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8016A -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016A
KR20190098016A KR1020180073297A KR20180073297A KR20190098016A KR 20190098016 A KR20190098016 A KR 20190098016A KR 1020180073297 A KR1020180073297 A KR 1020180073297A KR 20180073297 A KR20180073297 A KR 20180073297A KR 20190098016 A KR20190098016 A KR 20190098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plating layer
capacitor body
connection terminal
conductive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148B1 (ko
Inventor
박흥길
박세훈
지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193,43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58118B2/en
Priority to CN201910110652.3A priority patent/CN110164686B/zh
Publication of KR2019009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1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01G2/06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 H01G2/065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a printed-circuit support for surface mounting, e.g. chip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패시터 바디;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각각 접속되고, 제1 및 제2 절개부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커버하는 제1 도금층; 및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커버하는 제2 도금층;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는 기구 부품의 정음(靜音)화가 진행되고 적층형 커패시터(MLCC)가 발하는 어쿠스틱 노이즈(Acoustic Noise)가 두드러지고 있다.
적층형 커패시터의 유전체 재료는 압전성을 지니기 때문에 인가 전압에 동기화되어 변형된다.
인가 전압의 주기가 가청 주파수 대역에 있을 때, 그 변위는 진동이 되어 솔더를 통해 기판에 전해지고, 이 기판 진동은 소리로서 들려 온다. 이것이 어쿠스틱 노이즈로써 전자 기기에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어쿠스틱 노이즈 문제는, 기기의 동작 환경이 조용할 경우 사용자가 어쿠스틱 노이즈를 이상한 소리로 인지하여 기기의 고장이라고 느끼게 하거나 또는 음성 회로를 가지는 기기에서는 음성 출력에 어쿠스틱 노이즈가 중첩되면 기기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람의 귀가 인지하는 어쿠스틱 노이즈와는 별개로 적층형 커패시터의 압전 진동이 20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발생시 IT 및 산업/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센서류에 있어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847265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87622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279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20kHz 이하 가청 주파수 영역의 어쿠스틱 노이즈 및 20kHz 이상의 고주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커패시터 바디;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각각 접속되고, 제1 및 제2 절개부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커버하는 제1 도금층; 및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커버하는 제2 도금층;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가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의 서로 대향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의 두께는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1 도전 패턴;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도전 패턴;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도전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4 도전 패턴; 상기 제4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5 도전 패턴;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제2 절개부; 및 상기 제2 절개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6 도전 패턴;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제3 도전 패턴이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전체 또는 상기 제1 절개부를 포함하면서 그 외 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제6 도전 패턴이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전체 또는 상기 제2 절개부를 포함하면서 그 외 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면 측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에 의해 제1 및 제2 솔더 수용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패시터 바디는, 복수의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과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일단이 제3 및 제4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은,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제3 및 제4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에서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제1 면의 일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밴드부; 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반대 면에 서로 이격되게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은, 영 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100 GPa 이상의 내부 도금층; 및 상기 내부 도금층을 커버하고, 영 모듈러스가 100 GPa 미만의 외부 도금층;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금층은 니켈 도금층 및 주석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도금층은 Ni 또는 Co(코발트)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금층은 S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일면에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가지는 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 상에 제1 및 제2 접속 단자가 각각 접속되도록 실장되는 전자 부품;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의 실장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층형 전자 부품의 20kHz 이하 가청 주파수 영역의 어쿠스틱 노이즈 및 20kHz 이상의 고주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제1 및 제2 도금층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브릿지부가 추가로 형성된 전자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 및 제2 도금층을 제외하고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으로 제1 및 제2 도금층의 변형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으로 접속 단자가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반대 면에 추가로 배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으로 제1 및 제2 도금층이 2중층으로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외부 전극의 표면에 도금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전자 부품이 기판에 실장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도면에서 나타난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1 및 제2 도금층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100)은, 커패시터 바디(110),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 및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커패시터 바디(110)의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에 표시된 X, Y 및 Z는 각각 커패시터 바디(110)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두께 방향은 유전체층이 적층되는 적층 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커패시터 바디(110)는 복수의 유전체층(111)을 Z방향으로 적층한 다음 소성한 것으로서, 복수의 유전체층(111)과 유전체층(111)을 사이에 두고 Z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패시터 바디(110)의 Z방향으로 양측에는 필요시 소정 두께의 커버(112, 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 바디(110)의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유전체층(111) 끼리는 경계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될 수 있다.
