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58281A -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281A
KR20190058281A KR1020180111604A KR20180111604A KR20190058281A KR 20190058281 A KR20190058281 A KR 20190058281A KR 1020180111604 A KR1020180111604 A KR 1020180111604A KR 20180111604 A KR20180111604 A KR 20180111604A KR 20190058281 A KR20190058281 A KR 20190058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bt
data
mode
od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0572B1 (en
Inventor
김영훈
김시홍
오태영
하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196,77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20197B2/en
Priority to CN201811390156.XA priority patent/CN109817252B/en
Priority to CN202110349616.XA priority patent/CN113053431B/en
Publication of KR2019005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2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572B1/en
Priority to US16/946,217 priority patent/US11195566B2/en
Priority to US17/518,888 priority patent/US11715504B2/en
Priority to US18/332,325 priority patent/US12217823B2/en
Priority to US19/002,120 priority patent/US20250124959A1/en
Priority to US19/018,469 priority patent/US20250149076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3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 memory b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5Read-write mode selec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 및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메모리 장치는, CBT 모드에서 데이터 신호들 중에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 일대일 대응되어 CBT 패턴을 출력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이 아닌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데이터 신호의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로 진입하거나 CBT 모드를 탈출한다. 메모리 장치는, CBT 모드 시,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변경하고,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된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코드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 또는 데이터 클럭 신호 쌍을 터미네이션시키고, 데이터 신호들의 ODT를 오프시킨다.A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on supporting a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are disclosed. In response to the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which is either one of the data signals in the CBT mode and one of the signals other than the second data signals outputting the CBT pattern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CBT) mode or exit the CBT mode. In the CBT mode, the memory device changes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received at the terminals of the second data signals, and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n-die termination (ODT) code setting stored in the mode register Terminates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or the data clock signal pair, and turns off the ODT of the data signals.

Figure P1020180111604
Figure P1020180111604

Description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device supporting a command bus training mod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mory device supporting a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저전력 더블 데이터 레이트(Low Power Double Data Rate: LPDDR) 동기식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등과 같은 모바일향(mobile-oriented) 메모리 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울트라 북(ultra book) 등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주로 사용된다.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수행되는 멀티 태스킹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운영체제(OS)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보다 더 저전력 소모 특성을 가지면서 고속 동작 성능을 지닌 모바일 전자기기가 요망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Mobile-oriented memory devices such as low power double data rate (LPDDR)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smart phone, tablet ) It is mainly used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Cs and ultrabooks. As the capacity of a mobile operating system (OS) increases to support multitasking operations performed in mobile electronic devices,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lower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high operating performance are desired.

메모리 장치의 고속 동작 성능을 위해, 메모리 장치와 메모리 콘트롤러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고속의 클락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콘트롤러로부터 수신된 클락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 콘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고, 메모리 콘트롤러로 전송하는 신호들을 클락 신호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요구에 따라 메모리 콘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클락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지면서 메모리 장치에서는 전송되는 신호를 정확하게 캡쳐(capture)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장치는 버스 트레이닝(bus training) 기법을 채용하고 있다.For high-speed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memory device, a high-speed clock signal may be provid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emory device and the memory controller (or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e memory device responds to the clock signal received from the memory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process signal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and synchronize the signals transmitted to the memory controller with the clock signal. As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provided by the memory controller increases according to the demand for a higher data transfer rate,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accurately capture the transmitted signals. Thus, the memory device employs a bus training technique.

본 발명의 목적은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at support a command bus training mo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클락 신호,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패턴이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 CBT 모드에서 CBT 패턴이 출력되지 않는 제1 데이터 신호와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의 일대일 대응되어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패턴이 출력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들, 그리고 데이터 클락 신호에 동기되는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CBT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과 반대인 제2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CBT 모드를 탈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The memory device supporting the command bus train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clock signal, command / address signals to which a command bus training (CBT) pattern is transmitted, a first In response to a first logic level of a first data signal synchronized with a data clock signal, and data signals comprising second data signals in which a command bus training pattern is output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data signal and command / And control logic to control the CBT mode to enter and exit the CBT mode in response to a second logic level opposite to the first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클락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데이터 클락 신호에 동기되는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CBT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CBT 모드 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비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패턴을 수신하는 동작, 그리고 CBT 모드 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 일대일 대응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CBT 패턴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1 데이터 신호는 CBT 모드에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신호들 중에서 제2 데이터 신호들이 아닌 신호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A method of operating a memory device supporting a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data clock signal; responding to a first logic level of a first data signal synchronized to a data clock signal A command bus training (CBT) pattern composed of a bit configuration of command / address signals in the CBT mode, and an operation of entering the CBT mode in the CBT mode. And the first data signal is set to one of signals other than the second data signals among the data signals of the memory device in the CBT mo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제1 데이터 신호의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로 진입하거나 CBT 모드를 탈출하는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해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패턴을 전송하는 메모리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 데이터 신호는 CBT 모드에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신호들 중에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 일대일 대응되어 CBT 패턴을 출력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이 아닌 신호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메모리 장치는, CBT 모드 시,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변경하고,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된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코드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 또는 데이터 클럭 신호 쌍을 터미네이션시키고, 데이터 신호들의 ODT를 오프시킨다.A memory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device that enters a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or escapes a CBT mode in response to a logic level of a first data signal; And a memory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command bus training (CBT) pattern through terminals of command / address signals to the memory device, wherein the first data signal is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command / address signals among the data signals of the memory device in the CBT mode Are set to any one of signals other than the second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BT pattern. In the CBT mode, the memory device changes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received at the terminals of the second data signals, and changes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n-die termination (ODT) code setting stored in the mode register Terminates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or the data clock signal pair, and turns off the ODT of the data signals.

본 발명의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수행하는 메모리 장치는,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커맨드/어드레스 버스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를 정확하게 캡쳐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performing the command bus training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capture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and / address bus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command bus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모리 장치의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 로직의 일부분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의 기준 전압 셋팅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데이터(DQ) 출력 드라이브 회로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커맨드/어드레스(CA)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2의 데이터(DQ)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의 데이터 클럭(WCK)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모바일 장치에 응용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emory device of FIG.
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he command bus training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of FIG.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control logic of Figure 2;
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of 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data (DQ) output drive circuit of FIG.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mmand / address (CA)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8A-8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ata (DQ)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of FIG.
FIGS. 9A to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ata clock (WCK)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of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memory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00)은 메모리 장치(100) 및 메모리 콘트롤러(200)를 포함한다. 메모리 시스템(1000)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or: PC) 또는 모바일 전자기기 내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전자기기는 랩탑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웨어러블 컴퓨터,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장치,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IoE)) 장치, 또는 드론(dr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emory system 1000 includes a memory device 100 and a memory controller 200. The memory system 1000 may be embodied in a personal computer (PC) 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laptop computer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EDA (Enterprise Digital Assistant), digital still cameras, digital video cameras, 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 (Personal Navigation Device or Portable Navigation Device), Handheld game console, Mobile Internet Device (MID), Wearable Compute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an Internet of Everything (IoE) device, or a drone.

메모리 장치(100)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은 휘발성 메모리 셀일 수 있고, 메모리 장치(10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LPDDR (Low Power DDR) SDRAM, GDDR (Graphic DDR) SDRAM, RDRAM(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일 수 있고, 메모리 장치(10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EEPROM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NFGM (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 메모리 장치(100)는 DRAM인 것으로서 설명되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인정될 것이다.The memory device 100 may include a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cell may be a volatile memory cell and the memory device 10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mobile DRAM, a double data rate (DDR 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LPDDR), SDRAM (Low Power DDR) SDRAM, Graphic DDR SDRAM, 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DRAM), and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memory cell may be a non-volatile memory cell, and the memory device 10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 A PRAM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an RRAM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a 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a 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a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 In the following, the memor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a DRAM, bu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모바일 AP, 칩셋(chipset), 또는 칩들의 집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싱글 및/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프로세서(들) 및 캐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패키지와는 분리된 물리적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프로세서의 일부, 예컨대 프로세서의 회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복수의 프로세서 디바이스들에 의해 공유되는 SOC(System On Chip) 상의 로직 내에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mobile AP, a chipset, or a collection of chips. 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including a single and / or multicor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device separate from the package including the processor (s) and cache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emory controller 200 may be part of a processor, e.g., a circuit of a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be implemented in logic on a System On Chip (SOC) shared by a plurality of processor devices.

메모리 콘트롤러(200)와 메모리 장치(100) 사이의 신호 라인들은 커넥터들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들은 핀들, 볼들, 신호 라인들, 또는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커맨드 및 어드레스(CA) 신호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11)를 통해서 메모리 콘트롤러(200)로부터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칩 선택(CS) 신호는 칩 선택 라인(13)을 통해서 메모리 콘트롤러(200)로부터 메모리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로직 히이로 활성화되는 칩 선택(CS) 신호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11)를 통해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가 커맨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DQ)는 양방향 신호 라인들로 구성되는 데이터 버스(17)를 통해서, 메모리 콘트롤러(200)로부터 메모리 장치(100)로 전송되거나,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메모리 콘트롤러(2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signal lines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00 and the memory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connectors. The connectors may be implemented as pins, balls, signal lines, or other hardware components. Command and address (CA) signals may be transferred from the memory controller 200 to the memory device 100 via the command / address bus 11. A chip select (CS)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emory controller 200 to the memory device 100 via the chip select line 13. The chip select (CS) signal that is logically hyro-activated may indicate that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transmitted via the command / address bus 11 is a command. The data DQ may be transferred from the memory controller 200 to the memory device 100 or from the memory device 100 to the memory controller 200 via the data bus 17, have.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 저장 용량이 증가하고 메모리 장치(100)를 억세스하는 장치들,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IP 코어(intellectual property core) 등의 동작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메모리 장치(100)는 고속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콘트롤러(200)로부터 클락 라인(15)를 통해서 클락(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클락(CK)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 콘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예컨대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 데이터(DQ) 등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콘트롤러(200)가 데이터(DQ)를 캡쳐할 수 있도록, 수신된 클락(CK) 신호에 동기화된 데이터(DQ)를 메모리 콘트롤러(2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capacity of the memory device 100 increases and devices accessing the memory device 100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 IP core (intellectual) property core, etc., the memory device 100 can support a high-speed interface. The memory device 100 may receive a clock (CK) signal from the memory controller 200 through the clock line 15 and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memory controller 200 based on the received clock (CK) For example, a command / address (CA) signal, data DQ, and the like. The memory device 100 may also send the data DQ synchronized to the received clock (CK) signal to the memory controller 200 so that the memory controller 200 can capture the data DQ.

