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965A - Integrated junction structure of continuous type girder and pier - Google Patents
Integrated junction structure of continuous type girder and p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3965A KR20190073965A KR1020170175240A KR20170175240A KR20190073965A KR 20190073965 A KR20190073965 A KR 20190073965A KR 1020170175240 A KR1020170175240 A KR 1020170175240A KR 20170175240 A KR20170175240 A KR 20170175240A KR 20190073965 A KR20190073965 A KR 201900739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bridge
- pier
- girders
- reinforcing ba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들; 하부가 상기 교각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철근들과, 상기 거더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거더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형거더교에서 강결접합철근을 사용하여 교각과 거더를 강결접합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게되므로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의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거더를 공용하는 동안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되고, 유지관리시 교통통제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에 의한 교통차단에 의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유지관리비용이 감소하며, 거더들의 사이 하측면에 저판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거더의 압축강성이 증대되므로, 거더의 교각 지점부에 부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응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거더가 압축파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er; Girder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Reinforced steel rods embedded in the piers at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girders; Intersecting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at an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And a girder block for integrating the girder, the girder, the girder, and the girder, wherein the girder is reinforced to a height above the neutral axis of the gird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 integrated-joint structure in which a pier and a girder are rigidly joined using a rigid-bonded steel bar in a continuous girder bridg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mit the construction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the bridge-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the bridge support can be omitted so that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while the girder is shared and the traffic control during maintenance can be omitted. The cost of maintenance is reduced due to the absence of social costs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Since the compression stiffness of the girder is increased by installing the gird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compression fracture of the girder by efficiently coping with the compressive stress generated by the momentum at the piercing point of the gir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강결접합구조 및 힌지접합구조에 의해 교각과 연속형 거더를 일체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integrated joining structure, and relates to a technique of integrating a pier and a continuous girder by a rigid-joining structure and a hinge-joining structure.
통상의 교량에서 교각 상측에는 교량받침이 설치되고 거더와 거더 사이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In a normal bridge, a bridg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an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상기 교량받침으로 사용되는 탄성받침은 시공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탄성받침은 온도하중에 의한 팽창과 수축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변형된 탄성받침이 회복되지 않아 교대에서 교량과 교대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주행 안정성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또한, 일정기간이 경과한 탄성받침은 부식되거나 경화되어 교체하여야 하는데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유지관리용 점검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고, 아울러 교체에 따른 교통차단 등에 의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한다.The elastic support used as the bridge support incurs costs due to construction. Also, the elastic support is deformed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load, and the deformed elastic support is not recovered, so that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bridge and the alternation in the alternation, which may hinder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bear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been corroded or hardened, it is required to be replaced.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replacement, there arises a cost for installing the maintenance inspection facility. In addition, Social costs increase.
신축이음장치 역시 신축이음장치 시공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신축이음에 의한 주행성이 떨어지고, 신축이음장치 주변이 차량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파손된다. 또한, 일정기간이 경과한 신축이음장치는 교체하여야 하는데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고 아울러 교체에 따른 교통차단 등에 의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한다.Expansion joints also incur costs due to the construction of expansion joints. In addition, the running ability due to the expansion joint is lowered, and the periphery of the expansion joint device is continuously damaged by the vehicle or the like. Also,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expansion / contraction devi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replacement and increases the social cost due to the traffic interruption due to the replacement.
따라서 교각 상측에서 교량받침과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to remove the bridge support and the expansion join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각의 상측에 연속형 거더를 거치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생략하고, 거더와 교각을 일체화 하여 교량받침을 생략할 수 있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integrated joining structure in which a continuous type girder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a pier and a stretch joint is omitted and the girder and the pier are integrated, ≪ / RTI >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는, 교각;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들; 하부가 상기 교각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철근들과, 상기 거더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거더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inuous girder and pier integrated integ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bridge; Girder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Reinforced steel rods embedded in the piers at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girders; Intersecting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at an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And a girder block for integrating the girder, the girder, the girder, and the girder, wherein the girder is reinforced to a height above the neutral axis of the girders And is extended.
