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9412A - 수음 장치 - Google Patents

수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412A
KR20190099412A KR1020197017468A KR20197017468A KR20190099412A KR 20190099412 A KR20190099412 A KR 20190099412A KR 1020197017468 A KR1020197017468 A KR 1020197017468A KR 20197017468 A KR20197017468 A KR 20197017468A KR 20190099412 A KR20190099412 A KR 2019009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ar
ear canal
sound output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 이가라시
도루 나카가와
나오키 신멘
데츠 마가리야치
호마레 곤
고유루 오키모토
고헤이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41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유저의 귀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수음 장치를 제공한다. 수음 장치는, 수음부와, 음향 투과부를 갖고, 상기 수음부를 유저의 외이도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링체와, 일단부가 상기 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체는, 유저의 이갑개강에 삽입되고, 주간절흔 부근에서 걸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보유 지지부는, 마이크 구멍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게 하고, 또한, 마이크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보다 안쪽이 되도록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한다.

Description

수음 장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유저의 귀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수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저의 귀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인이어형 수음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인이어형 수음 장치는, 예를 들어 바이노럴(binaural) 녹음을 들 수 있다. 바이노럴 녹음은,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의 형상 등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개개의 유저의 고막에 도달하는 상태에 가까운 음을 기록하는 것이다(주지). 바이노럴 녹음된 음성을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청취하면, 마치 녹음 시의 현장에 그 자리에 있는 듯한 임장감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바이노럴 녹음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에 의한 회절이나 반사의 영향에 따라서 발생하는 음의 변화를 표현한 두부 전달 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음원(드라이 소스)으로부터 재생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서 HRTF를 컨볼루션함으로써, 가상으로 음상 정위하여, 임장감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인이어형 수음 장치의 다른 용도로서, 예를 들어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장착형 음향 출력 장치와 병용하여, 노이즈·캔슬링을 행하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인이어형 장치를 사용해서 바이노럴 녹음을 행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몇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지만(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를 참조), 그 대부분은 마이크로폰 등의 수음부는 유저의 외이도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장치 본체는 유저의 귓구멍을 거의 완전히 막는 밀폐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128854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제2008-512015호 공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목적은, 유저의 귀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우수한 수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음부와, 음향 투과부를 갖고, 상기 수음부를 유저의 외이도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는 수음 장치이다.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링체와, 일단부가 상기 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체는, 유저의 이갑개강에 삽입되고, 주간절흔 부근에서 걸어 지지된다.
또는,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통기부를 갖는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성상체(별 모양의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성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한다.
상기 보유 지지부가 어느 구성이든, 기본적으로는, 마이크 구멍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게 해서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유 지지부는, 마이크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보다 안쪽이 되도록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수음 장치는, 음향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음 장치를 유저의 귀에 장착했을 때,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 구멍과 상기 수음부의 수음 구멍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음 장치를 유저의 귀에 장착했을 때,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 구멍이 상기 수음부의 수음 구멍보다도 귓구멍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유저의 귀에 장착해서 사용되는 우수한 수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효과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상기 효과 이외에, 더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인이어형 수음 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이어형 수음 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이어형 수음 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인이어형 수음 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수음 장치(100)를 귓구멍에 장착한 이개(좌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좌이의 귓구멍에 수음 장치(100)를 장착한 유저의 두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인이어형 수음 장치(7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수음 장치(700)를 장착한 유저의 두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인이어형 수음 장치(9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수음 장치(900)를 유저의 귓구멍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00)(우이 장착용)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00)(우이 장착용)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00)를 유저의 우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음도부(1152)의 타단부 부근과 결합한 링체(1121)의 상면도와 단면도의 각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링체(1121)가 좌이의 주간절흔에 걸어 지지된 유저의 두부의 좌이 부근의 수평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6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6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6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6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6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음향 출력부(165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음향 출력부(165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600)를 유저의 좌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수음 장치(2400)의 수음부 및 그 부착부를 생략하여, 음향 출력부의(음향 출력측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2400)를 유저의 좌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C자 형상을 한 보유 지지부를 갖는 수음 장치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C자 형상을 한 보유 지지부를 갖는 수음 장치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이개의 형상 및 각부의 명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이어형 수음 장치(100)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수음 장치(100)를 정면 방향(혹은, 유저의 귓구멍에 장착했을 때의 자세를 한 수음 장치(100)를 귀의 외측에서 보는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 중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수음 장치(100)를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 중의 화살표 B의 방향에서 수음 장치(100)를 바라본 측면도이다.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음 장치(100)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수음부(110)와, 수음부(110)를 외이도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로 구성된다. 보유 지지부는, 중공의(바꿔 말하면, 음향을 투과하는 개구부를 갖는) 링체(121)와, 수음부(1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암(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암)(122 내지 124)으로 구성된다. 각 암(122 내지 124)은, 각각 일단부에서 링체(121)와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에서 수음부(110)를 지지하고 있다. 수음부(110)로서, 예를 들어 직경 2.5㎜ 정도의 원통 형상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링체(121)와 암(122 내지 124)은, 수지 등 동일한 소재를 일체 성형한 부품이어도, 재질이 상이한 소재를 2색 성형한 부품이어도 된다.
여기서, 보유 지지부가 수음부(110)를 외이도 내에서 보유 지지한다는 것은, 수음 구멍으로 되는 마이크 구멍(111)이 외이도의 입구보다도 안쪽(고막측)이 되도록 수음부(110)를 보유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이도는 S자의 커브를 그리는 통 형상을 이루지만, 보유 지지부는, 예를 들어 외이도의 입구부터 안쪽으로 15㎜ 이내의 안쪽의 위치에서 수음부(110)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보유 지지부는, 통 형상을 이루는 외이도 내에서 발생하는 정재파의 마디를 벗어나는 위치에서 수음부(110)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체(121)는 예를 들어 13.5㎜ 정도의 치수이며,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한 예에서는, 링체(121)는,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의 유무를 막론하고, 절단부가 없는 닫힌 O자와 같은 링의 형상(이하, 단순히 「O자 형상」이라고도 함)을 하고 있다. 단, 링체는, 도 32나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의 유무를 막론하고, 절단부가 있는 열린 C자와 같은 형상(이하, 단순히 「C자 형상」이라고도 함)이며, 이갑개강에 걸어 지지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갑개강의 크기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링체(121)의 외경(혹은, 폭)을 16㎜보다도 크게 하면, 링체(121)를 이갑개강에 삽입할 수 없는 사람이 많아진다. 링체(121)를 이갑개강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수음부(110)가 외이도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완전히 공중에 뜬 상태, 혹은, 수음부(110)와 외이도의 내벽의 접촉이 최소한이 되도록, 수음부(110)는 각 암(122 내지 1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음부(110)는, 수음 방향(혹은, 마이크 구멍(111))이,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나 외이도의 내벽측이 아니라, 외이도의 입구 방향(즉 외계)을 향하도록, 각 암(122 내지 124)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수음부(110)는, 외이도 내에 전달된 주위음을 알맞게 수음할 수 있다. 도 4는, 중공의 링체(121)의 거의 중앙에 수음부(110)가 보이는 자세에서 수음 장치(100)를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에는, 수음 장치(100)를 귓구멍에 장착한 이개(좌이)를 나타내고 있다. 링체(121)는, 바람직하게는 이갑개강에 삽입되고, 이갑개강의 밑면에 맞닿음과 함께 V자의 주간절흔에 걸리도록 해서 이개에 걸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음 장치(100)는 이개에 알맞게 장착된다.