도 1에서는 1개의 클락 라인(15)을 통해서 클락(CK) 신호가 전송되는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클락(CK) 신호는 차동적으로(differentially) 2개의 신호 라인들을 통해서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메모리 장치(100)는 클락(CK)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에 동기화되어 동작하는 것으로서 설명되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메모리 장치(100)는 클락(CK) 신호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동기화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Although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lock (CK)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one clock line 15, a clock (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wo different signal lines differently. In the following, although the memory device 100 is described as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ing edge of a clock (CK) signal,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mory device 100 includes a clock (CK) And may be operated synchronously with the falling edge of the signal.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클락(CK) 신호에 기초하여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 데이터(DQ)를 캡쳐하기 위하여, 메모리 장치(100) 및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메모리 시스템(1000)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커맨드 버스(11) 및/또는 데이터 버스(17)에 대한 버스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낮은 주파수의 클락(CK) 신호와 함께 버스 트레이닝 모드에 진입하는 커맨드를 커맨드 버스(11)를 통해서 메모리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메모리 장치(100)는 버스 트레이닝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버스 트레이닝 모드에서,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높은 주파수의 클락(CK) 신호와 함께 트레이닝 대상 신호 라인을 통해서 특정 신호를 메모리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200)는 메모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트레이닝 대상 신호 라인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의 타이밍, 예컨대 지연을 결정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100 and 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support the bus training mode in order to capture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data DQ, based on the clock signal (CK) having a high frequency. That is, the memory controller 200 can perform bus training on the command bus 11 and / or the data bus 17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emory system 1000 or if certain conditions are satisfied. For example, 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send a command to the memory device 100 via the command bus 11 to enter the bus training mode with a low frequency clock (CK) signal, Can enter the bus training mode. In the bus training mode, the memory controller 200 can send a specific signal to the memory device 100 via the training object signal line with a high frequency clock (CK) signal and receive a response from the memory device 100 . The memory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e timing, e.g., delay, of a signal that is transmitted over the training object signal line based on the response received from the memory device 100. [

데이터 버스 트레이닝은 메모리 콘트롤러(200)가 특정한 커맨드를 커맨드 버스(11)를 통해서 전송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데이터 클락(WCK)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 버스(17)를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DQ)가 메모리 장치(100)에 의해서 정확하게 캡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 data bus training is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bus 17 at the rising or falling edge of the data clock (WCK) signal after the memory controller 200 has transmitted a specific command through the command bus 11 and a certain time has elapsed May be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DQ has been accurately captured by the memory device 100. [

한편, 데이터 버스 트레이닝이 수행되기 전에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이 수행될 수 있다.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은 클락(CK)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에서 커맨드 버스(11)를 통해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가 메모리 장치(100)에 의해서 정확하게 캡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가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칩 선택(CS) 신호(도 3의 Ta1, Ta2 시점들)는 일반적인 동작 시 클락(CK) 신호의 주기 이하의 활성 펄스 폭을 가질 수 있으므로,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은 활성화된 칩 선택(CS) 신호를 이용하는 단계(도 3의 Te1 시점)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and bus training can be performed before the data bus training is performed. The command bus training can be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a command / address (C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and bus 11 at the rising or falling edge of the clock (CK) signal has been accurately captured by the memory device 100 . In addition, the chip selection (CS) signal (the timings of Ta1 and Ta2 in FIG. 3) indicating that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is a command can have an active pulse width shorter than the period of the clock (CK) The command bus training may include using the activated chip select (CS) signal (Te1 point in FIG. 3).

전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버스 트레이닝은 클락(CK) 신호의 특정한 상승 또는 하강 에지에서 데이터(DQ)가 정확하게 캡쳐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반면,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은 데이터 버스 트레이닝 이전에 수행될 수 있고 클락(CK) 신호의 특정되지 아니한 상승 에지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가 정확하게 캡쳐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은 데이터 버스 트레이닝보다 용이하지 아니할 수 있다.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를 정확하게 캡쳐하기 위하여, 메모리 장치(100)는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120)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bus training checks whether the data DQ is accurately captured at a particular rising or falling edge of the clock (CK) signal, while the command bus training can be performed before the data bus training and the clock (CA) signal is correctly captured at the unspecified rising edge of the CK signal. Accordingly, the command bus training may not be easier than the data bus training. In order to accurately capture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during command bus training, the memory device 100 may include control logic 120 that controls the command bus training mode.

제어 로직(120)은, 데이터(DQ) 신호들 중에서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패턴이 출력되지 않는 데이터(예, DQ[7], 도 3) 신호의 로직 레벨을 이용하여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를 진입하고 탈출할 수 있다. 제어 로직(120)은,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CBT 패턴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데이터(DQ) 신호들 중에서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패턴이 출력되는 데이터(예, DQ[6:0], 도 3)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CBT 패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logic 120 enters the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using the logic level of the data (e.g., DQ [7], Figure 3) signal from which no command bus training pattern is output among the data (DQ) And escape. The control logic 120 controls to receive the CBT pattern through the terminals of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s and selects data (e.g., DQ [6: 0]) from which the command bus training pattern is output, , Fig. 3), and outputting the CBT pattern through the terminals of the signals.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emory device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 제어 로직(120),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 커맨드/어드레스(CA) 캘리브레이션 회로(340), 데이터(DQ) 출력 드라이브 회로(350), 커맨드/어드레스(CA)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360), 데이터(DQ)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370), 그리고 데이터 클럭(WCK)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380)를 포함할 수 있다.2, memory device 100 includes a memory cell array 110, control logic 120, a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a command / address (CA) calibration circuit 340, a data DQ output (ODT) control circuit 360, a data (DQ)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370, and a data clock (WCK) on- And a 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380.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로우들 및 칼럼들로 배열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10)는 메모리 셀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워드라인들(WL)과 복수개의 비트라인들(BL)을 포함한다. 복수의 워드라인들(WL)은 메모리 셀들의 로우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비트라인들(BL)은 메모리 셀들의 칼럼들과 연결될 수 있다.The memory cell array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emory cell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The memory cell array 110 includes a plurality of word lines WL and a plurality of bit lines BL connected to memory cells. A plurality of word lines (WL) may be connected to rows of memory cells, and a plurality of bit lines (BL) may be connected to columns of memory cells.

제어 로직(120)은, 클럭(CK) 신호, 칩 선택(CS) 신호,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 데이터 클락(WCK) 신호, 데이터(DQ) 및/또는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DMI) 신호에 응답하여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를 생성할 수 있다.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는 CBT 모드의 구동 신호로 이용되고,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 CA 캘리브레이션 회로(340), DQ 출력 드라이브 회로(350), CA ODT 제어 회로(360), DQ ODT 제어 회로(370), 그리고 WCK ODT 제어 회로(380)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logic 120 may include a clock signal (CK), a chip select (CS) signal, a command / address signal CA, a data clock (WCK) signal, a data DQ and /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may be generated.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s used as a driving signal of the CBT mode and includes a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a CA calibration circuit 340, a DQ output drive circuit 350, a CA ODT control circuit 360, a DQ ODT The control circuit 370, and 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respectively.

모드 레지스터(320)는 메모리 장치(100)의 기능들, 특성들 및/또는 모드들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모드 레지스터(320)는 커맨드/어드레스 버스(11)를 통해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에 따른 MRS 커맨드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고, 사용자 설정 값들(user defined variables)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모드 레지스터(320)는 기능들, 특성들 및/또는 모드들에 따라 다양한 필드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든 레지스터들이 정의된 디폴트 값들을 갖고 있으므로, 모드 레지스터(310)의 내용들은 초기화될 수 있다. 즉, 파워-업 및/또는 올바른 동작을 위한 리셋 후에, 모드 레지스터(320)의 내용들이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모드 레지스터(320)의 내용들은 노멀 동작 동안 MRS 커맨드의 재실행으로 인하여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장치(100)의 기능들, 특성들 및/또는 모드들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mode register 320 may program the functions, features and / or modes of the memory device 100. The mode register 320 may be programmed by an MRS command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 address (CA) signal transmitted via the command / address bus 11 and may be programmed with user defined variables. The mode register 320 may be divided into various fields according to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 or modes. Since all the registers of the mode register 320 have defined default values, the contents of the mode register 310 can be initialized. That is, after power-up and / or reset for correct operation, the contents of mode register 320 can be programmed. Further, the contents of the mode register 320 may be changed due to re-execution of the MRS command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ccordingly, the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 or modes of the memory device 100 may be updated.

