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56031A -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31A
KR20190056031A KR1020170153019A KR20170153019A KR20190056031A KR 20190056031 A KR20190056031 A KR 20190056031A KR 1020170153019 A KR1020170153019 A KR 1020170153019A KR 20170153019 A KR20170153019 A KR 20170153019A KR 20190056031 A KR20190056031 A KR 20190056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ock
carbon
electrode structure
plate
flow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1103B1 (en
Inventor
이정배
노태근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5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03B1/en
Publication of KR2019005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0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electrode structures and redox flow cells comprising the same.

Description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electrode structures and redox flow cells comprising the same.

전력 저장 기술은 전력 이용의 효율화, 전력 공급 시스템의 능력이나 신뢰성 향상, 시간에 따라 변동 폭이 큰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 확대, 이동체의 에너지 회생 등 에너지 전체에 걸쳐 효율적 이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며 그 발전 가능성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Power storage technology is an important technology for efficient use of energy, such as efficient use of power, improvement of power supply system's ability and reliability, expan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with a large fluctuation over time, energy recovery of mobile bod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possibilities and social contributions.

마이크로 그리드와 같은 반 자율적인 지역 전력 공급 시스템의 수급 균형의 조정 및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의 불균일한 출력을 적절히 분배하고 기존 전력 계통과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및 주파수 변동 등의 영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서 이차 전지의 활용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The supply and demand balances of semi-autonomous regional electricity supply systems such as micro grid and the uneven output of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power and solar power are appropriately distributed and voltage and frequency fluctuations Researches on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control the influence of secondary batteries, and expectations for utilization of secondary batteries are increasing in these fields.

대용량 전력 저장용으로 사용될 이차 전지에 요구되는 특성을 살펴보면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아야 하며 이러한 특성에 가장 적합한 고용량 및 고효율의 2차 전지로서 흐름 전지가 가장 각광받고 있다.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secondary batteries to be used for large-capacity power storage must be high in energy storage density, and a secondary battery with high capacity and high efficiency most suitable for such characteristics is the most popular.

흐름 전지는 분리막을 중심으로 양측에 캐소드 및 애노드의 전극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The flow cell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ectrodes of the cathode and the anode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전극의 외부에 각각 전지 체결 및 전기 전도를 위한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전해질을 담아놓는 캐소드 탱크와 애노드 탱크 그리고 전해질이 들어가는 유입구와 전해질이 다시 나오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athode tank and an anode tank for holding the electrolyte,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enters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again flows.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10-2009-0046087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6087

본 명세서는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electrode structure and a redox flow cell comprising the electrode structure.

본 명세서는 적어도 일측 표면에 구비된 음각 패턴과 기공을 갖는 카본 블록; 상기 카본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카본 페이퍼, 카본천(cloth) 및 얇은 카본펠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면저항감소층; 및 상기 카본 블록이 일면 또는 양면에 수용되는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 블록의 기공률은 5% 이상 70%이하이고, 상기 카본 블록의 압축강도가 20MPa 이상인 것인 전극 구조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block having an engraved pattern and pore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 interfacial resistance reduction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paper, carbon cloth, and thin carbon fel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arbon block; And a flow frame in which the carbon block is accommodated on one or both surfaces thereof. The carbon block has a porosity of 5 to 70%, and a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arbon block is 20 MPa or more.

또한, 본 명세서는 제1 엔드 플레이트; 제1 모노폴라 플레이트; 분리막;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전극 구조체인 것인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a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end plate; A first mono polar plate; Separation membrane; A second monopolar plate; And a second end pl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is the electrode structure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전극은 전지셀의 체결압에 의해 거의 압축이 되지 않고 제조시 기공률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maintain the porosit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without being compressed by the tightening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본 명세서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는 전극으로 전해액을 높은 유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edox flow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electrolyte can be supplied at a high flow rate to the electrod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이용하여 전지를 체결하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이용하여 체결된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상태의 전극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일 실시상태의 전극 구조체를 이용하여 전지를 체결하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일 실시상태의 전극 구조체를 이용하여 체결된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다른 실시상태의 전극 구조체가 적용된 레독스 흐름 전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카본블록의 형상을 주사전자현미경 150배율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비교예 1의 카본 펠트 표면의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카본 블록 표면의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카본 블록 표면의 사진이다.
FIG.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fastening a battery using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assembled using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tructure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using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ttery assembled using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dox flow cell to which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n image obtained by observing the shape of the carb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a magnification of 150 at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8 is a photograph of the carbon felt surface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9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of Example 1. Fig.
10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of Example 2. Fig.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의 전극 구조체는 적어도 일측 표면에 구비된 음각 패턴과 기공을 갖는 카본 블록; 및 상기 카본 블록이 일면 또는 양면에 수용되는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한다.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bon block having an engraved pattern and pore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a flow frame in which the carbon block is received on one or both surfaces.

상기 전극 구조체가 카본 블록; 및 카본 블록이 일면에 수용되는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극 구조체는 모노폴라 플레이트이다. 이때, 상기 모노폴라 플레이트는 카본 블록이 구비된 일면만 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Wherein the electrode structure comprises a carbon block; And a flow frame in which the carbon block is housed on one surface, the electrode structure is a monopolar plate. At this time, the mono polar plate means a plate serving as an electrode only on one side provided with a carbon block.