또한, 교각과 거더들의 사이에는 거더 거치용 받침대가 구비되어 상기 거더들은 상기 교각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for supporting a girder is provided between the piers and the girders so that the girders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거더들의 사이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 경화되어 상기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저판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ttom plate concrete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lowered between the girders and cured before and after the throttling direction to resist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um of the bridge pier.
또한, 거더는 PSC(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 강재거더, 또는 강합성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girder may be a PSC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 steel girder, or a steel composite girder.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교각;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들; 하부가 상기 교각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철근들과, 상기 거더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거더는 강재 사각박스이고, 상기 교각에 면하는 상기 사각박스의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개구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블럭은 상기 사각박스의 내측에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inuous girder and pier-integrated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Girder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Reinforced steel rods embedded in the piers at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girders; Intersecting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at an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Wherein the girder is a steel rectangular box, and the cross ba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irder by inserting the girder, the girder, the reinforcing bars, the girder, And an opening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rigid-bonded reinforcing bars and the crossbar block are also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tangular box .
또한,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steel-reinforced reinforcing bars may extend beyond the neutral axis of the rectangular box.
또한, 사각박스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측에 형성되는 블록아웃부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전단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ront end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box and inserted into the block ou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또한,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 경화되어 상기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저판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bottom plate concrete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lowered in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box and is cemented before and after the throttling direction and is resistant to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 of the bridge pier.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교각;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전단포켓부; 상기 전단포켓부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부가 매설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며, 상기 교각에 면하는 하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강재 거더인 사각박스들; 상기 개구부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개구보강재;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거더들과, 상기 개구보강재를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inuous girder and pier-integrated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A front end pocke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at; Reinforced stee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at; Square boxe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s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and are steel girders with opening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piers; An opening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 the opening portion; And a crossbar block for integrating the bridge pier,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the girders, and the opening reinforcing member by being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the rigid- As shown in FIG.
또한, 교각과 사각박스들의 사이이면서 상기 전단포켓부의 전후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탄성채움재가 구비되어 상기 사각박스들은 상기 교각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n elastic fill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ridge piers and the rectangular boxes, and before and after the front end pocket portio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and the rectangular boxes are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s.
또한,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 경화되어 상기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저판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bottom plate concrete further includes a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lowered in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box and is cemented before and after the throttling direction and is resistant to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 of the bridge pier.
또한, 가로보블럭과 상기 저판콘크리트 사이에 가로보강재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rizontal stiffener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rossbar block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본 발명을 통해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을 생략하여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거더의 형고를 낮추며, 경간장을 길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expansion joint device and the bridge support,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lowering the girder height, and lengthening the span.
또한,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 공용하는 동안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expansion joint and the bridge support,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saved while being shared.
또한,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의 교체와 같은 유지관리를 위한 교통통제를 하지 않아도 되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re is no social cost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traffic control for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expansion joints and bridge supports.
또한,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받침이 없어 교량의 주행성이 우수하다.Also, since there is no expansion joint or bridge support, the bridge has excellent running characteristics.
또한, 거더들의 사이 하측면에 저판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거더의 압축강성이 증대되어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응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girders, the compression stiffness of the girder is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 of the bridge pier.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PSC U형 거더로 실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PSC I형 거더로 실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강재 I형 거더로 실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사각박스로 실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힌지 접합구조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Figs. 1A to 1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integrated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with a PSC U-shaped girder.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integrated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by a PSC I-type girder.
Figs. 3A to 3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 integrated-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by a steel I-type girder.