모드 레지스터(320)는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로 제공되는 제1 기준 전압 셋팅 코드(MR[6:0])를 저장하고, CA ODT 제어 회로(360)로 제공되는 FSP 동작 모드(FSP-OP) 및 CBT 동작 모드(CBT_OP)를 셋팅하고 CA ODT 코드(CA_ODT[6:4])를 저장하고, DQ ODT 제어 회로(370)로 제공되는 DQ ODT 코드(DQ_ODT[2:0])를 저장하고, WCK ODT 제어 회로(380)로 제공되는 WCK ODT 코드(WCK_ODT[2:0])를 저장할 수 있다.The mode register 320 stor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MR [6: 0] provided to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and controls the FSP operation mode FSP- OP) and the CBT operation mode CBT_OP and stores the CA ODT code CA_ODT [6: 4] and stores the DQ ODT code DQ_ODT [2: 0] provided to the DQ ODT control circuit 370 , And store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provided to 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는 CBT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응답하여 DQ[6:0] 데이터 단자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 코드(VREFOP[6:0])에 따라 기준 전압(VREFCA) 값을 변경할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generates a referenc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received in the DQ [6: 0] data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n the CBT mode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CA 캘리브레이션 회로(340)는 CBT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응답하여 CA[6:0] 커맨드/어드레스 신호 단자로 수신되는 패턴 A의 CA_CBT[6:0] 비트들로 출력할 수 있다.The CA calibration circuit 340 can output the CA_CBT [6: 0] bits of the pattern A received at the CA [6: 0] command / address signal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n the CBT mode have.

DQ 출력 드라이브 회로(350)는 CBT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응답하여 CA 캘리브레이션 회로(340)에서 제공되는 CA_CBT[6:0] 비트 구성의 패턴 A를 DQ[6:0] 데이터 단자들로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390)을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The DQ output drive circuit 350 outputs the pattern A of the CA_CBT [6: 0] bit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CA calibration circuit 340 in response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to the DQ [6: 0] Lt; RTI ID = 0.0 > 390 < / RTI >

메모리 장치(100)는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 데이터 클락(WCK) 신호, 그리고 데이터(DQ)에 대하여 터미네이션 저항을 턴온/오프시키는 온-다이 터미네이션(ODT)을 제공할 수 있다. ODT는 신호 충실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 콘트롤러(200)가 메모리 장치(100)의 모드 레지스터 셋팅을 통하여 터미네이션 저항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도록 허용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100 may provide on-die termination (ODT) for turning on / off the termination resistors for a command / address (CA) signal, a data clock (WCK) signal, and data DQ. The ODT can be allowed to turn on or turn off the termination resistance through the mode register setting of the memory device 100 in order to improve signal fidelity.

CA ODT 제어 회로(360)는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에 대하여 예상되는 임피던스 정합에 기초하여 최적의 터미네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CA ODT 제어 회로(360)는 CBT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응답하여 모드 레지스터(320)에 저장된 CA ODT 코드(CA_ODT[6:4])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를 터미네이션시킬 수 있다.The CA ODT control circuit 360 may control to provide an optimal termination based on the expected impedance match for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The CA ODT control circuit 360 responds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n the CBT mode and outputs a command / address (address) a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A ODT code (CA_ODT [6: 4]) setting stored in the mode register 320 (CA) signal.

DQ ODT 제어 회로(370)는 데이터(DQ)에 대하여 예상되는 임피던스 정합에 기초하여 최적의 터미네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Q ODT 제어 회로(370)는 노멀 모드 시 모드 레지스터(320)에 저장된 DQ ODT 코드(DQ_ODT[2:0])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데이터(DQ)를 터미네이션시키고, CBT 모드 시 DQ ODT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DQ ODT control circuit 370 can control to provide optimal termination based on the expected impedance match for the data DQ. The DQ ODT control circuit 370 terminates the data DQ with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Q ODT code (DQ_ODT [2: 0]) set in the mode register 320 in the normal mode and sets the DQ ODT Off.

WCK ODT 제어 회로(380)는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에 대하여 예상되는 임피던스 정합에 기초하여 최적의 터미네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CK ODT 제어 회로(380)는 CBT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응답하여 모드 레지스터(320)에 저장된 WCK ODT 코드(WCK_ODT[2:0])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을 터미네이션시킬 수 있다.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can control to provide optimal termination based on the expected impedance match for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responds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n the CBT mode and outputs a data clock signal having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set in the mode register 320, The pair (WCK, WCKB) can be terminated.

도 3은 도 2의 메모리 장치의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시, 메모리 장치(100) 및 메모리 콘트롤러(200) 사이에 이동하는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도를 보여준다.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he command bus training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of FIG. 3 shows an exemplary timing diagram of signals traveling between the memory device 100 and the memory controller 200 during command bus training.

도 3을 참조하면, Ta0 시점부터 클락(CK) 신호가 수신된다. Ta0 시점에서, 활성화된 칩 선택(CS) 신호와 커맨드/어드레스 버스(11)를 통해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6:0])가 모드 레지스터 셋팅 커맨드(MRW-1)임을 나타낼 수 있다. Ta1 시점에서, 활성화된 칩 선택(CS) 신호와 커맨드/어드레스 버스(11)를 통해서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6:0]))가 모드 레지스터 셋팅 커맨드(MRW-2)임을 나타낼 수 있다. Ta0 및 Ta1 시점에서, 클락(CK)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모드 레지스터 셋팅 커맨드(MRW-1, MRW-2)가 메모리 장치(100)로 수신되고, 메모리 장치(100)는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를 모드 레지스터(320)에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lock (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e Ta0. At the time Ta0, it can indicate that the activated chip select (CS) signal and the command / address signal CA [6: 0] transmitted through the command / address bus 11 are the mode register setting command MRW-1 . At time Ta1,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at the activated chip select (CS) signal and the command / address signal CA [6: 0] transmitted via the command / address bus 11) are the mode register setting command MRW-2 have. The mode register setting commands MRW-1 and MRW-2 synchronized with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CK) signal are received by the memory device 100 at the time of Ta0 and Ta1 and the memory device 100 receives the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to the mode register 320. [

Td1 시점에서, 데이터 클락(WCK)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DQ[7] 데이터의 로직 하이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00)는 CB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데이터 클락(WCK) 신호는 클락(CK) 신호를 예컨대, 4 분주하여 생성되는 클럭 신호와 유사한 클락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DQ[7] 데이터는 CBT 모드에서 데이터(DQ[7:0]) 중 커맨드/어드레스 신호(CA[6:0])와의 일대일 매칭 관계에서 배제되는 데이터 신호를 말한다. CBT 모드 시, CA[6:0] 커맨드/어드레스 신호 각각은 DQ[6:0]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어 CBT 신호로서 출력되지만, DQ[7] 데이터는 CBT 신호로서 출력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CBT 출력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 DQ[7] 데이터는 CBT 모드 진입을 지시하는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At time Td1, in response to a transition of logic high of the DQ [7] data synchronized to the rising edge of the data clock (WCK) signal, the memory device 100 may enter the CBT mode. The data clock (WCK) signal may have a clock frequency that is similar to the clock signal generated by dividing the clock (CK) signal, for example, by four. DQ [7] data refers to a data signal excluded from the one-to-one matching relationship with the command / address signal CA [6: 0] among the data (DQ [7: 0]) in the CBT mode. In the CBT mode, each of the CA [6: 0] command / address signals is output as a CBT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Q [6: 0] data, but DQ [7] data is not used for output as a CBT signal. DQ [7] data that is not used for the CBT output signal can be used as a signal to indicate CBT mode entry.

Td1 시점에서, 제어 로직(120)에 의해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가 활성화되면,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에 따라 기준 전압(VREFCA) 값을 변경하고, CA ODT 제어 회로(360)는 CA ODT 코드(CA_ODT[6:4])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를 터미네이션시키고, DQ ODT 제어 회로(370)는 디세이블되어 DQ ODT를 오프시키고, WCK ODT 제어 회로(380)는 WCK ODT 코드(WCK_ODT[2:0])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을 터미네이션시킬 수 있다.At the time Td1, when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s activated by the control logic 120,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sets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6: 0) 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 And the CA ODT control circuit 360 terminates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with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A ODT code (CA_ODT [6: 4] 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can terminate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with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setting .

Td2 시점에서, DQ[7] 데이터의 로직 하이에 응답하여 주파수 셋-포인트(FSP)를 스위칭할 수 있다. Ta0 시점에서 Td2 시점까지,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는 모드 레지스터(320)에 저장된 제1 기준 전압 셋팅 코드(MR[6:0])에 따라 기준 전압(VREFCA) 값을 변경할 수 있다. FSP는 기준 전압(VREFCA) 셋팅, 기준 전압(VREFCA) 레인지와 같은 동작 셋팅 등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0)는 모드 레지스터(320)에 FSP 동작 모드(FSP-OP)를 셋팅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0)가 파워-업이 되면 FSP-OP는 디폴트 "0"으로 셋팅되는 데, FSP-OP[0] 디폴트 셋팅 값은 터미네이션 안된 저주파수 동작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FSP-OP[1]로의 스위칭은 CBT 모드에서 FSP 동작 모드(FSP-OP)를 변경할 수 있다.At time Td2, the frequency setpoint (FSP) can be switched in response to a logic high of the DQ [7] data. From the time Ta0 to the time Td2,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can change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MR [6: 0] stored in the mode register 320. [ The FSP can enable an operation setting, such as a reference voltage (VREFCA) setting, a reference voltage (VREFCA) range, and the like. The memory device 100 may set the mode register 320 to the FSP operation mode (FSP-OP). When the memory device 100 is powered up, the FSP-OP is set to the default " 0 ", and the FSP-OP [0] default setting value can be provided for unterminated low frequency operation. Switching to FSP-OP [1] can change the FSP operating mode (FSP-OP) in CBT mode.

