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0649A -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 Google Patents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649A
KR20190090649A KR1020180009611A KR20180009611A KR20190090649A KR 20190090649 A KR20190090649 A KR 20190090649A KR 1020180009611 A KR1020180009611 A KR 1020180009611A KR 20180009611 A KR20180009611 A KR 20180009611A KR 20190090649 A KR20190090649 A KR 2019009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mobile phone
suppor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의성
Original Assignee
황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성 filed Critical 황의성
Priority to KR102018000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649A/en
Publication of KR2019009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4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A45C2011/00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배면에 카드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며, 본체부의 배면 전체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수납홈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커버부; 일단은 본체부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1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커버돌기에 결합되는 제1 토션스프링; 및 일단은 본체부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2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커버돌기에 결합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본체돌기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본체돌기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커버돌기까지의 거리는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커버돌기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2 토션스프링은 서로 엇갈려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nd more specifically, a storage space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mobile phone and the main body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to accommodate the card on the back; A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slidably moved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A first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ody protrusion disposed at one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protrusion disposed at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a second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a second body protrusion disposed at the other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second cover protrusion disposed at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first body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The distance to th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 the second body projectio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to the first cover projec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to the second cover projection, The first torsion spring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ar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is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ver portion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Description

휴대폰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 수납을 위한 탄성적인 슬라이드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that can easily implement the elastic slide operation for storing the card.

현대인들은 통신 및 통화를 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성 및 기능성이 좋은 휴대폰,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고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이다.Modern people are using a variety of devices for communication and calls, and recently, there are many people who use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having good portability and functionality,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 person who does not use a mobile phone.

이러한 휴대폰, 스마트폰 등은 단순한 통화만이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저장 장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 고가의 제품이 많아서 사용자들은 휴대폰의 외관을 스크래치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These mobile phones, smart phones, etc. are not only a simple call, but also have many expensive products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digital cameras, media players, digital storage devices, etc., so that users have a case for protect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from scratches or external shocks. The trend is to use a lot.

즉, 휴대폰 등의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지기 마련이며, 나아가 휴대폰의 외관을 자신의 개인 취향에 알맞은 액세서리로 활용하고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휴대폰의 손상을 막으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종류 및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In other words, users such as mobile phones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more sensitive to scratches, scratches, and breakages that may occur on their beautiful mobile phones. Furthermore, users tend to use the appearance of mobile phones as accessories for their personal taste. Due to the needs of users, cell phone cases of various kinds and materials, which have a beautiful appearance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한편, 일반 현대인은 휴대폰 이외에 대중교통수단 이용 시 결제하기 위한 교통카드, 물품을 신용 구매 시 결제하기 위한 신용카드, 물품 구매 시 할인받기 위한 할인카드 등 적어도 1장 이상의 카드를 휴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카드는 일상생활에서 그 사용빈도가 휴대폰만큼 빈번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조금은 불편하지만 별도의 지갑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통상적이다.On the other hand, general modern people carry at least one card in addition to a mobile phone, such as a transportation card for payment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 credit card for payment when purchasing goods, and a discount card for discount when purchasing goods. Although these cards are a bit inconvenient in everyday life, even though their frequency is as frequent as mobile phones, they are usually carried in a separate wallet.

최근에는 휴대폰과 카드를 모두 한 번에 휴대하여 휴대폰과 카드 이용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가 일부 제시되고 있다. Recently, some mobile phone cases have been proposed for storing cards in order to carry both a mobile phone and a card at a time, thereby pursu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phone and the card.