링체(121)는, 중공 구조이며, 내측의 거의 전부가 개구부로 된다. 따라서, 링체(121)가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유저의 귓구멍을 막는 일은 없다. 즉, 유저의 귓구멍은 개방되어 있고, 수음 장치(100)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좌이의 귓구멍에 수음 장치(100)를 장착한 유저의 두부의, 외이도를 통과하는 관상면(冠狀面)에 의해 절단한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음부(110)는, 링체(121)로부터 외이도의 안쪽(고막측)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각 암(122 내지 124)으로 지지되어 있다. 마이크 구멍(111)이 외이도의 입구보다도 안쪽(고막측)이 되도록, 수음부(110)가 보유 지지되어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수음부(110)는, 외이도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완전히 공중에 뜬 상태, 혹은 외이도의 내벽과의 접촉이 최소한이 되도록, 각 암(122 내지 124)으로 지지되어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링체(121)가 적절한 치수 및 적절한 탄성을 가짐으로써, 유저의 피트감이 향상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좌우의 한쪽 수음 장치(100)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우 1세트의 수음 장치(100)를 유저의 좌우의 각 귀에 장착하여, 바이노럴 녹음이 행해짐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도 1 내지 도 6 모두, 음성 신호의 입력이나 전원 공급을 위한 신호선(케이블)의 도시를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6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음 장치(100)에 의하면, 유저의 외이도 입구 부근(이갑개강)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음부(110)가 외이도 내에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음부(110)는, 중공 즉 개구부를 갖는 링체(121)에 연결된 복수의 암(122 내지 124)에 의해, 수음 방향(혹은, 마이크 구멍(111))이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다. 즉, 링체(121)가 암(122 내지 124)을 포함하는 수음부(110)의 보유 지지부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음하고 싶은 유저의 주위음은, 귓구멍 개방형의 보유 지지부를 투과해서 수음부(110)에 도달하여, 알맞게 수음할 수 있다. 또한, 수음부(110)는, 외이도의 밖이 아니라, 외이도의 내부에서 고막에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청취하는 음에 보다 가까운 상태에서 주위음을 수음할 수 있다.
또한, 주위음의 변화는, 유저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표면에 의한 해설이나 반사의 영향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내벽에서의 회절이나 반사, 나아가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의 영향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음 장치(100)에 의하면, 수음부(110)는 외이도 내에 배치되므로, 외이도의 내벽에서의 회절이나 반사,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의 영향을 고려한 바이노럴 녹음을 실현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임장감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음 장치(100)에 의하면,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음의 변화를 표현한 정밀도가 높은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에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또한, 수음부를 외이도의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다른 수음 장치(700)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는, 이 수음 장치(700)를 좌이의 귓구멍에 장착한 유저의 두부의, 외이도를 통과하는 관상면에 의해 절단한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 모두, 음성 신호의 입력이나 전원 공급을 위한 신호선(케이블)의 도시를 편의상 생략하였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좌우의 한쪽 수음 장치(700)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우 1세트의 수음 장치(700)를 유저의 좌우의 각 귀에 장착하여, 바이노럴 녹음이 행해짐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1 등에 도시한 수음 장치(100)는, 개구부를 갖는 링체(121)가 암(122 내지 124)을 포함하는 보유 지지부를 사용하여, 외이도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완전히 공중에 뜬 상태에서(혹은, 외이도의 내벽과의 접촉이 최소한이 되도록) 수음부(110)를 지지하여, 귓구멍 개방형이며 또한 음향 투과성을 담보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도 7에 도시한 수음 장치(700)는, 수음부(710)와, 스펀지와 같은 통기부를 갖는 보유 지지부(720)를 포함한다. 보유 지지부(720)는, 수음부(710)의 외측을 덮고,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수음부(110)로서, 예를 들어 직경 2.5㎜ 정도의 원통 형상을 상정하고 있다(상동).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장착 상태에서는, 수음 장치(700)는 외이도의 제1 커브 부근에서 걸어 지지되어 있지만, 외이도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완전히 공중에 뜬 상태에서(혹은, 외이도의 내벽과의 접촉이 최소한이 되도록) 수음부(710)가 지지되어 있다. 도 8로부터, 수음 장치(700)는, 도 1에 도시한 수음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귓구멍 개방형이며 또한 음향 투과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음 구멍으로 되는 마이크 구멍(711)이 외이도의 입구보다도 안쪽(고막측)이 되도록, 수음부(710)가 보유 지지되어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외이도는 S자의 커브를 그리는 통 형상을 이루지만, 보유 지지부(720)는, 예를 들어 외이도의 입구부터 안쪽으로 15㎜ 이내의 안쪽 위치에서 수음부(710)를 보유 지지한다.
수음부(710)는, 외이도의 밖이 아니라, 외이도의 내부에서 고막에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청취하는 음에 보다 가까운 상태에서 주위음을 수음할 수 있다. 또한, 수음부(710)는, 외이도 내에 배치되므로, 외이도의 내벽에서의 회절이나 반사,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의 영향을 고려한 바이노럴 녹음을 실현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임장감을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수음 장치(700)에 의하면,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음의 변화를 표현한 정밀도가 높은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음 장치(700)의 장착 상태에서는, 수음부(710)의 수음 방향(혹은, 마이크 구멍(711))이 외이도의 외측을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음부(710)의 수음 방향은,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나 외이도의 내벽측을 향하는 것보다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통기부를 갖는 보유 지지부(720)가 적절한 치수 및 적절한 탄성을 가짐으로써, 유저의 피트감이 향상된다.
도 9에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또한, 수음부를 외이도의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수음 장치(900)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는, 이 수음 장치(900)를 유저의 귓구멍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 모두, 음성 신호의 입력이나 전원 공급을 위한 신호선(케이블)의 도시를 편의상 생략하였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좌우의 한쪽 수음 장치(900)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우 1세트의 수음 장치(900)를 유저의 좌우의 각 귀에 장착하여, 바이노럴 녹음이 행해짐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9에 도시한 수음 장치(900)는, 수음부(910)와, 프레임 구조를 이루고 개구부를 갖는 보유 지지부를 포함한다. 보유 지지부는, 중공의(바꿔 말하면, 음향을 투과하는 개구부를 갖는) 성상체(921)와, 수음부(9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암(도시한 예에서는, 5개의 암)(922 내지 926)으로 구성된다. 각 암(922 내지 926)은, 각각 일단부에서 성상체(921)의 각 정점과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에서 수음부(91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수음부(910)로서, 예를 들어 직경 2.5㎜ 정도의 원통 형상을 상정하고 있다(상동).
성상체(921)는, 외이도의 입구 부근의 내경과 동등한 치수이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음 장치(900)를 외이도 입구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성상체(921)를 외이도의 입구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음부(910)가 외이도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고 완전히 공중에 뜬 상태, 혹은 수음부(910)와 외이도의 내벽의 접촉이 최소한이 되도록, 수음부(910)는 각 암(922 내지 9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수음 장치(900)도, 귓구멍 개방형이며 또한 음향 투과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음 구멍으로 되는 마이크 구멍(911)이 외이도의 입구보다도 안쪽(고막측)이 되도록, 수음부(910)가 보유 지지되어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외이도는 S자의 커브를 그리는 통 형상을 이루지만, 보유 지지부는, 예를 들어 외이도의 입구부터 안쪽으로 15㎜ 이내의 안쪽의 위치에서 수음부(910)를 보유 지지한다.
