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615A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3615A KR20190063615A KR1020170162533A KR20170162533A KR20190063615A KR 20190063615 A KR20190063615 A KR 20190063615A KR 1020170162533 A KR1020170162533 A KR 1020170162533A KR 20170162533 A KR20170162533 A KR 20170162533A KR 20190063615 A KR20190063615 A KR 201900636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sludge
- sensor
- water
- concen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KMRRTOUMJRJIA-UHFFFAOYSA-N ammonia nh3 Chemical compound N.N XKMRRTOUMJRJI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3116 oxidation-reduction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546 nitrify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46 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6962 time depend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16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8
- MUBZPKHOEPUJKR-UHFFFAOYSA-N Ox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O MUBZPKHOEPUJKR-UHFFFAOYSA-N 0.000 claims 3
- 238000012388 gravitational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06408 oxal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15 coen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87 sand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239 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153 Ce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group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PWJLQXCGHQXLL-UHFFFAOYSA-N [P].OP(O)(O)=O Chemical compound [P].OP(O)(O)=O FPWJLQXCGHQX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QNWIZPPADIBDY-UHFFFAOYSA-N arsenic atom Chemical compound [As] RQNWIZPPADIB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6 don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HEPBYXIRTUNPN-UHFFFAOYSA-N hydridophosphorus(.) (triplet) Chemical compound [PH] BHEPBYXIRTUN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2 hydrogen don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OPGDPNILDQYTO-NNYOXOHSSA-N 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Chemical compound C1=CCC(C(=O)N)=CN1[C@H]1[C@H](O)[C@H](O)[C@@H](COP(O)(=O)OP(O)(=O)OC[C@@H]2[C@H]([C@@H](O)[C@@H](O2)N2C3=NC=NC(N)=C3N=C2)O)O1 BOPGDPNILDQYTO-NNYOXOHS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27945 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7 organic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suspended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8471 unidentified anaerobic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or fuel c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4—NH3-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5—N03-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공장 폐수처리장 및 개별 오수정화시설에 유입되는 오수, 폐수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부유물질, 영양염류 등 각종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으로 고도 처리하여 제거하기 위한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피에이치(pH), NH4-N, MLSS, 용존산소(DO) 센서와 연산제어장치가 구비된 'ICT를 활용한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질소, 인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에 대하여 운전 상태를 계절별, 시간대별 하수유입량과 유입수의 피에이치(pH) 및 용존산소(DO)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호기조의 공기공급량, 질산화액 내부순환량 등을 자동으로 조절/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시설 설치비 절감과 소요부지 면적 절감 및 생물반응조의 송풍 전력비 절감 등을 통한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CT를 활용한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조의 여과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조의 스트레이너 지지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침전조의 소독 및 방류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의 연산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대한 개략적인 계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3은 도 2에 따른 호기조의 피에이치(pH) 값과 용존산소(DO) 값에 의한 송풍량 제어도,
