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8461A -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 Google Patents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461A
KR20190098461A KR1020180018430A KR20180018430A KR20190098461A KR 20190098461 A KR20190098461 A KR 20190098461A KR 1020180018430 A KR1020180018430 A KR 1020180018430A KR 20180018430 A KR20180018430 A KR 20180018430A KR 20190098461 A KR20190098461 A KR 2019009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stent
injection
tub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887B1 (ko
Inventor
김일환
박봉수
박강민
박시형
박진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8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8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5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device or a kit, e.g. stents or micro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2Encapsulated stents, e.g. wire or whole stent embedded in l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 A61F2250/0068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the pharmaceutical product being in a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관상 장기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 및 상기 스텐트를 감싸는 형태로 그 스텐트에 결합되고, 약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용공간에 수용된 약물을, 상기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 측에 방출시킬 수 있게 하는 미세 방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약물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Medical anti-cancer stent unit}
본 발명은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양으로 인한 폐쇄부위에, 항암제를 반복 보충 가능한 스텐트를 삽입해서 항암 약물을 환부에 주기적으로 반복 방출시켜 항암 치료 효과 및 종양으로 인한 폐쇄 억제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 종양은 그 특성상 암(종양)의 크기 증가로 인한 장관 폐쇄를 유발한다. 이러한 내부 장관의 폐쇄는 식도암, 위암과 담관암, 대장암 그리고 기관지 주변에 발생한 폐암에서 흔히 발생된다. 장관 폐쇄를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소화기 혹은 기관지 내시경 치료 및 스텐트(stent) 시술이 주로 시행된다.
일반적인 스텐트를 이용한 스텐트 시술은, 일시적으로 장관 폐쇄를 호전시킬 수 있으나, 얼마되지 않아 암의 크기 증가로 인해 스텐트가 삽입된 장관의 재폐쇄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암제가 코팅된 약물 코팅 스텐트가 개발되었다.
장관 재폐쇄 방지를 위한 약물 코팅 스텐트(drug eluting stent)는 공극(pore)를 통해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방출하는데, 그 코팅된 항암제는 짧은 시간에 모두 소모되는 문제점을 가짐으로써, 효과의 지속시간이 짧아서 임상적으로 유용성이 낮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95923호 「생분해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과 소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방출하는 스텐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항암제와 같은 약물의 보충을 통해서 환부에 주기적으로 반복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항암 치료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물을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에 원활하게 공급시켜 줄 수 있게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에 약물의 주기적인 공급 시 신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은, 위장관과 기관지와 같은 인체의 관상 장기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 및 상기 스텐트를 감싸는 형태로 그 스텐트에 결합되고, 약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용공간에 수용된 약물을, 상기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 측에 방출시킬 수 있게 하는 미세 방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약물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약물 튜브는, 상기 약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반복적으로 주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약물 주입기구와 연결되는 접속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포트는, 상기 약물 주입기구가 접속되고 약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를 스텐트 측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주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텐트 내측벽에 고정되는 위치고정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와 약물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주입부에 유입된 약물을 상기 약물 튜브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물 튜브는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돌출된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어서 약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포트는, 상기 스텐트가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축선을 따라, 그 접속 포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익스텐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부는, 상기 약물 주입기구의 선단이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 주입기구는, 상기 익스텐션부 측으로 접근되는 과정에서 그 익스텐션부에 연결되되, 상기 익스텐션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커버부; 및 상기 약물의 주입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익스텐션부에 접속되는 미세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은, 스텐트가 위장관이나 기관지와 같은 인체의 관상 장기(管狀臟器) 내에 삽입되고, 약물 튜브가 스텐트를 감싸는 형태로 그 스텐트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에 약물을 수용하며 미세 방출구들을 통해 기관 측에 그 약물을 방출시킴으로써,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환부에 주기적으로 반복 방출시킬 수 있어 항암 치료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약물 튜브에 접속 포트가 마련되고, 그 접속 포트의 주입부가 약물 주입기구와 접속되며 약물을 수용하고, 위치고정부가 주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스텐트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연결부가 위치고정부와 약물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부에 유입된 약물을 약물 튜브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에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원활하고 주기적으로 반복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은, 약물 튜브에 마련된 접속 포트의 익스텐션부가 그 접속 포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익스텐션부의 가이드면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약물 주입기구의 선단이 그 익스텐션부에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약물을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에 원활하게 방출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은, 약물 주입기구의 커버부가 도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익스텐션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익스텐션부에 결합되고, 미세관부가 그 커버부의 내측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익스텐션부에 접속되며 약물을 약물 튜브의 수용공간에 공급함으로써, 스텐트에 약물의 주기적인 공급 시 신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약물 튜브와 약물 주입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채용된 접속 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채용된 접속 포트와 약물 주입기구 간의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접속 포트와 약물 주입기구가 접속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약물 튜브와 약물 주입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은, 스텐트(100) 및 약물 튜브(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텐트(100)는 위장관과 같은 신체 내부 장기, 혈관 등의 내부에 삽입되고, 인체에 무해하며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 티타늄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트(100)는 장기나 혈관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관 형태이며 소정의 탄력을 가진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텐트(100)는 유연성을 가져, 삽입되는 장기의 구조에 따라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텐트(100)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가 엮어져서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약물 튜브(200)는, 스텐트(100)를 감싸는 형태로 그 스텐트에 결합되고 약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01)을 가진다. 상기 약물 튜브(200)는 약물을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내부 장기나 혈관)측에 방출시킬 수 있도록 미세 방출구(202)들을 구비한다.