커패시터 바디(110)는 대체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패시터 바디(110)에서 Z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면을 제1 및 제2 면(1, 2)으로, 제1 및 제2 면(1, 2)과 연결되고 X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면을 제3 및 제4 면(3, 4)으로, 제1 및 제2 면(1, 2)과 연결되고 제3 및 제4 면(3, 4)과 연결되며 Y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면을 제5 및 제6 면(5, 6)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면(1)이 실장 면이 될 수 있다.
유전체층(111)은 고유전률의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aTiO3계 세라믹 분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전체층(111)에는 상기 세라믹 분말과 함께, 세라믹 첨가제, 유기용제, 가소제, 결합제 및 분산제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첨가제는, 예를 들어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탄화물, 희토류 원소, 마그네슘(Mg) 또는 알루미늄(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으로서, 유전체층(111)을 사이에 두고 Z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번갈아 배치되며, 일단이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3 및 제4 면(3, 4)을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중간에 배치된 유전체층(11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이렇게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3 및 제4 면(3, 4)을 통해 번갈아 노출되는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의 단부는 후술하는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3 및 제4 면(3, 4)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각각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니켈(Ni) 또는 니켈(Ni) 합금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 사이에 전하가 축적된다.
이때, 전자 부품(100)의 정전 용량은 Z방향을 따라 서로 오버랩 되는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의 오버랩 된 면적과 비례하게 된다.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은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면인 제1 면(1)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제공되며,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1, 122)의 노출되는 부분과 각각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의 표면에는 필요시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은 제1 및 제2 도전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니켈(Ni) 도금층과,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주석(Sn) 도금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 도전층은 예컨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131)은 제1 접속부(131a)와 제1 밴드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부(131a)는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3 면(3)에 형성되고 제1 내부 전극(121)과 접속되는 부분이고, 제1 밴드부(131b)는 제1 접속부(131a)에서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면인 제1 면(1)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제1 접속 단자(14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1 밴드부(131b)는 고착 강도 향상 등의 목적으로 필요시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2 면(2)의 일부와 제5 및 제6 면(5, 6)의 일부까지 더 연장될 수 있다.
제2 외부 전극(132)은 제2 접속부(132a)와 제2 밴드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132a)는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4 면(4)에 형성되고 제2 내부 전극(122)과 접속되는 부분이고, 제2 밴드부(132b)는 제2 접속부(132a)에서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면인 제1 면(1)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제2 접속 단자(15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2 밴드부(132b)는 고착 강도 향상 등의 목적으로 필요시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2 면(2)의 일부와 제5 및 제6 면(5, 6)의 일부까지 더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각각 접속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를 각각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에서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1 면(1)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밴드부(131b, 132b)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에 의해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면인 제1 면(1) 측으로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의 제1 및 제2 밴드부(131b, 132b) 상에 제1 및 제2 솔더 수용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는 본 실시 예의 전자 부품을 기판(200)에 실장할 때 사용되는 용융 솔더(220) 등을 가둬두는 솔더 포켓(Solder Pocket)의 역할을 하고, 솔더(220)가 커패시터 바디(110)의 머릿 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막아 커패시터 바디(110)의 진동이 기판(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켜 어쿠스틱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의 X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제작상의 편의성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절개부의 형상을 곡면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절개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는 FR4, F-PCB, 세라믹 재질 등의 절연체 및 금속 등의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가 절연체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그 상하 면에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GND)단자로써 기능하는 도체의 랜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에 도전층이 도포될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141)는, 상기 제3 도전 패턴이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전체 또는 제1 절개부(141a)를 포함하면서 그 외 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 단자(142)는, 상기 제6 도전 패턴이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전체 또는 제2 절개부(142a)를 포함하면서 그 외 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1 접속 단자(141)는, 제1 외부 전극(131)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도전 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절개부(141a)와, 제1 절개부(141a)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도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 단자(142)는, 제2 외부 전극(132)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4 도전 패턴과, 상기 제4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5 도전 패턴과,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제2 절개부(142a)와, 제2 절개부(142a)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6 도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의 상하 면의 랜드 패턴인 도전 패턴들이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의 도전 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가 도체 재질로 형성된 경우 모든 면을 통해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부품(100)은, 적층형 커패시터를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의 X-Y면에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는 소형 기판 형태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에 접합한 구조물이다.
