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744A -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6744A KR20190096744A KR1020180016546A KR20180016546A KR20190096744A KR 20190096744 A KR20190096744 A KR 20190096744A KR 1020180016546 A KR1020180016546 A KR 1020180016546A KR 20180016546 A KR20180016546 A KR 20180016546A KR 20190096744 A KR20190096744 A KR 20190096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insulating material
- heat insulating
- contact
- contact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3—Shutter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상기 브라켓은 측면과 바닥의 단열재를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측면과 측면의 단열재를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는 L자 형상의 본체브라켓과, 상기 본체브라켓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확장되는 측면브라켓 및 하단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브라켓과 측면브라켓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측면의 단열재와 고정되고 상기 본체브라켓과 하단브라켓도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바닥의 단열재와 고정되며, 브라켓에 철근을 거치하기 위한 삽입홈이 마련되어 철근 배근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에서 확장되는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바닥의 단열재와 측면의 단열재를 브라켓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바닥의 단열재와 측면의 단열재가 모두 브라켓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브라켓이 철근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철근의 배근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철근이 배근된 상태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높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측면의 단열재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목과 내수합판과 토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콘크리트 기초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1: 제1접촉면
12: 제2접촉면
13: 체결공
15: 본체리브면
16: 확장브라켓안착면
17: 확장가이드부(홈)
18: 코너철근삽입홈
30: 측면브라켓
31: 측면접촉면
33: 장공(측면홀)
35: 측면리브면
36: 제1안착면
37: 측면확장가이드부(돌출바)
38: 측면철근삽입홈
50: 하단브라켓
51: 하단접촉면
53: 맞춤공(하단홀)
55: 하단리브면
56: 제2안착면
57: 하단확장가이드부(돌출바)
58: 하단철근삽입홈
60: 단열재
62: 연결핀
65: 단열재 스크류
71: 토대(방부목)
72: 앵커볼트
81: 구조목
811: 직결피스
82: 내수합판
821: 나사못
90: 콘크리트
95: 철근
Claims (3)
- 전체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L 자 형상의 본체브라켓(10), 상기 본체브라켓(10)의 측면 쪽에 연결되는 측면브라켓(30) 및 상기 본체브라켓(10)의 하단 쪽에 연결되는 하단브라켓(50)을 포함하는 기초 콘크리트 시공용 브라켓으로서,
상기 본체브라켓(10)은:
측면의 단열재(60)와 접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공(13)이 형성된 제1접촉면(11);
상기 제1접촉면(11)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측면과 이웃하는 측면 또는 바닥의 단열재(60)와 접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공(13)이 형성된 제2접촉면(12);
상기 제1접촉면 및 제2접촉면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1접촉면 및 제2접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연장되는 본체리브면(15); 및
철근을 수용하며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리브면(15)의 코너 부위에 구비된 코너철근삽입홈(18);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브라켓(30)은:
일부는 상기 제1접촉면(11)의 내면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상기 측면의 단열재(60)와 접하며, 상기 체결공(13)과 마주하는 측면홀 또는 장공(3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측면접촉면(31);
상기 측면접촉면(31)의 양단부에서 상기 측면접촉면(31)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연장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본체 리브면(15)의 내면과 접하며, 상기 한 쌍의 본체 리브면(15)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제1접촉면(1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측면리브면(35); 및
철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리브면(35)에서 내측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리브면(15)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측면철근삽입홈(38);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브라켓(50)은:
일부는 상기 제2접촉면(12)의 내면에 중첩되고, 나머지는 상기 바닥의 단열재(60)와 접하며, 상기 체결공(13)과 마주하는 하단홀 또는 맞춤공(5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단접촉면(51);
상기 하단접촉면(51)의 양단부에서 상기 하단접촉면(51)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연장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본체 리브면(15)의 내면과 접하며, 상기 한 쌍의 본체 리브면(15)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제2접촉면(1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하단리브면(55); 및
철근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리브면(55)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리브면(15)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단철근삽입홈(58);을 포함하는 하단브라켓(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콘크리트 시공용 브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리브면(15)의 내면에는 상기 측면리브면(35)과 중첩되며 접하는 부위 또는 상기 하단리브면(55)과 중첩되며 접하는 부위를 각각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확장가이드부(17)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리브면(35)와 하단리브면(55)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확장가이드부(17)와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는 측면확장가이드부(37)와 하단확장가이드부(57)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콘크리트 시공용 브라켓.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기초 콘크리트 시공용 브라켓을 사용한 기초 콘크리트 시공 방법으로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터파기 후 잡석을 다지는 단계;
다져진 잡석 위에 바닥의 단열재(60)를 2단으로 어긋 쌓되, 상부의 제2단의 단열재를 그 하부의 제1단의 단열재보다 적은 면적이 되도록 쌓는 단계;
상기 바닥의 단열재 둘레로 측면의 단열재(60)를 쌓는 단계;