상기 약물 튜브(200)는 내부식성과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물질,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 튜브(200)는 스텐트(100)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그 스텐드(100)와 접하는 접촉면에 접착층(미도시)을 구비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약물 튜브(200)의 미세 방출구(202)는, 약물이 수용된 수용공간(201) 측과 장기 측을 서로 소통시키고, 그 약물 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약물 튜브(200)는 수용공간(201)으로 약물이 주입될 수 있도록, 약물 주입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물 튜브(200)는, 약물 주입구를 통해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공급받게 된다. 이후, 상기 약물 튜브(200)는 약물을 미세 방출구(202)로, 장시간에 걸쳐 반복 배출시킴으로써, 암과 같은 조직에 주기적으로 약물을 투여하여 항암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은, 스텐트(100)가 장관이나 혈관과 같은 인체의 기관 내에 삽입되고, 약물 튜브(200)가 스텐트(100)를 감싸는 형태로 그 스텐트(100)에 결합되고, 내부 수용공간(201)에 약물을 수용하며 미세 방출구들(202)을 통해 기관 측에 그 약물을 방출시킴으로써,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환부에 주기적으로 반복 방출시킬 수 있어 항암 치료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약물 튜브(200)는 약물 주입구와 연결된 약물 주입기구(300)로부터 약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약물 튜브(200)의 약물 주입구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급받은 약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약물 주입기구(300)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고 푸쉬(push)와 같은 주입 동작 등에 의해 그 약물을 상기 약물 튜브(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채용된 접속 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약물 튜브(2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약물 튜브(200)는 약물 공급을 위한 약물 주입구 역할을 하는 접속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 포트는 주입부(204), 위치고정부(205) 및 연결부(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부(204)는 약물 주입기구와 접속되고 약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상기 주입부(204)는 인체에 무해한 고분자물질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05)는 주입부(204)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텐트(100) 내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주입부(204)를 스텐트(100) 측에 고정시킨다. 상기 위치고정부(205)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05)는, 위치고정부(205)와 약물 튜브(200)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부(204)에 유입된 약물을 약물 튜브(200)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205)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주입부(204)의 내부 공간과 약물 튜브(200)의 내부 공간을 서로 소통시켜, 약물의 주기적인 반복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약물 튜브(200)는 접속부(20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부(207)는, 약물 튜브(200)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돌출되며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05)는 그 접속부(207)에 접속되어 약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약물 튜브(200)에 접속 포트가 마련되고, 그 접속 포트의 주입부가 약물 주입기구와 접속되고 약물을 수용하고, 위치고정부(205)가 주입부(204)로부터 연장되어 스텐트(100)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연결부(205)가 위치고정부(205)와 약물 튜브(200)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부(204)에 유입된 약물을 약물 튜브(200)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에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원활하고 주기적으로 반복 공급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에 채용된 접속 포트와 약물 주입기구 간의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접속 포트와 약물 주입기구가 접속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약물 튜브(2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약물 튜브(200)는 약물 주입구인 접속 포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포트는 약물 튜브(200)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그 약물 튜브(200)의 수용공간과 약물 주입기구(300)를 연결시킴으로써, 약물을 수용공간에 반복적으로 주입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접속 포트는 약물 튜브(2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약물 튜브(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 포트에서 약물 주입기구(300)와 접속되는 부분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그 약물 주입기구(300)와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접속 포트는 익스텐션부(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익스텐션부(203)는 스텐트(100)가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축선을 따라 그 접속 포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 포트는 본 앞서 설명한 접속부의 역할을 한다.
