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235A -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9235A KR20190079235A KR1020170181298A KR20170181298A KR20190079235A KR 20190079235 A KR20190079235 A KR 20190079235A KR 1020170181298 A KR1020170181298 A KR 1020170181298A KR 20170181298 A KR20170181298 A KR 20170181298A KR 20190079235 A KR20190079235 A KR 20190079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 dioxide
- gas
- absorbent
- regeneration
- power gene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0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VUZPPFZMUPKLLV-UHFFFAOYSA-N methane;hydrate Chemical compound C.O VUZPPFZMUPKLLV-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FBQJSOFQDEBGM-UHFFFAOYSA-N Pentane Chemical compound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92 regen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94 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7/00—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01K17/04—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for specific purposes other than 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01K25/103—Carbon dioxi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최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규제가 매우 심화되고 있다. 특히 교토의정서의 발효와 함께 세계적으로 대기체류시간 및 온실효과 기여도 그리고 국내 총 배출량이 가장 큰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감축 및 발생 이산화탄소의 처리에 골몰하고 있는 실정에서 국내 각종 산업의 생존을 위해 이러한 규제에 능동적 대응이 필요하다.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regulations on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have become very severe. In particular,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the Kyoto Protocol, global atmospheric residence time and contribution to greenhouse effect, and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which are the largest in total domestic emissions, and the occurrence of carbon dioxide, Is required.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감축에 따라, 발전소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시급한 상황이며, 현재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회수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한 설비 운영은 매우 높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이를 활용하여 포집설비의 에너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Reduction of carbon dioxide, which is a representative greenhouse gas, is an urgent need to reduce carbon dioxide in power plants. Currently, research is underway on technologie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carbon dioxide. Operation of facilitie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carbon dioxide consumes very high energy a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it to improve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of collec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회수하는 데에 소비되는 열원 및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recovering a heat source and separated carbon dioxide consume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carbon dioxide .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제가 내부에 수용되는 흡수탑, 흡수탑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흡수제를 제공받고, 흡수제를 가열하여,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포함한 재생가스를 생성하는 재생탑, 재생가스를 제공받아 재생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회수한 열에 기초해서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발전유닛을 포함한다.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bsorption tower in which an absorbent for absorbing carbon dioxide in exhaust gas is contained, an absorbent for absorbing carbon dioxide from an absorption tower, A regeneration tower for generating regeneration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and moisture by heating the absorbent to separate carbon dioxide from the absorbent, a regeneration tower for recovering heat from the regeneration gas by supplying the regeneration gas, driving the turbine based on the recovered heat, Unit.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회수하는데 소비되는 열원 및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source and the separated carbon dioxide consume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carbon dioxide can be recovered to produce electric power, and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도 2 및 4의 제1 분리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도 2 및 4의 제2 분리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mplified view of the first separator of Figures 2 and 4;
Figure 6 is a simplified view of the second separator of Figures 2 and 4;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실시예Example 1 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흡수탑(100), 재생탑(200), 발전유닛(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es an
흡수탑(100)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구비되며,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흡수제(미도시)가 내부에 수용된다.재생탑(200)은 흡수탑(100)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를 제공받는다. 재생탑(200)은 흡수제를 가열하여,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켜,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포함된 재생가스를 생성한다.The
