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008A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4008A KR20190084008A KR1020190080121A KR20190080121A KR20190084008A KR 20190084008 A KR20190084008 A KR 20190084008A KR 1020190080121 A KR1020190080121 A KR 1020190080121A KR 20190080121 A KR20190080121 A KR 20190080121A KR 20190084008 A KR20190084008 A KR 20190084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layer
- disposed
- piezoelectric
- piezoelectric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2910 rar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35 haf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VBJZVLUMGGDVMO-UHFFFAOYSA-N hafnium atom Chemical compound [Hf] VBJZVLUMGGDVM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691 Er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UYAHIZSMUZPPFV-UHFFFAOYSA-N erbium Chemical compound [Er] UYAHIZSMUZPPF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6 lantha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FZLIPJUXYLNCLC-UHFFFAOYSA-N lanthanum atom Chemical compound [La] FZLIPJUXYLNCL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06 sca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SIXSYDAISGFNSX-UHFFFAOYSA-N scandium atom Chemical compound [Sc] SIXSYDAISGFNS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VSZWPYCFIRKVQL-UHFFFAOYSA-N selanylidenegallium;selenium Chemical compound [Se].[Se]=[Ga].[Se]=[Ga] VSZWPYCFIRKVQ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WQVUPCCIRVNHF-UHFFFAOYSA-N yttrium atom Chemical compound [Y] VWQVUPCCIRVNH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PIGFYZPCRLYGLF-UHFFFAOYSA-N Aluminum nitride Chemical compound [Al]#N PIGFYZPCRLYG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451 lead zirconate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JBRZTFJDHDCESZ-UHFFFAOYSA-N AsGa Chemical compound [As]#[Ga] JBRZTFJDHDCE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JNBYAVZURUTKZ-UHFFFAOYSA-N hafnium(iv) oxide Chemical compound O=[Hf]=O CJNBYAVZURUT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VPLOXQKFGYFMN-UHFFFAOYSA-N gold tin Chemical compound [Sn].[Au] JVPLOXQKFGYF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HFGPZNIAWCZYJU-UHFFFAOYSA-N lead zirconate titanate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i+4].[Zr+4].[Pb+2] HFGPZNIAWCZY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a Chemical clas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49 haf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IHZLLGSGQNAGK-UHFFFAOYSA-N hafnium(4+);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Hf+4] WIHZLLGSGQNA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7 interca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55 magnetron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15—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layers, e.g. cutting angl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of a laminated structure of multiple piezoelectric layers with inner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resona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무선 통신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고주파 부품기술의 소형화가 적극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일례로 반도체 박막 웨이퍼 제조기술을 이용하는 벌크 음향 공진기(BAW, Bulk Acoustic Wave) 형태의 필터를 들 수 있다. With the downsiz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miniaturiz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demanded. For example, a bulk acoustic wave (BAW) type filter using a semiconductor thin film wafer manufacturing technology can be used.
벌크 음향 공진기(BAW)란 반도체 기판인 실리콘 웨이퍼 상에 압전 유전체 물질을 증착하여 그 압전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공진을 유발시키는 박막형태의 소자를 필터로 구현한 것이다.The bulk acoustic resonator (BAW) is a thin film type device which is formed by depositing a piezoelectric dielectric material on a silicon wafer as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inducing resonance by using its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as a filter.
벌크 음향 공진기의 이용분야로는 이동통신기기, 화학 및 바이오 기기 등의 소형 경량필터, 오실레이터, 공진소자, 음향공진 질량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applications of bulk acoustic resonators include small-sized lightweight filter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hemical and bio-devices, oscillators, resonance elements, and acoustic resonance mass sensors.