상기 익스텐션부(203)는 약물 튜브(200)의 수용공간(201)을, 스텐트(1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시킨다. 아울러, 익스텐션부(203)는, 약물 주입기구(300)와 접속 또는 접속해제 시 그 수용공간(20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상기 익스텐션부(203)는 약물 튜브(2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익스텐션부(203)는 가이드면(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면(G)은, 그 익스텐션부(203)가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약물 주입기구(300)의 선단이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면(G)은, 약물 주입기구(300)가 상기 익스텐션부(203)에 접속될 경우, 그 약물 주입기구(300)의 선단을 그 익스텐션부(203)에 슬라이딩시켜 끼워지게 함으로써, 약물 튜브에 약물 공급 시 시술 편의성 및 정확성을 증대시키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7 참조)
본 실시예는, 약물 튜브(200)에 마련된 접속 포트의 익스텐션부(203)가 그 접속 포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익스텐션부(203)의 가이드면(G)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약물 주입기구(300)의 선단이 그 익스텐션부(203)에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약물을 스텐트가 삽입된 조직에 원활하게 방출시켜 줄 수 있게 하고, 그 약물을 스텐트에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공급시켜 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약물 주입기구(300)는, 커버부(301) 및 미세관부(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약물 주입기구(300)의 커버부(301)는 도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익스텐션부(203) 측으로 접근되는 과정에서 그 익스텐션부에 연결되되, 그 익스텐션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301)는 인체에 무해하며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미세관부(30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버부(301)와 미세관부(302)는 조작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시술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301)는 바늘 형태의 미세관부(302)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약물 주입을 위해 약물 튜브(200)로 접근 시 미세관부가 신체 조직에 직접 접촉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참조)
상기 미세관부(302)는, 약물의 주입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부(301)의 내측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익스텐션부(203)에 접속된다. 상기 미세관부(302)는, 약물 주입을 위한 약물 주입로를 구비하고, 그 약물이 약물 튜브(200)로 주입되게 한다. 미세관부(302)는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약물 튜브(200)측으로 이동 시, 커버부(301)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약물 주입기구의 커버부(301)가 도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익스텐션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익스텐션부(203)에 결합되고, 미세관부(302)가 그 커버부(301)의 내측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익스텐션부(203)에 접속되며 약물을 약물 튜브(200)의 수용공간에 공급함으로써, 스텐트에 약물의 주기적인 공급 시 신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들 및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스텐트 200: 약물 튜브
201: 수용공간 202: 미세 방출구
203: 익스텐션부 G: 가이드면
204: 주입부 205: 위치고정부
206: 연결부 207: 접속부
300: 약물 주입기구 301: 커버부
302: 미세관부

Claims (7)

  1. 인체의 관상 장기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 및
    상기 스텐트를 감싸는 형태로 그 스텐트에 결합되고, 약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용공간에 수용된 약물을, 상기 스텐트가 삽입된 기관 측에 방출시킬 수 있게 하는 미세 방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약물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튜브는, 상기 약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반복적으로 주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약물 주입기구와 연결되는 접속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포트는,
    상기 약물 주입기구가 접속되고 약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를 스텐트 측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주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텐트 내측벽에 고정되는 위치고정부; 및
    상기 위치고정부와 약물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주입부에 유입된 약물을 상기 약물 튜브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튜브는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돌출된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어서 약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포트는, 상기 스텐트가 삽입되는 삽입 방향의 축선을 따라, 그 접속 포트의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익스텐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부는, 상기 약물 주입기구의 선단이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기구는,
    상기 익스텐션부 측으로 접근되는 과정에서 그 익스텐션부에 연결되되, 상기 익스텐션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커버부; 및
    상기 약물의 주입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익스텐션부에 접속되는 미세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KR1020180018430A 2018-02-14 2018-02-14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Active KR10206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430A KR102068887B1 (ko) 2018-02-14 2018-02-14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430A KR102068887B1 (ko) 2018-02-14 2018-02-14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461A true KR20190098461A (ko) 2019-08-22
