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64979A -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979A
KR20190064979A KR1020170164361A KR20170164361A KR20190064979A KR 20190064979 A KR20190064979 A KR 20190064979A KR 1020170164361 A KR1020170164361 A KR 1020170164361A KR 20170164361 A KR20170164361 A KR 20170164361A KR 20190064979 A KR20190064979 A KR 2019006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injection
curvature
propylene
reac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372B1 (ko
Inventor
최인혁
한기도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3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1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alogens
    • C07C17/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alogens to unsaturated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6Nozzle-type reactors, i.e. the distribution of the initial reactants within the reactor is effected by their introduction or injection throug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19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194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 B01J2219/1941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circular or disk-shaped
    • B01J2219/1942Details relating to the geometry of the reactor round circular or disk-shaped spher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가 개시된다.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는, 내부에 반응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반응 공간에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주입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연결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좌우 대칭되는 반응 바디와, 주입구를 통해 반응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응 공간의 내부에 반응물을 주입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반응물 주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VAPOR CHLORINATED REACTOR APPARATUS FOR PROPYLENE}
본 발명은 염화 알릴의 수율이 향상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화 알릴(Allyl chloride, ALC)은 프로필렌과 염소를 고온에서 기상 반응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프로필렌과 염소의 기상 반응은 300℃에서 기상 반응하기 시작하여 불순물이 발생된다.
따라서, 기상 반응 과정에서 불순물 생성을 억제하여 염화 알릴의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프로필렌과 염소의 혼합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염화 알릴과 불순물의 생성 비율은 반응기 내부에 형성되는 온도 분포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반응기 내부의 기상 반응 과정에서 온도 분포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 반응기는, 캔 형상의 원통형으로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는, 저온의 온도영역에서 주로 생성되는 1,2-DCPa((1,2-dichloropropane)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반응기로 주입된 주입물의 온도를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온의 반응물을 주입하는 것은 코크스(cok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반응기 내부에서 코크스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반응기 내부에서 자발열 반응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생된 열을 주입물에 공급하여 주입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백 믹싱(back-mixing)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캔 형상으로 바닥면에 수평 상태로 설치된 종래 반응기에서는 백 믹싱 과정에서 반응기의 상부와 하부 영역에서 균일한 내부 동적 특성(profile)이 형성되지 않는 바, 진동과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응기의 주입구 부분에서 와류가 생성되는 바, 반응기의 내부 반응 공간에서 부드러운 유속 흐름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반응기의 주입구 부분이 코크스에 의해 폐쇄되는 등의 문제점 발생으로 염화 알릴의 수율 저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 또는 공명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염화 알릴(Allyl chloride)의 수율 향상이 가능한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반응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반응 공간에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주입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연결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좌우 대칭되는 반응 바디와, 주입구를 통해 반응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응 공간의 내부에 반응물을 주입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반응물 주입기를 포함한다.
반응 바디는, 주입구가 형성된 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 곡률로 형성되어 반응 바디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반응부와, 제1 반응부에 연결되어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로 형성되어 반응 바디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제2 반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응부는 타원형의 제1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응부는 반구형의 제2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률과 제2 곡률은 1:1 내지 5:1,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4:1 보다 바람직하게는 2:1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반응물 주입기는, 반응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반응물이 이동되는 주입 유로가 형성된 주입 바디와, 주입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며 반응물이 반응 공간의 내부로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은, 프로필렌을 분사하는 노즐과 염소를 분사하는 노즐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노즐은 주입 바디의 단부에 돌출된 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노즐은 주입 유로로부터 굴곡된 상태로 연결되어 콘부의 외측으로 반응물을 방사상으로 분사할 수 있다.