발전유닛(300)은 재생가스를 제공받아 재생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회수한 열에 기초해서 터빈(320)을 구동하여 발전한다.The
흡수탑(100)은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수용된다라고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내부에 수용된 것 또한 모두 가능하다.The
발전유닛(300)은 열교환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10)는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순환라인(303) 중에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10)는 작동유체와 제공받은 재생가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The
터빈(320)은 열교환기(310)에서 재생가스에 의해 가열된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터빈(320)의 구동으로 발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발전유닛(300)은 유기랭킨사이클 장치일 수 있다. 발전유닛(300)은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40)와,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열교환기(310), 터빈(320), 응축기(340) 및 압축기(350)는 순환라인(303) 상에 작동유체의 순환방향을 따라 차례차례 위치할 수 있다. 일예로, 작동유체는 톨루엔, 펜탄일 수 있다.The
열교환기(310)에 의하여, 작동유체는 재생탑(200)에서 배출된 재생가스로부터 열을 제공받은 후, 터빈(320)을 구동시켜, 발전기(330)를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The working fluid may be supplied with heat from the regeneration gas discharged from the
터빈(320)을 통과한 작동유체는 응축기(340)를 통해, 응축된 후, 순환라인(303)을 따라 유동하여, 압축기(350)로 공급될 수 있다. 압축기(350)는 작동유체를 압축시킬 수 있다.The working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재생가스는 열교환기(310)에 의하여, 발전유닛(300)으로 활용되어, 발전유닛(300)은 전력을 생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generation gas is utilized by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제1 분리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제1 분리기(500)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와, 흡수제에 의해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인 잔류가스를 흡수탑(100)으로부터 제공받아, 흡수제와 잔류가스를 분리하여, 흡수제를 재생탑(200)으로 제공하고, 잔류가스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일예로, 제1 분리기(500)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싸이클론에 한정하지 않고, 흡수제와 잔류가스를 분리하는 구조이면 모든 적용가능하다.For example, the
재생탑(200)은 흡수제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열공급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열공급부(290)는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열을 공급한다. 열공급부(290)는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리보일러, 스팀, 히터, 열수 등일 수 있다. 열공급부(290)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를 분리시키는 재생온도까지 가열시키는 구성이면 모두 만족한다. 열공급부(290)에 의하여, 흡수제는 재생되어, 흡수탑(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재생탑(200)은 흡수제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유동가스 제공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유동가스 제공부(미도시)는 재생탑(200)에 구비된 유동가스 유입구(210)로 유동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재생탑(200)은 유동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유동가스 배출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유동가스는 공기,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제2 분리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리기(600)는 재생탑(200)에 수용된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제2 분리기(600)는 재생탑(200)으로부터 흡수제와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포함한 재생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일예로, 제2 분리기(600)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제2 분리기(600)로 재생가스 및 흡수제가 유입될 시, 흡수제는 낙하하여 재생탑(200)으로 재 공급될 수 있으며, 재생가스는 열교환기(310)로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열교환기(310)를 통해, 재생가스는 발전유닛(300)에 활용됨으로써,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rough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기액분리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400)는 열교환기(310)에서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재생가스를 공급받아, 냉각된 재생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유체와 열교환된 재생가스는 응축되어, 기액분리기(400)에 공급될 수 있으며, 기액분리기(400)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는 재생탑(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재생탑(200)은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as-
일예로, 기액분리기(400)에서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의 일부는 우회라인(420)을 따라 재생탑(200)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나머지는 후처리부(900)로 공급되어, 정제, 액화, 압축하여, 이산화탄소를 회수할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in the gas-
일예로, 재생탑(200)의 유동가스 제공부(미도시)로부터 유동가스가 유입되는 유동가스 유입라인(211)과 우회라인(420)은 연통될 수 있다. 유입라인(211)과 우회라인(420)의 연결지점에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lowing
밸브(미도시) 조절에 의하여, 우회라인(420)을 통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는 유동가스 유입구(21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By the adjustment of the valve (not shown), the carbon dioxide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일예로, 흡수제가 과량의 수분과 접촉 시, 흡수제의 고착, 흡수제의 활성성분 침출, 과량의 수분 흡착에 따른 미세기공 차단(Blocking)으로 활성 저하, 수분과 지지체 및 활성성분과 반응으로 부반응물 생성 등이 발생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bsorbent is in contact with excessive moisture, the active agent is removed by adsorption of the absorbent, active ingredient leaching of the absorbent, micropore blocking due to excessive moisture adsorption, deactivation, Etc. may be generated.