수음 장치(900)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의 귓구멍에 삽입할 때, 프레임 구조의 보유 지지부 암(922 내지 926)은, 외이도의 내벽에 찌부러져 가늘고 긴 형상으로 변형된다. 그 때, 성상체(921)는 닫히도록 변형된다. 프레임 구조의 보유 지지부가 적절한 치수 및 적절한 탄성을 가짐으로써, 유저의 피트감이 향상된다. 또한, 성상체(921)와 암(922 내지 926)은, 수지 등과 동일한 소재를 일체 성형한 부품이어도, 재질이 서로 다른 소재를 2색 성형한 부품이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의 프레임 구조의 형상은 임의이며, 기능적인 관점에서 형상을 설계하거나, 혹은 의장적인 관점에서 미관을 중시한 형상으로 설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성상체(921)는, 오각별 모양이 아니라 육각별 모양이어도 되며, 혹은 별 모양이 아니어도 된다.
수음부(910)는, 외이도의 밖이 아니라, 외이도의 내부에서 고막에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청취하는 음에 보다 가까운 상태에서 주위음을 수음할 수 있다. 또한, 수음부(910)는, 외이도 내에 배치되므로, 외이도의 내벽에서의 회절이나 반사,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의 영향을 고려한 바이노럴 녹음을 실현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정밀도로 임장감을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수음 장치(900)에 의하면,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음의 변화를 표현한 정밀도가 높은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음부(910)는, 수음 방향(혹은, 마이크 구멍(911))이, 외이도의 안쪽 (즉, 고막측)이 아니라, 외계를 향하도록, 각 암(922 내지 926)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수음부(910)는, 외이도 내에 전달된 주위음을 알맞게 수음할 수 있다. 또한, 수음부(910)의 수음 방향은,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나 외이도의 내벽측을 향하는 것보다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100)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100)(우이 장착용)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100)(우이 장착용)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100)를 유저의 우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좌우의 한쪽 수음 장치(1100)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우 1세트의 수음 장치(1100)를 유저의 좌우의 각 귀에 장착하여, 바이노럴 녹음이나 바이노럴 재생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수음 장치(1100)는, 수음부(1110)와, 수음부(111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음향 출력부(1150)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수음 장치(1100)에서는, 수음부(1110) 및 보유 지지부는, 도 1에 도시한 수음 장치(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수음부(1110)는, 예를 들어 직경 2.5㎜ 정도의 원통 형상을 한 마이크로폰이다. 그리고, 보유 지지부는, 중공의(바꿔 말하면, 음향을 투과하는 개구부를 갖는) 링체(1121)와, 수음부(11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암(1122…)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링체(1121)는, O자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C자 형상이어도 된다. 각 암은, 각각 일단부에서 링체(1121)와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에서, 수음 방향(혹은, 수음 구멍으로 되는 마이크 구멍(1111))이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자세로 수음부(111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수음부(1110)의 수음 방향은,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나 외이도의 내벽측을 향하는 것보다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수음부(1110)가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 점, 외이도의 내부에서 고막에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지지되어, 유저가 청취하는 음에 보다 가까운 상태에서 주위음을 수음할 수 있는 점, 및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바이노럴 녹음이나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한 점은, 도 1 등을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수음부(1110)의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다는 특징을 담보하기 위해, 수음부(1110)에 조합되는 음향 출력부(1150)도 마찬가지로 음향 투과성이라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귓구멍 개방형의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이미 양도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6-3900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150)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음향 출력부(1150)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1151)와, 음향 발생부(1151)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일단부로부터 받아들임함과 함께 타단부로부터 외이도의 입구를 향해서 출력하는 음도부(1152)를 구비하고 있다. 음도부(1152)는, 개방 단부인 타단부 부근에서, 상술한 보유 지지부의 링체(1121)와 결합하고 있다.
음향 발생부(1151)는, 직경 16㎜ 정도의, 다이내믹형 드라이버(혹은, 정전형 드라이버나 압전형 드라이버)와 같은 음압 변화를 만들어 내는 발음 소자를 이용하므로, 음향 발생 시에는 음향 발생부(1151)의 하우징 내에서 기압 변화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 내(백·캐비티)에 발생한 고기압(프론트·캐비티와 역상의 음향)을 하우징의 밖으로 빼내기 위한 1 이상의 배기 구멍(도시생략)이 하우징의 배면측 등에 뚫어 형성되어 있다.
음도부(1152)는, 내경이 1 내지 5㎜인 중공(예를 들어, 원통형)의 관재를 포함하며, 그 양단은 모두 개방단이다. 음도부(1152)의 일단부는, 음향 발생부(1151)로부터의 발생음의 음향 입력 구멍이며, 타단부는 그 음향 출력 구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부가 음향 발생부(1151)에 부착됨으로써, 음도부(1152)는 편측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이 있는 수지로 음도부(1152)를 제작할 수 있다.
관형상의 음도부(1152)는, 중간 부근에서 거의 U자로 굴곡되고, 이개의 후면측으로부터 정면측으로 꺾이는 굴곡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음 장치(1100)를 유저의 귀에 부착했을 때, 음도부(1152)의 음향 출력 구멍은 보유 지지부에 의해 외이도의 입구 부근에 배치되는 한편, 음향 발생부(1151)는 이개의 뒤쪽에 배치된다. 음도부(1152)는, 굴곡 형상에 의해 이개의 하단에서 꺾이고, 이개의 뒤쪽의 음향 발생부(1151)로부터 유입된 공기 진동을 이개의 앞쪽까지 전달할 수 있다.
음도부(1152)의 타단부는, 보유 지지부의 링체(1121)의 내측면의 1개소와 결합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링체(1121)는,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어, 이갑개강의 밑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링체(1121)와 결합한 음도부(1152)는,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한다. 그리고, 음도부(1152)가 주간절흔의 골짜기에 걸리도록 해서 링체(1121)가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됨으로써, 수음 장치(1100)는, 이개에 알맞게 장착된다. 링체(1121)가 이갑개강 내에 수용됨과 함께 음도부(1152)가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하도록 해서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는, 음도부(1152)의 타단부의 음향 출력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를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링체(1121)는 음도부(1152)의 타단부 부근을 지지하고 있다.
수음 장치(110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했을 때, 음향 출력부(1150)의 음향 출력 구멍과, 수음부(1110)의 수음 구멍인 마이크 구멍(1111)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수음 장치(110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했을 때, 음향 출력부(1150)의 음향 출력 구멍은, 수음부(1110)의 수음 구멍인 마이크 구멍(1111)보다도, 유저의 귓구멍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마이크 구멍(1111)은, 기본적으로는, 링체(1121)의 개구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음도부(1152)는, 공기 진동을 전달한다는 목적에서는, 내경이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도부(1152)는 그 타단부 부근에서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음도부(1152)의 외경을 주간절흔의 간극(예를 들어 3.6㎜) 이상으로 하면, 주간절흔의 골짜기가 확장되기 때문에 유저의 귀에 압박감을 주게 될 것이 염려된다.