4A to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 integrated bon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box.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integrated hing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connected ".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설명한다.1 to 3,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 integrated bonding structure, which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는 교각(10);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20)들; 하부가 상기 교각(10)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20)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30)들;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40)들;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10)과,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과, 상기 가로보철근(40)들과, 상기 거더(20)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50);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은 상기 거더(20)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includes a
교각(10)의 상측에는 거더(20)들이 거치될 수 있다. 거더(20)는 교각(10)의 상측에서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게 즉, 연속형으로 거치될 수 있다. 거더(20)들은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더(20)는 사다리꼴형, 또는 I형의 PSC거더, 강재거더 또는 강합성거더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upper side of the
교각(10)과 거더(20)들의 사이에는 거더 거치용 받침대(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교축방향으로 중앙부에 거더 거치용 받침대(60)가 구비될 수 있다. 거더 거치용 받침대(60)가 구비됨으로써, 거더(20)들이 교각(10)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거더(20)와 교각(10)이 일체화됨과 동시에 일정 이격 공간이 확보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거더(20)의 하측이 교각(10)에 직접 접하지 않게 되므로 거더(20)와 교각(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더 거치용 받침대(60)는 후술하는 가로보블럭(50)의 내측에 매설될 수 있다.A
강결접합철근(30)들은 하부가 교각(10)에 매설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거더(20)들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부는 거더(20)에 매설되어 결합되고 상부는 거더(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거더(20)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가로보블럭(50)에 매설될 수 있다. 강결접합철근(30)들은 거더(20)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강결접합철근(30)은 상측으로 더 연장될수록 거더(20)와 교각(1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강결접합철근(30)들은 교각(10)에 전후좌우로 격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거더(20)들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교각(10)의 상측에 전후좌우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teel-reinforced
교각(10)과 거더(20)의 하면 사이에는 보조철근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교각(10)에 매설되고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어 거더(20)의 하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보조철근들은 거더(20) 하면과 교각(1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보강함으로써 거더(20)가 교대에 견고하게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보조철근들은 상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짧고 거더(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점에서 강결접합철근(30)과 차이가 있다.Auxiliary reinforcing bar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교각(10)의 상측에는 강결접합철근(30)들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보철근(40)이 배근될 수 있다. 즉, 교각(10)의 상측이면서 거더(20)들의 양측에 강결접합철근(30)들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가로보철근(40)들이 배근될 수 있다. 가로보철근(40)은 강결접합철근(30)과 함께 가로보블럭(5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교각(10)의 상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로보블럭(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가로보블럭(50)은 교각(10)과, 강결접합철근(30)들과, 가로보철근(40)들과, 거더(20)들을 일체화함으로써, 거더(20)가 교각(10)에 견고히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구조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하부로 전달될 수 있고, 지진 저항능력이 증대될 수 있다.And the concrete block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거더(20)들의 사이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는 저판콘크리트(70)가 타설될 수 있다. 저판콘크리트(70)의 내부에는 철근들이 배근될 수 있다. 저판콘크리트(70)는 거더(20)의 교각(10) 지점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거더(20)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교량을 장경간화하거나 저형고화할 수 있고, 또한, 거더(2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Th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설명한다.4,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 integrated bon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교각(10);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20)들; 하부가 상기 교각(10)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20)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30)들;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40)들;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10)과,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과, 상기 가로보철근(40)들과, 상기 거더(20)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50);을 포함하고, 상기 거더(20)는 강재 사각박스이고, 상기 교각(10)에 면하는 상기 사각박스의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80)와, 상기 개구부(80)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개구보강재(8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과 상기 가로보블럭(50)은 상기 사각박스의 내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를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 portion not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by analogy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서의 거더(20)는 강재 사각박스일 수 있다. 사각박스의 하면, 즉 교각(10)에 면하는 부분은 개구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80)에는 격자형상의 개구보강재(82)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보강재(82)는 띠 형상의 강재 부재들이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호 용접 결합되고, 또한, 단부에서는 사각박스의 개구부(8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강결접합철근(30)들과 가로보블럭(50)은 사각박스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강결접합철근(30)들은 하부는 거더(20)에 매립 설치되고 상부는 사각박스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교각(10)에 매립 설치된 강결접합철근(30)들은 개구보강재(82)의 띠 형상의 부재들을 관통하거나, 또는 띠 형상의 부재들의 사이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강결접합철근(30)들은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각박스 내측에도 가로보철근(40)이 배근될 수 있다. 강결접합철근(30)들과 가로보블럭(50)이 사각박스의 내측에도 형성됨으로써 교각(10)과 거더(20)의 결합력이 현저히 증가하고, 사각박스의 지점부의 강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가로보블럭(50)의 전후 단부에는 가로보강재격벽(22)이 설치되어 사각박스를 밀폐할 수 있다. 가로보강재격벽(22)은 사각박스 내측의 가로보블럭(50)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지점부의 사각박스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jointed reinforcing