우회라인(420)을 통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는 유동가스 유입구(210)로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는 재생탑(200)으로 공급되어, 수분에 의한 흡수제 고착, 흡수제의 물성저하 및 부반응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향상 및 흡수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흡수탑(100)으로부터 재생탑(200)으로 유입된 흡수제는 열공급부(290)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분해되는데, 이 경우, 재생탑(200) 내부에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재생탑(200)에 활용됨으로써, 재생탑(200)은 수분을 없애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The carbon dioxide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재생가스는 발전유닛(300)에 활용 후, 다시 재생탑(200)으로 재활용될 수 있어,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gas can be recycled to the
일예로,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구동하고, 작동유체를 펜탄을 사용하였을 시, 재생탑의 재생가스의 온도가 250℃~350℃이고, 터빈(320)의 엔트로피 효율이92%로 측정되었다.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의 전체 압력(상압 운전)은 1bar, 흡수탑(100)에 사용되는 흡수제의 반응성인 흡수능은 2.5wt%, 흡수제가 반응하는 흡수탑(100)의 온도인 흡수온도는 70℃, 재생탑(200)의 온도로 제2분리기(600) 이후 가스 기류 온도인 재생온도는 250~350℃, 에너지 소비량은 포집설비(발전 유닛 제외) 운영에 필요한 전체 소비 에너지는4446.3~6219.5MJ/t, 전력생산량=0.46~0.49MW의 측정값이 나왔다. For example, when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driven and pentane is used as the working fluid, the temperature of the regeneration gas in the regeneration tower is 250 ° C. to 350 ° C. and the entropy efficiency of the
일예로, 발전유닛(300)이 적용되지 않고, 흡수탑(100), 재생탑(200), 제1 분리기(500), 제2 분리기(600), 기수분리기(400)만 배치되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약 13 vol.%인 배기가스가 흡수탑(100)에 제공된 10MW CO2 포집플랜트일 경우, 재생탑(200)의 재생가스가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기수분리기(400)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재생탑(200)으로 제공되었을 시, 이산화탄소 제거율은 80% 이상, 재생탑(200) 온도는 250℃, 이산화탄소 순도는 90% 이상 유지되었으며, 압력=1bar, 흡수능=2.5wt%, 흡수온도=70℃, 재생온도=250℃, 에너지소비량=4446.3MJ/t로 측정되었다.For example, only the
실시예Example 2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며, 도 5 내지 6은 제1 및 2 분리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 및 도 5 내지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6 are schematic views showing first and second separato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s. 5 to 6. Fig.
실시예 2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과 제1 및 2 분리기(500,600), 냉각기(700)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some differences in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irst and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리기(500)는 흡수탑(100)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와 잔류가스를 제공받는 제1 유입구(510)와, 제1 유입구(510)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되 일정한 중량 이상을 낙하시키는 제1 하부 배출구(530)와, 제1 유입구(510)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는 제1 상부 배출구(52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5, the
제1 유입구(510) 및 제1 상부 배출구(520) 및 제1 하부 배출구(530)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제1 내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내부유로의 외측에는 보온부재(540)가 구비될 수 있다.The
흡수탑(100)과 제1 유입구(510)는 제1 유로(1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흡수탑(100)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와 잔류가스는 제1 유입구(510)로 안내될 수 있다. 제1 하부 배출구(530)와 재생탑(200)은 제2 유로(1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유로(110)를 통해, 제1 하부 배출구(530)로 통과된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는 재생탑(20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분리기(500)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싸이클론에 한정하지 않고, 흡수제와 잔류가스를 분리하는 구조이면 모든 적용가능하다.The
제1 분리기(500)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와, 흡수제에 의해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인 잔류가스를 흡수탑(100)으로부터 제공받아, 흡수제와 잔류가스를 분리하여, 흡수제를 재생탑(200)으로 제공하고, 잔류가스를 제1 상부 배출구(5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The
제1 분리기(500)는 재생가스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분리기(500)는 흡수제와 잔류가스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열을 재생가스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열교환기(310)는 제1 분리기(500)를 거친 재생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제2 분리기(600)는 재생탑(200)으로유입된 흡수제와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재생가스(이산화탄소 및 수증기)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기(600)는 재생탑(200)으로부터 흡수제와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포함한 재생가스를 제공받는 제2 유입구(610)와, 제2 유입구(610)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되 일정한 중량 이상을 낙하시키는 제2 하부 배출구(630)와, 제2 유입구(610)보타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흡수제를 제외한 재생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상부 배출구(6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일예로, 제2 유입구(610)로 재생가스 및 흡수제가 유입될 시, 흡수제는 제2 하부 배출구(630)를 통해 낙하되어 재생탑(200)으로 재 공급될 수 있으며, 제2 상부배출구(620)으로 배출되는 재생가스는 보온부재(540)가 설치된 제1 분리기(500)로 유동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generation gas and the absorbent are introduced into the
