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60503A -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 Google Patents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503A
KR20190060503A KR1020170158773A KR20170158773A KR20190060503A KR 20190060503 A KR20190060503 A KR 20190060503A KR 1020170158773 A KR1020170158773 A KR 1020170158773A KR 20170158773 A KR20170158773 A KR 20170158773A KR 20190060503 A KR20190060503 A KR 2019006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train sensor
medium
senso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829B1 (ko
Inventor
박 스티브
오진원
양준창
김진오
권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8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8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Pressure Sensor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오일 상(Oil phase)의 제1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 액 상(Aqueous phase)의 제2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2 매질을 혼합한 상태에서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초음파 처리 단계 이후에, 교질 입자(Micelle)의 형태로 결과물이 상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strain sensor using multi porous PDMS-CNT structure}
본 발명은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하여 신뢰성과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스트레인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하여 압력에는 저항이 변하지 않고 스트레인에만 저항이 변하는 민감도가 높은 스트레인 센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로봇용 센서 중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센서는 촉각 센서이다. 촉각 센서는 향후 서비스용 로봇 뿐만 아니라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도 새로운 혁신을 몰고 올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인간 수준 이상으로 로봇이 물체를 인지하고 느끼며 옮길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편의성과 효율성을 더욱 개선한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한편, 촉각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로봇용 인공 피부 센서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용 수술 도구, 웨어러블 전자 소재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분야에도 비중 있게 적용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
촉각 센서는 힘 또는 압력센서의 특별한 경우이고, 센서와 물체 사이의 접촉 파라미터(parameter), 즉 접촉에 의해 영향받는 국부적인 힘이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힘 또는 토크센서가 물체에 가해진 총력(總力)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서, 촉각 센서는 작은 영역에 국한된다.
촉각 센서는 실용화를 위한 고려사항으로서 저비용, 제작 용이성, 내구성 및 우수한 성능 등을 요한다. 최근에는 반도체 기술과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한 촉각센서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촉각센서는 어레이가 용이하고, 전자회로를 센싱 엘레멘트와 함께 집적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마이크로 촉각 센싱 방법들은 정전용량 방식, 압 저항 방식, 압전 방식 등을 포함한다.
한편, 기존의 촉각 센서들 중 압력 센서의 경우는 불균일한 센서 특성, 한정된 압력 측정 범위, 낮은 민감도 및 높은 이력 현상을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트레인 센서의 경우는 압력과 스트레인에 동시 반응한다는 점, 3D 코팅이 불가능하다는 점 및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탄소나노튜브 3차원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트레인 센서를 기술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087539호를 참조할 수 있는데, 상기 종래의 기술은 고분자 복합체 사이에 3차원 네트워크로 탄소나노튜브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성장되어 있는 구조로 스트레인 센서를 구성하고 제작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고분자 복합체 합성과정에서 탄소나노튜브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3차원 네트워크를 이루며 성장되므로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분산제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전기적 연결이 우수하고 균일한 효과를 나타내며,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내부에 함침되어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한 오염 및 손상을 방지 가능하다.
한편, 유연성 기재에 탄소나노튜브 네트워크 필름이 도입된 양극성 변형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기술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527863호를 참조할 수 있는데, 양극성 변형 센서는 금속성 탄소나노튜브와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가 무작위하게 배열 및 연결되어 유연성 기재의 일면에 도입됨으로써 변형의 크기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는 효과 있으며, 단순히 변형정도에 따른 일차원적 변형 센서가 아닌 변형의 방향성까지 측정가능한 이차원적 양극성 변형 센서로의 기능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는 내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에멀전 공정을 이용하여 다공성 PDMS에 CNT가 존재하는 구조체를 제작함으로써 상기 구조체의 표면 상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는 기공을 닫히게 하여 압력에 따른 저항 변화를 최소화하는 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레인이 가해졌을 때에만 저항을 변화하게 하는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오일 상(Oil phase)의 제1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 액 상(Aqueous phase)의 제2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2 매질을 혼합한 상태에서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초음파 처리 단계 이후에, 교질 입자(Micelle)의 형태로 결과물이 존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매질은 PDMS(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Hexadecane)이다.
