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7171A -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171A
KR20190097171A KR1020197020668A KR20197020668A KR20190097171A KR 20190097171 A KR20190097171 A KR 20190097171A KR 1020197020668 A KR1020197020668 A KR 1020197020668A KR 20197020668 A KR20197020668 A KR 20197020668A KR 20190097171 A KR20190097171 A KR 2019009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p
cross
link interference
value
up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306B1 (ko
Inventor
김동규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6Inter-base st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Arrangements to increase tolerance to errors in transmission or reception ti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가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TRP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 간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 혹은 제거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에서의 결정된 TA 값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은 상기 TRP를 위해서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를 위해 하향링크 전송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이중 통신 기술 (Full-duplex communication) 은 한 노드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을 직교하도록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반이중 통신 (Half-duplex communication) 에 비해서 시스템의 용량(capacity)를 이론적으로 2배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도 1은 FDR 을 지원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과 같은 FDR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총 3종류의 간섭이 존재하게 된다.
Intra-device self-interference: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으로 송/수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desired signal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송신한 신호가 동시에 수신된다. 이때, 자신이 송신한 신호는 감쇄가 거의 없이 자신의 수신 안테나로 수신 되므로 desired signal 보다 매우 큰 파워로 수신되어 간섭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UE to UE inter-link interference: 단말이 송신한 상향링크 신호가 인접하게 위치한 단말에게 수신되어 간섭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BS to BS inter-link interference: 기지국간 혹은 HetNet 상황에서의 이종 기지국간(Picocell, femtocell, relay node) 송신하는 신호가 다른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어 간섭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RP가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RP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가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TRP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 간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 혹은 제거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에서의 결정된 TA 값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은 상기 TRP를 위해서는 상향링크 수신 구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를 위해 하향링크 전송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TA 값은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정된 TA 값은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TRP의 상향링크 구간의 타이밍 어드밴스를 조정하기 위한 TA 값일 수 있다. 혹은, 상기 결정된 TA 값은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의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의 경계(boundary)를 조정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결정된 TA 값에 따라 조정된 상향링크 구간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로부터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의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 상기 결정된 TA 값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TA 값이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혹은 제거를 위한 TA 값임을 지시해 주는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장치는, 소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TRP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 간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 혹은 제거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에서의 결정된 TA 값을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은 상기 TRP를 위해서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를 위해 하향링크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A 값을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A 값을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TRP의 상향링크 수신 구간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A 값을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의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의 경계(boundary)를 조정하기 위한 TA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TRP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결정된 TA 값에 따라 조정된 상향링크 구간에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결정된 TA 값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된 TA 값이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혹은 제거를 위한 TA 값임을 지시해 주는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TRP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로부터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의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FDR 기술의 현실적인 진화 방향의 중간 단계로서 기존 할당된 DL 또는 UL 대역을 상이한 duplex 인 UL 또는 DL로 할당하는 Flexible duplex 무선 전송 방식에서의 크로스-링크 간섭을 완화 또는 해결하여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단말의 전이중/반이중 통신 동작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그리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은 FDR 통신 상황에서 송신/수신 링크와 자기간섭 (SI)의 개념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은 장치의 RF 송수신단(혹은 RF front end)에서의 세 가지 간섭 기법을 적용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바탕으로 하여 OFDM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제안하는 통신 장치에서 자기간섭 제거(Self-IC)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를 도식화 한 도면이다.
도 10은 기존 FDD-LTE와 Flexible FDD 무선 전송 방식의 자원 이용 효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Symmetric traffic situation and heavy DL data traffic situation).
도 11은 Flexible FDD 방식에서의 자원 활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5G를 위한 IMT 2020 핵심 성능 요구사항 및 서비스 시나리오 별 5G 성능 요구사항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LTE/LTE-A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LTE/LTE-A 시스템에서의 FDD/TDD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Self-contained Subframe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paired spectrum 과 unpaired spectrum에서 TDM 방식 flexible duplex 운용(operation)을 위한 크로스-링크 간섭(cross-link interference)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TRP에서의 수신 신호 및 크로스-링크 간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의 TA를 조절하는 제안 기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복수 개의 인접 aggressor TRP 송신의 TA를 각각 조절하는 제안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0은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가 타이밍을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시키는 일 예로서 D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시키는 일 예로서 U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한 이후 RS 반복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 예(D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aggressor TRP의 신호 송신을 위한 특정 자원을 RS의 CP를 extended CP로 변경되는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 예(D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가 일부 심볼(RS)의 타이밍을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LTE-A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 LTE-A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혹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데이터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105)과 하나의 단말(110)(D2D 단말을 포함)을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5)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5), 심볼 변조기(120), 송신기(125), 송수신 안테나(130), 프로세서(180), 메모리(185), 수신기(190), 심볼 복조기(19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65), 심볼 변조기(170), 송신기(175), 송수신 안테나(135), 프로세서(155), 메모리(160), 수신기(140), 심볼 복조기(15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130, 135)가 각각 기지국(105) 및 단말(110)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은 SU-MIMO(Single User-MIMO) MU-MIMO(Multi User-MIMO)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하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여, 코딩하고, 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변조하여(또는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이 데이터 심볼들과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다중화하여 이를 송신기 (125)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제로의 신호 값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에서, 파일럿 심볼들이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 심볼일 수 있다.
송신기(12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또한,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 컨버팅(upconverting) 하여,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하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130)는 발생된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110)의 구성에서, 수신 안테나(13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140)로 제공한다. 수신기(140)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145)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이를 프로세서(155)로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145)는 프로세서(155)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획득하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50)로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 (150)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볼 디-매핑(demapping))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고, 디코딩하여,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145)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기지국(105)에서의 심볼 변조기(120)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에 의한 처리에 대해 상보적이다.
단말(110)은 상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65)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송신기(175)로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17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135)는 발생된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105)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05)에서, 단말(1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기(190)는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이어서, 심볼 복조기(195)는 이 샘플들을 처리하여, 상향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처리하여,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단말(110) 및 기지국(105) 각각의 프로세서(155, 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55, 18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160, 185)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60, 185)는 프로세서(18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RF Un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55, 18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5, 18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55, 18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55, 18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60, 18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55, 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 (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상기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단말, 기지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RRC 레이어를 통해 RRC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의 프로세서(155)와 기지국의 프로세서(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및 저장 기능 등을 제외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를 언급하지 않는다.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의 언급이 없더라도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및 저장 기능이 아닌 데이터 처리 등의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통상적인 무선 전송의 표현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로서 기지국과 무선 단말 간의 무선 전송에 대하여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로의 전송을 하향링크 전송, 무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상향링크 전송으로 통칭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 간의 무선 자원을 구분하는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정의하며 주파수 밴드를 하향링크 전송 밴드와 상향링크 전송 밴드로 구분하여 양방향 송수신하는 경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라고 표현하고 동일 주파수 밴드에서 시간 영역(time domain) 무선 자원을 하향 링크 시구간(time duration) 자원과 상향링크 시구간(time duration) 자원으로 구분하여 송수신하는 경우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라고 표현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3의 (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할당 단위로서의 자원 블록(RB)은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표준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표준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표준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표준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3(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있고, "D"라고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U"라고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이며, "S"라고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는 특별 서브프레임이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스위치-포인트 주기인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S)은 하프-프레임 마다 존재하고,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스위치-포인트 주기인 경우에는 첫 번째 하프-프레임에만 존재한다. 서브프레임 인덱스 0 및 5(subframe 0 and 5) 및 DwPTS는 하향링크 전송만을 위한 구간이다. UpPTS 및 특별 서브프레임에 바로 이어지는 서브프레임은 항상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구간이다. 멀티-셀 들이 병합된(aggregated) 경우, 단말은 모든 셀들에 거쳐 동일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임을 가정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셀들에서의 특별 서브프레임의 보호 구간은 적어도 1456Ts 오버랩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특별 프레임의 구성(DwPTS/GP/UpPTS의 길이)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pct00001
다음 표 2는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타입 2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n)을 나타낸 표이다.
