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3058A - 특히 메이크업 용도의 화장품을 위한 쌍방향 케이싱 - Google Patents

특히 메이크업 용도의 화장품을 위한 쌍방향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058A
KR20190103058A KR1020190022973A KR20190022973A KR20190103058A KR 20190103058 A KR20190103058 A KR 20190103058A KR 1020190022973 A KR1020190022973 A KR 1020190022973A KR 20190022973 A KR20190022973 A KR 20190022973A KR 20190103058 A KR20190103058 A KR 20190103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upport
cosmetic
cover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세귄
멜로디 바진발
에미르 에진나
에티엔 브리에르
Original Assignee
알베아 서비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베아 서비시즈 filed Critical 알베아 서비시즈
Publication of KR2019010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05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8Pocket toiletry etui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 이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는 수단(62)에 접근 가능함 -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12) 및 커버(14)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10)을 제안하며, 상기 케이싱(10)은, 커버(14)가 적어도 표시 수단(5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12)가 상기 지지 수단(62)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을 포함하는 점 및 상기 지지 수단(62)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에 장착될 때 적어도 상기 지지를 위한 수단(62)과 일체인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항목을 판독할 수 있는 비접촉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70)가 케이싱(10)에 포함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히 메이크업 용도의 화장품을 위한 쌍방향 케이싱{INTERACTIVE CASING FOR A COSMETIC PRODUCT, IN PARTICULAR FOR MAKE-UP}
본 발명은 특히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품용 쌍방향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및 하나의 커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들), 특히 하지만 독점적이지 않은 메이크업 제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케이싱의 다수의 예가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때로는 "콤팩트(compact)"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케이싱은 특히 케이싱에 포장된 화장품(들)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상(원형, 평행육면체 등)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케이싱은 일반적으로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의 보호를 보장함으로써 쉽게 운반될 수 있도록 의도되며, "컴팩트"라는 명칭이 부여된다.
케이싱은 특히 얼굴을 꾸미는데 사용되는 볼연지, 파우더 또는 다른 유사한 제품 같은 메이크업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다수의 케이싱은 커버 내부에 수용된 미러뿐만 아니라 때로는 스펀지, 브러시 등과 같은 제품 도포기도 포함한다.
특히 포장되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케이싱 설계가 요즘 추구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 이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는 수단에 접근 가능함 -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을 제안하며, 상기 케이싱은, 커버가 적어도 표시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가 상기 지지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점 및 상기 지지를 위한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에 장착될 때 적어도 상기 지지를 위한 수단과 일체인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항목을 판독할 수 있는 비접촉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가 케이싱에 포함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전자 유형의 표시 수단은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의 지지를 위한 수단과 연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항목 또는 항목들과 관련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는 수단은 유리하게는 제거가능하고 교체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싱은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재충전물을 마음대로 그리고 완전히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재충전물을 형성하는 지지를 위한 다양한 수단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수단의 변경은, 예를 들어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의 종류 및/또는 색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욕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또는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완전한 사용 후의 케이싱의 재충전 필요성에 의해 동기부여된다.
지지 수단과 일체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로 인해, 지지 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지지 수단에 수용되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과 관련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항목 또는 항목들을 내장식으로 탑재하기 쉽다.
따라서, 케이싱의 베이스에서의 사용 위치에 장착되는 각각의 새로운 지지 수단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항목 또는 항목들의 판독 후에 정보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특히 하지만 독점적이지 않게,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 사용 권장 등에 기초할 수 있거나, 연관된 서비스의 제안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정보 또는 서비스는 케이싱의 커버가 포함하는 표시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유리하게는, 표시 수단은 "스마트폰" 타입의 휴대 전화 중 하나 같은 바람직하게는 터치-감응성인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표시 수단은 예를 들어 정보 및/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NFC에 의해 형성되는 데이터 지원부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항목의 사용을 쉽게 행하게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쌍방향 케이싱은 새로운 가능성 및 다수의 장점을 제공하며, 이는 화장품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제조자 및/또는 판매자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으로 인해, 또한 특히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의 사용과, 새로운 제품 또는 트렌드(브랜드의 최신 혁신 등)에 대한 다수 항목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특히 케이싱에 사용되는 화장품 및/또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눈, 피부의 색 등)에 따른 제품을 선택을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린 및 튜토리얼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를 들어 다양한 화장품의 범위로부터 사용자의 식별된 요구,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의 적용에 대한 권장과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품을 선택하기 위한 권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쌍방향 케이싱은, 케이싱 자체가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무선 연결, 예를 들어 Wi-Fi 연결의 개입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통신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 수단에 통합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케이싱은, 그 터치-감응성 스크린이 표시 수단을 형성하며, 무선 연결, 더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상술한 것 같은 많은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쉬운, 스마트폰 타입의 휴대 전화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따라서, 케이싱이 스크린과 연관된 카메라를 포함할 때, 사용자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품으로 메이크업을 적용한 후에 자기 사진(또는 "셀카")를 찍고 그후 그러한 경험을 인터넷,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에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싱이 휴대 전화를 포함하는 경우, 휴대 전화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감응성 스크린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화장품을 주문하고, 이는 주문한 화장품이 그들의 선택 위치, 예를 들어 그들의 집으로 직접 배달되게 하는 가능성 같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은 표시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 같은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는 케이싱의 커버에 대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그들의 개인 휴대 전화를 케이싱의 커버에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케이싱에는 커버가 휴대 전화와 같은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때 표시 수단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휴대 전화는 오늘날 매순간 사용되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점점 증가하는 양의 서비스가 제안되는 필수적인 장치가 되었다.