링체(1121)는, 중공 구조이며, 내측의 거의 전부가 개구부로 된다. 또한, 음도부(1152)의 적어도 타단부 부근의 외경은, 귓구멍(외이도의 입구 부근)의 내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체(1121)가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유저의 귓구멍을 막는 일은 없다. 또한, 음향 발생부(1151)는, 유저의 귀의 뒤쪽 등 귓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므로, 음향 출력부(1150)는, 유저의 귓구멍을 개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음향 발생부(1151)는, 유저의 귓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 발생음의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음도부(1152)의 타단부가 외이도의 안쪽을 향하도록 부착되고, 발생음의 공기 진동을 고막의 지각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음향 발생부(1151)의 출력을 작게 해도, 음도부(1152)의 음향 출력 구멍에서 충분한 음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진동의 지향성도, 음누설의 방지에 기여한다.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 외이도의 내부를 향해서 공기 진동이 방출된다. 외이도는, 외이도 입구로부터 시작되어 고막의 내측에서 종료하는 구멍, 즉 S자의 커브를 그리는 통형상을 한 폐공간이며,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30㎜의 길이를 갖는다.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 외이도의 안쪽을 향해서 방출된 공기 진동은, 지향성을 갖고 고막까지 도달하면, 일부는 반사한다. 또한, 공기 진동은 외이도 내에서는 음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특히 저역의 감도(게인)가 향상된다. 한편, 외이도의 외측 즉 외계는 개방 공간이다. 이 때문에,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 외이도의 밖으로 방출된 공기 진동은, 외계로 내보내지면 지향성이 없어져서, 급격하게 감쇠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링체(1121)가 주간절흔에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는, 음향 출력 구멍인 음도부(1152)의 타단부는, 외이도 입구 부근이 아니라, 오히려 이갑개강에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링체(1121)는, 음향 출력 구멍이 외이도 입구를 향하도록, 음도부(1152)의 타단부를 비스듬히 기울여 지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저역 성분의 감도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서는,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의 음의 방출 방향과 외이도의 구멍 방향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음도부(1152)의 타단부가 수평을 향하도록 링체(1121)로 지지되어 있으면,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 방출된 공기 진동의 대부분이 이갑개강에서 반사되어버려서, 외이도 내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도 14의 (A)와 (B)에는, 음도부(1152)의 타단부 부근과 결합한 링체(1121)의 상면도와 단면도의 각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는, 링체(1121)가 좌이의 주간절흔에 걸어 지지된 유저의 두부의 좌이 부근의 수평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 도 14 및 도 15의 각각에 있어서,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수음부(1110) 및 암(1122 내지 1124)은 생략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링체(1121)는 이갑개강에 삽입되고, 링체(1121)와 결합한 음도부(1152)가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하고, 링체(1121)는 주간절흔에 걸리도록 해서 걸어 지지된다. 그리고,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체(1121)가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되었을 때에는 외이도의 구멍 방향으로부터 기울어 있지만, 음도부(1152)의 타단부의 음향 출력 구멍은, 외이도를 향하는 자세로 되어 있다. 즉, 음도부(1152)의 타단부로부터의 음의 방출 방향과 외이도의 구멍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음향 출력부(1150)가 갖는 수음 장치(1100)를, 수음부(1110) 단체로 사용한 경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음부(1110)가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 점에서,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을 고려한 바이노럴 녹음이나 두부 전달 함수의 계산, 가상의 음상 정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150)에 의한 음성 재생 시에 수음부(1110)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을 고려한 노이즈·캔슬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는, 음향 출력부(1150) 단체로서도, 귓구멍 개방형이라는 특징이 있다. 귓구멍 개방형의 음향 출력부(1150)의 이점에 대하여, 이하에 정리해 둔다.
(1) 유저는,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를 장착 중에도, 주위음을 자연스럽게 들을 수 있다. 따라서, 공간 파악, 위험 감지, 회화, 및 회화 시의 미묘한 뉘앙스의 파악과 같은, 청각 특성에 의존한 인간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는, 장착 시에 있어서 귓구멍을 막고 있지 않으므로, 타인이 볼 때, 말을 걸어도 되는 외관을 하고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를 장착한 유저는, 항상 주위음이 들리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으로서, 사람이 근접해 오면 발소리 등의 음향 정보로부터,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몸의 방향을 바꾼다」,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시선을 돌린다」와 같은 수동적인 태도를 적지 않게 취한다. 그러한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걸어도 된다」는 인상을 주게 되므로,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을 저해하지 않는다.
(3)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는, 자기 발생계 노이즈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음향 출력 구멍인 음도부(1152)의 타단부는, 귓구멍 장착 시에 있어서, 외이도의 내벽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유저 자신의 목소리나, 고동 소리, 씹는 소리, 침을 삼킬 때 나는 소리, 혈류음, 호흡음, 보행 시에 몸에 전달되는 진동음, 코드 등의 의류 마찰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어피스와 외이도 내벽의 마찰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귓구멍이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이도에 습기가 찰 걱정이 없다.
(4) 음향 출력부(1150)를 갖는 수음 장치(1100)는, 귀에 대한 장착성이 양호하며, 귀의 크기나 형상의 개인차 등에 기인하는 위치 결정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링체(1121)가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되어, 음도부(1152)의 타단부의 음향 출력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를 향해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도체가 이륜에서 접히는 귀걸이식 음향 출력 장치의 경우와 같은, 길이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링체(1121)가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됨으로써, 양호한 장착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음도부(1152)가, 이개 배면으로부터 이수에서 접혀서 외이도 입구 부근까지 연장 설치된다는 구조는, 유저가 안경이나 안경형 웨어러블·디바이스, 귀걸이식 디바이스를 병용하여도, 이들 다른 장치와 일절 간섭하지 않는다.
(5) 음도부(1152)는, 음향 발생부(1151)에서 발생한 음을 귀 뒤로부터 최단 거리로 외이도의 입구 부근까지 전달한다. 따라서, 귀걸이식 음향 출력 장치와 비교하면, 음도부의 길이가 단축되는 만큼, 음향 손실을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음향 발생부(1151)를 저출력으로 하여, 양호한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부언하면, 음향 발생부(1151)의 치수적인 허용도가 높아, 필요한 음향 대역이나 음압에 따른 설계가 가능하다.
도 16 내지 도 20에는, 다른 구성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1600)의 외관을, 보는 방향을 바꾸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0에서는, 좌우의 한쪽 수음 장치(1600)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우 1세트의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600)를 유저의 좌우의 각 귀에 장착하여, 바이노럴 녹음이나 바이노럴 재생, 노이즈·캔슬링 등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수음 장치(1600)는, 수음부(1610)와, 수음부(161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음향 출력부(1650)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수음 장치(1600)에서는, 수음부(1610) 및 보유 지지부는, 도 1에 도시한 수음 장치(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수음부(1610)는, 예를 들어 직경 2.5㎜ 정도의 원통 형상을 한 마이크로폰이다. 그리고, 보유 지지부는, 중공의(바꿔 말하면, 음향을 투과하는 개구부를 갖는) 링체(1621)와, 수음부(16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암(1622, 1623)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링체(1621)는, O자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C자 형상이어도 된다. 각 암은, 각각 일단부에서 링체(1621)와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에서 수음부(161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수음부(1610)는, 수음 방향(혹은, 수음 구멍으로 되는 마이크 구멍(1611))이,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 아니라, 외계를 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수음부(1610)의 수음 방향은,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나 외이도의 내벽측을 향하는 것보다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수음부(1610)가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 점, 외이도의 내부에서 고막에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지지되어, 유저가 청취하는 음에 보다 가까운 상태에서 주위음을 수음할 수 있는 점, 및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바이노럴 녹음이나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한 점은, 도 1 등을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음향 출력부(1650)는,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를 내장함과 함께, 짧은 중공의 관(管)형상의 음도부(16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음향 발생부는, 직경 9㎜ 정도의 다이내믹형 드라이버와 같은 음압 변화를 만들어 내는 발음 소자를 포함하고, 그 하우징은 링체(1621)의 일부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 16 등에 도시한 예에서는,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은 링체(1621)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있지만, 소형이기 때문에 링체(1621)의 내측면과 결합하는 설계나,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의 중앙 부근에서 링체(1621)와 결합하는 설계도 생각할 수 있다. 링체(1621)는 예를 들어 13.5㎜ 정도의 치수이며,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할 수 있다. 이갑개강의 크기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링체(1621)의 외경(혹은, 폭)을 16㎜보다도 크게 하면, 링체(1621)을 이갑개강에 삽입할 수 없는 사람이 많아진다. 또한, 음도부(1651)는, 음향 출력부(1650)의 전면(하우징 내에 배치된 진동판(후술)의 전면측)에 외이도의 입구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짧은 중공의 관재를 포함한다. 음도부(1651)의 선단의 개구부는 음향 출력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음도부(1651)는, 음향 출력부(165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외이도의 입구를 향해 출력한다.
