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779A -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 Google Patents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2779A KR20190092779A KR1020180011925A KR20180011925A KR20190092779A KR 20190092779 A KR20190092779 A KR 20190092779A KR 1020180011925 A KR1020180011925 A KR 1020180011925A KR 20180011925 A KR20180011925 A KR 20180011925A KR 20190092779 A KR20190092779 A KR 20190092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sorbent
- air
- fine dust
- control function
- passag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 F24F3/160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 F24F2003/1617—
-
- F24F2003/166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 Y02B30/8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잔뜩 머금은 공극률이 높은 흡착제가 충전된 통로부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켜 충돌시킴으로 미세 먼지와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착 제거하고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습기를 머금어 사용 장소의 습도를 용이하게 공급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adsorb and remove fine dust and harmful gases by passing through the outside air to the passage portion filled with a high porosity adsorbent filled with moisture. And the purged and discharged air relates to a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onfigured to easily supply and adjust the humidity of the place of use containing moisture.
난방이나 냉방 또는 외기 조건에 의해 건조한 실내 공기는 점막건조증,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게 되며, 감기, 천식, 비염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 기능 저하에 의한 면역력 감소 및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부상 확산시켜 이에 편승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Dry indoor air caused by heating, cooling, or outdoor conditions causes mucosal dryness and dry eye, and causes colds, asthma and rhinitis, as well as reducing immunity due to decreased metabolic function and injuring and spreading fine dust in the air. It is the cause of spreading a piggybacked viru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에는 공기청정기 및 가습기 등 다양한 장치들을 실내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odern devices such as air cleaners and humidifiers are being installed indoors.
한편, 현재 공기청정기의 방식은 기계식과 전기집진방식, 하이브리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계식은 공기청정기내로 유입된 유해물질 중 입자는 관성충돌에 의하여, 가스는 흡착에 의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On the other hand, air purifiers are mainly composed of mechanical,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nd hybrid methods. In the mechanical type, particles are removed by inertial collision and gas is removed by adsorption of harmful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er.
그리고, 전기집진방식은 음이온이 음이온이 인체 유익하다는 근거에 의하여 고안되어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입자를 전기적인 하전시키고 이를 집진판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is an anion is devised on the basis that the negative ions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nd uses a method of electrically charging the particles and removing them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in a recently used manner.
하이브리드 방식은 기계식과 전기방식, 광촉매 방식, 가스흡착방식 등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을 공기청정기 내부에 모두 포함시키는 방법이다.Hybrid method is to include all of them in the air cleaner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methods, photocatalyst method, gas adsorption metho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전부 휴대가 가능한 크기라기 보다 중.대형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기계식은 압력 강하량이 커서 에너지 손실이 크고, 전기집진방식은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wever, all of these conventional air cleaners have a medium-large size rather than a portable size, and the mechanical type has a large pressure drop, resulting in high energy loss, and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method can generate a large amount of ozone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It is known that there is a risk.
또한, 하이브리드 방식은 하이브리드 방식에 적용된 장치들의 장점을 모두 가지게 되지만 반대로 그 방식들이 갖는 모든 단점을 갖게 되는 난해한 문제점과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hybrid method has all the advantages of the devices applied to the hybrid method, but on the contrary, there are disadvantages of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methods and the disadvantage of the bulky device.
더불어, 이러한 방식의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는 있으나 쾌적한 환경의 필수 요소인 습도 조건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this type of air purifier has some effects in removing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but has a limit in satisfying humidity conditions,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of a pleasant environment.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가습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청정화된 공기에 가습조건을 부여하는 장치가 활용되고는 있으나, 부피가 크고 혼합구조로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부적합하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the device that applies humidifying conditions to the clean air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humidifier has been utilized, but it is not only difficult to apply in a bulky and mixed structure, but also unsuitable to carry and difficult to manage. there wa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수분을 잔뜩 머금은 함습상태의 공극률이 높은 흡착제가 충전된 통로부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켜 충돌시킴으로 미세 먼지와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착 제거하고 이를 통과한 정화된 배출 공기는 습기를 머금어 사용 장소의 습도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adsorbing and removing the fine dust and harmful gases by passing the outside air to the passage portion filled with the moisture-absorbing high porosity adsorbent filled with moisture to pass through 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apable of easily supplying humidity at a place of use with purified exhaust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유도하는 팬을 갖는 흡입부와; 공극률을 갖는 흡착제가 충전된 공간으로, 흡입부에 의한 공기 흐름에 따라 흡착제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통로부와; 통로부로 일정하게 물을 공급하여 흡착제가 수분을 머금은 함습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having a fan for inducing and inducing air containing dust; A passage portion filled with an adsorbent having a porosity, the passage portion having an outlet for externally discharging air passing through the adsorbent in accordance with the air flow by the suction portion;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passage portion to maintain a moisture-containing state in which the adsorbent contains moisture.