유리하게는, 케이싱은 또한 브랜드에 대한 사용자의 충성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화장품의 사용자와의 더 양호한 접촉을 확립하는 가능성을 부여함으로써 화장품의 브랜드에 대해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인터넷과 관련되는 케이싱의 사용은 특히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사이의 정보 교환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 대해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기 쉽다.
쌍방향 케이싱은 또한 판매, 제조, 화장품 재고의 관리에 이르기까지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브랜드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성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안하며, 상기 지지를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지 수단은 적어도 케이싱에 통합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는 바람직하게는 NFC 타입의 태그로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케이싱을 위해 의도된 재충전물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포함하는 지지 수단이 제안되며, 이로 인해 케이싱은 일회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수단은 제거가능하고;
- 케이싱은 상기 교체가능 지지 수단의 하우징 외부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출을 보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는, 베이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 및 커버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본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 케이싱은 힌지작용 수단이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커버와 베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를 형성하기 위해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힌지작용 수단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리본 커넥터를 위해 의도된 통로를 갖도록 구성되고;
-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제1 부분은 지지 수단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와 통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제2 부분은 적어도 표시 수단과 통신할 수 있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는 NFC 타입의 태그이고;
- 케이싱은 커버와 지속적으로 일체이거나 상기 커버에 대해 제거가능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며;
- 표시 수단은 전자 장치, 특히 휴대 전화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며, 그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케이싱의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그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하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케이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면 평면 III-III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하며, 도 1에 따른 케이싱의 베이스와 커버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표시 수단 및 지지 수단의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 4는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하며, 케이싱의 베이스와 연관된 하우징에의 장착 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 5는, 도 4와 유사한, 개방 위치에 있는 케이싱을 도시하며, 베이스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후의, 사용 위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 6은, 도 5에 따른 개방 위치에 있는 케이싱을 도시하며, 도 1에 따른 케이싱의 베이스와 커버의 내부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표시 수단 및 지지 수단의 배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 7은, 도 1에 따른 케이싱 및 트림 부분을 투명하게 도시하며, 케이싱의 힌지를 형성하는 힌지작용 수단의 높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2개의 부분을 연결하는 리본 커넥터를 위해 배치되는 통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 8은 도 7에서 제거된 트림 부분을 도시하며, 특히 리본 커넥터를 위한 상기 통로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노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도시된 삼면체(L, V, T)에 관련한 종방향, 수직방향 및 횡방향 배향은 비제한적으로 채택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케이싱의 커버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 배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 배향은 케이싱의 베이스에 대해 고정된 방식으로 결정된다.
삼면체(L, V, T)의 수직방향 배향과 관련한 "상위" 및 "하위"라는 용어의 사용은 비제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내부 또는 내측" 및 "외부 또는 외측"이라는 용어는 각각 케이싱과 관련해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요소를 지칭한다.
다시 통상적으로,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삼면체(L, V, T)의 종방향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케이싱은 케이싱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작용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한 커버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한 회전을 통해 개방되며,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삼면체(L, V, T)의 횡방향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실시되는 화장품용 케이싱(10)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의 예에 따르면, 케이싱(10)은 비제한적으로 대체적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화장품용 케이싱(10)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도 2)와 개방 위치(도 5)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12)와 하나의 커버(14)를 포함한다.
케이싱의 폐쇄 위치는 케이싱에 수용된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이 특히 그 운반을 위해 보호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개방 위치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이 특히 그 사용을 위해 접근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2)는 2개의 부분, 각각 외부 부분(16) 및 내부 부분(18)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2)의 외부 부분(16)은 에지(17)에 의해 경계부에서 한정되는 대체적 쉘 형상(shell shape)을 갖는다. 내부 부분(18)은 외부 부분(16) 내측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유리하게는, 베이스(12)를 이렇게 2개의 부분(16, 18)으로 생산하는 것은 각 부분의 재료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외부 부분(16)은 케이싱(10)의 저부를 형성하며, 상기 부분(16)은 예를 들어 미적 측면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특히 금속화 유형의 특정 마무리를 부여하기 위해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내부 부분(18)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14)는 2개의 부분, 각각 외부 부분(22) 및 내부 부분(2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버(14)의 외부 부분(22)은 특히 케이싱(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볼 수 있는 케이싱(10)의 상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다.