Td3 시점에서, DQ[7] 데이터의 로직 하이와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DMI) 신호의 로직 하이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00)는 기준 전압(VREFCA) 레벨을 셋팅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CA) 레벨은 메모리 장치(100)로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들(DQ[6:0])의 비트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는 DQ[6:0] 데이터 단자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를 기준 전압 코드(VREFOP[6:0])로서 출력하고, 기준 전압 코드(VREFOP[6:0])에 따라 기준 전압(VREFCA) 값을 변경할 수 있다.At time Td3, the memory device 100 may set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level in response to a transition of the logic high of the DQ [7] data and the logic high of the data mask inversion (DMI) signal.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level may be determined by the bit combination of the data signals DQ [6: 0] received by the memory device 100. [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outputs a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received at the DQ [6: 0] data terminal as a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The value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oltage code VREFOP [6: 0].

Te1 시점에서, 칩 선택(CS) 신호의 로직 하이 펄스의 중간 위치에 "패턴 A"를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CA[6:0])이 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DQ) 출력 드라이브 회로(3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버퍼 인에이블 신호(DQ_EN)에 응답하여, "패턴 A"의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CA[6:0]) 각각에 대응하는 DQ[6:0] 데이터 단자들에 연결되는 데이터 출력 버퍼들(390)이 온될 수 있다.At the time point Te1, command / address signals CA [6: 0] having " pattern A " at the middle position of the logic high pulse of the chip select (CS) signal can be received. DQ [6: 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CA [6: 0] of "pattern A" in response to the data buffer enable signal DQ_EN output from the data DQ output drive circuit 350 : 0] data output buffers 390 connected to the data terminals can be turned on.

Tf0 시점에서, 메모리 장치(100)의 DQ[6:0] 데이터 단자들을 통하여 "패턴 A"를 CBT 출력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Pattern A " as a CBT output signal through the DQ [6: 0] data terminals of the memory device 100 at time Tf0.

Tg0 시점에서, 클락(CK) 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된 DQ[7] 데이터의 로직 로우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메모리 장치(100)는 CBT 모드를 탈출할 수 있다.At time Tg0, in response to a transition to a logic low of DQ [7] data synchronized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CK) signal, memory device 100 may exit the CBT mode.

도 4는 도 2의 제어 로직의 일부분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다.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control logic of Figure 2;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로직(120)은 비교기(410)와 앤드 로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410)는 데이터 클럭(WCK)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VREFDQ)과 DQ[7]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기(410)는 DQ[7]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VREFDQ) 레벨보다 높으면 로직 하이를 출력하고, DQ[7]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VREFDQ) 레벨보다 낮으면 로직 로우를 출력할 수 있다. 앤드 로직(420)은 비교기(410)의 출력과 모드 레지스터(320)에서 제공되는 제1 CBT 모드 신호(CBT_MRS)를 입력하고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를 출력할 수 있다. 비교기(410)의 출력이 로직 하이이고 제1 CBT 모드 신호(CBT_MRS)가 로직 하이이면, 앤드 로직(420)은 로직 하이의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를 출력할 수 있다. 4, the control logic 120 may include a comparator 410 and an AND logic 420. The comparator 410 may compare the reference voltage VREFDQ and the DQ [7] data in response to a data clock (WCK) signal. The comparator 410 outputs a logic high if the voltage level of the DQ [7] data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DQ level and outputs a logic low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DQ [7] data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DQ can do. The AND logic 420 receives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410 and the first CBT mode signal CBT_MRS provided from the mode register 320 and outputs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f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410 is logic high and the first CBT mode signal CBT_MRS is a logic high, the end logic 420 may output a logic high CBT enable signal CBT_EN.

제어 로직(120)은, 예시적으로, Td1 시점에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가 로직 하이로 발생될 수 있다. 로직 하이의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기초하여 CBT 모드의 구동 신호로서 작용할 수 있다.The control logic 120, illustratively, at the time Td1,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may be generated logic high. It can act as a drive signal of the CBT mode based on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of the logic high.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의 기준 전압 셋팅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of FIG.

도 5a를 참조하면,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는 앤드 로직(502), 선택부(510), 기준 전압 디코더(520), 그리고 기준 전압 생성 회로(530)를 포함할 수 있다.5A,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may include an AND logic 502, a selection unit 510, a reference voltage decoder 520, and a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30. Referring to FIG.

앤드 로직(502)에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와 제2 CBT 모드 신호(CBT_MODE2)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CBT 모드 신호(CBT_MODE2)는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 신호(DMI[0])를 이용하여 기준 전압 셋팅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이다.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 신호(DMI[0])가 로직 하이일 때 제2 CBT 모드 신호(CBT_MODE2)는 로직 하이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Td3 시점에서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 신호(DMI[0])가 로직 하이인 구간 동안 제2 CBT 모드 신호(CBT_MODE2)는 로직 하이로 제공될 수 있다.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 및 제2 CBT 모드 신호(CBT_MODE2)가 로직 하이일 때, 즉, Td3 시점에서, 앤드 로직(502)는 로직 하이의 출력 신호를 선택부(510)의 선택 신호(S0)로 제공될 수 있다.The end logic 502 may receive a CBT enable signal CBT_EN and a second CBT mode signal CBT_MODE2. The second CBT mode signal CBT_MODE2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using the version signal DMI [0], which is a data mask. The second CBT mode signal CBT_MODE2 may be provided as a logic high when the data mask inversion signal DMI [0] is logic high. Illustratively, the second CBT mode signal CBT_MODE2 may be provided at a logic high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data mask inversion signal DMI [0] is at logic high at the time Td3 in FIG. When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and the second CBT mode signal CBT_MODE2 are logic high, that is, at the time point Td3, the AND logic 502 outputs an output signal of logic high to the selection signal S0 ). ≪ / RTI >

선택부(510)는 선택 신호(S0)에 응답하여 제1 입력 단자(IN0) 및 제2 입력 단자(IN1)로 입력되는 신호들 중 하나를 출력 단자(OUT)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입력 단자(IN0)에는 모드 레지스터(320)에 저장된 제1 기준 전압 셋팅 코드(MR[6:0])가 입력되고, 제2 입력 단자(IN1)에는 DQ[6:0] 데이터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가 입력될 수 있다.The selector 510 may output one of the signal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0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IN1 to the output terminal OU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S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MR [6: 0] stored in the mode register 320 i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0 and the DQ [6: 0] data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N1 A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can be input.

선택부(510)는 선택 신호(S0)가 로직 로우일 때, 제1 입력 단자(IN0)로 입력되는 제1 기준 전압 셋팅 코드(MR[6:0])를 기준 전압 코드(VREFOP[6: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Ta0 시점에서 Td2 시점까지 모드 레지스터(320)에 저장된 제1 기준 전압 셋팅 코드(MR[6:0])가 기준 전압 코드(VREFOP[6:0])로 출력될 수 있다.The selector 510 selec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MR [6: 0]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0 as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when the selection signal S0 is logic low, 0]). Illustratively, the first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MR [6: 0] stored in the mode register 320 may be output as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from the Ta0 point to the Td2 point in FIG. have.

선택부(510)는 선택 신호(S0)가 로직 하이일 때, 제2 입력 단자(IN1)로 입력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를 기준 전압 코드(VREFOP[6: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Td3 시점에서 DQ[6:0] 데이터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가 기준 전압 코드(VREFOP[6:0])로 출력될 수 있다.The selector 510 select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N1 as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when the selection signal SO is logic high, 0]). Illustrative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received as DQ [6: 0] data at the time Td3 in FIG. 3 may be output as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have.

선택부(510)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압 코드(VREFOP[6:0])는 기준 전압 디코더(520)로 제공될 수 있다. 기준 전압 디코더(520)는 기준 전압 코드(VREFOP[6:0])에 대응하는 저항 스위칭 신호 코드(RON[3:0])를 출력하고, 저항 스위칭 신호 코드(RON[3:0])는 기준 전압 생성 회로(530)로 제공될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output from the selection unit 510 may be provided to the reference voltage decoder 520. [ The reference voltage decoder 520 outputs the resistance switching signal code RON [3: 0]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and the resistance switching signal code RON [3: 0] And may be provided to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30.

도 5b에서, 기준 전압 생성 회로(530)는 전원 전압(VDDQ)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RS0~RS4), 그리고 복수의 저항들(RS0~RS4) 각각의 사이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들(MS0~MS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MS0~MS4)의 게이트에는 기준 전압 디코더(520)에서 비트 정보로 제공되는 저항 스위칭 신호 코드(RON[3:0])에 대응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기준 전압 생성 회로(530)는 저항 스위칭 신호 코드(RON[3:0])에 따라 단락되는 저항들(RS0~RS4)에 의해 전원 전압(VDDQ)에서 분배된 기준 전압(VREFCA)을 출력할 수 있다.5B,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530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S0 to RS4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VDDQ and a ground voltage VSS,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RS0 to RS4 And transistors MS0 to MS4 connected between the transistors M0 to M4.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resistance switching signal code RON [3: 0] provided as bit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voltage decoder 520 may be applied to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MS0 to MS4. The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530 can output the divided reference voltage VREFCA at the power supply voltage VDDQ by the resistors RS0 to RS4 shor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istance switching signal code RON [3: 0] have.