도 14는 도 2에 따른 호기조의 질산화 및 탈질화단계 표시판 예시도,
200 ... 생물반응조 210 ... 혐기조
211 ... 교반기 또는 수중교반기 212 ... 우회 수로
213 ... 슬러지 공급배관 220 ... 무산소조
221 ... 유입구 222 ... 교반장치 또는 수중교반기
223 ... 폭기장치 224 ... 탄소공급장치
230 ... 호기조 231 ... 송풍설비
231-1 ... 산기배관 231-2 ... 산기장치
232 ... 고형물 체류시간 관리장치
300 ... 2차 침전지 310 ... 슬러지 피트
320 ... 슬러지 반송장치 330 ... MLSS농도계
340 ... 잉여슬러지 반출장치 350 ... 여과장치
351 ... 여과함체 351-1 ... 여과수 공급관
351-2 ... 여과수 토수관 351-3 ... 배출밸브
352 ... 역세척 장치 352-1 ... 역공세 장치
352-11 ... 송풍기 352-12 ... 산기관
352-2 ... 역수세 장치 352-21 ... 펌프
352-22 ... 역세관 353 ... 친환경 샌드 연재
354 ... 스트레이너 지지체 354-1 ... 결합공
354-2 ... 플레이트 패널 354-3 ... 스트레이너 부재
354-31 ... 중공관 354-32 ... 그릴 콘
354-33 ... 조임너트 354-34 ... 배기홈
354-35 ... 공기배출판 355 ... 수위감지센서
356 ... 역세척수 배출구 356-1 ... 측면 배출구
356 ... 역세척수 밸브 357 ... 월류 트라프
357-1 ... 상부 배출밸브
360 ... 소독 및 방류조
361 ... 소독장치 362 ... 수질측정장치
363 ... 방류유량계 370 ... 슬러지 농축조
380 ... 슬러지 저류 및 탈수장치
400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
410 ... 연산제어장치 411 ... CPU연산부
412 ... 지시부 413 ... 전원공급장치
414 ... 입력부 415 ... 출력부
416 ... 주변장치
500 ... 원격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600 ... 신재생에너지장치 610 ... 가온장치
620 ... 태양광 집광패널 630 ... 태양광 축전장치
640 ... 풍력 발전장치 650 ... 전력 공급설비
660 ... 추적식 집광판 670 ... 압전소자 어셈블리
Claims (14)
- 혐기조(210), 무산소조(220), 호기조(230)로 이루어진 생물반응조(200) 중 호기조(230)의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의해 생물반응조의 전체 운전 상태를 감지하도록 연산제어장치(41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연산제어장치(410)는 생물반응조의 계절별, 시간대별 하수유입량과 유입수 내 피에이치(pH) 그리고 용존산소(DO)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각 조의 공기공급량과 질산화액 내부순환량을 자동으로 조절/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된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4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장치(4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해독하거나 처리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CPU연산부(411)와;
연산된 pH값, DO농도, NH4-N, NO3-N, MLSS, 송풍량, 밸브각도 및 운전 상태값과 질산화단계, 탈질화 단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지시부(412)와;
회로 전반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413)와;
외부기기의 상태를 검출하거나 조작 판넬을 통해 외부장치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부분으로서 외부기기와 전기적 규격이 일치하며 외부기기와 접촉이 용이하고 외부기기로부터 노이즈가 CPU연산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입력부(414)와;
외부에 접속된 전자 접촉기나 솔레노이드에 전달하여 외부기기를 움직이거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접점의 개폐가 빈번한 경우를 감안하여 직류전원 전용인 트랜지스터 출력을 사용하는 출력부(415)와;
CPU연산부의 메모리에 대하여 프로그램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주변장치(416)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200)는 1차 침전지(100)의 유출수와 2차 침전지(300)로부터 회수된 반송슬러지 내 인산염이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혐기 상태에서 분해되어 인이 방출되도록 혐기조(210)가 구비되고, 혐기조(210)의 유출수와 호기조에서 순환되는 질산화액에 대하여 질산성질소(NO3-N)를 질소(N2)로 환원시켜 탈질화시키도록 무산소조(220)가 구비되며, 혐기조와 무산소조에서 미처리된 잔류 유기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되, 다단으로 이루어진 각 조의 말단 및/또는 어느 일측단에는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센서) 센서가 구비되어 잔류 질소량을 파악하도록 형성되고, 각 조 중 말단 측에는 별도의 순환설비(231)가 구비되어 암모니아성질소(NH4-N)을 질산성질소(NO3-N)로 산화시킨 질산화액이 무산소조로 순환(질소제거 효율을 향상 목적 선택적 실시)되면서 미생물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호기조(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210)는