프로필렌을 분사하는 노즐과 염소를 분사하는 노즐의 개수는 각각 2개 내지10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염화 알릴(Allyl chloride)이 제조되는 반응 바디를 구성하는 제1 반응부와 제2 반응부를 각각 타원형과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균일한 내부 동적 특성(profile)이 가능하도록 하여 반응 과정에서 진동 또는 공명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바디를 타원형과 반구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반응 공간에서 부드러운 유속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반응기 자체적으로 발생된 열을 주입물에 공급하여 주입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백 믹싱(back-mix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발열 반응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생성물이 자체적으로 주입물의 온도를 증가시켜 불순물이 생길 수 있는 저온 영역이 줄어들게 함으로써 염화 알릴의 수율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바디의 내부에 프로필렌과 염소의 반응물을 주입하는 분사 노즐을, 프로필렌을 분사하는 4개의 노즐과 염소를 분사하는 4개의 노즐로 각각 형성하는 바, 염화 알릴의 수율 향상이 최적화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의 내부에서 반응물이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이 형성된 반응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사 노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에서 프로필렌과 염소의 반응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의 내부에서 반응물이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100)는, 내부에 반응 공간(11)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반응 공간(11)에 연통되는 주입구(12)가 형성되며 주입구(12)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연결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좌우 대칭되는 반응 바디(10)와, 주입구(12)를 통해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응 공간(11)의 내부에 반응물을 주입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23)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반응물 주입기(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100)는 프로필렌과 염소의 반응물을 고온에서 기상 반응시켜 반응물의 온도를 이용하는 반응(back-flow)을 이용하여 염화 알릴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응 바디(10)는 내부에 반응 공간(11)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반응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12)가 돌출될 수 있다. 주입구(12)는 반응 바디(10)의 상부 중앙 위치에 하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 바디(10)는 주입구(12)가 형성된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곡률을 달리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응 바디(10)는, 주입구(12)가 형성된 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 곡률로 형성되어 반응 바디(10)의 제1 부분(A)을 형성하는 제1 반응부(13)와, 제1 반응부(13)에 연결되어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로 형성되어 반응 바디(10)의 제2 부분(B)을 형성하는 제2 반응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응부(13)는 상측에 주입구(12)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반응물 주입기(20)를 통해 주입된 반응물(22)이 1차적으로 유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제1 반응부(13)는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의 제1 곡률로 형성되어, 제1 반응부(13)에 해당하는 반응 공간이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응부(13)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염화 알릴(Allyl chloride)을 최적 조건에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반응부(15)는 제1 반응부(13)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반구형의 제2 곡률로 형성되어 제2 반응부(15)에 해당하는 반응 공간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응부(13)와 제2 반응부(15)를 포함하는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염화 알릴(Allyl chloride)이 최적화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응 바디(10)의 내부로 주입되는 프로필렌과 염소의 반응물(22)로부터 염화 알릴(Allyl chloride)을 얻는 반응 과정에서, 주요 부반응물인 1,3-dichloropropene과 1,2-dichloropropane의 생성이 이루어지며, 각각은 경쟁반응과 연속반응으로 나뉘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쟁 반응은, 반응 바디(10)의 주입구(12)의 입구 근처에서 이루어지며 고온의 반응물 주입이 요구된다.
그러나,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고온의 반응물을 주입하는 경우 코크스(coke) 생성에 의해 주입구(12)가 막혀 폐쇄되거나 반응 바디(10)에서 생성된 생성물이 배출되는 출구의 벽면이 오염되거나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코크스의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반응물(22)을 저온으로 주입하고,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된 열을 주입구(12) 위치로 되돌려 공급하여 반응물(22)의 온도를 높이는 반응(back-flow)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반응 바디(10)를 구성하는 제1 반응부(13)를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제2 반응부(15)는 반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반응물(22)이 주입된 상태에서 발생된 반응열은, 제1 반응부(13)와 제2 반응부(15)의 내벽면을 따라 순환이 부드럽게 발생되어 주입구(12) 부분으로 공급되는 바, 주입구(12) 부분에 주입된 반응물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 바디(10)를 구성하는 제1 반응부(13)와 제2 반응부(15)를 각각 타원형과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바, 진동 또는 공명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캔 형상으로 설치 장소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형 반응 바디의 경우에, 주입물의 온도를 올리고자 반응물의 온도를 이용하는 반응(back-flow)을 실시하는 경우, 진동과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 수평형 반응 