도 21 및 도 22에는, 음향 출력부(1650)의 단면도이며,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단, 도 21은 주로 음향 출력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2는 배기부(후술)를 포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수음부(1610)나 보유 지지부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하였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발음 소자는, 다이내믹형 드라이버이지만, 마찬가지로 음압 변화를 발생시키는 타입의 정전형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밸런스도 아마추어형이나 압전형 등의 전혀 타입이 상이한 발음 소자를 사용하거나, 복수 타입의 발음 소자를 조합한 하이브리드형을 사용하거나 해도 된다.
음향 출력부(1650)의 내부에는, 마그네트(2101)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 회로 중에 대향하여, 보이스·코일(2102)을 갖는 진동판(210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650)의 내부는, 이 진동판(2103)에 의해, 진동판 전면 공간(프론트·캐비티)(2104)과 진동판 배면 공간(2105)(백·캐비티)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선(도시생략)을 통해 보이스·코일(2102)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따라서 자계가 변화하면, 마그네트(2101)의 자력에 따라서 진동판(2103)이 전후 방향(보이스·코일(2102)의 권취선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진동판 전면 공간(2104)과 진동판 배면 공간(2105)의 사이에서 기압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것이 음향으로 된다.
진동판 전면 공간(2104)에서 발생한 음향은, 음도부(1651)의 관내를 전반하여, 그 선단의 음향 출력 구멍으로부터 외이도의 안쪽을 향해서 방출되면, 그 후에는 고막에 도달한다.
한편, 진동판 배면 공간(2105)에서 발생한 음향(진동판 전면 공간(2104)과 역상의 음향)이 진동판(2103)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 구멍이 필요하다.
음향 출력부(1650)를 포함하는 수음 장치(1600)는,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후술 및 도 23을 참조). 만일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의 후면 등에 배기 구멍을 뚫어 형성하면, 진동판 후면 공간(2105)에서 발생한 음향이 이갑개강 내에서 방출되게 되므로, 수음부(1610)에서 수음되어버리거나, 혹은 음향 출력부(1650)에서 생성되는 재생음에 대해 큰 잡음이 된다.
그래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1650)(진동판(2103))의 후면측에, 배기부(220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기부(2201)는,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의 후면측으로부터 주간절흔을 통과해서 이개의 밖에 도달할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재를 포함하며, 그 선단의 개구부는 진동판 후면 공간(2105)에서 발생한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배기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배기부(2201)는, 수음부(1610)나 음도부(1651)의 선단의 음향 출력 구멍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이개의 밖으로 진동판 후면 공간(2105)에서 발생한 음향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음누설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부(2201)는, 음성 신호나 전원 등의 신호선을 삽입 관통시키는 덕트를 겸용하고 있어도 된다.
도 23에는,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1600)를 유저의 좌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등에 도시한 수음 장치(1100)와는 달리, 음향 출력부(1650)가 직경 약 9㎜로 소형이기 때문에, 음향 출력부(1650)를 링체(1620)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수음 장치(1100) 전체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23에 도시한 예에서는, 링체(1621)는, 일체화된 음향 출력부(1650)와 함께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어, 이갑개강의 밑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배기부(2201)는,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한다. 그리고, 배기부(2201)가 주간절흔의 골짜기에 걸리도록 하여, 링체(1621)가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됨으로써, 수음 장치(1600)는, 이개에 알맞게 장착된다.
또한, 이갑개강 내에 삽입된 링체(1621)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는, 도 23에서는 숨겨져서 보이지 않지만, 음도부(1651)의 선단의 음향 출력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를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음도부(1651)는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 전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다.
수음 장치(160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했을 때, 음향 출력부(1650)의 음향 출력 구멍과, 수음부(1610)의 수음 구멍인 마이크 구멍(1611)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수음 장치(160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했을 때, 음향 출력부(1650)의 음향 출력 구멍은, 수음부(1610)의 수음 구멍인 마이크 구멍(1611)보다도, 유저의 귓구멍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마이크 구멍(1611)은, 기본적으로는, 링체(1621)의 개구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부(2201)는, 불필요한 음향(백·캐비티에 발생한, 프론트·캐비티와 역상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의 밖으로 배출한다는 목적, 및 신호선용 덕트를 겸용한다는 관점에서, 내경이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부(2201)는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배기부(2201)의 외경을 주간절흔의 간극(예를 들어 3.6㎜) 이상으로 하면,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귀에 압박감을 주게 될 것이 염려된다.
링체(1621)는, 중공 구조이며, 내측의 거의 전부가 개구부로 된다. 또한, 음향 출력부(1650)의 하우징은 링체(1621)의 일부와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링체(1621)의 내측 개구부를 일절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1650)가 일체로 된 수음 장치(1600) 전체가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유저의 귓구멍을 막는 일은 없다. 즉, 유저의 귓구멍은 개방되어 있으며, 음향 출력부(1650)를 갖는 수음 장치(1600)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50)는, 이갑개강 내에 배치되므로, 그 출력을 작게 하여도, 음도부(1651)의 선단의 음향 출력 구멍에서 충분한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1650)의 발생음의 외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도부(1651)의 선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진동의 지향성도, 음누설의 방지에 기여한다. 음도부(1651)의 선단으로부터 외이도의 내부를 향해서 공기 진동이 방출된다. 외이도는, S자의 커브를 그리는 통상을 한 폐공간이며,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30㎜의 길이를 갖는다. 음도부(1651)의 선단으로부터 외이도의 안쪽을 향해서 방출된 공기 진동은, 지향성을 갖고 고막까지 도달하면, 일부는 반사된다. 또한, 공기 진동은 외이도 내에서는 음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특히 저역의 감도(게인)가 향상된다. 한편, 외이도의 외측 즉 외계는 개방 공간이다. 이 때문에, 음도부(1651)의 선단으로부터 외이도의 밖으로 방출된 공기 진동은, 외계로 내보내지면 지향성이 없어져서, 급격하게 감쇠한다. 링체(1621)가 주간절흔에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는, 음향 출력 구멍인 음도부(1651)의 선단은, 외이도 입구 부근이 아니라, 오히려 이갑개강에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출력부(1650)를 갖는 수음 장치(1600)를, 수음부(1610) 단체에서 사용한 경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음부(1610)가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 점에서,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을 고려한 바이노럴 녹음이나 두부 전달 함수의 계산, 가상의 음상 정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650)에 의한 음성 재생 시에 수음부(1610)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을 고려한 노이즈·캔슬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650)를 갖는 수음 장치(1600)는, 음향 출력부(1650) 단체로서도, 귓구멍 개방형이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음 장치(1100)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이점 (1) 내지 (4)를 갖는다.
