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090A - Filters for drainage - Google Patents
Filters for drain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6090A KR20190086090A KR1020180004171A KR20180004171A KR20190086090A KR 20190086090 A KR20190086090 A KR 20190086090A KR 1020180004171 A KR1020180004171 A KR 1020180004171A KR 20180004171 A KR20180004171 A KR 20180004171A KR 20190086090 A KR20190086090 A KR 201900860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rain
- food waste
- drainage
- upper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되는 폐수 중에 함유된 음식물찌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배수장치들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특히,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creening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such as food waste contained in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sink by being connected to a drainage port and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a drainage pipe so as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drainage apparatuses.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depth of the drain pipe constituting the drain hol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 hole manure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move the food waste residue subjected to the manure treatment and is convenient to use.
일반적으로, 싱크(Sink)대는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 설치되어 각종 그릇 등의 주방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주방설비의 하나로서, 세척수를 공급받아 주방용기를 세척한 후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배수구를 가진다.Generally, a sink is a kitchen equipment installed in a kitchen such as a home or a restaurant for washing kitchen utensils such as various dishes. The kitchen sink is supplied with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us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상기에서 배수구는, 주방용기를 세척하는 세척조의 바닥면에 접속되면서 구비되어 상기 세척조에 저장된 세척액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수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에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쓰레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거름망이 탈착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The drain port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ank for washing the kitchen container so that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shing tank can be easily drained to the outside. The drain port prevents waste such as food waste from flowing into the drain pipe The feeder is removably mounted
이와 같이 상기 싱크대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일반적인 구조는 싱크대 바닥면의 중앙에 하측 방향으로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내측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줄 수 있는 거름망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는 사용된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호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는 거름망 커버가 설치된다.The general structure of the drain hole provided in the sink includes a drain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filter net to filter food wast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drain hole, A drain hose is connected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nd a filtering net cov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ing net.
따라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와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면 상기 거름망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는 걸러지게되고, 세척수만 배수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ashing water and the food waste are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the food waste is filtered by the drain hole and only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se.
상기에서 거름망은 음식물 등의 오물을 배수구를 통해 그대로 배출시키지 않고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주로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조된다.In the above, the filtering net serves to filter out the dirt such as food and the like through the drain port, and is mainly made of plastic or stainless steel.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름망은 항상 습하고 음식물과 같은 오물이 채워지게 되므로 인해 세균이 번식할뿐만 아니라 세균에 의한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creening filter as described above is always wet and filled with dirt such as food, so that not only bacteria grow but also bad odor caused by bacteria.
이에 따라, 거름망 내에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름망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때마다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하여야만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germs in the sieve, the food waste must be collected and disposed of every time the food waste is filled in the sieve.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31307호(명칭: 싱크대 배수구 거름망 커버/2006.12.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거름망의 입구에 설치되는 거름망 커버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물빠짐 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된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6-0031307 (name: Sink drain hole drainage cover / 2006.08.08), in a drainage cover installed at an inlet of a drainage line installed in a drainage port of a sink, A disk-shaped cover main body; And a side surface inclined downwardly outward from the cover body, wherein the side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 water shedding hole penetrating the water shedding hole.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51274호(명칭: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2012.05.1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부 둘레와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어 좌우로 180도 회전이 가능한 손잡이로 구성되는 싱크대용 배수구 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이 도포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단 및 하단이 원뿔 형상으로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석영관체가 관통되어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석영관체가 장착된 본체 바닥면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면을 통과한 석영관체에 끼워져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51274 (entitled Sink Drainage Sewer Wall / Dec. 25, May 20, 2010),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s a metal material, and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handle which is fixed to a sid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s rotatable 180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wherein the main body is coated with Titanium Dioxide (TiO2) on the main body, And a quartz tube body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in a conical shape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is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quartz tube body. The bottom surface of the quartz tube body is fitted with a quartz tube body pass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There is disclosed a squeezing net having a fixed ring-shaped fixing member.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7563호(명칭: 싱크대 배수구용 일회용 거름망/2014.10.1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용기형상을 가지며, 바닥 및 측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거름망본체; 및 상기 거름망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름망본체와 걸림턱은 표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펄프보드로 성형되거나 또는 생분해성 성형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4-0007563 (name: disposable sieve for sink drainage / Oct. 14, 2010), it has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with an open upper part, A main body having a drainage port formed therein; And a catching jaw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screening main body, wherein the screening main body and the catching jaw are formed of a pulp board having a waterproofing layer formed on its surface or formed of a biodegradable molding composition have.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33330호(명칭: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2016.03.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관형부의 내경을 상기 다공 바닥판과 상기 플랜지의 내경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의 상단 테두리과 하단 테두리가 확경되어서 상기 다공 바닥판의 요부와 상기 플랜지의 요부에 삽입되는 거름망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33330 (name: Squeeze Screen for Sink Drain) / Feb. 22, 2010,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metal material is set to the inside diameter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ubular portion are enlarg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porous bottom plate and the recess portion of the flang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구 거름장치들은, 싱크대에 결속되는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따라 각가가 적합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한 후, 적용하여야만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drainage screening apparatuse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ineffective that they must be applied after having a suitable height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drainage pipe constituting the drainage port connected to the sink.