바디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캔 형상으로 제작되는 바, 반응물의 온도를 이용하는 반응(back-flow)이 반응 바디의 상부와 하부의 영역에서 각각 다른 형태로 발생되는 바, 균일한 내부 Profile을 형성되지 않아 진동과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수평형 반응 바디는 반응물이 주입되는 입구 쪽에서 충돌이 일어나 와류가 생성되어 수평형 반응 바디의 내부에서 부드러운 유속 방향 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반응 바디의 앞부분에 코크스가 발생되어 폐쇄되거나 반응 바디의 내부의 대칭을 깨지게 하여 효과적인 반응물의 온도를 이용하는 반응(back-flow)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반응 바디(10)를 상측의 타원형의 제1 반응부(13)와 하측의 반구형의 제2 반응부(15)로 형성한 상태로 수직 대칭형의 반응기를 구현함으로써, 반응 바디(10)의 반응 공간(11)에서 발생된 반응열이 반응 공간(11)의 내벽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반응물의 온도를 주입구 방향으로 공급하는 반응(back-flow)은, 반응 공간(11)의 반구형의 내벽면과 타원형의 내벽면을 따라 부드럽게 주입구(1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바디(10)의 주입구(12) 부분에서 분출되는 저온의 반응물의 온도 상승은, 추가적인 열 공급 없이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반응물에 의해 자체 발생된 열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반응 바디(10)를 타원형의 제1 반응부(13)와 반구형의 제2 반응부(15)로 형성되도록 하는 바, 반응물의 반응 작용이 부드럽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응 바디(10)의 제1 반응 바디(10)의 제1 곡률과 제2 반응 바디(10)의 제2 곡률의 비를 2:1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반응물(22)의 반응 작용이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발생되고 주입구(12) 부분의 폐쇄가 발생되지 않는 바, 반응물이 폐쇄된 주입구 부분에서 충동되어 공명 등의 진동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반응 바디(10)의 제1 곡률과 제2 곡률의 비가 2:1인 경우에는 반등 바디의 내부에서 제조되는 염화 알릴의 선택도(수율)는 76.6%이고, 제1 곡률과 제2 곡률의 비가 3:1일 경우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5.79%이며, 제1 곡률과 제2 곡률이 함께 완전한 구형일 경우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6.1%이며, 반응 바디가 항아리형인 경우 75.89% 이며, 반응 바디가 수평 상태의 캔 형상일 경우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5.68%인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응 바디(10)의 제1 곡률과 제2 곡률의 비가 2:1인 경우에는 반등 바디의 내부에서 제조되는 염화 알릴의 선택도가 최적의 결과로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반응물은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반응물 주입기(20)에 의해 주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이 형성된 반응물 주입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사 노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에서 프로필렌과 염소의 반응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물 주입기(20)는,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반응물(22)이 이동되는 주입 유로(21a)가 형성된 주입 바디(21)와, 주입 바디(21)의 단부에 형성되며 반응물(22)이 반응 공간(11)의 내부로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사 노즐(23)은 프로필렌을 분사하는 4개의 노즐(23a)과 염소를 분사하는 4개의 노즐(23b)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프로필렌 분사 노즐(23a)과 염소 분사 노즐(23b)를 각각 4개씩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노즐이 복수개 즉, 2개 이상, 예를 들어 2개 내지 10개로 형성될 수 있다.
주입 바디(21)는 주입구(12)의 내부에 삽입되어 반응물(22)을 반응 바디(1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주입구(12)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바디(21)를 통해 주입되는 반응물(22)은 분사 노즐(23)을 통해 반응 바디(10)의 내부로 적절하게 분사 공급될 수 있다.
분사 노즐(23)은 주입 바디(21)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프로필렌과 염소가 각각 4개의 노즐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반응물(22)은 프로필렌과 염소가 각각 4개의 노즐(23a, 23b)에서 나뉜 상태로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노즐(23)이 프로필렌과 염소가 각각 4개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백 플로우(back-flow) 반응에 의해 발생되어 전달되는 열과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바, 주입구(12) 위치에서 반응물(22)의 승온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분사 노즐(23)의 분사 작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분사 노즐(23)은 콘부(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콘부(24)는 주입 바디(21)의 단부에 원추형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콘부(24)의 경사진 측면에 복수개의 분사 노즐(2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바, 분사 노즐(23)은 주입 바디(21)의 주입 유로(21a)에 굴곡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물(22)은 콘부(24)의 측면에 형성된 분사 노즐(23)에 의해 보다 넓은 분사 면적을 형성하면서 반응 바디(10)의 내부에 분사되는 바, 백 플로우 반응에 의해 전달되는 열과 접촉되는 면적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분사 노즐(23)이 프로필렌과 염소의 각각을 4개로 분사되도록 콘부(24)에 형성되는 경우 반응 바디(10)의 내부에서 제조되는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7.56%이고, 분사 노즐이 프로필렌과 염소의 각각을 6개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6.36%이고, 분사 노즐이 프로필렌과 염소의 각각을 8개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5.46%이고, 반응물을 2중관으로 분사하는 형태에서 염화 알릴의 선택도는 75.68%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사 노즐(23)이 콘부(24)에 프로필렌과 염소의 각각이 4개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반응 바디의 내부에서 제조되는 염화 알릴의 선택도가 최적의 결과로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노즐(23)의 개수에 따라 염화 알릴의 선택도가 변화되는 것은, 반응물(22)의 분사 속도의 변경에 따른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분사 노즐(23)에 의해 프로필렌과 염소 각각이 4개 노즐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염화 알릴의 최적의 수율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반응 바디 11...반응 공간
