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86913A -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913A
KR20190086913A KR1020180005033A KR20180005033A KR20190086913A KR 20190086913 A KR20190086913 A KR 20190086913A KR 1020180005033 A KR1020180005033 A KR 1020180005033A KR 20180005033 A KR20180005033 A KR 20180005033A KR 20190086913 A KR20190086913 A KR 20190086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task
business
file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18000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913A/ko
Priority to JP2018204799A priority patent/JP6604672B2/ja
Priority to US16/176,166 priority patent/US20190129974A1/en
Priority to US16/209,390 priority patent/US11392548B2/en
Priority to JP2018228099A priority patent/JP6718496B2/ja
Priority to KR1020190022571A priority patent/KR1023230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913A/ko
Priority to US17/841,229 priority patent/US20220309039A1/en
Priority to US17/841,170 priority patent/US11741049B2/en
Priority to US18/220,000 priority patent/US20230350846A1/en
Priority to US18/894,993 priority patent/US20250013608A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고,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나타내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APPARATUS FOR MANAGING FOLDER LINKAGE TYPE WORK OBJECT, METHOD BY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업무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 사용자들 간에 폴더 내의 파일과 연계된 업무 지시 및 처리가 용이하도록 지원하여 폴더 공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파일 공유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의 파일을 서버의 사용자 계정 공간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파일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 공유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사용자들 간의 파일 공유 과정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파일 공유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5445(2004.03.24)호는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 있고, 검색어를 입력하여 공유파일의 검색을 요청하거나 상기 공유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단말기, 자신에게 접속하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색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HTML 문서로 해당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에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의 신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서버가 상기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색인 정보가 저장 및 갱신되는 색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95725(2001.05.02)호는 공유 데이터 파일의 사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공유 데이터 파일의 각 사본(205, 420)에 대하여, 그 사본에 행해지는 변경의 레코드(540)를 유지관리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460)에 대한 접속을 통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 파일의 사본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유지관리되는 유지관리 레코드(550)를 검색하는 단계와, (c) 변경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검색된 레코드를 병합(560)하는 단계와, (d) 상기 변경 시퀀스에 사전정의된 규칙(580)을 적용하여 상기 변경 시퀀스내의 충돌(conflicts)을 해결하는 단계와, (e) 상기 충돌이 해결된 변경 시퀀스를 근거로 상기 공유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사본(205, 420)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5445(2004.03.24)호 한국등록특허 제10-0295725(2001.05.0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폴더 사용자들 간에 폴더 내의 파일과 연계된 업무 지시 및 처리가 용이하도록 지원하여 폴더 공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폴더 내 파일과 연관된 업무를 간편하게 생성하고 파일 목록과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폴더 사용자들 간의 업무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업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 또는 업무메모장을 폴더와 연계 제공하여 폴더를 공유하는 사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지원하여 폴더 공유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고,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나타내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가 해당 업무 처리자에 의해 피드백되면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진행상태를 갱신하여 상기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을 통해 최종적으로 해당 업무 생성자로부터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평점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업무평점을 상기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 각각에 관해 해당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에 따라 업무객체 생성시각, 리마인드 제공횟수, 업무객체 갱신시각 및 업무객체 완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가 생성되면 임의의 폴더 접근 단말에 의한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수정을 검출하여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정의 검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갱신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메모 및 다른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파일의 파일갱신시각과 함께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명을 상기 사용자 메모로서 제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서 업무 처리자, 업무 생성자 또는 업무 관련자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폴더 접근 단말에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 및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갱신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 파일에 관한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 이후로 수정된 메모 컨텐츠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적된 메모 컨텐츠를 해당 폴더 접근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해당 폴더 접근 단말이 상기 특정 파일객체를 나타낼 때 상기 추적된 메모 컨텐츠를 특정 색상이나 특정 폰트 또는 특정 크기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와 사용자별 파일 접근 시간을 기초로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에 관한 사용자별 미확인 갱신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별 파일 배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 의한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상기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해당 사용자의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를 갱신하고 상기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별 파일 배지 중 기준 배지를 초과하는 파일 배지와 연관된 사용자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수행될 때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을 통보하고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접근 링크를 제공하여 