상기 전극 구조체가 카본 블록; 및 카본 블록이 양면에 수용되는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극 구조체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이다. 이때,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카본 블록이 구비된 양면이 모두 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양면의 전극은 서로 반대되는 전극이거나 동일한 전극이며, 구체적으로 일면의 전극이 애노드인 경우 타면의 전극은 캐소드로 역할을 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de structure comprises a carbon block; And a flow frame in which the carbon block is accommodated on both sides, the electrode structure is a bipolar plate. At this time, the bipolar plate means a plate having both carbon blocks and serving as both electrodes. The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bipolar plate may be opposite or identical to each other. Specifically, if the electrode on one side is an anode, the electrode on the other side may serve as a cathode.

상기 음각 패턴은 패쇄도형패턴, 선형패턴 및 이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음각 패턴의 선은 직선, 지그재그, 물결무늬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선일 수 있다. The engraved pattern may be a closed pattern, a linear pattern and a mixture thereof. The line of the engraved pattern may be a straight line, a zigzag, a wavy line, or the like, and may be a straight line.

상기 음각 패턴은 선형패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형패턴의 선은 직선일 수 있다.The engraved pattern may be a linear pattern. Specifically, the line of the linear pattern may be a straight line.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카본 블록의 표면의 일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 이상의 선형 패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카본 블록의 표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 이상의 선형 패턴일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선형 패턴은 서로 패턴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The engraved pattern may b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parallel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Specifically, the engraved patterns may b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Th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lengths of the patterns, and preferably the same.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카본 블록의 표면의 길이 방향에서, 어느 하나의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선형 패턴은 서로 패턴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The engraved pattern may hav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spaced from each other on any on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Th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lengths of the patterns, and preferably the same.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카본 블록의 표면의 길이 방향에서, 어느 하나의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선과 이웃한 다른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과 상기 어느 하나의 선과 이웃한 다른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선 상에 구비된 2 이상의 선형 패턴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선과 이웃한 다른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은 서로 패턴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Wherein the engraved pattern comprises two or more linear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y on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and two or more linear patter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other line adjacent to the one line And two or more linear patterns on one line and two or more linear patterns on another line adjacent to the one line may be provided at mutually offset positions. Th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provided on any one of the lines and th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on another line adjacent to the one of the lin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length from each other and preferably the same.

다시 말하면,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카본 블록의 표면의 길이 방향에서, 어느 하나의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선과 이웃한 다른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선 상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선형 패턴은 상기 다른 선 상에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선형 패턴과 이웃한 선형 패턴과 각각의 선 상에 구비된 위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선 상에 구비된 2 이상의 선형 패턴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선과 이웃한 다른 선 상에 2 이상의 선형 패턴은 서로 패턴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ngraved pattern may includ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and two or more linear patterns may be formed on another line adjacent to the one line One of the linear patterns provided on one of the lines is provided on the other line, and the linear pattern adjacent to the one linear pattern and the positions provided on the respective li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do. Th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provided on any one of the lines and the two or more linear patterns on another line adjacent to the one of the lin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length from each other and preferably the same.

여기서, 길이 또는 길이 방향은 가로와 세로 중 길이가 더 긴 방향을 의미한다. Here, the length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having a longer length betwee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sides.

상기 음각 패턴의 깊이는 상기 카본 블록의 두께의 5%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이상 95% 이하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50% 이상 95% 이하일 수 있으며, 70% 이상 90% 이하일 수 있다.The depth of the engraved pattern may be 5% or more and 100% or less, more specifically 5% or more and 95% or less, more specifically 50% or more and 95% or less, and 70% or more and 90% or less .

상기 음각 패턴의 길이는 상기 카본 블록의 길이의 5% 이상 95%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 이상 85% 이하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60% 이상 80% 이하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engraved pattern may be at least 5% and at most 95% of the length of the carbon block, specifically at least 30% and at most 85%, more specifically at least 60% and at most 80%.

상기 카본 블록의 기공률은 5% 이상 70% 이하이고, 구체적으로 20% 이상 50% 이하이며, 더 구체적으로 30% 이상 40% 이하일 수 있다. The porosity of the carbon block may be 5% or more and 70% or less, specifically 20% or more and 50%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30% or more and 40% or less.

흐름 전지 체결 시 카본블록의 두께변화는 10% 이하이고, 구체적으로는 2%이하이며, 더 구체적으로 거의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본 블록이 적용된 흐름 전지셀을 체결할 때 카본 블록이 거의 수축하지 않아 체결된 전지셀에서도 제조시 카본 블록의 기공률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공률의 변화는 가압전 기공률과 가압후 기공률의 차이를 의미한다.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at the time of fastening the flow cell is not more than 10%, specifically not more than 2%, and more specifically, may not vary substantially. In this case, when the flow-through battery cell to which the carbon block is applied is tightened, the carbon block is not shrunk so that the cell block can maintain the porosity of the carbon block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Here, the change of the porosity mean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pressurization porosity and the post-pressurization porosity.