Figure pct00002
표 2를 참조하면,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타입 2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n)에는 7가지가 있다. 각 구성 별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특별 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 또는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2에 나타낸 타입 2 프레임 구조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configuration)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할 것이다. 다음 표 3은 TDD configurations 0-6에 대한 k값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3
타입 1 프레임 구조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단말에 할당된 PHICH 상에서 수신된 HARQ-ACK은 서브프레임 i-4에서의 PUSCH 전송과 관련되어 있다. 타입 2 프레임 구조 UL/DL configuration 1-6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단말에 할당된 PHICH 상에서 수신된 HARQ-ACK은 서브프레임 i-k(k는 상기 표 3에 표시되어 있음)에서의 PUSCH 전송과 관련되어 있다.
아래에서 3GPP LTE/LTE-A 시스템에서의 UE HARQ-ACK procedure를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3GPP LTE/LTE-A 시스템에서의 UE HARQ-ACK procedure에 기초하여 기술될 것이다.
For Frame Structure type 2 UL/DL configuration 1-6, an HARQ-ACK received on the PHICH assigned to a UE in subframe i is associated with the PUSCH transmission in the subframe i-k as indicated by the table 3.For Frame Structure type 2 UL/DL configuration 0, an HARQ-ACK received on the PHICH in the resource corresponding to IPHICH =0, assigned to a UE in subframe i is associated with the PUSCH transmission in the subframe i-k as indicated by the table 3. If, for Frame Structure type 2 UL/DL configuration 0, an HARQ-ACK received on the PHICH in the resource corresponding to IPHICH =1 , assigned to a UE in subframe i is associated with the PUSCH transmission in the subframe i-6.The physical layer in the UE shall deliver indications to the higher layers as follows:For downlink subframe i, if a transport block was transmitted in the associated PUSCH subframe then:- if ACK is decoded on the PHICH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block in subframe i, ACK for that transport block shall be delivered to the higher layers;- else NACK for that transport block shall be delivered to the higher layers.For downlink subframe i, in case of a retransmission in the associated PUSCH subframe, if a transport block was disabled in the associated PUSCH subframe then ACK for that transport block shall be delivered to the higher layers.
아래에서 3GPP LTE/LTE-A 시스템에서의 PHICH Assigment procedure를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3GPP LTE/LTE-A 시스템에서의 PHICH Assigment procedure에 기초하여 기술될 것이다.
For PUSCH transmissions scheduled from serving cell in subframe n, a UE shall determine the corresponding PHICH resource of serving cell c in subframe n+kPHICH , where kPHICH is always 4 for FDD and is given in following table 6 for TDD. For subframe bundling operation, the corresponding PHICH resource is associated with the last subframe in the bundle.The PHICH resource is identified by the index pair (
Figure pct00004
)where
Figure pct00005
is the PHICH group number and
Figure pct00006
is the orthogonal sequence index within the group as defined by:
Figure pct00007
where nDMRS is mapped from the cyclic shift for DMRS field (according to following table 6) in the most recent PDCCH with uplink DCI format [4] for the transport block(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PUSCH transmission. nDMRS shall be set to zero, if there is no PDCCH with uplink DCI format for the same transport block, and if the initial PUSCH for the same transport block is semi-persistently scheduled, or if the initial PUSCH for the same transport block is scheduled by the random access response grant .
Figure pct00008
is the spreading factor size used for PHICH modulation as described in section 6.9.1 in [3].
Figure pct00009
where
Figure pct00010
is the lowest PRB index in the first slot of the corresponding PUSCH transmission
Figure pct00011
is the number of PHICH groups configured by higher layers as described in section 6.9 of [3],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그리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혹은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자원 블록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된다. 하나의 RB는 12×7(6)개의 RE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RB의 개수 NRB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에 의존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하되, OFDM 심볼이 SC-FDMA 심볼로 대체된다.
도 5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대응한다. 남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DCI 포맷은 상향링크용으로 포맷 0, 하향링크용으로 포맷 1, 1A, 1B, 1C, 1D, 2, 2A, 3, 3A 등의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DCI 포맷은 용도에 따라 호핑 플래그(hopping flag), RB 할당, MCS(modulation coding scheme),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TPC(transmit power control), 사이클릭 쉬프트 DM 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요청, HARQ 프로세스 번호, TPMI(transmitted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확인(confirmation) 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상향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랜덤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들에 대한 Tx 파워 제어 명령 세트, Tx 파워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지시 정보 등을 나른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합(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 및 PDCCH 비트의 개수는 CCE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될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자(예,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마스킹 된다. 예를 들어, PDCCH가 특정 단말을 위한 것일 경우, 해당 단말의 식별자(예, cell-RNTI (C-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일 경우, 페이징 식별자(예, paging-RNTI (P-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C))를 위한 것일 경우,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랜덤 접속 응답을 위한 것일 경우,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도 6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예,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CP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하고 음성 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끝 부분에 위치한 RB 쌍(RB pair)을 포함하며 슬롯을 경계로 호핑한다.
PUCCH는 다음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SR(Scheduling Request): 상향링크 UL-SCH 자원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OOK(On-Off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 HARQ ACK/NACK: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일 하향링크 코드워드(CodeWord, CW)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1비트가 전송되고, 두 개의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2비트가 전송된다.
-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관련 피드백 정보는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PTI(Precoding Type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당 20비트가 사용된다.
단말이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는 제어 정보(UCI)의 양은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의 개수에 의존한다.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는 서브프레임에서 참조 신호 전송을 위한 SC-FDMA 심볼을 제외하고 남은 SC-FDMA 심볼을 의미하고, 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경우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도 제외된다. 참조 신호는 PUCCH의 코히어런트 검출에 사용된다. PUCCH는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7개의 포맷을 지원한다.
동일 주파수 밴드 상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FDR 송수신 시스템은 주파수 또는 시간을 나누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 하는 기존 시스템 대비 주파수 효율 (Spectral efficiency) 를 최대 2배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각광 받고 있다.
단일 주파수 전송 밴드를 사용한 FDR은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 관점에서는 단일 주파수 전송 밴드를 통해 송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송 자원 설정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의 특별한 일례로서 일반적인 기지국(또는 중계기, 릴레이 노드, remote radio head(RRH) 등)과 무선 단말 간의 무선 통신에 대해서 단일한 주파수 전송 밴드를 통해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수신, 무선 단말의 하향링크 수신과 상향링크 전송을 동시적으로 수행하는 전송 자원 설정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무선 단말 들 간의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D2D)의 상황에서 무선 단말들 간의 전송과 수신이 동일한 주파수 전송 밴드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전송 자원 설정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하의 본 발명에서 일반적 기지국과 무선 단말 간 무선 송수신의 경우를 예시하며 FDR 관련 제안 기술들을 기술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기지국 이외의 단말과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무선 디바이스의 경우도 포함며 단말들 간의 직접 통신의 경우도 포함한다.
도 7은 FDR 통신 상황에서 송신/수신 링크와 자기간섭 (SI)의 개념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에서처럼 자기간섭(SI)는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경로 감쇄 없이 자신의 수신 안테나로 바로 들어오는 다이렉트 간섭(direct interference)과 주변의 지형에 의해 반사된 반사된 간섭(reflected interference)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물리적인 거리 차이에 의해 원하는 신호(desired signal) 보다 극단적으로 클 수 밖에 없다. 이렇게 극단적으로 큰 간섭의 세기 때문에 FDR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서는 자기간섭의 효과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효과적으로 FDR 시스템이 구동되기 위해서는 장치의 최대 송신 파워에 따른 자기간섭 제거(Self-IC)의 요구 사항을 다음 표 1(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FDR적용 시 Self-IC 요구사항 (BW=20MHz))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Node Type Max. Tx Power (PA) Thermal Noise. (BW=20MHz) Receiver NF Receiver Thermal Noise Level Self-IC Target (PA- TN-NF)
Macro eNB 46dBm -101dBm 5dB (for eNB) -96dBm 142 dB
Pico eNB 30dBm 126 dB
Femto eNB,WLAN AP 23dBm 119 dB
UE 23dBm 9dB(for UE) -92dBm 115 dB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단말(UE)이 20MHz 의 대역폭(BW)에서 효과적으로 FDR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119dBm 의 Self-IC 성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역폭에 따라서 Thermal noise 값이
Figure pct00014
식과 같이 바뀔 수 있으며, 표 7은 20MHz 의 대역폭을 가정하고 구하였다. 표 7과 관련하여 Receiver Noise Figure (NF) 는 3GPP 표준 요구사항(specification requirement)를 참조하여 worst case를 고려하였다. Receiver thermal noise level 은 특정 BW 에서의 thermal noise 와 receiver NF의 합으로 결정된다.