이때,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은 솔더(Solder)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 등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층(151, 152)에 의해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의 제1 및 제2 밴드부(131b, 132b)와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의 상면 사이에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층(151, 15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층(151, 152)은 솔더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도금층(161)은 제1 외부 전극(131)과 제1 접속 단자(141)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제2 도금층(162)은 제2 외부 전극(132)과 제2 접속 단자(142)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은 니켈 도금층과 상기 니켈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주석 도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의 표면에 예를 들어 도전막을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 후 그 위에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을 형성할 수 있다.
접속 단자와 외부 전극을 도전성 접착층으로 접합시 리플로우(Reflow) 투입 등의 열을 가하면 외부 전극 표면의 주석(Sn)층이 일부 용융되어 제거됨으로써 외관이 지저분해질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의 표면에서도 주석층이 용융되므로 이로 인해 기판에 실장시 솔더링(Soldering) 성능이 불안정하게 되어 소음 편차를 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의 Ni/Sn 등의 2차 도금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으로 인해 용융된 Sn층 부분에 대한 외관 개선을 기대할 수 있고, 동시에 기판에 실장시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이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를 각각 서로 연결하면서 강하게 고정하여 전자 부품(100)과 기판(200) 사이의 솔더링을 개선하여 고착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플로우(Reflow)시 용융되어 제거된 도체부를 2차 도금에 의해 표면이 균일한 도체층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회로 기판에 실장시 접속 단자의 여러 표면에 용융 솔더가 골고루 퍼지며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전자 부품(100)의 측면을 통해 연결되는 솔더 필렛의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어쿠스틱 노이즈 저감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전자 부품은,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 사이에 배치되는 브릿지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는 브릿지부(143)를 통해 X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인터포저와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금층(161)은 제1 외부 전극(131)과 제1 접속 단자(141)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제2 도금층(162)은 제2 외부 전극(132)과 제2 접속 단자(142)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이때 브릿지부(143)는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로부터 노출되게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의 두께는 Z방향으로 최대 두께가 각각 10㎛ 이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 접속 단자에서 기판 실장 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두꺼운 도금층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이 마련됨으로써 진동 흡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어쿠스틱 노이즈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기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커패시터 바디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가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반대 면인 제2 면에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배치된 제1 접속 단자(141')는 커패시터 바디(110)의 상측에서 도전성 접착층(151')에 의해 제1 외부 전극(131)의 제1 밴드부(131b) 상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추가로 배치된 제2 접속 단자(142')는 도전성 접착층(152')에 의해 제2 외부 전극(132)의 제2 밴드부(132b) 상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도금층(161')은 제1 외부 전극(131)과 Z방향으로 커패시터 바디(110)의 양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141, 141')를 커버하고, 제2 도금층(162')은 제2 외부 전극(132)과 Z방향으로 커패시터 바디(110)의 양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142, 142')를 커버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1', 142, 142')를 Z방향으로 커패시터 바디(110)의 양면에 대칭으로 배치하면, 전자 부품의 상하 방향성이 제거되므로 전자 부품을 기판 등에 실장시 예기치 않게 실장 방향이 바뀌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바디(110)의 실장 반대 면에 공기층이 아닌 도체층이 일정 두께로 더 존재하게 되므로 보다 원활한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으로 제1 및 제2 도금층이 2중층으로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부품은,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가 도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부에 도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전자 부품은,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이 내부 도금층(161a, 162a)과 내부 도금층(161a, 162a)을 커버하는 외부 도금층(161b, 162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도금층(161a, 162a)은 영 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100 GPa 이상인 고강성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도금층(161b, 162b)은 영 모듈러스가 100 GPa 미만인 중강성 또는 저강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강성으로 이루어진 내부 도금층(161a, 162a)은 적층형 커패시터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를 직접 연결하면서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력이 작용할 때 높은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 간의 고착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도금층(161a, 162a)은 고강성의 특성을 가지는 Ni 또는 Co(코발트) 중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도금층(161b, 162b)은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앞서 설명한 내부 도금층에서와 같이 고강성은 요구되지 않으며, 실장시 회로 기판 상의 용융 솔더 등과 직접 접촉하는 실장 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도금층(161b, 162b)은 용융 솔더와의 접합성이 