롤러가, 상기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는, 하방의 피드 롤러로,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골판지 시트가 흔들거리지 않아, 안정된 골판지 시트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5)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피드 롤러가, 추가로 상기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고, 또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드 롤러의 외주면에 대하여, 골판지 시트가 면 방향에 대하여 더 균일하게 접하기 때문에, 안정된 반송이 가능해진다.
(6)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피드 롤러가 복수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복수의 피드 롤러의 각 위치에 맞추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피드 롤러가, 상기 외주면의 일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류 측 석션부의 개구부의 크기를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하류 측 석션부의 내부의 부압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하류 측 반송부가,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기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여 개구부를 갖는 보조 석션부와, 상기 보조 석션부에 수용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시트 반송 경로로 돌출되는 피드 롤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션부의 시트 반송 방향 길이를, 골판지 시트의 최소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최소 길이보다 긴 골판지 시트를 반송할 때에는, 골판지 시트에 대한 흡인력이 부족해지는 경향이 생겨 충분한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보조 석션부를 마련함으로써 이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류에 상류 측 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석션부, 상기 하류 측 석션부 및 상기 보조 석션부에는, 각각 흡인 블로어가 독립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흡인 블로어의 흡인력 나아가서는 각 석션부 내의 부압을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골판지 시트를 반송할 때에 있어서, 일부의 석션부가 골판지 시트에 의하여 덮어지지 않고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른 석션부 내의 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골판지 시트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류에 상류 측 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석션부, 상기 하류 측 석션부 및 상기 보조 석션부에는 각각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류 측 석션부, 하류 측 석션부 및 보조 석션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들 석션부에 있어서의 흡인력의 밸런스를 잡으면서 섬세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각 흡인 블로어의 흡인력이, 반송되는 상기 골판지 시트의 단위 면적당 중량에 근거하여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작은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중량이 적은 만큼, 골판지 시트와 피드 롤러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되어 피드 롤러가 슬립하기 쉬워지는데, 블로어의 흡인력을 높이도록 조정함으로써 피드 롤러로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어, 안정된 반송이 가능해진다.
(11)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류에 상류 측 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석션부, 상기 하류 측 석션부 및 상기 보조 석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석션부에는, 상기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석션 박스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석션 박스와 상기 흡인 블로어를 접속하는 각 경로에는, 상기 경로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된 석션 박스 중, 작동시키는 석션 박스를 골판지 시트의 시트 폭 치수에 따라 과부족 없이 설정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는, 상기 상류 측 반송부가,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의 상측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높은 상승 위치에서는 최하층의 상기 골판지 시트를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낮은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를 상기 송출 롤러에 접촉시키는 그레이트와, 상기 그레이트를 상기 상승 위치와 상기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상류 측 석션부와 상기 하류 측 석션부에는 각각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조정 수단은, 적어도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기 흡인력을, 상기 상류 측 석션부의 상기 흡인력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류 측 반송부의 흡인력은, 골판지 시트를 송출 롤러로 끌어당길 정도로 크게 해야 하기는 하지만, 그레이트를 상승시킬 때에는 저항이 되기 때문에, 상한이 있다.
한편, 하류 측 반송부의 흡인력은, 피드 롤러로 골판지 시트를 끌어당기는 것만을 생각한 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류 측 반송부의 흡인력을 상류 측 반송부의 흡인력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큰 힘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골판지 시트를 피드 롤러로 끌어당기고, 피드 롤러의 반송력을 확실히 골판지 시트에 전달할 수 있어, 상류 측 반송부에서 흡인력의 부족에 의하여 송출 롤러가 슬립해도, 하류 측 반송부에서 슬립하지 않고 골판지 시트를 시트 처리부로 반송할 수 있다.
(13) 본 발명의 제함기는, 골판지 시트를 1매씩 급지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골판지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하여 인쇄된 골판지 시트에 홈 절삭 및 괘선 가공하는 배지부와, 상기 홈 절삭 및 상기 괘선 가공된 골판지 시트에 펀칭 가공하는 다이컷팅부와, 상기 다이컷팅부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절곡 가공을 하여 시트상의 골판지 상자를 형성하는 폴더 글루어부와, 상기 폴더 글루어부에 의하여 가공된 상기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중하는 카운터 이젝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지부에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인쇄부에 안정적으로 골판지 시트를 반송할 수 있어, 인쇄 위치의 어긋남 등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하류 측 석션부의 개구부의 하류단과 최하류 측의 송출 롤러의 축심과의 거리가, 시트 처리부의 반송 롤러의 상호 간 거리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골판지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을 따른 치수가, 상기 최대 거리, 즉 시트 처리부에서 취급 가능한 골판지 시트의 최소 길이이더라도, 골판지 시트의 후단이, 최하류의 송출 롤러로부터 이탈하여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게 된 시점에서, 이 골판지 시트가 하류 측 석션부의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덮게 된다.
이로써, 골판지 시트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흡인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골판지 시트는 피드 롤러로 끌어당겨져 피드 롤러로부터 적정한 반송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를 적정한 위치에서 시트 처리부로 반송할 수 있어, 장단이 다양한 길이의 골판지 시트에 대하여, 시트 처리부로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를 구비한 제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의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2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골판지 시트의 최소 길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배지부 및 다이컷팅부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의한 모식적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의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형태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류"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골판지 시트의 반송 방향인 시트 반송 방향(X)에서 상류 측을 의미하고, "하류"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시트 반송 방향(X)에서 하류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시트 반송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인 골판지 시트의 폭 방향을 이하 "시트 폭 방향(W)"이라고 한다.