도 5c는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의 동작 결과로서, 기준 전압 코드(VREFOP[6:0])와 기준 전압(VREFCA) 값과의 상관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기준 전압 셋팅 테이블이다. 기준 전압 셋팅 테이블에서, 기준 전압 코드(VREFOP[6:0])가 0000000일 때 기준 전압(VREFCA) 값은 전원 전압(VDDQ)의 15% 정도의 전압 값을 갖고, 기준 전압 코드(VREFOP[6:0])가 증가함에 따라 기준 전압(VREFCA) 값도 증가하고, 기준 전압 코드(VREFOP[6:0])가 1111000일 때 기준 전압(VREFCA) 값은 전원 전압(VDDQ)의 75% 정도의 전압 값을 갖는 예를 보여준다. 즉, 기준 전압(VREFCA) 값은 기준 전압 코드(VREFOP[6:0])에 따라 가변적으로 셋팅될 수 있다.5C is a reference voltage setting table that illustratively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as a result of oper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 In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table, when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is 0000000,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has a voltage value of about 15% of the power source voltage VDDQ and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increases as the reference voltage VREFOP [6: 0] increases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increases to 75% of the power source voltage VDDQ when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Voltage value. That is, the value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can be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상술한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는, 예시적으로, 도 3의 Td1 시점의 CBT 모드 진입 후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CBT_DQ[6:0])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 코드(VREFOP[6:0])에 따라 기준 전압(VREFCA) 값을 변경할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described above exemplarily has a reference voltage code VREFOP [6: 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CBT_DQ [6: 0] after CBT mode entry at the time Td1 of FIG. 0]) of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도 6은 도 2의 데이터(DQ) 출력 드라이브 회로(350)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data (DQ) output drive circuit 350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DQ) 출력 드라이브 회로(350)는 낸드 로직(610), 래치 회로(612), 그리고 선택부(614)를 포함한다. 6, the data (DQ) output drive circuit 350 includes NAND logic 610, a latch circuit 612, and a selector 614.

낸드 로직(610)는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 신호(DMI[0]) 및 칩 선택(CS) 신호를 입력하고, 낸드 로직(610)의 출력을 래치 회로(612)로 제공할 수 있다. 래치 회로(612)는 낸드 로직(610)의 출력과 데이터 마스크 인버젼 신호(DMI[0])를 력하여 CBT 출력 인에이블 신호(CBT_DQ_EN)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Te1 시점에서의 데이터 출력 버퍼들이 온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NAND logic 610 may receive a version signal DMI [0] and a chip select (CS) signal that are data masks and may provide the output of NAND logic 610 to latch circuit 612. The latch circuit 612 can output the CBT output enable signal CBT_DQ_EN by applying the output of the NAND logic 610 and the version signal DMI [0], which is a data mask. Illustratively, the data output buffers at the time point Te1 in FIG. 3 can be turned on.

선택부(614)는 제1 입력 단자(I0)로 노멀 출력 인에이블 신호(NORMAL_DQ_EN)를 입력하고, 제2 입력 단자(I1)로 CBT 출력 인에이블 신호(CBT_DQ_EN)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부(614)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에 응답하여 제1 입력 단자(I0)의 노멀 출력 인에이블 신호(NORMAL_DQ_EN) 또는 제2 입력 단자(I1)의 CBT 출력 인에이블 신호(CBT_DQ_EN)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데이터 버퍼 인에이블 신호(DQ_EN)로서 출력할 수 있다.The selector 614 may input the normal output enable signal NORMAL_DQ_EN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0 and the CBT output enable signal CBT_DQ_EN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1. The selector 614 selects either the normal output enable signal NORMAL_DQ_EN of the first input terminal I0 or the CBT output enable signal CBT_DQ_EN of the second input terminal I1 in response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And output the selected signal as the data buffer enable signal DQ_EN.

선택부(614)는 노멀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의 로직 로우에 응답하여 노멀 출력 인에이블 신호(NORMAL_DQ_EN)를 데이터 버퍼 인에이블 신호(DQ_EN)로 출력할 수 있다. 노멀 모드는 메모리 장치(100)의 기입 동작 또는 독출 동작이 수행되는 모드를 말한다.In the normal mode, the selector 614 may output the normal output enable signal NORMAL_DQ_EN to the data buffer enable signal DQ_EN in response to the logic low of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The normal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 write operation or a read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100 is performed.

선택부(614)는 CBT 모드 시,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의 로직 하이에 응답하여 CBT 출력 인에이블 신호(CBT_DQ_EN)를 데이터 버퍼 인에이블 신호(DQ_EN)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Te1 시점에서의 데이터 출력 버퍼들(390, 도 3)이 온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lector 614 may output the CBT output enable signal CBT_DQ_EN to the data buffer enable signal DQ_EN in response to the logic high of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in the CBT mode. Illustratively, the data output buffers 390 (FIG. 3) at the time point Te1 in FIG. 3 can be turned on.

CBT 출력 인에이블 신호(CBT_DQ_EN)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 버퍼 인에이블 신호(DQ_EN)는 데이터 출력 버퍼(39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 버퍼(390)는 CA 캘리브레이션 회로(340)에서 제공되는 CA_CBT[6:0] 비트 구성의 패턴 A를 DQ[6:0] 데이터 단자들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의 Tf0 시점에서 메모리 장치(100)의 DQ[6:0] 데이터를 통하여 CA_CBT[6:0] 비트 구성의 패턴 A를 CBT 출력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The data buffer enable signal DQ_EN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CBT output enable signal CBT_DQ_EN may be provided to the data output buffer 390. [ The data output buffer 390 can output the pattern A of the CA_CBT [6: 0] bit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CA calibration circuit 340 to the DQ [6: 0] data terminals. Illustratively, the pattern A of the CA_CBT [6: 0] bit configuration can be output as the CBT output signal through the DQ [6: 0] data of the memory device 100 at the time Tf0 in FIG.

도 7a 내지 도 7d는 커맨드/어드레스(CA)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360)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mmand / address (CA)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360. FIG.

도 7a를 참조하면, 커맨드/어드레스(CA) ODT 제어 회로(360)는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에 대하여 예상되는 임피던스 정합에 기초하여 최적의 터미네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커맨드/어드레스(CA) ODT 제어 회로(360)는 제1 내지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들(710, 720, 730) CA ODT 디코더(740), 그리고 CA ODT 회로(7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command / address (CA) ODT control circuit 360 may control to provide an optimal termination based on the expected impedance match for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Command / Address (CA) ODT control circuit 360 may include first to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s 710, 720, 730, CA ODT decoder 740, and CA ODT circuit 750 have.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710)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0), 그리고 제1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0)에 응답하여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0)를 발생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0)는 도 7b에 도시된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3:2] 셋팅 중 [00]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노멀 모드 시 저주파수 셋팅(FSP[0])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0)는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5:4] 셋팅 중 [01]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CBT 모드 시 저주파수 셋팅(FSP0)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710)는 노멀 모드 시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0)를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0)로서 출력하고, CBT 모드 시 제1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0)를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0)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0)는 저주파수 동작에 따른 주파수 셋 포인트 인에이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The first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10 generates a first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in response to a CBT enable signal CBT_EN, a first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0, and a first CBT operation mode signal CBT_OP0. Point drive signal FSP_OPD0. The first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0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00] of the OP [3: 2]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shown in FIG. 7B, [0]). The first CBT operation mode signal CBT_OP0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01] in the OP [5: 4]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and may indicate the low frequency setting FSP0 in the CBT mode. The first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10 outputs the first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0 as a first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0 in the normal mode, And output the signal CBT_OP0 as the first frequency set point drive signal FSP_OPD0. The first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0 may act as a frequency setpoint enable signal in response to low frequency operation.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720)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1), 그리고 제2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1)에 응답하여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1)를 발생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1)는 도 7b에 도시된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3:2] 셋팅 중 [01]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노멀 모드 시 중간 주파수 셋팅(FSP[1])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1)는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5:4] 셋팅 중 [10]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CBT 모드 시 중간 주파수 셋 포인트(FSP1)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720)는 노멀 모드 시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1)를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1)로서 출력하고, CBT 모드 시 제2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1)를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1)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1)는 중간 주파수 동작에 따른 주파수 셋 포인트 인에이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The secon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20 generates a secon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in response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the second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1, and the second CBT operation mode signal CBT_OP1. Point drive signal FSP_OPD1. The second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1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01] of the OP [3: 2]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shown in FIG. 7B, FSP [1]). The second CBT operation mode signal CBT_OP1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10] of the OP [5: 4]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and may indicate an intermediate frequency set point FSP1 in the CBT mode . The secon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20 outputs the second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1 as a secon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1 in the normal mode, And can output the signal CBT_OP1 as the second frequency set point drive signal FSP_OPD1. The secon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1 may act as a frequency setpoint enable signal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operation.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730)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2), 그리고 제3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2)에 응답하여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2)를 발생할 수 있다.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2)는 도 7b에 도시된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3:2] 셋팅 중 [10]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노멀 모드 시 고주파수 셋팅(FSP[2])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2)는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5:4] 셋팅 중 [11]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CBT 모드 시 고주파수 셋 포인트(FSP2)를 나타낼 수 있다.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 발생부(730)는 노멀 모드 시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FSP_OP2)를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2)로서 출력하고, CBT 모드 시 제3 CBT 동작 모드 신호(CBT_OP2)를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2)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FSP_OPD2)는 고주파수 동작에 따른 주파수 셋 포인트 인에이블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30 generates a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in response to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2, and the third CBT operation mode signal CBT_OP2. Point driving signal FSP_OPD2.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2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10] of the OP [3: 2]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shown in FIG. 7B, [2]). The third CBT operation mode signal CBT_OP2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11] of the OP [5: 4] setting in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and may indicate a high frequency set point FSP2 in the CBT mode.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30 outputs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FSP_OP2 as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2 in the normal mode and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generator 730 outputs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2 as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2, And output the signal CBT_OP2 as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ing signal FSP_OPD2. The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 FSP_OPD2 may act as a frequency setpoint enable signal according to high frequency operation.