자기간섭 제거(Self-IC) 기법의 종류 및 적용 방법
도 8은 장치의 RF 송수신단(혹은 RF front end)에서의 세 가지 간섭 기법을 적용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3가지 Self-IC 기법의 적용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3가지 Self-IC 기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Antenna Self-IC: 모든 Self-IC 기법 중 가장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자기간섭 제거 기법이 안테나 자기간섭 제거 기법이다. 안테나 단에서 SI 제거가 수행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 사이에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물체를 설치하여 SI 신호의 전달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거나, 다중 안테나를 활용하여 안테나 간의 거리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거나, 특정 송신 신호에 위상 반전을 주어 SI 신호를 일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다중 편파 안테나 또는 지향성 안테나를 활용하여 SI 신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Analog Self-IC: 수신 신호가 ADC (Analog-to-Digital Convertor) 를 통과하기 이전에 Analog 단에서 간섭을 제거하는 기법으로 복제된 Analog 신호를 이용하여 SI 신호를 제거하는 기법이다. 이는 RF영역 혹은 IF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SI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송신되는 Analog 신호를 시간지연 시킨 후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실제로 수신되는 SI 신호의 복제 신호를 만들어 수신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Analog 신호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구현 복잡도와 회로특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간섭제거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Digital Self-IC: 수신 신호가 ADC를 통과한 이후에 간섭을 제거하는 기법으로 Baseband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간섭제거 기법들을 포함한다. 가장 간단하게는 송신되는 Digital 신호를 활용하여 SI 의 복제 신호를 만들어 수신된 Digital 신호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혹은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Baseband에서의 Precoding/Postcoding을 수행 함으로써 단말 혹은 기지국에의 송신 신호가 수신안테나로 수신되지 않게끔 하기 위한 기법들 또한 Digital Self-IC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러나 Digital Self-IC는 Digital로 변조된 신호가 원하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복원 할 수 있을 정도로 양자화가 이루어져가 가능하기 때문에 Digital Self-IC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의 기법을 활용하여 간섭을 제거하고 난 이후의 남아있는 간섭 신호와 원하는 신호간의 신호 파워의 크기 차가 ADC range안에 들어와야 하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도 9는 도 8을 바탕으로 하여 OFDM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제안하는 통신 장치에서 자기간섭 제거(Self-IC)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를 도식화 한 도면이다.
Digital Self-IC block의 위치는 도 9에서는 DAC 전과 ADC 통과후의 디지털 자기간섭 신호(digital SI) 정보를 바로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IFFT 통과 후 및 FFT 통과 전의 디지털 자기간섭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분리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개념도이지만,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한 안테나 간섭 제거 기법 사용시에는 도 5와는 다른 안테나의 구성법이 될 수 있다.
3GPP LTE 시스템은 하기의 표 8과 같이 TDD/FDD 모두 미리 정해져 있는 고정된 상향링크/하향링크 대역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한다. TDD의 경우에는 Cell-specific 하게 TDD configuration 을 정할 수 있지만 FDD 의 경우에는 정해진 상향링크/하향링크 대역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며, 한 대역은 단말 송신과 기지국 송신 중 하나의 용도로만 활용되도록 정해져 있어 이외의 대역에는 전송할 수 없다. 표 8은 E-UTRA frequency bands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그러나, 실제 단말의 데이터 환경은 비대칭적 데이터 트래픽(asymmetric data traffic)의 특성을 가지며 대부분의 통신 환경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트래픽 보다는 하향링크 데이터 트래픽의 비중이 더 크며, 상향링크/하향링크 사이에 약 1:9의 트래픽 양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비대칭적 데이터 트래픽 환경에서는 상기 표 8에서와 같이 고정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주파수 할당을 기반으로 하는 FDD-LTE로 동작 시 자원의 활용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FDR 시스템의 초기 단계로서 Flexible FDD 무선 전송 방식이 제안되었다.
Flexible FDD 시스템은 실제 비대칭적 데이터 트래픽 특성에 따라 FDD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규제(regulation)가 풀리는 것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대역을 특정 시간 동안 하향링크 대역으로 활용하여 단말의 트래픽 환경에 맞춰 자원의 이용 효율을 올리고자 하는 기술이다. 기존 FDD-LTE와 Flexible FDD 무선 전송 방식에서의 자원 이용 효율 비교는 도 10과 같다.
도 10은 기존 FDD-LTE와 Fexible FDD 무선 전송 방식의 자원 이용 효율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Symmetric traffic situation and heavy DL data traffic situa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칭적 데이터 트래픽 환경에서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자원을 대부분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성은 높다. 그러나, 많은(Heavy) 하향링크 데이터 트래픽 환경에서,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FDD(FDD-LTE)의 경우에는 자원을 이용하지 않아 낭비되는 주파수 자원이 발생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명하다. 이렇게 자원의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시간에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많은 하향링크 데이터 트래픽(Heavy DL data traffic) 환경일 때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Flexible FDD 무선 전송 방식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버퍼 상태(buffer status) 와 함께 상세히 나타낸 것이 도 11이다.
도 11은 Flexible FDD 방식에서의 자원 활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대칭적 트래픽 상황(Symmetric Traffic Situation)의 경우의 자원 이용보다 특정 시간에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하향링크 전송 시 하향링크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많은 하향링크 트래픽(Heavy DL traffic) 환경일 때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lexible FDD 무선 전송 방식은 각자의 서비스 혹은 응용 프로그램에 맞춰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flexible 하게 설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때의 시간 자원은 하나 이상의 전송 심볼들로 구성되는 타임 슬롯, 서브프레임(subframe), 또는 프레임 등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개별 무선 단말 단위의 서비스, 응용 특성에 최적화된 무선 전송 자원 할당을 지원함과 동시에 임의의 기지국 커버리지 상에서의 전체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진하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2는 5G를 위한 IMT 2020 핵심 성능 요구사항 및 서비스 시나리오 별 5G 성능 요구사항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5G를 위한 IMT 2020에서 제시한 핵심 성능 요구사항과 서비스 시나리오 별 5G 성능 요구사항과의 연관성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uMTC Service는 Over The Air (OTA) Latency Requirement가 매우 제한적이고, 높은 Mobility와 높은 Reliability를 요구한다 (OTA Latency: < 1ms, Mobility: > 500km/h, BLER: < 10-6).
도 13은 LTE/LTE-A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LTE/LTE-A의 프레임 구조의 기본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하나의 프레임은 10ms으로, 10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0.5ms 슬롯(slot)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이루어 진다. 15 kHz 간격의 부반송파 12개와 7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가 정의된다. 기지국은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6RB에서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위한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와 시스템 정보를 위한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를 전송한다. 여기서, Normal/Extended CP(Cyclic Prefix), TDD(Time Division Duplex)/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조 및 신호, 채널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4는 LTE/LTE-A 시스템에서의 FDD/TDD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FDD 프레임 구조의 경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주파수 대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TDD 프레임 구조의 경우 동일 band 내에서 서브프레임 단위로 하향링크 영역과 상향링크 영역이 구분된다.