〔1. 제1 실시형태〕
〔1-1. 제함기의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를 구비한 제함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대표적인 제함기의 각 구성과, 골판지 시트가 시트상의 골판지 상자로 가공되는 과정을, 각각 대응시켜 기재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함기에는,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급지부(1), 인쇄부(2), 배지부(3), 다이컷팅부(4), 폴더 글루어부(5) 및 카운터 이젝터부(6)와 같은 시트 처리부가 마련되어 있다. 골판지 시트는, 급지부(1)로부터 폴더 글루어부(5)에 걸쳐, 반송용 컨베이어나 롤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인 시트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종 처리가 행해진다.
급지부(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가 마련되어 있으며, 판상의 골판지 시트(100a)가 적재되고,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100a)로부터 순서대로 1매씩 인쇄부(2)로 반송된다.
인쇄부(2)는, 예를 들면 4색분의 인쇄 유닛(2a~2d)으로 이루어지며, 인쇄부(2)에서는, 반송 컨베이어 벨트(22)에 의하여 1매씩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하여, 각 색의 잉크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인쇄된다.
배지부(3)에서는, 인쇄부(2)에서 인쇄된 골판지 시트(100a)에 홈 절삭이나 괘선 가공을 행한다.
다이컷팅부(4)에서는, 배지부(3)로부터 반송된 골판지 시트(100a)에 펀칭 가공이나 추가적인 홈 절삭이나 괘선 가공을 행한다.
폴더 글루어부(5)에서는, 다이컷팅부(4)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100a)의 시트 폭 방향(W)의 일단의 접착 여유편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골판지 시트(100a)의 좌우 양단부가 하방에서 중합하도록 절곡 가공을 행한다. 이 폴더 글루어부(5)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100a)는, 좌우 양단부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시트상의 골판지 상자(100)가 된다.
카운터 이젝터부(6)에서는, 폴더 글루어부(5)에서 가공된 시트상의 골판지 상자(10)를 계수하면서, 테이블에 적재한다. 카운터 이젝터부(6)에 의하여 소정 매수의 골판지 상자(100)가 적재된 후, 이 시트재군(50)을 1단위의 배치(batch)로 하여 출하한다.
〔1-2.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다음으로, 도 2~도 6을 이용하여, 급지부(1)에 구비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지 장치(24)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측 반송부(24A)와, 상류 측 반송부(24A)의 하류 측에 하류 측 반송부(24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4는, 상류 측 반송부(24A)에 있어서 후술하는 그레이트(16a)를 제외한 상태이고 또한 하류 측 반송부(24B) 모두 상자형 형상의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의 각 천장면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도 2에서는, 편의상, 그레이트(16a)에 마련된 개구부(16b)와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의 각 천장면에 마련된 개구부(21a)를 쇄선으로 나타낸다.
〔1-2-1. 상류 측 반송부〕
먼저,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상류 측 반송부(24A)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류 측 반송부(24A)에서는, 전공정의 반송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1매씩 투입된 골판지 시트(100a)는, 프런트 가이드(12)에 맞닿아 낙하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스톱(13)과의 사이에서 급지 테이블(14)에 순차적으로 적중된다.
적중된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100a)의 하방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석션 박스(16N1~16N8)가 시트 폭 방향(W)을 따라 마련되고, 이들 석션 박스(16N1~16N8)가 상류 측 석션부(16)를 구성한다. 석션 박스(16N1~16N8)에는, 각각, 골판지 시트(100a)의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라, 송출 롤러 집합체(15)가 5열로 나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각 송출 롤러 집합체(15)는, 시트 폭 방향(W)으로 뻗어 있는 회전축(15a)과, 이 회전축(15a)에 소정의 피치로 배치되는 복수의 송출 롤러(1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각 송출 롤러(15b)는, 급지 테이블(14)의 상면보다 시트 반송 경로 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각 송출 롤러 집합체(15)는, 시트 폭 방향(W)으로 나열된 복수의 석션 박스(16N1~16N8)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송출 롤러 집합체(15)에는, 송출 롤러(15b)의 피치가 서로 어긋난 송출 롤러 집합체(15A, 15B)가 있으며, 송출 롤러 집합체(15A, 15B)를 시트 반송 방향(X)으로 교대로 나열함으로써, 복수의 송출 롤러(15b)를 지그재그 배열하고 있다.
각 송출 롤러 집합체(15)는, 구동 모터(M1)에,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동력 전달 기구(15m)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 구동 모터(M1)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류 측 석션부(16)의 상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이트(16a)가 마련되어 있다. 그레이트(16a)는, 각 송출 롤러(15b)의 상방에, 개구부(16b)(도 2의 파선 참조)를 각각 갖는 격자상의 테이블이며, 송출 롤러(15b) 상측 가장자리보다 높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승 위치와, 상기 상측 가장자리보다 낮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승강 구동된다. 각 송출 롤러(15b)는, 각각, 그레이트(16a)가 상승 위치가 되었을 때에는, 골판지 시트(100a)로부터 이격되고, 그레이트(16a)가 하강 위치가 되었을 때에, 개구부(16b)로부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100a)와 접촉하여 송출한다.
그리고, 회전하는 송출 롤러 집합체(15)에 의하여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100a)만이 1매씩 흡착 반송되도록, 그레이트(16a)는, 적절한 타이밍으로 승강 동작을 반복하여, 적중된 다른 골판지 시트(100a)를 유지한다.
또한, 도 2에서는 도면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개구부(16b)를 일부만 나타낸다.