내부 부분(24)은 에지(23)에 의해 주변부에서 한정되는 쉘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조립 후, 외부 부분(22)과 내부 부분(24)은 함께 내부 캐비티(26)를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외부 부분(22)과 내부 부분(24)은 힌지작용 수단(28)을 통해 서로에 대해 관절식으로 장착된다.
실시예에서, 힌지작용 수단(28)은 내부 부분(24)과 일체인 2개의 러그(29)와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외부 부분(22)과 일체인 한 쌍의 아암(27)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암(27)과 러그(29)는 피벗팅에 의해 힌지작용 수단(28)을 형성하며, 각각 그들 사이에 자유 공간인 유격을 중심에 남기도록 횡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에서 외부 부분(22)과 내부 부분(24) 사이에서 힌지작용하기 위한 수단(28)은 베이스(12)에 연결되도록 의도되는 커버(14)의 단부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힌지작용 수단(28)은 예를 들어, 후술되는 케이싱의 회전축(O)에 수직인 피벗축을 갖도록 부분(22 및 24)의 2개의 다른 에지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커버(14)는 외부 부분(22)과 내부 부분(24)을 함께 가역적으로 체결하도록 의도된 체결 수단(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수단(30)은 커버(14)의 다른 단부에서 힌지작용 수단(28)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체결 수단(30)은 예를 들어 자석 또는 함께 연동하는 상보적 형상의 수단에 의해, 마찰 또는 탄성 네스팅(nesting)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동등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힌지작용 수단(28)으로 인해, 외부 부분(22) 및 내부 부분(24)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가동적으로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내부 부분(24)에 대해 외부 부품(22)을 일시적으로 분리, 특히 조금 열리게 하여 커버(14)에 배치된 내부 캐비티(26)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내부 부분(24)은 여기서는 직사각형 형상인 창(32)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부분(24)은 여기서는 원형인 개구(34)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커버(14)와 베이스(12) 사이에 힌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힌지작용 수단(40)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힌지작용 수단(40)은 커버(14)와 베이스(12)가 케이싱의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힌지작용 수단(40)은 제2 고정부(38) 사이에서 중앙에 장착되는 제1 가동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36) 및 제2 부분(38)은 상기 힌지를 형성하도록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핀은 예를 들어 제1 가동부(36)의 적어도 하나의 보어(35) 및 제2 고 정부(38)의 보어(37)를 통해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금속 로드(rod)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싱(10)을 힌지작용시키기 위한 수단(40)은 여기서는 상기 제1 부분(36) 및 제2 부분(38)을 서로에 대해 연결하는 상기 핀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회전축(O)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동부(36)는 커버(14)의 내부 부분(24)과 일체이며, 제2 고정부(38)는 베이스(12)의 외부 부분(16)과 일체이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커버(14)와 베이스(12) 사이를 힌지작용시키기 위한 수단(40)에 배치된, 특히 이것들을 감추도록 의도된 트림 부분(42)을 포함한다.
트림 부분(42)은 힌지작용을 위한 수단(40)의 제1 가동부(36)와 연동하여 그들 사이에 통로(44)를 형성하는 목적을 갖는 공간을 배치한다.
트림 부분(42)은 함께 연동하도록 의도된 연결 수단(46 및 48)을 거쳐 힌지작용 수단(40)의 제1 가동부(36)에 연결된다.
트림 부분(42)은 도 8에서 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도 7을 참조할 것이다.
연결 수단(46 및 48)은 예를 들어 제1 부분(36)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수형 요소(46), 및 수형 요소(46)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트림 부분(42)에 제공되는 한 쌍의 암형 요소(4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동부(36)의 상기 수용 요소(46)는 도 7에서 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을 갖는다.
트림 부분(42)의 한 쌍의 암형 요소(48)는 상기 부분(42) 내에 배치되는 노치(50)를 또한 도시하는 도 8에서 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트림 부분(42)의 노치(50)는 힌지를 형성하는 힌지작용 수단(40)에 배치되는 통로(44)를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커버(14)의 내부 부분(24)은 제1 가동부(36) 아래에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52)을 포함한다.