상기 접근 링크를 통한 갱신 내용의 확인을 권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를 통해 대화방 개설자에 의한 업무대화방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업무대화방으로 실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대화방 개설자에 의해 지정된 대화방 참여자들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화방 개설자에 의한 별도의 참여자 지정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업무객체에 업무 처리자, 업무 생성자 또는 업무 관련자로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참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 참여자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참여하는 대화방 참여자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근될 수 있고 텍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구별되는 독립적인 업무객체 메시지로서 상기 메시지 쓰레드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를 통해 메모 개설자에 의한 업무메모장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메모장으로 실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 개설자에 의해 지정된 메모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업무메모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더 및 해당 하위 폴더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통계 정보를 누적 연산하여 상기 폴더에 있는 업무객체 통계 카운트에 반영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은 (a)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과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실체화시키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과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실체화시키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폴더 사용자들 간에 폴더 내의 파일과 연계된 업무 지시 및 처리가 용이하도록 지원하여 폴더 공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폴더 내 파일과 연관된 업무를 간편하게 생성하고 파일 목록과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폴더 사용자들 간의 업무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업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 또는 업무메모장을 폴더와 연계 제공하여 폴더를 공유하는 사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지원하여 폴더 공유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메모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가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에 관한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프로시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시각화시키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특정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시각화시키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특정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시각화시키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시스템(100)은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 및 폴더 접근 단말(120)을 포함한다.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폴더 접근 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는 폴더 접근 단말(12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폴더 접근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고,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폴더 접근 단말(120)에 설치되면 폴더 접근 단말(120)의 승인 하에 폴더 접근 단말(120)과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폴더 접근 단말(120a)는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폴더 접근 단말(120b)는 데스크톱에 해당할 수 있고,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6에 있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사용자 메모리 영역(221), 폴더 파일 메모리 영역(222), 업무객체 메모리 영역(223), 메시지쓰레드 메모리 영역(224) 및 메모장 메모리 영역(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도 2에 있는 메모리의 자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사용자 메모리 영역(221)에는 폴더 접근 단말(120)의 사용자(User)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폴더 파일 메모리 영역(222)은 폴더(Folder)와 연관된 폴더 메모리 영역(222a) 및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File Object)를 저장하는 파일객체 메모리 영역(222b)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 파일 메모리 영역(222)은 사용자 정보를 통해 접근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폴더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통해 접근될 수 있다. 파일객체 메모리 영역(222b)은 해당 폴더에 있는 일반 파일객체와 특정 업무객체와 연관된 연관 파일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
업무객체 메모리 영역(223)은 업무객체(Work Object)와 연관되고,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를 통해 접근될 수 있다 메시지쓰레드 메모리 영역(224)은 업무대화방과 연관된 메시지쓰레드(Message Thread)와 연관되고, 각 업무대화방은 업무객체와 연관될 수 있으며, 연관된 업무객체를 통해 접근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모장 메모리 영역(225)은 업무메모장(Memopad)과 연관되고, 각 업무메모장은 업무객체와 연관될 수 있으며, 연관된 업무객체를 통해 접근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 메모리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데이터들에 관한 내용은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네트워크를 통해 폴더 접근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10)는 폴더 접근 수신부(310), 파일 목록 제공부(320),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 메시지쓰레드 관리부(340), 업무메모장 관리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 접근 수신부(310)는 폴더 접근 단말(120)의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 접근 수신부(310)는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특정 폴더에 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통해 해당 접근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폴더 접근 수신부(310)는 폴더 접근 단말(120)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폴더의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의 해당 폴더에 대한 접근 권한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해당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의 접근 권한은 폴더가 생성될 때 폴더 생성자에 의한 사용자 초대를 통해 폴더 사용자로 결정된 사용자에게 설정될 수 있다. 폴더 접근 수신부(310)는 폴더 사용자의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폴더에 파일객체나 서브-폴더를 추가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고, 여기에서, 파일객체는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문서 파일이나 멀티미디어 파일과 같은 일반적인 유저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 목록 제공부(320)는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 목록 제공부(320)는 폴더 접근 수신부(310)를 통해 폴더 접근 단말(120)의 해당 폴더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면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서브-폴더에 관한 메타데이터 및 해당 파일객체나 서브-폴더에 대한 접근 경로가 포함된 파일 목록을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 목록 제공부(320)는 파일 목록의 제공 과정에서 해당 폴더에 있고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에 관한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이 이를 시각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파일 배지에 관한 내용은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되고 업무생성자,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를 폴더 접근 단말(12)에서 나타내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특정 폴더에 관한 파일 목록을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이 해당 폴더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객체 중 하나와 연관되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에 관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 각각에 관하여 해당 연관된 파일객체 정보, 해당 업무객체 정보, 해당 연관된 대화방 정보 및 해당 연관된 메모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내용이나 접근 링크를 포함하는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생성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도 7 참조).