KR102068887B1 KR102068887B1 (ko) 2020-01-21

Family

ID=6776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430A Active KR102068887B1 (ko) 2018-02-14 2018-02-14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88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4033A (en) * 1989-05-25 1991-02-19 Schneider (Usa) Inc. Intravascular drug delivery dilatation catheter
WO1998017331A1 (en) * 1995-06-07 1998-04-30 Cook Incorporated Silver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2000513952A (ja) * 1995-05-24 2000-10-24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重型カテーテル接続装置
US6193746B1 (en) * 1992-07-08 2001-02-27 Ernst Peter Strecker Endoprosthesis that can be percutaneously implanted in the patient's body
KR20050117361A (ko) * 2004-06-10 2005-12-14 류용선 티타늄 옥사이드 코팅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73923A1 (en) * 2006-01-20 2007-07-26 Savage Douglas R Drug reservoir stent
JP2008512211A (ja) * 2004-09-09 2008-04-24 アドヴァンスド バイオ プロスセティック サーフェシーズ リミテッド 生物活性剤の生体内送出用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29724A (ja) * 2005-02-16 2008-08-0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ィド 医療器具に薬剤溶離用外部体を組み込む方法、並びに薬剤溶離用外部体を含む自己拡張ステント
US20110295180A1 (en) * 2010-05-26 2011-12-01 Albrecht Thomas E Intestinal brake inducing intraluminal therapeutic substance eluting devices and methods
KR20150136327A (ko) * 2014-05-27 2015-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텐트의 약물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KR20170132189A (ko) * 2015-03-30 2017-12-01 타리스 바이오메디컬 엘엘씨 상부 요로로의 약물의 국부적인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4033A (en) * 1989-05-25 1991-02-19 Schneider (Usa) Inc. Intravascular drug delivery dilatation catheter
KR930002271B1 (ko) * 1989-05-25 1993-03-27 슈나이더(유 에스 에이)인코포레이티드 혈관내 약품공급 확장 카테테르
US6193746B1 (en) * 1992-07-08 2001-02-27 Ernst Peter Strecker Endoprosthesis that can be percutaneously implanted in the patient's body
JP2000513952A (ja) * 1995-05-24 2000-10-24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重型カテーテル接続装置
WO1998017331A1 (en) * 1995-06-07 1998-04-30 Cook Incorporated Silver implantable medical device
KR20050117361A (ko) * 2004-06-10 2005-12-14 류용선 티타늄 옥사이드 코팅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8512211A (ja) * 2004-09-09 2008-04-24 アドヴァンスド バイオ プロスセティック サーフェシーズ リミテッド 生物活性剤の生体内送出用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29724A (ja) * 2005-02-16 2008-08-0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ィド 医療器具に薬剤溶離用外部体を組み込む方法、並びに薬剤溶離用外部体を含む自己拡張ステント
US20070173923A1 (en) * 2006-01-20 2007-07-26 Savage Douglas R Drug reservoir stent
US20110295180A1 (en) * 2010-05-26 2011-12-01 Albrecht Thomas E Intestinal brake inducing intraluminal therapeutic substance eluting devices and methods
KR20150136327A (ko) * 2014-05-27 2015-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텐트의 약물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KR20170132189A (ko) * 2015-03-30 2017-12-01 타리스 바이오메디컬 엘엘씨 상부 요로로의 약물의 국부적인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887B1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510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 across adjacent tissue layers
US1109046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caffolding
JP7416996B2 (ja) フローコントロールステント
ES2424656T3 (es) Sistema de administración de endoprótesis vascular con ramificaciones
US20090204196A1 (en) Self-expandable stent with a constrictive coating and method of use
CN101404960B (zh) 支架传送导管
TWI746179B (zh) 導管
AU2012354260B2 (en) Method of surgical treatment of intestinal obstructions in narrow and large intestine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JPH06105798A (ja) カテーテルチューブ
CN108784895B (zh) 一种扩张支架系统
JP2014223107A (ja) 内視鏡用スライディングチューブ
JP5409363B2 (ja) ループ先端ワイヤガイド
JP2015066144A (ja) 生体管腔治療デバイス
KR102068887B1 (ko) 의료용 항암 스텐트 유닛
JP3231080B2 (ja) カテーテルチューブ
WO2023032084A1 (ja) ステントデバイス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KR100351320B1 (ko) 카테터
CN111407463A (zh) 一种覆膜支架系统
WO2018199019A1 (ja) ステント
CN221770418U (zh) 血管支架输送系统
US12083289B2 (en) Medical delivery systems of bio-absorbable material
JPWO2019139077A1 (ja) 血管内留置具及び血管内留置システム
JP7198058B2 (ja) 医療具の搬送装置
RU157982U1 (ru) Стент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канала соустья
EP1082947A1 (en) Intraluminal graft with intraluminal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