상류 측 석션부(16)의 내부는, 덕트(17A)를 통하여, 흡인 블로어(18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 블로어(18A)가 작동함으로써,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100a)는,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는 개구부(16b)를 통하여 하방으로 흡인되어, 송출 롤러(15b)로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송출 롤러(15b)의 외주면과 골판지 시트(100a)의 하면과의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강하게 작용하여, 송출 롤러(15b)의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한 슬립이 억제된다. 이로써, 골판지 시트(100a)는, 송출 롤러(15b)의 회전 동작에 따라, 프런트 가이드(12)의 하단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하류 측(도 2의 지면(紙面) 좌측)으로 안정적으로 반송된다.
〔1-2-2. 하류 측 반송부〕
이어서, 하류 측 반송부(24B)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류 측 반송부(24B)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측 석션부(16)의 하류 측에 하류 측 석션부(21A)가 배치되고, 이 하류 측 석션부(21A)의 하류 측에, 보조 석션부(21B)가 더 배치되어 있다. 하류 측 석션부(21A)는, 상류 측 반송부(24A)의 상류 측 석션부(16)와 동일하게, 시트 폭 방향(W)을 따라, 석션 박스(21AN1~21AN8)가 나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 보조 석션부(21B)도, 상류 측 반송부(24A)의 상류 측 석션부(16)와 동일하게, 시트 폭 방향(W)을 따라, 석션 박스(21BN1~21BN8)가 나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에는, 각각,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라 피드 롤러 집합체(11)가 2열로 나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각 피드 롤러 집합체(11)는, 시트 폭 방향(W)으로 뻗어 있는 회전축(11a)과, 이 회전축(11a)에 소정의 피치로 배치되는 복수의 피드 롤러(1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각 피드 롤러 집합체(11)는, 시트 폭 방향(W)으로 나열된 복수의 석션 박스(21AN1~21AN8) 및 석션 박스(21BN1~21BN8)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피드 롤러 집합체(11)에는, 피드 롤러(11b)의 피치가 서로 어긋난 피드 롤러 집합체(11A, 11B)가 있으며, 피드 롤러 집합체(11A, 11B)를 시트 반송 방향(X)으로 교대로 나열함으로써, 피드 롤러(11b)를 지그재그 배열하고 있다.
각 피드 롤러 집합체(11)는, 구동 모터(M2)에,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동력 전달 기구(11m)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 구동 모터(M2)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의 상면에는, 각 피드 롤러(11b)의 상방에 개구부(21a)가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피드 롤러(11b)는, 각각, 개구부(21a)로부터 그 외주면의 일부가 시트 반송 경로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골판지 시트(100a)와 접촉하여 이 골판지 시트(100a)를 송출한다. 또한, 도 2에서는 도면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개구부(21a)를 일부만 나타낸다.
또, 하류 측 석션부(21A)의 상류 측(도 2의 지면 우측)의 피드 롤러(11b)의 상방에는, 누름롤(19)이 마련되어 있다. 누름롤(19)은, 공동부를 구비하고 높은 탄력성을 갖는 폴리유레테인제의 회전체이며 피드 롤러(11b)에 의하여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에 동반 회전한다. 누름롤(19)은 하방의 피드 롤러(11b)와 협동하여 골판지 시트(100a)를 가볍게 그립함으로써, 골판지 시트(100a)를 찌그러지지 않게 반송하는 데 기여한다. 누름롤(19)은, 시트 폭 방향(W)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누름롤(19)은, 도 2 및 도 4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의 내부는, 덕트(17B, 17C)를 통하여 흡인 블로어(18B, 18C)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 블로어(18B, 18C)가 각각 작동함으로써, 송출 롤러(15b)에 의하여 반송된 골판지 시트(100a)는 개구부(21a)를 통하여 하방으로 흡인되어, 피드 롤러(11b)로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피드 롤러(11b)의 외주면과 골판지 시트(100a)의 하면과의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강하게 작용하여, 피드 롤러(11b)의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한 슬립이 억제된다. 이로써, 골판지 시트(100a)는, 피드 롤러(11b)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인쇄부(2)로 안정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에 있어서는, 하류 측 석션부(21A)의 개구부(21a)와 송출 롤러(15b)와의 위치 관계가, 특정 관계를 갖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 측 석션부(21A)의 하류 측의 개구부(21a)의 하류단(21b)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 방향(X)에 관한 위치 P1과, 최하류에 배치된 송출 롤러(15b)의 축심 CL1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 방향(X)에 관한 위치 C1과의 거리 L1이 후술하는 골판지 시트(100a)의 최소 길이 Lmin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L1≤Lmin).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하류 측 석션부(21A)에 개구부(21a)가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류 측 석션부에 마련된 개구부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단"이란, "시트 반송 방향(X)에서 최하류에 마련된 개구부(21a)의 하류단(21b)"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에 있어서는, 보조 석션부(21B)의 개구부(21a)와 하류 측 석션부(21A)의 개구부(21a)와의 위치 관계가, 특정 관계를 갖고 있는 점에도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석션부(21B)의 하류 측의 개구부(21a)의 하류단(21b)의 시트 반송 방향(X)에 관한 위치 P2와, 하류 측 석션부(21A)의 최하류에 배치된 피드 롤러(11b)의 축심 CL2의 시트 반송 방향(X)에 관한 위치 C2와의 거리 L2가, 최소 길이 Lmin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L2≤Lmi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리 L1은 Lmin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거리 L2는 Lmin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보조 석션부(21B)에 개구부(21a)가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라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석션부에 마련된 개구부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단"이란, "시트 반송 방향(X)에서 최하류에 마련된 개구부(21a)의 하류단(21b)"을 의미한다.