이때, 수분공급부는, 통로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흡착제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하되, 수조 내 물을 빨아들여 통로부 상의 흡착제로 공급하는 심지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ssage portion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rom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adsorbent, and includes a wick to suck up the water in the tank to supply the adsorbent on the passage portion.
한편, 수조는, 흡입부와 통로부를 구비한 하우징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tank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suction part and the passage part.
필요에 따라, 수조는,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를 더 포함한다. If necessary, the water tank further includes an ultrasonic vibrator therein.
일 실시예로, 흡착제는, 통로부 상에 고정된 힌지점과, 힌지점을 중심으로 공기 흐름에 따라 펄럭이는 본체를 갖는다. In one embodiment, the adsorbent has a hinge point fixed on the passageway portion and a body that flutters with air flow about the hinge point.
그리고, 흡착제는, 통로부 상에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And the adsorbent forms the air flow path which has a zigzag shape on a passage part.
또한, 필요에 따라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ssage portion as necessary.
더불어, 통로부 일측에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passage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ultraviolet or infrared lamp.
그리고, 통로부는, 내부에 충전된 흡착제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누름쇠를 더 포함한다.
The passage por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usher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portion so as to press and hold the adsorbent filled therein stab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는, 수분을 잔뜩 머금은 공극률이 높은 흡착제가 충전된 통로부로 공기를 통과시켜 충돌시킴으로 미세 먼지와 유해 가스를 용이하게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adsorbing and removing fine dust and harmful gases by colliding with air by passing the air into a passage part filled with an adsorbent having a high porosity filled with moisture. Has
또한, 흡착제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수분공급부에서 공급한 습기를 머금고 있어 사용 장소에 습도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자연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dsorbent contains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can easily supply humidity to the place of use and has the effect of feeling the comfort of nature.
더불어, 통상의 물을 이용하여 제작단가가 절감되며, 구조에 따라 하나의 공기청정기 만으로 가습기, 히터, 살균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by using ordinary water,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a humidifier, a heater, and a sterilizer with only one air cleaner.
도 1(a)(b)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의 또다른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에 적용된 통로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Figure 1 (a) (b)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cept of a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cept of a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assage portion applied to the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바닥면에서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r the upper part thereof will point to a portion having a height or a direction thereof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part or lower part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an opposite part or a direc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공극률이 높은 흡착제(120)가 수분을 잔뜩 머금어 함습 상태로 충전된 통로부(130)로 먼저(D)를 포함한 오염된 외부 공기(A)를 통과시켜 충돌시킴으로 미세 먼지와 유해 가스를 흡착제(120)를 이용해 용이하게 제거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C/A)는 습기를 머금어 사용 장소에 습도를 용이하게 공급하고 사용 장소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As shown, the fine
이를 위해,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크게 흡입부(110)와, 공극률을 갖는 흡착제(120)로 충전된 통로부(130)와, 수분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o this end,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ine
필요에 따라 이러한 흡입부(110), 통로부(130) 그리고 수분공급부(140)는 하우징 내에 함께 구비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f necessary, the
먼저, 흡입부(110)는 미세먼지(D) 또는 유해가스를 포함한 공기(A)를 흡입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팬(11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First, the
이러한 흡입부(1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 또는 개구된 입구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한편, 이러한 흡입부(110)의 팬(111)은 도시에서 통상의 송풍기에 구비된 팬과 동일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커튼 방식의 팬 또는 시로코 팬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필요에 따라 흡입부(110)의 팬(111)은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단일 모터에 다수의 팬 또는 각각의 모터에 각각의 팬이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one or
다시 말해, 흡입부(110)의 팬(111)은 외부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A)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통로부(130) 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 개수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ther words, the
이어서, 통로부(130)는, 공극률이 높은 흡착제(120)가 충전된 공간으로, 흡입부(110)에 의해 공기가 흡입됨으로 발생한 공기 흐름에 따라 흡착제(120)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2)를 가지며, 흡입부(110)에서 유도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31)를 일측에 구비한다. Subsequently, the