아울러, 내부에 거름된 음식물찌꺼기가 바닥면에 적체되어 제거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 상단의 개구에서 바닥면 사이의 길이에 따른 이격거리에 의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ood waste that has been dumped in the inside is accumulated on the floor surface and must be removed, the removal is not easily perform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at the upper end and the bottom surface.
특히, 접착성이 높은 음식물찌꺼기의 특성에 의해 바닥면에 접착된 음식물찌꺼기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않아, 장시간 사용시 악취가 발생되는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ly adhesive food waste, the food waste adhering to the floor surface is not properly remov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dor is generated during prolonged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특히,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drainage system which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a depth of a water pipe constituting a drain ho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 hole screen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move food was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에 수용되면서 결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찌거기를 여과하도록 된 배수구 거름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ain hole screening apparatus for filtering food wastes mixed in washing water drained by being coupled to a drain pipe constituting a drain hole of a sink, the drain hole screening apparatus comprising: A flange extend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is formed on an outer side of an upper end opened at an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to filter food waste, An upper body in the form of a pipe; A 'pipe' type connection pipe which is housed in the upper body and is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filter holes arranged to surround the side walls to filter food waste; A cup-shaped lower cup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filter holes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 filter food waste, And the lik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는, 상부몸체와 연결관 및 하부컵들이 각각 상하로 안내되면서 연결되어 상부몸체의 상단과 하부컵의 하단과의 사이간격을 배수관의 깊에 맞춤되게 형성할 수 있어,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sewag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the connecting pipe and the lower cups are connected while being guided up and down, respectively,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up is made to be deep So that it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depth of the drain pipe constituting the drain hole, so that the use efficiency is increased.
아울러,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할 때, 상부몸체와 연결관 및 하부컵을 접어서 하부컵의 바닥면과 상부몸체의 개구 사이의 간격을 극소화하여 제거할 수 있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when removing the garbage-treated food waste, the upper body, the connecting tube and the lower cup are folded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p and the opening of the upper body, It has a conveni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몸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hol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frontal view showing a drain hole se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hole se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a drainage se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5 and Fig. 6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drainage sew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7 and Fig.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upper body constituting the drain hole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ewage d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는, 싱크대(100)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배수관(10)에 수용되면서 결합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음식물찌거기를 여과하도록 되는 것에 적용된다.1 to 6 are views showing a drainage sew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싱크대(100)에서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와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면 음식물찌꺼기는 걸러지게되고, 세척수만 상기 배수관(10)의 하부에 결속된 배수호스(11)를 통해 배출되어, 하수구로 음식물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washing water and the food waste are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in the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는,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10)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21)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2)와; 상기 상부몸체(2)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3)과; 상기 연결관(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H)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rain