"최소 길이 Lmin"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함기에서는, 급지부(1)보다 하류 측의 시트 처리부, 즉 인쇄부(2), 배지부(3), 다이컷팅부(4), 폴더 글루어부(5) 및 카운터 이젝터부(6)에 있어서, 골판지 시트(100a)의 반송을, 시트 반송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 반송 롤에 의하여 행하는 개소가 있다. 롤의 축심의 상호 간 거리보다, 골판지 시트(100a)의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른 치수가 짧아지면, 골판지 시트(100a)는 상류 측의 반송 롤로부터 하류 측의 반송 롤로 갈아타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반송 롤의 상호 간의 최장 거리 Dmax보다,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른 치수가 짧은 골판지 시트의 반송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없고, 이 최장 거리 Dmax가, 시트 처리부에서 안정적으로 반송 가능한 골판지 시트(100a)의 최소 길이 Lmin이 된다. 그리고, 상기의 거리 L1, L2가, 이 최소 길이 Lmin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거리 L1, L2가, 시트 처리부에 있어서의 반송 롤의 상호 간의 최장 거리 Dmax 이하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L1≤Dmax, L2≤Dmax).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반송 롤이란,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된다. 즉, 반송 롤에는,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하면서 골판지 시트(100a)에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롤에 의하여 골판지 시트(100a)의 반송을 행하는 것은, 예를 들면 배지부(3)와 다이컷팅부(4)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지부(3)에는, 각각 시트 반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하는, 지지 롤(31a) 및 제1 괘선 롤(31b)과, 지지 롤(32a) 및 제2 괘선 롤(32b)과, 제1 슬로터 헤드(33a) 및 하측 블레이드 롤(33b)과, 제2 슬로터 헤드(34a) 및 하측 블레이드 롤(34b)이, 상류 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구비된다.
또, 다이컷팅부(4)에는, 각각 시트 반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향하는, 이송 부재(41a, 41b)와, 앤빌 실린더(42a) 및 나이프 실린더(42b)가, 상류 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구비된다.
이하, 편의상, 지지 롤(31a), 제1 괘선 롤(31b), 지지 롤(32a), 제2 괘선 롤(32b), 제1 슬로터 헤드(33a), 하측 블레이드 롤(33b), 제2 슬로터 헤드(34a) 및 하측 블레이드 롤(34b)을 롤이라고도 한다.
배지부(3) 및 다이컷팅부(4)에 배치된 상기의 상측의 롤(31a~34a, 41a, 42a)과, 하측의 롤(31b~34b, 41b, 42b)은, 시트 반송 방향(X)에 관하여 축심을 일치시키고 있으며, 닙에 의하여 그립되어 골판지 시트(100a)는 반송된다.
이들 롤(31a~34b, 41a~42b)의 닙의 상호 간의 거리, 즉 롤(31a~34b, 41a~42b)의 축심의 상호 간의 거리 D1~D5 중, 제1 슬로터 헤드(33a) 및 하측 블레이드 롤(33b)과, 제2 슬로터 헤드(34a) 및 하측 블레이드 롤(34b)과의 거리 D3이 최대가 된다. 즉, 이 거리 D3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롤의 상호 간의 최장 거리 Dmax이며, 제함기로 안정적으로 반송 가능한 골판지 시트의 최소 길이 Lmin이다.
〔1-2-3. 석션 계통〕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흡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석션 계통에 대하여 도 2~도 4를 더 설명한다.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의 석션 계통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류 측 석션부(16)는 덕트(17A)를 통하여 흡인 블로어(18A)가 접속되고, 하류 측 석션부(21A)는 덕트(17B)를 통하여 흡인 블로어(18B)가 접속되며, 보조 석션부(21B)는 덕트(17C)를 통하여 흡인 블로어(18C)가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흡인 블로어(18A, 18B, 18C)는 각각 제어부(20)에 의하여 작동, 정지, 출력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각 흡인 블로어(18A, 18B, 18C)의 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각각 다른 흡인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흡인 블로어(18A, 18B, 18C) 및 제어부(20)가, 본 발명의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성한다.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대한 흡인력은, 예를 들면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의 단위 면적당 중량 등에 근거하여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골판지 시트(100a)의 단위 면적당 중량에 근거하여 조정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단위 면적당 중량이 무거워질수록, 골판지 시트(100a)의 자중에 의하여 피드 롤러(11b)나 송출 롤러(15b)에 강하게 압압되도록 되므로, 그만큼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대한 흡인력은 낮게 설정된다.
덕트(17A, 17B, 17C)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류 측 석션부(21A)에 접속된 덕트(17B)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류 측 석션부(21A)를 구성하는 석션 박스(21AN1~21AN8)의 하단은 개방부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공용의 덕트로서 상기 덕트(17B)가 접속되어 있다. 석션 박스(21AN4, 21AN5)를 제외한 석션 박스(21AN1, 21AN2, 21AN3, 21AN6, 21AN7, 21AN8)의 각 개방부에는 셔터 기구(3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셔터 기구(30)는, 에어 실린더(30a), 에어 실린더(30a)의 구동축 선단에 장착된 셔터 부재(30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30a)를 신장시키면, 셔터 부재(30b)에 의하여 개방부가 차단되어, 흡인 블로어(18B)로부터의 흡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가 된다. 한편, 에어 실린더(30a)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퇴시키면, 개방부가 개방되어, 흡인력이 작용하는 사용 상태가 된다. 중앙의 석션 박스(21AN4, 21AN5)는, 취급되는 골판지 시트(100a)의 최소 폭 치수에 대응하는 것이며, 골판지 시트(100a)의 폭 치수에 관계없이 상시 사용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기구(3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는, 시트 폭 방향(W)의 중심선을 대칭으로 하여 배치된 것이 한 쌍으로 사용된다.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류 측 석션부(21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석션 박스(21AN4, 21AN5)가 한 쌍으로 사용되고, 석션 박스(21AN3, 21AN6)가 한 쌍으로 사용되며, 석션 박스(21AN2, 21AN7)가 한 쌍으로 사용되고, 석션 박스(21AN1, 21AN8)가 한 쌍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골판지 시트(100a)의 폭 치수가 커짐에 따라, 사용 상태가 되는 석션 박스는, 중앙의 석션 박스(21AN4, 21AN5)로부터, 외측의 석션 박스(21AN3, 21AN6), 석션 박스(21AN2, 21AN7), 석션 박스(21AN1, 21AN8)로 순차적으로 확대된다.