이러한 통로부(130)는 바람직하게 좁은 복도 형상을 가지며, 흡착제(120)는 통로부(130)에 완전히 채워진 구조로 항상 수분을 머금은 함습 상태를 유지한다. The
그리고, 이러한 흡착제(120)에 공급되는 수분은 통로부(130)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결되어 내부에 채워진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수분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o the
도 1의 (b)와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분공급부(140)는 바람직하게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물통 형태의 수조(142)를 가져, 도 1의 (b)에서와 같이 통로부(130)의 하부에서 흡착제(120)로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통로부(130)의 상부에서 흡착제(120)로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S. 1B and 2, the
이와 같이 흡착제(120) 측으로 공급된 물은 흡착제(120)에 스며들어 퍼지게 되며 통로부(130)에 충전된 흡착제(120) 전체가 항상 함습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As such, the water supplied to the adsorbent 120 is penetrated into the adsorbent 120 and the entire adsorbent 120 filled in the
이와 같은 수분공급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의 구조적 실시예에 따라 통로부(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물을 공급하며, 수조(142) 내 물을 모세관 원리에 따라 흡수하고 빨아들여 흡착제(120) 측으로 공급하는 심지(14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Such a
다시 말해, 수조(142) 내의 심지(141)는 일부분 또는 전체가 물에 잠겨 있는 상태로 도 1의 (b)에서는 상부로 물(W)을 끌어올려 상부 통로부(130)의 흡착제(120) 측으로 물을 공급한다. In other words, the
그리고, 도 2에서 심지(141)는 방울방울씩 모아진 물(W)을 하부로 떨어뜨리고 연결 구간을 통해 통로부(130)의 흡착제(120)로 물을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시에서 심지(141)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통로부(130)에 연결된 구간 또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city, a plurality of
이에 따라 통로부(130)의 흡착제(120)는 항상 수분을 충분히 머금은 함습 상태를 유지한다. Accordingly, the adsorbent 120 of the
바람직하게 이러한 흡착제(120)는 공극률이 높은 재질의 부직포를 이용한다. Preferably, the adsorbent 120 uses a nonwoven fabric having a high porosity.
그러나, 부직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물을 충분히 머금을 수 있고 함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지 등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nonwoven fabric, but a material such as Hanji, which can sufficiently contain water and maintain a moisture state, can be used.
그리고, 이와 같이 물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140)의 수조(142)는 하우징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거나 별도의 물통으로 필요에 따라 착탈가능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nd, the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ne
상술에 따른 원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흡입부(110)의 팬(111)에 의해 유도된 먼지(D)를 포함한 공기(A)가 공기 흐름에 따라 통로부(130) 측으로 유도된다. The fine
그리고, 유도된 먼지(D)를 포함한 공기(A)는 통로부(130)의 유입구(131)를 통해 유입되어 함습 상태의 흡착제(120)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D)와 유해 가스 등은 흡착제(120)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In addition, the air (A) including the induced dust (D) is introduced through the
그리고, 정화된 깨끗한 공기(C/A)는 통로부(130)의 배출구(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purified air C / 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때,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깨끗한 공기(C/A)는 흡착제(120)가 충전된 통로부(130)를 통과하면서 수분공급부(140)에서 공급한 수분을 충분히 머금어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clean air (C / A) discharged throug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공기 청정의 기능 뿐 아니라 습도 조절 기능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fi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에 적용되는 통로부(130)에 구비된 흡착제(120)는 공극률이 높은 허니컴 구조로,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절첩되어 쌓인 상태로 통로부(130)에 충전된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dsorbent 120 provided in the
그러나,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통로부(130) 상에 지그재그의 공기유로를 형성하며, 일측이 부착된 상태로 커튼 방식의 구조로 충전된 형태일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air passage of the zigzag is formed 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통로부(130)에 충전된 흡착제(120)는 통로부(130) 상에 고정된 힌지점(121)을 가지며, 힌지점(121)을 중심으로 공기 흐름에 따라 펄럭이는 본체(122)를 갖는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a) (b), in one embodiment, the adsorbent 120 filled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흡착제(120)는 통로부(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펄럭이면서 흔들려 공기와 접촉되는 기회를 늘리고, 이는 결국 통과하는 공기(A)에 포함된 먼지(D)를 보다 용이하게 흡착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adsorbent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lutters and shak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이때, 바람직하게 흡착제(120)는 통로부(130) 상에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 도시의 예를 들면, 상부와 하부에 부착된 힌지점(121)을 가지며 펄럭이는 본체(122)를 가져 지그재그 형상의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preferably, the adsorbent 120 has a
이와 같은 지그재그 형상의 절곡된 공기 유로는 통과하는 공기가 본체(122)에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공기의 흐름은 더욱더 흡착제(120)의 본체(122)를 전.후.좌.우로 흔들리게 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Zigzag-shaped bent air flow path such that the passing air hits the
한편,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펄럭이는 흡착제(120)는 운동에너지를 형성하고 이는 곧, 통과되는 공기 및 수분에 전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dsorbent 120 flutter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air to form a kinetic energy, which is soon delivered to the air and moisture passing through.