한편, 벌크 음향 공진기의 특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구조적 형상 및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structural features and functions for enhanc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bulk acoustic resonator have been studie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oustic resonator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확장부로 구성되는 공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에서 상기 압전층 하부에는 삽입층이 배치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중앙부 내에 배치되는 압전부 및 상기 확장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층의 형상을 따라 상기 압전부에서 연장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삽입층의 형상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끝단은 상기 경사부 상에 배치된다.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nd a resonance portion formed of a center portion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and an extension portion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portion Wherein the piezoelectric layer includes a piezoelectric portion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piezoelectric portion disposed in the piezoelectric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piezoelectric portion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Wherein the bent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and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압전층 하부에 배치되는 삽입층에 의해 압전층 및 제2 전극에 경사진 영역이 형성되어 횡방향 진동이 외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므로, 음향 공진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coustic resonator because an inclined region is formed in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by the insertion layer disposed under the piezoelectric layer to prevent the lateral vibration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2 전극 구조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공진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 1 is a plan view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graph showing the resonance performance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lectrode structure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asily suggested, but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configuration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including not only when the configurations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when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each other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체적 음향 공진기(BAW,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일 수 있으며, 기판(110), 희생층(140), 공진부(120), 및 삽입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4, an
기판(110)은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으로는 실리콘 웨이퍼가 이용되거나, SOI(Silicon On Insulator) 타입의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기판(110)의 상면에는 절연층(115)이 마련되어 기판(110)과 공진부(120)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층(115)은 음향 공진기 제조 과정에서 캐비티(C)를 형성할 때, 에칭가스에 의해 기판(110)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한다.An
이 경우, 절연층(115)은 이산화규소(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3N4), 산화 알루미늄(Al2O2), 및 질화 알루미늄(Al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 Magnetron Sputtering), 및 에바포레이션(Evaporation)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기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희생층(140)은 절연층(115) 상에 형성되며, 희생층(140)의 내부에는 캐비티(C)와 식각 방지부(145)가 배치된다.The
캐비티(C)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희생층(14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cavity C is formed as an empty space, and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캐비티(C)가 희생층(140)에 내에 형성됨에 따라, 희생층(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진부(120)는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the cavity C is formed in the
식각 방지부(145)는 캐비티(C)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다. 식각 방지부(145)는 캐비티(C) 형성 과정에서 캐비티 영역 이상으로 식각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캐비티(C)의 수평 면적은 식각 방지부(145)에 의해 규정되고, 수직 면적은 희생층(140)의 두께에 의해 규정된다.The
멤브레인층(150)은 희생층(140) 상에 형성되어 기판(110)과 함께 캐비티(C)의 두께(또는 높이)를 규정한다. 따라서 멤브레인층(150)도 캐비티(C)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예를 들어, 희생층(140)의 일부(예컨대, 캐비티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 불소(F), 염소(Cl) 등의 할라이드계 에칭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멤브레인층(150)은 상기한 에칭가스와 반응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멤브레인층(150)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halide-based etching gas such as fluorine (F) or chlorine (Cl) is used to remove a part of the sacrificial layer 140 (for example, a cavity region) And a material having a low reactivity. In this case, the
또한 멤브레인층(150)은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유전체층(Dielectric layer)으로 이루어지거나,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백금(Pt), 갈륨(Ga), 하프늄(Hf)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멤브레인층(150) 상에는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제조되는 시드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드층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시드층은 AlN 이외에도 HCP 구조를 가지는 유전체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일 경우 예를 들어, 시드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ed layer (not shown) made of aluminum nitride (AlN) may be formed on the
공진부(120)는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을 포함한다. 공진부(120)는 아래에서부터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따라서 공진부(120)에서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 사이에 배치된다.The
공진부(120)는 멤브레인층(150) 상에 형성되므로, 결국 기판(110)의 상부에는 멤브레인층(150),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이 차례로 적층되어 공진부(120)를 형성한다.The
