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87A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7187A KR20190087187A KR1020180005663A KR20180005663A KR20190087187A KR 20190087187 A KR20190087187 A KR 20190087187A KR 1020180005663 A KR1020180005663 A KR 1020180005663A KR 20180005663 A KR20180005663 A KR 20180005663A KR 20190087187 A KR20190087187 A KR 201900871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 transparent electrode
- dielectric layer
- isolation element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43—Securing cores or holders to supporting or driving members, e.g. collapsible mand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6—Annular guiding surfaces; Eyes, e.g. pig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0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 B65H59/0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by devices acting on package or sup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안테나 간의 이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통신 기술의 발달로,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통신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DA, 노트북, 넷북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4G, 5G 와 같은 중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뿐만 아니라, Wi-Fi, 블루투스, BLE, NFC 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블루투스와 일부 Wi-Fi 통신과 같이, 이러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들은 동일 주파수 대역 또는 인접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어, 각 통신을 위한 안테나들 간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BACKGROUND ART [0002]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pparatuses that operate independently of one mobile device are often included. For exampl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laptops, PDAs, laptops, netbooks,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4G and 5G, as well as devices for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And a device for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hes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some Wi-Fi communications, can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or adjacent frequency bands, which can cause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for each communication.
뿐만 아니라, LTE 를 넘어 5G 에 이르기까지, 최근의 무선 통신 기술은 다이버시티의 확보를 위해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MIMO 기술을 구현하고 있으며, 셀룰러 네트워크의 MIMO 구현을 위해 4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제품이 이미 상용화 된 바 있으며, 나아가 8 개의 안테나를 기반으로 MIMO 를 구현하는 제품 역시 출시를 앞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MIMO 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복수의 안테나들은 상호적 커플링이 발생할 때 성능 열화가 발생한다. In addition, beyond LTE to 5G, rec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mplements MIMO technology that uses multiple antenna arrays to secure diversity, and uses 4 antennae for MIMO implementation of cellular network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nd a product that implements MIMO based on eight antennas is also in the process of being launched. The plurality of antennas used to implement MIMO have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mutual coupling occurs.
이처럼 MIMO 구현에 점점 더 많은 안테나가 사용되는 한편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안테나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박형화 경향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부의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은 점점 줄어들고 종국적으로는 베젤리스 디자인이 대중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우징 역시도 투명 글라스가 활용될 가능성이 있어, 종래의 MIMO 안테나를 구현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실장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As more and more antennas are used in MIMO implementations, the space available for mounting antennas in mobile devices is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Not only is the mobile device becoming thinner, but the bezel that surrounds the display area of the front part is gradually decreasing and eventually the bezelless design is expected to become popular. Furthermore, since a transparent glass may be used in a housing of a mobile device,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mount a plurality of antennas that implement a conventional MIMO antenn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안테나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방지하면서 전극 및 격리 요소를 투명하게 구현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도 위치할 수 있어 소형 모바일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는 MIMO 구현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hich can prevent mutual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And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MIMO implementation.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안테나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방지하면서 전극 및 격리 요소를 투명하게 구현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도 위치할 수 있어 소형 모바일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는 MIMO 구현이 가능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hat can prevent mutual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And a mobile device including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MIMO implementation that can be mounted.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상기 유전체 레이어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상기 유전체 레이어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dielectric layer, a plurality of first dielectric layers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and having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value, A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value, and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hird value, wherei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And a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that removes mutu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들 사이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메탈릭 엘리먼트 (metallic element)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be a metallic element periodical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탈릭 엘리먼트는,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며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metallic element has a periodic pattern and can not pass the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thereby eliminating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전체 레이어 내부에 커플러 레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커플러 레이어에 구비된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er layer is provided in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be a directional coupler provided in the coupler lay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기 유전체 레이어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플러 레이어를 구비하는 제 2 유전체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커플러 레이어에 구비된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antenna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acing the dielectric layer, the second dielectric layer having a coupler layer therein, And may be a directional coupler provided in the coupler lay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표면파 (surface wave) 에 기인한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directional coupler may remove mutual coupling due to a surface wave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유전체 레이어 내부에 기생 패턴 레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기생 패턴 레이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 패턴 (parasitic pattern)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parasitic pattern layer in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be at least one parasitic pattern provided in the parasitic pattern lay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기 유전체 레이어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기생 패턴 레이어를 구비하는 제 2 유전체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기생 패턴 레이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 패턴 (parasitic pattern)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antenna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acing the dielectric layer, the second dielectric layer having a parasitic pattern layer therein, May be at least one parasitic pattern provided on the parasitic pattern lay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생 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공진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arasitic pattern may eliminat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by causing resonance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생 패턴은 용량성 패드 (Capacitive pad), 미앤더 라인 인덕터 (Meander line inductor) 및 방향성 결합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parasitic pattern may be any one of a capacitive pad, a meander line inductor, and a directional coupl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구비되고,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광대역 저지 대역 필터로 동작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 (stepped impedance resonator) 이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이크로스트립 모노폴 (Microstrip Monopole) 안테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s provided i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operates as a wide band stop band filter which prevents a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from passing therethrough, so that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a microstrip monopole antenna.