상기 카본 블록의 평균두께는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깊이와 체결구조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블록의 평균두께는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보다 얇거나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홈의 깊이가 2mm인 경우, 일반적으로 카본블록의 두께는 2mm이나, 가스켓의 형태와 두께에 따라서 카본블록의 두께는 수용홈의 깊이보다 더 두껍거나 더 얇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로우 프레임의 비전도성 영역 전체 면에 가스켓 시트를 적용할 경우, 적용되는 가스켓의 두께만큼 카본블록 수용홈의 깊이가 깊어지는 효과가 발생하나, 또 다른 예로, 상기의 면가스켓 형태가 아닌 오링 또는 줄오링 형태의 가스켓을 음각으로 패턴된 홈에 넣어 적용하면, 수용홈의 깊이의 증가가 없을 수 있다.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and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Specifically,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may be equal to the averag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0.0 > a < / RTI > For example, when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is 2 mm, th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is generally 2 mm, but th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may be thicker or thinner than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depending on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gasket. Specifically, when the gasket sheet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non-conductive region of the flow frame, th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is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gasket. However, Or by applying a gasket in the form of a string or o-ring in an engraved patterned groove, there may be no increase in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카본 블록은 구형의 페놀수지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블록형 몰드에 충진하고 이를 압축한 후 탄화시켜 다공성의 카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The carbon block may be prepared by filling a block-type mold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a spherical phenol resin and a binder, compression-molding the same, and carbonizing the carbon block to produce a porous carbon block.

상기 카본 블록은 구형의 페놀수지를 제조하여 상기 구형의 페놀수지와 바인더인 액상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블록형 몰드에 충진하고 이를 압축한 후 건조/탈지/소결/고순화 공정을 거쳐 다공성의 카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The carbon block is prepared by preparing a spherical phenol resin, filling the block mold with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pherical phenol resin and the liquid polyphenol as a binder, compressing the resultant, and drying / degreasing / sintering / Carbon block can be produced.

이때, 구형의 페놀수지는 고분자이며, 상기 페놀수지는 페놀류(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레조르시놀)과 알데히드류(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푸르푸랄) 로부터 얻어지는 수지 및 그것들의 변성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spherical phenol resin is a polymer, and the phenol resin is a resin obtained from phenols (phenol, cresol, xylenol, resorcinol) and aldehydes (formaldehyde, acetaldehyde, furfural) ≪ / RTI >

액상의 폴리페놀은 상대적으로 저분자 물질로서 상온에서 액상이며, 구형의 페놀수지를 연결하는 바인더 수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liquid polyphenol is a relatively low-molecular substance and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can act as a binder resin for connecting a spherical phenol resin.

이때, 사용된 구형의 페놀수지 입자는 100㎛ 내지 800㎛의 평균직경을 갖는 구형의 폴리수지 입자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herical phenol resin particles used may be spherical poly resin particl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00 탆 to 800 탆.

상기 카본 블록의 압축 강도는 20MPa 이상이며, 구체적으로 25MPa 이상이다. 이 경우, 상기 카본 블록이 적용된 흐름 전지셀을 체결할 때 카본 블록이 거의 수축하지 않아 체결된 전지셀에서도 제조시 카본 블록의 기공률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강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으므로 상한치를 특정하지 않는다. 이때, 압축 강도는 KS L 1601 : 2006 에 명시된 시험분석법으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The compression strength of the carbon block is 20 MPa or more, specifically 25 MPa or more. In this case, when the flow-through battery cell to which the carbon block is applied is tightened, the carbon block is not shrunk so that the cell block can maintain the porosity of the carbon block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Here, the higher the compression strength is, the better, so the upper limit value is not specified. In this case, the compressive strength means the value measured by the test method specified in KS L 1601: 2006.

상기 카본 블록의 소결 밀도는 0.6g/cm3 이상이며, 구체적으로 0.7g/cm3 이상이다. 이 경우, 상기 카본 블록이 적용된 흐름 전지셀을 체결할 때 카본 블록이 거의 수축하지 않아 체결된 전지셀에서도 제조시 카본 블록의 기공률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결 밀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으므로 상한치를 특정하지 않는다. 이때, 소결 밀도는 KS L 3409 : 2010 에 명시된 시험분석법으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The carbon block has a sintered density of 0.6 g / cm 3 or more, specifically 0.7 g / cm 3 or more. In this case, when the flow-through battery cell to which the carbon block is applied is tightened, the carbon block is not shrunk so that the cell block can maintain the porosity of the carbon block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Here, the higher the density of sintering is, the better, so the upper limit value is not specified. At this time, the sintered density means the value measured by the test method specified in KS L 3409: 2010.

상기 카본 블록의 평균 기공 크기는 25㎛ 이상 200㎛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0㎛ 이상 120㎛ 이하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90㎛ 이상 110㎛ 이하일 수 있다.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carbon block may be 25 占 퐉 or more and 200 占 퐉 or less, specifically 70 占 퐉 or more and 120 占 퐉 or less, more specifically 90 占 퐉 or more and 110 占 퐉 or less.

상기 카본 블록은 전지 체결 전 열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블록은 공기를 공급하면서 고온에서 일정 시간 이상 열처리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500℃ 내외일 수 있고, 열처리 시간은 5시간 이상 7시간 이하일 수 있다. The carbon block may further be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before the battery is assembled. Specifically, the carbon block may be heat-treat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supplying air. At this tim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around 500 캜, and the heat treatment time may be from 5 hours to 7 hours.