일예로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7399호가 알려져 있으며, 도 1 내지 3에는 종래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1)의 후면을 감싸도록 씌워지며, 카드(2)가 삽입되는 얕은 수납홈(10a)이 형성 보호용 케이스(10); 상기 보호용 케이스(10)의 후면 둘레 테두리에 결합되는 가이드 프레임(20):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slide)되면서 여닫히는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중앙에 원형으로 감겨진 탄력 링(41)을 구비한 제1스프링(40A)과 제2스프링(40B)이 커버(30)의 후면에 장착되고, 제1,2스프링(40A)(40B)들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42)들이 보호용 케이스(10)의 양측에 돌출된 걸림핀(11)과 커버(30)의 내면에 돌출된 걸림핀(31)에 각각 결합되어 커버(30)가 슬라이드(slide)되면서 탄력적으로 열려지고 닫혀지며, 열리고 닫힌 상태에서는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게 된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 10-1757399 is known, and the prior art is shown in FIGS.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is covered to surround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1, the protective case 10 is formed with a shallow receiving groove (10a) is inserted into the card (2); Guide frame 20 coupled to the rea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protective case 10: coupled to the guide frame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30) that slides and closes. The first spring 40A and the second spring 40B having the resilient ring 41 wound in the center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30, and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40A and 40B are mounted. Rings 42 formed at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engaging pins 11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case 10 and the engaging pins 3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30, respectively, so that the cover 30 slides. In the open and closed state,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ionary state.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This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기술은 한 쌍의 제1, 2스프링이 서로 동일위치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 큰 탄성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최근 휴대폰은 좌우방향 폭이 좁고 상하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폰이 수납되는 케이스도 휴대폰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대칭적인 형태의 제1, 2스프링을 동일위치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작아질 수 밖에 없게 된다.First,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exert a large elastic force in a narrow space because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springs are symmetrically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That is, recent mobile phones have a narrow left and right width and a long vertical length, and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phones are stored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mobile phone.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having a symmetrical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the size of the spring is inevitably reduced.

이와 같이 스프링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크게 발휘하기 어려워서 빈번한 사용과정에서 탄력적으로 열려지고 닫히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size of the spring is small, it is difficult to exert a larg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open and close elastically during frequent use.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휴대폰를 감싸는 보호용 케이스의 후면 일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나, 커버가 보호용 케이스의 전면을 덮고 있지 않아서 배면에 문양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일체감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cove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phone, but the cover does not cover the front side of the protective case, which does not provide a sense of unity in forming a pattern on the back.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케이스에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지면에 거치한 상태로 휴대폰의 화면을 보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거치대를 마련해야 해서 불편할 뿐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케이스에 거치대가 마련된 기술(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13-0002875호)도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케이스 외부에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holder is not provided in the case, when the user wants to view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while mounted on the ground, a separate holder must be prepared, which is inconvenient and expensive.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but also known a technology provided with a cradle on the case (Korean Republic of Korea No. 20-2013-0002875),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is not good because the suppor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7399호 (2017. 7. 12. 공고)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57399 (announced on July 12, 2017)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875호 (2013. 5. 15. 공개)2. Republic of Korea Open Utility Model No. 20-2013-0002875 (released May 15, 20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을 위한 탄력성이 우수한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excellent in elasticity for slid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배면에 카드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된 본체부;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mobile phone and the body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card can be accommodated on the back;

상기 본체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며, 본체부의 배면 전체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수납홈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커버부;A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slidably moved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일단은 본체부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1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커버돌기에 결합되는 제1 토션스프링; 및A first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ody protrusion disposed at one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protrusion disposed at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일단은 본체부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2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커버돌기에 결합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되,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protrus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second cover protrus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본체돌기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본체돌기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커버돌기까지의 거리는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커버돌기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며,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to the first main body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to the second main body protrus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to the first cover protrusion is the secon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Less than the distance to the cover protrusion,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2 토션스프링은 서로 엇갈려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The first torsion spring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are elastically slidably mov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상기 커버부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수납홈의 일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힌지식으로 회전하여 휴대폰을 경사지게 세워주는 지지대가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when the cover portion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opene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 rotate the hinge type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to stand the inclined mobile phone Supports may be provided.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수납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일측 내면에 배치된 힌지공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t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support, a hinge hol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utting portion is provided,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can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have.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에서, 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대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서 일정이상의 힘이 지지대에 가해졌을 때 지지대를 파손시키지 않고 지지대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main body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can be separated from the incision without damaging the support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에서,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상기 지지대는 상기 커버부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부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The support may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when the cover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open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part is in the open position.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에서,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상기 커버부가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본체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거울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cover portion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urface facing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irror member.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에서,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상기 거울부재는 상기 커버부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본체부에 의하여 가려지고 상기 커버부가 개방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mirror member may be covered by the main body when the cover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part slides to the open position.

