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040A -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driveway change of preceding vehicle - Google Patents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driveway change of preceding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7040A KR20190067040A KR1020170167028A KR20170167028A KR20190067040A KR 20190067040 A KR20190067040 A KR 20190067040A KR 1020170167028 A KR1020170167028 A KR 1020170167028A KR 20170167028 A KR20170167028 A KR 20170167028A KR 20190067040 A KR20190067040 A KR 201900670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e
- preceding vehicle
- vehicle
- width
- inter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6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54—Approaching an inter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 G06K9/0079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2—Longitudinal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5—Intention, e.g. lane change or imminent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58—Approaching inter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할 때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하는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함에 따라 자차량이 의도하지 않는 차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centered cruise assis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e-assisted cruise control system for a la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center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change of a lane of a vehicle by an unintended vehicle as the preceding vehicle changes a lane.
최근 들어, 차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안정성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시스템들이 발전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vehicle technology has developed, various control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이러한 다양한 제어 시스템들 중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이하 'LKA'라 함)은, 도로주행 시에 차선을 카메라로 인식하여 도로의 형상과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작은 조작력을 주어 전동식 조향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 이하 'MDPS'라 함)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Among these various control systems, the Lane Keeping Assis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LKA") recognizes a lane as a camera when driving on the road and gives a small operation for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ad and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Is a system for controlling a steering device (Motor Driven Power Stee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MDPS").
이러한 LKA는 차선 이탈시 MDPS의 반력 제어를 통해 차량의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is LKA provides a function to prevent the lane departure of the vehicle through the reaction force control of the MDPS in the lane departure.
한편, 고속도로 주행 보조 시스템(Highway Driving Assist System, 이하 'HDA'라 함)은 고속도로상에서 차선 기반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한다.Meanwhile, a Highway Driving Assis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HDA) controls the driving of a vehicle on a lane basis on a highway.
그런데, HDA는 고속도로에서 차선 기반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함으로써 차선 조건이 불리한 일반도로(차선 훼손, 교차로에서 차선 끊김 등)에서 차량 주행을 제어하기 곤란하다. HDA는 일반도로에 적용하는 경우에 차선 기반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하기 때문에 빈번하게 차량 주행 제어가 해제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However, it is difficult for HDA to control the driving of a vehicle on a general road (lane-breaking, lane-breaking at an intersection, etc.) where the lane conditions are unfavorable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on the lane basis on the highway. Since the HDA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lane when it is applied to the general road, the situation that the vehicle driving control is frequently released can occur.
이와 같이, LKA와 HDA는 차선 기반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하므로, 차량 주행 제어가 빈번하게 해제되지 않고 차량 주행 제어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차선이 인식되지 않을 때 선행차량의 주행 경로를 기반으로 MDPS의 조향 제어를 실시하는 선행차량 경로 추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Thus, since LKA and HDA control lane-based driving,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way to maintain continuity of vehicle driving control without frequently releasing the vehicle driving control. To this end, a preceding vehicle path following function may be used, which performs steering control of the MDPS bas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preceding vehicle when the lane is not recognized.
선행차량 경로 추종 기능의 경우에는 선행차량이 차선을 변경할 때 자차량이 의도하지 않은 차로 변경을 진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자차량과 변경된 차선에서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 충돌 위험성이 존재한다.In the case of the preceding vehicle path following function,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subject vehicle and another vehicle in the changed lane, because the preceding vehicle needs to proceed to the unintended vehicle when the preceding vehicle changes the lane.
