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086A - A network system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n user in a vehicle usiong relay node included in the vehicle - Google Patents
A network system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n user in a vehicle usiong relay node included in the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7086A KR20190087086A KR1020180005445A KR20180005445A KR20190087086A KR 20190087086 A KR20190087086 A KR 20190087086A KR 1020180005445 A KR1020180005445 A KR 1020180005445A KR 20180005445 A KR20180005445 A KR 20180005445A KR 20190087086 A KR20190087086 A KR 201900870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ay node
- network
- terminal
- vehicle
- ser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차 또는 버스 등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들의 단말들을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준으로 그룹핑할 수 있고, 단말들을 그룹에 따라 네트워크로 릴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단말들 또는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group terminals of users aboard a vehicle moving at high speed such as a train or a bus on the basis of a network service and relays the terminals to a network according to a group. Thus, the network system can more efficiently provide network services to terminals or us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차량 내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s to users in a vehicle using relay nodes.
5세대(5 Generation: 이하 5G) 이동통신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기술로서 다수 기기를 연동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개인과 산업 전 영역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현하게 만드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다. 5G 이동통신에서, 초연결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초고용량의 콘텐츠 전송 서비스 및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트래픽 급증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고속의 이동 환경에서도 우수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 중이다.The 5th Gener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is the ke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 key to make a network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by linking multiple devices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to individual and industrial areas. Infrastructure. In 5G mobile communication, it has developed a technology to provide a variety of super-connection-based services, ultra-high-capacity content transmission services and ultra-low-latency services, to accommodate a surge in data traffic and to provide users with high- It is.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를 확대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가 이용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연결하는 단말들이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단말들 각각이 네트워크의 베어러 설정을 수행해야 한다.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들은 개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In order to extend the coverage range of the base station to provide network services, a relay node may be used. In order for the terminals connected to the relay node to connect to the network, each of the terminals must perform the bearer setup of the network. The terminals connected to the relay node can be individually managed.
또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밖의 단말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UE-to-Network 릴레이 기술의 경우, VR(Virtual Reality) 단말 또는 AR(Augmented Reality) 단말과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특히, 일정 수준 이상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UE-to-Network relay technology in which a UE outside the coverage range of a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network, a network service such as a VR (Virtual Reality) terminal or an AR (Augmented Reality)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QoS (Quality of Service) exceeding a certain level can not be maintained.
본 발명은 차량 내에 탑재된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차량 내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s to users in a vehicle using a relay node installed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대용량의 데이터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 terminal requesting a large-capacity data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은 일정 수준의 QoS를 보장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twork system that assures a certain level of QoS.
일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가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과 RRC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상기 릴레이 노드가 리모트 단말의 데이터를 릴레이할 수 있음을 표시한 Attach Request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Attach Request에 대응하는 Attach Accept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베어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러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QoS(Quality of Service)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상기 복수의 단말의 그룹별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network access method performed by a relay node,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an RRC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transmitting, to a gatewa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 Attach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lay node can relay data of a remote terminal Requesting an Attach Request from the gateway, and generating a bearer to be connected to a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base station when receiving Attach Accept corresponding to the Attach Request from the gateway, the bearer being connected to the relay node There is provided a network access method for providing a network service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in group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grouped based on network services or Quality of Service (QoS)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차량 내에 탑재된 릴레이 노드를 이용하여 차량 내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provide a network service to users in a vehicle using a relay node installed in the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대용량의 데이터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a network service to a terminal requesting a large amount of data data transmission.