상기 휴대폰 보호케이스에서,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상기 거울부재는 상기 얇은 스테인리스 판재에 염화코팅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irror member may be formed by chloride coating on the thin stainless steel plate.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본체부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부가 서로 엇갈려 배치된 제1, 2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스프링의 탄력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in which the cover parts which are elastically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are mutually arranged,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does not deteriorate even after long-term use. have.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커버부가 본체부의 배면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일체감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back of the main body por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ense of unity.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을 거치하는 지지대가 커버부에 의하여 덮혀있기 때문에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because the support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is covered by the cover.

도 1은 종래기술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에서 커버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의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도 12는 도 9의 지지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9에서 지지대가 세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휴대폰 보호케이스가 세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4;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is removed in FIG.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over part of FIG. 4.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FIG.
10 is a front view of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Figure 9 is separated.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upport stand in FIG. 9; FIG.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FIG. 13 standing up;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100)는, 휴대폰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면측에는 신용카드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The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tecting a mobile 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stored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toring a credit card on the back side.

이러한 휴대폰 보호케이스(100)는, 본체부(110), 커버부(120), 제1 토션스프링(130), 제2 토션스프링(140), 지지대(150) 및 거울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the main body 110, the cover 120,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the support 150 and the mirror member 160 It is composed.

상기 본체부(110)는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대략적으로 휴대폰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on the front. The main body 1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the mobile phone.

이러한 본체부(110)의 배면에는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11)이 마련되어 있게 되며, 상기 수납홈(111) 주변에는 커버부(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112)이 테두리 형상을 가지면서 마련되어 있게 된다. 커버부(12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12)에 끼워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수납홈(111)의 일부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back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11 that can accommodate a traffic card or credit card, the guide for guid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cover 120 around the storage groove 111 The frame 112 is provided while having an edge shape. The cover part 120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a part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11 while slidingly moving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guide frame 112.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테두리, 즉 가이드 프레임(112)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토션스프링(130)의 일단이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제1본체돌기(113)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부(110)의 타측 테두리, 즉 가이드 프레임(112)의 타측에는 제2 토션스프링(140)의 일단이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제2본체돌기(114)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서 상기 제1본체돌기(113)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서 상기 제2본체돌기(114)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즉, 제1본체돌기(113)와 제2본체돌기(114)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On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one side of the guide frame 112 is provided with a first main body 113, on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is hingedly coupled. In addition, at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guide frame 112, a second main body 114 having on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hingedly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to the first main body 113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 to the second main body 114. That is, the first body protrusion 113 and the second body protrusion 114 are not disposed at the same height, but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상기 본체부(110)의 배면의 수납홈(111)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패여진 홈으로서 지지대(150)가 수납되는 절개부(115)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절개부(115)의 일측 내면에는 지지대(150)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힌지공(116)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지지대(150)는 상기 힌지공(1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홈(111) 내에 수납되어 본체부(110)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않는 수납위치(도 7의 위치)와, 힌지공(11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지지대(150)의 일부가 본체부(110)의 배면에 돌출되는 지지위치(도 13의 위치) 사이를 회전이동하게 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11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utout 115 for receiving the support 150 as a groov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ecessed inward. One side inner surface of the cutout 115 is provided with a pair of hinge holes 116 that can be hingedly coupled to the support 150. Support 15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1 in a state coupled to the hinge hole 116 is not stored in th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the position of Figure 7), the hinge hole 116 While rotating as a rotating shaft, a portion of the support 150 is rotated between the support positions (positions in FIG. 13)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이러한 본체부(110)는 지지대(150)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서 일정이상의 힘이 지지대(150)에 가해졌을 때 지지대(150)가 파손되지 않고 지지대(150)가 상기 힌지공(11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정이상의 힘에 의하여 지지대(150)가 상기 절개부(115)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본체부(110) 및 지지대(15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main body 110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support 150 so that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150, the support 150 is not broken and the support 150 is separated from the hinge hole 116. Be sure to Thus, as the support 150 is separated from the cutout 115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150.

상기 본체부(110)의 절개부(115) 상측에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는 제1관통구멍(117)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The first through hole 117 through which the camera lens of the mobile phone is exposed is formed above the cutout 115 of the main body 110.