따라서, 종래에는 선행차량 경로 추종 기능이 수행될 때, 즉, 차선이 끊기는 교차로에서 선행차량의 차선을 변경할 때를 대비해 자차량과 다른 차량과의 충돌 위험을 고려하여 차량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in the past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subject vehicle and another vehicle in case the preceding vehicle path following function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lane of the preceding vehicle is chang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lane is broken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할 때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하는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함에 따라 자차량이 의도하지 않는 차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a preceding vehicle from follow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by checking a state in which a preceding vehicle changes a lane when perform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e-centered cruise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which a change to a preceding vehicle lane is conside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은, 차량 전방의 주행 도로 및 선행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의 차선 인식 결과에 따라, 자차량의 예상 경로에 대한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하여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LFA(Lane Following Assist System) 컨트롤러; 및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자차량 주행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 lane-centered cruising assist system considering a change to a preceding car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running road ahead of the vehicle and a preceding vehicle; A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LFA) controller for perform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by sett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nsverse range with respect to a predicted path of the subject vehicle according to the lane recognition result of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nd an actuator for maintaining the sub-vehicle running state a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is performed.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선행차량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The LFA controller may be to release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when the preceding vehicle leave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는 경우에 차선 중앙을 따라 상기 자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선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LFA controller performs a lane-based vehicle track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of the subject vehicle along a center of a lane when a lane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section, And may perform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when the lane is not recogniz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차량의 주행 경로상에서 상기 자차량이 통과하는 교차로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ion device may be provided to provid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n intersection through which the child vehicle passes on a traveling route of the child vehicle.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LFA controller may set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verse rang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subject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축소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지 않으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증대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LFA controller sets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to a virtual lane width reduced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and if the preceding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an intersection, And to set the width of the following traverse range to an increased virtual lane width with respect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상기 액추에이터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actuator may be any one of an EMS (Engine Management System), an 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and an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행차량의 현재 속도 또는 거리를 측정하여 선행차량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선행차량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monito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ceding vehicl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preceding vehicle state by measuring a current speed or a distance of the preceding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은, 차량 전방의 주행 도로 및 선행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의 차선 인식 결과에 따라, 자차량의 예상 경로에 대한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하여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lane central driving assistance method considering a change to a preceding vehicle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hotographing a driving road ahead and a preceding vehicle; And perform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by sett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nsverse range with respect to a predicted path of the subject vehicle according to a lane recognition result of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행 단계 이후에, 상기 선행차량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performing step, releasing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when the preceding vehicle deviates from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nsverse rang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 단계 이후에,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면, 차선 중앙을 따라 상기 자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선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ane is recognized in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after the photographing step, performing a lane-based vehicle track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of the child vehicle along the center of the lane .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행 단계 이전에, 상기 자차량의 주행 경로상에서 상기 자차량이 통과하는 교차로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performing step, check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through which the child vehicle passes on the traveling route of the child vehicle may be checked.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performing step may be to set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subject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상기 수행 단계는, 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축소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지 않으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증대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Wherein said executing step sets the width of said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to a virtual lane width reduced to a last recognized lane width when said informative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and if said preceding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an intersection, And to set the width of the following traverse range to an increased virtual lane width with respect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본 발명은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할 때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하는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함에 따라 자차량이 의도하지 않는 차로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ceding vehicle follow-up function is performed, the preceding vehicle follow-up function is canceled by confirming the state in which the preceding vehicle changes the lane,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being changed to an unintended vehicle .
또한, 본 발명은 차로 내 전체 영역에서 MDPS 협조 제어를 통한 차선 가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일반도로에서도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ne guidance function through MDPS coordination control in the whole area within a lane, and can provide a function to operate not only on a highway but also on an ordinary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도 1의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의 차량 제어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예상시나리오에 따른 LFA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of a lane central driving assis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aking into consideration a change to a preceding vehicle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to 2C are views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function of the lane-centered cruising assist system of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F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anticipated scenario,
FIG. 5 is a view showing a lane central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aking into consideration a change in a preceding vehicle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terms of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of the elem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lso, as used herein, the term "part "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part "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part (s) "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 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parts "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도 1의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의 차량 제어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lane-centered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consideration of a change to a preceding-vehicle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show a vehicle-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이하 '차선 중앙 보조 시스템'이라 함)(100)은, 양측 두 차선 주변영역에 대한 제어영역을 차로 내 전체 영역으로 확대하여 차량이 차선 중앙을 추종하도록 가이드하여 운전자에게 주행 편의성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 a lane central driving assist system and its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ane central assist system') 100 considering a change to a preceding vehicle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area for the area is extended to the entire area within the lane, thereby guiding the vehicle to follow the center of the lane, thereby providing the driver with driving convenience.
이러한 차선 중앙 보조 시스템(Lane Following Assist System, LFA)(100)은 LKA 및 HDA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LKA는 차선 이탈시에 MDPS 반력 제어를 통해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면,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로 내 전체 영역에서 MDPS 협조 제어를 통한 차선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HDA는 고속도로에서만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에,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일반도로에서도 작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HDA는 차선 기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대비 차선 조건이 불리한 일반도로(예를 들어, 차선 훼손, 차선이 끊어진 교차로 등)에서 차량 제어 기능이 빈번하게 해제될 수 있다.The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LFA) 100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when comparing LKA and HDA. That is, if the LKA provides a function to prevent lane departure by controlling the MDPS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lane departure, the lane central support system 100 provides the lane guidance function through the MDPS coordinated control in the entire area of the lane. And while the HDA provides functionality that only operates on the highway, the lane central assist system 100 provides functionality that also works on public roads. However, since the HDA provides lane-based control functions, the vehicle control function can be frequently released on a public road (for example, lane-breaking, lane-breaking intersection, etc.)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이 존재하는 경우와 차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 주행을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lane-centered driving assist system 1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hicle as follows when there is a lane and when there is no lane.