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a stepped impedance resonato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형성된 슬릿 (slit) 또는 미앤더 (meander) 이고, 상기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상기 슬릿 또는 미앤더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be a slit or a meander form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a slit or a meander, Th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can be eliminated.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디커플링 (decoupling)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호적 커플링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remove a mutual coupling current by connecting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to cause a decoupling current to flow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 상기 유전체 레이어 간의 결합은, RF 케이블을 통한 접합, 상기 유전체 레이어에 형성된 비아 공정을 통한 접합, 비접촉의 용량성 결합, 접촉식 패드 본딩 기술에 의한 접합 및 포고 핀 (pogo pin) 을 통한 기계적 접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r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layer is performed by bonding via an RF cable, bonding via a via proces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Bonding by pad bonding technology, and mechanical bonding by pogo pi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상기 유전체 레이어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상기 유전체 레이어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와, 상기 안테나 장치 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성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ielectric layer, a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and having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valu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and having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value and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hird valu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a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antenna devic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being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And can be configured so as not to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panel.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메탈 메쉬로 구성되고, 상기 메탈 메쉬의 간격은 상기 메탈 메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각각의 픽셀마다 동일한 면적을 덮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are formed of a metal mesh, and the interval of the metal mesh is such that the metal mesh covers the same area for each pixel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MIMO 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안테나의 전극 및 상호적 커플링 방지를 위한 격리 요소를 전부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도 안테나 장치의 실장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ntenn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utual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for implementing MIMO is prevented, and the electrodes of the antenna and the isolation element for preventing mutual coupling are all transpar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antenna devi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device.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을 더 줄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실질적 확장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같은 크기의 모바일 디바이스에도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 높은 송수신 성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Thus, the bezel of the mobile device can be further reduced, contributing to the substantial expansion of the display area and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devic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ount a larger number of antennas in a mobile device of the same size, thereby achieving higher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릭 엘리먼트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안테나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메탈릭 엘리먼트의 예시 구조이다.
도 4 는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를 이용한 비-상관 공급 (feeding)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 패턴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 패턴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 는 도 7 내지 도 8 의 기생 패턴의 예시도이다.
도 10 은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를 나타낸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R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L (Neutralization line)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소자 간 접합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안테나의 구현 예이다.
도 17 은 도 16 의 투명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투명 전극과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배치를 나타낸다. 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metallic element-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1. Fig.
3 is an exemplary structure of a metallic element included in the antenna device of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non-correlated feeding network using a directional coupler.
5 shows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directional coupler-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directional coupler-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parasitic-pattern-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arasitic-pattern-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illustration of parasitic patterns in Figs. 7 to 8. Fig.
10 shows a stepped impedance resonator.
1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SIR-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configuration of a slit-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 configuration of an NL (Neutralization line) 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illust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and a method of joining elements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mbodiment of a transparen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arent antenna of Fig.
18 shows the arrangement between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display panel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앞서 살핀 바와 같이, MIMO 구현을 위한 안테나의 개수는 점점 늘어가는 반면, 베젤의 축소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안테나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은 점점 줄어들고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안테나를 실장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antennas for MIMO implement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bezel and the miniaturization of mobile devices, the space for mounting the antennas is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MIMO 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방지하면서도, 안테나의 전극 및 상호적 커플링 방지를 위한 격리 요소를 전부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도 안테나 장치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mutual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for implementing MIMO and can completely implement isolation elements for preventing antenna and mutual coupling of the antenna, The antenna device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device.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lower the visibility of the user to the display panel even when the antenna device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f the mobile device.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을 더 줄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실질적 확장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같은 크기의 모바일 디바이스에도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 높은 송수신 성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Thus, the bezel of the mobile device can be further reduced, contributing to the substantial expansion of the display area and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devic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ount a larger number of antennas in a mobile device of the same size, thereby achieving higher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릭 엘리먼트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110), 유전체 레이어 (1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유전체 레이어 (1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1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120-1, 1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140) 를 포함한다. 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metallic element-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들 각각은 독립적인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이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라 MIMO 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각각의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이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에 따라 별개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20-1 and 120-2 may operate as an independent antenna. A plurality of antennas may function as a plurality of antennas for implementing MIMO according to one communication scheme, and each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20-1 and 120-2 may operate as a separat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mutually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t is possible.