사각박스의 하측면의 하측이면서 교각(10)의 상측에는 블록아웃부(90)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록아웃부(90)에는 전단부재(9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단부재(92)는 사각박스의 하측면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블록아웃부(90) 내측에 삽입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될 수 있다. 즉, 사박박스의 하측면에 전단부재(92)를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하고, 블록아웃부(90)의 내측으로 전단부재(92)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블록아웃부(90)에 전단부재(92)가 매설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각박스가 교각(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A block-out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에는 저판콘크리트(70)가 타설될 수 있다. 저판콘크리트(70)는 교축방향의 전후 부모멘트부에 타설될 수 있다. 따라서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에 타설된 저판콘크리트(70)는 거더(20)의 교각(10) 지점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다.A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설명한다.5, a continuous girder and a pier integrated bon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는 교각(10);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전단포켓부(100); 상기 전단포켓부(100)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부가 매설되는 강결접합철근(30)들;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며, 상기 교각(10)에 면하는 하면에 개구부(80)가 형성된 강재거더인 사각박스들; 상기 개구부(80)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개구보강재(82); 상기 교각(10)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10)과,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과, 상기 거더(20)들과, 상기 개구보강재(82)를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50);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30)들은 상기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더(20)는 강재 사각박스가 사용되고, 거더(20)와 교각(10)은 힌지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described. Unexplained portions can be applied by analogy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교각(10)의 상측에는 전단포켓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전단포켓부(100)는 교축 직각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단포켓부(100)는 삼각, 사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일 수 있다.The front pockets 100 may be formed on the
전단포켓부(100)에는 강결접합철근(30)들이 교축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면서 하부가 교각(10)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강결접합철근(30)의 전후에 교축 직각 방향으로 철근들이 추가로 배근 될 수 있다. 전단포켓부(100)에 설치된 강결접합철근(30)들과 전단포켓부(1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거더(20)가 교각(10)에 견고히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하게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형 거더(20)는 교각(10)의 상측에 견고히 결합되고 전단포켓부(10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각(10)은 거더(20)의 수평력에만 저항한다.The lower ends of the
본 실시예의 강결접합철근(30)들은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전단포켓부(100)에 설치된 강결접합철근(30)들과 전단포켓부(1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교각(10)이 거더(20)에 견고히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하게하기 위함이다The steel-reinforced reinforcing
교각(10)과 사각박스들의 사이이면서 전단포켓부(100)의 전후에는 교축 직각방향으로 탄성채움재(10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채움재(102)는 사각박스를 교각(10)에서 일정 거리 상측으로 이격 거치하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게 할 수 있다. 이는 거더(20)가 전단포켓부(100)를 중심으로 적절히 회전가능하게 할 수 있다. 탄성채움재(102)는 콘트리트가 경화한 후 제거될 수 있다. 탄성채움재(102)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교각(10) 전후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교각(10)과 거더(20)가 힌지구조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The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에는 저판콘크리트(70)가 타설될 수 있다. 저판콘크리트(70)는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될 수 있다. 저판콘크리트(70)는 거더(20)의 교각(10) 지점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로보블럭(50)과 저판콘크리트(70) 사이에는 가로보강재격벽(22)이 설치될 수 있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가로보강재격벽(22)은 사각박스를 밀폐할 수 있다. 가로보강재격벽(22)은 사각박스 내측의 가로보블럭(50)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지점부의 사각박스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transverse
결국, 본 발명은 교각(10)의 상측에 연속되는 거더(20)를 거치하고, 교각(10)에 매립되는 강결접합철근(30)들을 배치하고, 강결접합철근(30)들과 직교하도록 가로보철근(40)들을 배근하며, 이들을 일체화 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거더(20)와 교각(10)을 강결접합 또는 힌지접합하여 신축이음장치와 교량받침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증대되고 시공비용이 절약되며, 사용성이 우수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교각(10)과 거더(20)가 일체화된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stituted or operated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교각
20: 거더
22: 가로보강재격벽
30: 강결접합철근
40: 가로보철근
50: 가로보블럭
60: 받침대
70: 저판콘크리트
80: 개구부
82: 개구보강재
90: 블록아웃부
92: 전단부재
100: 전단포켓부
102: 탄성채움재10: Pier
20: Girder
22: transverse stiffener bulkhead
30: Reinforced steel bars
40: Reinforcing bars
50: crossbar block
60: Stand
70: Low plate concrete
80: opening
82: opening stiffener
90: Block out part
92: front end member
100: shear pocket portion
102: Elastic filler
Claims (12)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들;
하부가 상기 교각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철근들과, 상기 거더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거더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pier;
Girder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Reinforced steel rods embedded in the piers at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girders;
Intersecting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at an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And a crossbar block for integrating the bridge pier,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the crossbar reinforcing bars, and the girders by being placed on the bridge pier and curing the bridge bridge,
Wherein the steel-reinforced reinforcing bars extend beyond the neutral axis of the girders.