또, 하류 측 석션부(21A)의 개구부(21a)에 작용하는 흡인력은, 상류 측 석션부(16)의 개구부(16b)에 작용하는 흡인력 이상으로 설정된다.
〔1-3. 작용·효과〕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송출 롤러(15b)로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가 도 3에 사선을 그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소 길이 Lmin인 것이어도, 골판지 시트(100a)를 적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즉, 최소 길이 Lmin의 골판지 시트(100a)의 후단(100b)이 최하류에 배치된 송출 롤러(15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송출 롤러(15b)로부터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게 된 시점에 있어서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판지 시트(100a)는 하류 측 석션부(21A)의 개구부(21a)를 상방으로부터 완전히 덮고 있다.
이때, 상류 측 석션부(16)의 개구부(16b)는, 골판지 시트(100a)에 의하여 덮여 있지 않지만, 상류 측 석션부(16)에 연결된 블로어(18A)와, 하류 측 석션부(21A)에 연결된 블로어(18B)는 각각 덕트(17A, 17B)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21a)가 덮여진 하류 측 석션부(21A) 내에는 적정한 부압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100a)는 개구부(21a)를 통하여 피드 롤러(11b)로 확실히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피드 롤러(11b)에 의한 소정의 반송력을 받아, 인쇄부(2)를 향하여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한 피드 롤러(11b)의 슬립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골판지 시트(100a)를 적정한 위치에서 인쇄부(2)로 반송할 수 있어, 인쇄 위치의 어긋남 등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개구부(21a)의 하류단(21b)과 최하류의 송출 롤러(15b)의 축심 CL1과의 거리 L1'이 골판지 시트(100a)의 최소 길이 Lmin보다 커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골판지 시트(100a)의 후단(100b)이 최하류에 배치된 송출 롤러(15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한 시점에 있어서, 골판지 시트(100a)는 개구부(21a)를 상방으로부터 완전히 덮을 수 없다.
따라서, 하류 측 석션부(21A)의 개구부(21a)가 일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21a)에서 부압이 충분하지 않아, 골판지 시트(100a)를 피드 롤러(11b)로 끌어당기는 힘이 결여되어,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하여, 피드 롤러(11b)가 슬립한다. 즉, 골판지 시트(100a)는, 송출 롤러(15b)에 의한 반송력을 잃음과 동시에, 피드 롤러(11b)로부터도 충분한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100a)를 적정한 위치에서 인쇄부(2)로 반송할 수 없어 인쇄 위치의 어긋남 등의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또,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석션부(21B)의 개구부(21a)의 하류단(21b)의 위치 P2와, 하류 측 석션부(21A)의 최하류의 피드 롤러(11b)의 축심 CL2와의 사이의 거리 L2도, 최소 길이 Lmin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류 측 석션부(21A)와 동일하게 골판지 시트(100a)가 최소 길이 Lmin인 것이어도 이 골판지 시트(100a)를 적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즉, 최소 길이 Lmin의 골판지 시트(100a)의 후단(100b)이, 하류 측 석션부(21A)의 최하류의 피드 롤러(11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하여, 피드 롤러(11b)로부터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게 된 시점에 있어서도, 골판지 시트(100a)는 보조 석션부(21B)의 개구부(21a)를 상방으로부터 완전히 덮고 있으므로 보조 석션부(21B) 내에는 적정한 부압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100a)는 보조 석션부(21B)의 개구부(21a)를 통하여 피드 롤러(11b)에 대하여 확실히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피드 롤러(11b)에 의한 소정의 반송력을 받아, 인쇄부(2)를 향하여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한 피드 롤러(11b)의 슬립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골판지 시트(100a)를 적정한 위치에서 인쇄부(2)로 반송할 수 있어, 인쇄 위치의 어긋남 등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하류 측 석션부(21A)를, 골판지 시트(100a)의 최소 길이 Lmin을 기준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최소 길이 Lmin보다 약간 긴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할 때에는, 골판지 시트(100a)에 대한 흡인력이 부족해지는 경향이 생겨 충분한 반송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보조 석션부(21B)를 마련함으로써 이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다.
또, 피드 롤러(11b)의 상방에는, 공동부를 구비하고 높은 탄력성을 갖는 누름롤(19)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의 피드 롤러(11b)와 협동하여 골판지 시트(100a)를 가볍게 그립함으로써, 골판지 시트(100a)를 찌그러지지 않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류 측 반송부(24A)의 흡인력은, 골판지 시트(100a)를 송출 롤러(15b)로 끌어당길 정도로 크게 해야 하기는 하지만, 그레이트(16a)를 상승시킬 때에는 저항이 되기 때문에, 상한이 있다. 한편, 하류 측 반송부(24B)의 흡인력은, 피드 롤러(11b)로 골판지 시트(100a)를 끌어당기는 것만을 생각한 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류 측 반송부(24B)의 흡인력을 상류 측 반송부(24A)의 흡인력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큰 힘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골판지 시트(100a)를 피드 롤러(11b)로 끌어당기고, 피드 롤러(11b)의 반송력을 확실히 골판지 시트(100a)에 전달할 수 있어, 상류 측 반송부(24A)에서 흡인력의 부족에 의하여 송출 롤러(15b)가 슬립해도, 하류 측 반송부(24B)의 피드 롤러(11b)는 슬립하지 않고 골판지 시트(100a)를 인쇄부(2)로 적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하류 측 반송부(24B)의 흡인력을, 상류 측 반송부(24A)의 흡인력보다 강하게 하는 경우로서는, 사이즈가 작은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할 때를 들 수 있다. 이것은, 골판지 시트(100a)는 엄격하게는 평탄하지 않고 많이 미소한 만곡이 있어, 골판지 시트(100a)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하류 측 석션부(21A)나 보조 석션부(21B)의 개구부(21a)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간극에 의한 흡인력의 저하의 영향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하류 측 반송부(24B)의 흡인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골판지 시트(100a)를 피드 롤러(11b)로 확실히 끌어당긴다.
