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62726A -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726A
KR20190062726A KR1020170161217A KR20170161217A KR20190062726A KR 20190062726 A KR20190062726 A KR 20190062726A KR 1020170161217 A KR1020170161217 A KR 1020170161217A KR 20170161217 A KR20170161217 A KR 20170161217A KR 20190062726 A KR20190062726 A KR 2019006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ght emitting
coupled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철
Original Assignee
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철 filed Critical 서영철
Priority to KR102017016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726A/ko
Publication of KR2019006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는 발광체가 수용되고, 발광체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구비되며 선택모듈이 발광체와 단락되도록 결합되는 커넥터가 포함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선택모듈이 구비되며, 선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WITH SWITCH CONVERSION MODUL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형태로 된 여러 형태의 전원공급라인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장소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조명 기구의 탈거 없이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오랜기간 태양광이 빛의 근원으로서 활용되어왔다.
하지만, 인공광원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이 지속되었고 물체가 연소되며 발생되는 빛으로부터 근래의 LED나 레이저를 이용한 빛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는 깊고 그 형태 또한 수 없이 많다.
인공광원에 의한 조명 장치는 주택이나 건물에 부착되어 설치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된 형태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종래의 조명 장치는 주택이나 건물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경우 조명 장치의 교체를 위해서는 이를 탈거한 후 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생활공간 내에는 다양한 가구나 구조물들에 의해 광원이 닿지 않는 사각이 발생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사각지역에 조명 장치를 모두 설치하는데에는 구조적으로나 비용면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하나의 예로서, 주방공간의 경우 싱크대의 내부와 같은 경우 청결을 요하는 공간으로서 주변을 밝혀 정리나 청소하는 작업이 필요로 하지만, 그 사용되는 빈도나 공간상의 특수성으로 고정된 조명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휴대용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경우와 필요에 따라 주변을 밝혀 사용하고는 있으나, 휴대용 조명 장치를 따로 거치하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하거나 이를 파지하고 작업을 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근래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같은 기술들의 발전으로 실내외의 조명 장치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초기설치에 투여되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있고, 종래의 조명 장치들과의 호환이 어려워 아직은 널리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조명 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모듈로 구성된 전원공급수단이 포함되고, 전원공급수단이 선택적으로 조명 장치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소나 공간에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는 발광체가 수용되고, 발광체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구비되며 선택모듈이 발광체와 단락되도록 결합되는 커넥터가 포함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선택모듈이 구비되며, 선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구는 자기력을 지닌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체결구가 부착되는 대상과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구 및 부착되는 대상의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모듈은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전원과 발광체 사이에 전류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유선스위치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선택모듈은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전원과 발광체 사이에 전류의 흐름을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단속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선스위치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고, 선택모듈은 양단이 각기 다른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양단 사이에 전류가 통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연결모듈이 다수 개의 하우징의 사이에 각기 결합되어 다수 개의 하우징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의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선택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의 하우징에 구비된 발광체들이 점멸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는 수동스위치, 무선스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원공급모듈 및 조명 장치를 다수개 연결할 수 있는 연결모듈과 같은 선택모듈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설치되어 있는 조명 장치의 탈거 없이도 종래 조명 장치의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싱크대와 같은 조명 사각지대에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유선스위치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무선스위치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연결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유선스위치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무선스위치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의 연결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는 발광체가 수용되고, 발광체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110)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선택모듈(300)이 발광체와 단락되도록 결합되는 커넥터(200)가 포함되고, 다수 개의 선택모듈(300)이 구비되며, 선택모듈(300) 중 적어도 하나가 커넥터(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0)은 내측에 발광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은 발광체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투과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체는 전류를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고, 삼파장이나 LED, 백열등, 할로겐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빛의 색도 특정하게 한정될 것은 아니다.
발광체는 하우징(100)의 내측공간에 구비되어 후술될 커넥터(20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게 되며,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20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며 타측에 구비된 커넥터(200)로 전류가 흘러 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투과부(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빛이 투과되는 성질을 지니도록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이 길게 형성된 육면체로 이뤄지고, 이러한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0)의 외측면 중 세 개의 면에 걸쳐 투과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투과부(11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투과부(110)의 형상이나 색상 재질을 한정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20)는 하우징(100)의 적어도 한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벽면이나 여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부착되는 대상과 직접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구(122) 및/또는 제2체결구(1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구(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자성을 지닌 자성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체결구(122)는 금속과 같은 재질의 벽면 또는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구(122)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부착되는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도록, 서포터(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126)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부착되는 대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은 볼트결합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접착력을 지닌 일면이 대상에 접착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서포터(126)는 자성체에 잘 붙는 성질을 지닌 금속이나 자성체로 구현될 수 있고, 제1체결구(122)가 인접한 경우에 인력이 작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제2체결구(124)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부착 대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구(122) 및 제2체결구(124)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부(120)에 구비되어야 하며, 제1체결구(122) 및 제2체결구(124)가 모두 구비되어도 될 것이고, 구비되는 개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의 외측에는 선택모듈(300)이 결합되어 선택모듈(30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발광체와 단락될 수 있고, 발광체를 경유한 전류가 제3의 커넥터(200)를 통해 또 다른 선택모듈(300)로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선택모듈(300)은 각기 다른 용도 및 기능을 지닌 전력공급라인이나 연결을 위한 연결모듈(330)이 될 수 있으며, 전력공급라인으로는 유선스위치모듈(310) 및 무선스위치모듈(320)이 포함될 수 있다.
유선스위치모듈(310)은 일단이 전원인 콘센트와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단은 커넥터(200)에 꽂혀 전원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선스위치모듈(310)의 중단에는 물리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물리스위치에 의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흐르는 전류가 단속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내측에 수용된 발광체는 유선스위치모듈(31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고, 유선서위치모듈(310)에 구비된 물리스위치의 제어에 따라서 켜지거나 꺼지도록 작동하게 된다.
무선스위치모듈(320)은 일단에 전원인 콘센트와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고, 타단에는 커넥터(200)에 꽂혀 전원이 일단으로 타단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스위치모듈(320)의 중단에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신기는 별도의 리모컨(322)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스위치모듈(320)의 플러그가 배치된 일단으로부터 커넥터(200)와 결합되는 타단 사이에 전류가 단속될 수 있다.
이는 리모컨(322)을 제어하여 리모컨(322)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가 수신기로 전달되고, 종국적으로 리모컨(322)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전류가 커넥터(200)로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는 유선스위치모듈(310)에서와 동일하게 하우징(100)에 구비된 발광체의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모듈(330)은 다수 개의 하우징(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의 하우징(100)에 구비된 커넥터(200)와 커넥터(200)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커넥터(200)에 꽂아서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커넥터(200)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200)는 유선스위치모듈(310), 무선스위치모듈(320) 및 연결모듈(330)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모듈(330)에 의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하우징(100)은 각각에 구비된 발광체가 하나의 유선스위치모듈(310) 또는 무선스위치모듈(3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연결모듈(330)의 중단에 물리스위치 또는 수신기가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따로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선스위치모듈(320)의 경우 수신기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근거리무선통신을 수발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통신되는 단말기를 통해 제어가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서포터(126)의 일면이 벽면에 견고하게 결합 또는 부착되고, 서포터(126)의 타면에 제1체결구(122)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부착될 대상인 벽면에 돌출된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종래에 설치되어 사용되었던 조명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돌출물이나 종래 조명 장치와 간섭없이 설치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하우징 110: 투과부
120: 고정부 122: 제1체결구
124: 제2체결구 126: 서포터
200: 커넥터 300: 선택모듈
310: 유선스위치모듈
320: 무선스위치모듈 322: 리모컨
330: 연결모듈