12...주입구 13...제1 반응부
15...제2 반응부 20...반응물 주입기
21...주입 바디 23...분사 노즐
24...콘부

Claims (9)

  1. 내부에 반응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반응 공간에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을 연결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좌우 대칭되는 반응 바디;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반응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응 공간의 내부에 반응물을 주입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반응물 주입기;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바디는,
    상기 주입구가 형성된 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반응 바디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반응부; 및
    상기 제1 반응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로 형성되어 상기 반응 바디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제2 반응부;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부는 타원형의 제1 곡률로 형성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부는 반구형의 제2 곡률로 형성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은 1:1 내지 5:1의 곡률로 형성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주입기는,
    상기 반응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반응물이 이동되는 주입 유로가 형성된 주입 바디;
    상기 주입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응물이 상기 반응 공간의 내부로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프로필렌을 분사하는 노즐과 염소를 분사하는 노즐로 각각 형성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주입 바디의 단부에 돌출된 콘부에 형성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주입 유로로부터 굴곡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콘부의 외측으로 상기 반응물을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염소를 분사하는 노즐의 개수는 각각 2개 내지 10개로 형성되는,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KR1020170164361A 2017-12-01 2017-12-01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Active KR10237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61A KR102371372B1 (ko) 2017-12-01 2017-12-01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61A KR102371372B1 (ko) 2017-12-01 2017-12-01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79A true KR20190064979A (ko) 2019-06-11
KR102371372B1 KR102371372B1 (ko) 2022-03-04

Family

ID=6684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361A Active KR102371372B1 (ko) 2017-12-01 2017-12-01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41956A1 (ko) * 2023-08-18 2025-02-2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염화 알릴 제조용 반응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868A (ja) * 1992-10-23 1994-05-17 Tokuyama Soda Co Ltd アリルクロライ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9990021869A (ko) * 1995-05-24 1999-03-25 그레이스 스티븐 에스. 염화알릴의 제조 공정 및 이 공정에 유용한 반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868A (ja) * 1992-10-23 1994-05-17 Tokuyama Soda Co Ltd アリルクロライ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9990021869A (ko) * 1995-05-24 1999-03-25 그레이스 스티븐 에스. 염화알릴의 제조 공정 및 이 공정에 유용한 반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41956A1 (ko) * 2023-08-18 2025-02-27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염화 알릴 제조용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372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7704B1 (en) Cyclonic reactor
JP5359082B2 (ja) トリクロロシラン製造装置及びトリクロロシラン製造方法
US9738836B2 (en) Fluid injection nozzle for fluid bed reactors
KR100981612B1 (ko) 내부순환 유동층 중합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의 중합 방법
KR20190064979A (ko) 프로필렌의 기상 염소화 반응 장치
US73321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hieving a desireable feed/catalyst contacting condition in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s
JP5815087B2 (ja) 高速噴射を利用した異種流体の混合反応器
KR20200078012A (ko) 유동층 촉매 재생기
KR20250027049A (ko) 염화 알릴 제조용 반응기
KR101288143B1 (ko) 액상의 존재하에서 2 종 이상의 가스를 반응시키기 위한방법 및 반응기
KR102012898B1 (ko) 다방향 공급을 이용한 폴리실리콘 제조용 반응 장치 및 그에 의한 폴리실리콘 제조 방법
US10456707B2 (en) Reactor
EP3704300A1 (en) Reac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e-hydrolysis of biomass material
CN110114310B (zh) 多晶硅制造装置
KR101416760B1 (ko) 고속 분사를 이용한 이소시아네이트 제조용 혼합 반응기
EP0977718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llylhalide and equipment to be used therefor
KR20200088316A (ko) 유동상 방식 반응 용기 및 트리클로로실란의 제조 방법
CN111699034B (zh) 具有局部增大的横截面的fcc设备的进料注入装置
RU2367511C2 (ru) Реактор прямого хлорирования этилена
JP5734871B6 (ja) スラリー泡カラム反応器
JP5734871B2 (ja) スラリー泡カラム反応器
CN117323929A (zh) 气体分布器、流化床反应装置以及烃氨氧化反应方法
KR20240101715A (ko) 올레핀 유동층 중합을 위한 업그레이드된 흡출관
US20180071708A1 (en) Sonication in a urea or melamine synthesis process
JP2008170319A (ja) 給水スパ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