공진부(120)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층(123)을 공진시켜 공진 주파수 및 반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공진부(120)는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이 대략 편평하게 적층된 중앙부(S), 그리고 제1 전극(121)과 압전층(123) 사이에 삽입층(170)이 개재되는 확장부(E)로 구분될 수 있다.The
중앙부(S)는 공진부(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확장부(E)는 중앙부(S)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확장부(E)는 중앙부(S)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의미한다.The central portion S is an area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삽입층(170)은 중앙부(S)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L)을 구비한다. The
확장부(E)에서 압전층(123)과 제2 전극(125)은 삽입층(170)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확장부(E)에 위치한 압전층(123)과 제2 전극(125)은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경사면을 구비한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부(E)가 공진부(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부(E)에서도 공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부(E)의 구조에 따라 확장부(E)에서는 공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중앙부(S)에서만 공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E is defined as being included in the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5)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 몰리브덴, 루테늄, 이리듐, 알루미늄, 백금, 티타늄, 텅스텐, 팔라듐, 탄탈륨, 크롬,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1 전극(121)은 제2 전극(125)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제1 전극(121) 상에는 제1 전극(121)의 외곽을 따라 제1 금속층(180)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금속층(180)은 제2 전극(125)을 둘러 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 전극(121)은 멤브레인층(150) 상에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반면에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 상에 배치되므로, 압전층(123)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전극(125)은 중앙부(S) 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며, 확장부(E)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제2 전극(125)은 후술되는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 상에 배치되는 부분과,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 상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25)은 압전부(123a) 전체와,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중 일부분을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확장부(E)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a)은, 경사부(1231)의 경사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공진부(120) 내에서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후술되는 삽입층(170) 상에 형성된다. The
압전층(123)의 재료로는 산화 아연(ZnO), 질화 알루미늄(AlN),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지르콘 티탄산 납(Lead Zirconate Titanate), 쿼츠(Quartz) 등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경우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 또는 전이 금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희토류 금속은 스칸듐(Sc), 에르븀(Er), 이트륨(Y),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하프늄(Hf),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륨(Ta), 니오븀(Nb), 및 마그네늄(M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층(123)은 중앙부(S)에 배치되는 압전부(123a), 그리고 확장부(E)에 배치되는 굴곡부(123b)를 포함한다. The
압전부(123a)는 제1 전극(121)의 상부면에 직접 적층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압전부(123a)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전극(121), 제2 전극(125)과 함께 편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The
굴곡부(123b)는 압전부(123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확장부(E) 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굴곡부(123b)는 후술되는 삽입층(170) 상에 배치되며,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융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압전층(123)은 압전부(123a)와 굴곡부(123b)의 경계에서 굴곡되며, 굴곡부(123b)는 삽입층(170)의 두께와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된다.The
굴곡부(123b)는 경사부(1231)와 연장부(1232)로 구분될 수 있다.The
경사부(1231)는 후술되는 삽입층(170)의 경사면(L)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장부(1232)는 경사부(12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The
경사부(1231)는 삽입층(170) 경사면(L)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경사부(1231)의 경사각은 삽입층(170) 경사면(L)의 경사각(도 4의 θ)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삽입층(170)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그리고 식각 방지부(145)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된다. The
삽입층(170)은 중앙부(S)의 주변에 배치되어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를 지지한다. 따라서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는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경사부(1231)와 연장부(1232)로 구분될 수 있다.The
삽입층(170)은 중앙부(S)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삽입층(170)은 중앙부(S)를 제외한 영역 전체에 배치되거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또한 삽입층(170)은 적어도 일부가 압전층(123)과 제1 전극(121) 사이에 배치된다. At least a part of the
중앙부(S)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는 삽입층(170)의 측면은 중앙부(S)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삽입층(170)은 중앙부(S)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면이 일정한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L)으로 형성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삽입층(170) 측면의 경사각(θ)이 5°¡Æ보다 작게 형성되면,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삽입층(17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하거나 경사면(L)의 면적을 과도하게 크게 형성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구현이 어렵다.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surface of the
또한 삽입층(170) 측면의 경사각(θ)이 70°¡Æ보다 크게 형성되면, 삽입층(170) 상에 적층되는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경사각도 70°¡Æ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압전층(123)이 과도하게 굴곡되므로, 압전층(123)의 굴곡 부분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L)의 경사각(θ)은 5°¡Æ이상, 70°¡Æ이하의 범위로 형성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lane L is formed in the range of 5 ° ¡Æ to 70 ° ¡Æ.