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업무를 기초로 해당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되고 업무생성자, 업무내용, 업무처리자, 업무마감기한 및 업무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생성자는 해당 업무를 생성한 사용자이고, 업무처리자는 해당 업무생성자에 의해 해당 업무를 처리하는 대상으로 지정된 사용자에 해당하며, 업무마감기한은 해당 업무생성자에 의해 지정된 마감일자에 해당하고, 업무평점은 해당 업무가 완료되면 해당 업무생성자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평가점수의 최대상한을 의미하는 평가예약점수와 실제로 평가된 점수를 의미하는 평가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내용은 업무생성자에 의해 작성되어 업무처리자에게 지시될 업무에 관한 내용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내용은 업무생성자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 객체와 업무생성자에 의해 전송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업무에 관해 업무내용의 최초 생성시점에 업무생성자에 의해 작성된 제1 텍스트 객체와 해당 생성시점 이후에 업무생성자 또는 업무처리자에 의해 메모로서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텍스트 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텍스트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객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폴더 접근 단말(120)이 해당 업무내용에 포함된 복수의 텍스트 객체들을 각 생성시점에 따라 시계열 순으로 나열하여 시각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업무생성자는 폴더 사용자들 간에 공유되는 공유 폴더 내에서 특정 파일과 연관된 업무객체를 생성하여 해당 파일에 관한 업무를 폴더 사용자들 중 하나에게 간편하게 지시하거나 평가할 수 있고, 업무 진행 과정에서 해당 업무내용에 메모로서 업무적인 코멘트들을 텍스트 객체를 추가하여 업무 상대방에게 간편하게 이를 전달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객체가 업무처리자에 의해 피드백되면 업무객체의 업무진행상태를 갱신하여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반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객체에 포함되고 해당 업무의 처리단계별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업무진행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의 업무진행상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처리자 또는 업무생성자에 의한 피드백에 따라 업무진행상태를 변경하여 업무객체의 진행을 수행할 수 있고, 업무객체의 진행에 따라 변경된 업무진행상태를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생성자 및 업무처리자 중 일방에 의한 요청과 다른 일방에 의한 응답을 반영하여 업무처리 다이어그램 상에서 미리 결정된 업무진행상태를 갱신하여 업무객체의 진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진행상태는 업무의 처리단계별 진행상태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로 구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새로운', '하는중', '다했음' 및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새로운'은 업무객체가 새롭게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하는중'은 업무처리자가 해당 업무내용을 처리중인 상태를 나타내며, '다했음'은 업무처리자가 해당 업무객체를 완료한 상태로서 업무생성자의 피드백 또는 인터랙션을 기다리는 상태를 나타내고, '확인'은 업무생성자가 업무처리자의 완료된 업무객체를 확인한 상태를 나타낸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생성자와 업무처리자 간의 응답 관계로 구현되는 업무객체 관련 응답을 통해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진행상태를 갱신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의 업무객체에 관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생성자 또는 업무처리자와 연관된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업무객체 관련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객체 관련 응답은 업무생성자 또는 업무처리자와 연관된 폴더 접근 단말(120)에 의해 응답될 수 있는 업무객체에 관한 응답에 해당하고, 일 실시예에서, 해당 업무객체의 현재 업무진행상태에 따라 업무 확인응답, 업무 완료응답 및 업무 평가응답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을 통해 최종적으로 업무생성자로부터 업무객체의 업무평점이 수신되면 수신된 업무평점을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반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객체에 포함된 업무평점을 관리할 수 있고,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의 업무평점을 포함시킬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을 통해 특정 업무진행상태에 다다르면 최종적으로 업무생성자에 의한 해당 업무의 업무 평가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업무 평가응답에 포함되고 해당 업무생성자에 의해 지정된 평가점수를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평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 각각에 관해 해당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에 따라 해당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각 업무객체 별로 업무객체 생성시각, 리마인드 제공횟수, 업무객체 갱신시각 및 업무객체 완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고, 폴더 업무객체 목록의 제공 과정에서 해당 폴더의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의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포함시켜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해당 업무객체 각각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의 접근 링크를 포함시키고,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통해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있는 특정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 진행 히스토리의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도 9 참조).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각 업무객체에 관해 해당 업무진행상태가 완료될 때까지 특정 반복 기준에 따라 해당 업무진행상태의 완료를 요청하는 리마인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이 검출되면 해당 업무대화방을 통해 리마인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업무진행상태에 따라 업무처리자 또는 업무생성자의 로그인이 수행될 때 해당 리마인드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진행상태 및 업무마감기한을 기초로 결정된 특정 반복 기준에 따라 업무생성자, 업무처리자 및 업무내용, 업무진행상태 및 업무마감기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리마인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고, 리마인드 메시지가 제공될 때마다 카운트된 리마인드 제공횟수를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리마인드 메시지에 대한 해당 업무처리자 또는 업무 생성자의 응답을 기초로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진행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특정 폴더에 관한 파일 목록의 제공 과정에서 해당 폴더의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같이 제공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이 파일 목록과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연관시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폴더의 파일 목록을 실체화시키는 파일 목록 