즉,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 및 상기 하부컵(4)이 각각 상하로 안내되면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과 상기 하부컵(4)의 하단과의 사이간격을 상기 배수관(10)의 깊에 맞춤되게 형성할 수 있어, 배수구를 구성하는 상기 배수관(10)의 깊이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된다.That is, the
아울러, 거름처리된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할 때,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 및 상기 하부컵(4)을 접어서 상기 하부컵(4)의 바닥면과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 사이의 간격을 극소화하여 제거할 수 있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다.The
상기에서 연결관(3)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수개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에서, 상기 상부몸체(2)의 하단과 상기 연결관(3)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플랜지(5)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3)의 상단과 상기 하부컵(4)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플랜지(5)의 상면에 거치되면서 지지되어 안착되는 안착플랜지(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하단내측에 상기 연결관(3)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용되고, 상기 연결관(3)의 하단내측에 상기 하부컵(4)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수용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ain
즉, 상기 지지플랜지(5)들의 상면에 상기 안착플랜지(6)들의 저면이 밀착되면서 지지되어 상기 상부몸체(2)의 하부로 상기 연결관(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연결관(3)의 하부로 상기 하부컵(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과 상기 하부컵(4)이 안정적으로 지지 수용된다.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에서 지지플랜지(5)와 상기 안착플랜지(6)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형성되어, 상기 안착플랜지(6)의 상면에 세척수 및 음식물찌꺼기가 적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ing
한편, 상기 지지플랜지(5)와 상기 안착플랜지(6)들의 경사각은, 30~60°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0)의 배수공에 관접하여 고정되어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관(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몸체(2)의 플랜지(21)가 거치되면서 고정된다.4, the drain
상기 배수관(10)의 하부에는, 미도시된 하수관로와 연결되는 배수호스(11)가 연결되어 세척수를 하수관로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A drain hose (11) connected to a drain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ain pipe (10) to drain the wash water to the drain pip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가 상기 배수관(10)에 거치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주방용기의 세척이 완료된 후, 세척수가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중에 세척수는 상기 여과공(H))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수되고, 세척수에 함유된 음식물찌꺼기 등과 같은 고형물은, 여과되어 상기 하부컵(4)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적체되면서 거름 처리된다.In this state, the washing 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10) after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kitchen container is completed in a state where the drain sewage scree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ored in the drain pipe And the solids such as food wast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are filtered and kneaded while being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의 내부에 여과되어 저장된 음식물찌거기를 분리하여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10)에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를 분리하고, 상기 상부몸체(2)와 상기 연결관(3) 및 상기 하부컵(4)을 접어서 상기 하부컵(4)의 바닥면과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 사이의 간격을 극소화한 후, 상기 하부컵(4)에 수용된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제거하면 된다.In order to separate and remove the food wastes filtered and stored in the drainage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의 내부에 적체된 음식물찌꺼기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몸체(2)의 플랜지(21)를 거치하면서 고정하면된다.When the removal of food waste accumulated in the drainage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를 구성하는 상부몸체(2)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 거름장치(1)에서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내측면에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연장돌부(22)가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즉, 상기 연장돌부(22)를을 통해 상기 연결관(3)들과 상기 하부컵(4)이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에서 연장돌부(22)는, 상기 상부몸체(2)의 상단 내측면에서 절곡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상부몸체(2)의 내측으로 상기 연결관(3)들과 상기 하부컵(4)이 각각 수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돌부(22)를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연결관(3)들과 상기 하부컵(4)이 상기 상부몸체(2)의 개구를 통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거름장치
10 : 배수관
11 : 배수호스
100 : 싱크대
2 : 상부몸체
21 : 플랜지
22 : 연장돌부
3 : 연결관
4 : 하부컵
5 : 지지플랜지
6 : 안착플랜지
H : 여과공1: Fertilizer 10: Water pipe
11: drain hose 100: sink
2: upper body 21: flange
22: extension protrusion 3: connector
4: Lower cup 5: Support flange
6: Mounting flange H: Filter ball
Claims (1)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외측면에 상기 배수관의 상단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되며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둘레에는,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관(管;pipe)' 형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구비되며 측면둘레와 바닥면에 음식물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된 다수의 여과공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된 '컵(cup)' 형상의 하부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거름장치.A drain hole screening apparatus for filtering food wastes mixed with washing water which is contained in a drain pipe constituting a drain hole of a sink and drained to drain;