삽입층(170)은 산화규소(SiO2),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규소(SiN),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등의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압전층(123)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삽입층(170)이 구비되는 영역을 빈 공간(air)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조 과정에서 공진부(120)를 모두 형성한 후, 삽입층(170)을 제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Inserted
본 실시예에서 삽입층(170)의 두께는 제1 전극(12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층(123)과 유사하거나 압전층(123)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층(170)은 100Å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되 압전층(123)의 두께보다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진부(120)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캐비티(C)를 통해 기판(110)과 이격 배치된다. The
캐비티(C)는 음향 공진기 제조 과정에서 에칭 가스(또는 에칭 용액)을 유입 홀(도 1, 도 3의 H)로 공급하여 희생층(14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cavity C may be formed by supplying an etching gas (or etching solution) to an inlet hole (H in FIG. 1, FIG. 3)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coustic resonator to remove a portion of the
보호층(127)은 음향 공진기(100)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음향 공진기(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보호층(127)은 제2 전극(125),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 그리고 삽입층(170)이 형성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보호층(127)은 실리콘 옥사이드 계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계열, 알루미늄 옥사이드 계열 및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계열 중의 어느 하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은 공진부(1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형성된 부분의 상부면에는 각각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이 배치된다.The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은 금(Au), 금-주석(Au-Sn) 합금, 구리(Cu), 구리-주석(Cu-Sn) 합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전극(121, 125)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음향 공진기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으로 기능하거나, 외부 접속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한편, 도 2에는 제 2 금속층(190)의 하부에 삽입층(170)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 2 금속층(190) 하부에는 삽입층(170)이 제거된 구조로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2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제1 금속층(180)은 삽입층(170)과 보호층(127)을 관통하여 제1 전극(121)에 접합된다.Th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은 제2 전극(125)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제1 전극(121)의 둘레 부분에는 제1 금속층(180)이 형성된다. 3, the
따라서, 제1 금속층(180)은 공진부(1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이에 제2 전극(125)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와 경사부(1231) 상에 적층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전극(125) 중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상에 배치되는 부분(도 4의 125a), 즉 확장부(E)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a)은 경사부(1231)의 경사면의 전체가 아닌, 경사면 일부분에만 배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2 전극 구조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공진 성능(Attenuation)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8 is a graph showing the resonance performance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lectrode structure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로, 삽입층(170)의 두께가 3000Å이고, 삽입층(170) 경사면(L)의 경사각(θ)이 20°이며, 경사면(L)의 길이(ls, 또는 폭)가 0.87㎛인 음향 공진기에서 확장부(E)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a)의 크기를 변화시키며 음향 공진기의 감쇄(Attenu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다음의 표 1은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의 값을 정리한 표이다.18 shows the acoustic resonator shown in Figs. 2 and 3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 경사면 길이: 0.87㎛※ Slope length: 0.87 탆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압전층(123)의 경사면은 삽입층(170)의 경사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압전층(123)의 경사면의 길이는 삽입층의 경사면(L) 길이(ls)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of the
도 18 및 표 1을 참조하면, 확장부(E)에서 압전층(123)의 경사면의 길이(ls)가 0.87㎛인 음향 공진기에 있어서, 압전층(123)의 경사면에 0.5㎛의 폭으로 제2 전극(125a)이 적층되는 경우 감쇄가 가장 커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확장부(E)에서 제2 전극(125a)의 폭이 상기한 폭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 감쇄가 감소하여 공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When Figs. 18 and with reference to Table 1, according to the acoustic resonator length (l s) a 0.87㎛ the slope of the
한편, 확장부(E)에서 제2 전극(125)의 폭(We)과 경사면 길이(ls)의 비(We/ls)를 고려할 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ttenuation은 상기 비(We/ls)가 0.46~ 0.69인 경우 37dB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Considering the ratio (W e / l s ) of the width (W e ) of the second electrode (125) to the slope length (l s ) in the extension (E), as shown in Table 1, (W e / l s ) of 0.46 to 0.69 is maintained at 37 dB or more.