윈도우(720)와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실체화시키는 폴더 업무객체 윈도우(730)를 연관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둘 중 하나의 윈도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좌표 이동되면 다른 하나도 이에 상응하게 같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가 생성되면 임의의 폴더 접근 단말(120)에 의한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수정을 검출하여 해당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 1에 있는 파일 1과 연관된 업무객체 1이 생성되면 파일 1에 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파일 1에 대한 수정이 검출될 때마다 해당 수정일시와 파일수정자 및 수정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파일1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추가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해당 특정 파일에 관한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 이후로 수정된 컨텐츠를 추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있는 파일 수정 추적 컨테이너에 수정 전후의 파일을 복제하여 복제된 파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수정 컨텐츠를 추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가 생성되면 해당 시점의 파일객체의 원본 파일을 복제하여 작성 일시 및 작성자와 함께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수정 추적 컨테이너에 포함시킬 수 있고, 임의의 폴더 접근 단말(120)에 의해 해당 파일객체의 수정이 발생될 때마다 수정 후의 파일을 해당 수정 추적 컨테이너에 복제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 접근 단말(120)에 의해 해당 파일객체의 독출이 검출되면 해당 파일객체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수정 추적 컨테이너에서 해당 사용자의 마지막 접근일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이전 일자에 복제된 수정 전 파일과 가장 가까운 이후 일자에 복제된 수정 후 파일을 검출하여 이들 간의 컨텐츠 차이를 비교 연산하여 수정된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파일객체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갱신 과정에서 현재로부터 과거 특정 구간(예를 들어, 최근 3개월) 동안, 특정 개수(예를 들어, 100회) 만큼, 또는 특정 메모리 용량까지의 수정 일자와 복제 파일을 누적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수정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갱신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메모 및 다른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해당 특정 파일의 파일갱신시각과 함께 해당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수정이 검출되면 해당 폴더 접근 단말(120)에 해당 수정에 대한 피드백 요청을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에 따른 피드백 요청 유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수정에 대한 사용자 메모의 기록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에 따른 사용자 메모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명을 사용자 메모로서 제안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수정 추적 컨테이너에 복제된 수정 전후의 파일들을 기초로 수정된 콘텐츠 내용, 수정 종류 및 수정 분량을 검출하여 권장 사용자 메모를 생성해 해당 폴더 접근 단말(120)에 해당 권장 사용자 메모를 반영한 파일 갱신 통보를 제안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서 업무처리자, 업무생성자 또는 업무관련자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폴더 접근 단말(120)에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 및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갱신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객체 관련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의 업무처리자, 업무생성자 및 업무관련자 중 해당 요청자를 제외한 사용자들의 로그인이 수행될 때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의 갱신을 통보할 수 있고, 폴더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폴더에 참여되는 폴더 사용자들의 로그인이 수행될 때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의 갱신을 통보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특정 폴더 사용자를 피드백 요청 대상으로 지정한 피드백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특정 폴더 사용자에게 사용자 메모와 해당 특정 폴더 사용자에 의해 응답될 수 있는 사용자 응답 요청을 더 포함하는 파일 갱신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 응답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해당 피드백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 업무객체 목록의 제공 과정에서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 중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의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포함시켜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해당 업무객체 각각과 연관된 파일객체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접근 링크를 포함시키고,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통해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연관된 파일객체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특정 파일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통해 추적된 컨텐츠를 해당 폴더 접근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해당 폴더 접근 단말이 해당 특정 파일객체를 나타낼 때 추적된 컨텐츠를 특정 색상이나 특정 폰트 또는 특정 크기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파일객체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미확인 갱신횟수를 나타내는 파일 배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있는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가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에 관한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와 사용자별 파일 접근 시간을 기초로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에 관한 사용자별 미확인 갱신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별 파일 배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상기 폴더 접근 단말(120)에 의한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해당 사용자의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를 갱신하고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파일객체에 관해 사용자별 시간 변위 매개 변수로서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관리하여 사용자별 파일 배지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임 스탬프는 생성일자(generation time), 수정일자(last modified time) 및 접근일자(last access tim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도 5(a)에서와 같이, 해당 파일객체에 관한 사용자별 접속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별 타임 스탬프를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갱신할 수 있고, 가장 최근 갱신된 사용자별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도 5(b)에서와 같이, 해당 파일객체에 관한 사용자별 파일 배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사용자 A와 연관된 폴더 접근 단말(120)의 파일객체1에 관한 접근 권한이 확인되면 파일객체1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로부터 생성일자 2017.10.21 12:08:51와 2차례의 수정일자 2017.10.22 09:43:20 및 2017.10.25 11:08:22를 검출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 A의 가장 최근 접근일자 2017.10.22 09:43:20을 검출하여 해당 접근일시 이후로 발생된 1번의 수정횟수를 카운트하여 해당 사용자 A의 파일배지를 1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A가 가장 마지막으로 해당 파일객체를 오픈한 이후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해당 파일객체에 총 1번의 수정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 각각에 관한 해당 사용자의 파일배지를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이 해당 폴더에 관한 파일 목록과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나타내는 과정에서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 중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 각각에 관한 파일배지를 같이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해당 파일객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해당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해당 사용자의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를 갱신하고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갱신할 수 있다.