이때, 수분공급부(140)를 통해 흡착제(120)로 전달되어 공급된 수분은 공기의 흐름과 흡착제(120)로 부터 전달된 운동에너지에 의해 분자의 운동이 더욱 활발해져 기화율을 높이고 이는 곧 정화되어 통과되는 공기 중에 기화된 상태로 포함되어 배출되는 공기 상 습도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At this time,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adsorbent 120 through the
이는 결국, 공기청정기(100) 자체의 습도 조절 기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This, in tur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umidity control function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상술의 흡입부(110)와 통로부(130) 및 수분공급부(14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Such fine
그 일 실시에로, 도 4를 참조하면 하기와 같다. As one embodiment thereof, referring to FIG. 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먼지(D)를 포함한 공기(A)를 흡입하여 유도하는 팬(111)을 갖는 흡입부(110)와; 공극률이 높은 흡착제(120)가 충전된 공간으로, 흡입부(110)에 의한 공기 흐름에 따라 흡착제(12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 배출하는 배출구(132)를 가지는 통로부(130)와; 통로부(130)로 일정하게 물을 공급하여 흡착제(120)가 수분을 머금은 함습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수분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e
이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흡입부(110)와 통로부(130) 및 수분공급부(14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60) 내부에 구비된다. In order to have such a structure, the
이때, 하우징(160)은 필요에 따라 착탈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은 수분공급부(140)의 수조(142) 이거나 수조(14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한편, 수분공급부(140)의 수조(142)는 심지(141)를 통해 내부에 채워진 물을 빨아들여 통로부(130)의 흡착제(120) 측으로 공급하는데, 일측에 초음파 진동자(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Meanwhile, the
초음파 진동자(150)는 알려진 바와 같이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자로서 발진부에서 초음파 회로가 작동하면 초음파가 만들어지고 초음파 진동자가 채워져 있는 물에 빠른 속도로 진도(타격)을 가하여 무화시킨다. The
이와 같이 무화된 수증기는 수조(142)에 퍼져 심지(141)를 타고 더 빨리 흡착제(120)로 이동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atomized water vapor is spread in the
한편, 초음파 진동자(150)에 의해 무화된 수증기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별도의 통로부(130)과 개구되어 연결된 구간을 통해 상부로 토출되어 직접 통로부(130)에 충전된 흡착제(120)에 무화된 수증기, 즉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water vapor atomized by the
그리고, 함습 상태의 흡착제(120)는 흡입부(110)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공급된 공기 중의 먼지(D)를 흡착 제거한다. In addition, the adsorbent 120 in the moisture state absorbs and removes the dust D in the air supplied by being pushed downward by the
이때, 바람직하게 통로부(130)에는 내부에 충전된 흡착제(120)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누름쇠(16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At this time, preferably, the
그리고, 도시된 않았지만, 흡착제(120)를 포함한 통로부(130)는 하우징(16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랍방식으로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먼지를 제거한 흡착제(120)를 교체하거나 고인 물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And, although not shown, the
더불어, 통로부(130)에는 일측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히터(170)는 판상으로 통로부(130) 일측을 따라 구비되거나, 배출구(132)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은 히터(17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정화된 공기(C/A)는 가열되어 온도가 높아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습기를 머금은 따뜻한 공기가 배출되게 한다. The air (C / A) purified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더불어, 통로부(130)의 상부 일측에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180)는 다수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upper one side of the
자외선 램프는 세균의 99.9%를 살균하며 유입된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처리하기 때문에 더욱 깨끗한 공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적외선 램프는 유입된 공기 및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살균 및 따뜻한 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Ultraviolet lamps sterilize 99.9% of germs and sterilize incoming and outgoing air to produce cleaner air.Infrared lamps heat the incoming and outgoing air for sterilization and warm humidification. To get it.