2차 침전지에서 유입된 반송슬러지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샤프트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는 교반기 또는 수중교반기(211)와;
내부에 유기물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유입수가 1차 침전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우회 수로(212)와;
필요시 1차 침전지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도록 일련의 공급라인이 형성되는 슬러지 공급배관(213)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220)는
호기조 말단에서 질산화액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221)와;
호기조에서 유입된 질산화액의 침전을 방지하면서 그로인한 부패를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샤프트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는 교반장치 또는 수중교반기(222)와;
교반장치 일측에 형성되어 질산화액의 침전과 그에 따른 부패를 방지하도록 하는 폭기장치(223)와;
내부에 메탄올을 포함한 외부 탄소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탄소공급장치(224)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조(230)는
미생물 처리에 의한 하수의 질산화 및 탈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정으로서 최소 3조 이상으로 구성하도록 하되, 각 분할 구획된 호기조 내의 피에이치(pH), 용존산소(DO) 농도를 피에이치(pH) 센서, 용존산소(DO센서) 센서로 하여금 감지한 후 설정값을 기준으로 질산화와 탈질 영역에 맞는 송풍량을 판단하고 공기량을 증감하여 부하변동에 따른 피에이치(pH)와 용존산소(DO) 농도를 제어하도록 하는 송풍설비(231)와;
분할 구획된 호기조의 말단에 구비되어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값을 토대로 고형물 체류시간을 감지한 뒤 연산제어장치(410)에 의해 펌프를 구동시켜 슬러지의 순환을 도모하도록 하는 고형물 체류시간 관리장치(232)가; 더 구성되어
호기조 내의 피에이치(pH), 용존산소(DO) 농도를 기본으로 질산화와 탈질 영역에 맞는 송풍량을 판단하고, 상기 호기조 내의 공기량을 증감하도록 하되, 측정된 피에이치(pH)가 일정범위의 설정값에 의해 공기량을 증감하여 부하변동에 따른 용존산소(DO) 농도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되며, 호기조 말단에 설치된 NH4-N, NO3-N센서값에 의한 잔류 질소량을 파악하여 질산화액 순환 여부를 판단하고, 질산화액을 순환시킬 경우, 상기 호기조의 상류측의 무산소조에 상기 호기조에서 질산화시킨 하수(질산화액)를 최대 100%까지 내부반송율로 내부순환시키는 순환설비 그리고 상기 호기조 내의 MLSS센서값을 토대로 고형물 체류시간을 관리하는 것과 호기조의 운전상태 종합관리를 위한 NH4-N, NO3-N, MLSS, 용존산소(DO), 용존산소(DO) 센서 및 연산제어장치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침전지(300)는
침전된 슬러지를 중앙으로 수집하도록 하는 슬러지 피트(310)와;
슬러지 피트 일측에 형성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혐기조 전단부로 반송하도록 하는 슬러지 반송장치(320)와;
MLSS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MLSS농도계(330)와;
SS농도를 실시간 파악한 뒤 질산화에 필요한 고형물 체류시간의 최적성과 인 제거 조건을 고려하여 필요한 잉여슬러지량을 슬러지 농축조로 이송하기 위한 잉여슬러지 반출장치(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3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침전지(300)는
처리수 중 미처리 유기물질, 부유물질, 인을 포함한 오염물질에 대하여 고도 여과처리하여 하천 유지용수나 기타 목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장치(350)와;
여과장치의 처리수 중 대장균군을 포함한 세균성 균에 대하여 소독을 수행하도록 하되, 처리수의 수질상태를 자동으로 감시 관리하도록 하는 소독 및 방류조(360)와;
1차 침전지와 2차 침전지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고액분리하여 농축시키도록 하는 슬러지 농축조(370)와;
슬러지 농축조에서 이송된 슬러지에 대하여 수분함량을 줄이고 탈수 후 외부 반출을 도모하도록 하는 슬러지 저류 및 탈수장치(38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350)는
여과함체의 일측 및 타측에 수위감지센서(355)와 역세척수 배출구(356)가 구비되고, 스트레이너 지지체(354) 위에 적층된 다기능성 친환경 샌드 여재(353)는 굵은 자갈층과 가는 모래층이 상하 레이어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함체의 하부 일측단에는 여과 처리수를 토수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출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계도조절이 가능한 배출밸브(351-3)가 구비되고, 상기 역세척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과수를 역세척수 배출구(356)으로 배출하기 위한 여과수 측면 배출밸브(356-1)를 형성하고, 월류 트라프(357)의 일측단에는 발생되는 역세척수를 역세척수 배출구(356)로 배출하기 위한 역세척수 상부 배출밸브(35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친환경 샌드 여재(353)는
병유리 분말, 폐LCD유리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분말에 탄산칼슘 성분의 발포제, 점토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비중과 강도 특성을 향상시킨 후 고온에서 발포 소성한 것으로서, 입자 크기가 0.3mm~2.5mm 이고, 건조시 밀도가 0.3g/㎤~0.9g/㎤ 이고, 수분포화시 밀도가 1.0g/㎤~1.8g/㎤ 이며, 공극률이 65%~85% 이고, 압축강도가 10kg/㎠~30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장치.