통로(44) 및 슬롯(52)의 기능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10)은 케이싱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 수단(54)을 포함한다. 파지 수단(54)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오목부(54)는 커버(14)의 폐쇄 위치에서 병치되는 2개의 부분, 각각 베이스(12)의 외부 부분(16)의 에지(17)에 구비되는 하나의 부분(53) 및 커버(14)의 외부 부분(22)의 에지(23)에 구비된 다른 부분(55)으로 분할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횡 방향을 따라 각 측면에 오목부(54)를, 즉 좌측에 하나 및 우측에 다른 하나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에 의해 케이싱을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적어도 표시 수단(56)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버(14)는 적어도 그러한 표시 수단(5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수단(56)은 커버(14),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 부품(22)과 내부 부품(23)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26)에 배치되도록 의도된다.
케이싱(10)의 표시 수단(56)은 유리하게는 터치-감응성 스크린인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적어도 상기 표시 수단(56)과 통신할 수 있는 카메라와 같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5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 수단(56)은 케이싱(10)의 상기 커버(14)에 대해 제거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크린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 수단(56)은 커버(14)에 체결되어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스크린(56)을 영구적으로 통합하는 이러한 케이싱(10)의 대안에서, 전술된 힌지작용 수단(28)은 유리하게 제거되고, 그리고 체결 수단(30)은 외부 부분(22)과 내부 부분(23)을 함께 체결하는 기능을 하며, 획득된 체결은 반드시 가역적일 필요는 없다.
힌지작용 수단(28)에 의해, 외부 부분(22)과 내부 부분(23)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표시 수단(56)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그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캐비티(26)에 접근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표시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56)은 전자 장치(60), 특히 "스마트폰" 타입의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에 속한다.
예에서, 케이싱(10)의 커버(14)는 전화(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전화(60)는 캐비티(26)에 수용되며, 여기서 제위치에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전화(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응성 스크린(56) 및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상기 수단(58)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싱(10)의 개방 위치에서, 스크린(56)은 커버(14)의 내부 부분(24)의 창(32)을 통해 볼 수 있고 접근가능하다.
개구(34)는 사진 촬영을 위해 상기 수단(58)과 일치하도록 위치되는 커버(14)의 내부 부분(24) 상에 위치된다.
커버(14)에 통합되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58)으로 인해, 스크린(56)은 특히 사용자가 메이크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을 지지하는 수단(62)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지지 수단(62)은 상기 수단(62)이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거가능하다.
도 1 및 이하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지지를 위한 이러한 수단(62)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지지를 위한 수단(62)은 (컵(66) 중 하나에서만) 점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장품(64)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4개의 컵(66)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지지를 위한 수단(62)은 하나의 단일 컵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소를 포함한다.
지지 수단(62)은, 상기 지지 수단(62)의 구조가 화장품의 유형에 적합하고, 특히 그 저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이는 예를 들어 연지 또는 파우더 같은 동일한 유형이지만, 메이크업 팔레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컵(66)의 각각의 하나에 상이한 색조(또는 색체)를 갖는 화장품(64)일 수 있다.
지지 수단(62)은 케이싱(10)의 베이스(12)의 중간부(18)의 하우징(20)에 장착되도록 의도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수단(62)은 제거가능하거나, 하우징(20)에 장착되기 쉽거나, 하우징(20)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수단(62)은 내부 부품(18)에 의해 조정되는 네스팅에 의해 하우징(20) 내의 사용 위치에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케이스(10)의 베이스(12)는 도 5에 도시된 사용 위치에 상기 지지 수단(62)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수단(62)과 베이스(12)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62)은 사용자에 의해, 특히 변경 또는 갱신될 목적으로 케이싱(10)으로부터 제거되기 쉽다.
사용자는 실제로 지지 수단(62)의 컵(66) 내에 존재하는 화장품(64) 중 적어도 하나가 완전히 사용될 때 다양한 이유로, 예를 들어 케이싱(10)을 재충전하기 위해 상기 지지 수단(62)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을 포함하는 제위치에 설치된 새로운 지지 수단(62)은 케이싱(10)을 위한 재충전물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또한 단순히 다른 유형의 화장품(64)을 사용하기 위해 또는 또한 그녀의 필요에 따라 다른 색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수단(62)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상이한 색조뿐만 아니라 지지 수단(62)의 각각을 갱신하기 위한 개별 재충전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일련의 수개의 지지 수단(62)과 함께 판매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지지를 위한 수개의 수단(62)이 케이싱(10)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 수단이 저장될 수 있는 분배기가 제안되며, 이들 지지 수단(62)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이미 사용되었거나 사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지지 수단(62)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약자)에 의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태그"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그리고 비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여기서 이 용어는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 "칩" 또는 "태그"의 용어도 포함한다.