도 15는 Self-contained Subframe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5G 성능요구 사항 중, 저지연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Self-contained Subframe 구조를 나타낸다. TDD 기반의 Self-contained Subframe 구조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위한 자원구간(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존재하며, 하향링크/상향링크 간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Guard Period (GP)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구간이 존재한다.
도 15의 (a)는 Self-contained Subframe 구조의 일 예로서, 하향링크-상향링크-데이터를 위한 자원 구간의 순서로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며, 자원 구간 사이에 GP가 존재한다. 도 15의 (a)에서 DL로 표시된 하향링크 자원 구간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구간일 수 있으며, UL로 표시된 상향링크 자원 구간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구간일 수 있다.
도 15의 (b)는 Self-contained Subframe 구조의 다른 일 예로서, 하향링크-데이터-상향링크를 위한 자원구간 순서로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며, 상향링크 자원 구간 앞에만 GP가 존재한다. 도 15의 (b)에서도 마찬가지로 DL로 표시된 하향링크 자원 구간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구간일 수 있으며, UL로 표시된 상향링크 자원 구간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구간일 수 있다.
도 16은 paired spectrum 과 unpaired spectrum 에서 TDM 방식 flexible duplex 운용(operation)을 위한 크로스-링크 간섭(cross-link interference)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lexible duplex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간섭을 하기부터는 크로스-링크 간섭으로 호칭한다. 보다 자세히는, 인접 기지국이 다른 방향의 DL/UL 동작으로 인해 인접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 발생은 특정 기지국의 상향링크 수신 시에 간섭으로 작용한다. 또한, 인접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발생은 특정 단말의 하향링크 수신 시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크로스-링크 간섭에 대해 도 16에서 paired spectrum 과 unpaired spectrum 에 따라서 보다 자세히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간 무선 전송에 대하여 Flexible duplex 무선 전송 방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기술은 flexible duplex 이외에도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예는 unpaired spectrum 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가 자원을 공유하거나 paired spectrum에서 하나의 대역(band)에 하향링크/상향링크가 자원을 공유하거나, 하향링크/상향링크와 sidelink (SL)가 자원을 공유하거나 백홀(backhaul)과 액세스 링크(access link)가 자원을 공유하거나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현되는 기지국은 중계기, 릴레이 노드, remote radio head(RRH), TRP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등을 포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Flexible duplex 무선 전송 방식에서 발생하는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밍 기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절차 및 시그널링의 일 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도 16에서 도시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기지국의 관점에서의 일 예를 다시 표현하면 도 17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제안들에 설명하고, 각 제안에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각 제안들과 각 제안들의 실시예들은 서로 결합되거나 혹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로스-링크 간섭(cross-link interference)이라 함은 해당 타이밍에서 간섭을 받는 주체와 간섭을 주는 주체가 링크가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간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간섭을 받는 주체는 DL 수신 타이밍일때 간섭을 주는 주체가 UL 전송 타이밍인 경우에 UL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을 크로스-링크 간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크로스-링크 간섭으로 간섭을 받는 입장의 단말/기지국에 대해서는 각각 victim UE/victim TRP로 표현하고, 간섭을 주는 입장의 단말/기지국에 대해서는 aggressor UE/aggressor TRP로 표현하였다.
도 17은 TRP에서의 수신 신호 및 크로스-링크 간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victim TRP에 해당하는 예는 다음과 같은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이외의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 해당 자원에 대한 프라이머리 유저(primary user)(일 예로 자원이 하향링크로 설정된 경우 하향링크를 사용하는 장치가 프라이머리 유저일 수 있다)
- coordinated/intended DL/UL configuration을 따라서 자원 설정을 하는 유저(일 예로 semi-static TDD DL/UL configuration 이 주어져 있다고 할 때 그러한 configuration 을 따라서 수행하는 장치가 해당할 수 있다)
- priority 가 높게 설정된 링크(일 예로서 백홀과 액세스 링크가 있을 경우 백홀이 priority가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WAN과 사이드링크(sidelink)의 경우 WAN에 priority가 높을 수 있다)
- 그룹핑(grouping) 등을 통해서 priority 혹은 프라이머리 유저 그룹에 속하는 장치
TRP라고 호칭하나 해당 victim TRP는 victim device or victim 유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ggressor TRP에 해당하는 예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해당 자원에 대한 세컨더리 장치(secondary device)(일 예로서 자원이 하향링크 자원으로 설정된 경우 상향링크 또는 사이드링크를 사용하는 장치가 세컨더리 유저일 수 있다)
- coordinated/intended DL/UL configuration을 따라서 자원 설정을 하지 않은 혹은 자원 설정을 intended와 다르게 하려는 장치(일 예로서, semi-static TDD DL/UL configuration 이 주어져 있다고 할 때 그러한 configuration 을 따라 수행하지 않는 장치가 aggressor TRP에 해당할 수 있다)
- priority 가 낮게 설정된 링크(일 예로서 백홀과 액세스 링크가 있을 경우 액세스 링크가 priority가 낮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WAN과 사이드링크의 경우 사이드링크의 priority가 낮을 수 있다)
- 그룹핑(grouping) 등을 통해서 priority 혹은 세컨더리 유저 그룹에 소속하는 장치
도 17은 TDD 기반의 self-contained 프레임 구조에서 TRP의 상향링크 수신 시 인접 TRP의 하향링크 전송으로 인한 간섭을 표현한 것이다.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7은 Aggressor TRP 와 Victim TRP가 동일 numerology 와 동일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일 예이다. 그러나, 도 17의 예와는 다르게 FDD 기반의 DL/UL 대역 또는 상이한 numerology 상황 또는 상이한 프레임 구조 상황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Victim TRP 에 접속해 있고(예를 들어, Victim TRP와 RRC Connected 상태) UL Grant를 수신한 단말들은 Victim TRP으로부터 지시받은 TA(Timing Advance) 값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 인해 Victim TRP의 UL 수신 시 시간이 앞당겨 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앞당겨진 시간 및 Aggressor TRP 에서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로 인해 크로스-링크 간섭 신호의 수신 시간이 시간적으로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와 크로스-링크 간섭 간의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인접 aggressor TRP 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인접 aggressor TRP 와 victim TRP 간의 거리가 모두 상이한 것과 같은 이유 등으로 인해 victim TRP의 수신 관점에서는 인접 aggressor TRP로부터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이 각각 상이하다. 이러한 상이함으로 인해 victim TRP은 크로스-링크 간섭의 신호가 시간 동기가 맞지 않은 상태로 수신한다.
상향링크 수신 신호와 크로스-링크 간섭 간의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victim TRP 는 인접 aggressor TRP로부터 기인한 크로스-링크 간섭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크로스-링크 간섭의 채널, 크로스-링크 간섭 패턴, 크로스-링크 간섭의 세기, 크로스-링크 간섭의 성질 등의 정보)를 알지 못해 상향링크 신호 수신 시에 간섭으로 인해 성능의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victim TRP의 크로스-링크 간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제안이 필요하다.
제안 1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또는 제거 또는 경감하기 위해 인접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의 간섭의 타이밍 정렬(timing alignment)를 통해 CP(Cyclic Prefix) 이내로 시간 동기를 맞춰주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링크 간섭의 정확한 측정 및 정보 획득을 목적으로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 및 간섭 신호의 수신의 타이밍 정렬(timing alignment)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이 victim TRP 에 접속한 단말(UE)이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과 aggressor TRP 가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안한다.