- 하수처리장의 스크린조와 침사지를 거쳐 침사물과 협잡물이 제거된 유입 하수에 대하여 미세 유기성 입자를 제거하여 후속 공정시 오염물질의 여과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중력침전방식 구조의 1차 침전지(100)와; 1차 침전지의 유출수와 2차 침전지로부터 회수된 반송슬러지 내 인산염이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혐기 상태에서 분해되어 인이 방출되도록 혐기조(210)가 구비되고, 혐기조의 유출수와 호기조에서 순환되는 질산화액에 대하여 질산성질소(NO3-N)를 질소(N2)로 환원시켜 탈질화시키도록 무산소조(220)가 구비되며, 혐기조와 무산소조에서 미처리된 잔류 유기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되, 다단으로 이루어진 각 조의 말단 및/또는 어느 일측단에는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센서) 센서가 구비되어 잔류 질소량을 파악하도록 형성되고, 각 조 중 말단 측에는 별도의 순환설비(231)가 구비되어 암모니아성질소(NH4-N)을 질산성질소(NO3-N)로 산화시킨 질산화액이 무산소조로 순환(질소제거 효율을 향상 목적 선택적 실시)되면서 미생물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호기조(230)가 구비되는 생물반응조(200)와; 상기 호기조에서 생성된 플록을 중력방식으로 침전시켜 제거하고 슬러지를 반송시키거나 인발시키도록 형성되는 2차 침전지(300)와; 호기조의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의해 생물반응조의 전체 운전 상태를 감지하도록 연산제어장치(41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연산제어장치(410)는 생물반응조의 계절별, 시간대별 하수유입량과 유입수 내 피에이치(pH) 그리고 용존산소(DO)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각 조의 공기공급량과 질산화액 내부순환량을 자동으로 조절/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이 적용되도록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400)이; 구성된 하수 고도처리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되,
호기조 내의 NH4-N, MLSS, pH, 용존산소(DO) 농도를 기본으로 질산화와 탈질영역에 맞는 풍량을 판단하고, 상기 호기조 내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증감시켜 하수처리를 하는 방식으로서, 측정된 상기 NH4-N, NO3-N, MLSS, pH, DO농도가 각각 일정범위의 설정값에 의해 상기 공기량을 증감하여 부하변동에 따른 상기 공기공급량 및 상기 pH설정치가 자동 변환되면서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400)은
송풍설비(공기공급장치)가 풀 가동하여 40분에서 1시간 이내에 피에이치(pH) 설정값을 유지할 경우에 DO설정값에 의한 송풍설비의 운전이 대응하는 방식으로서,
계절별 하수의 유입부하 변동에 따른 송풍설비의 송풍량 최적값을 확보하도록 계절별 하수의 유입부하 변동의 데이터를 감지 저장하고, 이에 계절별 최적의 피에이치(pH) 설정값을 설정하여 자동 운영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400)은
호기조의 유입 상류측 수질을 피에이치(pH) 메타로 하여 수질 지표로 정할 수 있거나 유기물, T-N, NO3-N을 기준으로 정할 수도 있고, 산화환원전위 및 NH4-N로 수질 지표를 적용시킬 수도 있으며,
유입 상류측 호기조에 설치된 피에이치(pH) 메타, 유기물, T-N, NH4-N농도의 측정값이 목표값을 상회 할 경우에는 송풍설비의 공기량을 증대시켜 유입 부하에 적합한 값으로 대응시키며 질산화를 유도하고,
유입 상류측 호기조에 설치된 피에이치(pH) 메타, 유기물, T-N, NH4-N농도의 측정값이 목표값보다 적을 경우에는 송풍설비의 공기량을 감소시켜 탈질을 유도하며,
유입 상류측 호기조에 설치된 산화환원전위 및 NO3-N농도의 측정값이 목표값을 상회 할 경우에는 송풍설비의 송풍량을 감소시켜 탈질을 유도시키고,
유입 상류측 호기조에 설치된 산화환원전위 및 NO3-N농도의 측정값이 목표값보다 적을 경우에는 송풍설비의 공기량을 증대시켜 유입 부하에 적합한 값으로 대응시키며 질산화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하수 고도처리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시스템(400)은
호기조 내 하수 중의 용존산소(DO) 농도를 질산화하기 위해 필요한 DO농도 설정값을 0.5~2.0mg/L 범위로 한 상태에서 호기조 내의 하수 용존산소(DO) 농도, 피에이치(pH) 농도센서가 호기조의 실시간 피에이치(pH) 농도값의 변화량에 감지하면서 생물반응조에 공급하는 공기량을 제어하도록 하되,