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파일객체에 관한 사용자별 파일 배지 중 기준 배지를 초과하는 파일 배지와 연관된 사용자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수행될 때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을 통보하고 해당 특정 파일객체의 접근 링크를 제공하여 해당 접근 링크를 통한 갱신 내용의 확인을 권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서 기 설정된 기준 배지 값(예를 들어, 10)을 초과하는 파일 배지가 검출되면 해당 검출된 사용자의 마지막 접근일자 이후로 해당 특정 파일을 수정한 다른 사용자들의 이름, 해당 파일 배지 및 해당 파일객체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경로와 함께 검출된 사용자의 폴더 접근 단말(120)에 해당 특정 파일의 열람을 권장하는 열람 권장 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기초로 상기 기준 배지 값을 결정할 수 있고, 하기에서, s는 상기 기준 배지 값을 의미하며, h는 1 이상 5 이하의 자연수로서 해당 폴더의 계층지수를 의미하고 높을수록 상위 폴더에 해당함을 나타내어 해당 폴더 구조를 바탕으로 사전에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폴더 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s0는 자연수로서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초기값을 의미하고, un은 해당 연관된 파일객체에 접근 가능한 사용자의 수를 의미하고, round()은 내부의 값에 대해 소수점 이하 반올림 연산을 취하여 자연수를 출력하는 라운드 함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메시지쓰레드 관리부(340)는 업무객체를 통해 대화방 개설자에 의한 업무대화방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폴더 접근 단말(120)에서 업무대화방으로 실체화될 수 있으며 대화방 개설자에 의해 지정된 대화방 참여자들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지쓰레드 관리부(340)는 폴더 접근 단말(120)에 의한 업무대화방 생성 요청에 따라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대화방으로 구현되는 메시지쓰레드를 생성하고, 해당 업무객체를 해당 업무대화방에 참여하는 대화방 참여자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근될 수 있고 텍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구별되는 독립적인 업무객체 메시지로서 해당 메시지 쓰레드에 추가할 수 있다(도 10 참조).
메시지쓰레드 관리부(340)는 대화방 개설자에 의한 별도의 참여자 지정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에 업무처리자, 업무생성자 또는 업무관련자로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해당 업무대화방에 참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 참여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쓰레드 관리부(340)는 대화방 개설자 또는 해당 업무대화방의 대화방 참여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초대되면 해당 초대된 사용자를 해당 업무대화방과 연관된 업무객체의 업무관련자로 설정할 수 있다.
업무메모장 관리부(350)는 업무객체를 통해 메모 개설자에 의한 업무메모장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폴더 접근 단말(120)에서 메모장으로 실체화될 수 있으며 해당 메모 개설자에 의해 지정된 메모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업무메모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메모장 관리부(350)는 해당 폴더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폴더 사용자에 의해 생성, 수정 또는 삭제될 수 있고 폴더 메모를 포함하여 해당 폴더 메모의 메모 컨텐츠의 수정에 관해 추적 가능한 폴더 메모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메모장 관리부(350)는 폴더 접근 단말(120)에 업무객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메모장을 같이 제공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이 해당 업무객체 및 해당 연관된 업무메모장을 같이 시각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메모장 관리부(350)는 폴더 접근 단말(120)로부터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통해 특정 업무객체에 관한 접근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업무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 및 해당 업무객체와 연관된 모든 업무메모장에 있는 업무메모에 관한 상세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이 해당 업무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를 시각화시키는 과정에서 해당 업무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의 하단에 해당 연관된 업무메모에 관한 상세 정보를 같이 시각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폴더 및 해당 하위 폴더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통계 정보를 누적 연산하여 해당 폴더에 있는 업무객체 통계 카운트에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60)는 해당 폴더 내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통계 정보를 검출하여 누적 통계 카운트에 포함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업무객체의 생성개수, 처리개수, 해당 연관된 업무생성자 및 업무처리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통계 연산을 수행하여 해당 폴더의 누적 통계 카운트에 반영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해당 폴더에 접근하는 폴더 수신 단말(120)의 사용자와 관련하여 해당 폴더 또는 해당 하위 서브-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객체 중 업무객체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의 파일객체에 관한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의 값을 합산하여 해당 폴더 전체에 관한 사용자의 미확인 파일 갱신횟수를 나타내는 파일 배지 누적 카운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특정 시간 주기로 각 폴더 및 해당 하위 구조에 있는 모든 서브-폴더 내의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 중에서 리마인드 조건을 만족하는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폴더에 있는 투데이 업무 리스트에 반영할 수 있고, 파일 목록 제공 과정에서 해당 투데이 업무 리스트를 폴더 접근 단말(120)에 제공하여 폴더 접근 단말(120)이 파일 목록과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나타내는 과정에서 투데이 업무 리스트를 함께 시각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폴더 접근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미확인 파일객체 갱신횟수 또는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통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폴더 또는 해당 폴더의 파일객체에 관한 필터링, 검색 또는 정렬을 수행 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프로세서(2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폴더 접근 수신부(310), 파일 목록 제공부(320),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 메시지쓰레드 관리부(340) 및 업무메모장 관리부(35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있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프로시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폴더 접근 수신부(310)는 폴더 접근 단말(120)의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고(단계 S610), 파일 목록 제공부(320)는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며(단계 S620),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330)는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를 폴더 접근 단말(120)에서 나타내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한다(단계 S630).