도 2 는 도 1 의 안테나 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투명 또는 반투명 제 1 전극 사이에 비-상관 회로 (De-correlation circuit) 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격리 요소 (140) 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120-3) 들 사이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메탈릭 엘리먼트 (metallic element, 140-1, 140-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릭 엘리먼트 (140-1) 가 제 1 투명 전극 (120-1) 과 제 1 투명 전극 (120-2) 사이에 배치되고, 메탈릭 엘리먼트 (140-2) 가 제 1 투명 전극 (120-2) 과 제 1 투명 전극 (1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탈릭 엘리먼트 (140-1) 가 제 1 투명 전극 (120-1) 과 제 1 투명 전극 (120-2)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작동하고, 메탈릭 엘리먼트 (140-2) 가 제 1 투명 전극 (120-2) 과 제 1 투명 전극 (120-3)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1. F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correlation circuit may be implemented between a plurality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first electrodes. 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메탈릭 엘리먼트 (140-1, 140-2) 는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며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120-1, 1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측면에 따르면, 메탈릭 엘리먼트 (140-1, 140-2) 가 복수 개의 투명 제 1 전극 사이에 주기적으로 삽입되어 비-상관 회로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메탈릭 엘리먼트 (140-1, 140-2) 는 특정 주파수가 통과 (pass) 하지 못하도록 하는 대역을 가지며, 이러한 대역을 활용하여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 These metallic elements 140-1 and 140-2 have a periodic pattern and can not pass a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so that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for example, 120-1 and 120-2) Lt; RTI ID = 0.0 > coupling. ≪ / RTI > That is, 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tallic elements 140-1 and 140-2 may be periodically inserted between a plurality of transparent first electrodes to implement a non-correlation circuit. The metallic elements 140-1 and 140-2 have a band that prevents a specific frequency from passing therethrough. By using such a band, the metallic elements 140-1 and 140-2 can form a reciprocal couple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20-1 and 120-2 Ring can be suppressed. Here, the value of mutual coupling is to be -15 dB or less as S reference N1.
일 측면에 따르면, 메탈릭 엘리먼트 (140-1, 140-2) 는 전자기 밴드 갭 (Electromagnetic band gap, EBG) 와 같은 주기적인 배열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은 도 2 의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메탈릭 엘리먼트의 예시 구조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릭 엘리먼트 (140) 는 EBG 구조의 주기적인 배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탈릭 엘리먼트 (140) 는 사각형의 기본 유닛에 있어서 각 변에 근접하에 위치한 직사각형의 제 1 중공부 (141-1) 와 기본 유닛의 중앙에 위치한 원형의 제 1 중공부 (141-2)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직렬 유닛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tallic elements 140-1 and 140-2 can be implemented in a periodic arrangement such as an electromagnetic band gap (EBG). 3 is an exemplary structure of a metallic element included in the antenna device of FIG. As shown in FIG. 3, th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1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메탈릭 엘리먼트 (140) 도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탈릭 엘리먼트 (140) 는 모바일 디바이스 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도성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20-1 and 120-2 may have a metal mesh shape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the second
도 4 는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를 이용한 비-상관 공급 (feeding) 네트워크의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결합기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on-correlated feeding network using a directional coupler, FIG. 5 shows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directional coupler-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directional coupler-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 결합기는 제 1 안테나 (Element 1) 와 제 2 안테나 (Element 2) 에 각각 결합되어 작동하며, 크기와 위상을 가지는 간접 결합 (Indirect Coupling) 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4, the directional coupler operates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antenna (Element 1) and the second antenna (Element 2), and has an indirect coupling having a size and a phase.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는 앞서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510), 유전체 레이어 (5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520-1, 520-2), 유전체 레이어 (5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5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520-1, 5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520-1, 5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540) 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레이어 (510) 는 그 내부에 커플러 레이어 (511) 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유전체 레이어 (510) 는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로 구분되어,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사이에 커플러 레이어 (511) 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격리 요소 (540) 는 상기 커플러 레이어 (511) 에 구비된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방향성 결합기에서 나타나는 간접 결합 (Indirect coupling) 의 크기와 위상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안테나, 즉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520-1, 520-2) 간의 표면파 (surface wave) 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성 결합기는 제 1 투명 전극 (520-1, 520-2) 하부, 제 2 투명 전극 (530) 상부에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520-1, 5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5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2 투명 전극 (530) 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포함된 전자 기기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도성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방향성 결합기 (140) 도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520-1 and 520-2 may have a metal mesh shape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the second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장치는 앞서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610), 유전체 레이어 (6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620-1, 620-2), 유전체 레이어 (6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6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620-1, 6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620-1, 6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640) 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6, the antenna device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at least one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 2 투명 전극 (630) 의 유전체 레이어 (610) 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 면 (예를 들어, 도 6 에는 유전체 레이어의 하면) 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플러 레이어 (651) 를 구비하는 제 2 유전체 레이어 (6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유전체 레이어 (650) 는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로 구분되어,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사이에 커플러 레이어 (651) 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격리 요소 (640) 는 상기 커플러 레이어 (651) 에 구비된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방향성 결합기에서 나타나는 간접 결합 (Indirect coupling) 의 크기와 위상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안테나, 즉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620-1, 620-2) 간의 표면파 (surface wave) 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성 결합기는 제 2 투명 전극 (630) 하부에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 6,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620-1, 6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6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2 투명 전극 (630) 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포함된 전자 기기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도성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방향성 결합기 (640) 도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620-1 and 620-2 may have a metal mesh shape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the second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 패턴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 패턴 기반 안테나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parasitic-pattern-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arasitic-pattern-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기생 패턴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앞서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710), 유전체 레이어 (7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720-1, 720-2), 유전체 레이어 (7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7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720-1, 7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720-1, 7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740) 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ased on a parasitic pattern. 