상기 카본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카본 페이퍼, 카본천(cloth) 및 얇은 카본펠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면저항감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구조체는 상기 카본 블록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카본 페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계면저항을 낮추고, 반응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And an interface resistance decreasing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paper, carbon cloth, and thin carbon felt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Specifically, the electrod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carbon paper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arbon block. In this case, the interface resistance can be lowered and the reaction rate can be improved.

상기 계면저항감소층의 두께는 0.01mm 이상 1mm 이하일 수 있고, 0.1mm 이상 0.7m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계면저항을 낮추고, 반응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interface resistance reducing layer may be 0.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and may be 0.1 mm or more and 0.7 mm or less. In this case, the interface resistance can be lowered and the reaction rate can be improved.

상기 카본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 계면저항감소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카본 블록의 평균두께는 계면저항감소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일면에 계면저항감소층이 구비된 카본 블록은 카본 블록과 계면저항감소층의 평균두께의 합이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보다 얇거나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가 2mm인 경우 상기 카본 블록의 평균두께는 2mm이고, 계면저항감소층의 두께는 0.5mm일 수 있다.When the interface resistance reducing laye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interface resistance reducing layer. Specifically, the carbon block provided with the interfacial resistance reduction layer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may have a mean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and the interfacial resistance reduction layer equal to the averag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It may be thinner or thicker.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is 2 mm,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may be 2 mm, and the thickness of the interface resistance reducing layer may be 0.5 mm.

카본페이퍼는 카본 블랙, 카본 섬유 또는 카본나노튜브 등 탄소소재를 바인더 수지와 함께 코팅한 후 가열하여 제조된 얇은 종이와 같은 재료를 의미한다. Carbon paper refers to a material such as thin paper produced by coating a carbon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carbon fiber or carbon nanotube together with a binder resin, and then heating.

여기서, 카본천 및 카본펠트는 카본섬유로 제작된다. 카본섬유는 탄소함량이 중량비 90% 이상인 섬유상의 탄소 재료이며, 강도는 강철의 10배 수준이고, 중량은 강철의 25%에 불과한 경량 소재이다. 상기 카본섬유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외에도 높은 열전도성 및 낮은 열팽창계수, 우수한 전기 전도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다.Here, the carbon cloth and the carbon felt are made of carbon fiber. Carbon fiber is a fibrous carbon material with a carbon content of 90% or more by weight. Its strength is 10 times that of steel, and its weight is only 25% of steel. In addition to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the carbon fibers have high thermal conductivity,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hemical resistance.

카본천(카본시트)은 카본섬유로 직조(woven fabric)된 것이고, 카본펠트는 부직포같이 카본섬유를 열접착 또는 화학약품으로 접착시키거나 니들 등으로 엉키게 만든 것이며, 즉 카본섬유를 직조하지 않고(non-woven fabric) 제조된 펠트형태의 것이다.The carbon cloth (carbon sheet) is a woven fabric made of carbon fibers. The carbon felt is a nonwoven fabric, such as a carbon fiber adhered with heat or chemical, or tangled with a needle or the like, (non-woven fabric).

도 1 및 도 2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본 명세서의 카본블록 대신 카본펠트(1)를 사용하는 경우, 단위전지의 체결전 t1의 두께를 갖는 카본펠트를 h1의 깊이를 갖는 카본 펠트 수용홈(4)에 삽입하고, 단위전지를 체결하면 t2로 카본펠트의 두께가 변경된다. 이때, 카본펠트의 압축률은 {(t1-t2)×100}/t1으로 계산된다. 카본펠트의 압축률이 높을수록 소재간 계면의 저항은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하나, 카본펠트의 기공률은 감소하기 때문에 전해액 흐름성이 악화될 수 있다.1 and 2, in the case of using the carbon felt 1 instead of the carbon block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arbon felt having the thickness t1 before the unit cell is joined to the carbon felt receiving groove 4), and when the unit cell is tightened, the thickness of the carbon felt changes at t2. At this time, the compressibility of the carbon felt is calculated as {(t1 - t2) x 100} / t1. The higher the compressibility of the carbon felt, the lower the resistan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aterials, but the porosity of the carbon felt decreases and the electrolyte flowability may deteriorate.

예를 들면, 5mm 두께를 갖는 카본펠트가 플로우 프레임의 펠트 수용홈에 삽입되고, 수용홈의 깊이가 3mm일 경우, 카본펠트는 40%의 압축률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arbon felt having a thickness of 5 mm is inserted into the felt receiving groove of the flow frame and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is 3 mm, it can be said that the carbon felt has a compression ratio of 40%.

그러나, 본원 명세서의 전극 구조체는 카본 블록이 구비됨으로써, 전지 체결시의 압력에 의해 두께의 변화가 적으므로, 계면의 저항이 낮으면서도 카본 블록의 기공률 및 기공의 크기가 거의 유지되어 전해액의 흐름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arbon block, the thicknes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reduced by the pressure at the time of battery tightening, so that the porosity of the carbon block and the pore size are substantially maintained while the interface resistance is low, This has a good advantage.