우수하고 중강성 및 저강성의 특성을 가지는 Sn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2중층 구조의 제1 및 제2 도금층(161", 162")은 기판을 통해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 및 커패시터 바디(110)로 전달되는 외력의 충격을 흡수하는 버퍼층으로 작용하므로 휨 강도 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전자 부품은, 도 12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금층(133, 13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도금층(133, 134)은 니켈 도금층과 니켈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주석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3의 전자 부품이 기판에 실장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부품의 실장 기판은 일면에 제1 및 제2 전극 패드(211, 212)를 가지는 기판(210)과 기판(210)의 상면에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가 제1 및 제2 전극 패드(211, 212) 상에 각각 접속되도록 실장되는 전자 부품(100)을 포함한다.
전자 부품(100)이 기판(210)에 실장된 상태에서 적층형 전자 부품(10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에 극성이 다른 전압이 인가되면, 유전체층(111)의 역압전성 효과(Inverse piezoelectric effect)에 의해 커패시터 바디(110)는 Z 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을 하게 되고,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의 양 단부는 포아송 효과(Poisson effect)에 의해 커패시터 바디(110)의 Z 방향의 팽창 및 수축과는 반대로 수축 및 팽창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축과 팽창은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은 제 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으로부터 기판(210)에 전달되고, 이에 기판(210)으로부터 음향이 방사되어 어쿠스틱 노이즈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전자 부품(100)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과 기판(2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 패드(221, 222) 사이에 형성된 솔더(220)가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2 면을 향해 일정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전자 부품(100)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기판으로 많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부품(100)의 제1 및 제2 외부 전극(131, 132)을 통해 기판으로 전달되는 압전 진동이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의 탄성을 통해 흡수됨으로써, 어쿠스틱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접속 단자(141, 142)의 제1 및 제2 절개부(141a, 142a)에 의해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솔더 수용부가 커패시터 바디(110)의 제1 면(1)에 솔더(220)를 가두어둘 수 있는 솔더 포켓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 부품(100)의 압전 진동 전달 경로를 차단하고 솔더 필렛과 커패시터 바디(110)에서의 최대 변위 지점을 이격시켜, 종래의 전자 부품 대비 어쿠스틱 노이즈 저감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어쿠스틱 노이즈 감소 구조에 의해, 적층형 전자 부품의 20kHz 이내의 가청 주파수에서 적층형 전자 부품의 압전 진동이 기판으로 전달되는 진동량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형 전자 부품의 고주파 진동을 저감하여 IT 또는 산업/전장 분야에서 전자 부품의 20kHz 이상의 고주파 진동에 의해 문제가 될 수 있는 센서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센서류의 장시간 진동에 의한 내부피로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전자 부품
110: 커패시터 바디
111: 유전체층
121, 122: 제1 및 제2 내부 전극
131, 132: 제1 및 제2 외부 전극
141, 141', 142, 142': 제1 및 제2 접속 단자
141a, 142a: 제1 및 제2 절개부
143: 브릿지부
151, 151', 152, 152': 도전성 접착층
161, 162, 161', 162', 161", 162": 제1 및 제2 도금층
200: 기판
211, 212: 제1 및 제2 전극 패드
220: 솔더

Claims (17)

  1. 커패시터 바디;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각각 접속되고, 제1 및 제2 절개부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커버하는 제1 도금층; 및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커버하는 제2 도금층;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가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의 서로 대향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전자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의 두께가 10㎛ 이상인 전자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1 도전 패턴;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 도전 패턴;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도전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외부 전극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제4 도전 패턴; 상기 제4 도전 패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5 도전 패턴;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중 일부에 형성되는 제2 절개부; 및 상기 제2 절개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6 도전 패턴;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제3 도전 패턴이 상기 제1 및 제2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전체 또는 상기 제1 절개부를 포함하면서 그 외 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제6 도전 패턴이 상기 제4 및 제5 도전 패턴을 연결하는 면 전체 또는 상기 제2 절개부를 포함하면서 그 외 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전자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면 측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절개부에 의해 제1 및 제2 솔더 수용부가 각각 마련되는 전자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바디는, 복수의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과 연결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전극의 일단이 제3 및 제4 면을 통해 각각 노출되는 전자 부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은,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제3 및 제4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에서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제1 면의 일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밴드부; 를 각각 포함하는 전자 부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접속 단자가 상기 커패시터 바디의 실장 반대 면에 서로 이격되게 더 배치되는 전자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은,
    영 모듈러스(Young's Modulus)가 100 GPa 이상의 내부 도금층; 및