NFC 기술은 단거리 및 고주파 무선 통신 기술이며, 다양한 호환가능 수단 사이에서 정보가 교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RFID 라벨("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이다.
사실, RFID 기술이나 BLE 기술(Bluetooth Low Energy)과 같은 NFC 기술 이외의 무선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을 포함하는 지지를 위한 상기 수단(62)과 일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태그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예를 들어 지지 수단(62) 아래에 체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지지 수단(62)에 체결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와 지지 수단(62)은 따라서 하나의 단일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예를 들어, 지지를 위한 상기 교체가능 수단(62)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과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10)은 상기 지지 수단(62)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에, 즉 사용 위치에 장착될 때 적어도 지지 수단(62)과 연관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는 비접촉식이며,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를 형성하는 NFC 태그를 판독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는 어떠한 전기적인 에너지의 공급 없이도, 특히 배터리 없이 동작한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는 베이스(12)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72) 및 커버(14)에 배치되는 제2 부분(74)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72 및 74)은 적어도 하나의 리본 커넥터(76)에 의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리본 커넥터(76)는 제1 부분(72) 및 제2 부분(74)을 케이싱(10)의 힌지작용 수단(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거나 반강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작용 수단(40)은 도 7에서 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본 커넥터(76)가 수용되는 통로(44)를 갖도록 구성된다.
트림 부분(42)뿐만 아니라, 통로(44)는 리본 커넥터(76)를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볼 수 없도록 리본 커넥터(76)를 내부로부터 완전히 감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리본 커넥터(76)는 통로(44)의 중심, 즉 횡방향으로 힌지작용 수단(40)의 제1 가동부(36)와 일체인, 트림 부분(42)과 연결되는 수단의 수형 요소(4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리본 커넥터(76)는 트림 부분(42)이 포함하는 대면 노치(50)로 인해, 특히 케이싱(10)을 폐쇄 및 개방하기 위한 취급 중에 손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공간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리본 커넥터(76)는 사용자가 결코 볼 수 없도록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며, 이는 심미적인 케이싱(10)을 얻는 것을 돕는다.
리본 커넥터(76)는 처리 장치(70)의 제2 부분(74)에 연결되도록 커버(14)의 내부 부분(24)의 횡방향 슬롯(52)을 통과한다.
방금 기술된 다양한 특성으로 인해, 리본 커넥터(76)는 케이싱(10) 내에 통합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정확한 동작 중의 임의의 열화로부터 보존된다.
유리하게는, 처리 장치(70)의 제1 부분(72) 및 제2 부분(74)은 평평하며, 각각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 및 제2 부분(74)은 케이싱의 일반적인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케이싱(10) 내에 각각 통합된다.
도 3 및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분(72)은 베이스(12)의 외부 부분(16)과 중간 부분(18)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1 부분(72)은, 사용 위치에 있는 지지 수단(62)이 장착되는, 중간 부분(18)의 하우징(20)(여기서는 하우징(20) 전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아래에 연장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1 부분(72)은 적어도 상기 지지 수단(62)과 일체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를 판독할 수 있으며, 더 일반적으로는 그것과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부분(74)은 유리하게는 외부 부분(22)과 표시 수단(56)의, 여기서는 전화(60)의 후방부 사이, 즉 스크린의 반대측에서 연장된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은 지지 수단(6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2 부분(74)은 바람직하게 전화(60)에 통합되고 NFC 기술을 사용하는 표시 수단(56)과 연관된 호환가능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의 지지 수단(62)의 사용 위치에서 그리고도 3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 위에 그리고 제1 부분으로부터 매우 짧은 거리에 배치된다.
실제로, 데이터 지원부(68)와 장치(70)의 제1 부분(72)을 분리시키는 공간은 수 밀리미터 정도이며, 여기서는 베이스(12)의 내부 부분(18)의 저부의 벽의 두께에 대응한다.
제1 부분(72)은 적어도 데이터 지원부(68)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들의 항목을 판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지원부(68)를 판독하는 동작은 처리를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에 의해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처리를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은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을 수용하는 지지 수단(62)의 각각의 변화 후에 적어도 하나의 판독 동작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장치(70)의 제1 부분(72)은 또한 데이터 지원부(68)에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기입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처리 장치(70)의 제1 부분(72)에 의해 데이터 지원부(68)에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항목을 기입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 지원부(68)와 일체인 지지 수단(62)의 제1 사용일 또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의 가정된 제1 사용일 같은 데이터를 그 내부에 보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 빈도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고, 상기 데이터 항목은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것들에 대응하는 제품을 제안하는 것에서부터 재충전물(들)의 주문을 제시하는 것 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를 위한 장치(70)의 제2 부분(74)은 적어도 상기 제1 부분(72)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의 항목들의 항목을 예를 들어 NFC 기술을 사용하고 여기서는 전화(60)에 유리하게 통합되는 표시 수단(56)과 연관된 호환가능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부분(72)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2 부분(74)과 같이, 각각이 지지 수단(62)과 일체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 및 적어도 상기 표시 수단(56)과 각각 통신하게 하는 수단으로부터 매우 짧은 거리에 배치된다.