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정 수준의 QoS를 보장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guarantee a certain level of Qo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차량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 및 릴레이 노드에 연결된 단말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노드들의 제어 평면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릴레이 노드의 네트워크 등록 절차 및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베어러가 릴레이 노드 및 응용 서버 사이에 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이 릴레이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elay node included in a vehicle and terminals connected to a relay node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tocol stack in a control plane of nodes included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ack for data transmission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registration procedure of a relay node performed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 operation in which a dedicated bearer is set up between a relay node and an application server to provide a network servic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terminal of a user who has boarded a vehicle including a relay node accesses a network through a relay node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ure forms, but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or the like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being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 "between" and "immediately"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 or " having ",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차량 및 차량의 탑승자의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핫스팟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support a hotspot function for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 terminal of a passenger of a vehicle and a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배치되어, 차량의 탑승자의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릴레이 노드(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자동차, 열차, 선박 또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110, 120)는 mTE(mobile hotspot network Terminal Equipment)일 수 있다. 릴레이 노드(110, 120)는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주파수는 릴레이 노드(110, 120) 및 기지국(130, 140) 사이에 수십 기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대역 확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110, 120)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서 무선 백홀 링크(backhaul)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110, 120)는 기지국, 게이트웨이를 통한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를 설정하고, 단말과 별도의 액세스 링크를 설정한다. 단말은 고용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릴레이 노드(110, 120)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링크는 WiFi, 스몰셀, FeD2D(Further enhanced D2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링크일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영역(소위 커버리지 범위) 내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30, 140)은 Mobile Hotspot Network Digital Unit(mDU)으로써, 기지국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릴레이 노드(110)가 기지국(130)의 커버리지 범위에 포함되고, 릴레이 노드(120)가 기지국(140)의 커버리지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110, 120)는 3GPP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기지국(130, 140)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110, 120)는 3GPP의 단말이 기지국(130, 140)에 접속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기지국(130, 14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노드(110, 120)와 관련된 EPS 베어러가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릴레이 노드(110, 120)는 배치된 차량 내의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릴레이 노드(110, 120)가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밀리미터파 주파수의 특성에 기초하여, 밀리미터파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간에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110, 120) 및 기지국(130, 140) 사이에 LoS가 보장되는 환경이 구성될 수 있다. 차량에 포함된 단말은 릴레이 노드(110, 120)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QoS 제어가 가능한 고속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기지국(130, 140)은 커버리지 범위에 포함되는 릴레이 노드(110, 120)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거나, 릴레이 노드(110, 120)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기지국(130, 140)은 릴레이 노드(110, 120) 및 게이트웨이(150) 간의 EPS 베어러를 관리할 수 있다. EPS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110, 120)가 네트워크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110, 120)부터 게이트웨이(150)까지 생성하는 논리적인 경로를 의미한다.The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릴레이 노드(110, 120) 및 차량에 포함된 단말이 네트워크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게이트웨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게이트웨이(150)는 릴레이 노드(110, 120) 및 단말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일종의 관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50)는 제어 신호 및 트래픽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릴레이 노드(110, 120)에 연결된 단말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서버(160)에서 실행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릴레이 노드(110, 120)에 접속하는 단말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QoS를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릴레이 노드(110, 120)를 이용한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단말의 서비스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가 줄어들 수 있고, 단말이 요구되는 QoS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QoS of the network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s connected to the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차량(210)에 포함된 릴레이 노드(220) 및 릴레이 노드(220)에 연결된 단말들(2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차량(210)에 하나 이상의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차량(210)에 포함된 단말들(230)은 VR, AR 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220)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단말들(230)을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다. 단말들(230)은 릴레이 노드(220)의 대표 주소 및 베어러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One or more terminals may be included in the
릴레이 노드(220) 및 단말들(230) 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는 WiFi, Bluetooth 등의 비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는 기지국(240)과 릴레이 노드(220)간 사용하는 밀리미터파를 가질 수 있다. 릴레이 노드(220) 및 단말들(230) 사이의 무선 신호의 주파수는 네트워크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VR, AR 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단말들(2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단말들(230) 각각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는 QoS를 보장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릴레이 노드(101) 및 리모트 단말(201) 간의 QoS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노드들의 제어 평면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tocol stack in a control plane of nodes included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의 프로토콜 스택(310), 릴레이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320), 기지국의 프로토콜 스택(330) 및 게이트웨이의 프로토콜 스택(340)이 도시된다. 릴레이 노드는 3GPP 단말에 기초한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단말에 대한 프록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가 단말에 프록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320)은 (1) 네트워크로 릴레이 단말을 등록하고, 릴레이 단말의 세션을 관리하는 NAS(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 (2) 기지국 및 릴레이 노드 간의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 (3) 무선 링크를 제어하는 RLC(Radio Link Control) 프로토콜, (4) 미디어를 제어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 및 (5) Physical Layer 프로토콜 등 단말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릴레이 노드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다음, 할당 받은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단말과의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리모트 단말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브로드캐스트(방송)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릴레이 노드 및 리모트 단말 사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의 QoS에 대응하는 D2R 무선 베어러(DRB: Data Radio Bearer)를 생성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가 D2R 무선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관리하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320) 및/또는 단말의 프로토콜 스택(310)은 D2R(Device to Relay)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node can act as a base station for the terminal. The relay node can allocate radio resources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n manage the radio resources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s. The relay node can broadcast (broadcast) the discovery signal to the remote terminal. The relay node can create or manage a D2R radio bearer (DRB) corresponding to the QoS of the network service between the relay node and the remote terminal. In order for a relay node to create or manage a D2R radio bearer, the