상기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의 배면 측에 배치되며, 본체부(110)의 배면 전체를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의 배면 전체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수납홈(111)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커버부(120)가 본체의 배면 전체를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으며 커버부(120)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일체적인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The cover part 12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has a size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The cover part 120 slides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a part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1.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part 120 has a size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over part 120 may have an integrated image as a whole, and even when a printed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an integrated feeling may be provided.

이러한 커버부(120)에는 상측에 상기 본체부(110)의 제1관통구멍(117)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관통구멍(121)이 형성되어 휴대폰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부(120)의 중앙 내면측에는 제2 토션스프링(140)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커버돌기(122)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제1커버돌기(122)의 하측에는 제2커버돌기(123)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커버돌기(122) 및 제2커버돌기(123)는 측면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데, 제1커버돌기(122)는 커버부(120)의 일측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2커버돌기(123)는 커버부(120)의 타측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120)의 상단에서 제1커버돌기(122)까지의 거리는 상기 커버부(120)의 상단에서 제2커버돌기(123)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The cover part 120 has a second through hole 12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17 of the main body 110 to allow the lens of the mobile phone camera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In addition, a first cover protrusion 12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is provided at the center inner surface side of the cover part 120. In addition, a second cover protrusion 123 is provided below the first cover protrusion 122. The first cover protrusions 122 and the second cover protrusions 123 are provided at positions deviated from the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cover protrusions 122 are disposed close to one side of the cover part 120. The second cover protrusion 123 is disposed to be close to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art 120.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120 to the first cover protrusion 122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120 to the second cover protrusion 123.

또한, 상기 커버부(120)는 개방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수납홈(111)의 일부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를 투입하거나 뺄수 있는 정도로 수납홈(111)을 개방시키게 되며 커버부(120)의 상단이 본체부(11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정도까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ver part 120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a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1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110 are open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storage groove 111 is opened to the extent that the credit card can be inserted or removed, and the slide portion is moved to the extent th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120 is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Done.

이와 같이 커버부(120)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지지대(150)가 수납되어 있는 절개부(115)를 외부로 개방시킴으로서 지지대(150)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부(120)가 본체부(110)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덮게 되는데, 커버부(120)가 개방위치로 놓이게 되는 경우에는 지지대(150)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서 지지대(150)를 내부에 수납하고 있게 됨으로서 지지대(150)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지지대(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좋게 된다.As such, when the cover part 120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the support part 150 can be erected by opening the cutout part 115 in which the support part 150 is stor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when the cover part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part 120 cover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When the cover part 120 is placed in the open position, the supporter 150 is opened. Open it. As such, the cover unit 120 accommodates the support 150 therein in the closed posi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upport 150 and visually preventing the support 1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커버부(120)의 배면의 하부에는 거울부재(16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거울안착부(124)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거울안착부(124)는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거울부재(160)가 본체부(110)에 의하여 가려져 외부에 보이지 않고 커버부(120)가 개방위치에 놓일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거울부재(160)가 평상시에는 본체부(110)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됨으로서 거울부재(160)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할 때에만 커버부(120)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거울부재(16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편의성을 높일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mirror seating portion 124 to which the mirror member 160 is inserted and mounte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The mirror seating portion 124 is a mirror member 160 is covered by the main body 110 when the cover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cover 120 is placed in the open position, FIG. 10. It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As such, the mirror member 160 is normally hidden by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foreign matter does not get on the mirror member 160, and the cover member 120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only when necessary to move the mirror memb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by allowing the 16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1 토션스프링(130)은, 일단은 본체부(110)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1본체돌기(113)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120)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커버돌기(122)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ody protrusion 113 disposed at on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protrus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122).

또한, 상기 제2 토션스프링(140)은, 일단은 본체부(110)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2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120)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커버돌기(12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토션스프링(130)과 제2 토션스프링(140)에 의하여 커버부(120)가 탄력적으로 열리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커버부(120)가 열리거나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has one end coupled to a second main body protrusion disposed at the other edge of the main body unit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ver protrusion 123 disposed at one surface of the cover unit 120. ) Is combined. The cover part 12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opened or closed by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and the stopped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cover part 120 is opened or closed. It is configured to be sustainable.