용존산소(DO) 농도< 용존산소(DO) 농도 설정값 0.5mg/L 이면서 피에이치(pH) 농도 > 피에이치(pH) 농도 설정값 6.5의 경우에는 질산화 진행으로 판단하여 송풍설비의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용존산소(DO) 농도 > 용존산소(DO) 농도 설정값 0.5mg/L 이면서 피에이치(pH) 농도 < 피에이치(pH) 농도 설정값 6.5의 경우에는 탈질화 진행으로 판단하여 탈질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송풍량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533A KR102089278B1 (ko) | 2017-11-30 | 2017-11-30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
PCT/KR2018/014903 WO2019107948A2 (ko) | 2017-11-30 | 2018-11-29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533A KR102089278B1 (ko) | 2017-11-30 | 2017-11-30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615A true KR20190063615A (ko) | 2019-06-10 |
KR102089278B1 KR102089278B1 (ko) | 2020-04-28 |
Family
ID=6666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2533A Active KR102089278B1 (ko) | 2017-11-30 | 2017-11-30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9278B1 (ko) |
WO (1) | WO2019107948A2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0033B1 (ko) * | 2019-07-15 | 2020-03-17 | 탑인더스트리(주) | 수처리설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제어반 |
CN112939207A (zh) * | 2021-01-29 | 2021-06-11 | 联合环境技术(天津)有限公司 | 一种精确调整污水厂好氧池污泥浓度的方法 |
CN114804326A (zh) * | 2022-05-10 | 2022-07-29 | 中电建华东勘测设计研究院(郑州)有限公司 | 短程硝化反硝化反应池高效脱氮除磷控制方法及系统 |
WO2022211151A1 (ko) * | 2021-04-01 | 2022-10-06 | 경상북도 경주시 | 하수의 분할 주입 및 공기교반을 이용한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41877A1 (en) | 2020-01-06 | 2021-07-15 |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Bio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
CN111399455B (zh) * | 2020-03-25 | 2021-06-04 | 北京工业大学 | 一种基于运行过程信息的城市污水处理实时优化控制方法 |
CN111439900A (zh) * | 2020-05-28 | 2020-07-24 | 重庆工商大学 | 本地污水管理系统 |
CN111943292B (zh) * | 2020-07-31 | 2022-06-17 |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 一种调蓄池耦合高负荷污水处理方法、装置及系统 |
CN111777236A (zh) * | 2020-08-12 | 2020-10-16 | 四川润邦利泰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实验室无机重金属废液处理装置及处理方法 |
CN112047568A (zh) * | 2020-08-27 | 2020-12-08 | 盐城师范学院 | 一种水产养殖废水杀菌处理系统及方法 |
CN112624333A (zh) * | 2020-11-19 | 2021-04-09 | 江苏国态环保集团有限公司 | 一种智慧化污水处理系统 |
CN112777754A (zh) * | 2020-12-31 | 2021-05-11 | 河南省城乡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特制活性砂滤罐废水深度脱氮装置及脱氮方法 |
CN112851034A (zh) * | 2021-01-26 | 2021-05-28 | 佛山市顺德区港汇环保污水处理有限公司 | 一种高效污泥减量化的废水处理方法 |
RU2763132C1 (ru) * | 2021-03-13 | 2021-12-27 | Сергей Яковлевич Чернин |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концентрации загрязняющих веществ, в том числе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сточных водах и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очис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предприятий |
CN113277679A (zh) * | 2021-05-31 | 2021-08-20 | 南京汉志旗科技有限公司 | 一种含腈有机废水的处理工艺 |
CN113735378B (zh) * | 2021-09-15 | 2023-05-30 | 北控(秦皇岛)水务有限责任公司 | 一种脱氮除磷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
CN114275975B (zh) * | 2021-12-31 | 2023-11-07 | 天津环科环境规划科技发展有限公司 | 生活污水处理装置及方法和应用 |