열공급부(290)에 의하여, 흡수제는 재생되어, 재생탑(200)으로 재 공급될 수 있으며, 재생가스는 보온부재(540)를 지나 열교환기(310)로 유동될 수 있다.The absorbent can be regenerated and re-supplied to the
재생가스는 보온부재(540)를 통해, 흡수제와 잔류가스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열을 제공한 후, 열교환기(31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regeneration gas may be supplied to the
이는, 재생가스의 열원은 제1 분리기(500)에 활용된 후, 열교환기(310)로 공급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heat source of the regeneration gas can be utilized in the
재생탑(200)에 공급된 유동가스 및 재생가스는 제2 분리기(600), 보온부재(540)를 거쳐, 열교환기(310)로 공급된 후, 기액분리기(400)로 공급될 수 있다.The flowing gas and the regeneration gas supplied to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냉각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700)는 재생탑(200)에서 재생된 흡수제를 제공받아 냉각시킨 후에 흡수탑(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oler 700. The cooler 700 may be provided with the absorbent regenerated in the
일예로, 우회라인(420)은 냉각기(700)를 거친 후, 유입라인(211)과 연결될 수 있다. 냉각기(700)는 내부 열교환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우회라인(420)을 통해, 내부 열교환기로 공급된 후를 유입라인(211)으로 유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기액분리기(400)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우회라인(420)을 거쳐 냉각기(700)의 내부 열교환기(미도시)로 공급되어 흡수제를 냉각시킬 수 있다.The carbon dioxide separated from the gas-
일예로, 우회라인(420)은 흡수탑(100)을 거친후, 냉각기(700)와 연결된 구성 또한 가능하다. 흡수탑(100)의 경우, 발열반응 시 50~70°C가 적합하나, 흡수탑(100)의 온도가 120°C 일 경우, 기액분리기(400)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흡수탑(100)을 냉각시킨 후, 냉각기(700)의 내부 열교환기(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기액분리기(400)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가 흡수탑(100)에 활용됨으로써, 흡수탑(100)은 추가적인 냉각유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For example, the
재생가스는 발전유닛(300)에 활용된 후, 냉각기(700)를 거쳐 흡수제의 냉각에 활용된 후에, 다시 재생탑(200)으로 제공됨으로써,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흡수제가 냉각됨으로써,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regeneration gas is utilized in the
이는,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를 재생탑(200)으로 공급시킴으로써, 수분에 의한 흡수제 고착, 흡수제의 물성저하 및 부반응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is can improve the purity of carbon dioxide by preventing the adsorption of the absorbent by moisture, the lowering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bsorbent and the generation of side reactions by supplying the carbon dioxide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to the
실시예Example 3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과 발전유닛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in some respects from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유닛(301)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장치일 수 있다. 작동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발전유닛(301)은 압축기(380), 복열기(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80)는 작동유체인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열기(360)는 압축기(380)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체와, 터빈(320)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체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복열기(360)에 의하여, 압축기(380)로부터 압축된 작동유체는 터빈(320) 구동후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하여 예열될 수 있다.The working fluid compressed from the
순환라인(303) 상에 열교환기(310), 터빈(320) 및 압축기(380)는 작동유체의 순환방향을 따라 차례차례 위치할 수 있다. 순환라인(303)을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열교환기(310)에 의하여, 재생가스로부터 열을 제공받은 후, 터빈(320)을 구동시켜, 발전기(330)를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On the
터빈(320)을 통과한 작동유체는 복열기(360)를 거쳐, 응축기(37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응축기(370)를 통해, 작동유체는 응축되어 냉각된 후, 압축기(380)로 공급될 수 있다. 순환라인(303)을 따라 유동하여, 압축기(380)로 공급될 수 있다.The working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일예로, 실시예 3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구동하고, 작동유체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였을 시, 재생탑의 재생가스의 온도가 250℃~350℃이고, 터빈(320)의 엔트로피 효율이 92%로 측정되었으며, 압력=1bar, 흡수능=2.5wt%, 흡수온도=70℃, 재생온도=250~350℃, 에너지소비량=4446.3~6219.5MJ/t, 전력생산량=0.14~0.29MW로 측정되었다.For example, when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operated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used as the working fluid, the temperature of the regeneration gas in the regeneration tower is 250 ° C. to 350 ° C. and the entropy efficiency And the power consumption was 0.14 to 0.29 MW. The measured values were as follows: pressure = 1 bar, absorption capacity = 2.5 wt%, absorption temperature = 70 ° C., regeneration temperature = 250 to 350 ° C., energy consumption = 4446.3 to 6219.5 MJ / .