도 4 및 도 5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단위전지의 체결전 T1의 두께를 갖는 카본 블록을 H1의 깊이를 갖는 카본 블록 수용홈(30)에 삽입하고, 단위전지를 체결하면 체결 후 카본 블록의 T2는 체결전 카본 블록의 두께인 T1과 거의 동일하다.4 and 5, when a carbon block having a thickness of T1 before the unit cell is fastened is inserted into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30 having a depth of H1 and the unit cell is fastened, T2 is substantially equal to T1,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before fastening.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일면 또는 양면에 카본 블록이 수용될 수 있는 구조, 상기 카본 블록으로 전해액을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는 유로, 전해액이 새지 않도록 실링하는 부재 및 집전구조가 형성되어 있다.The flow frame is form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rbon block on one side or both sides, a flow path capable of supplying and discharging an electrolyte solution to the carbon block, a member sealing the electrolyte so as not to leak, and a current collecting structure.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일면 또는 양면에 카본 블록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에 카본 블록이 삽입되거나, 적어도 일면에 카본 페이퍼가 구비된 카본 블록이 삽입될 수 있다. The flow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thereof. A carbon block may be inserted into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or a carbon block having carbon paper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may be inserted.

상기 플로우 프레임에는 수용된 카본 블록과 접촉하고 카본 블록과 접촉한 반대면을 집전체와 접하여 집전할 수 있는 흑연판이 전해액이 새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graphite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ccommodated carbon block and can contact the oppos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arbon block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urrent collector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카본 블록 수용홀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low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carbon block receiving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 플로우 프레임이 카본 블록 수용홀을 구비할 경우, 상기 전극 구조체는 상기 카본 블록의 일면에 구비된 흑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면에 흑연판이 구비된 카본 블록이 상기 플로우 프레임의 카본 블록 수용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우 프레임의 카본 블록 수용홀과 흑연판 사이로 전해액이 새지 않도록 실링할 수 있다. Wherein the flow block includes a carbon block receiving hole, the electrod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graphite plat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and a carbon block having a graphite plate on the one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can be sealed between the carbon block receiving hole of the flow frame and the graphite plate so as not to leak.

본 명세서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제1 엔드 플레이트; 제1 모노폴라 플레이트; 분리막;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The redox flow cell herein comprises a first end plate; A first mono polar plate; Separation membrane; A second monopolar plate; And a second end plate.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전극 구조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전술한 전극 구조체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는 각각 전술한 전극 구조체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may be the electrode structure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may be the electrode structure described above, or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may be the electrode structure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이때, 상기 모노폴라 플레이트는 카본 블록이 구비된 일면만 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를 의미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카본 블록이 일면에 수용된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no-polar plate means a plate serving as an electrode only on one side provided with a carbon block,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is an electrode structure including a flow frame, Lt; / RTI >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에 각각 수용된 카본 블록의 평균두께의 합은,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각각의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와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체결시 실링부재의 가압된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mono polar plates each include the electrode structure, the sum of the average thicknesses of the carbon blocks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mono polar plates, respectively, The averag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of the redox flow cell and the pressed thickness of the sealing member when the redox flow cell is tightened.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1 이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이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전극 구조체일 수 있다. The redox flow cel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ipolar pl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bipolar plates may be the electrode structure described abov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200, 400) 사이에 하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one bipolar plate 600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200 and 400.

이때,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카본 블록이 구비된 양면이 모두 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를 의미하므로, 전술한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카본 블록; 및 카본 블록이 양면에 수용되는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ipolar plate is a plate having a carbon block and serving as both electrodes on both sides. Thus, the bipolar plate including the electrode structure includes a carbon block; And a flow frame in which the carbon block is received on both sides.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상기 제1 모노폴라 플레이트와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사이 및 상기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와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노폴라 플레이트(200)와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600)의 사이 및 상기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400)와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600)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dox flow cell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no polar plate and the bipolar plate and between the second monopolar plate and the bipolar plate. 6, between the first monopolar plate 200 and the bipolar plate 600 and between the second monopolar plate 400 and the bipolar plate 6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membrane 300.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가 2 이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redox flow cell includes two or more bipolar plates, the redox flow cell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membrane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bipolar plates.

상기 분리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나피온일 수 있다. The separation membra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employed, for example, Nafion.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dox flow cell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를 실링할 수 있는 구조 및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에 수용된 카본 블록의 둘레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가스켓라인, 또는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에 수용된 카본 블록을 덮지 않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실링시트일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and material that can seal the first and second mono polar plates.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around the carbon block housed in the first and second mono- Or a sealing sheet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so as not to cover the carbon block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체결시, 상기 카본 블록의 기공률의 변화는 10%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지를 체결한 후에도 타킷 기공률이 거의 유지되어 전해액의 흐름이 좋은 장점이 있다. When the redox flow cell is cemented, the change in porosity of the carbon block may be 10% or less, specifically 2% or less. In this case, even after the battery is tightened, the target air-tightness is almost maintained, and the flow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advantageous.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체결시, 일반적으로 전지셀에 가해지는 토크는 50kgf·cm 이상 300kgf·cm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kgf·cm 이상 250kgf·cm 이하일 수 있다.The torque applied to the battery cell at the time of tightening the redox-flow battery may be 50 kgf · cm or more and 300 kgf · cm or less, specifically 100 kgf · cm or more and 250 kgf · cm or less.