상기 제2 매질은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water+SDBS(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스트레인 센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는 에멀전 공정을 이용하여 다공성 PDMS에 CNT가 존재하는 구조체를 제작하여 압력이 가해졌을 때는 기공을 닫히게 하여 압력에 따른 저항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스트레인이 가해졌을 때에만 저항을 변화하게 한다.
이를 통해, 압력과 스트레인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신뢰성과 민감도를 향상시킨 스트레인 센서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에멀전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다공성 페이스트 형상의 스트레인 센서를 생산하는 과정을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스트레인 센서를 보인다.
도 4는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인장 응력을 0% 에서 100%로 가하는 과정에서의 변화 정도를 보인다.
도 5는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압축 응력을 0% 에서 50%로 가하는 과정에서의 변화 정도를 보인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서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을 가하는 경우에 스트레인 및 저항 변형율 간의 관계를 보인다.
도 7은 사이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인에 따른 시간 및 저항 변형율 간의 관계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의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에멀전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다공성 페이스트를 개발하는 것으로서, 대량 생산에 유리한 동시에 페이스트 형태로 바르거나 부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제조 공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일 상(Oil phase)의 제1 매질을 준비한다. 상기 제1 매질은 PDMS(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Hexadecane)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액 상(Aqueous phase)의 제2 매질을 준비한다. 상기 제2 매질은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water+SDBS(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MWCNT, water, SDBS를 섞은 후에 초음파(sonication) 처리를 통해 액상을 제작한다.
상기 준비된 제1,2 매질을 혼합한 상태에서 초음파(sonication) 처리를 실시한다.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는 단계적인 가열 및 수분 감소 등의 과정을 통해서 에멀전 공정을 이용하여 다공성 PDMS에 CNT가 존재하는 형태인, 교질 입자(Micelle)의 형태로 존재한다.
도 4는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인장 응력을 0% 에서 100%로 가하는 과정에서의 변화 정도를 보인다. 도 5는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압축 응력을 0% 에서 50%로 가하는 과정에서의 변화 정도를 보인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인장 응력에는 민감하지만, 그 두께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압축 응력에는 둔감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 응력(tensile strain)을 가했을 때는 기공이 닫히지 않고 crack이 발생하여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압축 응력(compressive strain)을 가했을 때는 기공이 닫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서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을 가하는 경우에 스트레인 및 저항 변형율 간의 관계를 보인다.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면 물체는 저항력이 생겨 변형한다. 그 변형의 정도를 스트레인이라고 한다. 즉 스트레인은 어느 물체가 인장 또는 압축을 받을 때 원래의 길이에 대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든 길이를 비율로 표시한 값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GF(gage factor)는 길이 변형율 대 저항 변형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왜율계에서의 감도로서 게이지율로 정의되는 양 S를 말한다.
GF= (ΔR/R)/(Δl/l) = (ΔR/R)/σ
R은 게이지 선의 저항, l은 그 길이이며, 스트레스에 의한 그들의 변화가 각각 ΔR, Δl이다. σ는 일그러짐이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축으로는 길이 변형율인 스트레인을 나타내고 세로축으로는 저항 변형율을 나타낸다.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인장 응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게이지율은 22를 나타내는데, 스트레인 증가에 따라 저항 변형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다공성 스트레인 센서 상에 압축 응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게이지율은 0.07 나타내는데, 스트레인 증가에 따라 저항 변형율의 증가가 아주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사이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인에 따른 시간 및 저항 변형율 간의 관계를 보인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축으로는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으로는 저항 변형율을 나타낸다.
상단의 그래프 상에서는 복수의 스트레인 값에 따른 저항 변형율의 등락을 보인다.