특히, 상술한 비대칭적 트래픽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특정 서브프레임또는 특정 슬롯의 하향링크/상향링크 direction을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변경하여 상이한 configuration으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즉 victim TRP 에서 aggressor TRP 로 변경되는 경우, victim TRP에게 추가적인 동작 없이도 인접 victim TRP 에게 주는 영향 및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 aggressor TRP 가 victim TRP의 수신 타이밍에 맞추어 TA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상술한 비대칭적 트래픽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특정 서브프레임또는 특정 슬롯의 하향링크/상향링크 direction을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하여 상이한 configuration으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즉 aggressor TRP에서 victim TRP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기존 인접 TRP의 추가적인 동작 없이도 인접 aggressor TRP 에게 받는 영향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victim TRP 가 aggressor TRP의 수신 타이밍에 맞추기 위해 TA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특정 목적에 의해 DL/UL configuration을 변경하고자 하는 TRP 는 주변 TRP의 상태에 맞도록 시간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제안 1-1
상기 제안 1의 구체적인 제안으로서,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이 CP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victim TRP가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TA 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그널링(예를 들어, TA 값 포함)을 해주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TA 조절을 위해 시그널링 해 주는 방식은 일 예로서, aggressor TRP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게 cancel 등의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하며, aggressor TRP가 간섭 경감 기술(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 (예를 들어, 파워 감소)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가능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aggressor TRP의 단말이 UE-to-UE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시그널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각 단말에 들어오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 정확히 예측되어 그에 따라 victim TRP의 TA가 조정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때, TRP가 TA 값을 단말에게 전송해 줄 때,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혹은 제거를 위한 TA 값임을 함께 지시해 줄 수 있다.
도 18은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의 TA를 조절하는 제안 기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이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형태로 수신되었을 때, victim TRP 는 기존 단말의 TA 를 조절하여 수신 타이밍을 aggressor TRP로부터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있다. aggressor TRP로부터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에 맞추기 위해, victim TRP 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링크 송신 단말에게 TA 값을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보다 자세히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크로스-링크 간섭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인접 aggressor TRP의 간섭이 모두 asynchronous 하기 때문에, 해당 단말의 TA 가 모든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에 맞추어 질 수는 없다. 따라서, victim TRP 의 수신 관점에서 크로스-링크 간섭의 전력이 가장 큰 aggressor TRP 또는 크로스-링크 간섭이 큰 복수 개의 aggressor TRP의 크로스-링크 간섭 타이밍에 수신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victim TRP 에서 측정 또는 추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하여 TA 를 조절할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각 하향링크 수신할 단말에게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 수신할 단말은 상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aggressor TRP의 변경된 송신에 맞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접 aggressor TRP의 DL/UL 전송 방향이 순시적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링크 간섭의 전체 합이 변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victim TRP의 수신 관점에서 크로스-링크 간섭 전력이 가장 크거나 또는 큰 복수 개의 aggressor TRP의 정보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서브프레임에서의 크로스-링크 간섭과의 CP 이내 수신을 위한 TA와 시간이 흐른 뒤의 해당 TA 값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명시한 시간에 따른 크로스-링크 간섭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기적 또는 순시적인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제안 1-2
상기 제안 1의 구체적인 제안으로서,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이 CP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인접 aggressor TRP 송신의 서브프레임/슬롯 경계(boundary)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제안한다. 즉 슬롯 경계를 조금 앞당기거나 뒤로 미루어 victim TRP와의 타이밍 정렬(timing alignment)를 할 수 있다.
도 19는 복수 개의 인접 aggressor TRP 송신의 TA를 각각 조절하는 제안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9의 제안 기법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이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형태로 수신되었을 때, aggressor TRP 는 하향링크 신호에 TA 를 적용하여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aggressor TRP 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에게 TA 값을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크로스-링크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수 개의 인접 victim TRP로의 간섭이 모두 asynchronous 하기 때문에, victim TRP가 victim TRP로 영향을 주는 모든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에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맞출 수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aggressor TRP의 송신 관점에서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전력이 가장 큰 하나의 victim TRP 또는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전력이 큰 복수 개의 victim TRP가 aggressor TRP의 하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전력이 가장 큰 하나의 victim TRP 또는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전력이 큰 복수 개의 victim TRP가 aggressor TRP의 하향링크 송신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는, victim TRP 는 타이밍 차이에 대한 측정 또는 추정을 수행하여 TA를 조절할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TA를 조절할 시간(타이밍 차이에 대한 값을 포함)를 aggressor TRP로 X2 interface 와 같은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각 aggressor TRP는 해당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단말에게 상기 시그널링받은 TA를 조절할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고, 상기 해당 단말은 Aggressor TRP의 변경된 송신 시간에 맞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접 victim TRP의 DL/UL transmission 방향이 순시적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을 주는 크로스-링크 간섭의 대상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이전 서브프레임에서의 크로스-링크 간섭과의 CP 이내 수신을 위한 TA와 시간이 흐른 뒤의 해당 TA 값은 변동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크로스-링크 간섭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ggressor TRP는 해당 단말에게 계산된 TA를 조절할 시간에 대한 정보는 주기적 또는 순시적으로 시그널링해 줄 필요가 있다.
제안 1-3
의도된(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에 해당하는 송수신의 타이밍을 victim TPR의 송수신 타이밍에 서브프레임/슬롯 경계를 각각 조절하여 정렬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도 20은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가 타이밍을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TRP 전송의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의 송신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priority 가 낮은 TRP(일 예로서 intended DL/UL configuration을 따르지 않고 상이한 DL/UL configuration 으로 변경하여 aggressor TRP로 변경된 TRP)는 priority 가 높은 TRP(일 예로서, 인접 TRP 가 intended DL/UL configuration 을 따르지 않고 상이한 DL/UL configuration으로 변경됨으로써 victim TRP로 변경된 TRP)를 보호하기 위해 서브프레임/슬롯 경계를 각각 조절하여 데이터 수신과 크로스-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곳에 위치한 TRP의 DL/UL configuration 이 DSUUUDSUUU라고 정해진 경우, 이를 따라가지 않는 TRP가 각 해당 슬롯/서브프레임에서 aggressor TRP 일 수 있다. 이러한 aggressor TRP가 만약 intended U 에서 D로 변경하여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안 1-2처럼 Aggressor TRP에서 송신하는 하향링크의 TA를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있다. 즉 aggressor TRP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과 단말들이 victim TRP로 전송하는 상향링크의 수신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victim TRP의 상향링크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일예로서, aggressor TRP 와 victim TRP 간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 가 30us이고, Aggressor TRP 에 접속해 있는 단말로부터 aggressor TRP까지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가 15 us이라고 할 때, victim TRP는 TA 30us를 추가하여 단말에서의 수신과 TRP에서의 수신이 CP 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intended UL에서 DL을 수행하고자 할 때, aggressor의 DL이 victim TRP에 단말들에서 전송하는 UL과 타이밍이 맞추어지기 위해서 aggressor TRP와 victim TRP 의 전파 지연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앞당겨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aggressor TRP로부터 하향링크 전송을 받는 단말의 경우, 하향링크 타이밍이 앞당겨 수신됨을 의미하며, 이러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정확히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intended UL에서 DL을 수행한다는 정보뿐만 아니라 하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변화값도 알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제안들에서, 시그널링되는 TA 값은 양수 뿐만 아니라 음수도 될 수 있다. 특정 환경에서는 시그널링되는 TA 값이 음수로 설정될 수 있고, TA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더 지연(delay) 를 주어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안 2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또는 제거 또는 경감을 위해 상기 제안 1의 인접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의 간섭의 타이밍 정렬을 CP 이내로 맞춰주는 것과 독립적으로 특정 심볼을 blank 시키거나 동시에 특정 심볼을 변경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제안 2는 상기 제안 1과 함께 실시될 수도 있고 혹은 별도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victim TRP 에 접속한 단말이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과 aggressor TRP 가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을 수행하여도 크로스-링크 간섭의 정확한 측정 및 정보 획득을 목적으로 UL 신호 수신 및 간섭 신호의 수신의 타이밍 정렬을 얻기 위한 특정 조합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상기 명시한 TA 를 수행하지 않거나, 일부 TA 를 수행한 이후, 특정 TRP의 특정 심볼을 blank 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비대칭적 트래픽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특정 슬롯의 DL/UL direction을 UL에서 DL로 변경하여 상이한 configuration으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즉 victim TRP 에서 aggressor TRP로 변경되는 경우로서 victim TRP에게 추가적인 동작 없이도 인접 victim TRP 에게 주는 영향 및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 aggressor TRP 가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 심볼을 blank 시킬 수 있다.