도 24 내지 도 29에는, 또 다른 구성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의 외관을, 보는 방향을 바꾸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고를 위해, 도 30에는, 수음부 및 그 부착부를 생략하여, 음향 출력부의(음향 출력측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9에서는, 좌우의 한쪽 수음 장치(2400)밖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좌우 1세트의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2400)를 유저의 좌우의 각 귀에 장착하여, 바이노럴 녹음이나 바이노럴 재생, 노이즈·캔슬링 등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수음 장치(2400)는, 수음부(2410)와, 수음부(241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420)와, 음향 출력부(2450)를 구비하고 있다.
음향 출력부(2450)는, 직경 6㎜ 정도의 다이내믹형 드라이버와 같은 음압 변화를 만들어 내는 발음 소자를 포함하며, 그 하우징은 원판 형상을 이루고,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의 일부와 일체화하여 결합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보유 지지부(2420)는, O자의 링 형상을 하고 있지만, C자 형상이어도 된다. 도 24 등에 도시한 예에서는,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은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의 내측면과 결합하고 있지만, 소형이기 때문에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의 외측면과 결합하는 설계나,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의 중앙 부근에서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와 결합하는 설계도 생각할 수 있다. 보유 지지부(2420)는 예를 들어 13.5㎜ 정도의 치수이며,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할 수 있다. 이갑개강의 크기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보유 지지부(2420)의 외경(혹은, 폭)을 16㎜보다도 크게 하면, 보유 지지부(2420)를 이갑개강에 삽입할 수 없는 사람이 많아진다. 또한, 음향 출력부(2450)의 전면측(하우징 내에 배치된 진동판(도시생략)의 전면측)에는, 발생한 음향을 출력하는 초승달 형상의 음향 출력 구멍(2451)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음부(2410)는, 도 1에 도시한 수음 장치(100)의 수음부(1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수음부(2410)는, 예를 들어 직경 2.5㎜ 정도의 원통 형상을 한 마이크로폰이다. 수음부(2410)는,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의 전면측에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에 의해 전방(수음 장치(2400)를 유저의 귀에 부착했을 때의 외이도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수음부(2410)는, 수음 방향(혹은, 수음 구멍이 되는 마이크 구멍(2411))이,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 아니라, 외계를 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도 28을 참조). 또한, 수음부(2410)의 수음 방향은, 외이도의 안쪽(즉, 고막측)이나 외이도의 내벽측을 향하는 것보다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수음부(2410)가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 점, 외이도의 내부에서 고막에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지지되고, 유저가 청취하는 음에 보다 가까운 상태에서 주위음을 수음할 수 있는 점, 및 유저마다의 두부나 신체, 귓불 등 인체의 각 부위뿐만 아니라,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바이노럴 녹음이나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한 점은, 도 1 등을 참조하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음향 출력부(245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본적으로는, 도 21 및 도 22와 마찬가지로,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 내에, 마그네트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 회로에 대향하여 보이스·코일을 갖는 진동판이 배치되고, 보이스·코일에 음성 신호를 입력했을 때의 자계가 변화하여,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진동판이 전후 방향으로 동작하여, 진동판의 전면 공간에서 음향을 생성한다.
음향 출력부(2450) 내의 발음 소자에서 발생한 음향은,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의 전면에 뚫어 형성된 음향 출력 구멍으로부터 외이도의 안쪽을 향해서 방출되면, 그 후에는 고막에 도달한다.
또한, 도 3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에, 초승달 형상을 한 음향 출력 구멍(2451)이,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의 중앙이 아니라 주연에 근접한 장소에 뚫어 형성되어 있다. 음향 출력 구멍(2451)이 수음부(2410)의 마이크 구멍(2411)보다도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음향 출력 구멍(2451)으로부터 방출되는 재생음이, 외계로부터 외이도 내에 전달되고 수음부(2410)로 수음되는 주위음으로 되기 위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일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 전면의, 보유 지지부(2420)의 링 중앙이 되는 부근에 음향 출력 구멍(2451)을 뚫어 형성하면, 음향 출력 구멍(2451)이 수음부(2410)의 마이크 구멍(2411)과 지근 거리에서 대치하게 되어, 수음부(2410)는 주위음이 아니라 음향 출력부(2450)의 재생음을 집음해버릴 것이다.
또한,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의 배면측에는, 음성 신호나 전원 등의 신호선을 삽입 관통시키는 덕트(2460)가 연결되어 있다. 음향 출력부(2450)에 다이내믹형 드라이버나 정전형 드라이버와 같은 기압 변화를 발생시키는 발음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하우징 내(백·캐비티)에 발생한 고기압(프론트·캐비티와 역상의 음향)을 하우징의 밖으로 빼낼 필요가 있지만, 이 덕트(2460)를 배기부로서 겸용할 수 있다. 덕트(2460)의, 보유 지지부(2420)로부터 이격한 장소에는, 이러한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배기 구멍(2461)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도 29를 참조). 배기 구멍(2461)은, 수음부(2410)나 음향 출력 구멍(2451)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으므로, 폐기된 음향이 수음부(2410)로 수음되거나 음향 출력부(2450)의 재생음의 잡음으로 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도 31에는, 음향 출력부를 갖는 수음 장치(2400)를 유저의 좌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수음 장치(1600)와 마찬가지로, 음향 출력부(2450)가 직경 약 6㎜로 소형이기 때문에, 음향 출력부(2450)와 일체화한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31에 도시한 예에서는,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는,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고, 이갑개강의 밑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20)의 내측면의 1개소에는 음향 출력부(2450)가 결합하고, 또한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 배면에 연결한 덕트(2460)는,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한다. 그리고, 덕트(2460)가 주간절흔의 골짜기에 걸리도록 하여, 보유 지지부(2420)가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됨으로써, 수음 장치(2400)는, 이개에 알맞게 장착된다.
또한, 이갑개강 내에 삽입된 보유 지지부(2420)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간절흔 혹은 이주의 내벽에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는,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의 전면에는, 외이도의 입구를 향하도록 음향 출력 구멍(2451)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수음 장치(240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했을 때, 음향 출력부(2450)의 음향 출력 구멍과, 수음부(2410)의 수음 구멍인 마이크 구멍(2411)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수음 장치(2400)를 유저의 이갑개강에 장착했을 때, 음향 출력부(2450)의 음향 출력 구멍은, 수음부(2410)의 수음 구멍인 마이크 구멍(2411)보다도, 유저의 귓구멍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마이크 구멍(2411)은, 기본적으로는, 링체(2421)의 개구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2460)는, 불필요한 음향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겸용한다는 관점에서, 내경이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2460)는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덕트(2460)의 외경을 주간절흔의 간극(예를 들어 3.6㎜) 이상으로 하면, 주간절흔의 골짜기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귀에 압박감을 주게 될 것이 염려된다.