실시예Example 4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실시예 4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2에 따른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과 발전유닛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in some respects from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유닛(301)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장치일 수 있으며, 작동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도 4의 발전유닛(301)은 도 3의 발전유닛(301)과 동일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순환라인(303)을 따라 유동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열교환기(310)에 의하여, 재생가스로부터 열을 제공받은 후, 터빈(320)을 구동시켜, 발전기(330)를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lowing along the
터빈(320)을 통과한 작동유체는 복열기(360)를 거쳐, 응축기(37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응축기(370)를 통해, 작동유체는 응축되어 냉각된 후, 압축기(38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working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도 1 내지 도 4의 발전유닛(300,301)의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든 적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이는,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회수하는데 소비되는 열원을 발전유닛(300,301)을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is is because the heat source consume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carbon dioxide can generate electric power through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흡수탑
200: 재생탑
300, 301: 발전유닛
310: 열교환기
500: 제1 분리기
600: 제2 분리기
700: 냉각부
900: 후처리부100: absorption tower 200: regeneration tower
300, 301: power generation unit 310: heat exchanger
500: first separator 600: second separator
700: Cooling section 900: Postprocessing section
Claims (8)
상기 흡수탑으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를 제공받고, 상기 흡수제를 가열하여, 상기 흡수제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포함한 재생가스를 생성하는 재생탑;
상기 재생가스를 제공받아 상기 재생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회수한 열에 기초해서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발전유닛;
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An absorption towe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xhaust gas is introduced and in which an absorbent for adsorbing carbon dioxide in the exhaust gas is accommodated;
A regeneration tower that receives the absorbent absorbing the carbon dioxide from the absorption tower and heats the absorbent to separate the carbon dioxide from the absorbent to generate a regeneration gas containing the carbon dioxide and moisture;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receives the regeneration gas, recovers heat from the regeneration gas, and generates power by driving the turbine based on the recovered heat;
Wherein the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es:
상기 발전유닛은,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순환라인 중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유체와, 상기 제공받은 재생가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재생가스에 의해 가열된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작동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provided in a circulation line through which a working fluid circulates and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working fluid and the supplied regeneration gas,
Wherein the turbine is operated by receiving a working fluid heated by the regeneration gas in the heat exchanger.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유기랭킨사이클 장치이며,
상기 열교환기, 상기 터빈,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순환라인 상에 상기 작동유체의 순환방향을 따라 차례차례 위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gener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working fluid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working fluid,
Wherein the heat exchanger, the turbine,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long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on the circulation line.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작동유체인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체와, 상기 터빈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체를 열교환시키는 복열기를 더 포함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장치이며,
상기 열교환기, 상기 터빈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순환라인 상에 상기 작동유체의 순환방향을 따라 차례차례 위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generation unit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s the hydraulic oil; And
Further comprising a recuperato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 work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a work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turbine,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Wherein the heat exchanger, the turbine, and the compressor are sequentially positioned along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on the circulation line.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착한 흡수제와, 상기 흡수제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에서 상기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가스인 잔류가스를 상기 흡수탑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흡수제와 상기 잔류가스를 분리하고, 상기 흡수제를 상기 재생탑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 분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기는, 상기 흡수제와 상기 잔류가스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열을 상기 재생가스로부터 공급받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 분리기를 거친 재생가스를 제공받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bsorbent absorbing the carbon dioxide and the residual gas being the gas from which the carbon dioxide has been removed from the exhaust gas by the absorbent is supplied from the absorption tower to separate the absorbent and the residual gas,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parator for delivering the first liquid,
Wherein the first separator is supplied with heat for promoting the separation of the absorbent and the residual gas from the regeneration gas,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provided with a regeneration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separator.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재생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냉각된 재생가스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수분을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탑은,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gas-liquid separator for receiving the regeneration gas cooled by heat exchange in the heat exchanger and separating the carbon dioxide and the water from the cooled regeneration gas,
The regeneration tower is provided with carbon dioxide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상기 재생탑에서 재생된 상기 흡수제를 제공받아 냉각시킨 후에 상기 흡수탑으로 제공하기 위한 냉각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기는,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아 상기 흡수제의 냉각에 활용하고,
상기 재생탑은, 상기 냉각기를 거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는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oler for receiving and regenerating the absorbent recovered in the regeneration tower and providing it to the absorption tower,
The cooler may be provided with carbon dioxide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and used for cooling the absorbent,
Wherein the regeneration tower is provided with carbon dioxide through the cooler.