반대로 비대칭적 트래픽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특정 슬롯의 DL/UL direction을 DL 에서 UL로 변경하여 상이한 configuration으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즉 aggressor TRP 에서 victim TRP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기존 인접 TRP의 추가적인 동작 없이도 인접 aggressor TRP 에게 받는 영향 및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해 victim TRP 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특정 심볼을 blank 시킬 수 있다. 특정 목적에 의해 DL/UL configuration 을 변경하고자 하는 TRP 는 주변 TRP 의 상태에 맞도록 간섭을 받거나 줄 수 있는 특정 심볼을 blank할 수 있다.
제안 2-1
상기 제안 2의 세부적인 제안으로서, 복수 개의 인접 TRP로부터의 간섭이 CP 안에 들어올 수 있는 조합이 나오지 않을 경우 심각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주고 있는 인접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시키기 위해 해당 정보를 특정 aggressor TRP 에 시그널해 줄 수 있다
도 21은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시키는 일 예로서 D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시키는 일 예로서 U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이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형태로 수신되었으며, victim TRP 는 기존 단말의 TA를 조절하여 aggressor TRP로부터의 크로스 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으며, aggressor TRP 는 DL 송신 신호에 TA 를 적용하여 victim TRP 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안 1-1과 제안 1-2를 통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심각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주고 있는 인접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시킴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특정 TRP의 DL 신호 중 일부 자원을 blank 시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안 1-1과 제안 1-2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victim TRP 는 크로스-링크 간섭에 대한 측정을 통해 blank 심볼이 될 후보 심볼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blank 후보 심볼에 대한 결과를 aggressor TRP에게 X2 interface 등의 기지국 간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해 줄 수 있다. aggressor TRP는 상기 결정된 blank 심볼에 대한 결과를 하향링크 수신 단말에게 시그널링 등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Aggressor TRP의 변경된 송신 시간에 맞춰 단말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접 victim TRP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전송 방향이 순시적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을 주는 크로스-링크 간섭의 대상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이전 서브프레임에서의 크로스-링크 간섭과의 CP 이내 수신을 위한 blank 심볼과 시간이 흐른 뒤의 해당 blank 된 자원의 위치 및 값은 변동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크로스-링크 간섭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결정된 blank 후보 심볼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은 주기적 또는 순시적일 필요가 있다.
제안 2-2
Victim TRP 입장에서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이 모두 CP 안에 들어올 수 있는 조합이 나오지 않을 경우, 제안 2-1과 독립적으로 특정 신호에 한해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의 특정 신호의 반복(repetition)을 victim TRP의 특정 신호의 타이밍에 맞춰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 수행을 위해 필요한 해당 정보를 victim TRP는 특정 aggressor TRP 에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도 23은 aggressor TRP 송신의 특정 자원을 blank 한 이후 RS 반복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 예(D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 victim TRP에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victim TRP 는 기존 단말의 TA 를 조절하더라도 aggressor TRP의 크로스 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고, aggressor TRP 는 하향링크 송신 신호에 TA 를 적용하여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안 1-1 과 제안 1-2를 통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된 기존 기법과는 달리, 심각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주고 있는 인접 aggressor TRP(예를 들어, 도 23에서는 aggressor TRPn) 송신의 특정 자원을 반복(repetition) 시킴으로써 특정 신호에 한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특정 TRP(예를 들어, 도 23에서는 aggressor TRPn)의 하향링크 신호 중 RS 신호를 반복하여 인접 aggressor TRP 및 victim TRP의 RS 자원 관점에서 타이밍이 정렬(aligned)되도록 하여 특정 신호에 한해 상기 제안 1-1과 제안 1-2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안 2-3
도 24는 aggressor TRP의 신호 송신을 위한 특정 자원을 RS의 CP를 extended CP로 변경되는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일 예(DL control의 심볼일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 victim TRP에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Victim TRP 입장에서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이 모두 CP 안에 들어올 수 있는 조합이 나오지 않을 경우, 제안 2-1과 독립적으로 특정 신호에 한해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의 특정 신호의 CP를 extended CP로 확장시켜 victim TRP의 특정 신호의 타이밍에 맞춰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 수행을 위해 필요한 해당 정보를 victim TRP는 특정 aggressor TRP 에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 victim TRP에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victim TRP 는 기존 단말의 TA 를 조절하더라도 aggressor TRP의 크로스 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고, aggressor TRP 는 하향링크 송신 신호에 TA 를 적용하여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안 1-1 과 제안 1-2를 통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된 기존 기법과는 달리, 심각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주고 있는 인접 aggressor TRP(예를 들어, 도 23에서는 aggressor TRPn) 송신의 특정 자원의 CP를 확장시킴으로써 특정 신호에 한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특정 TRP(예를 들어, 도 24에서는 aggressor TRPn)의 하향링크 신호 중 RS의 CP를 확장시킴으로써 인접 aggressor TRP 및 victim TRP의 RS 자원 관점에서 타이밍이 정렬(aligned)되도록 하여 특정 신호에 한해 상기 제안 1-1과 제안 1-2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안 2-4
도 25는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가 일부 심볼(RS)의 타이밍을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 victim TRP에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Victim TRP 입장에서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이 모두 CP 안에 들어올 수 있는 조합이 나오지 않을 경우, 제안 2-1과 독립적으로 특정 신호에 한해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tended DL/UL configuration 혹은 정해진 priority 에 따라 aggressor TRP를 위한 자원 중에서 일부 심볼(예를 들어, RS 심볼)의 타이밍을 조절하여 victim TRP의 특정 신호의 타이밍에 맞춰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 수행을 위해 필요한 해당 정보를 victim TRP는 특정 aggressor TRP 에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접 TRP의 간섭들 victim TRP에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victim TRP 는 기존 단말의 TA 를 조절하더라도 aggressor TRP의 크로스 링크 간섭의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고, aggressor TRP 는 하향링크 송신 신호에 TA 를 적용하여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맞출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안 1-1 과 제안 1-2를 통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된 기존 기법과는 달리, 심각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주고 있는 인접 aggressor TRP(예를 들어, 도 23에서는 aggressor TRPn)를 위한 자원 중 일부 심볼(예를 들어, RS 심볼)의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특정 TRP(예를 들어, 도 25에서는 aggressor TRPn)를 위한 자원 중 일부 심볼(예를 들어, RS 심볼)의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인접 aggressor TRP 및 victim TRP의 RS 자원 관점에서 타이밍이 정렬(aligned)되도록 하여 특정 신호에 한해 상기 제안 1-1과 제안 1-2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안 3
상기 제안 1과 제안 2를 위해서는 victim TRP 와 aggressor TRP 간의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를 정량적으로 측정 또는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정 TRP는 인접 TRP로부터 OTA(Over-The-Air) 신호 또는 TRP 간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DL/UL configuration 과 같은 크로스-링크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고 또는 직접 요청하여 L/UL configuration 과 같은 크로스-링크 간섭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밍 불일치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
victim TRP의 상향링크 수신 신호가 이미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정해진 TA로 인해 절대 시간에 수신된다는 가정하에서 victim TRP와 aggressor TRP 간의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 차이는 인접 aggressor TRP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의 전파 지연 및 TRP의 TA 시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특히 TRP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 TRP로부터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겪는 전파(propagation) 시간은 고정일수 밖에 없으며, 이는 victim TRP 가 인접 네트워크의 레이아웃(layout) 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미리 계산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victim TRP는 victim TRP에서의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DL/UL configuration 과 같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제안 3-1
Victim TRP는 각 aggressor TRP로부터 Victim TRP로의 크로스 링크 간섭의 세부 타이밍 정보를 X2 인터페이스 또는 OTA 신호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직접 요청함으로써 수신할 수도 있다
Victim TRP는 네트워크 내부의 TRP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aggressor TRP로부터 Victim TRP로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세부적인 타이밍 차이(timing difference)를 계산할 수 있고 또는 각 aggressor TRP로부터 Victim TRP로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OTA 신호를 기반으로 타이밍 차이(timing difference)를 예측(인접 TRP의 CP 검출 또는 인접 TRP의 시그널링을 blind detection으로 예측 가능하다)할 수 있다. Victim TRP는 계산한 혹은 예측한 타이밍 차이(timing difference) 정보를 (인접한) 각 aggressor TRP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Victim TRP는 인접한 각 aggressor TRP로 상기 타이밍 차이(timing difference)에 대한 정보를 X2 인터페이스 또는 OTA 신호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차이(timing difference)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각 aggressor TRP 는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향후 Victim TRP 에게 크로스-링크 간섭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경우(일 예로, 거리가 가깝거나, 송신 전력이 크거나, 타이밍 차이가 가 큰 경우 등), 상기 제안 1, 제안 2를 수행하거나 수행 여부를 인접 TRP (인접 Victim TRP 포함)에게 X2 인터페이스 또는 OTA 신호를 통하여 알려줄 수 있다.