따라서 공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확장부(E) 내에서 제2 전극(125a)의 최대 폭(We)과 경사면 길이(ls)의 비(We/ls)를 0.46 ~ 0.69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이 모두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범위는 경사각(θ)의 크기나 삽입층(170)의 두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resonance performance, the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제조 방법은 먼저 기판(110) 상에 절연층(115), 및 희생층(140)을 형성하고, 희생층(140)을 관통하는 패턴(P)을 형성한다. 따라서 절연층(115)은 패턴(P)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5, an acoustic reson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n insulating
절연층(115)은 멤브레인층(150)은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질화실리콘(SiN) 또는 산화실리콘(SiO2)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sulating
희생층(140)에 형성되는 패턴(P)은 상면의 폭은 하면의 폭 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attern P formed on the
희생층(140)은 추후의 식각 공정을 통해 일부가 제거되어 캐비티(도 2의 C)을 형성한다. 따라서 희생층(140)은 식각에 용이한 폴리실리콘 또는 폴리머 등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이어서, 희생층(140) 상에 멤브레인층(150)을 형성한다. 멤브레인층(150)은 희생층(140)이 표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멤브레인층(150)의 두께는 희생층(140)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Next, a
멤브레인층(150)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유전체층(Dielectric layer) 또는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백금(Pt), 갈륨(Ga), 하프늄(H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멤브레인층(150) 상에 시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a seed layer may be formed on the
시드층은 멤브레인층(150)과 후술되는 제1 전극(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시드층은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CP 구조를 가지는 유전체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시드층을 형성하는 경우 시드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ed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층(150) 상에 식각 방지층(145a)을 형성한다. 식각 방지층(145a)은 패턴(P)의 내부에도 충진된다. Then, an
식각 방지층(145a)은 패턴(P)을 완전히 채우는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식각 방치층(145a)은 희생층(14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식각 방지층(145a)은 절연층(115)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이어서, 멤브레인층(1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식각 방지층(145a)을 제거한다. Then, the
이때 패턴(P)의 내부에 충진된 부분은 남겨지며, 남겨진 식각 방지층(145a)은 식각 방지부(145)로 기능한다.At this time, the portion filled in the pattern P is left, and the remaining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층(150) 상면에 제1 전극(121)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7, 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121)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 몰리브덴, 루테늄, 이리듐, 알루미늄, 백금, 티타늄, 텅스텐, 팔라듐, 탄탈륨, 크롬,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제1 전극(121)은 캐비티(도 3의 C)가 형성될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다. The
제1 전극(121)은 멤브레인층(150) 전체를 덮는 형태로 도전체층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이어서, 삽입층(170)을 형성한다. 삽입층(170)은 제1 전극(121) 상에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멤브레인층(150)의 상부로 확장될 수 있다.Then, an
삽입층(170)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그리고 식각 방지부(145)가 형성하는 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 후, 중앙부(S)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중앙부(S)를 구성하는 제1 전극(121)의 중심부는 삽입층(17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삽입층(170)은 제1 전극(121)의 둘레를 따라 제1 전극(121)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확장부(E)에 배치되는 제1 전극(121)의 테두리 부분은 삽입층(17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중앙부(S)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삽입층(170)의 측면은 경사면(L)으로 형성된다. 삽입층(170)은 중앙부(S)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삽입층(170)의 하부면은 삽입층(170)의 상부면보다 중앙부(S) 측으로 더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삽입층(170) 경사면(L)의 경사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5°¡Æ~ 70°¡Æ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삽입층(170)은 예를 들어, 산화규소(SiO2),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규소(SiN),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등의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압전층(123)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이어서,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 상에 압전층(123)을 형성한다. Next, 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전층(123)은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전층(123)의 재료로는 산화 아연(ZnO),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지르콘 티탄산 납(Lead Zirconate Titanate), 쿼츠(Quartz) 등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경우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 또는 전이 금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희토류 금속은 스칸듐(Sc), 에르븀(Er), 이트륨(Y),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하프늄(Hf),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륨(Ta), 니오븀(Nb) 및 마그네늄(M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압전층(123)은 삽입층(170)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The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이 형성하는 표면 전체에 압전 물질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125)을 형성한 후, 압전 물질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압전층(123)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극(125) 형성 전에 압전층(123)을 완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이 이루는 표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은 중앙부(S)에 해당하는 부분만 삽입층(17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1 전극(121)상에 형성되는 압전층(123)은 중앙부(S)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층(170) 상에 형성되는 굴곡부(123b)는 확장부(E)내에 위치하게 된다.The
이어서, 압전층(123) 상부에 제2 전극(125)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극(125)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 몰리브덴, 루테늄, 이리듐, 알루미늄, 백금, 티타늄, 텅스텐, 팔라듐, 탄탈륨, 크롬,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
제2 전극(125)은 기본적으로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 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는 중앙부(S)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압전층(123)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도 중앙부(S) 내에 배치된다.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상에도 형성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125)은 중앙부(S) 전체와 확장부(E)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27)을 형성한다. Then, a
보호층(127)은 제2 전극(125)과 압전층(123)이 형성하는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보호층(127)은 외부로 노출된 삽입층(17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The
보호층(127)은 실리콘 옥사이드 계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계열 및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계열 중의 하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이어서, 보호층(127)과 압전층(123)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부분에 각각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the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은 금(Au), 금-주석(Au-Sn) 합금, 구리(Cu), 구리-주석(Cu-Sn) 합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전극(121) 또는 제2 전극(125) 상에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이어서, 캐비티(C)를 형성한다. Then, a cavity C is formed.