도 7에서는 실선으로 표시된 제1 토션스프링(130)과 제2 토션스프링(140)은 커버부(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의 점선으로 표시된 제1 토션스프링(130)과 제2 토션스프링(140)은 커버부(1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게 된다.In FIG. 7,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which are indicated by solid lines, show a state when the cover part 120 is kept closed, and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shown by a dotted line of FIG. 7.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is shown when the cover portion 120 maintains the open state.

도 7의 실선에서 점선으로 제1 토션스프링(130) 및 제2 토션스프링(140)이 변화하는 동안 벌려진 스프링이 그 사이에서 좁아진 후에 다시 벌려지면서 개방 및 폐쇄위치로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토션스프링(130)과 상기 제2 토션스프링(140)은 서로 엇갈려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120)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토션스프링(130)과 제2 토션스프링(140)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게 됨으로서 좁은 공간 내에서 최대한 스프링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다. 즉, 동일높이에 있게 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는데, 서로 엇갈려 배치함에 따라서 스프링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탄성력을 극대화하고 장기간 사용해도 탄성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In the solid line of FIG. 7, the springs that are opened while the first torsion springs 1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s 140 are narrowed in between are changed to open and closed positions after being narrowed therebetwe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rsion springs 1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s 140 are elastically slidably moved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while the cover portion 120 is alternately disposed. As such, since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the size of the spring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in a narrow space. In other words, when the same height is to be the size of the spring must be small, but by staggering arrangement with each other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spring as a whole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force is not deteriorated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상기 지지대(150)는, 본체부(110)의 절개부(115)에 수납된 상태에서 힌지공(116)에 힌지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50)는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측에 힌지공(116)에 끼워걸리는 한 쌍의 걸림돌기(15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150)는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부(120)에 의하여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커버부(1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지지대(150)를 힌지운동시킴으로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보호케이스(100)가 세워질 수 있도록 돌출된다.The support 150 is hinged to the hinge hole 116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cutout 115 of the body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stand as needed. The support 150 is made in the shape of a bar as a whole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151 to be fitted to the hinge hole 116 at one end. The support member 150 is covered by the cover part 120 when the cover part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part 120 is in the open positio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upport the support (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100 protrudes so as to be hinged.

상기 거울부재(160)는, 상기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본체부(110)에 의하여 가려지고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거울부재(160)는 상기 얇은 스테인리스 판재에 염화코팅처리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소재를 얇게 하여 거울로서 사용하게 된다. 거울부재(160)가 금속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거울부재(160)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The mirror member 160 is covered by the main body 110 when the cover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120 slides to the open position. The mirror member 160 is formed by coating a chloride coating on the thin stainless steel plate to thin the metal material and use the mirror. As the mirror member 16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mirror member 160 is not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Cell phone protectiv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본체부(110)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가려서 커버부(120)의 배면만이 외부에 보이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120)의 배면만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서 커버부(120)의 배면에 소정의 문양을 입히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ver part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only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20 is entirely visible by covering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As only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 predetermined pattern is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the appearance is good.

또한, 커버부(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 토션스프링(130)과 제2 토션스프링(140)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탄성력이 우수하여 탄력적으로 쉽게 열리거나 쉽게 닫히고 열림과 닫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120 is slid, the first torsion spring 13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140 are alternately arranged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excellent and the elasticity is easily opened or closed easil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are The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또한, 본체부(110)의 지지대(150)는 평상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있다가 커버부(1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만 외부에서 보이게 되고 사용자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0)를 세우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를 세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150 of the main body 110 is not normally exposed to the outside, bu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only when the cover 120 is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user supports 150 as shown in FIG. 13. In the case of standing), as shown in FIG.

또한, 커버부(120)의 배면에는 거울부재(160)가 마련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거울부재(160)는 커버부(12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다가 커버부(12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는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거울부재(160)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a mirror member 160, such a mirror member 16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portion 12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portion 120 If is in the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ur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xpose the mirror member 160 only when necessary.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thing that can be reasonably interpret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tural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휴대폰 보호케이스 110...본체부
111...수납홈 112...가이드 프레임
113...제1본체돌기 114...제2본체돌기
115...절개부 116...힌지공
117...제1관통구멍 120...커버부
121...제2관통구멍 122...제1커버돌기
123...제2커버돌기 124...거울안착부
130...제1 토션스프링 140...제2 토션스프링
150...지지대 151...걸림돌기
160...거울부재
100 ...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110 ... Main unit
111.Storing groove 112 ... Guide frame
113 ... first body projection 114 ... second body projection
115.Incision 116 ... Hinge Hole
1st through hole 120 ... cover
121 ... 2nd through hole 122 ... 1st cover protrusion
123 ... 2nd cover protrusion 124 ... mirror seat
130 ... 1st torsion spring 140 ... 2nd torsion spring
150 Support 151
160 ... mirror member