세부적인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요청을 받으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TA 신호를 기반으로 예측한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의 경우에는 특정 TRP의 주기적인 신호를 기반으로 예측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접 TRP의 DL/UL configuration에 의해서 측정이 가능한 크로스-링크 간섭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는 요청에 의해 정보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타이밍 정보는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내부의 TRP 배치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추가적인 요청에 의해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제안 3-2
해당 TRP는 DL/UL configuration에 대한 정보를 인접 TRP로 X2 인터페이스 또는 OTA 신호 등을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해 주거나 또는 인접 TRP의 요청에 의해 전송해 줄 수 있다.
특정 시점에서의 인접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의 DL/UL configuration에 의해 그때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시간 구간에서 victim TRP의 DL/UL configuration이 UL인 경우 인접 Aggressor TRP의 DL/UL configuration이 UL에서 DL로 변경되면 해당 Aggressor TRP의 TRP-to-TRP 크로스-링크 간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해당 시간 구간에서 Aggressor TRP의 DL/UL configuration이 DL에서 UL로 변경되면 해당 Aggressor TRP의 TRP-to-TRP 크로스-링크 간섭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일 예로서, 해당 시간 구간에서 Victim UE 가 접속한 TRP의 DL/UL configuration이 DL인 경우 인접 Aggressor TRP의 DL/UL configuration이 DL에서 UL로 변경되면 해당 Aggressor UE의 UE-to-UE 크로스-링크 간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해당 시간 구간에서 Victim UE 가 접속한 TRP의 DL/UL configuration이 UL에서 DL로 변경되면 해당 Aggressor UE의 UE-to-UE 크로스-링크 간섭은 없어지게 된다. 인접 TRP의 DL/UL configuration는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하는데 아주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TRP는 DL/UL configuration에 대한 정보를 인접 TRP로 X2 인터페이스 또는 OTA 신호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해 주거나 또는 인접 TRP의 요청에 의해 전송해 줌으로써 크로스-링크 간섭을 조절할 수 있다(예를 들어, resource blanking 등의 방법으로).
따라서, 순시적으로 변할 수 있는 인접 aggressor TRP의 DL/UL configuration 을 인접 aggressor TRP가 victim TRP로 전송하거나, 또는 victim TRP가 victim TRP의 DL/UL configuration을 aggressor TRP로 전송함으로써 크로스-링크 간섭의 해당 여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안 1과 제안 2에서 필요한 타이밍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안 3-1에서의 정보와 더불어 상기 제안한 DL/UL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필요한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할 수도 있다.
DL/UL configuration 정보는 TPR 들 간에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특정 TRP의 DL/UL configuration 정보를 인접 TRP 들이 주기적으로 서로 공유함으로써 크로스-링크 간섭의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대게 DL/UL configuration를 전체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특정 시간 구간(예를 들어,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특정 슬롯)의 DL/UL을 순시적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는 경우에는 DL/UL configuration 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로 공유하는 것은 큰 이득이 없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정 서브프레임 또는 특정 슬롯의 DL/UL을 순시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TRP 는 인접 TRP 에게 DL/UL configuration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인접 TRP로 변경하고자 하는 DL/UL configuration 정보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안 4
상기 제안 3에서 예측 또는 계산된 aggressor TRP 및 victim TRP 간의 타이밍 불일치의 차이에 대한 정보와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 에서의 TA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는 인접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 에서 알 수 있도록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제안 1과 제안 2와 같이 TA 를 통해 전송 시간 및 수신 시간을 변경할 경우에는 상기 제안 3의 정보만으로는 정확한 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안 1 및 제안 2와 같이 TA 를 통한 타이밍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인접 기지국 간에 타이밍 조절 정보를 공유하고 TA 수행 값 및 TA수행 여부를 인접 TRP 또는 단말과 coordination 하는 것이 필수이다.
예를 들어, 특정 aggressor TRP 가 인접 Victim TRP의 영향을 고려하여 DL 신호를 특정 X (여기서 X는 시간 단위이며, ms 단위로 또는 symbol 단위로 또는 시간으로 설정 가능한 어떠한 단위라도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만큼 앞으로 당겼을 경우, 이러한 전송 시간의 변화로 인해 하나의 victim 이 아니라 이 aggressor TRP 를 고려하여 UL 신호의 TA 를 고려하고 있는 다른 victim TRP 에 당겨진 X 시간만큼 간섭이 미리 들어오게 되어 다중 TRP 환경에서는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다른 aggressor TRP 역시 동일한 시간인 X만큼의 시간 변경을 고려하여 상이한 시간에 전송해야 victim TRP 입장에서 크로스-링크 간섭과 UL 수신 시간이 CP 이내로 되어 타이밍이 맞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안 3에서 계산되고 전송된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 에서의 TA 수행 여부를 해당 TRP가 인접 TRP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인접 TRP에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해 줄 필요가 있다.
제안 5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의 차이를 측정하기 방법으로 over the air (OTA)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추정 또는 계산된 aggressor TRP 및 victim TRP 간의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 및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 에서의 TA 수행 여부를 인접 aggressor TRP 또는 victim TRP 에서 알 수 있도록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타이밍 불일치(timing misalignment)가 TRP 사이의 거리의 함수인 절대 시간에 수신된다는 가정은 이동하지 않는 TRP 에서만 만족할 수 있는 가정이다. 그러나, 이동성을 가지고 있는 TRP 또는 각 TRP의 on/off 에 맞춰 TRP의 송신 전력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정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명시한 기법을 UE-to-UE 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하는데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OTA 신호를 이용하여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제안 5-1
Victim TRP는 DM-RS(DeModulation RS)를 이용하여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ictim TRP는 aggressor TRP의 DM-RS 에서 사용되는 시퀀스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 수 있다면, Victim TRP는 시간 도메인에서 correlation 성질을 이용하여 특정 aggressor TRP의 타이밍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안 3에서와 같은 기법으로 기존 X2 인터페이스 또는 OTA를 통해 전달받거나 예측한 타이밍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안한 측정 결과를 통해 기존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제안 5-2
Victim TRP의 DL/UL switching time 또는 guard time 또는 blank RE(Resource Element)등과 같은 자원을 이용하여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할 수 있다.