도 7은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제공 받은 폴더 정보, 파일 목록 및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기초로 해당 폴더 접근 단말(12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의 공유폴더 인터페이스(700)를 통해 해당 폴더, 파일객체 및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공유폴더 인터페이스(700)를 통해 폴더 접근 요청, 파일객체 접근 요청 및 연관된 업무객체 접근 요청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공유폴더 에이전트에 접속하여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에 해당 사용자와 연관된 폴더의 접근을 요청할 수 있고,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접근 가능한 폴더 목록을 수신하여 폴더 윈도우(710)를 통해 시각화시킬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폴더 별로 연산된 파일 배지 누적 카운트를 수신하여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들 중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에 관한 해당 사용자의 총 미확인 갱신횟수를 파일 배지 누적 카운트 심볼(712)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폴더 별로 누적 연산된 해당 연관된 메시지쓰레드의 갱신횟수를 업무대화방 신규 메시지 누적 카운트 심볼(714)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폴더 목록에 있는 특정 폴더에 관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고, 폴더 접근 단말(120)의 접근 권한을 통해 해당 접근이 승인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해당 폴더의 파일 목록과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수신하여 이들 각각을 실체화시키기 위해 파일 윈도우(720) 및 폴더 업무객체 윈도우(730)를 연관 제공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해당 폴더에 관한 파일 목록이 수신되면 파일 윈도우(720)를 통해 해당 파일 목록에 있는 파일 및 서브-폴더에 관한 주요 정보를 시각화시킬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파일 목록 윈도우(720)의 연관 파일 배지 심볼(722)을 통해 해당 폴더에 있고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 각각에 관한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제1 업무대화방 신규 메시지 카운트 심볼(724)를 통해 해당 파일객체 각각과 연관된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에서 생성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신규 메시지 개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누적 통계 카운트 표시란(726)을 통해 해당 폴더의 누적 통계 카운트를 표시하여 해당 폴더에 있는 전체 파일객체의 개수(파일수: 3),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의 개수(연관파일수: 2) 및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 개수(연관업무수: 3)를 시각화시킬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수신하여 폴더 업무객체 윈도우(730)를 통해 시각화시킬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업무객체 윈도우(730)에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된 모든 업무객체에 관한 주요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도 7에서와 같이, 각 업무객체와 연관된 파일객체명,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제목, 업무생성자, 업무처리자, 업무마감기한, 업무진행상태, 연관된 업무대화방의 유무(있다면 접근링크) 및 연관된 업무메모장의 유무(있다면 접근링크)를 포함하는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수신하여 이를 시각화시킬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제2 업무대화방 신규 메시지 카운트 심볼(732)를 통해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있는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에서 생성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신규 메시지 개수를 표시할 수 있고,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있는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메모장의 있는 경우 업무메모장 링크 심볼(734)를 통해 해당 업무메모장의 유무 및 이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누적 통계 카운트 표시란(736)을 통해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있는 업무객체에 관한 누적 통계 카운트를 표시하여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생성개수, 업무생성자, 업무처리자, 연관된 업무대화방 및 연관된 업무메모장에 관한 통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해당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있는 특정 업무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에 해당 선택된 업무객체에 관한 접근을 요청할 수 있고,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선택된 업무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서, 폴더 접근 단말(120)은 선택된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이나 업무메모장의 접근 링크를 더 수신하거나 연관된 업무메모장의 업무메모를 더 수신하여 해당 선택된 업무객체에 관한 상세 정보를 시각화시키는 과정에서 같이 시각화시킬 수 있다.도 8은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시각화시키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폴더 접근 단말(120)은 파일 목록 윈도우(720)를 통해 제공된 파일 목록에서 특정 파일객체가 선택되면 해당 파일객체에 관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의 제공을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에 요청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파일 목록 제어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파일 목록에서 있는 특정 파일객체에 관한 오픈 요청(선택된 파일 열기),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의 신규 생성 요청(선택된 파일과 연관된 업무객체의 신규생성),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의 접근 요청(선택된 파일과 연관된 업무객체의 업무대화방 바로가기) 및 해당 파일객체에 관한 파일 수정 히스토리의 열람 요청(선택된 파일의 수정 히스토리 보기)에 관한 사용자 요청을 신할 수 있고,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와 연동하여 해당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폴더 접근 단말(120)은 파일 목록 중 특정 파일객체가 선택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와 연동하여 해당 선택된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만을 검출하여 해당 검출된 업무객체에 관해 갱신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시각화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특정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시각화시키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업무객체 윈도우(730)를 통해 제공된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있는 특정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의 열람 요청이 수신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해당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수신할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업무객체 리스트 표시란(910)을 통해 해당 선택된 파일객체와 연관된 모든 업무객체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 표시란(920)을 통해 수신된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시각화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폴더 접근 단말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특정 업무객체와 연관된 업무대화방을 시각화시키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폴더 접근 단말(120)은 폴더 업무객체 윈도우(730)를 통해 제공된 폴더 업무객체 목록 중 특정 업무객체에 관한 업무대화방의 접근 요청에 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로부터 해당 메시지쓰레드를 수신하여 폴더 업무대화방 윈도우(1010)를 통해 시각화시킬 수 있따.