또, 누름롤(19)을 구비함으로써, 하방의 피드 롤러(11b)와 협동하여 골판지 시트(100a)를 가볍게 그립함으로써, 골판지 시트(100a)가 흔들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누름롤(19)은 공동부를 구비하고 높은 탄력성을 갖는 점에서, 골판지 시트(100a)를 그립할 때에 골판지 시트(100a)가 찌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피드 롤러(11b)가,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는, 이들 피드 롤러(11b)에 의하여 시트 반송 방향(X)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골판지 시트(100a)가 흔들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된 골판지 시트(100a)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드 롤러(11b)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골판지 시트(100a)가 피드 롤러(11b)와 면 방향에 대하여 더 균일하게 접하기 때문에, 안정된 반송이 가능해진다.
흡인구로서 기능하는 개구부(21a)는, 복수의 피드 롤러(11b)의 각 위치에 맞추어 각각 마련되며, 피드 롤러(11b)의 외주면의 일부를, 개구부(21a)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흡인구와 피드 롤러(11b)를 돌출시키는 개구부를 따로 따로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에 마련하는 개구의 크기를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의 내부의 부압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는, 각각 흡인 블로어(18A, 18B, 18C)가 독립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흡인 블로어(18A, 18B, 18C)의 출력의 개별 제어, 나아가서는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 내의 부압의 개별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골판지 시트(100a)를 반송할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류 측 석션부(16)가 골판지 시트(100a)에 의하여 덮어지지 않고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류 측 석션부(21A) 내의 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골판지 시트(100a)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각 흡인 블로어(18A~18C)의 흡인력이,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의 단위 면적당 중량에 근거하여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흡인력의 조정에 의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이 다른 다양한 길이의 골판지 시트(100a)를 피드 롤러(11b)로 충분히 끌어당길 수 있어, 안정된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는, 시트 폭 방향(W)을 따라 복수의 석션 박스(16N1~16N8, 21AN1~21AN8, 21BN1~21BN8)가 마련됨과 함께, 골판지 시트(100a)의 폭 치수에 따라, 시트 폭 방향(W)으로 나열된 석션 박스(16N1~16N8, 21AN1~21AN8, 21BN1~21BN8)에 대한 흡인력의 공급을, 셔터 부재(30)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폭 방향(W)을 따라 마련된 석션 박스(16N1~16N8, 21AN1~21AN8, 21BN1~21BN8) 중, 작동시키는 석션 박스를 골판지 시트(100a)의 시트 폭 치수에 따라 과부족 없이 설정할 수 있다.
〔2.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5)에 대하여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제함기는, 급지부를 제외하고, 도 1~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 1~도 6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1.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5)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와 다른 점은,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수용되는 피드 롤러 집합체(11)가 1열인 점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와 동일하게, 상기의 거리 L1, L2가, 최소 길이 Lmin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L1≤Lmin, L2≤Lmin).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리 L1, L2 모두 최소 길이 Lmin과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L1=Lmin, L2=Lmin).
그 외의 급지 장치(25)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급지 장치(2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2. 작용·효과〕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5)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24)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의 최대 중량이나 평량 등의 특성에 따라서는,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 내의 피드 롤러 집합체(11)의 수를 1열로 억제해도 충분한 반송력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부품 점수 등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본 실시형태가 유효해진다.
또, 피드 롤러(11b)의 치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피드 롤러 집합체(11)의 수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적어진 만큼, 하류 측 석션부(21A) 및 보조 석션부(21B)를 소형화하기 쉬워, 최소 길이 Lmin이 짧아져도 상기의 거리 L1, L2를 최소 길이 Lmin 이하로 설정하기 쉽다.
〔3. 그 외〕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형 혹은 생략 혹은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예를 들면, 누름롤(19) 대신에, 판 스프링이나 에어 블로를 채용하여, 반송되는 골판지 시트(100a)를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흡인 블로어(18A, 18B, 18C)의 출력을 제어부(20)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조정했다. 이에 대하여, 흡인 블로어(18A, 18B, 18C)와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를 연결하는 덕트(17A, 17B, 17C)에 각각 댐퍼를 장착하고, 이들 댐퍼의 개방도를, 제어부(20)로부터의 지령, 혹은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상류 측 석션부(16), 하류 측 석션부(21A), 보조 석션부(21B)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조정해도 된다. 댐퍼의 개방도를 제어부(20)가 제어하는 경우는, 댐퍼와 제어부(20)가 본 발명의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댐퍼를 조정하는 경우는, 댐퍼가 본 발명의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성한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측 반송부(24B)에, 하류 측 석션부(21A)와 보조 석션부(21B)의 2개를 마련했지만, 하류 측 반송부(24B)에 석션부를 1개만 마련해도 되고, 3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4)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피드 롤러(11b)를 돌출시키는 개구부(21a)를, 골판지 시트(100a)에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흡인구로서도 사용했지만, 흡인구를 개구부(21a)와는 별도로 마련해도 된다.