상기 측면의 단열재와 바닥의 단열재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상기 본체브라켓(10)의 제1접촉면(11)과 제2접촉면(12)이 상기 측면의 단열재 내면과 상기 바닥의 단열재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측면브라켓(30)을 상기 본체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하단브라켓(50)을 상기 본체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그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본체브라켓(10)의 체결공(13)과 상기 측면브라켓(30)의 측면홀이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측면홀과 체결공을 관통하며 단열재 스크류(65)를 측면의 단열재에 박아 넣고, 상기 본체브라켓(10)의 체결공(13)과 상기 하단브라켓(50)의 하단홀이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하단홀과 체결공을 관통하며 단열재 스크류(65)를 바닥의 단열재에 박아 넣어, 상기 기초 콘크리트 시공용 브라켓으로 측면의 단열재와 바닥의 단열재를 일체 고정하는 단계;
이웃하는 두 측면의 단열재가 교차하는 부위에서 상기 본체브라켓(10)의 제1접촉면(11)과 제2접촉면(12)이 이웃하는 두 측면의 단열재 내면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하고, 체결공(13)을 관통하여 단열재 스크류(65)를 측면의 단열재에 박아 넣어, 상기 본체브라켓(10)으로 이웃하는 두 측면의 단열재를 일체 고정하는 단계;
단열재와 고정된 상기 기초 콘크리트 시공용 브라켓의 철근삽입홈(18, 38, 58)에 철근을 거치하고 엮어 배근하는 단계;
상기 측면의 단열재 상부면에 구조목(81)을 고정하고, 구조목(81)의 내측면에 내수합판(82)을 고정하되, 상기 내수합판(82)의 내측면이 상기 측면의 단열재 내측면과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내수합판(82)을 배치하여 고정하는 단계;
방부목(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앵커볼트(72)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수합판(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수합판(82)의 내측면에 상기 방부목을 수평으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측면의 단열재의 외측 공간을 되메워 성토하는 단계;
상기 바닥의 단열재와 측면의 단열재에 의해 규정되는 기초 공간에, 상기 배근된 철근이 매립되고, 상기 앵커볼트(72)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구조목(81)과 내수합판(82)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콘크리트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546A KR102594640B1 (ko) | 2018-02-09 | 2018-02-09 |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546A KR102594640B1 (ko) | 2018-02-09 | 2018-02-09 |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744A true KR20190096744A (ko) | 2019-08-20 |
KR102594640B1 KR102594640B1 (ko) | 2023-10-27 |
Family
ID=6780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546A Active KR102594640B1 (ko) | 2018-02-09 | 2018-02-09 |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464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2951A (en) * | 2020-03-11 | 2021-09-15 | Balanced Earth Homes Ltd | Improvements relating to insulated raft foundations |
WO2021195722A1 (en) * | 2020-04-02 | 2021-10-07 | Phalanga Pty Ltd | Foundation forming arrange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6692B2 (ko) * | 1985-07-26 | 1991-06-03 | Mazda Motor | |
KR20160062558A (ko) * | 2014-11-25 | 2016-06-02 | 송재해 | 길이 가변이 가능한 선반용 브래킷 |
KR101694747B1 (ko) * | 2015-09-18 | 2017-01-23 | 강수일 | 보 거푸집 설치용 멍에 |
-
2018
- 2018-02-09 KR KR1020180016546A patent/KR1025946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6692B2 (ko) * | 1985-07-26 | 1991-06-03 | Mazda Motor | |
KR20160062558A (ko) * | 2014-11-25 | 2016-06-02 | 송재해 | 길이 가변이 가능한 선반용 브래킷 |
KR101694747B1 (ko) * | 2015-09-18 | 2017-01-23 | 강수일 | 보 거푸집 설치용 멍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2951A (en) * | 2020-03-11 | 2021-09-15 | Balanced Earth Homes Ltd | Improvements relating to insulated raft foundations |
WO2021195722A1 (en) * | 2020-04-02 | 2021-10-07 | Phalanga Pty Ltd | Foundation forming arrang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4640B1 (ko) | 2023-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25468B2 (en) |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 |
KR101708760B1 (ko) | 돌출리브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방법 | |
KR101266737B1 (ko) |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 |
EP1936038A1 (en) | Non-retrievable formwork | |
KR101688832B1 (ko) | 건축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 |
KR20190096744A (ko) |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 |
KR100949785B1 (ko) | 피씨 보 제작용 몰드 | |
JP2015535315A (ja) |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 |
JP2017061841A (ja) |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体 | |
US20090217613A1 (en) | Wall Element | |
KR20110124476A (ko) |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 |
KR102345103B1 (ko) | 거푸집널 대체 단열패널용 무볼팅 패널고정장치 | |
GB2522886A (en) | Shuttering system | |
KR101967425B1 (ko) |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2013053465A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地下構造物および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 | |
KR102339681B1 (ko) |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KR200329054Y1 (ko) |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피씨벽부재의 측면 연결부의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 |
KR100605561B1 (ko) | 조립식 터널 라이닝 블록 조립 구조 | |
JP6553855B2 (ja) |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 |
KR102210732B1 (ko) | 벽돌 판넬 조립체 | |
EP3619364B1 (en) | Foundation wall | |
KR100746669B1 (ko) | 직교되는 보강재를 갖는 한 쌍의 익스펜디드 메탈라스를이용한 매립형 거푸집 시스템 | |
JP6491454B2 (ja) | スラブ形成用仮設構造体、及びスラブ形成用仮設構造体の構築方法 | |
CN106320611B (zh) | 钢筋接续工法 | |
KR102599467B1 (ko) | 단열 갱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