    상기 내부 도금층을 커버하고, 영 모듈러스가 100 GPa 미만의 외부 도금층;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금층이 니켈 도금층 및 주석 도금층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금층은 Ni 또는 Co(코발트)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금층은 Sn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17. 일면에 제1 및 제2 전극 패드를 가지는 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드 상에 제1 및 제2 접속 단자가 각각 접속되도록 실장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 부품; 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의 실장 기판.
KR1020180073297A 2018-02-13 2018-06-26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Active KR102609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93,436 US10658118B2 (en) 2018-02-13 2018-11-16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CN201910110652.3A CN110164686B (zh) 2018-02-13 2019-02-12 电子组件及具有该电子组件的板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19 2018-02-13
KR20180017919 2018-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16A true KR20190098016A (ko) 2019-08-21
KR102609148B1 KR102609148B1 (ko) 2023-12-05

Family

ID=6780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97A Active KR102609148B1 (ko) 2018-02-13 2018-06-26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1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8844A1 (en) * 2020-10-07 2022-04-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20230022782A (ko) 2021-08-09 2023-02-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2198856B2 (en) 2021-08-09 2025-01-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bonding portion regions thereon, mounted on a boar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265B2 (ja) 2003-03-20 2006-11-22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20100087622A (ko) 2009-01-28 2010-08-05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JP2012253292A (ja) * 2011-06-07 2012-12-20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KR20130115314A (ko) * 2010-12-28 2013-10-2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부품
KR20150009736A (ko) * 2013-07-17 2015-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내장용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JP2015185651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20150127965A (ko) 2014-05-08 2015-1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그 제조 방법 및 그 실장 기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265B2 (ja) 2003-03-20 2006-11-22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20100087622A (ko) 2009-01-28 2010-08-05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20130115314A (ko) * 2010-12-28 2013-10-2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전자부품
JP2012253292A (ja) * 2011-06-07 2012-12-20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KR20150009736A (ko) * 2013-07-17 2015-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내장용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JP2015185651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KR20150127965A (ko) 2014-05-08 2015-1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그 제조 방법 및 그 실장 기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8844A1 (en) * 2020-10-07 2022-04-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11749461B2 (en) * 2020-10-07 2023-09-0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20230022782A (ko) 2021-08-09 2023-02-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2198856B2 (en) 2021-08-09 2025-01-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bonding portion regions thereon, mounted on a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148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211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0658118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102463337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CN109036845B (zh) 多层电子组件、具有多层电子组件的板及电子装置
KR102516765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473422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139409A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089703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KR102561930B1 (ko) 전자 부품
KR102494331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35491A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414842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KR102505433B1 (ko) 전자 부품
KR102471341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US11166376B2 (en) Electronic component with SA/BW ratio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7040850B2 (ja) 積層型電子部品及びその実装基板、並びに電子装置
KR102057905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90098016A (ko)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797235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210085669A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473414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762878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449362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724910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2551218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