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71967A -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 Google Patents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967A
KR20190071967A KR1020170172931A KR20170172931A KR20190071967A KR 20190071967 A KR20190071967 A KR 20190071967A KR 1020170172931 A KR1020170172931 A KR 1020170172931A KR 20170172931 A KR20170172931 A KR 20170172931A KR 20190071967 A KR20190071967 A KR 2019007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blight
eco
friendly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완
김량환
김효중
Original Assignee
대성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씨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967A/ko
Publication of KR2019007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6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산화초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해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ECO-FRIENDLY PLANT DISEASE CONTROL AGENT CONTAINING PEROXYACETIC ACID}
본 발명은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 효과가 있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토마토 풋마름병은 토양 내에 있는 Ralstonial solanacearum 세균이 상처, 뿌리 끝 및 이차근의 생성 부위를 통하여 토마토에 침입하며 뿌리 피층(cortex)을 통한 세포 내 진전 및 도관의 점유가 이루어짐으로써 나타난다. 토마토 전신에 세균이 파급되며, 그 결과 시들음 증상이 심화된다. 야간 온도가 낮고 습도는 매우 높아지는 현상이 지속될 때 토마토의 잿빛곰팡이병, 역병 및 딸기의 잿빛곰팡이병 등의 식물 병해의 발생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특히 온도가 올라가는 6월 내지 10월의 고온기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
딸기는 육묘 단계에서 탄저병, 위황병 등의 토양 전염성 병해의 발생이 많이 일어나며, 정식 후 본포에서는 위황병 발생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잿빛 곰팡이병과 흰가루병의 발생이 증가한다. 딸기 위황병은 토양 전염성 진균 Fusarium oxysporum f. sp . fragariae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새 잎의 소엽이 누렇게 되고 작아지며 비틀어지거나 안쪽으로 말리는 기형 구조를 갖게 되며, 딸기의 육묘기뿐 아니라 주로 개화기부터 수확기에도 많이 발생된다. 이 병에 감염되면, 딸기의 병든 포기가 위충되고 불량하며 런너의 발생도 적다. 또한, 감염 크라운, 잎자루, 열매자루의 관다발 조직이 갈변되며 뿌리의 갈변 부패도 관찰된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고온성 해충인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과 병해로는 잎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 (sheath blight),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pv . oryzae (bacterial blight)이 빈발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잎 도열병은 거름기가 많은 논에 비가 자주 올 경우 쉽게 발병하는데 병무늬가 생기면 급속히 확산될 우려가 있어 수시로 예찰해 방제해야 한다.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병으로 논에 애멸구가 발생하면 즉시 적용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벼 재배지의 주요병으로 잎집무늬마름병(Rhizoctonia solani)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잎집무늬마름병은 벼 포기의 밑둥인 잎집에서 곰팡이균에 의해 검은 무늬가 생기면서 발생한다. 병 방제를 위해서는 중간 물 떼기를 잘해 주고 병든 줄기가 20% 이상 나타나면 적용약제를 뿌리는 것이 일반적인 방제법이다.
벼 흰잎마름병의 발생은 전국적으로 '01년 918ha에서 '10년에는 11,084ha로 크게 증가했으며 물을 통해 전염되어 7월 중순에서 수확기까지 잎의 상처나 기공을 통해 병원균이 침입해 발생한다. 특히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후에 발생이 증가하며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논은 반드시 깨끗한 물로 걸러내기를 하고 예방위주로 방제하고 있다. 세균성 병원체인 Xanthomonas oryzae pv . oryzae(bacterial blight)와 진균성 병원체인 Rhizoctonia solani(sheath blight)는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와 벼를 재배하는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경제적으로 심각한 손실을 입히고 있으며, 최고 약 70%의 벼 생산량 감소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모든 분야에 있어서 가장 부각되는 키워드는 '친환경 (green)'이다. 국내에서도 환경보존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커지고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먹거리 자체의 품질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토양과 수질 환경을 직접/간접적으로 오염시키는 식물 생육을 위한 필요 이상의 비료의 사용과 병원균 방제를 위한 과도한 농약의 사용이 다음 세대로 물려줄 환경을 황폐하게 하고 있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증가하는 식물 병해 발생을 저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제법들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으며, 주로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 또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처리하여 식물의 병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다양한 기작의 길항 미생물을 도입하여 식물 병원균을 억제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이미 과산화초산 화합물이 친환경적이고 지속적인 시설 원예를 위한 병해충 방제의 대체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과산화초산 및 과산화초산 함유 혼합제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제어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상품화되어 출시된 다양한 예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아직 과산화초산 화합물은 시설 소독용으로 사용되거나 과채류의 과실 수확 후 저장 전에 처리하여 유통 기간을 늘리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병해 방제제로서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114843호는 과산화초산이 첨가된 농약 조성물이 배 흑석병에 뛰어난 방제 효과가 있음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과산화수소와 초산을 일정 함량 포함하는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가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해에 대한 방제에 효율적인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은 과산화초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물, 과산화수소, 초산 및 안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사용 후 초산, 산소, 물 등으로 분해되어 환경 친화적이다.