NFC 기술은 데이터 교환이 케이싱(10)에서의 판독 및/또는 기입으로서 수행될 수 있는 매우 짧은 거리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는 케이싱(10) 내에 완전히 통합되며, 제1 부분(72)은 제2 부분(74)과 마찬가지로 케이싱(10)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관계 없이 사용자가 볼 수 없다.
유리하게는, 제1 부분(72)은, 중간 부분(18)에 의해 특히 예를 들어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로부터 오는 오물로부터 보호된다.
지지 수단(62)의 하우징 (20) 외부로의 제거 및 따라서 그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케이싱(10)의 베이스(12)는 유리하게는 추출을 보조하는 수단(78)을 포함한다.
보조 수단(78)은, 상기 지지 수단(62)과 선택적으로 연동하도록 의도되는, 레버를 형성하는 추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 부재(80)는 적어도 하나의 휴지 위치와 추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여기서 상기 추출 부재(80)는 상기 지지 수단(62)과 연동하여 그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상기 하우징(20) 외부로 상승시켜 그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이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에 의한다.
이 예에서, 보조 수단(78)은 케이싱(10)의 전방에, 즉 힌지작용 수단(40)의 반대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보조 수단(78)은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의 일반적인 미관을 보존하도록 베이스(12)에 통합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 부재(80)는 예를 들어 휴지 위치와 추출 위치 사이에서 각각 도 3에 도시된 횡축(A)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보조 수단(78)을 추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재(80)는 제어 부재(82)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어 휴지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의 그 이동, 여기서는 피봇을 일으킨다.
제어 부재(82)는, 예를 들어 이 목적을 위해 내부 부분(18) 내에 그리고 상기 부재(82)가 유리하게는 약간 돌출하는 표면에 대해 배치되는 개구부(84)에 의해 접근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푸시 버튼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 부재(82)는, 수직 하방으로 추력을 적용함으로써 작동되고, 상기 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용된다.
따라서, 제어 부재(82)는 이러한 목적으로 클리어링(clearling)을 갖는 베이스(12)의 내부를 향해 수직으로 활주하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제어 부재 (82)는 휴지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의 축(A)을 중심으로한 피봇을 일으키도록 이동이 연동되는 추출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재(80)에 작용할 것이다.
휴지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의 추출 부재(80)의 이동은 상승을 일으키도록 지지 수단(62)에 적용되는 추력을 동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 부재(80)(또는 제어 부재 (82))는, 그것을 휴지 및 추출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유리하게는 상기 휴지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 복귀의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 부재(80)는 그들이 베이스(12)의 하우징(20) 내로 도입될 때 새로운 지지 수단(62)에 의해 휴지 위치로 복귀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비접촉식 에너지 전달 기술에 의해, 예를 들어 유도에 의해 전기적으로 동력을 공급 받기 쉽다.
다양한 비접촉식 에너지 전달 솔루션이 있으며, QiTM (등록 상표)의 비제한적인 예를 언급해야 한다.
이러한 비접촉식 에너지 전달 기술의 사용으로 인해, 예를 들어 특히 표시를 위한 수단(56)이 커버(14)에 유지되도록 장착될 때 수단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금 설명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는 예를 들어 그 터치-감응성 스크린이 케이싱(10)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56)으로서 사용되는 전화(60)의 배터리로 형성된다.
케이싱(10)이 전화(60)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커버(14)를 포함할 때, 전기적 충전은 캐비티(26)로부터 전화를 반드시 제거할 필요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수행되는 쌍방향 케이싱(10)에 의해 얻어지는 사용예 및 장점이 비제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쌍방향 케이싱(1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이크업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그것을 개방함으로써 진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여기서는 오목부로 형성되는 파지 수단(54)에서 커버(14)를 파지하고, 베이스(12)를 계속 유지하면서, 커버(14)에 견인력을 수동으로 적용하여 커버(14)를 힌지작용 수단(40)의 회전축(O)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 예에서, 개방 위치에서의 표시를 위한 수단(56)을 포함하는 커버(14)의 경사도는 커버(14)가 베이스(12)에 대해 하나 초과의 개방 위치를 각도방향에서 점유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는 케이싱(10)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활성 상태에 있고, 케이싱(1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대기 상태에 있다.
이렇게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72)은 하우징(20)에 장착된 지지 수단(62)과 일체인 NFC 타입의 태그(68)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진행된다.