보유 지지부(2420)는, 링 형상 즉 중공 구조이며, 내측의 거의 모두가 개구부로 된다. 또한, 소형의 음향 출력부(2450)의 하우징은 보유 지지부(2420)의 내측면의 1개소와 결합하고 있지만, 보유 지지부(2420)의 개구를 저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2450)가 일체로 된 수음 장치(2400) 전체가 이갑개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유저의 귓구멍을 막는 일은 없다. 즉, 유저의 귓구멍은 개방되어 있고, 음향 출력부(2450)를 갖는 수음 장치(2400)는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450)는, 이갑개강 내에 배치되므로, 그 출력을 작게 하여도, 음향 출력 구멍(2451)에서 충분한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2450)의 발생음의 외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구멍(2451)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진동의 지향성도, 음누설의 방지에 기여한다. 음향 출력 구멍(2451)으로부터 외이도의 내부를 향해서 공기 진동이 방출된다. 외이도는, S자의 커브를 그리는 통형상을 한 폐공간이며,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30㎜의 길이를 갖는다. 음향 출력 구멍(2451)으로부터 외이도의 안쪽을 향해서 방출된 공기 진동은, 지향성을 갖고 고막까지 도달하면, 일부는 반사한다. 또한, 공기 진동은 외이도 내에서는 음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특히 저역의 감도(게인)가 향상된다. 한편, 외이도의 외측 즉 외계는 개방 공간이다. 이 때문에, 음향 출력 구멍(2451)으로부터 외이도의 밖으로 방출된 공기 진동은, 외계로 내보내지면 지향성이 없어져서, 급격하게 감쇠한다. 링 형상의 보유 지지부(2420)가 주간절흔에 걸어 지지된 상태에서는, 음향 출력 구멍(2451)은, 외이도 입구 부근이 아니라, 오히려 이갑개강에 대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출력부(2450)를 갖는 수음 장치(2400)를, 수음부(2410) 단체로 사용한 경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음부(2410)가 귓구멍 개방형이며 음향 투과성을 갖는 점에서,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을 고려한 바이노럴 녹음이나 두부 전달 함수의 계산, 가상의 음상 정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450)에 의한 음성 재생 시에 수음부(2410)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을 고려한 노이즈·캔슬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450)를 갖는 수음 장치(2400)는, 음향 출력부(2450) 단체로서도, 귓구멍 개방형이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음 장치(1100)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이점 (1) 내지 (4)를 갖는다.
참고를 위해, 이개의 구조에 대하여, 도 34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둔다. 이개의 구조를 대략 말하자면, 외측부터 순서대로 이륜, 대이륜, 이갑개, 이주가 있다. 또한, 이주의 외측에는, 쌍으로 되는 돌기인 대이주가 있다. 이주와 대이주의 사이에 있는 절입이 주간절흔이다. 또한, 이개의 하단은 이수이다.
이륜은, 귀의 최외주이며, 귀의 윤곽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륜은, 이개의 중앙 부근(외이도 입구의 위쪽 부근)에서 내측을 향해 만곡한 후에는 이개의 중앙 부근을 거의 수평으로 통과하고, 이갑개를 상하로 분할하는 돌기를 이루고 있다. 이륜각은 이륜이 이개의 내측을 향해서 만곡되는 부근이며, 이륜근은 이륜각의 이갑개쪽으로 더 들어오는 부분이다.
대이륜은, 대이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능선이며, 이갑개의 가장자리에도 상당한다. 대이륜을 이루는 능선은 두 갈래로 나뉘고, 위쪽의 가지는 대이륜 상각이라고 하고, 삼각와의 상측의 변에 상당한다. 또한, 아래쪽의 가지는 대이륜 하각이라고 하고, 삼각와의 하측의 변에 상당한다.
이갑개는, 귀의 중앙의, 가장 움푹 들어간 부분이며, 이륜근을 경계로, 상반부의 가늘고 긴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이갑개정과, 하반부의 이갑개강으로 나뉜다. 또한, 이갑개강의 이주 부근에, 외이도 입구가 있다.
삼각와는, 대이륜 상각과 대이륜 하각과 이륜을 3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오목부이다. 또한, 주상와는, 대이륜과 이륜의 사이에 있는, 이개 전체로 말하자면 상외측의 부분에 있는 오목부이다.
이상,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수음 장치 및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는, 유저의 귀에 장착해서 사용되지만, 「귓구멍 개방형」이라는 점에서 종래의 바이노럴·마이크나 이어폰과는 크게 상이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수음 장치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도 비장착 상태와 동등한 주위음의 청취 특성을 실현하면서, 외이도의 내벽에서의 회절이나 반사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의 영향도 고려한 정밀한 바이노럴 녹음이나, 외이도의 형상이나 고막으로부터의 반사음의 영향도 고려하여, 음의 변화를 표현한 정밀도가 높은 두부 전달 함수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수음 장치를 귀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도, 주위의 사람들로부터는 유저의 귓구멍을 막고 있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요컨대, 예시라는 형태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청구범위를 참작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의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수음부와,
음향 투과부를 갖고, 상기 수음부를 유저의 외이도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는 수음 장치.
(2)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링체와, 일단부가 상기 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음 장치.
(3) 상기 링체는, 유저의 이갑개강에 삽입되고, 주간절흔 부근에서 걸어 지지되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음 장치.
(4)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통기부를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음 장치.
(5)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성상체와, 일단부가 상기 성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음 장치.
(6) 상기 보유 지지부는, 마이크 구멍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하게 해서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7) 상기 보유 지지부는, 마이크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보다 안쪽이 되도록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8) 음향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9) 상기 수음 장치를 유저의 귀에 장착했을 때,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 구멍과 상기 수음부의 수음 구멍의 상대 위치는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는, 상기 (8)에 기재된 수음 장치.
(10) 상기 수음 장치를 유저의 귀에 장착했을 때,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 구멍은 상기 수음부의 수음 구멍보다도 귓구멍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수음 장치.
(11)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향 발생부와, 상기 음향 발생부가 발생하는 음향을 일단부로부터 도입하여 타단부까지 전달하는 중공 구조의 음도부를 구비하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12) 상기 음향 발생부는 유저의 귀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음도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음향 발생부에 접속되며,
상기 음도부의 상기 타단부의 음향 출력 구멍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유저의 이개 내에서 보유 지지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수음 장치.
(13) 상기 음도부는, 상기 타단부 부근에서 주간절흔에 삽입 관통되는, 상기 (12)에 기재된 수음 장치.
(14) 상기 음향 출력부는, 링체를 포함하는 상기 보유 지지부의 일부와 일체화되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15) 상기 음향 출력부의 하우징은, 상기 링체가 유저의 이갑개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이도의 입구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선단에 음향 출력 구멍을 갖는 음도부를 구비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수음 장치.
(16) 상기 음향 출력부는, 링체를 포함하는 상기 보유 지지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17) 상기 음향 출력부의 하우징의 전면측에 배치된 음향 출력 구멍을 더 구비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수음 장치.
(18) 상기 음향 출력부의 하우징의 배면에 배기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음 장치.
(19) 상기 배기부는, 하우징의 배면측으로부터 주간절흔을 통과해서 이개의 밖에 배기 구멍을 갖는, 상기 (18)에 기재된 수음 장치.
(20) 상기 배기부 내에 삽입 관통된 신호선을 더 구비하는, 상기 (18) 또는 (19)에 기재된 수음 장치.