도 1은 페이퍼 디스크 분석법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의 농도에 따른 토마토 풋마름병균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를 첨가한 영양 배지에서 딸기 위황병균의 균사 생장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페이퍼 디스크 분석법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의 농도에 따른 딸기 위황병균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페이퍼 디스크 분석법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의 벼 병원균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과산화초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물, 과산화수소, 초산 및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안정제는 과산화수소와 초산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과산화초산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으며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산제, 산화방지제 등일 수 있다.
과산화수소와 초산이 반응하여 과산화초산이 아래의 반응식 1과 같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반응식 1]
CH3COOH + H2O2 → CH3COOOH + H2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향료 등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 물질, 또는 다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와 같은 병해 방제 물질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에 포함되는 물의 양은 반응 및 혼합이 잘 일어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농약 또는 병해 방제제 등의 제제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증류수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해에 대한 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 토마토 풋마름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제의 과산화초산의 농도가 각각 800, 1,600, 2,400, 3,200 및 4,000 ppm이 되도록 희석시킨 방제제를 이용하여 토마토 풋마름병균(Ralstonial solanacear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방법에 따라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과산화초산의 농도 의존적으로 큰 생장 저지환이 나타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토마토 풋마름병균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딸기 위황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 1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제의 과산화초산의 농도가 각각 20, 40, 60, 및 80 ppm이 되도록 희석시킨 방제제를 이용하여 딸기 위황병균(Fusarium oxyspor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첨가하여 배지를 만든 후 위황병균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배지 중앙에 접종, 배양하여 방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과산화초산의 농도 의존적으로 딸기 위황병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균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딸기 위황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 2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제의 과산화초산의 농도가 각각 800, 1,600, 2,400, 3,200 및 4,000 ppm이 되도록 희석시킨 방제제를 이용하여 딸기 위황병균(Fusarium oxysporum)에 대한 방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방법에 따라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과산화초산의 농도 의존적으로 큰 생장 저지환이 나타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균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벼 흰잎마름병 및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제의 과산화초산의 농도가 각각 32, 1,600, 8,000, 40,000 ppm이 되도록 희석시킨 방제제를 이용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 진균(Rhizoctonia solani)과 벼 흰잎마름병균(Xanthomonas oryzae)에 대한 방제 효과를 각각 관찰하였다.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방법에 따라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 (a)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진균에 대한 페이퍼 디스크 방법에 따른 생장 저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b)는 벼 흰잎마름병균에 대한 페이퍼 디스크 방법에 다른 생장 저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과산화초산의 농도 의존적으로 큰 생장 저지환이 나타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 및 벼 흰잎마름병균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과산화초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로서,
    상기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딸기 위황병, 토마토 풋마름병, 벼 흰잎마름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병해 방제제는 물, 과산화수소, 초산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KR1020170172931A 2017-12-15 2017-12-15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Ceased KR20190071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31A KR20190071967A (ko) 2017-12-15 2017-12-15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931A KR20190071967A (ko) 2017-12-15 2017-12-15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67A true KR20190071967A (ko) 2019-06-25

Family

ID=6706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931A Ceased KR20190071967A (ko) 2017-12-15 2017-12-15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9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3921B1 (en) A new antifungal composition
WO2018102345A1 (en) Use of the antifungal aureobasidin a in agriculture
JP6573553B2 (ja) 有益微生物を活用した水耕栽培方法
CN109805017B (zh) 一种杀真菌组合物及其应用
KR101253712B1 (ko) 식물병원균 예방 및 방제용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 및 식물 생육 촉진 방법
Ganiyu et al. Evaluation of integrated management of bacterial wilt of tomato using grafting, biofumigant and plant resistance activator under field conditions
US20070093387A1 (en) Anti-microbial/anti-viral composition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JP5563761B2 (ja) 植物病害防除効果を有する新規糸状菌含有組成物
Bika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reduced-risk fungicides and biorational products in management of postharvest botrytis blight on bigleaf hydrangea cut flowers
EP2389806A2 (en) A natur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lant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DK3003047T3 (en) MICROBIAL AGRICULTURE
Youssef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fungal species associated with guava fruit drop disease and possible management
CN114641206B (zh) 用作杀菌剂的植物检疫组合物
KR20190071967A (ko) 과산화초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병해 방제제
CN107318865A (zh) 克菌丹和呋吡菌胺复配的农药组合物
Sharma et al. Compatibility study of Trichoderma isolates with fungicides against damping-off of cauliflower and tomato caused by Pythium aphanidermatum
Gañán-Betancur et al. Essential oils for managing anthracnose in mango (Mangifera indica): laboratory results do not translate into field efficacy
KR20050033999A (ko) 신규 식물 외생 길항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퓨티다 cb11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진균성 미생물 살균제
JP5223132B2 (ja) 植物の病原菌感染抑制剤及び病原菌感染抑制方法
WO2005019436A1 (en) Trichoderma composition
CN109645038A (zh) 一种可用作无残留绿色生态农药的组合物
KR20180127894A (ko) 히노키티올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1439151B2 (en) Process for treating an agricultural medium
Kumari et al. Effect of vase solution on value addition and Vase-Life of tinted tuberose (Polianthes tuberosa L.) cv. prajw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