본 명세서의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Provided is a fuel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전극 구조체는 연료전지에서 막전극 접합체(MEA)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각각 모노폴라 플레이트 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의 전극 구조체는 막전극 접합체의 기체확산층 및 유로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의 전극 구조체는 카본 블록 내에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막전극 접합체의 기체확산층 및 유로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대체할 수 있다.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monopolar plate or a bipolar plate provid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in a fuel cell. At this time,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replace the plate provided with the gas diffusion layer and the flow path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Particularly,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plate provided with the gas diffusion layer and the flow path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even if no separate flow path is formed in the carbon block.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코멕스카본사의 PC009 다공성 카본 블록(기공률: 36.64%, 두께: 2.5mm, 카본블록 제조시 압력: 30kgf/cm2, 압축강도: 29±2MPa, 소결밀도: 0.76g/cm3)을 16.18cm × 19.93cm × 0.25cm(가로×세로×두께)으로 제단하고, 도 9와 같은 형태의 선형의 음각 패턴을 형성했다. 이때, 음각 패턴의 길이는 180mm이고, 깊이는 2.2mm이며, 선간 간격을 20mm이었다.A PC 009 porous carbon block (a porosity of 36.64%, a thickness of 2.5 mm, a pressure of 30 kgf / cm 2 , a compression strength of 29 ± 2 MPa and a sintered density of 0.76 g / cm 3 ) cm × 0.25 cm (width × length × thickness) to form a linear engraved pattern of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ngraved pattern was 180 mm, the depth was 2.2 mm, and the line spacing was 20 mm.

상기 카본 블록의 양면에 각각 0.24mm 두께를 갖는 JNTG사의 SP2H2(카본 페이퍼)를 적층했다.SP2H2 (carbon paper) of JNTG having a thickness of 0.24 mm wa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arbon block.

325cm2의 크기 및 2.5mm의 깊이를 갖는 수용홈이 일면에 구비된 플로우 프레임에 양면에 카본 페이퍼가 적층된 상기 카본 블록을 삽입했다.The carbon block having carbon paper laminated on both sides thereof was inserted into a flow frame having a receiving groove having a size of 325 cm 2 and a depth of 2.5 mm on one surface.

분리막으로서 나피온212를 구비하고 250kgf·cm의 토크로 가압하여 16.25cm × 20cm의 전극면적을 갖는 단전지를 체결했다.The separator was equipped with a Nafion 212 and pressurized with a torque of 250 kgf · cm to fasten a unit cell having an electrode area of 16.25 cm × 20 cm.

[실시예 2][Example 2]

도 10과 같은 형태의 선형의 음각 패턴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전지를 체결했다. 이때, 음각 패턴의 길이는 50mm이고, 깊이는 2.2mm 이며, 선간 간격을 25mm이었다.A unit cell was faste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linear engraved pattern of the same shape as in Fig. 10 was formed.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ngraved pattern was 50 mm, the depth was 2.2 mm, and the line spacing was 25 m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양면에 카본 페이퍼가 적층된 카본 블록 대신에, 도 8과 같이 음각 패턴이 없고, 두께가 4mm, 기공률이 90%인 카본 펠트(도요보사의 XF30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단전지를 체결했다.As in the case of Example 1, except that a carbon felt (XF30A of Toyobo Co., Ltd.) having no engraved pattern and having a thickness of 4 mm and a porosity of 90% as shown in Fig. 8 was used instead of the carbon block having carbon paper lamin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I signed a cell phone.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전해액 유량 확인Check electrolyte flow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단전지에 각각 OXKEM사의 상용전해액 1L를 각 전극에 순환공급하고, 단전지 차압은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 모두 0.65Bar로 동일하도록 조정하여, 전해액의 유량을 표 1에 나타냈다.1 L of a commercial electrolytic solution of OXKEM Company was circulated to each of the electrode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single cell differential pressure was adjusted to be 0.65 Bar in each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shown in Table 1.

ml/min·cm2 ml / min · cm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11.1 실시예 1Example 1 3.53.5 실시예 2Example 2 1.41.4

실시예 1은 비교예 1보다 3배이상 증가된 유속을 가지며, 실시예 2는 비교예 1보다 30% 향상된 유량을 보여준다. 상기 표 1을 통해, 전해액의 유량은 수치적으로는 실시예 1이 실시예 2보다 유리하지만, 실시예 2와 같은 구조가 적절한 차압을 유발하고 전해액을 전극 내에서 효율적으로 확산 및 배분하여, 고출력 운전에는 실시예 1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Example 1 has a flow rate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2 shows a flow rate that is 30% higher than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from Table 1 that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numerically better than that of Example 2, but the same structure as Example 2 causes an appropriate differential pressure and the electrolyte is efficiently diffused and distributed in the electrode, It is expected that the operation will be more advantageous than the example 1.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전지성능측정Battery performance measurement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단전지에 각각 OXKEM사의 상용전해액 1L를 각 전극에 순환공급하고, 단전지 차압은 실시예 2와 비교예 1 모두 0.65 Bar로 동일하도록 조정했으며, 충방전은 0.8V ~1.6V 범위에서 정전류(CC)모드로 진행했다. 이때, 충방전 속도는 50mA/cm2 에서 300mA/cm2까지 50mA/cm2씩 증가시켰고, 각 스텝당 충방전 3회를 진행하여, 3번째 충방전싸이클의 성능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1 L of a commercial electrolytic solution of OXKEM Company was circulated to each of the electrodes prepar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single cell differential pressure was adjusted to be equal to 0.65 Bar in both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CC) mode in the 0.8V to 1.6V range. At this time, sikyeotgo charge-discharge rate is increased by 50mA / cm 2 eseo 50mA / cm 2 to 300mA / cm 2, the process proceeds to each charge and discharge three times per step, as noted below in the third to the performance of the charge-discharge cycles in Table 2.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mA/cm2 mA / cm 2 Dch. mAhDch. mAh CE%CE% VE%AND% EE%EE% Dch. mAhDch. mAh CE%CE% VE%AND% EE%EE% 5050 3393333933 86.986.9 92.292.2 80.180.1 2997129971 89.789.7 92.292.2 82.782.7 100100 3092930929 92.692.6 85.985.9 79.579.5 2612726127 93.493.4 85.685.6 80.080.0 150150 2648026480 94.394.3 79.979.9 75.475.4 2147421474 94.094.0 79.279.2 74.574.5 200200 2116821168 95.595.5 74.274.2 70.970.9 1591815918 95.295.2 72.372.3 68.868.8 250250 1499914999 96.896.8 68.168.1 66.066.0 92099209 96.796.7 64.564.5 62.462.4 300300 80658065 97.097.0 61.161.1 59.259.2 평가불가Not rated