인접 Aggressor TRP로부터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Victim TRP가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인접 Aggressor TRP 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특정 자원이 필요할 수 있다. 즉, victim TRP는 OTA 신호를 통해 인접 TRP 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측정하기 위한 자원이 필요하다. 프레임 구조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비어있는 시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DL/UL switching time 또는 guard time 또는 blank RE 등과 같은 자원이 가능할 수 있겠다. DL/UL switching time 중에서 충분한 switching time 이후 UL 신호 수신 이전 시간에 인접 Aggressor TRP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victim TRP는 간섭을 줄이기 위해 다양하게 설정된 guard time 또는 blank RE 등으로도 인접 TRP의 크로스-링크 간섭의 타이밍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LTE-A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산업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14)

  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가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서브프레임에 TRP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 간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 혹은 제거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에서의 결정된 TA 값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은 상기 TRP를 위해서는 상향링크 수신 구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를 위해 하향링크 전송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에 해당하는,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TA 값은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TA 값은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TRP의 상향링크 수신 구간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값인,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TA 값은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의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의 경계(boundary)를 조정하기 위한 값인,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결정된 TA 값에 따라 조정된 상향링크 수신 구간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결정된 TA 값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TA 값이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혹은 제거를 위한 TA 값임을 지시해 주는 정보를 더 전송하는,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로부터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하는데 사용될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의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로스-링크 간섭 제어 방법.
  8.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장치에 있어서,
    소정 서브프레임에 상기 TRP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 간의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 혹은 제거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에서의 결정된 TA 값을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발생되는 구간은 상기 TRP를 위해서는 상향링크 수신 구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를 위해 하향링크 전송 구간으로 설정된 구간에 해당하는, TRP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A 값을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TRP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A 값을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TRP의 상향링크 수신 구간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값으로 결정하는, TRP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TA 값을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이 CP(Cyclic Prefix) 길이 이내로 수신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TRP의 상기 소정 서브프레임의 경계(boundary)를 조정하기 위한 값으로 결정하는, TRP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결정된 TA 값에 따라 조정된 상향링크 수신 구간에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TRP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결정된 TA 값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결정된 TA 값이 크로스-링크 간섭의 측정 혹은 제거를 위한 TA 값임을 지시해 주는 정보를 더 전송하는, TRP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로부터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을 예측하는데 사용될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P의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링크 간섭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도록 구성되는, TRP 장치.
KR1020197020668A 2017-01-08 2018-01-04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ctive KR102594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3773P 2017-01-08 2017-01-08
US62/443,773 2017-01-08
PCT/KR2018/000201 WO2018128428A1 (ko) 2017-01-08 2018-01-04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171A true KR20190097171A (ko) 2019-08-20
KR102594306B1 KR102594306B1 (ko) 2023-10-25

Family

ID=6279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668A Active KR102594306B1 (ko) 2017-01-08 2018-01-04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29731B2 (ko)
EP (1) EP3567760A4 (ko)
JP (1) JP6808841B2 (ko)
KR (1) KR102594306B1 (ko)
CN (1) CN110392990B (ko)
WO (1) WO2018128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2990B (zh) 2017-01-08 2021-07-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交叉链路干扰的方法及其设备
GB2567287B (en) * 2017-08-07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control
US11855763B2 (en) 2019-01-11 2023-12-26 Apple Inc. Information exchange for network coordination of UE-to-UE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WO2020146890A1 (en) * 2019-01-11 2020-07-16 Apple Inc. Method for measurement of ue-to-ue reference signal in new radio networks with cross-link interference
US11277213B2 (en) * 2019-01-11 2022-03-15 Qualcomm Incorporated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transmission schemes
CN111479318B (zh) * 2019-01-23 2022-03-2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跨链路干扰回避方法、装置和可读介质
CN111629385B (zh) * 2019-02-28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全双工参考信号的配置方法、终端及基站
WO2020191566A1 (en) * 2019-03-25 2020-10-01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synchronization for intercell ue to ue cross 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BR112021019393A2 (pt) * 2019-03-28 2021-12-07 Nokia Technologies Oy Considerações de projeto de pucch de multi-trp
KR102788129B1 (ko) 2019-11-28 202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CN114451004B (zh) * 2019-12-13 2024-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cli测量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US11743019B2 (en) 2020-01-31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Clutter interference management
CN115516897B (zh) * 2020-04-08 2025-01-14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频率内交叉链路干扰测量的时隙格式
US20230142158A1 (en) * 2020-04-15 2023-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reducing impact of interference
US11742968B2 (en) 2020-06-02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Self interference measurement for clutter echo detection
US11705948B2 (en) 2020-06-02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self interference measurement with power ramping
CN113965892A (zh) * 2020-07-21 2022-01-21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方法和存储介质
WO2022041130A1 (en) * 2020-08-28 2022-03-03 Qualcomm Incorporated Rtt-based positioning with cli measurement
US20220085966A1 (en) * 2020-09-17 2022-03-17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event trigger full duplex abortion
US20230106796A1 (en) * 2021-09-30 2023-04-06 Qualcomm Incorporated Pilots for interference measurement
US20250071790A1 (en) * 2021-12-29 2025-02-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4490955A1 (en) * 2022-03-07 2025-01-15 TCL Communication Technology (Chengdu) Limited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of inter-cell coordination signaling reduction for cli mitigation in dynamic tdd
WO2023206538A1 (zh) * 2022-04-29 2023-1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多发送接收点的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546895A1 (en) * 2022-06-22 2025-04-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726A (ko) * 2009-12-03 201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저감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9100B2 (ja) * 2007-06-26 2012-0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基地局
PL2208291T3 (pl) * 2007-11-05 2017-04-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prawnione wyrównanie taktowania w systemie LTE w przypadku konfliktu preambuł dostępu bezpośredniego
CN103650572A (zh) 2011-06-09 2014-03-19 美国博通公司 时分双工通信中的干扰控制
US8982741B2 (en) * 2012-05-11 2015-03-17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time-division-duplex (TDD) uplink-downlink (UL-DL) configuration management
TWI637643B (zh) * 2012-05-31 2018-10-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裝置對裝置(d2d)互鏈路功率控制
WO2014107122A1 (en) 2013-01-04 2014-07-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itigating cross-link interference when using reconfigurable tdd
JP6285647B2 (ja) * 2013-06-14 2018-02-28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5010509A (ja) * 2013-06-27 2015-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EP3046377B1 (en) * 2013-09-10 2020-04-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of terminal having plurality of cells configured there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EP3200534A4 (en) * 2014-09-25 2018-05-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whereby device-to-device terminal transmits signals in order of prio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54668B2 (en) * 2015-03-23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system synchronization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US10292093B2 (en) * 2015-11-10 2019-05-14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subframe timing of an access point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CN110392990B (zh) 2017-01-08 2021-07-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交叉链路干扰的方法及其设备
RU2767179C2 (ru) * 2017-11-10 2022-03-16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программа
US11277213B2 (en) * 2019-01-11 2022-03-15 Qualcomm Incorporated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transmission schem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726A (ko) * 2009-12-03 2012-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저감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8838* *
3GPP R1-1611227* *
3GPP R1-16133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8841B2 (ja) 2021-01-06
EP3567760A1 (en) 2019-11-13
CN110392990A (zh) 2019-10-29
US20220231768A1 (en) 2022-07-21
WO2018128428A1 (ko) 2018-07-12
CN110392990B (zh) 2021-07-09
KR102594306B1 (ko) 2023-10-25
US11329731B2 (en) 2022-05-10
EP3567760A4 (en) 2020-11-18
US11962356B2 (en) 2024-04-16
US20210409127A1 (en) 2021-12-30
JP2020504560A (ja)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306B1 (ko) 크로스-링크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14446B1 (ko)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0958378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processing an in-band emission interference signal whe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ng in FDR mode tranceives signals using FDM manner
EP334052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flexible fdd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426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ontrol signal
KR102032850B1 (ko)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로 구성된 셀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2376B1 (ko)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2377B1 (ko) 협력적 다중 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21792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flexible duplex mode on a cell-by-cell basi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060485A (ko) 상향링크 신호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48414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HARQ ACK/NACK feedback by using terminal-specific TDD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40084133A (ko) 파워 헤드룸 리포팅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77045A2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945946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基于lte和nr的信号收发方法及其装置
US105752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UCCH using FDD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300781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