제1 내지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들(FSP_OPD0, FSP_OPD1, FSP_OPD2)은 커맨드/어드레스(CA) ODT 디코더(740)로 제공될 수 있다. CA ODT 디코더(740)는 제1 내지 제3 주파수 셋 포인트 구동 신호들(FSP_OPD0, FSP_OPD1, FSP_OPD2) 중에서 활성화된 신호와 CA ODT 코드(CA_ODT[6:4])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CA ODT 신호들(CA_ODT60, CA_ODT120, CA_ODT240)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frequency setpoint drive signals FSP_OPD0, FSP_OPD1 and FSP_OPD2 may be provided to the command / address (CA) ODT decoder 740. [ The CA ODT decoder 740 receives the first to third frequency set point control signals FSP_OPD0, FSP_OPD1 and FSP_OPD2 based on the activated signal and the CA ODT code CA_ODT [6: 4] ODT signals CA_ODT60, CA_ODT 120, CA_ODT 240 may be selectively enabled.

CA ODT 코드(CA_ODT[6:4])는 도 7c에 도시된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6:4] 셋팅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의 터미네이션을 위한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 CA ODT 코드(CA_ODT[6:4])는 고유한 저항값(RZQ)을 소정의 배수로 나뉘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CA ODT code CA_ODT [6: 4]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 [6: 4]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shown in FIG. 7C and is used for termination of the command / The resistance value can be set. The CA ODT code CA_ODT [6: 4] may be set such that the inherent resistance value RZQ is divided by a predetermined multiple.

예시적으로, 고유한 저항값(RZQ)은 240Ω 정도이고, CA ODT 코드(CA_ODT[6:4])의 [001] 내지 [110]는 고유한 저항값(RZQ)을 대하여 각각 1, 2, 3, 4, 5, 6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CA ODT 신호(CA_ODT60)는 CA ODT 코드(CA_ODT[6:4]) [100]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제2 CA ODT 신호(CA_ODT120)는 CA ODT 코드(CA_ODT[6:4]) [010]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제3 CA ODT 신호(CA_ODT240)는 CA ODT 코드(CA_ODT[6:4]) [001]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inherent resistance value RZQ is about 240?, And [001] to [110] of the CA ODT code CA_ODT [6: 4] 3, 4, 5, and 6, respectively. The first CA ODT signal CA_ODT 60 is enabled based on the CA ODT code CA_ODT [6: 4] 100 and the second CA ODT signal CA_ODT 120 is enabled based on the CA ODT code CA_ODT [6: 4] [010], and the third CA ODT signal (CA_ODT 240) may be enabled based on the CA ODT code (CA_ODT [6: 4]) [001].

도 7d에서, CA ODT 회로(750)는 제1 내지 제3 CA ODT 신호들(CA_ODT60, CA_ODT120, CA_ODT240) 중에서 인에이블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의 터미네이션 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CA ODT 회로(750)는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751, 752, 753)을 포함할 수 있다.7D, the CA ODT circuit 750 may determine the termination resistance value of the command / address (CA) signal in response to a signal that is enabled among the first through third CA ODT signals (CA_ODT60, CA_ODT 120, CA_ODT 240) . The CA ODT circuit 750 may include first to third termination circuits 751, 752, and 753.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751, 752, 753) 각각에는 제1 내지 제3 CA ODT 신호들(CA_ODT60, CA_ODT120, CA_ODT240) 각각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와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751, 752, 753) 각각의 저항은 60Ω, 120Ω, 240Ω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third termination circuits 751, 752 and 753 may be connected to a resistor and a transistor gating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CA ODT signals CA_ODT 60, CA_ODT 120 and CA_ODT 240. The resistance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termination circuits 751, 752, and 753 may have a resistance value of 60?, 120?, And 240 ?.

CA ODT 회로(750)에 의해 소정의 저항값으로 터미네이션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는 입력 버퍼(760)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 버퍼(760)는 기준 전압(VREFCA)에 기초하여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CA)은 도 5a에서 설명된 기준 전압 셋팅 회로(330)에서 출력될 것이다.A command / address (CA) signal terminated with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by the CA ODT circuit 750 may be provided to the input buffer 760. The input buffer 760 can receive a command / address (CA) signal based on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The reference voltage VREFCA will be output in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ircuit 330 described in Fig. 5A.

상술한 CA ODT 제어 회로(360)는 예시적으로, 도 3의 Td1 시점의 CBT 모드 진입 후 CA ODT 코드(CA_ODT[6:4])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를 터미네이션시킬 수 있다.The CA ODT control circuit 360 exemplarily outputs a command / address (CA) signal a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A ODT code (CA_ODT [6: 4]) setting after entering the CBT mode at the time point Td1 in FIG. Termina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도 2의 데이터(DQ)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370)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8A-8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ata (DQ)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370 of FIG.

도 8a를 참조하면, 데이터(DQ) ODT 제어 회로(370)는 데이터(DQ)에 대하여 예상되는 임피던스 정합에 기초하여 최적의 터미네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Q ODT 제어 회로(370)는 DQ ODT 디코더(810)와 DQ ODT 회로(8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data (DQ) ODT control circuit 370 can control to provide an optimal termination based on the expected impedance match for the data DQ. The DQ ODT control circuit 370 may include a DQ ODT decoder 810 and a DQ ODT circuit 820.

DQ ODT 디코더(810)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와 DQ ODT 코드(DQ_ODT[2:0])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DQ ODT 신호들(DQ_ODT60, DQ_ODT120, DQ_ODT240)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DQ ODT 디코더(810)는 노멀 모드 시, 즉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가 로직 로우로 비활성화일 때, DQ ODT 코드(DQ_ODT[2:0])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DQ ODT 신호들(DQ_ODT60, DQ_ODT120, DQ_ODT240)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The DQ ODT decoder 810 selectively enables the first through third DQ ODT signals DQ_ODT60, DQ_ODT 120, and DQ_ODT 240 based on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and the DQ ODT code DQ_ODT [2: 0] . Illustratively, the DQ ODT decoder 810 receives the first through third (DQ) data corresponding to the DQ ODT code (DQ_ODT [2: 0]) when in normal mode, DQ ODT signals (DQ_ODT60, DQ_ODT 120, DQ_ODT 240).

DQ ODT 코드(DQ_ODT[2:0])는 도 8b에 도시된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2:0] 셋팅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데이터(DQ)의 터미네이션을 위한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 DQ ODT 코드(DQ_ODT[2:0])는 고유한 저항값(RZQ)을 소정의 배수로 나뉘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유한 저항값(RZQ)은 240Ω 정도이고, DQ ODT 코드(DQ_ODT[2:0])의 [001] 내지 [110]는 고유한 저항값(RZQ)을 대하여 각각 1, 2, 3, 4, 5, 6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DQ ODT 신호(DQ_ODT60)는 DQ ODT 코드(DQ_ODT[2:0]) [100]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제2 DQ ODT 신호(DQ_ODT120)는 DQ ODT 코드(DQ_ODT[2:0]) [010]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제3 DQ ODT 신호(DQ_ODT240)는 DQ ODT 코드(DQ_ODT[2:0]) [001]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The DQ ODT code DQ_ODT [2: 0]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 [2: 0]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shown in FIG. 8B and represents a resistance value for termination of the data DQ Can be set. The DQ ODT code (DQ_ODT [2: 0]) can be set such that the unique resistance value RZQ is divided by a predetermined multiple. Illustratively, the inherent resistance value RZQ is about 240?, And [001] to [110] of the DQ ODT code DQ_ODT [2: 0] 3, 4, 5, and 6, respectively. The first DQ ODT signal DQ_ODT 60 is enabled based on the DQ ODT code DQ_ODT [2: 0] 100 and the second DQ ODT signal DQ_ODT 120 is enabled based on the DQ ODT code DQ_ODT [2: 0] [010], and the third DQ ODT signal (DQ_ODT 240) may be enabled based on the DQ ODT code (DQ_ODT [2: 0]) [001].

도 8c에서, DQ ODT 회로(820)는 제1 내지 제3 DQ ODT 신호들(DQ_ODT60, DQ_ODT120, DQ_ODT240) 중에서 인에이블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DQ)의 터미네이션 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DQ ODT 회로(820)는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821, 822, 8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821, 822, 823) 각각에는 제1 내지 제3 DQ ODT 신호들(DQ_ODT60, DQ_ODT120, DQ_ODT240) 각각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와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821, 822, 823) 각각의 저항은 60Ω, 120Ω, 240Ω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8C, the DQ ODT circuit 820 may determine the termination resistance value of the data DQ in response to a signal that is enabled among the first through third DQ ODT signals DQ_ODT60, DQ_ODT 120, and DQ_ODT 240. The DQ ODT circuit 820 may include first through third termination circuits 821, 822, and 823. Each of the first to third termination circuits 821, 822 and 823 may be connected to a resistor and a transistor gating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DQ ODT signals DQ_ODT60, DQ_ODT 120, and DQ_ODT 240. The resistance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termination circuits 821, 822, and 823 may have a resistance value of 60Ω, 120Ω, and 240Ω.

DQ ODT 회로(820)에 의해 소정의 저항값으로 터미네이션된 데이터(DQ)는 입력 버퍼(830)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 버퍼(830)는 기준 전압(VREFDQ)에 기초하여 데이터(DQ)를 수신할 수 있다.Data DQ terminated with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by the DQ ODT circuit 820 may be provided to the input buffer 830. [ The input buffer 830 can receive the data DQ based on the reference voltage VREFDQ.