1 급지부(시트 처리부)
2 인쇄부(시트 처리부)
3 배지부(시트 처리부)
4 다이컷팅부(시트 처리부)
5 폴더 글루어부(시트 처리부)
6 카운터 이젝터부(시트 처리부)
11b 피드 롤러
12 프런트 가이드
13 백스톱
14 급지 테이블
15 송출 롤러 집합체
15a 회전축
15b 송출 롤러
16 상류 측 석션부
16N1~16N8, 21AN1~21AN8, 21BN1~21BN8 석션 박스
16a 그레이트
16b 개구부
17A, 17B, 17C 덕트
18A, 18B, 18C 흡인 블로어
19 누름롤
20 제어부
21A 하류 측 석션부
21B 보조 석션부
21a 개구부
21b 개구부(21a)의 하류단
22 반송 컨베이어 벨트
24, 25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30 셔터 기구
30a 에어 실린더
30b 셔터 부재
100 골판지 상자
100a 골판지 시트
CL1, CL2 송출 롤러(15b)의 축심
L1 개구부(21a)의 하류단(21b)과 송출 롤러(15b)의 축심 CL1과의 거리
L2 개구부(21a)의 하류단(21b)과 피드 롤러(11b)의 축심 CL2와의 거리
Lmin 골판지 시트의 최소 길이

Claims (13)

  1. 상면에 재치된 골판지 시트를 송출하는 복수의 송출 롤러를 갖고, 상기 송출 롤러에 재치된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상류 측 반송부와,
    상기 상류 측 반송부에 대하여 시트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인접하며, 상기 상류 측 반송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골판지 시트를 상기 하류 측의 시트 처리부로 반송하는 하류 측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 측 반송부는,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여 개구부를 갖는 하류 측 석션부와,
    상기 하류 측 석션부에 수용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시트 반송 경로 측으로 돌출되는 피드 롤러를 가짐과 함께,
    상기 개구부의 상기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단과,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 중 상기 시트 반송 방향 최하류 측의 상기 송출 롤러의 축심과의 상기 시트 반송 방향 거리가, 상기 시트 처리부의 상기 골판지 시트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러의 상호 간 거리에 있어서의 최대 거리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반송부가, 상기 피드 롤러의 상방에, 송출된 상기 골판지 시트의 상면을 규제하는 누름 기구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 기구가, 반송 중인 상기 골판지 시트의 상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공동부를 구비한 누름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가, 상기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가, 추가로 상기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고, 또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가 복수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복수의 피드 롤러의 각 위치에 맞추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피드 롤러가, 상기 외주면의 일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반송부가,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기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 반송 경로에 면하여 개구부를 갖는 보조 석션부와,
    상기 보조 석션부에 수용되어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시트 반송 경로로 돌출되는 피드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류에 상류 측 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석션부, 상기 하류 측 석션부 및 상기 보조 석션부에는, 각각 흡인 블로어가 독립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류에 상류 측 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석션부, 상기 하류 측 석션부 및 상기 보조 석션부에는 각각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8을 인용하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흡인 블로어의 흡인력이, 반송되는 상기 골판지 시트의 단위 면적당 중량에 근거하여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11. 청구항 8, 청구항 8을 인용하는 청구항 9 및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류에 상류 측 석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 측 석션부, 상기 하류 측 석션부 및 상기 보조 석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석션부에는, 상기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석션 박스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복수의 석션 박스와 상기 흡인 블로어를 접속하는 각 경로에는, 상기 경로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12. 청구항 8, 청구항 8을 인용하는 청구항 9,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반송부는,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의 상측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높은 상승 위치에서는 최하층의 상기 골판지 시트를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상측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낮은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최하층의 골판지 시트를 상기 송출 롤러에 접촉시키는 그레이트와,
    상기 그레이트를 상기 상승 위치와 상기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상류 측 석션부와 상기 하류 측 석션부에는 각각 흡인력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조정 수단은, 적어도 상기 하류 측 석션부의 상기 흡인력을, 상기 상류 측 석션부의 상기 흡인력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13. 골판지 시트를 1매씩 급지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골판지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에 의하여 인쇄된 골판지 시트에 홈 절삭 및 괘선 가공하는 배지부와,
    상기 홈 절삭 및 상기 괘선 가공된 골판지 시트에 펀칭 가공을 하는 다이컷팅부와,
    상기 다이컷팅부에 의하여 가공된 골판지 시트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절곡 가공을 하여 시트상의 골판지 상자를 형성하는 폴더 글루어부와,
    상기 폴더 글루어부에 의하여 가공된 상기 골판지 상자를 계수하면서 적중하는 카운터 이젝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지부에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1020197022950A 2017-02-10 2018-02-08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 Ceased KR20190103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3229A JP6805016B2 (ja) 2017-02-10 2017-02-10 段ボールシートの給紙装置および製函機
JPJP-P-2017-023229 2017-02-10
PCT/JP2018/004304 WO2018147350A1 (ja) 2017-02-10 2018-02-08 段ボールシートの給紙装置および製函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312A true KR20190103312A (ko) 2019-09-04

Family