상기 재생탑은 상기 흡수제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열공급부가 구비된 이산화탄소 회수 및 발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generation tower is provided with a heat supply unit for heating the absorb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298A KR102319957B1 (en) | 2017-12-27 | 2017-12-27 |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298A KR102319957B1 (en) | 2017-12-27 | 2017-12-27 |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235A true KR20190079235A (en) | 2019-07-05 |
KR102319957B1 KR102319957B1 (en) | 2021-11-01 |
Family
ID=6722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298A Active KR102319957B1 (en) | 2017-12-27 | 2017-12-27 |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995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24876A (en) * | 2022-08-31 | 2022-11-11 | 泉州装备制造研究所 |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and carbon capture coupling system |
KR20240047156A (en) * | 2022-10-04 | 2024-04-12 |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 Carbon dioxide recovery system |
KR102741284B1 (en) * | 2023-09-27 | 2024-12-10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Carbon dioxide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1326A (en) * | 2000-06-30 | 2002-01-15 | Toshiba Corp | Carbon dioxide recovering apparatus |
JP2012087759A (en) * | 2010-10-22 | 2012-05-10 | Toshiba Corp |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and carbon-dioxide-recovery-type steam power generation system |
JP2012106180A (en) * | 2010-11-17 | 2012-06-07 | Toshiba Corp | Carbon dioxide recovery apparatus and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
KR20140129891A (en) * | 2013-04-30 | 2014-11-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Carbon dioxide scrubber and apparatus for treating bfg having the same |
KR20160059730A (en) * | 2014-11-19 | 2016-05-2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ower plant |
-
2017
- 2017-12-27 KR KR1020170181298A patent/KR1023199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1326A (en) * | 2000-06-30 | 2002-01-15 | Toshiba Corp | Carbon dioxide recovering apparatus |
JP2012087759A (en) * | 2010-10-22 | 2012-05-10 | Toshiba Corp |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and carbon-dioxide-recovery-type steam power generation system |
JP2012106180A (en) * | 2010-11-17 | 2012-06-07 | Toshiba Corp | Carbon dioxide recovery apparatus and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
KR20140129891A (en) * | 2013-04-30 | 2014-11-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Carbon dioxide scrubber and apparatus for treating bfg having the same |
KR20160059730A (en) * | 2014-11-19 | 2016-05-2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ower pla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24876A (en) * | 2022-08-31 | 2022-11-11 | 泉州装备制造研究所 |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and carbon capture coupling system |
KR20240047156A (en) * | 2022-10-04 | 2024-04-12 |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 Carbon dioxide recovery system |
KR102741284B1 (en) * | 2023-09-27 | 2024-12-10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Carbon dioxide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9957B1 (en) | 2021-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25992B2 (en) | CO2 recovery equipment | |
CN102562191B (en) |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and carbon-dioxide-recovery-type steam power generation system | |
CN103501876B (en) | Process for carbon dioxide recovery and device | |
CA2800191C (en) | Co2 capture system by chemical absorption | |
JP5922451B2 (en) | CO2 recovery device | |
US9433890B2 (en) | Dehydration equipment, gas compression system, and dehydration method | |
JP5638262B2 (en) | CO2 recovery apparatus and CO2 recovery method | |
CN108679682B (en) | It recycles thermal power plant dry method and traps CO2Process waste heat and the system for being used for heat supply | |
JP2011000525A (en) | Co2 recovering device and co2 recovering method | |
JP6820639B1 (en) | Carbon dioxide recovery system | |
WO2011132660A1 (en) |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having carbon dioxide removal device | |
CN108136321A (en) | For CO2The method and apparatus of trapping | |
JP201200053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 |
KR20130039185A (en) | Dry sorbent co2 capturing device with improving energy efficiency | |
WO201206710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ystem for chemically absorbing carbon dioxide | |
JP2012037180A (en) |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co2 removing facility | |
KR20190079235A (en) | Carbon dioxide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
CN218077173U (en) | Coke oven flue gas carbon dioxide capture system | |
CA2894307C (en) | Co2 recovery system | |
WO2013114937A1 (en) | Carbon dioxide recovery system | |
CA2814470C (en) | Co2 recovery system | |
CN215486191U (en) | Device system for capturing energy of carbon dioxide analysis tower by amine method | |
JP2013202612A (en) |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 |
KR101951047B1 (en) | Apparatus for capturing CO2 using chemical solvent | |
CN221376002U (en) | Coal-fired cogeneration system integrating absorption heat pump and carbon trapp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