DQ ODT 제어 회로(370)는 예시적으로, 도 3의 Ta0 시점에서 Tb0 시점까지 인에이블되어 DQ ODT 코드(DQ_ODT[2:0])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데이터(DQ)를 터미네이션시킬 수 있다. CBT 모드 시, DQ ODT 제어 회로(370)는 도 3의 Td1 시점에서 Tg0 시점까지 디세이블되어 DQ ODT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DQ ODT control circuit 370 is illustratively enabled from the time Ta0 to the time Tb0 in FIG. 3 to terminate the data DQ with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Q ODT code (DQ_ODT [2: 0]) setting have. In the CBT mode, the DQ ODT control circuit 370 can disable the DQ ODT from the time Td1 to the time Tg0 in FIG. 3, thereby turning off the DQ ODT.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의 데이터 클럭(WCK)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제어 회로(380)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9A-9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ata clock (WCK) on-die termination (ODT) control circuit 380 of FIG.

도 9a를 참조하면, 데이터 클럭(WCK) ODT 제어 회로(380)는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에 대하여 예상되는 임피던스 정합에 기초하여 최적의 터미네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CK ODT 제어 회로(380)는 WCK ODT 디코더(910)와 WCK ODT 회로(920)를 포함할 수 있다.9A, the data clock (WCK) ODT control circuit 380 can control to provide optimal termination based on the expected impedance match for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may include a WCK ODT decoder 910 and a WCK ODT circuit 920.

WCK ODT 디코더(910)는 CBT 인에이블 신호(CBT_EN)와 WCK ODT 코드(WCK_ODT[2:0])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WCK ODT 신호들(WCK_ODT60, WCK_ODT120, WCK_ODT240)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The WCK ODT decoder 910 selectively enables the first through third WCK ODT signals WCK_ODT60, WCK_ODT 120, and WCK_ODT 240 based on the CBT enable signal CBT_EN and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

WCK ODT 코드(WCK_ODT[2:0])는 도 9b에 도시된 모드 레지스터(320)의 모드 테이블의 OP[2:0] 셋팅에 대응되는 신호로서,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의 터미네이션을 위한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 WCK ODT 코드(WCK_ODT[2:0])는 고유한 저항값(RZQ)을 소정의 배수로 나뉘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유한 저항값(RZQ)은 240Ω 정도이고, WCK ODT 코드(WCK_ODT[2:0])의 [001] 내지 [110]는 고유한 저항값(RZQ)을 대하여 각각 1, 2, 3, 4, 5, 6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WCK ODT 신호(WCK_ODT60)는 WCK ODT 코드(WCK_ODT[2:0]) [100]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제2 WCK ODT 신호(WCK_ODT120)는 WCK ODT 코드(WCK_ODT[2:0]) [010]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되고, 제3 WCK ODT 신호(WCK_ODT240)는 WCK ODT 코드(WCK_ODT[2:0]) [001]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The WCK ODT code WCK_ODT [2: 0]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 [2: 0] setting of the mode table of the mode register 320 shown in FIG. 9B, Can be set.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can be set to divide the inherent resistance value (RZQ) by a predetermined multiple. Illustratively, the inherent resistance value RZQ is about 240?, And [001] to [110] of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3, 4, 5, and 6, respectively. The first WCK ODT signal WCK_ODT 60 is enabled based on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100 and the second WCK ODT signal WCK_ODT 120 is enabled based on the WCK ODT code WCK ODT [2: 0] [010], and the third WCK ODT signal (WCK_ODT 240) may be enabled based on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001].

도 9c에서, WCK ODT 회로(920)는 제1 내지 제3 WCK ODT 신호들(WCK_ODT60, WCK_ODT120, WCK_ODT240) 중에서 인에이블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의 터미네이션 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WCK ODT 회로(920)는 데이터 클럭(WCK)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터미네이션 회로들(921a, 922b, 923c)과 상보 데이터 클럭(WCKB) 라인에 연결되는 제4 내지 제6 터미네이션 회로들(921a, 922b, 9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4 터미네이션 회로들(921a, 921b) 각각에는 제1 WCK ODT 신호(WCK_ODT60)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와 60Ω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5 터미네이션 회로들(922a, 922b) 각각에는 제2 WCK ODT 신호(WCK_ODT120)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와 120Ω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및 제6 터미네이션 회로들(923a, 923b) 각각에는 제3 WCK ODT 신호(WCK_ODT240)에 게이팅되는 트랜지스터와 240Ω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9C, the WCK ODT circuit 920 determines the termination resistance value of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in response to a signal that is enabled among the first through third WCK ODT signals (WCK_ODT60, WCK_ODT 120, WCK_ODT 240) . The WCK ODT circuit 920 includes first to third termination circuits 921a, 922b, and 923c connected to a data clock (WCK) line and fourth to sixth termination circuits connected to a complementary data clock (WCKB) (921a, 922b, 923c). Each of the first and fourth termination circuits 921a and 921b may be connected to a 60-ohm resistor with a transistor gated to the first WCK ODT signal WCK_ODT60. Each of the second and fifth termination circuits 922a and 922b may be connected to a 120 Ω resistor with a transistor that is gated to the second WCK ODT signal WCK_ODT 120. Each of the third and sixth termination circuits 923a and 923b may be connected to a 240 Ω resistor and a transistor that is gated to the third WCK ODT signal WCK_ODT 240.

WCK ODT 회로(920)에 의해 소정의 저항값으로 터미네이션된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은 클럭 버퍼(930)로 제공될 수 있다. 클럭 버퍼(930)는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에 기초하여 데이터 클럭(WCK)를 수신할 수 있다.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terminated with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by the WCK ODT circuit 920 can be provided to the clock buffer 930. The clock buffer 930 can receive the data clock WCK based on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WCK ODT 제어 회로(380)는 예시적으로, 도 3의 Td1 시점의 CBT 모드 진입 후 WCK ODT 코드(WCK_ODT[2:0])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을 터미네이션시킬 수 있다.The WCK ODT control circuit 380 exemplarily outputs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with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WCK ODT code (WCK_ODT [2: 0]) setting after entering the CBT mode at the time point Td1 in FIG. Termin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모바일 장치에 응용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컴퓨팅 태블릿, 무선 가능 전자 리더(wireless enabled e-reader),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등 일 수 있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memory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computing tablet, a wireless enabled e-reader, a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the like.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100)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블록(1110),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송수신기(1120), 입출력 블록(1130),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 메모리(1150), 그리고 디스플레이(1160)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모바일 장치(1100)의 구성 요소들/블록들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모바일 장치(1100)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구성 요소들/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GSM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모바일 장치(1100)는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른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의 블록들은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또는, 블록들 중 몇몇은 집적 회로 형태로 구현되는 반면에 다른 블록들은 별개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10, the mobile device 1100 include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block 1110,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ransceiver 1120, an input / output block 1130, an application block 1140, 1150), and a display (1160). In FIG. 10, the components / blocks of the mobile device 1100 are illustratively shown. The mobile device 1100 may include more or fewer components / blocks. Also, while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using GSM technology, the mobile device 1100 may be implemented using other technologie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he blocks of FIG. 10 will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Alternatively, some of the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circuit fashion while other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a separate form.

GSM 블록(1110)은 안테나(1111)에 연결되며, 알려진 방식으로 무선 전화기 동작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GSM 블록(1110)은 내부적으로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대응하는 수신 및 송신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GSM block 1110 is coupled to the antenna 1111 and is operable to provide wireless telephone operation in a known manner. The GSM block 1110 may internally comprise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to perform corresponding receive and transmit operations.

NFC 송수신기(1120)는 무선 통신을 위해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이용하여 NFC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와 같은 개인 영역 네크워크, WiFi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및/또는 WiMAX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NFC 송수신기(1120)는 NFC 신호들을 NFC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1121)에 제공하고, NFC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1121)은 유도 결합을 통해 NFC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NFC 안테나 매칭 네트워크 시스템(1121)은 다른 NFC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NFC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NFC 신호들을 NFC 송수신기(1120)로 제공할 수 있다.NFC transceiver 112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NFC signals using inductive coup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 personal area network such as Bluetooth,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WiFi and / or a wide area network such as WiMAX, or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NFC transceiver 1120 provides NFC signals to NFC antenna matching network system 1121 and NFC antenna matching network system 1121 can transmit NFC signals through inductive coupling. The NFC antenna matching network system 1121 can receive the NFC signals provided from other NFC devices and provide the received NFC signals to the NFC transceiver 1120.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은 하드웨어 회로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모바일 장치(1100)에 의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은 음성 호출 동작들, 데이터 전송, 데이터 스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은 GSM 블록(1110) 및/또는 NFC 송수신기(1120)와 함께 동작하여 GSM 블록(1110) 및/또는 NFC 송수신기(1120)의 동작 특징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은 모바일 포스(Point Of Sales: POS)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모바일 폰, 즉 스마트 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구매 및 결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pplication block 1140 may include hardware circuits, e.g., one or more processors, and may be operable to provide various user applications provided by mobile device 1100. [ User applications may include voice call operations, data transmission, data swapping, and the like. Application block 114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GSM block 1110 and / or NFC transceiver 1120 to provid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GSM block 1110 and / or NFC transceiver 1120. Alternatively, application block 1140 may include a program for Point Of Sale (POS). Such a program can provide a credit card purchase and payment function using a mobile phone, i.e., a smart phone.

디스플레이(1160)는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으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신호들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은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에서 제공되거나 모바일 장치(1100)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60)는 픽셀 값들의 임시 저장을 위하여 내부적으로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며, 관련된 제어 회로들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Display 1160 may display an image in response to display signals received from application block 1140. [ The video may be provided by application block 1140 or by a camera embedded in mobile device 1100. Display 1160 includes a frame buffer internally for temporary storage of pixel values, and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with associated control circuits.