ID=6310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50A Ceased KR20190103312A (ko) 2017-02-10 2018-02-08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23603A1 (ko)
EP (1) EP3556693B1 (ko)
JP (1) JP6805016B2 (ko)
KR (1) KR20190103312A (ko)
CN (1) CN110198905B (ko)
WO (1) WO2018147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5423A1 (en) * 2018-02-26 2019-08-29 Sun Automation, Inc. No-feed-roll corrugated board or paperboard sheet feeder retrofit apparatus and method
US11584010B2 (en) 2018-12-19 2023-02-21 Pearson Packaging Systems Knocked-down case inspection and erection method
CN110356098A (zh) * 2019-07-09 2019-10-22 广东拓品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印刷用陶瓷轮
US11325799B2 (en) * 2019-09-13 2022-05-10 Xerox Corporation Interdigitated vacuum roll system for a cut sheet printer dryer transport
CN111572097A (zh) * 2020-06-11 2020-08-25 深圳市科发机械制造有限公司 同步带传送结构与加工设备
CN112406174B (zh) * 2020-11-11 2022-11-01 苏州市相城区永浩纸业有限公司 瓦楞纸箱的自动化生产线
JP7187055B2 (ja) * 2021-02-22 2022-12-12 株式会社上田紙工機 シート搬送装置
CN113246535B (zh) * 2021-04-01 2022-11-22 宁波中和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纸箱的无墨印刷工艺
CN116374681B (zh) * 2023-04-23 2025-06-13 常州汉威信科技股份有限公司 多联纸张辊组部件、多联纸张辊组装置及其工作方法
WO2024246023A1 (en) * 2023-06-02 2024-12-05 Bobst Lyon Feeder module for a convert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691A (ja) 1990-09-11 1994-08-16 Ward Holding Co Inc 段ボールのシート給送装置
JPH09295719A (ja) 1996-04-30 1997-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板紙の給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669A (en) * 1972-06-15 1975-01-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Apparatus for feeding sheet-like articles from a stack of articles
JPS6064932U (ja) * 1983-10-13 1985-05-08 株式会社リコー 原稿自動給紙装置
US5531432A (en) * 1988-10-13 1996-07-02 Sardella; Louis M.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JP2887041B2 (ja) * 1993-03-12 1999-04-26 株式会社タクミ精工 紙送り装置
JPH0768835A (ja) * 1993-09-06 1995-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EP0773177A3 (en) * 1995-11-08 1997-10-29 Martin Family Trust Vacuum conveyor
DE19724733C2 (de) * 1997-06-12 2001-10-04 Roland Man Druckmasch Bogenzuführeinrichtung
JPH11314785A (ja) * 1998-05-07 1999-11-16 Mitsubishi Heavy Ind Ltd 段ボールシートの給紙装置
KR20070067897A (ko) * 2005-12-26 2007-06-29 씨앤에스 (주) 타발기 자동급지장치
JP4858587B2 (ja) * 2009-08-31 2012-0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342495B2 (ja) * 2010-04-15 2013-11-13 株式会社梅谷製作所 段ボールシート印刷機
CN101935959B (zh) * 2010-08-09 2012-12-05 青岛美光机械有限公司 伺服压边送纸机
CN202321704U (zh) * 2011-12-09 2012-07-11 福州兆科智能卡有限公司 个性化卡片自动摆卡装置
EP2639190B1 (en) * 2012-03-16 2017-07-19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handling apparatus
JP2014156322A (ja) * 2013-02-15 2014-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ガイドの振動抑制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給紙装置並びにこれを有する製函機
CN204021995U (zh) * 2014-05-08 2014-12-17 江阴比图特种纸板有限公司 一种纸板自动进料机
JP6106644B2 (ja) * 2014-08-29 2017-04-05 昌弘 塚崎 給紙装置
US9522798B2 (en) * 2015-04-30 2016-12-20 Theodore Michael Baum Corrugated paperboard box converting machine retrofit for eliminating edge crush test degrad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691A (ja) 1990-09-11 1994-08-16 Ward Holding Co Inc 段ボールのシート給送装置
JPH09295719A (ja) 1996-04-30 1997-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板紙の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8905A (zh) 2019-09-03
US20200023603A1 (en) 2020-01-23
EP3556693A1 (en) 2019-10-23
JP6805016B2 (ja) 2020-12-23
EP3556693A4 (en) 2020-01-22
EP3556693B1 (en) 2021-06-30
CN110198905B (zh) 2021-02-26
WO2018147350A1 (ja) 2018-08-16
JP2018127351A (ja)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3312A (ko) 골판지 시트의 급지 장치 및 제함기
EP0479417B1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of corrugated paperboard
JP3025333U (ja) 殊に鱗状に重ねられた枚葉紙の流れを枚葉紙処理機械へ搬送する装置
EP0379306B1 (en) Apparatus for feeding boards or sheets from a stack
EP0081623B1 (en) Feeding apparatus for paperboard sheets
CN109195784B (zh) 纸板折叠装置及制盒机
EP0464281A2 (en) Conveyor system for feeding blanks, sheets or the like
JP7246128B2 (ja) 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製函機
JP6553995B2 (ja) 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製函機
US8960663B2 (en) Sheet feeder with two suction wheels
US7516952B2 (en) Feeder for a punching of embo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JP6873260B2 (ja) シート折り畳み装置及び製函機
JPH11156796A (ja) シート材料の打抜き方法および装置
JPH09194058A (ja) ボトムフィーダ
JP5294897B2 (ja) 紙受け装置における紙受け処理方法
WO2016024410A1 (ja) カットオフ装置及びシート加工装置
JP3581529B2 (ja) 印刷部のシート搬送装置
JP4294031B2 (ja) ロールフィーダ
JPH085963Y2 (ja) 給紙装置
JP4247141B2 (ja) 印刷部のシート搬送装置
WO2010047376A1 (ja) 印刷機の排紙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H08259017A (ja) シート状材の給紙装置
JPH072385B2 (ja) 段ボ−ル箱成形用スロッタ装置
JPH04182236A (ja) シート給紙装置
JPH01192641A (ja) サクション付ロール形式のシート搬送機構及びダンボールシート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21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8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