먼저,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이 존재할 때, 차선 기반 추종 기능을 통해 추종 목표 경로로서 '차선 중앙'으로 자차량(10)의 차량 주행을 제어한다(도 2a 참조).First, when there is a lane, the lane-center assist system 100 controls the lane-based follow-up function to drive the
또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이 존재하지 않을 때(차선 훼손 또는 차선이 끊어진 교차로 등), 선행차량 기반 추종 기능을 통해 추종 목표 경로로서 '선행차량 주행 경로'로 자차량(10)의 차량 주행을 제어한다(도 2b 참조). 이때,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추종 목표 경로로서 '선행차량 주행 경로'에 따라 차량 주행을 제어할 때, 선행차량(20)이 차선을 변경하면 자차량(10)도 차선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면, 자차량(10)은 변경된 차선에서 사전에 주행중인 다른 차량(30)과 충돌 위험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도 2c 참조).When the lane-centered cruising assistant system 100 does not have a lane (such as an intersection where a lane is broken or a lane has been broken) (See Fig. 2B). At this time, when the lane-directed central cruising assistant system 100 controls the vehicle running according to the 'preceding vehicle traveling route' as the follow target path, when the preceding
그런데,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도 2c와 같은 경우에, 선행차량(20)이 차선을 변경하여도 자차량(10)이 의도하지 않은 차로 변경을 방지함으로써, 선행차량(20)의 차로 변경에 따라 자차량(10)이 변경된 차선에서 사전에 주행중인 다른 차량(30)과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2C, when the preceding
이처럼,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의 종방향으로 감가속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차선의 횡방향으로 MDPS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차선 안내 기능을 수행한다.Thus, the lane-center assist system 100 performs the lane guidance function to perform the MDPS steering control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ane, instead of performing the deceleration contro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영상촬영부(110), 선행차량 감시부(120), 네비게이션 장치(130), LFA 컨트롤러(140), 액추에이터(150), 표시장치(160)를 포함한다.1, the lane-center assist system 100 includes an
영상촬영부(110)는 차량 전방의 주행 도로 영상 및 선행차량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영상촬영부(1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촬영부(110)는 CCD 또는 CMOS 소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연산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선행차량 감시부(120)는 선행차량의 현재 속도 또는 거리를 측정하여 선행차량 상태를 감시한다. 이러한 선행차량 감시부(120)는 레이더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행차량 감시부(120)는 레이더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연산하는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ceding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자차량의 주행 경로상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정보는 주행 경로상에서 자차량이 통과하는 교차로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The
LFA 컨트롤러(14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의 차선 인식 결과에 따라 차량 추종 기능을 구분하여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한다.The
먼저, LFA 컨트롤러(14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면(도 2a의 경우), 인식된 차선에 기초하여 차로 내 차선 중앙을 따라 자차량(10)이 벗어나지 않도록 자차량(10)의 주행을 제어한다. 즉, LFA 컨트롤러(140)는 추종 목표 경로를 '차선 중앙'으로 설정하여 차선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한다.First, when the lane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section 110 (in case of FIG. 2A), the
다음으로, LFA 컨트롤러(14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지 않으면(도 2b의 경우), 영상촬영부(110)에 촬영된 영상 정보에 따라 선행차량(20)을 인식하고, 인식된 선행차량(20)에 기초하여 선행차량(20)의 주행 경로를 따라 자차량(10)의 주행을 제어한다. 즉, LFA 컨트롤러(140)는 추정 목표 경로를 '선행차량 주행 경로'로 설정하여 선행차량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즉,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한다.Next, if the lane is not recognized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section 110 (in the case of FIG. 2B), the
그런데,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할 때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함에 따라 자차량이 의도하지 않는 차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하려는 상태를 확인하여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한다.The
이를 위해,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할 때 자차량의 예상경로를 산출한 다음,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예상경로에 대한 횡범위'(이하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라 함)를 설정한다. To this end, the
여기서,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 설정에 앞서,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기준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자차량의 예상경로를 산출하고, 횡범위의 폭을 결정하기 위해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를 판단한다.Here, before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setting, the
구체적으로, LFA 컨트롤러(140)는 우선 최종 차선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지막 인식 차선의 곡률 기반으로 자차량의 예상 경로를 산출한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LFA 컨트롤러(140)는 네비게이션 장치(130)로부터 확인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통해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를 판단한다. LFA 컨트롤러(140)는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상이하게 설정한다. Then, the
즉,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는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때,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d1% 축소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된다. 이는 교차로에서 선행차량 추종 범위를 제한하여 자차량의 교차로 통과시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That i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is set to a virtual lane width reduced by d1% of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This is to limit the range of the preceding vehicle in the intersection so as to improve the running safety of the vehicle when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또한,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는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지 않을 때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d2% 증대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된다. 이는 차선이 훼손된 곡선로에서의 선행차량 추종 범위를 확대하여 선행차량 경로 추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is set to a virtual lane width increased by d2% with respect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when the subject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the intersection. This is to improve the followability of the leading vehicle path by widening the range of the preceding vehicle in the curved road in which the lane is broken.