Dch. (Discharge capacity), CE(전류효율), VE(전압효율), EE(에너지효율), mA/cm2(전극활성면적 당 전류)Dch. Discharge capacity, CE (current efficiency), VE (voltage efficiency), EE (energy efficiency), mA / cm 2 (current per electrode active area)

저출력 운전조건인 50mA/cm2 내지 100mA/cm2의 범위에서는 음각 패턴이 없는 카본 펠트(비교예 1)가 더 우수하나, 고출력 운전조건에서는 유로가 형성된 실시예 2가 더 우수했다.Low-power operating condition of 50mA / cm 2 to 100mA / cm 2 in the range of the engraved patterns are not carbon felt (comparative example 1), one superior, in Example 2 were more excellent in the flow path formed in the high-power operating conditions.

실시예 2는 상대적으로 낮은 과전압으로 인하여, 300mA/cm2의 조건에서도 평가가 가능했으나, 비교예 1은 300mA/cm2의 조건에서 평가가 불가능했다. 이는 고출력 운전일수록 전해액 공급속도가 빨라야 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In Example 2, evaluation was possible under the condition of 300 mA / cm 2 due to the relatively low overvoltage, but evaluation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impossible under the condition of 300 mA / cm 2 . This is because the higher the power output, the faster the supply rate of the electrolyte.

1: 카본 펠트
2: 플로우 프레임
3: 흑연판
4: 카본 펠트 수용홈
5: 분리막
10: 카본 블록
20: 플로우 프레임
30: 카본 블록 수용홈
40: 흑연판
50: 분리막
60: 카본 페이퍼
70: 음각 패턴
100: 제1 엔드 플레이트 110: 체결 돌출부
120: 집전체
200: 제1 모노폴라 플레이트 210: 흑연판
220: 카본 블록 230: 실링부재
240: 플로우 프레임
300: 분리막
400: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410: 흑연판
420: 카본 블록 430: 실링부재
440: 플로우 프레임
500: 제2 엔드 플레이트 510: 체결홀
520: 집전체
600: 바이폴라 플레이트 610: 흑연판
620: 카본 블록 640: 플로우 프레임
1: carbon felt
2: Flow frame
3: graphite plate
4: Carbon felt receiving groove
5: Membrane
10: Carbon block
20: Flow frame
30: Carbon block housing groove
40: graphite plate
50: membrane
60: Carbon paper
70: engraved pattern
100: first end plate 110: fastening protrusion
120: The whole house
200: first mono polar plate 210: graphite plate
220: carbon block 230: sealing member
240: Flow frame
300: membrane
400: second mono polar plate 410: graphite plate
420: carbon block 430: sealing member
440: Flow frame
500: second end plate 510: fastening hole
520: Entire house
600: bipolar plate 610: graphite plate
620: carbon block 640: flow frame

Claims (9)