Claims (8)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배면에 카드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며, 본체부의 배면 전체를 덮는 폐쇄위치와 상기 수납홈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커버부;
일단은 본체부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1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커버돌기에 결합되는 제1 토션스프링; 및
일단은 본체부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된 제2 본체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부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커버돌기에 결합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본체돌기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본체돌기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커버돌기까지의 거리는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커버돌기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2 토션스프링은 서로 엇갈려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bile phone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rear thereof to accommodate the card;
A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slidably moved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A first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body protrusion disposed at one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protrusion disposed at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protrus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second cover protrus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to the first main body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to the second main body protrus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to the first cover protrusion is the secon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Less than the distance to the cover protrusion,
And the first torsion spring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are alternately disposed so as to elastically slide the cover part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수납홈의 일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힌지식으로 회전하여 휴대폰을 경사지게 세워주는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ver portion is moved to the open position,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opene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provided to rotate the hinged relative to the main body to stand up the mobile phone incli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수납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일측 내면에 배치된 힌지공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for receiving the support, a hinge hole disposed on one side inner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is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대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서 일정이상의 힘이 지지대에 가해졌을 때 지지대를 파손시키지 않고 지지대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body portion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support cell 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separated from the incision without breaking the support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커버부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부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부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upport is not covered by the cover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open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본체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거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a mirror member on a surface facing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cover portion is in the closed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재는 상기 커버부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본체부에 의하여 가려지고 상기 커버부가 개방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mirror member is covered by the main body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slid to the open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재는 상기 얇은 스테인리스 판재에 염화코팅처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irror member is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chloride coating on the thin stainless steel plate.
KR1020180009611A 2018-01-25 2018-01-25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Ceased KR201900906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11A KR20190090649A (en) 2018-01-25 2018-01-25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11A KR20190090649A (en) 2018-01-25 2018-01-25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49A true KR20190090649A (en) 2019-08-02

Family

ID=6761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611A Ceased KR20190090649A (en) 2018-01-25 2018-01-25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06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56B1 (en) * 2020-12-31 2022-01-21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A knock type card wal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875U (en) 2011-11-06 2013-05-15 양수영 Cellphone Case
KR101757399B1 (en) 2016-12-22 2017-07-12 홍기수 The card receipt function is smart phone prot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875U (en) 2011-11-06 2013-05-15 양수영 Cellphone Case
KR101757399B1 (en) 2016-12-22 2017-07-12 홍기수 The card receipt function is smart phone pro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56B1 (en) * 2020-12-31 2022-01-21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A knock type card wal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09Y1 (en) Cell phone case for storing cards
KR200446444Y1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KR101226084B1 (en) Functionality case structure for smart phone
KR200463636Y1 (en) A protection case of cellular phone
WO2014163233A1 (en) Mobile terminal case having replaceable module
KR20200130901A (en) Protective Cases for Foldable Mobile Phones
KR20220057491A (en) Foldable Cell Phone Case Having Card Storage Structure
US20210212454A1 (en) Portable reading stand
KR200423887Y1 (en) Cell phone protector
CN110708981A (en) phone case
KR101464254B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KR20190090649A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KR101419199B1 (en) A cellular phone case
KR101591302B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KR102072676B1 (en) 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KR200483415Y1 (en) Case for mobile phone
KR102228884B1 (en) Cell phone case
KR200487367Y1 (en)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lephone
KR20230049600A (en) Foldable Smartphone Case
KR101935132B1 (en) Cover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1392058B1 (en) A cellular phone case
KR200488623Y1 (en) Card Storage Bumper Case
KR102092455B1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921872B1 (en) Sliding and rotating type case for cell phone
KR20130005320U (en) Flip type mobil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9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100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