캐비티(C)는 희생층(140)에서 식각 방지부(145)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형성되며, 이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100)가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제거되는 희생층(140)은 식각(etching) 방식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The cavity C is formed by removing the portion of the
희생층(140)이 폴리실리콘 또는 폴리머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희생층(140)은 불소(F), 염소(Cl) 등의 할라이드계의 에칭가스(예컨대, XeF2)를 이용하는 건식 식각(dry etching) 방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삽입층(170)에 의해 공진부(120)의 확장부(123b)가 중앙부(123a)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므로, 중앙부(123a)에서 발생한 진동이 외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음향 공진기의 Q-factor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또한 제2 전극(125)을 확장부(123b)에 부분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비약적으로 개선된 공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by locating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9는 도 1의 I-I′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9 and 10 are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II 'of FIG. 1,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삽입층(170)은 압전층(123)을 지지하는 일부분만 남겨지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제거된다. 이처럼 삽입층(170)은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9 and 10, the
음향 공진기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삽입층(170)은 제1 금속층(180)이나 식각 방지부(145)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삽입층(170)은 공진부(120)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으며, 캐비티(C)의 상부 영역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삽입층(170)이 배치되는 영역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영역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확장될 수 있다.When the acoustic resonator is thus configured, the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1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는 확장부(E)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이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경사면 전체에 배치된다.11, the acoustic resonator shown in this embodiment has the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는 제2 전극(125)이 압전층(123)의 상면 전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뿐만 아니라 연장부(1232) 상에도 형성된다. 12, the
그리고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제2 전극(125)이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 상면에만 형성되고, 굴곡부(123b)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13, in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필요에 따라 확장부(E)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pansion portion E into various shapes as necessary.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제2 전극 상에 적어도 하나의 트랜치(trench, 125b)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4,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트렌치(125b)는 중앙부(S) 내에 배치된 제2 전극(125)에 형성되며, 제2 전극(125)의 두께를 축소하는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S)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거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The
트렌치(125b)는 연속적인 고리(ring)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이 끊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분적 또는 불연속적인 다수의 호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또한 트렌치(125b)는 깊이보다 폭이 큰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14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의 변형 예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modifica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shown in Fig.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트랜치(trench, 127a)가 보호층(127)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5, a
트렌치(127a)는 중앙부(S) 내에 배치된 보호층(127)에 형성되며, 보호층(127)의 두께를 축소하는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S)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거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The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트렌치(127a)는 연속적인 고리(ring)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일부 영역이 끊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깊이보다 폭이 큰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2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I-I 'in Fig. 2.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도 3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공진부(120)의 둘레에 제1 금속층(도 3의 180)이 구비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6,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imilarly to the acoustic resonator shown in FIG. 3, but the first metal layer 180 (FIG. 3) is not provided around the
이 경우, 제1 금속층(180)은 다른 음향 공진기의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배선 상에만 형성되고 공진부(120)의 주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삽입층(170)과 삽입층(170) 상에 적층되는 보호층(127)은 공진부(120)의 주변 영역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공진부(120)의 주변 영역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삽입층(170) 중 적어도 일부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17,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imilarly to the acoustic resonator shown in FIGS. 2 and 3,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이 경우, 삽입층(170)은 제조 과정에서 제1 전극(121)보다 먼저 멤브레인층(150) 상에 형성되고, 제1 전극(121)은 삽입층(17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삽입층(17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제1 전극(121)과 압전층(123)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확장부 영역에서 압전층 및 제2 전극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횡방향 진동이 외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므로, 음향 공진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n the extended region, so that the lateral vibration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ereby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acoustic resonato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음향 공진기
110: 기판
120: 공진부
121: 제1 전극
123: 압전층
125: 제2 전극
127: 보호층
140: 희생층
150: 멤브레인층
170: 삽입층100: acoustic resonator
110: substrate
120: Resonance part
121: first electrode 123: piezoelectric layer
125: second electrode 127: protective layer
140: sacrificial layer
150: Membrane layer
170: insertion layer
Claims (16)
상기 기판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확장부로 구성되는 공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에서 상기 압전층 하부에는 삽입층이 배치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중앙부 내에 배치되는 압전부; 및
상기 확장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층의 형상을 따라 상기 압전부에서 연장되는 굴곡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삽입층의 형상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끝단은 상기 경사부 상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Board; And
And a resonance part formed on the substrate, the resonance part including a center part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an extension part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part,
An insertion layer is disposed under the piezoelectric layer in the extension portion,
The piezoelectric layer is made of,
A piezoelectric part disposed in the central part; And
A bent portion disposed in the extension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piezoelectric portion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 RTI >
Wherein the bent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And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적어도 일부가 제1 전극의 하부 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압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2. 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o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2.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which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And an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 전체에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2. The plasma display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nd an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경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The piez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t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And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기판과 상기 중앙부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vity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enter portion.