폴더 접근 단말(120)은 업무대화방 주요정보 표시란(1011)을 통해 해당 폴더, 연관 파일객체명, 연관 업무객체명 및 해당 업무대화방의 참여자에 관해 표시할 수 있고, 메시지 표시란(1012)을 통해 해당 메시지쓰레드에 추가된 메시지들을 시각화시킬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해당 업무대화방의 메시지쓰레드에 업무객체가 업무객체 메시지로서 추가된 경우에는 식별번호 1013과 같이, 해당 업무객체를 일반적인 텍스트 메시지나 미디어 메시지와 독립적인 메시지 객체로서 처리할 수 있으며,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내용, 업무생성자, 업무처리자 및 업무진행상태를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 접근 단말(120)은 업무진행상태와 관련하여 새로운(●○○○), 하는중(○●○○), 다했음(○○●○) 또는 확인(○○○●)과 같은 현재 업무진행상태에 대응되는 심볼을 통해 현재 업무진행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폴더 접근 단말(120)은 업무객체 생성 버튼(1014)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업무생성자, 업무처리자, 업무내용 및 업무평점을 포함하는 업무를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110)는 해당 업무를 기초로 기 연관된 파일객체와 연관된 신규의 업무객체를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해당 업무대화방과 연관된 메시지쓰레드에 이를 업무객체 메시지로서 추가하여 식별번호 1014와 유사하게, 해당 새로운 업무객체를 해당 폴더 메모장 내에 시각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시스템
110: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20: 폴더 접근 단말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사용자 입출력부 24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폴더 접근 수신부 320: 파일 목록 제공부
330: 폴더 업무객체 관리부 340: 메시지쓰레드 관리부
350: 업무메모장 관리부 360: 제어부

Claims (20)

  1.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고,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객체와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나타내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가 해당 업무 처리자에 의해 피드백되면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진행상태를 갱신하여 상기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을 통해 최종적으로 해당 업무 생성자로부터 해당 업무객체의 업무평점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업무평점을 상기 폴더 업무객체 목록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무객체 각각에 관해 해당 업무진행상태의 진행에 따라 업무객체 생성시각, 리마인드 제공횟수, 업무객체 갱신시각 및 업무객체 완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업무객체 진행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가 생성되면 임의의 폴더 접근 단말에 의한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수정을 검출하여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정의 검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갱신의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메모 및 다른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 파일의 파일갱신시각과 함께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메모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를 검출하여 해당 업무객체명을 상기 사용자 메모로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해당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서 업무 처리자, 업무 생성자 또는 업무 관련자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폴더 접근 단말에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 및 해당 연관된 업무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갱신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상기 특정 파일에 관한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 이후로 수정된 메모 컨텐츠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적된 메모 컨텐츠를 해당 폴더 접근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해당 폴더 접근 단말이 상기 특정 파일객체를 나타낼 때 상기 추적된 메모 컨텐츠를 특정 색상이나 특정 폰트 또는 특정 크기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파일객체에 대한 사용자 독립적인 파일 수정 히스토리와 사용자별 파일 접근 시간을 기초로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에 관한 사용자별 미확인 갱신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별 파일 배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 의한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접근을 검출하여 상기 파일 수정 히스토리에 해당 사용자의 가장 최근의 접근 일시를 갱신하고 상기 해당 사용자의 파일 배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별 파일 배지 중 기준 배지를 초과하는 파일 배지와 연관된 사용자를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수행될 때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갱신을 통보하고 상기 특정 파일객체의 접근 링크를 제공하여 상기 접근 링크를 통한 갱신 내용의 확인을 권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를 통해 대화방 개설자에 의한 업무대화방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업무대화방으로 실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대화방 개설자에 의해 지정된 대화방 참여자들 간의 메시지 쓰레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화방 개설자에 의한 별도의 참여자 지정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업무객체에 업무 처리자, 업무 생성자 또는 업무 관련자로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참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 참여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를 상기 업무대화방에 참여하는 대화방 참여자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근될 수 있고 텍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구별되는 독립적인 업무객체 메시지로서 상기 메시지 쓰레드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객체를 통해 메모 개설자에 의한 업무메모장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업무객체와 연관되고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메모장으로 실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 개설자에 의해 지정된 메모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업무메모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폴더 및 해당 하위 폴더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객체와 연관된 업무객체에 관한 통계 정보를 누적 연산하여 상기 폴더에 있는 업무객체 통계 카운트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19.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과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실체화시키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20. 폴더 접근 단말로부터 폴더에 관한 접근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 및