Claims (7)

  1. 발광체가 수용되고, 상기 발광체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선택모듈이 상기 발광체와 단락되도록 결합되는 커넥터;가 포함되고,
    다수 개의 상기 선택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선택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자기력을 지닌 재질로 구비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가 부착되는 대상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 및 부착되는 대상의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
    가 포함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듈은,
    상기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전원과 상기 발광체 사이에 전류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유선스위치모듈;
    이 포함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모듈은,
    상기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전원과 상기 발광체 사이에 전류의 흐름을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단속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무선스위치모듈;
    이 포함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선택모듈은,
    양단이 각기 다른 상기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양단 사이에 전류가 통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모듈이 다수 개의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각기 결합되어 다수 개의 상기 하우징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기 선택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각의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발광체들이 점멸되는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KR1020170161217A 2017-11-29 2017-11-29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Ceased KR20190062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17A KR20190062726A (ko) 2017-11-29 2017-11-29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17A KR20190062726A (ko) 2017-11-29 2017-11-29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26A true KR20190062726A (ko) 2019-06-07

Family

ID=6684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17A Ceased KR20190062726A (ko) 2017-11-29 2017-11-29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704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지비스 욕실 조명등 시공을 위한 조명 패키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조명등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704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지비스 욕실 조명등 시공을 위한 조명 패키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욕실 조명등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962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디밍용 led 램프, led 램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설
US20150260385A1 (en) Landscape Lighting with Remote Control Feature
JP2011014317A (ja) 照明体及び照明装置
JP5156521B2 (ja)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EP2261553A1 (en) Lighting unit, lighting network and method for lighting an interior
JP2024100917A (ja) 照明器具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90062726A (ko)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WO2018157837A1 (zh) 照明灯具
KR101283370B1 (ko) 리모콘 타입 조명 스위치 모듈
JP6761248B2 (ja) 照明装置
JP2018160373A (ja) 信号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CN216521061U (zh) Led灯具和集成在其上的本机红外调光组件
KR100959789B1 (ko) 착탈식 엘이디 조명등
CN101124429A (zh) 自供电照明设备
KR20150112334A (ko) 조명용 탈부착 센서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IT202100020336A1 (it) Apparecchio di illuminazione con sistema integrato di fissaggio meccanico e di connessione elettrica
JP2008205917A (ja) 可視光通信リモコンシステム
KR101082344B1 (ko) 조명장치
CN109268750A (zh) 一种智能吸顶灯
JP7280555B2 (ja) 照明器具
JP200424721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9204665A (ja) センサユニット、照明器具、電子機器
KR20090094928A (ko) 조명장치
JP6308454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5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