하단의 그래프 상에서는 특정 스트레인 값에서 사이클에 따른 저항 변형율의 등락을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시간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저항 변형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오일 상(Oil phase)의 제1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
    액 상(Aqueous phase)의 제2 매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2 매질을 혼합한 상태에서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초음파 처리 단계 이후에, 교질 입자(Micelle)의 형태로 결과물이 상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질은 PDMS(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Hexadecane)인,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질은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water+SDBS(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인,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조된 스트레인 센서.
KR1020170158773A 2017-11-24 2017-11-24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Active KR10214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773A KR102149829B1 (ko) 2017-11-24 2017-11-24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773A KR102149829B1 (ko) 2017-11-24 2017-11-24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503A true KR20190060503A (ko) 2019-06-03
KR102149829B1 KR102149829B1 (ko) 2020-09-01

Family

ID=6684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773A Active KR102149829B1 (ko) 2017-11-24 2017-11-24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6472A (zh) * 2019-08-23 2019-12-10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pdms材料的包覆型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1253751A (zh) * 2020-01-21 2020-06-09 齐鲁工业大学 一种碳纳米管聚二甲基硅氧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4089B (zh) * 2021-02-11 2021-11-30 福州大学 一种基于砂纸模板制备宽检测范围压阻式传感器的方法
KR20220122880A (ko) 2021-02-26 202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신 센서 및 그 제조 방법과 웨어러블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535A (ko) * 2014-04-30 2015-1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535A (ko) * 2014-04-30 2015-1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6472A (zh) * 2019-08-23 2019-12-10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pdms材料的包覆型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0556472B (zh) * 2019-08-23 2022-08-09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pdms材料的包覆型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11253751A (zh) * 2020-01-21 2020-06-09 齐鲁工业大学 一种碳纳米管聚二甲基硅氧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829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Engineered microstructure derived hierarchical deformation of flexible pressure sensor induces a supersensitive piezoresistive property in broad pressure range
Peng et al. Multimodal capacitive and piezoresistive sensor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multiple forces
Huang et al. Flexible pressure sensor with an excellent linear response in a broad detection range for human motion monitoring
Wu et al. Channel crack-designed gold@ PU sponge for highly elastic piezoresistive sensor with excellent detectability
Liu et al. High-performance strain sensors with fish-scale-like graphene-sensing layers for full-range detection of human motions
CN114521232B (zh) 柔顺的三轴力传感器及制造其的方法
KR102149829B1 (ko)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Jung et al. Flexible and highly sensitive three-axis pressure sensors based on carbon nanotube/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 pyramid arrays
Sun et al. Recent applications of different microstructure designs in high performance tactile sensors: A review
Li et al. A facile realization scheme for tactile sensing with a structured silver Nanowire‐PDMS composite
KR101486217B1 (ko) 커브 형 전도성 나노 또는 마이크로 필러를 이용한 촉각 센서
CN104215363B (zh) 基于压敏导电橡胶的柔性触滑觉复合传感阵列
Bayer MEMS-based tactile sensors: Materials, processes and applications in robotics
US9868217B2 (en) All-elastomer 3-axis contact resistive tactile sensor arrays and micromille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Sun et al. A highly-sensitive flexible tactile sensor array utilizing piezoresistive carbon nanotube–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
Liang et al. Direct stamping multifunctional tactile sensor for pressure and temperature sensing
CN108291797A (zh) 含直线诱导的裂纹的高灵敏度传感器及其制造方法
Li et al. Piezoresistive thin film pressure sensor based on carbon nanotube-polyimide nanocomposites
Yu et al. Two-sided topological architecture on a monolithic flexible substrate for ultrasensitive strain sensors
CN106017751A (zh) 一种高灵敏度压阻式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1691910B1 (ko)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an et al. Soft controllable carbon fibre-based piezoresistive self-sensing actuators
Li et al. Assemblies of microfluidic channels and micropillars facilitate sensitive and compliant tactile sensing
Lu et al. High-performance multidirectional flexible strain sensor for human motion and health monitoring
Wei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flexible pressure sensors with an air gap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