1,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레이어 (710) 는 그 내부에 기생 패턴 (parasitic pattern) 레이어 (711) 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유전체 레이어 (710) 는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로 구분되어,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사이에 기생 패턴 레이어 (711) 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격리 요소 (740) 는 상기 기생 패턴 레이어 (711) 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은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720-1, 720-2) 중 적어도 하나와 공진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720-1, 7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720-1, 720-2) 하부, 제 2 투명 전극 (730) 상부에 기생 패턴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그 기생 패턴과 안테나의 공진을 일으키는 방식을 통해 복수의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중 적어도 하나와 각각 공진을 일으키는 제 1 전극 (720-1, 720-2) 의 쌍은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the
여기서,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은 용량성 패드 (Capacitive pad), 미앤더 라인 인덕터 (Meander line inductor) 및 방향성 결합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9 는 도 7 의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의 예시도이며, 미앤더 라인 방식 기생 패턴을 나타낸다.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은 전송선의 구부러뜨림 또는 꺾임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parasitic patterns 740-1, 740-2, and 740-3 may be any one of a capacitive pad, a meander line inductor, and a directional coupler. FIG. 9 is an illustration of the parasitic patterns 740-1, 740-2, and 740-3 in FIG. 7, and shows a meander line parasitic pattern. The parasitic patterns 740-1, 740-2, and 740-3 can be implemented by bending or twisting the transmission lin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720-1, 7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7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2 투명 전극 (730) 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포함된 전자 기기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도성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기생 패턴 (740-1, 740-2, 740-3) 도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720-1 and 720-2 may have a metal mesh shape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the second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기생 패턴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앞서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810), 유전체 레이어 (8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820-1, 820-2), 유전체 레이어 (8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8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820-1, 8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820-1, 8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840) 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ased on a parasitic pattern. 1,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 2 투명 전극 (830) 의 유전체 레이어 (810) 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 면 (예를 들어, 도 8 에서 유전체 레이어의 하면) 에 배치되며, 내부에 기생 패턴 레이어 (851) 를 구비하는 제 2 유전체 레이어 (8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유전체 레이어 (850) 는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로 구분되어,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 사이에 기생 패턴 레이어 (851) 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격리 요소 (840) 는 상기 기생 패턴 레이어 (851) 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은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820-1, 820-2) 중 적어도 하나와 공진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820-1, 8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투명 전극 (830) 하부에 기생 패턴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그 기생 패턴과 안테나의 공진을 일으키는 방식을 통해 복수의 안테나 간의 격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중 적어도 하나와 각각 공진을 일으키는 제 1 전극 (820-1, 820-2) 의 쌍은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8,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여기서,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은 용량성 패드 (Capacitive pad), 미앤더 라인 인덕터 (Meander line inductor) 및 방향성 결합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9 는 도 8 의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의 예시도이며, 미앤더 라인 방식 기생 패턴을 나타낸다.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은 전송선의 구부러뜨림 또는 꺾임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parasitic patterns 840-1, 840-2, and 840-3 may be any one of a capacitive pad, a meander line inductor, and a directional coupler. FIG. 9 is an illustration of the parasitic patterns 840-1, 840-2, and 840-3 in FIG. 8, and shows a meander line parasitic pattern. The parasitic patterns 840-1, 840-2, and 840-3 can be implemented by bending or twisting the transmission lin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820-1, 8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8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2 투명 전극 (830) 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포함된 전자 기기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도성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기생 패턴 (840-1, 840-2, 840-3) 도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820-1 and 820-2 may have a metal mesh shape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the second
도 10 은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 (Stepped impedance resonator, SIR) 를 나타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R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FIG. 10 shows a stepped impedance resonator (SIR), FIG. 11 shows a configuration of an SIR-based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slit- And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apparatus.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R 기반 안테나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의 (a) 는 SIR 기반 안테나 장치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11 의 (b) 는 SIR 기반 안테나 장치의 하면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1, an SIR-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1 (a) shows a top view of an SIR-based antenna device, and Fig. 11 (b) shows a bottom view of an SIR-based antenna device.
도 1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1110), 유전체 레이어 (11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120-1, 1120-2), 유전체 레이어 (11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11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120-1, 11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1120-1, 11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1140) 를 포함한다. 11,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도 11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격리 요소 (1140) 는, 제 2 투명 전극 (1130) 에 구비되고,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광대역 저지 대역 필터로 동작하여 도 11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1120-1, 11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 (stepped impedance resonator, 1140) 일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 전극 (1120-1, 1120-2) 은 마이크로스트립 (Microstrip) 으로 급전하는 모노폴 (Monopole) 안테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SIR 을 기반으로 제 2 투명 전극 (1130) 의 레이어에 복수의 안테나 간의 높은 격리도를 달성하기 위한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SIR 은 특정 주파수가 통과 (pass) 하지 못하도록 광대역 저지대역 필터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역을 활용하여 복수 개의 안테나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11 (b), th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1120-1, 11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11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 (1130) 의 레이어에 구현된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도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120-1 and 1120-2 may have a metal mesh shape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the second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 기반 안테나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의 (a) 는 슬릿 기반 안테나 장치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12 의 (b) 는 슬릿 기반 안테나 장치의 하면을 나타낸다. 12, a slit-based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2 (a) shows a top view of a slit-based antenna device, and FIG. 12 (b) shows a bottom view of a slit-based antenna device.