상기 교각과 거더들의 사이에는 거더 거치용 받침대가 구비되어 상기 거더들은 상기 교각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irder supporting base is provided between the bridge piers and the girders so that the girders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거더들의 사이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 경화되어 상기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저판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lowered between the girders and cur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throttling direction to resist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um of the bridge point.
상기 거더는 PSC거더, 강재거더, 또는 강합성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irder is a PSC girder, a steel girder, or a steel composite girder.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거더들;
하부가 상기 교각에 매설되고 상기 거더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직교방향으로 배근되는 가로보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철근들과, 상기 거더들을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거더는 강재 사각박스이고,
상기 교각에 면하는 상기 사각박스의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개구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가로보블럭은 상기 사각박스의 내측에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pier;
Girder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Reinforced steel rods embedded in the piers at the lower part and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girders;
Intersecting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at an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And a crossbar block for integrating the bridge pier,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the crossbar reinforcing bars, and the girders by being placed on the bridge pier and curing the bridge bridge,
The girder is a steel square box,
An opening portion opened in a lower face of the rectangular box facing the bridge pier, and an opening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steel-reinforced reinforcing bars and the crossbar blocks are also provided inside the rectangular box.
상기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상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el-reinforced reinforcing bars extend beyond the neutral axis of the square box.
상기 사각박스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교각의 상측에 형성되는 블록아웃부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전단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ront end member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rectangular box and inserted into a block ou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and embedded therein.
상기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 경화되어 상기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저판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placed inside and below the rectangular box and cured before and after the throttling direction to resist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um of the pierce point portion.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전단포켓부;
상기 전단포켓부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부가 매설되는 강결접합철근들;
상기 교각의 상측에 교축방향으로 연속되고,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며, 상기 교각에 면하는 하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강재 거더인 사각박스들;
상기 개구부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는 개구보강재;
상기 교각의 상측에 타설되어 경화함으로써, 상기 교각과, 상기 강결접합철근들과, 상기 거더들과, 상기 개구보강재를 일체화 하는 가로보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강결접합철근들은 상기 사각박스의 중립축 이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pier;
A front end pocke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pier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at;
Reinforced stee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at;
Square boxes which are continuous on the upper side of the piers and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ercing axis and are steel girders with opening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piers;
An opening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 the opening portion;
And a crossbar block for integrating the bridge pier, the rigid-connection reinforcing bars, the girders, and the opening reinforcing member by being placed on the bridge pier and curing the bridge bridge,
Wherein the steel-reinforced reinforcing bars extend below a neutral axis of the rectangular box.
상기 교각과 사각박스들의 사이이면서 상기 전단포켓부의 전후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탄성채움재가 구비되어 상기 사각박스들은 상기 교각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 elastic filler is provided between the bridge piers and the rectangular boxes in front of and behind the front end pocket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ttling direction so that the rectangular box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ridge pier.
상기 사각박스의 내부 하측이면서 교축방향의 전후에 타설 경화되어 상기 교각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저판콘크리트를 더 포함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bottom plate concrete which is placed inside and below the rectangular box and cured before and after the throttling direction to resist compressive stress caused by the momentum of the pierce point portion.