    상기 폴더에 있는 특정 파일과 연관되고 업무 생성자, 업무 내용 및 업무 처리자를 포함하는 업무객체를 상기 폴더 접근 단말에서 실체화시키기 위한 폴더 업무객체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80005033A 2017-10-31 2018-01-15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eased KR20190086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33A KR20190086913A (ko) 2018-01-15 2018-01-15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2018204799A JP6604672B2 (ja) 2017-10-31 2018-10-31 フォルダ基盤のファイル管理装置
US16/176,166 US20190129974A1 (en) 2017-10-31 2018-10-31 Folder-based fil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16/209,390 US11392548B2 (en) 2017-12-05 2018-12-04 Apparatus for managing folder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8228099A JP6718496B2 (ja) 2017-12-05 2018-12-05 フォルダ管理装置及び方法
KR1020190022571A KR102323017B1 (ko) 2018-01-15 2019-02-26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17/841,229 US20220309039A1 (en) 2017-12-05 2022-06-15 Apparatus for managing folder and method for the same
US17/841,170 US11741049B2 (en) 2017-12-05 2022-06-15 Apparatus for managing folder and method for the same
US18/220,000 US20230350846A1 (en) 2017-12-05 2023-07-10 Apparatus for managing folder and method for the same
US18/894,993 US20250013608A1 (en) 2017-12-05 2024-09-24 Apparatus for managing folder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33A KR20190086913A (ko) 2018-01-15 2018-01-15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71A Division KR102323017B1 (ko) 2018-01-15 2019-02-26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913A true KR20190086913A (ko) 2019-07-24

Family

ID=6748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033A Ceased KR20190086913A (ko) 2017-10-31 2018-01-15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9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344A (ko) * 2019-10-18 2021-04-28 최재호 파일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46347A (ko) * 2019-10-18 2021-04-28 최재호 파일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725B1 (ko) 1996-03-08 2001-08-07 포만 제프리 엘 공유데이터파일의사본관리방법,데이터관리시스템및컴퓨터시스템
KR20040025445A (ko)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네오위즈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725B1 (ko) 1996-03-08 2001-08-07 포만 제프리 엘 공유데이터파일의사본관리방법,데이터관리시스템및컴퓨터시스템
KR20040025445A (ko)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네오위즈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344A (ko) * 2019-10-18 2021-04-28 최재호 파일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46347A (ko) * 2019-10-18 2021-04-28 최재호 파일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829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lder chat room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ame
US10585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centric application
JP6655134B2 (ja) オンライン実体可能なメッセージレポジトリ処理装置及び方法
JP6604672B2 (ja) フォルダ基盤のファイル管理装置
JP6718496B2 (ja) フォルダ管理装置及び方法
KR20190086913A (ko)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40152279A (ko) 회의록 객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43874B1 (ko) 폴더 기반의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20102180A (ja) ファイル連係型業務管理装置
KR102612161B1 (ko) 파일 연계형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87337A (ko)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객체 관리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20230208662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lder chat room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ame
KR101987044B1 (ko) 메시지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024527B1 (ko) 공유폴더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55194B1 (ko) 폴더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54724B1 (ko) 폴더 연동형 업무 평가 관리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연동형 업무 평가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00027336A (ko) 파일 연계형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57259B1 (ko)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6728426B1 (ja) フォルダチャットルーム提供装置
KR101987045B1 (ko) 폴더 대화방 제공 장치 및 수신 장치
KR20190084905A (ko)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84543A (ko) 폴더 메모장 제공 장치, 이에 의해 수행되는 폴더 메모장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90066230A (ko) 스마트 로그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54725B1 (ko) 온라인 실체 가능한 메시지 레포지토리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18392A (ko) 파일 연계형 업무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0678

Request date: 2019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6

Effective date: 20200224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0226

Decision date: 20200224

Appeal identifier: 201910100067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S0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S06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2I

Patent event date: 2020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4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S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1I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0101003110

Request date: 202012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1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23

Effective date: 202106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6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1223

Decision date: 20210630

Appeal identifier: 2020101003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