도 1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1210), 유전체 레이어 (12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20-1, 1220-2), 유전체 레이어 (12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1230)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20-1, 12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1220-1, 12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1240) 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2,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도 12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격리 요소 (1240) 는, 제 2 투명 전극 (1230) 에 형성된 슬릿 또는 미앤더 (1240) 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 2 투명 전극 (1230) 에 형성된 슬릿 또는 미앤더 (1240) 를 기반으로 제 2 투명 전극 (1230) 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여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1220-1, 12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제 2 전극 (1230) 레이어에 슬릿 또는 미앤더를 삽입하여 변형하는 것에 의해, 제 2 전극 (1230) 에 흐르는 전류를 저지 (suppress) 하여 (저지대역) 복수 개의 안테나 간의 상호적 커플링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1220-1, 1220-2) 은 마이크로스트립 (Microstrip) 으로 급전하는 모노폴 (Monopole) 안테나일 수 있다. 12 (b), th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1220-1, 12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슬릿 또는 미앤더를 가지도록 변형된 형태의 제 2 투명 전극 (1230)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한다.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220-1 and 1220-2 may have a shape of a metal mesh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may have a shape of a metal mesh having a slit or meander, The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L (Neutralization line) 기반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3 의 (a) 는 마이크로 스트립으로 급전하는 모노폴 안테나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13 의 (b) 는 CPW 급전 방식의 모노폴 안테나의 경우를 나타낸다. 13 shows a configuration of an NL (Neutralization line) based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 shows a case of a monopole antenna feeding a microstrip, and Fig. 13 (b) shows a case of a monopole antenna of a CPW feeding system.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도 1 을 기반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레이어 (1310), 유전체 레이어 (1310) 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320-1, 1320-2) 를 포함하고,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1320-1, 1320-2)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예를 들어, 1320-1, 1320-2)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 (1340) 를 포함한다. 아울러, 유전체 레이어 (1310) 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미도시) 를 포함한다. 13,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여기서, 투명 격리 요소 (1340) 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디커플링 (decoupling)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호적 커플링 전류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격리 요소 (1340) 는 제 1 투명 전극 또는 제 2 투명 전극에 광대역 특성이 있는 투명 NL (Neutralization line) 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투명 NL 은 디커플링 전류 (phase reversed) 를 제 2 전극에 흐르도록 하여 상호적 커플링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한편, 여기서 제 1 투명 전극 (1320-1, 1320-2) 은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 된 메탈 메쉬 (metal mesh) 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 전극 (미도시) 역시 투명도가 7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2 투명 전극 (미도시) 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포함된 전자 기기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전도성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투명 NL 라인 (1340) 은 투명도가 80 % 이상 확보된 메탈 메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호적 커플링의 값은 SN1 기준으로 -15 dB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320-1 and 1320-2 may have a shape of a metal mesh having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and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not shown) may have a transparency of 70% Or more of the metal mesh. According to one aspect,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not shown) can utilize any conductive material present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including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1400) 는 본 발의 일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장치 (1410-1, 1410-2, 1410-3, 1410-4, 1410-5) 와, 안테나 장치의 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1420) 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 (1410-1, 1410-2, 1410-3, 1410-4, 1410-5) 에 포함된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성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4 is an illust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에는,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110) 가 제 1 투명 전극 (120-1, 120-2) 의 하면 전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서는 유전체가 제 1 투명 전극의 하면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1400) 에 구비될 때, 유전체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겹치지 않는 부분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 영역) 에 위치하게 되고, 투명 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서 유전체와 접합하고, 유전체와 접합하지 않는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 격리 요소의 경우에도 유전체와의 접합이 필요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서만 투명 격리 요소와 유전체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측면에 따르면 유전체는 불투명 유전체가 사용될 수 있고,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예를 들어 메탈 메쉬와 같은 투명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1, the at least one dielectric 110 is in contact with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120-1 and 120-2,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However, i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When such an antenna device is provided in the