상기 캐비티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의 수평 면적을 규정하는 식각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etch stopper disposed along a boundary of the cavity to define a horizontal area of the cavity.
상기 중앙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트렌치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The plasma display panel of claim 1,
And a trench formed along the boundary of the central portion.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중앙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트렌치를 구비하는 음향 공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protection layer has a trench formed along a boundary of the central portion.
상기 압전층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ezoelectric layer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piezoelectric layer.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 또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로 형성되며, 상기 희토류 금속은 스칸듐(Sc), 에르븀(Er), 이트륨(Y),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이 금속은 하프늄(Hf),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륨(Ta), 및 니오븀(N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The piez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re earth metal is formed of a rare earth metal or a doped aluminum nitride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and the rare earth met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candium (Sc), erbium (Er), yttrium (Y), and lanthanum (La) Wherein the transition metal comprises at least one of hafnium (Hf), titanium (Ti), zirconium (Zr), tantalum (Ta), and niobium (Nb).
상기 제1 전극의 둘레를 따라 삽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적층되는 압전부와 상기 삽입층 상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압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전층 상에 제2 전극을 적층하여 공진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부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전극, 상기 압전층, 상기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압전층 하부에 상기 삽입층이 배치되는 확장부로 구분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삽입층의 형상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의 끝단은 상기 경사부 상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Forming an insulative laye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electrode;
Forming a piezoelectric layer including a piezoelectric portion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bend portion formed on the insertion layer; And
Deposit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piezoelectric layer to form a resonance part;
/ RTI >
The resonator may include:
A center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and an extension portion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er portion and in which the insertion layer is disposed under the piezoelectric layer,
Wherein the bent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And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압전부 상부면 전체와, 상기 경사부의 상부면 일부에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인 음향 공진기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comprises:
And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portion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기판 상에 제1 전극, 압전층,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확장부로 구성되는 공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에서 상기 압전층 하부에는 삽입층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층은 상기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의 끝단은 상기 압전층 상에 배치되되, 상기 삽입층의 경사면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Board; And
And a resonator formed on the substrate, the resonator including a central portion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n extension portion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portion,
An insertion layer is disposed under the piezoelectric layer in the extension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layer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thick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increases,
And an end of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so as to overlap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sertion layer.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5°이상, 70°이하의 범위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in a range of 5 degrees or more and 70 degrees or less.