사용자는 개방 동안 사용 위치에 위치하는 지지 수단(62)을 보유할 수 있거나(대안적으로 하우징(20)은 비어 있을 수 있음) 그것을 변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화장품(64)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62)이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상기 지지 수단(6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지 지지 수단의 전방부를 들어 올리기 위해 추출을 보조하는 수단(78)의 제어 부재(82)를 작동시킨다.
유리하게는, 전화(60)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 수단(56)은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을 수용하는 지지 수단(62)에 체결되는 NFC 타입의 태그(6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항목 또는 항목들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로서, 스크린(56)을 통해 제공된 정보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64)과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화장품 또는 화장품들 또는 연관된 서비스 등의 사용에 대한 권장일 수 있다.
터치-감응성 스크린(56)이 전화(60)에 속할 때, 쌍방향 사용의 많은 가능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제조자 및/또는 판매자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많은 장점이 제공된다.
전화 터치-감응성 스크린(56)이 제공된 케이싱(10)은 사용자와의 쌍방향성을 위한 거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터치-감응성 스크린(56) 및 전화(60)에 통합된 튜토리얼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양한 화장품의 범위에 관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권장을 전달하는 것, 사용자에게 제품의 적용을 위한 권장을 제공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0)은 특히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선 연결, 특히 Wi-Fi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기 쉽다.
쌍방향 케이싱(10)은 브랜드 이미지 및 제품의 사용자의 충성도를 보강하는 가능성을 부여함으로써 화장품 브랜드에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물론, 방금 설명한 케이싱(10)의 예는 결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케이싱(10)은 커버(14)를 폐쇄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케이싱(10)은 상이한 전화 모델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부품을 포함하는 커버(14)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케이싱(10)은 특히 메이크업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도포기의 저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포기를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예를 들어 케이싱(10)의 베이스(12) 또는 커버(14)에 배치되거나 지지를 위한 수단(62)에 통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에서, 케이싱(10)은 예를 들어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전화(60)에 속하는 표시 수단(56)과 연동되는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목적의 급전을 위해 케이블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 상기 오리피스는 특히 케이싱(10)의 폐쇄 위치에서 접근가능하다.
케이싱(10)은 표시 수단(56)과 함께 또는 표시 수단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62)과 함께 또는 지지 수단 없이 판매되기 쉽다는 것이 이해되었을 것이다.
화장품용 케이싱(10)은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 이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을 지지하는 수단(62)에 접근 가능함 -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12) 및 하나의 커버(14)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0)은, 커버(14)가 적어도 표시를 위한 수단(56)을 포함하고, 베이스(12)가 상기 수단(62)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을 포함하는 점 및 케이싱(10)이 적어도 지지를 위한 상기 수단(62)과 일체인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항목을 판독할 수 있는 비접촉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70)를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0)

  1. 화장품용 케이싱(10)으로서,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62)에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12) 및 하나의 커버(14)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0)은, 커버(14)가 적어도 표시 수단(5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12)가 상기 지지 수단(62)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지지 수단(62)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에 장착될 때 적어도 상기 지지 수단(62)과 일체인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항목을 적어도 판독할 수 있는, 비접촉식 타입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70)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수단(62)은 제거가능한 것인, 화장품용 케이싱.
  3. 제2항에 있어서, 케이싱(10)은 교체가능한 지지 수단(62)을 하우징(20) 외부로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추출을 보조하는 수단(78)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는 베이스(12)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72) 및 커버(14)에 배치되는 제2 부분(7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72, 74)은 적어도 하나의 리본 커넥터(7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장품용 케이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커버(14)와 베이스(1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를 형성하기 위해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힌지작용 수단(40)이 배치되며, 힌지작용 수단(40)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과 제2 부분(74)을 연결하는 상기 리본 커넥터(76)를 위해 의도된 통로(44)를 갖도록 구성되는, 화장품용 케이싱.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1 부분(72)은 지지 수단(62)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와 통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70)의 제2 부분(74)은 적어도 표시 수단(56)와 통신할 수 있는, 화장품용 케이싱.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는 NFC 타입의 태그인, 화장품용 케이싱.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10)은 커버(14)와 지속적으로 일체이거나 상기 커버(14)에 대해 제거가능한 표시 수단(56)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
  9. 제8항에 있어서, 표시 수단(56)은 전자 장치(60), 특히 휴대 전화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56)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케이싱.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싱(10)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64)을 지지하는 수단(62)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62)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지원부(68)를 포함하는, 화장품 지지 수단.