릴레이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320) 및/또는 단말의 프로토콜 스택(310)에 포함된 D2R(Device to Relay) 프로토콜은 릴레이 노드 및 단말간의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D2R 프로토콜은 단말로 로컬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D2R 무선 베어러 및 EPS 베어러를 매핑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동일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들을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가 동일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들을 그룹으로 관리함으로써, 릴레이 노드 및 단말간의 QoS 제어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D2R (Device to Relay) protocol included in the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410)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tocol stack for data transmission of a terminal 410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단말(410)은 응용 서버(43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410) 및 릴레이 노드(420)와 설정된 D2R 무선 베어러, 릴레이 노드(420) 및 네트워크 간에 설정된 EPS 베어러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410)의 데이터는 상기 D2R 무선 베어러 및 상기 EPS 베어러를 통하여 응용서버(430)로 전송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410)은 상기 D2R 무선 베어러 및 상기 EPS 베어러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The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릴레이 노드(502)의 네트워크 등록 절차 및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베어러가 릴레이 노드(502) 및 응용 서버(505) 사이에 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릴레이 노드(502)의 네트워크 등록 절차는 3GPP 23.401 표준의 동작 및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5 illustrates a network registration procedure of the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11)에서, 릴레이 노드(502) 및 기지국(503) 사이의 RRC connection setup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512)에서, 릴레이 노드(502)는 게이트웨이(504)로 Attach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502)가 릴레이 노드(502)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말(501))의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Attach Request의 UE capability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릴레이 노드(502) 및 게이트웨이(504) 사이에 수행되는 Attach 절차는 게이트웨이(504) 및 릴레이 노드(502) 간의 인증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513)에서, 릴레이 노드(502)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는 경우, 게이트웨이(504)는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Attach accept를 결합하여 S1 베어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514)에서, 기지국(503)은 릴레이 노드(502) 와의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통해 DRB(Data Radio Bearer)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515)에서, 기지국(503)은 attach accept를 게이트웨이(504)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6)에서, 디폴트 EPS 베어러가 릴레이 노드(502) 및 네트워크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The Attach procedure performed between the
이후, 릴레이 노드(502)는 단말(501)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2R 전용 베어러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517)에서, D2R 전용 베어러를 할당받기 위하여, 릴레이 노드(502)는 단말(501)에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Bearer resource modification을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베어러는 초다시점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일 수 있다. 단계(518)에서, 게이트웨이(504)는 릴레이 노드(502)에서 단말(501)에 제공하려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Bearer Resource Modific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19)에서, 게이트웨이(504)는 QoS 정책에 따라 단말(501)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2R 전용 베어러 설정을 요구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기지국(503)은 릴레인 노드(502)와의 추가 베어러 설정을 위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request를 릴레이 노드(502)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21)에서, 릴레이 노드(502) 및 기지국(503) 간의 무선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면, 단계(522)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베어러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상기 베어러는 동일 서비스를 요구하는 단말(501)의 그룹 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 노드(502) 및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이 감소되면서, 응용 서버(505)가 단말(501)로 QoS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bearer can provide a service for each group of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602)를 포함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601)이 릴레이 노드(602)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릴레이 노드(602) 및 단말(601)은 동기 채널을 이용하여 채널 동기를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602)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단말(601)로 전송할 수 있다.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대신, 릴레이 노드(602)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직접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대신, 네트워크 서비스 요청이 릴레이 노드(602)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서 동일한 QoS를 가진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수행됨으로써, 네트워크의 제어 절차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 which a
단계(611)에서, 단말(601)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 노드(602)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612)에서, 단말(601)은 릴레이 노드(602)와 RRC connection setup을 수행할 수 있다.In
단계(613)에서, 단말(601)은 간접 서비스 요구(Indirect Service Request)를 릴레이 노드(6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601)은 서비스 받고자 하는 응용 서버(605)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말(601)은 사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릴레이 노드(60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의 QoS에 대응하는 EPS 베어러를 기지국, 게이트웨이까지 설정하고 있는 경우, 릴레이 노드(602)는 대응하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단계(619)의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In
단계(614)에서, 요청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베어러가 릴레이 노드(602)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릴레이 노드(602)는 전용 베어러 설정 요구를 게이트웨이(604)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615)에서, 게이트웨이(604)는 QoS 정책에 따라 릴레이 노드(602)가 요구한 베어러 설정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617, 618)에서, 릴레이 노드(602) 및 기지국(603) 간에 전용 베어러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619)에서, 릴레이 노드(602)는 단말(601)과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와의 EPS 베어러와 매핑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602)는 무선 베어러를 설정한 정보 및 EPS 베어러와 매핑한 정보를 단말(601)로 보낼 수 있다.In