적어도 일측 표면에 구비된 음각 패턴과 기공을 갖는 카본 블록;
상기 카본 블록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카본 페이퍼, 카본천(cloth) 및 얇은 카본펠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면저항감소층; 및
상기 카본 블록이 일면 또는 양면에 수용되는 플로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카본 블록의 기공률은 5% 이상 70%이하이고, 상기 카본 블록의 압축강도가 20MPa 이상인 것인 전극 구조체.
A carbon block having an engraved pattern and pore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 interfacial resistance reduction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paper, carbon cloth, and thin carbon fel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arbon block; And
And a flow frame in which the carbon block is received on one or both surfaces,
Wherein the carbon block has a porosity of 5% or more and 70% or less, and the compression strength of the carbon block is 20 MPa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카본 블록의 표면의 일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 이상의 선형 패턴인 것인 전극 구조체.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raved pattern is two or more linear patterns parallel to each other in on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각 패턴의 깊이는 상기 카본 블록의 두께의 5%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전극 구조체.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engraved pattern is 5% or more and 100%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각 패턴의 길이는 상기 카본 블록의 길이의 5% 이상 95% 이하인 것인 전극 구조체.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engraved pattern is 5% or more and 95%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carbon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일면 또는 양면에 카본 블록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카본 블록의 평균두께는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보다 얇거나, 상기 카본 블록 수용홈의 평균깊이보다 두꺼운 것인 전극 구조체.
The flow frame of claim 1, wherein the flow frame is provided with a carbon block receiving groove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thereof,
Wherein an average thickness of the carbon block is thinner than an averag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recesses or is greater than an average depth of the carbon block receiving reces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카본 블록 수용홀이 구비된 것인 전극 구조체.The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frame is provided with a carbon block receiving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는 상기 카본 블록의 일면에 구비된 흑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면에 흑연판이 구비된 카본 블록이 상기 플로우 프레임의 카본 블록 수용홀에 삽입되는 것인 전극 구조체.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lectrod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graphite plat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rbon block,
Wherein a carbon block having a graphite plate on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carbon block receiving hole of the flow frame.
제1 엔드 플레이트; 제1 모노폴라 플레이트; 분리막;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인 것인 레독스 흐름 전지.
A first end plate; A first mono polar plate; Separation membrane; A second monopolar plate; And a second end pl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is an electrod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노폴라 플레이트 사이에 1 이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1 이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극 구조체인 것인 레독스 흐름 전지.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dox flow cel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bipolar pl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nopolar plat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bipolar plate is the electrode structure.
KR1020170153019A 2017-11-16 2017-11-16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2361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19A KR102361103B1 (en) 2017-11-16 2017-11-16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19A KR102361103B1 (en) 2017-11-16 2017-11-16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31A true KR20190056031A (en) 2019-05-24
KR102361103B1 KR102361103B1 (en) 2022-02-09

Family

ID=6668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19A Active KR102361103B1 (en) 2017-11-16 2017-11-16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0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42030A (en) * 2023-08-14 2023-09-12 北京普能世纪科技有限公司 Electrode for flow battery and flow battery
CN117096370A (en) * 2023-10-17 2023-11-21 江苏恒安储能科技有限公司 Novel flow battery terminal electrode and flow battery assembled by same
KR102713091B1 (en) * 2023-07-07 2024-10-04 주식회사 코스모스랩 Bipolar zinc-bromide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691A (en) * 1998-03-25 1999-10-08 Toyobo Co Ltd Grooved electrode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90046087A (en) 2007-11-05 2009-05-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a separator structure for a redox flow battery and the separator structure
KR20160128919A (en)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70097416A (en)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Redox Flow Battery for Monopolar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691A (en) * 1998-03-25 1999-10-08 Toyobo Co Ltd Grooved electrode material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90046087A (en) 2007-11-05 2009-05-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a separator structure for a redox flow battery and the separator structure
KR20160128919A (en)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70097416A (en)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Redox Flow Battery for Monopolar typ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3091B1 (en) * 2023-07-07 2024-10-04 주식회사 코스모스랩 Bipolar zinc-bromide battery
WO2025014233A1 (en) * 2023-07-07 2025-01-16 주식회사 코스모스랩 Bipolar zinc-bromine battery
CN116742030A (en) * 2023-08-14 2023-09-12 北京普能世纪科技有限公司 Electrode for flow battery and flow battery
CN116742030B (en) * 2023-08-14 2023-12-05 北京普能世纪科技有限公司 Electrode for flow battery and flow battery
CN117096370A (en) * 2023-10-17 2023-11-21 江苏恒安储能科技有限公司 Novel flow battery terminal electrode and flow battery assembled by same
CN117096370B (en) * 2023-10-17 2024-01-09 江苏恒安储能科技有限公司 A new type of flow battery terminal electrode and its assembled flow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103B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3614B1 (en) Bipolar plates for electrochemical cell stacks
US10566645B2 (en) Fuel-cell separator with a fluid supply and diffusion layer formed by a porous layer on at least one face of a flat metal plate and cell stack that includes the fuel-cell separator
KR100525974B1 (en) Fuel cell
JP3565867B2 (en) Bipolar separator plat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US7125625B2 (en) Electrochemical cell and bipolar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20080318116A1 (en) Gas diffusion electrode substrate, gas diffusion electrode and process for its procution, and fuel cell
KR19980081284A (en) Fuel cell
US6187466B1 (en) Fuel cell with water capillary edge seal
CN101789508A (en) Bipolar plate for a fuel cell stack
CN102163723A (en) High tortuosity diffusion medium
KR102361103B1 (en)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0444435C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WO2023169600A1 (en) Flow battery stack or battery cell, electrode-diaphragm composite assembly and composite electrode structure thereof
US20020150811A1 (en) Fuel cell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27037B1 (en) Electrode structur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040157111A1 (en) Fuel cell
KR20020020890A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its usage
KR20240102445A (en) Bipolar plate and water electrolysis stack with the saem
JP2007172953A (en) Fuel cell
CN210052799U (en) A liquid flow energy storage battery with a solidified porous electrode and a bipolar plate
KR20190080615A (en) Ultralight weight carbon based bipolar plate and fuel cell stack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4423063B2 (en) Membrane / electrode assembly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ing the same
JP5132997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KR100705167B1 (en) Direct fuel cell
JP4202205B2 (en) Fuel cell st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