한편, 제 1 투명 전극 또는 제 2 투명 전극과, 유전체 레이어 간의 결합은, RF 케이블을 통한 접합, 상기 유전체 레이어에 형성된 비아 공정을 통한 접합, 비접촉의 용량성 결합, 접촉식 패드 본딩 기술에 의한 접합 및 포고 핀 (pogo pin) 을 통한 기계적 접합 중 어느 하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소자 간 접합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5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불투명) 유전체와 투명 전극과의 결합은 FPCB RF 케이블을 통한 접합이 사용될 수 있고, 도 15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TGV (비아) 공정을 통한 접합일 수 있으며, 도 15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패드 (본딩 기술) 을 이용한 접합일 수 있다. 또한, 도 15의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 핀 (pogo pin) 과 같은 기계식 접합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5 의 (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전극의 상면 일부, 일 측면, 하면 일부로 이어지는 ㄷ 자 형태의 접합부가 구비되어, 접합부와 (투명 또는 불투명) 유전체가 접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접합부는 박막의 도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5 의 (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일부의 아래 쪽에 투명 전극이 위치하되, 직접적인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용량성 결합과 같은 전기적 결합에 의해 유전체와 투명 전극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5 의 (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의 일 측면과 투명 전극의 일 측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하되, 투명 전극의 상면 일부, 일 측면, 하면 일부로 이어지는 ㄷ 자 형태의 접합부가 구비되어, 접합부와 (투명 또는 불투명) 유전체의 상기 일 측면이 접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 의 (h)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의 일 측면과 투명 전극의 일 측면이 서로 대향하는 경우에도, 직접적인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용량성 결합과 같은 전기적 결합에 의해 유전체와 투명 전극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5 의 (i)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는 투명 전극의 일 측면과 하면 일부로 이어지는 ㄴ 자 형태로 형성되고, 접합부가 유전체의 일 측면과 결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bonding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r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layer may be performed by bonding via an RF cable, bonding via a via proces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capacitive bonding without contact, And mechanical bonding through a pogo pin. 1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and a method of joining elements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he coupling between the (transparent or opaque) dielectric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as shown in FIG. 15 (a), may be achieved by bonding via an FPCB RF cable, (via) process as shown in FIG. 15 (b), or may be a junction using a contact pad (bonding technique) as shown in FIG. 15 (c). 15 (d), a mechanical connection such as a pogo pin may be used, and as shown in FIG. 15 (e), a part of the top surface, one side surface, And a subsequent C-shaped junc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junction and the (transparent or opaque) dielectric are joined together. Here, a thin film conductor may be used for the junction portion.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 of FIG. 15,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positioned below the dielectric portion, but the direct mechanical coupling is not performed, and the dielectric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are coupled by the electrical coupling such as capacitive coupling It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5 (g), there is provided a U-shaped junction part which leads to one side of the dielectric and one si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ne side of the (transparent or opaque) dielectric may be in the form of a junction. Even if one side of the dielectric and one sid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15 (h), the direct mechanical coupling is not achieved, and the dielectric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Lt; / RTI > Further, as shown in Fig. 15 (i), the junction may be formed in a cubic shape extending to one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junction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one side of the dielectric.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안테나의 구현 예이고, 도 17 은 도 16 의 투명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6 내지 도 17 에 나타난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 전극이 디스플레이 패널 (1420) 전면에 위치하도록 실장될 수 있다. 다만, 단순히 투명 전극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는 없다. 도 16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 전극은 예를 들어 메탈 메쉬로 구현될 수 있고, 메탈 메쉬의 간격, 굵기, 배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및/또는 모아레 현상의 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IG. 16 shows an embodiment of a transparen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shows a structure of a transparent antenna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antenna as shown in FIGS. 16 to 17 can be mounted so tha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투명 전극과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메탈 메쉬 (1820-1, 1820-2) 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탈 메쉬 (1820-1, 1820-2) 간의 간격은 메탈 메쉬 (1820-1, 1820-2) 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각각의 픽셀 (1810-1, 1810-2) 마다 동일한 면적을 덮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픽셀 (1810-1, 1810-2) 에는 각각 격벽으로 구분된 R, G, B 엘리먼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 엘리먼트 (1811-1, 1811-2) 각각이 메탈 메쉬 (1820-1, 1820-2) 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동일하도록 메탈 메쉬 (1820-1, 1820-2) 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소들 간의 휘도 저하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탈 메쉬의 간격, 굵기, 배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주파수를 고려하여 설정됨으로써,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 굵기, 배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18 shows the arrangement between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display panel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be formed of metal meshes 1820-1 and 1820-2, and the metal meshes 1820-1 and 1820-2 may be formed of metal meshes, May be set such that the metal meshes 1820-1 and 1820-2 cover the same area for each of the pixels 1810-1 and 1810-2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each of the pixels 1810-1 and 1810-2 may include R, G, and B elements partitioned by barrier ribs. For example, each of the R elements 1811-1 and 1811-2 may include a metal mesh The metal meshes 1820-1 and 1820-2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areas covered by the metal meshes 1820-1 and 1820-2 are the same. Therefore, the luminance degradation between the pixels can be made equal.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terval, the thickness,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metal mesh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utput frequency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it can be set to have at least one of an interval, a thickness and an arrangement angle that can prevent occurrence of moire phenomenon have.