상기 가로보블럭과 상기 저판콘크리트 사이에 가로보강재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거더와 교각 일체화 접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1,
And a horizontal stiffener partition wall is provided between the crossbar block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240A KR102105680B1 (en) | 2017-12-19 | 2017-12-19 | Integrated junction structure of continuous type girder and p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5240A KR102105680B1 (en) | 2017-12-19 | 2017-12-19 | Integrated junction structure of continuous type girder and p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3965A true KR20190073965A (en) | 2019-06-27 |
KR102105680B1 KR102105680B1 (en) | 2020-04-28 |
Family
ID=6705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240A Active KR102105680B1 (en) | 2017-12-19 | 2017-12-19 | Integrated junction structure of continuous type girder and p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56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00802A (en) * | 2020-03-16 | 2020-07-10 |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 design method of main girder joint length of multi-span girder bridge in mountainous area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9816A (en) * | 1999-05-12 | 2000-11-21 | Nippon Steel Corp | Rigid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composite members |
KR200300023Y1 (en) | 2002-09-27 | 2003-01-06 | 전혜관 | multi-span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structure rigidly joined to pier |
JP2003336215A (en) * | 2002-05-23 | 2003-11-28 | Jfe Engineering Kk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between steel girder and reinforced concrete pier |
KR200341057Y1 (en) * | 2003-06-04 | 2004-02-11 | 노윤근 | Negative moment reduc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steel box girder so as to decrease magnitude of negative moment occurred at the continuous supporting points in a steel box continuous bridge |
KR20050067281A (en) * | 2003-12-27 | 2005-07-01 | 송암건설주식회사 | The continuous bridge structure and it's method for negative moment zone on support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
-
2017
- 2017-12-19 KR KR1020170175240A patent/KR1021056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9816A (en) * | 1999-05-12 | 2000-11-21 | Nippon Steel Corp | Rigid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composite members |
JP2003336215A (en) * | 2002-05-23 | 2003-11-28 | Jfe Engineering Kk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between steel girder and reinforced concrete pier |
KR200300023Y1 (en) | 2002-09-27 | 2003-01-06 | 전혜관 | multi-span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structure rigidly joined to pier |
KR200341057Y1 (en) * | 2003-06-04 | 2004-02-11 | 노윤근 | Negative moment reduc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steel box girder so as to decrease magnitude of negative moment occurred at the continuous supporting points in a steel box continuous bridge |
KR20050067281A (en) * | 2003-12-27 | 2005-07-01 | 송암건설주식회사 | The continuous bridge structure and it's method for negative moment zone on support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00802A (en) * | 2020-03-16 | 2020-07-10 |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 design method of main girder joint length of multi-span girder bridge in mountainous are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5680B1 (en) | 2020-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1952B1 (en) | Twin-leaf Arch System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reof | |
KR101377327B1 (en) | Method for reinforcing seismic capability of existing moment frames buildings of reinforced concrete by section enlargement | |
KR101834006B1 (en) |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 |
CN106401021A (en) | Assembly type concrete slotting shear wall | |
CN110670482A (en) | Bolt connecting device between prefabricated bridge decks of assembled bridge | |
KR101011252B1 (en) | Frame of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for Parental Section and Ramen Structure Having the Same | |
KR101962853B1 (en) | Joint for Precast Beam and Columns | |
KR20120033673A (en) | Upper structure of bridge | |
JP5386379B2 (en) | Precast slab joints in bridges | |
KR20150005301A (en) |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ping | |
KR101705002B1 (en) |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44772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90073965A (en) | Integrated junction structure of continuous type girder and pier | |
KR101472027B1 (en) | Method of building concrete structure using attachment plates adjoining ends of concrete beam with walls of abutments | |
KR101779449B1 (en) | A hollow box type steel built up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5318293B1 (en) | Continuous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10180622A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and column-beam joint method | |
KR101580194B1 (en) | Socket member, composite bridg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27188B1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Girder with Fiber Reinforced Plastic Sole with Shear Connector | |
KR102503181B1 (en) | Concrete box girder and bridge using the same | |
KR101936597B1 (en) |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pper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822923B1 (en) | Reinforcement device for connecting part of truss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 |
KR20100045740A (en) | Support assembly for precast half depth cantilever deck, constructing method of such cantilever deck, bridg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for such bridge | |
JP5872332B2 (en)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buildings | |
KR101688440B1 (en) |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