도 3을 참조하면,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A)는 예상경로를 기준으로, 마지막 인식 차선 폭(D)에 대해 가상 차선폭의 축소량(D×d1%)또는 증대량(D×d2%)이 적용되어 결정된다. 도 3은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3,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A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reduction amount (D 占 d1%) or the increase amount (D 占 d2%) of the virtual lane width with respect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D, ) Is applied and determined.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이에 따라,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이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 내에 있으면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유지하고, 선행차량이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면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한다. 여기서, 선행차량이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는 것은 자차량 또는 선행차량의 차로 변경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LFA 컨트롤러(140)는 자차량 주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고, 자차량 주행 상태를 표시장치(160)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150)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MDPS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장치(160)는 클러스터(cluster)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감시부(120)에 의해 감시된 선행차량 감시 정보에 따라 선행차량(20)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한다.Further, the
도 4는 예상시나리오에 따른 LFA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F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anticipated scenario.
도 4를 참조하면, LFA 컨트롤러(140)는 예상경로가 실제 차로와 일치하는 경우와 실제 차로와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를 구분하고, 선행차량이 차로를 유지하는 경우와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를 구분함에 따른 예상 시나리오에 따라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4, the
먼저, 예상경로가 실제 차로와 일치하고, 선행차량이 차로를 유지하는 경우에(예상 시나리오 1),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선행차량이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정상적으로 제어한다.First, when the predicted path coincides with the actual lane and the preceding vehicle maintains the lane (anticipated scenario 1), the
또한, 예상경로가 실제 차로와 오차가 발생하고, 선행차량이 차로를 유지하는 경우에(예상 시나리오 2),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선행차량이 이탈하기 때문에,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한다. 다만, 예상 시나리오 2일 때, 기존에는 선행차량이 차로를 유지하여 주행하므로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정상적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dicted path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lane, and the preceding vehicle maintains the lane (expected scenario 2), since the preceding vehicle follow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the
한편, 예상경로가 실제 차로와 일치하고,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에(예상 시나리오 3),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선행차량이 이탈하기 때문에,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dicted path coincides with the actual lane and the preceding vehicle changes the lane (expected scenario 3), the
그리고, 예상경로가 실제 차로와 오차가 발생하고,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에(예상 시나리오 4), LFA 컨트롤러(140)는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선행차량이 이탈하기 때문에,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한다. When the predicted path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lane and the preceding vehicle changes the lane (expected scenario 4), the
다만, 예상 시나리오 3 및 4일 때, 기존에는 선행차량이 차로를 변경함에 따라 자차량도 의도하지 않게 차로를 변경함으로 인해 변경된 차로상에 이미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의 충돌 위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which is already running on the changed lane due to the unintentional change of the lane by the preceding vehicle as the preceding vehicle changes the lane when the scenarios 3 and 4 are estima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lane central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aking into consideration a change in a preceding vehicle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서 차선을 인식하여 차선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201).First, the lane-directed center aiding system 100 recognizes a lane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이때,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이 존재하면 차선 기반 추종 기능을 제어한다(S202). 즉,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추종 목표 경로를 차선 중앙으로 설정하여 차선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lane-center assist system 100 controls the lane-based follow-up function when there is a lane (S202). That is, the lane-centered cruising assistant system 100 sets the follow target path to the center of the lane so as to perform the lane-based vehicle following function.