A flange extend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is formed on an outer side of an upper end opened at an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to filter food waste, An upper body in the form of a pipe;
A 'pipe' type connection pipe which is housed in the upper body and is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filter holes arranged to surround the side walls to filter food waste;
A cup-shaped lower cup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filter holes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and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filter food waste; And a drain pipe (20)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4171A KR102061912B1 (en) | 2018-01-12 | 2018-01-12 | Filters for drain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4171A KR102061912B1 (en) | 2018-01-12 | 2018-01-12 | Filters for drain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6090A true KR20190086090A (en) | 2019-07-22 |
KR102061912B1 KR102061912B1 (en) | 2020-01-02 |
Family
ID=6746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4171A Active KR102061912B1 (en) | 2018-01-12 | 2018-01-12 | Filters for drain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191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00383A (en) * | 2019-10-11 | 2020-01-17 | 中物合(宁波)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 Filter barrel structure for rainwater well filter device |
KR102251011B1 (en) * | 2020-01-06 | 2021-05-12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Filter for drainage ho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8273B1 (en) | 2021-07-14 | 2022-10-21 | 김영자 | Filter for sink drainage ho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1274A (en) | 2010-11-12 | 2012-05-22 | 채상우 | Areas in the touch input device shaped image sensing area chiyong |
KR20160033330A (en) | 2014-09-17 | 2016-03-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87261B1 (en) | 1998-09-15 | 2002-05-14 | Gregory Mojena | Serviceable filter with bypass |
US6537448B2 (en) | 2000-12-08 | 2003-03-25 | Lee Houk | Floor sink filter basket |
KR200246248Y1 (en) | 2001-03-15 | 2001-10-08 | 노성훈 | A purifier of ditch using copper material |
KR200319726Y1 (en) | 2003-04-08 | 2003-07-16 | 고승욱 | A cover of an umbrella |
KR100886487B1 (en) | 2008-11-25 | 2009-03-10 | 오정준 | Garbage collection device of construction kitchen utensil |
-
2018
- 2018-01-12 KR KR1020180004171A patent/KR1020619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1274A (en) | 2010-11-12 | 2012-05-22 | 채상우 | Areas in the touch input device shaped image sensing area chiyong |
KR20160033330A (en) | 2014-09-17 | 2016-03-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00383A (en) * | 2019-10-11 | 2020-01-17 | 中物合(宁波)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 Filter barrel structure for rainwater well filter device |
KR102251011B1 (en) * | 2020-01-06 | 2021-05-12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Filter for drainage h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1912B1 (en) | 2020-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86090A (en) | Filters for drainage | |
KR101364127B1 (en) | The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 |
US6315896B1 (en) | Disposable waste collector | |
KR200476742Y1 (en) | Sink drains cover | |
KR101755113B1 (en) | Grease Trap | |
KR20200103449A (en) | Drain sieve having a structure for clogging prevention | |
KR200483495Y1 (en) | Filter for waterway | |
JP2010275717A (en) | Drain grating | |
KR20090033570A (en) | Sink with drain trap | |
KR200489534Y1 (en) | A drain trench | |
JP5573000B2 (en) | Draining eye plate | |
KR200356385Y1 (en) | Drain | |
CN2519672Y (en) | Circular water flow filter cleaner | |
KR102041447B1 (en) | Grease trap | |
US9752309B2 (en) | Combination rinsing tub for toilet and trash receptacle | |
CN222218793U (en) | Kitchen sewage filter equipment | |
RU144367U1 (en) | KIT FOR CLEANING THE TOILET, CONSISTING OF A TANK AND BRUSH | |
CN218901023U (en) | Kitchen sink filter | |
KR200262240Y1 (en) | Disposable waste net for sink | |
JPH0687474U (en) | Drainage equipment for sinks | |
JPH11269976A (en) | Foreign matter removal pit | |
KR102399844B1 (en) |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installed on sink | |
CN208415417U (en) | The sink of double-layer filter structure | |
JP3055830U (en) | Drain container | |
KR200257167Y1 (en) | A drainage hole structure for s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