적외선 램프는 상술의 히터(170)와 함께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the infrared lamp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그리고, 자외선 램프와 적외선 램프는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ltraviolet lamp and the infrared lamp may be provided together, and any one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한편, 상술의 히터(170) 및 초음파 발진기(150) 그리고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180)는 내부의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미도시)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to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ne
도 5에서와 같이, 수분공급부(140)는 하우징(160)과 별개의 단일 물통 형태의 수조(142)로 하우징(160)의 하부에 착탈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게 하고, 연결구간을 통해 통로부(130)의 흡착제(12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5, the
통로부(130)의 배출구(132) 측은 상부로 배출 공기(C/A)가 토출되도록 상방향 개구 구조를 가진다. The
흡입부(110)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통공 또는 개구된 입구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우징(160)의 상부면 또는 측면 상에 다수개 형성된다.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openings or openings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by the
도 6을 참조하면, 수분공급부(140)는 하우징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방식이며, 통로부(130)는 하우징(160)의 내부 상방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60)의 하부 일측에 통로부(130)의 배출구(132)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도 7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모자 형태의 형상을 가지도록 디자인한 공기청정기(100) 이며, 하우징(160)의 하부에서 수분공급부(140)의 수조(14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하우징(160)은 상부측과 하부측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하부측은 통로부(130)를 형성하며 흡착제(120)로 충전되어 있고, 흡착제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쇠(161)를 형성한다. The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수분공급부(140)를 하방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구조이며, 통로부(130)는 하우징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며 배출구(132)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습도를 머금은 상태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8 i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한편, 도 5 내지 도 8의 도시에서, 흡입부(110)의 팬(111)은 통상의 선풍기 팬으로 도시하였으나, 시로코 팬 형상이거나 에어 커튼 방식의 팬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5 to 8,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흡입부(110)를 통해 유도된 먼지(D)를 포함한 공기(A)가 통로부(130)를 통과하면서 함습상태의 충전된 흡착제(120)에 의해 먼지(D)가 흡착 제거되고, 배출구(132)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C/A)는 수분공급부(140)에서 공급한 수분을 머금어 사용 공간의 습도를 조절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fine
이때, 수조(142)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자(150)에 의해 수분공급부(140)의 채워진 물은 무화되어 보다 빨리 그리고 쉽게 흡착제(120)로 공급되며, 히터(170)에 의해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180)에 의해 배출되는 정화 공기(C/A)를 살균 처리 배출하거나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filled in the
또한, 통로부(130)에 충전된 흡착제(120)는 고정된 힌지점(121)을 중심으로 본체(122)가 공기 흐름에 따라 펄럭이며 유입된 공기가 마주치는 기회를 늘려 먼지 제거 효율을 높이고, 펄럭이는 흡착제(120)에서 생성된 운동에너지는 흡착제(120) 상의 수분 기화율을 높이고 이는 배출되는 공기 중 습도율을 높이게 된다. In addition, the adsorbent 120 filled i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100)는 사용 장소에 습도를 용이하게 공급하고 자연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Accordingly, the fin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various substitu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a rang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doesn't happen.
100 :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110 : 흡입부
111 : 팬
120 : 흡착제
121 : 힌지점
122 : 본체
130 : 통로부
140 : 수분공급부
141 : 심지
142 : 수조
150 : 초음파 진동자
160 : 하우징
161 : 누름쇠
170 : 히터
180 :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100: fine dust air cleaner with humidity control function
110: suction unit 111: fan
120: adsorbent 121: hinge point
122: main body 130: passage portion
140: water supply 141: wick
142: tank 150: ultrasonic vibrator
160: housing 161: push
170: heater 180: ultraviolet or infrared lamp
Claims (9)
공극률을 갖는 흡착제(120)가 충전된 공간으로, 상기 흡입부(110)에 의한 공기 흐름에 따라 상기 흡착제(12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 배출하는 배출구(132)를 가지는 통로부(130)와;
상기 통로부(130)로 일정하게 물을 공급하여 상기 흡착제(120)가 수분을 머금은 함습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수분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A suction part 110 having a fan 111 which sucks and induces air A including dust D;
A passage part 130 having a space filled with an adsorbent 120 having a porosity, and having an outlet 132 for dischar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dsorbent 120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air flow by the suction unit 110; ;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water to the passage portion 130 to maintain a moisture-containing state in which the adsorbent 120 contains moisture. .