입출력 블록(1130)은 사용자에게 입력 기능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을 통해 수신될 출력들을 제공한다. 입출력 블록(1130)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관련된 하드웨어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입출력 블록(1130)은 디스플레이(1160) 및/또는 오디오 시스템의 일부 하드웨어를 관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폰 또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통한 입력은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6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60)는 입출력 블록(1130)에 의해 부분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입출력 블록(1130)에 의해 관리되는 입출력(I/O)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1100)에 추가의 버튼 또는 스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입출력 블록(1130)은 가속도계, 카메라, 광 센서, 또는 다른 환경 센서, 자이로스코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모바일 장치(1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하드웨어와 같은 디바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block 1130 provides input functionality to the user and provides outputs to be received via the application block 1140. Input / output block 1130 represents hardware devices and software components associated with interaction with a user. The input / output block 1130 may be operable to manage the display 1160 and / or some hardware of the audio system. For example, input via a microphone or audio device may be provided to application block 1140. When the display 116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1160 can function as an input device that can be partially managed by the input / output block 1130. Additional buttons or switches may be present in the mobile device 1100 to provide input / output (I / O) functionality managed by the input / output block 1130. Output block 1130 may manage devices such as accelerometers, cameras, optical sensors, or other hardware that may be included in other environmental sensors, gyroscopes,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or mobile devices 1100.

메모리(1150)는 어플리케이션 블록(1140)에 의해서 사용될 프로그램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RAM, RO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1150)는 휘발성뿐만 아니라 불휘발성 저장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15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된 메모리 시스템(1000)을 포함할 것이다.Memory 1150 stores programs (instructions) and / or data to be used by application block 1140 and may be implemented as RAM, RO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us, the memory 1150 may include nonvolatile storage elements as well as volatility. For example, the memory 1150 may include the memory system 1000 described in FIGS. 1-9.

메모리(1150)는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CBT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CBT 모드로 진입하고,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의 반대인 제2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CBT 모드를 탈출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CBT 모드 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비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CBT 패턴을 수신하고,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 일대일 대응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CBT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로 수신되는 제2 기준 전압 셋팅 코드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변경하고,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된 CA ODT 코드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커맨드/어드레스(CA) 신호를 터미네이션시키고, 모드 레지스터에 저장된 WCK ODT 코드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데이터 클럭 신호 쌍(WCK, WCKB)을 터미네이션시키고, 데이터(DQ) 신호들의 ODT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1 데이터 신호는 CBT 모드에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신호들 중에서 제2 데이터 신호들이 아닌 신호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Memory 1150 may support a CBT mode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command bus training (CBT). The memory 1150 enters the CBT mode in response to the first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and may exit the CBT mode in response to a second logic level that is opposite the first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In the CBT mode, the memory 1150 may receive the CBT pattern consisting of the bit configuration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and output the CBT pattern through the terminals of the second data signal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The memory 1150 changes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received at the terminals of the second data signals, and outputs the command / address CA a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A ODT code setting stored in the mode register. Terminate the signal, terminate the data clock signal pair (WCK, WCKB) with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WCK ODT code set stored in the mode register, and turn off the ODT of the data (DQ) signals. The first data signal may be set to one of signals other than the second data signals among the data signals of the memory device in the CBT mode.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클락 신호;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패턴이 전송되는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
상기 CBT 모드에서, 상기 CBT 패턴이 출력되지 않는 제1 데이터 신호와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의 일대일 대응되어 상기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패턴이 출력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들; 및
상기 데이터 클락 신호에 동기되는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CBT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상기 제1 로직 레벨과 반대인 제2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CBT 모드를 탈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 A memory device supporting a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A data clock signal;
Command / address signals to which a command bus training (CBT) pattern is transmitted;
Data signals including first data signals in which the CBT pattern is not output and second data signals in which the command bus training patterns are output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in the CBT mode; And
Control to enter the CBT mode in response to a first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synchronized to the data clock signal; and in response to a second logic level opposite to the first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And control logic to control the CBT mode to esc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CBT 모드 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CBT 패턴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CBT 패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Controls to receive the CBT pattern through the terminals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in the CBT mode, and outputs the CBT pattern through the terminals of the second data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CBT 모드 시,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기준 전압 셋팅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 전압 셋팅 코드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to change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ccording to the reference voltage setting code in the CBT mode through the terminals of the second data sig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변경된 기준 전압 값과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 각각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CBT 패턴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controls to receive the CBT pattern by comparing the changed reference voltage value with the voltage level of each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코드, 상기 데이터 신호들의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코드 또는 데이터 클락 신호 쌍의 온-다이 터미네이션(ODT) 코드를 저장하는 모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The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de register for storing an on-die termination (ODT) code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an on-die termination (ODT) code of the data signals or an on- Memor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CBT 모드 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ODT 코드의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 각각의 라인이 터미네이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controls each of the lines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to terminate in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setting of an ODT code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in the CBT m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CBT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장치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는 주파수 셋 포인트 동작 모드 신호와 상관하여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ODT 코드가 셋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In the CBT mode, controls the ODT code of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to be set in correlation with a frequency setpoint operation mode signal based on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CBT 모드 시, 상기 데이터 신호들이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에 ODT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 장치의 기입 또는 독출 동작이 수행되는 노멀 모드 시, 상기 데이터 신호들의 ODT 코드의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상기 데이터 신호들이 전송되는 데이터 버스가 터미네이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CBT mode, controls the ODT to be turned off on the data bus through which the data signals are transmitted,
And controls the data bus to terminate the data bus on which the data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setting of the ODT code of the data signals in the normal mode in which the write or read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is per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CBT 모드 시, 상기 데이터 클락 신호 쌍의 ODT 코드의 셋팅에 해당되는 저항값으로 상기 데이터 클락 신호 쌍의 라인 각각이 터미네이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controls each of the lines of the data clock signal pair to terminate with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an ODT code setting of the data clock signal pair in the CBT mode.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모드를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클락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데이터 클락 신호에 동기되는 제1 데이터 신호의 제1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CBT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상기 CBT 모드 시,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의 비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CBT) 패턴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CBT 모드 시,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신호들과 일대일 대응되는 제2 데이터 신호들의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CBT 패턴을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클락 신호에 동기되는 상기 제1 데이터 신호의 상기 제1 로직 레벨과 반대인 제2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 버스 트레이닝 모드를 탈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는 상기 CBT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신호들 중에서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들이 아닌 신호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memory device supporting a command bus training (CBT) mode,
Receiving a data clock signal;
Entering the CBT mode in response to a first logic level of a first data signal synchronized to the data clock signal;
Receiving, in the CBT mode, a command bus training (CBT) pattern comprising a bit configuration of command / address signals;
In the CBT mode, outputting the CBT pattern through terminals of second data signal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command / address signals; And
And exiting the command bus training mode in response to a second logic level opposite to the first logic level of the first data signal synchronized to the data clock signal,
Wherein the first data signal is set to one of the data signals of the memory device in the CBT mode and not the second data signals.
KR1020180111604A 2017-11-21 2018-09-18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2110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96,777 US10720197B2 (en) 2017-11-21 2018-11-20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811390156.XA CN109817252B (en) 2017-11-21 2018-11-21 Storage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2110349616.XA CN113053431B (en) 2017-11-21 2018-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and bus training
US16/946,217 US11195566B2 (en) 2017-11-21 2020-06-10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based on one data signal
US17/518,888 US11715504B2 (en) 2017-11-21 2021-11-04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8/332,325 US12217823B2 (en) 2017-11-21 2023-06-09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9/002,120 US20250124959A1 (en) 2017-11-21 2024-12-26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9/018,469 US20250149076A1 (en) 2017-11-21 2025-01-13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5812 2017-11-21
KR1020170155812 2017-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281A true KR20190058281A (en) 2019-05-29
KR102110572B1 KR102110572B1 (en) 2020-05-12

Family

ID=6667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604A Active KR102110572B1 (en) 2017-11-21 2018-09-18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5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2672A (en) * 2023-05-24 2023-06-23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Command/address signal training mode circuit and memo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163A (en) * 1993-11-01 1996-07-09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in a unit of bits
KR100734320B1 (en) * 2006-06-16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On-die termination control method of memory devices sharing signal line
KR20170046067A (en) * 2015-10-20 2017-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mory device and system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92969B1 (en) * 2016-07-12 2017-10-17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163A (en) * 1993-11-01 1996-07-09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in a unit of bits
KR100734320B1 (en) * 2006-06-16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On-die termination control method of memory devices sharing signal line
KR20170046067A (en) * 2015-10-20 2017-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mory device and system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92969B1 (en) * 2016-07-12 2017-10-17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2672A (en) * 2023-05-24 2023-06-23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Command/address signal training mode circuit and memory
CN116312672B (en) * 2023-05-24 2023-10-24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Command/address signal training mode circuit and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572B1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7252B (en) Storage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991446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raining on memory device by rank unit and training method thereof
CN112951287B (en) Method for controlling on-chip terminator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same
CN104916307B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 for being trained operation
US10885950B2 (en) Method and memory system for optimizing on-die termination settings of multi-ranks in a multi-rank memory device
US20110122675A1 (en) Programmable Resistance Memory
KR20180130417A (en) Method of controlling on-die termination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20210058505A (en) Operation method of system-on-chip configured to control memory device
KR102172869B1 (en) Memory device including reference voltage generator
US12020767B2 (en) Method and memory system for optimizing on-die termination settings of multi-ranks in a multi-rank memory device
KR102110572B1 (en) Memory device for supporting command bus training m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6805867A (en) Memory devices, methods of operating memory devices and memory controllers
US12333169B2 (en) Memory system for optimizing on-die termination settings of multi-ranks, method of operation of memory system, and memory controller
US9891853B1 (en) Memory calibration abort
KR20230151422A (en) Memory system for optimizing on-die termination (ODT) settings of multi-ranks, method of operation of memory system, and memory controller
CN116954493A (en) Memory system, operating method of memor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102628535B1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