다시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도시된다. 여기서, 각각의 안테나 장치 (1410-1, 1410-2, 1410-3, 1410-4, 1410-5) 의 적어도 둘 이상이 하나의 통신 메커니즘에 따르는 MIMO 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각각의 안테나 장치 (1410-1, 1410-2, 1410-3, 1410-4, 1410-5) 가 개별적으로 상이한 통신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독립 안테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장치 (1410-1, 1410-4) 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위한 MIMO 구현 안테나로서 사용되고, 안테나 장치 (1410-2) 는 NFC 를 위한 안테나로서 사용되고, 안테나 장치 (1410-3) 은 Wi-Fi/BT 를 위한 안테나 장치로서 사용되고, 안테나 장치 (1410-5) 는 GPS 를 위한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의 조합은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투명 안테나를 통해 mmWave MIMO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안테나는 광대역 고 격리도를 가지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실장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4, there is shown a mobile device with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f each of the antenna devices 1410-1, 1410-2, 1410-3, 1410-4, 1410-5 may be used to implement MIMO according to one communication mechanism, Devices 1410-1, 1410-2, 1410-3, 1410-4, 1410-5 may be implemented as stand-alone antennas that individually implement different communication mechanisms. For example, antenna devices 1410-1 and 1410-4 are used as MIMO implementation antennas for a cellular network, antenna device 1410-2 is used as an antenna for NFC, and antenna device 1410-3 is Wi -Fi / BT, and the antenna device 1410-5 can be used as an antenna for GPS. Combinations of such antenna devices may be used as any combination capable of achieving optimal performance.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evice for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nd can be used for mmWave MIMO communication through a transparent antenna. Furthermore, the transparent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display by having a wideband high isolation.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ombinations and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and / or the necessity may be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or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steps described above have.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depicted in the flowchart illustrations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include examples of various aspects. While it is not possible to describe every possible combination for expressing various aspect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other combin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include all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6)
상기 유전체 레이어의 제 1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1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상기 유전체 레이어의 제 2 면에 배치되며, 정해진 제 2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는 제 2 투명 전극; 및
정해진 제 3 값에 대응하는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중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투명 격리 요소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At least one dielectric layer;
A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and having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first predetermined valu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and having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value; And
And a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having a transparenc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hird value and removing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들 사이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메탈릭 엘리먼트 (metallic element) 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s a metallic element periodically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메탈릭 엘리먼트는,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며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안테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tallic element has a periodic pattern and does not pass a frequency of a particular band to eliminat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유전체 레이어 내부에 커플러 레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커플러 레이어에 구비된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upler layer in the dielectric layer,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s a directional coupler provided in the coupler layer.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기 유전체 레이어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커플러 레이어를 구비하는 제 2 유전체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커플러 레이어에 구비된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a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acing the dielectric layer, the second dielectric layer having a coupler layer therein,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s a directional coupler provided in the coupler layer.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표면파 (surface wave) 에 기인한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directional coupler removes mutual coupling due to a surface wave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유전체 레이어 내부에 기생 패턴 레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기생 패턴 레이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 패턴 (parasitic pattern) 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rasitic pattern layer in the dielectric layer,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s at least one parasitic pattern provided in the parasitic pattern layer.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상기 유전체 레이어와 대면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기생 패턴 레이어를 구비하는 제 2 유전체 레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기생 패턴 레이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 패턴 (parasitic pattern) 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a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facing the dielectric layer and having a parasitic pattern layer therein,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s at least one parasitic pattern provided in the parasitic pattern layer.
상기 기생 패턴은 상기 복수 개의 제 1 투명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공진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안테나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parasitic pattern removes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by causing resonance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기생 패턴은 용량성 패드 (Capacitive pad), 미앤더 라인 인덕터 (Meander line inductor) 및 방향성 결합기 중 어느 하나인, 안테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rasitic pattern is one of a capacitive pad, a meander line inductor, and a directional coupler.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구비되고,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광대역 저지 대역 필터로 동작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 (stepped impedance resonator) 이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은 마이크로스트립 모노폴 (Microstrip Monopole) 안테나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comprises a stepped portion that is provided i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at acts as a broadband stopband filter that prevents passage of a frequency in a specific band, thereby eliminating reciproc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Is a stepped impedance resonator,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is a microstrip monopole antenna.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형성된 슬릿 (slit) 또는 미앤더 (meander) 이고,
상기 상기 제 2 투명 전극은 상기 슬릿 또는 미앤더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의 상호적 커플링을 제거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may be a slit or a meander form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Wherei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suppresses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based on the slit or meander to eliminat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투명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디커플링 (decoupling)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호적 커플링 전류를 제거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removes the mutual coupling current by connecting the at least two first transparent electrodes to cause a decoupling current to flow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제 1 투명 전극 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 상기 유전체 레이어 간의 결합은,
RF 케이블을 통한 접합, 상기 유전체 레이어에 형성된 비아 공정을 통한 접합, 비접촉의 용량성 결합, 접촉식 패드 본딩 기술에 의한 접합 및 포고 핀 (pogo pin) 을 통한 기계적 접합 중 어느 하나인,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Wherein the antenna device is any one of joining via an RF cable, joining through a via process formed in the dielectric layer,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joining by a contact pad bonding technique, and mechanical joining through a pogo pin.