상기 수분공급부(140)는,
상기 통로부(130)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흡착제(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하되,
수조(142) 내 물을 빨아들여 상기 통로부(130) 상의 흡착제(120)로 공급하는 심지(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isture supply unit 14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ssage portion 130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rom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adsorbent 120,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wick (141) for suck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42) to supply to the adsorbent (120) on the passage portion (130).
상기 수조(142)는,
상기 흡입부(110)와 통로부(130)를 구비한 하우징(16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tank 142,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60 having the suction unit 110 and the passage portion 130.
상기 수조(142)는,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tank 142, the fine dust air clean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ltrasonic vibrator 150 therein.
상기 흡착제(120)는,
상기 통로부(130) 상에 고정된 힌지점(121)과, 상기 힌지점(121)을 중심으로 공기 흐름에 따라 펄럭이는 본체(1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dsorbent 120,
Fine dust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inge point 121 fixed on the passage portion 130 and the main body 122 flutters as the air flows around the hinge point 121. air cleaner.
상기 흡착제(120)는,
상기 통로부(130) 상에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adsorbent 120,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ath having a zigzag shape formed on the passage portion 130.
상기 통로부(130)는,
일측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ssage portion 130,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er 170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to one side.
상기 통로부(130) 일측에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ltraviolet or infrared lamp 180 on one side of the passage portion (130).
상기 통로부(130)는,
내부에 충전된 흡착제(120)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누름쇠(16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assage portion 130,
Fine dust air purifier having a humidity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pushers (161)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so as to press the adsorbent 120 filled therein stab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925A KR20190092779A (en) | 2018-01-31 | 2018-01-31 |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925A KR20190092779A (en) | 2018-01-31 | 2018-01-31 |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779A true KR20190092779A (en) | 2019-08-08 |
Family
ID=6761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1925A Withdrawn KR20190092779A (en) | 2018-01-31 | 2018-01-31 |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277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2258A (en) * | 2020-04-24 | 2021-11-04 | (주)삼호엔씨티 | LED lighting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EP4264142A4 (en) * | 2020-12-16 | 2024-11-20 | Helen of Troy Limited | EVAPORATIVE HUMIDIFI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7935Y1 (en) | 1997-04-28 | 1999-10-01 | 이경임 | Precipitation type air-cleaner |
KR20080087220A (en) | 2007-03-26 | 2008-10-01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Air Clean Humidifier |
-
2018
- 2018-01-31 KR KR1020180011925A patent/KR20190092779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7935Y1 (en) | 1997-04-28 | 1999-10-01 | 이경임 | Precipitation type air-cleaner |
KR20080087220A (en) | 2007-03-26 | 2008-10-01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Air Clean Humidifi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2258A (en) * | 2020-04-24 | 2021-11-04 | (주)삼호엔씨티 | LED lighting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EP4264142A4 (en) * | 2020-12-16 | 2024-11-20 | Helen of Troy Limited | EVAPORATIVE HUMIDIF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RE50014E1 (en) |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 |
KR100761279B1 (en) | air cleaner | |
KR100955206B1 (en) | Personal portable air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it's case and water tank | |
KR101932037B1 (en) | Wet type dust-air cleaning device having water particle impingement diffusion structure | |
KR102123794B1 (en) | Air purifier using moss plants | |
JP2011202815A (en) | Air cleaner and the air cleaner including humidifying function | |
CN102418960A (en) |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equipment with functions of regulating temperatures, regulating humidity and purifying air | |
KR101595028B1 (en) | Air conditioner | |
US20120255140A1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6367445B2 (en) | Humidified air purifier | |
KR20190122357A (en) | Humidifier | |
KR20190092779A (en) |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 |
KR101565094B1 (en) | Air Purifier | |
KR20060106031A (en) |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combined use | |
JP2014112030A (en) | Air cleaner | |
KR101276388B1 (en) | Push-fan and Pull-fan Type Air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 |
JP5755857B2 (en) | Air cleaner | |
KR102023762B1 (en) | Humidifier combined air cleaner | |
KR20130020164A (en) | Push-fan and pull-fan type air cleaning device | |
JP6020805B2 (en) | Air cleaner | |
JP2012037170A (en) | Deodorizing device with humidifying function | |
KR100431103B1 (en) | humidifier function have a air cleaner useing a filter | |
KR101902788B1 (en) | Evaporation humidifier | |
CN210220065U (en) |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 |
KR20220019858A (en) | Air purifying combined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