CN115902133B (zh) * | 2022-09-27 | 2024-11-12 | 浙江智觉造境科技有限公司 | 用于判别有毒废水的生化缓冲应急方法和系统 |
CN115947452B (zh) * | 2023-01-04 | 2024-06-21 | 北京工业大学 | 一种水解酸化联合反硝化氨氧化同步磷回收的养殖废水处理装置与方法 |
CN116081901A (zh) * | 2023-04-07 | 2023-05-09 | 北京博汇特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污水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41583A (ja) * | 1994-11-22 | 1996-06-04 | Nippon Electric Ind Co Ltd | クリーン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下水浄化装置 |
KR100432518B1 (ko) | 2004-01-08 | 2004-05-22 |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 반응단계 판단장치를 이용하여 단일활성반응조에서연속적인 탈질 및 질산화를 수행하기 위한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
KR100828669B1 (ko) * | 2008-03-03 | 2008-05-09 |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 동시탈질생물반응조와 막분리 기술을 결합한 고농도오폐수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
KR20150072475A (ko) * | 2013-12-19 | 2015-06-30 | (주)수엔지니어링 & 컨설팅 | 자동 제어식 하·폐수 처리 장치 |
KR20150096407A (ko) * | 2012-11-16 | 2015-08-24 | 자일럼 워터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 향상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방법 및 폭기 성능 |
KR101547821B1 (ko) * | 2015-04-27 | 2015-08-27 | 최성필 | 폐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폐lcd유리와 폐병유리를 재활용한 수처리용 발포성 인공여재의 제조방법 |
KR20170074401A (ko) * | 2015-12-22 | 2017-06-30 | 최성필 | 친환경 발포 인공여재를 이용하여 침전지와 생물막 여과조를 개선한 하이브리드형 하수 고도처리장치 |
KR101904985B1 (ko) * | 2017-08-14 | 2018-11-28 | 주식회사 엠지워터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9590B1 (ko) * | 2008-06-18 | 2011-03-07 |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 철과 망간을 제거하는 정수 장치 및 정수 방법 |
-
2017
- 2017-11-30 KR KR1020170162533A patent/KR102089278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11-29 WO PCT/KR2018/014903 patent/WO2019107948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41583A (ja) * | 1994-11-22 | 1996-06-04 | Nippon Electric Ind Co Ltd | クリーン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下水浄化装置 |
KR100432518B1 (ko) | 2004-01-08 | 2004-05-22 |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 반응단계 판단장치를 이용하여 단일활성반응조에서연속적인 탈질 및 질산화를 수행하기 위한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
KR100828669B1 (ko) * | 2008-03-03 | 2008-05-09 |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 동시탈질생물반응조와 막분리 기술을 결합한 고농도오폐수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
KR20150096407A (ko) * | 2012-11-16 | 2015-08-24 | 자일럼 워터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 향상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방법 및 폭기 성능 |
KR20150072475A (ko) * | 2013-12-19 | 2015-06-30 | (주)수엔지니어링 & 컨설팅 | 자동 제어식 하·폐수 처리 장치 |
KR101547821B1 (ko) * | 2015-04-27 | 2015-08-27 | 최성필 | 폐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폐lcd유리와 폐병유리를 재활용한 수처리용 발포성 인공여재의 제조방법 |
KR20170074401A (ko) * | 2015-12-22 | 2017-06-30 | 최성필 | 친환경 발포 인공여재를 이용하여 침전지와 생물막 여과조를 개선한 하이브리드형 하수 고도처리장치 |