상기 확장부 내에서 상기 제2 전극의 최대 폭(We)과 상기 경사면 길이(ls)의 비(We/ls)는 0.46 ~ 0.69의 범위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ratio (W e / l s ) of a maximum width (W e ) of the second electrode to the slope length (l s ) in the extension portion is in a range of 0.46 to 0.6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27271 | 2017-03-02 | ||
KR1020170027271 | 2017-03-02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8648A Division KR102007443B1 (en) | 2017-03-02 | 2017-06-01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008A true KR20190084008A (en) | 2019-07-15 |
KR102248528B1 KR102248528B1 (en) | 2021-05-06 |
Family
ID=635934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8648A Active KR102007443B1 (en) | 2017-03-02 | 2017-06-01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KR1020190080121A Active KR102248528B1 (en) | 2017-03-02 | 2019-07-03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8648A Active KR102007443B1 (en) | 2017-03-02 | 2017-06-01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0074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37975B2 (en) | 2019-09-06 | 2022-09-0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Bulk acoustic resonator and filter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7739A (en) | 2018-08-09 | 2020-02-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US11595016B2 (en) | 2018-10-05 | 2023-02-28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102198535B1 (en) * | 2018-10-05 | 2021-01-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102107024B1 (en) * | 2018-11-22 | 2020-05-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Acoustic resonator |
US11431318B2 (en) | 2018-12-14 | 2022-08-30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US11437977B2 (en) | 2018-12-14 | 2022-09-0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Bulk-acoustic resonator and elastic wave filter device |
KR102172638B1 (en) | 2018-12-14 | 2020-11-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KR102345121B1 (en) * | 2018-12-14 | 2021-12-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resonator and bulk-acoustic filter device |
US11569793B2 (en) | 2018-12-19 | 2023-01-3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Acoustic resonator |
US11502663B2 (en) | 2018-12-19 | 2022-11-15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Acoustic resonator |
KR102222071B1 (en) * | 2018-12-19 | 2021-03-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Acoustic resonator |
KR102272592B1 (en) | 2019-01-31 | 2021-07-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102276515B1 (en) | 2019-02-15 | 2021-07-14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102815929B1 (en) * | 2019-09-06 | 2025-06-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20210045588A (en) | 2019-10-17 | 2021-04-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US11543749B2 (en) | 2020-02-21 | 2023-01-03 |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 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st pattern,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d molded article |
KR20210123827A (en) | 2020-04-06 | 2021-10-14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102449366B1 (en) * | 2020-05-13 | 2022-10-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KR102609139B1 (en) | 2020-10-13 | 2023-1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20220168424A (en) | 2021-06-16 | 2022-12-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KR20230103494A (en) | 2021-12-31 | 2023-07-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4779A1 (en) * | 2009-10-12 | 2011-04-14 | Hao Zhang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KR20140118087A (en) | 2013-03-28 | 2014-10-08 | 한국야금 주식회사 | A deep hole indexable drill |
JP2016225746A (en) * | 2015-05-28 | 2016-12-28 | 太陽誘電株式会社 | Piezoelectric thin film reson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0711B1 (en) * | 2003-05-27 | 2005-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gap type FBAR fabrication method using poly-Silicon sacrificial layer and Etching-stop wall and FBAR fabricated by the same |
KR20110048338A (en) * | 2009-11-02 | 2011-05-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Package board for optical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9490771B2 (en) | 2012-10-29 | 2016-11-08 |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collar and frame |
-
2017
- 2017-06-01 KR KR1020170068648A patent/KR102007443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7-03 KR KR1020190080121A patent/KR1022485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84779A1 (en) * | 2009-10-12 | 2011-04-14 | Hao Zhang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KR20140118087A (en) | 2013-03-28 | 2014-10-08 | 한국야금 주식회사 | A deep hole indexable drill |
JP2016225746A (en) * | 2015-05-28 | 2016-12-28 | 太陽誘電株式会社 | Piezoelectric thin film reson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37975B2 (en) | 2019-09-06 | 2022-09-0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Bulk acoustic resonator and filte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1129A (en) | 2018-09-12 |
KR102248528B1 (en) | 2021-05-06 |
KR102007443B1 (en) | 2019-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8528B1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JP7062866B2 (en) | Acoustic reson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10756702B2 (en) | Acoustic resonator and acoustic resonator filter including the same | |
CN109217840B (en) | 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coustic wave resonator | |
CN109818591B (en) | Acoustic wave resonator | |
CN108631748B (en) | Acoustic resonator and filter including the same | |
US11418168B2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00032362A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70122539A (en)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73421B1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102449355B1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815929B1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
KR20210023944A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145309B1 (en) | Acoustic resonator | |
US11431318B2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20210045588A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
KR102172638B1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102222071B1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449367B1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450602B1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
JP2019201305A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691310B1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827676B1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and Bulk-acoustic wave filter device | |
US20240080011A1 (en) | Baw resonator and baw resonator manufacturing method | |
KR20230079955A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0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060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6864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90703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