상기 안테나 장치 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성을 저감시키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And a display panel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antenna device do not reduc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panel.
상기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투명 격리 요소는 메탈 메쉬로 구성되고, 상기 메탈 메쉬의 간격은 상기 메탈 메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각각의 픽셀마다 동일한 면적을 덮도록 설정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transparent isolation element are made of a metal mesh, and the interval of the metal mesh is set so that the metal mesh covers the same area for each pixel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663A KR102028352B1 (en) | 2018-01-16 | 2018-01-16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PCT/KR2019/000323 WO2019143061A1 (en) | 2018-01-16 | 2019-01-09 |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device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663A KR102028352B1 (en) | 2018-01-16 | 2018-01-16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5862A Division KR102093326B1 (en) | 2019-09-20 | 2019-09-20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187A true KR20190087187A (en) | 2019-07-24 |
KR102028352B1 KR102028352B1 (en) | 2019-10-04 |
Family
ID=6730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5663A Active KR102028352B1 (en) | 2018-01-16 | 2018-01-16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8352B1 (en) |
WO (1) | WO2019143061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6778A (en) * | 2019-08-22 | 2021-10-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having a transparent antenna |
CN113659337A (en) * | 2020-05-12 | 2021-11-16 | 西安电子科技大学 | Antenna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decoupling method for antenna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58044B1 (en) | 2020-06-05 | 2025-0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
KR102776232B1 (en) | 2020-08-31 | 2025-03-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Radio frequenc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KR20220062193A (en) | 2020-11-06 | 2022-05-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
KR20220086755A (en) | 2020-12-16 | 2022-06-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
CN118830141A (en) * | 2022-08-16 | 2024-10-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Mesh pattern antenna on glass for back cover and display with through glass via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472B1 (en) * | 2005-09-27 | 2007-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Flat Panel Array Antenna with Isolation Element |
KR20090039103A (en) | 2007-10-17 | 2009-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IO antenna device |
KR100932420B1 (en) * | 2008-09-11 | 2009-12-17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MIO Antenna System |
KR101195047B1 (en) * | 2010-11-26 | 2012-10-29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Mimo antenna |
KR101241388B1 (en) * | 2009-12-18 | 2013-03-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ulti Input Multi Output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
KR20150104509A (en) * | 2014-03-05 | 2015-09-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KR20160054848A (en) * | 2014-11-07 | 2016-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device |
-
2018
- 2018-01-16 KR KR1020180005663A patent/KR102028352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1-09 WO PCT/KR2019/000323 patent/WO201914306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472B1 (en) * | 2005-09-27 | 2007-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Flat Panel Array Antenna with Isolation Element |
KR20090039103A (en) | 2007-10-17 | 2009-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IO antenna device |
KR100932420B1 (en) * | 2008-09-11 | 2009-12-17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MIO Antenna System |
KR101241388B1 (en) * | 2009-12-18 | 2013-03-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ulti Input Multi Output antenna for improv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
KR101195047B1 (en) * | 2010-11-26 | 2012-10-29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Mimo antenna |
KR20150104509A (en) * | 2014-03-05 | 2015-09-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KR20160054848A (en) * | 2014-11-07 | 2016-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tenna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6778A (en) * | 2019-08-22 | 2021-10-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having a transparent antenna |
US11955708B2 (en) | 2019-08-22 | 2024-04-09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ransparent antenna |
CN113659337A (en) * | 2020-05-12 | 2021-11-16 | 西安电子科技大学 | Antenna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decoupling method for antenna device |
CN113659337B (en) * | 2020-05-12 | 2024-06-07 | 西安电子科技大学 | Antenna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decoupling method for antenna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43061A1 (en) | 2019-07-25 |
KR102028352B1 (en) | 2019-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87187A (en)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
KR102093326B1 (en) | An apparatus of antenna and mobile device thereof | |
JP4384102B2 (en) | Portable radio device and antenna device | |
KR102484358B1 (en) | Antenna integrated display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TWI661613B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200112098A1 (en) | Multi-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 |
EP2942834B1 (en) | Antenna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 |
WO2012169186A1 (en) | Antenna device | |
WO2020024659A1 (en) | Antenna system and mobile terminal | |
CN211957929U (en)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05140623A (en) | Antenna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same | |
CN107919525B (en) | Antenna system | |
EP4123828A1 (en) | Antenna unit and electronic device | |
CN101385191A (en) | Antenna distribution | |
CN108879112B (en) | Antenna array and terminal | |
TWI711221B (en) | Antenna structure | |
JP5859139B2 (en) | Antenna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JP2005229161A (en) |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therewith | |
CN112736411A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ame | |
TWI825872B (en) | Mobile device supporting wideband operation | |
US20090096682A1 (en) | Portable wireless apparatus | |
US20130093631A1 (en) | Mobile wireless terminal | |
TWI724738B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ame | |
TW202404185A (en) |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 |
WO2021035895A1 (en) | Antenna module and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