KR1020190022973A 2018-02-27 2019-02-27 특히 메이크업 용도의 화장품을 위한 쌍방향 케이싱 Ceased KR20190103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1719 2018-02-27
FR1851719A FR3078235B1 (fr) 2018-02-27 2018-02-27 Boitier interactif pour produit cosmetique, notamment de maquil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058A true KR20190103058A (ko) 2019-09-04

Family

ID=6187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73A Ceased KR20190103058A (ko) 2018-02-27 2019-02-27 특히 메이크업 용도의 화장품을 위한 쌍방향 케이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86065B2 (ko)
EP (1) EP3530140B1 (ko)
KR (1) KR20190103058A (ko)
CN (1) CN110192704B (ko)
FR (1) FR3078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8596B2 (ja) * 2018-07-02 2023-07-14 花王株式会社 広告システム
GB2577956B (en) * 2019-07-08 2020-10-21 Pout Case Ltd An electronic device case and a make-up applicator assembly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case
JP7285774B2 (ja) * 2019-12-27 2023-06-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US20220202166A1 (en) * 2020-10-21 2022-06-30 Petunia Products, Inc. Magnetic cosmetics tray
US20220117378A1 (en) * 2020-10-21 2022-04-21 Natalie Plain Magnetic cosmetics tra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739A (ja) * 2001-09-05 2003-05-27 Fuji Photo Film Co Ltd 化粧鏡装置及び化粧方法
US7106579B2 (en) * 2003-06-09 2006-09-12 Acer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hinge mechanism
JP2006106951A (ja) * 2004-10-01 2006-04-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品管理システム
US8418852B2 (en) * 2009-10-20 2013-04-16 John T. Ziemba Compartmentalized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EP2377420A1 (en) * 2010-04-16 2011-10-19 Chia-Te Chen Cosmetic casing assembly
WO2012059923A1 (en) * 2010-11-05 2012-05-10 Synoia Technologies Ltd A cosmetic applicator with sponge to absorb substance and to prevent leakage thereof
US20120273385A1 (en) * 2011-04-26 2012-11-01 Hct Asia Ltd Content Rendering Cosmetic Container
US20140299151A1 (en) * 2013-04-09 2014-10-09 Tondalah S. STROUD Modular Cosmetic Container System
CN204889061U (zh) * 2015-07-03 2015-12-23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蓝牙传输显示功能的彩妆盒
US20170024589A1 (en) * 2015-07-22 2017-01-26 Robert Schumacher Smart Beauty Delivery System Linking Smart Products
KR101777337B1 (ko) * 2015-11-24 2017-09-15 주식회사 원데이원커뮤니케이션 분리 및 조합이 가능한 메이크업 팔레트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10026296B2 (en) 2016-03-17 2018-07-17 Kali Care, Inc. Network-connected cap for a container
FR3053877B1 (fr) * 2016-07-12 2020-09-18 Albea Services Recipient pour un produit cosmetique presentant une periode apres ouverture donn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78235A1 (fr) 2019-08-30
FR3078235B1 (fr) 2021-09-17
EP3530140B1 (fr) 2020-08-12
EP3530140A1 (fr) 2019-08-28
US10786065B2 (en) 2020-09-29
CN110192704A (zh) 2019-09-03
CN110192704B (zh) 2023-06-06
US20190261763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3058A (ko) 특히 메이크업 용도의 화장품을 위한 쌍방향 케이싱
US12251003B2 (en) Eyewear device charging case
US10911584B2 (en) Phone case with interchangeable cosmetic accessory attachment system
US10892625B1 (en)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CN103547186B (zh) 通用对接台盒
US20090032052A1 (en) Cosmetics Vessel
US20110284407A1 (en) Cellular phone case and storage accessory
CN102666311A (zh) 用于便携手持式电子设备的间隔式保护盒
US20060094479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and cosmetics apparatus
CN104105428A (zh) 改进的钥匙保持器
KR20170058101A (ko) 화장품 공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3482650A1 (en) Cosmetics case
CN112689559A (zh) 用于密封塑料外壳的系统和方法
KR100358791B1 (ko) 간이화장용구가 내장된 핸드폰
WO2021048692A1 (en) Charger door cover with extended features
US20210056559A1 (en) Digital device warranty method and devices
KR100842991B1 (ko) 무선마우스의 착탈 구조
KR200177008Y1 (ko) 간이화장용구가 내장된 핸드폰
CN214340615U (zh) 一种组合式行李箱
KR200237960Y1 (ko) 화장품케이스_
CN208210069U (zh) 一种电子产品保护套结构
KR101936346B1 (ko) 기능별 모듈이 결합된 단말기 보호케이스 구조
KR20140001216U (ko) 힌지를 활용한 카드 수납함을 가지는 휴대폰케이스
TWM587412U (zh) 嵌入容器之手機殼
KR20180124566A (ko) 화장품 수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