단계(620)에서, 릴레이 노드(602)는 상위 프로토콜로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단계(621)에서, 릴레이 노드(602) 및 단말(601)은 전용 베어러를 통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t step 620, the
요약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차 또는 버스 등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들의 단말들을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준으로 그룹핑할 수 있고, 단말들을 그룹에 따라 네트워크로 릴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단말들 또는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summary,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group terminals of users aboard a vehicle moving at high speed such as a train or a bus on the basis of a network service, and relays terminals to a network according to a group. Thus, the network system can more efficiently provide network services to terminals or users.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포함된 단말(601)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의 릴레이 노드(602)는 단말(601)에 대해 개별적으로 베어러를 설정하는 대신, 단말(601)의 그룹별로 베어러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단말(601)의 그룹별로 베어러를 설정하고 관리함에 따라, 단말(601)의 연결에 대한 복잡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단말(601)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설정하는 절차가 간소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601)에 제공되는 서비스마다 베어러를 설정함으로써, 릴레이 노드(602) 및 단말(601) 간의 QoS 제어를 지원하면서 대용량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Processor), 컨트롤러 (Controll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Programmable Logic Element), 다른 전자 기기들 및 이것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hardware component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functions) 또는 프로세스들(processes)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mable logic device such as one or m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Logic Element,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combinations thereof. ≪ RTI ID = 0.0 >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process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and the software may be recorded in a recording medium. The components, functions and process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10, 120: 릴레이 노드
130, 140: 기지국
150: 게이트웨이
160: 응용 서버110, 120: relay node
130, 140: base station
150: Gateway
160: application server
Claims (1)
기지국과 RRC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상기 릴레이 노드가 리모트 단말의 데이터를 릴레이할 수 있음을 표시한 Attach Request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Attach Request에 대응하는 Attach Accept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베어러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러는,
상기 릴레이 노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QoS(Quality of Service)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상기 복수의 단말의 그룹별로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접속 방법.In a network access method performed by a relay node,
Performing an RRC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Transmitting an Attach Request indicating that the relay node can relay data of a remote terminal to a gatewa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When receiving Attach Accept corresponding to the Attach Request from the gateway, generating a bearer to be connected to a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base station
Lt; / RTI >
The bearer includes:
Wherein the network service is provided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relay node for each group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grouped based on a network service or quality of service (QoS)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termin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445A KR20190087086A (en) | 2018-01-16 | 2018-01-16 | A network system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n user in a vehicle usiong relay node included in th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445A KR20190087086A (en) | 2018-01-16 | 2018-01-16 | A network system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n user in a vehicle usiong relay node included in the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086A true KR20190087086A (en) | 2019-07-24 |
Family
ID=6748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5445A Withdrawn KR20190087086A (en) | 2018-01-16 | 2018-01-16 | A network system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n user in a vehicle usiong relay node included in the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87086A (en) |
-
2018
- 2018-01-16 KR KR1020180005445A patent/KR20190087086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7044263B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ssion management in aviation systems | |
CN111684824B (en) | Enhanced NEF function, MEC, and 5G integration | |
CN109121170B (en) | Session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ystem | |
CN110730482B (en) | Wireless access network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network element and storage medium | |
US2025015088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pping ue routing selection poli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11194051A (en) | Transmission path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 |
CN116438823A (en) |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of an aeronautical system | |
WO2021134701A1 (en) | D2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CN113079548B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
CN109041078B (en) | A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US2024015541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qos flow base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15314874A (en) | A kind of slice selection method,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 |
CN113709905A (en) |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WO2022247875A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nnection | |
KR20190087086A (en) | A network system providing a network service to an user in a vehicle usiong relay node included in the vehicle | |
WO2021042381A1 (en) |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EP416761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ystem with gateway service | |
EP4564987A1 (en) | Communication related to redundant pdu session | |
EP4564988A1 (en) | Communication related to redundant pdu session | |
EP4583627A1 (en) | Duplication transmission method using multipath | |
EP4568306A1 (en) | Lbo mode pdu session | |
WO2022047749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250033280A (en) | Network Connectivity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CN119966792A (en) | A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
GB2620605A (en) | Managing network 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