100: 수음 장치
110: 수음부
111: 마이크 구멍
121: 링체
122 내지 124: 암
700: 수음 장치
710: 수음부
711: 마이크 구멍
720: 보유 지지부
900: 수음 장치
910: 수음부
911: 마이크 구멍
921: 성상체
922 내지 926: 암
1100: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
1110: 수음부
1111: 마이크 구멍
1121: 링체
1122, 1123: 암
1150: 음향 출력부
1151: 음향 발생부
1152: 음도부
1600: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수음 장치
1610: 수음부
1611: 마이크 구멍
1621: 링체
1622, 1623: 암
1650: 음향 출력부
1651: 음도부
2101: 마그네트
2102: 보이스·코일
2103: 진동판
2201: 배기부
2400: 수음 장치
2410: 수음부
2411: 마이크 구멍
2420: 보유 지지부
2450: 음향 출력부
2451: 음향 출력 구멍
2460: 덕트
2461: 배기 구멍

Claims (20)

  1. 수음부와,
    음향 투과부를 갖고, 상기 수음부를 유저의 외이도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는, 수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링체와, 일단부가 상기 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하는, 수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체는, 유저의 이갑개강에 삽입되고, 주간절흔 부근에 걸어 지지되는, 수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통기부를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수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음향 투과부로서의 개구부를 갖는 성상체와, 일단부가 상기 성상체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에서 상기 수음부를 지지하는 1 이상의 암을 포함하는, 수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마이크 구멍을 외이도의 외측을 향해서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하는, 수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마이크 구멍이 외이도의 입구보다 안쪽이 되도록 상기 수음부를 보유 지지하는, 수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음향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수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 장치를 유저의 귀에 장착했을 때,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 구멍과 상기 수음부의 수음 구멍의 상대 위치는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는, 수음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 장치를 유저의 귀에 장착했을 때,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음향 출력 구멍은 상기 수음부의 수음 구멍보다도 귓구멍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음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향 발생부와, 상기 음향 발생부가 발생하는 음향을 일단부로부터 도입하여 타단부까지 전달하는 중공 구조의 음도부를 구비하는, 수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는 유저의 귀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음도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음향 발생부에 접속되며,
    상기 음도부의 상기 타단부의 음향 출력 구멍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유저의 이개 내에서 보유 지지되는, 수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도부는, 상기 타단부 부근에서 주간절흔에 삽입 관통되는, 수음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링체를 포함하는 상기 보유 지지부의 일부와 일체화되는, 수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의 하우징은, 상기 링체가 유저의 이갑개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이도의 입구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선단에 음향 출력 구멍을 갖는 음도부를 구비하는, 수음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링체를 포함하는 상기 보유 지지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수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의 하우징의 전면측에 배치된 음향 출력 구멍을 더 구비하는, 수음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의 하우징의 배면에 배기부를 더 구비하는, 수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측으로부터 주간절흔을 통과하여, 이개의 밖에 배기 구멍을 갖는, 수음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 내에 삽입 관통된 신호선을 더 구비하는, 수음 장치.
KR1020197017468A 2016-12-29 2017-11-01 수음 장치 Ceased KR20190099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7266 2016-12-29
JP2016257266 2016-12-29
PCT/JP2017/039490 WO2018123252A1 (ja) 2016-12-29 2017-11-01 収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412A true KR20190099412A (ko) 2019-08-27

Family

ID=6270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468A Ceased KR20190099412A (ko) 2016-12-29 2017-11-01 수음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1700B2 (ko)
EP (1) EP3565273B1 (ko)
JP (1) JP7047773B2 (ko)
KR (1) KR20190099412A (ko)
CN (1) CN110100456B (ko)
BR (1) BR112019012892A2 (ko)
WO (1) WO2018123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883B2 (ja) * 2018-07-24 2023-08-0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収音装置
US20240244373A1 (en) * 2021-06-14 2024-07-18 Sony Group Corporation Sound pickup device
US20250016486A1 (en) * 2021-11-26 2025-01-09 Clepseadra, Inc. Audio device
WO2025052579A1 (ja) * 2023-09-06 2025-03-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設定装置、評価装置、それら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854A (ja) 2002-10-02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JP2008512015A (ja) 2004-09-01 2008-04-17 スミス リサーチ エルエルシー 個人化されたヘッドフォン仮想化処理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4900A (ja) * 1986-05-22 1987-11-28 Koichi Kikuno 外耳道插入式マイク
JPH03117999A (ja) * 1989-09-30 1991-05-20 Sony Corp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H0495008U (ko) 1990-12-10 1992-08-18
US20050018838A1 (en) 2003-03-03 2005-01-27 Shure Incorporated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JP4873936B2 (ja) 2005-11-15 2012-02-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装置
US20080310662A1 (en) * 2007-06-15 2008-12-18 Davidson Terence M Earpiece snoring sound transmitter
WO2009006897A1 (en) * 2007-07-09 2009-01-15 Gn Netcom A/S Headset system comprising a noise dosimete
US8107654B2 (en) * 2008-05-21 2012-01-31 Starkey Laboratories, Inc Mixing of in-the-ear microphone and outside-the-ear microphone signals to enhance spatial perception
JP2010068299A (ja) * 2008-09-11 2010-03-25 Yamaha Corp イヤホン
US20100195860A1 (en) * 2009-02-05 2010-08-05 Cher Becker Soft shell in-ear earphones with miniature speaker inserts
JP3155238U (ja) 2009-08-05 2009-11-12 国立大学法人長岡技術科学大学 イヤチップマイク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WO2011056202A1 (en) * 2009-10-28 2011-05-12 Ototronix, Llc Improved cochlear implant
CN202261728U (zh) * 2011-08-12 2012-05-30 索尼公司 耳机
US20130089225A1 (en) 2011-10-05 2013-04-11 Cheng-Ho Tsai Binaural-recording earphone set
US9082388B2 (en) * 2012-05-25 2015-07-14 Bose Corporation In-ear active noise reduction earphone
US8971561B2 (en) * 2012-06-20 2015-03-03 Apple Inc.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US20140294191A1 (en) * 2013-03-27 2014-10-02 Red Tail Hawk Corporation Hearing Protection with Sound Exposure Control and Monitoring
KR20150142925A (ko) * 2014-06-12 2015-1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 음향 입력 장치
CN106465009B (zh) * 2014-06-18 2019-01-04 索尼公司 耳插入设备
JP2016039004A (ja) 2014-08-06 2016-03-22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燃料電池
JPWO2016067700A1 (ja) * 2014-10-30 2017-08-10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出力装置並びに音導装置
EP3226582A1 (en) * 2016-03-29 2017-10-04 Oticon Medical A/S Hearing device comprising modular engagement mea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854A (ja) 2002-10-02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JP2008512015A (ja) 2004-09-01 2008-04-17 スミス リサーチ エルエルシー 個人化されたヘッドフォン仮想化処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2892A2 (pt) 2019-11-26
JPWO2018123252A1 (ja) 2019-10-31
WO2018123252A1 (ja) 2018-07-05
EP3565273A1 (en) 2019-11-06
US10841700B2 (en) 2020-11-17
EP3565273A4 (en) 2020-03-18
US20190349681A1 (en) 2019-11-14
CN110100456B (zh) 2021-07-30
CN110100456A (zh) 2019-08-06
JP7047773B2 (ja) 2022-04-05
EP3565273B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3993B2 (ja) 音響出力装置
JP6600075B2 (ja) インイヤ型ヘッドホンによる雑音低減
FI94921B (fi) Korvatulppa käyttäjän ja ympäristön väliseen melulta suojattuun kommunikaatioon
CN110100454B (zh) 声音输出装置
JP7036002B2 (ja) 音響出力装置
KR20190099412A (ko) 수음 장치
JP2020025341A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イヤホン
JP7672740B2 (ja) 音響装置
JP4826455B2 (ja) イヤースピーカ装置及び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2006246426A (ja) イヤホーンアタッチメント及び該イヤホーンアタッチメントを装着したイヤホーン
JP2009027675A (ja) イヤホンアタッチメント
JPH0354990A (ja) イヤー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7320316B1 (ja) オープン型イヤホン
JP2008060943A (ja) イヤホンアタッチメント
JP2000078698A (ja) ヘッドホン
JP2020099094A (ja) 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