그리고,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차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를 확인함에 따라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한다(S203 내지 S205). Then, the lane-directed center aiding system 100 set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up range (S203 to S205) by confirming whether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when no lane exists.
즉,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면(S203), 예상 경로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차선 폭 대비 d1% 축소된 가상 차선폭을 설정하여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한다(S204). 반면에,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지 않으면(S203), 예상 경로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차선 폭 대비 d2% 증대된 가상 차선폭을 설정하여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한다(S205).That is, when the host vehicle A is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S203), the lane-directed central-roadside assistance system 100 calculates a predicted path and sets a hypothetical lane width reduced by d1% (S204). On the other hand, if the host vehicle 100 does not pass the intersection (S203), the estimated route is calculated and the virtual lane width increased by d2% with respect to the lane width is set as a reference, (S205).
이후,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기반으로 하여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한다(S206). 그리고,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선행차량이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는지를 확인한다(S207). 이때,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100)은 선행차량이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면(S207),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한다(S208).Thereafter, the lane central assist system 100 performs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based on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S206). Subsequently, the lane-of-center assist system 100 confirms whether the preceding vehicle deviates from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S207). At this time, when the preceding vehicle deviates from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S207), the lane central assist system 100 release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S208).
일부 실시 예에 의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Although the foregoing is directed to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applicable to various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delet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in form and detai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re embrac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영상촬영부
120 : 선행차량 감시부
130 : 네비게이션 장치
140 : LFA 컨트롤러
150 : 액추에이터
160 : 표시장치110: image capturing unit 120:
130: navigation device 140: LFA controller
150: actuator 160: display device
Claims (14)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의 차선 인식 결과에 따라, 자차량의 예상 경로에 대한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하여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LFA(Lane Following Assist System) 컨트롤러; 및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자차량 주행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An image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traveling road ahead of the vehicle and a preceding vehicle;
A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LFA) controller for perform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by sett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nsverse range with respect to a predicted path of the subject vehicle according to the lane recognition result of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nd
An actuator for maintaining the subordinate vehicle running state a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is performed;
A lane-centered cruise assist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changes to the preceding vehicle lane.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선행차량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하는 것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FA controller includes:
Wherein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is canceled when the preceding vehicle departs from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는 경우에 차선 중앙을 따라 상기 자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선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FA controller includes:
A lane-based vehicle track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of the subject vehicle along a center of a lane when a lane is recognized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Wherein the preceding vehicle follow-up function is performed when a lane is not recognized in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상기 자차량의 주행 경로상에서 상기 자차량이 통과하는 교차로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avigation device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n intersection through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traveling route of the vehicle;
The lane-centered crui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설정하는 것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FA controller includes:
And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is se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subject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상기 LFA 컨트롤러는,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축소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지 않으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증대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는 것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FA controller includes:
And setting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as a reduced virtual lane width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when the subject vehicle passes the intersection,
And sets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to an increased virtual lane width with respect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if the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the intersection.
상기 액추에이터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중 어느 하나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ctuator comprises:
A lane-centered cruise assistance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changes to the preceding vehicle, EMS (Engine Management System), 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or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상기 선행차량의 현재 속도 또는 거리를 측정하여 선행차량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선행차량 감시부;
를 더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eceding vehicle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preceding vehicle state by measuring a current speed or a distance of the preceding vehicle;
The lane-centered crui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의 차선 인식 결과에 따라, 자차량의 예상 경로에 대한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설정하여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
Photographing a running road ahead of the vehicle and a preceding vehicle; And
Perform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by setting a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nsverse range with respect to a predicted path of the subject vehicle according to the lane recognition result of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A method of assisting a lane-center driving considering a change to a preceding vehicle lane.