KR101904985B1 (ko) * | 2017-08-14 | 2018-11-28 | 주식회사 엠지워터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0033B1 (ko) * | 2019-07-15 | 2020-03-17 | 탑인더스트리(주) | 수처리설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제어반 |
CN112939207A (zh) * | 2021-01-29 | 2021-06-11 | 联合环境技术(天津)有限公司 | 一种精确调整污水厂好氧池污泥浓度的方法 |
CN112939207B (zh) * | 2021-01-29 | 2022-06-03 | 联合环境技术(天津)有限公司 | 一种精确调整污水厂好氧池污泥浓度的方法 |
WO2022211151A1 (ko) * | 2021-04-01 | 2022-10-06 | 경상북도 경주시 | 하수의 분할 주입 및 공기교반을 이용한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방법 |
CN114804326A (zh) * | 2022-05-10 | 2022-07-29 | 中电建华东勘测设计研究院(郑州)有限公司 | 短程硝化反硝化反应池高效脱氮除磷控制方法及系统 |
CN114804326B (zh) * | 2022-05-10 | 2023-06-30 | 中电建华东勘测设计研究院(郑州)有限公司 | 短程硝化反硝化反应池高效脱氮除磷控制方法及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9278B1 (ko) | 2020-04-28 |
WO2019107948A2 (ko) | 2019-06-06 |
WO2019107948A3 (ko) | 2019-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9278B1 (ko)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과 신재생 발전기능을 구비하여 하수 처리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하수 고도처리방법 | |
KR101904985B1 (ko) |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CN101928096B (zh) | 生态敏感区污水处理方法及系统 | |
US9896363B2 (en) | Moving bed biofilm reactor fo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
US20100282654A1 (en) | Integrated water processing technology | |
CN203845918U (zh) | 节能减排型城镇污水处理系统 | |
Nguyen et al. | A new hybrid treatment system of bioreactors and electrocoagulation for superior removal of organic and nutrient pollutants from municipal wastewater | |
CN107010788A (zh) | 一种规模化养猪场养殖废水处理系统及方法 | |
CN106977059A (zh) | 一种新型高效污水处理系统和方法 | |
WO2012036408A2 (ko) | 부하변동에 대응이 용이한 침지식 막 생물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 방법 | |
KR20090030397A (ko) | 하/폐수처리장의 질소 및 인 고율 제거장치. | |
KR101044826B1 (ko) | 막 여과 생물반응조의 고도처리 효율을 높이는 운전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고도처리장치 | |
JP4568528B2 (ja) | 水処理装置 | |
JP5900098B2 (ja) | 窒素およびリンの除去装置ならびに除去方法 | |
US782004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organically contaminated waste water | |
WO2009151190A1 (en) | Combined organic sewage disposal install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 |
CN106145351A (zh) | 垃圾焚烧发电厂渗沥液的处理设备 | |
JP5743448B2 (ja) | 汚水処理装置 | |
El-Sheikh | Optimization and upgrad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
KR101817471B1 (ko) |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 |
CN208717117U (zh) | 一种分散型厕所的水处理集成系统 | |
KR100953075B1 (ko) |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순환제어 산화환원조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 |
KR20150064574A (ko) |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0460942B1 (ko) | 소화조와 연속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및장치 | |
CN205973975U (zh) | 垃圾焚烧发电厂渗沥液的处理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