상기 수행 단계 이후에, 상기 선행차량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선행차량 추종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Disabling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function when the preceding vehicle leaves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transverse range after the performing step;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촬영 단계 이후에,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차선이 인식되면, 차선 중앙을 따라 상기 자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차선 기반의 차량 추종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Performing a lane-based vehicle track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of the subject vehicle along the center of the lane when the lane is recognized i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fter the photographing step;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수행 단계 이전에, 상기 자차량의 주행 경로상에서 상기 자차량이 통과하는 교차로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onfirm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n intersection through which the child vehicle passes on the traveling route of the child vehicle before the performing step;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설정하는 것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erforming step comprises:
And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is set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subject vehicle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us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축소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고,
상기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하지 않으면, 상기 선행차량 추종 횡범위의 폭을 마지막 인식 차선 폭 대비 증대된 가상 차선폭으로 설정하는 것인 선행차량 차로 변경을 고려한 차선 중앙 주행 보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erforming step comprises:
And setting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as a reduced virtual lane width to the last recognized lane width when the subject vehicle passes the intersection,
Wherein if the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an intersection, the width of the preceding vehicle following lateral range is set to an increased virtual lane width with respect to a last recognized lane wid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028A KR20190067040A (en) | 2017-12-06 | 2017-12-06 |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driveway change of preceding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028A KR20190067040A (en) | 2017-12-06 | 2017-12-06 |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driveway change of preceding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7040A true KR20190067040A (en) | 2019-06-14 |
Family
ID=6684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7028A Ceased KR20190067040A (en) | 2017-12-06 | 2017-12-06 |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driveway change of preceding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67040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91096A (en) * | 2019-12-20 | 2020-05-01 | 深圳市中天安驰有限责任公司 | Vehicle deviation decis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vehicle |
CN111967163A (en) * | 2020-08-27 | 2020-11-20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Vehicle simul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US20210284148A1 (en) * | 2020-03-13 | 2021-09-16 | Honda Motor Co., Ltd. | Travel control apparatus,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CN113677581A (en) * | 2019-11-29 | 2021-11-19 |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 Lane keeping method, vehicle-moun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
KR20210144123A (en) * | 2020-05-21 | 2021-11-30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evalutating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for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0330A (en) | 2016-04-21 | 2017-10-31 | 송경희 | Flow rate calculation method incident to rotation velocity and head-setting in water supply pressurizing booster pump system |
-
2017
- 2017-12-06 KR KR1020170167028A patent/KR20190067040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0330A (en) | 2016-04-21 | 2017-10-31 | 송경희 | Flow rate calculation method incident to rotation velocity and head-setting in water supply pressurizing booster pump system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77581A (en) * | 2019-11-29 | 2021-11-19 |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 Lane keeping method, vehicle-moun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
CN113677581B (en) * | 2019-11-29 | 2024-10-25 | 驭势(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 Lane keeping method,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CN111091096A (en) * | 2019-12-20 | 2020-05-01 | 深圳市中天安驰有限责任公司 | Vehicle deviation decis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vehicle |
CN111091096B (en) * | 2019-12-20 | 2023-07-11 | 江苏中天安驰科技有限公司 | Vehicle deviation decis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vehicle |
US20210284148A1 (en) * | 2020-03-13 | 2021-09-16 | Honda Motor Co., Ltd. | Travel control apparatus,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US12291201B2 (en) * | 2020-03-13 | 2025-05-06 | Honda Motor Co., Ltd. | Travel control apparatus,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KR20210144123A (en) * | 2020-05-21 | 2021-11-30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evalutating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for vehicle |
CN111967163A (en) * | 2020-08-27 | 2020-11-20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Vehicle simul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231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e path of vehicle | |
KR20190067040A (en) | Lane follow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considering the driveway change of preceding vehicle | |
US1066510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JP4933962B2 (en) | Branch entry judgment device | |
US10121376B2 (en) | Vehicle assistance | |
CN110371125B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travel path of a vehicle | |
JP6791093B2 (en) |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automatic driv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s | |
KR10207235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keeping | |
CN110371116B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vehicle | |
KR102629625B1 (en) | Driving lane changing apparatus and driving lane changing method | |
JP6536852B2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 |
US9764738B2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 |
KR2018000952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 |
JP2018522770A (en) | Predictive control of vehicles | |
CN110447057B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US20150151757A1 (en) |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During Fully Automatic Vehicle Guidance | |
WO2016189649A1 (en) | Vehicle stop position setting device and method | |
EP3434546A1 (en) | Sensor failure compensation system for an automated system vehicle | |
JP2019156193A (en) | Vehicle controller | |
US10259322B2 (en) | Roundabout detecting arrangement | |
JP5202741B2 (en) | Branch entry judgment device | |
JP2019040427A (en) | Driving support device, arithmetic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 |
JP201814229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
WO2018230152A1 (en) | Driving assistance device, driving assistance system,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 |
JP6575451B2 (en) |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1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2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