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807A -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 Google Patents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2807A KR20190052807A KR1020170148548A KR20170148548A KR20190052807A KR 20190052807 A KR20190052807 A KR 20190052807A KR 1020170148548 A KR1020170148548 A KR 1020170148548A KR 20170148548 A KR20170148548 A KR 20170148548A KR 20190052807 A KR20190052807 A KR 201900528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parking
- fork
- mast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을 구비한 다층 구조의 건물에 있어서 주차를 위해 1층 플로어부로 진입한 차량을 승강 포크바와 권상장치부를 이용해 상부 자동화 주차장으로 승강 이동시켜 주차시킴으로,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고, 주차를 위한 시설을 최소화하여 건물의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승강통로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 포크바와, 차량이 진입하는 플로어부와, 승강 포크바를 승하강시키는 권상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block configured to lift and move the vehicle to an upper automation parking lot so as to securely install or unload the vehicle by the driver and minimize the facility for parking,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
To this end, an elevating and lowering bar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elevating passage, a floor portion where the vehicle enters, and a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bar ar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을 구비한 다층 구조의 건물에 있어서 주차를 위해 1층 플로어부로 진입한 차량을 승강 포크바와 권상장치부를 이용해 상부 자동화 주차장으로 승강 이동시켜 주차시킴으로,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고, 주차를 위한 시설을 최소화하여 건물의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통 혼잡 및 대기오염과 더불어 주차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야기된 지 오래이다. Generally, due to lack of parking space in the vehicle, traffic congestion and air pollution as well as parking problems have long been caused by serious social problems.
특히, 차량의 통행량이 많은 도심에서는 한정된 주차 공간으로 인하여 주차난이 더욱 심한 실정이다.Especially, in the city center where the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 is high, parking lot is more severe due to limited parking space.
이에 따라, 급증하는 주차 수요를 대처하기 위하여 건물마다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주차난 해결을 위한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한정된 토지로 인하여 주차 시설의 확충은 한계에 도달할 수 밖에 없었다. Accordingly, in order to cope with the surging demand for parking,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arking lot for each building, and methods for solving the parking problem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due to limited land, the expansion of parking facilities has reached the limit.
자동화 주차장은, 다수 대의 차량을 일정한 장소와 공간에 최대한 주차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작은 공간에 많은 차량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차량을 기계장치에 의해 층상으로 보관하고 있다. An automated parking lot is a device for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vehicles in a certain place and space as much as possible for parking. In order to efficiently store a large number of vehicles in a small space, the vehicle is kept in layers by a mechanical device.
이러한 자동화 주차장은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과, 이동이 이루어진 차량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며, 구동방식에 따라 순환식, 퍼즐식, 승강기식, 승강기슬라이드식, 평면왕복식 등으로 나뉘며 차량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Such an automated parking lot is generally constituted by a means for moving a vehicle to be parked and a space for storing a moving vehicle, and it may be constituted by a circulation type, a puzzle type, an elevator type, , A plane reciprocating type, and the like, so that the vehicle can be easily and quickly loaded and unloaded.
자동화 주차장은 통상 다수의 랙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주차실을 구성하고, 각 랙이 형성하는 주차실에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운반기를 구비하며, 이러한 차량운반기를 제어용 컴퓨터에 의해 연동시킴으로써 차량을 입고 또는 출고시키고 있다. The automobile parking lot is usu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cks at regular intervals to constitute a parking room, and a vehicle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to a parking room formed by each rack. By interlocking the vehicle carrier with a control computer, It is getting in or out.
그리고, 운전자가 차량을 자동화 주차장에 입고 또는 출고시키기 위해 최초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진입로를 포함하여 차량을 대기시키는 차량 주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a vehicle parking zone for waiting for the vehicle including a parking access road in which the driver carries out the initial parking for putting or leaving the vehicle in the automated parking lot.
한편, 현재 다층 건물에는 저층부를 근린생활시설로 이용하고 근린생활시설의 상층부를 주차장으로 이용하는 건물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building that uses the low-rise floor as a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and the upper floor of a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as a parking lot.
통상 이러한 다층 건물에는 상층부의 주차장까지 연결되도록 루프 형의 진입로를 별도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넓은 부지를 가지는 다층 건물에는 그 사용이 편리할 수 있으나 좁은 부지를 가지는 다층 건물에 있어서는 주차장 진입로를 위한 설치에 따라 공간 활용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Generally, such a multi-story building has a roof-type access road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upper-level parking lot. However, in such a case, the multi-story building having a large site may be convenient to u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utilization is lower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다시 말해, 진입로를 포함하여 주차장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일정이상으로 확보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이 있었으며,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하는 과정이 복잡한 과정으로 이루어져 주차와 출차의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he vehicle, including the access road, if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parking lot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and the process of parking or departing the vehicle is complicated, there was.
한편, 통상의 자동화 주차장에 관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000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046호와 (특허문헌 000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6614를 통해 본원 발명인이 기술을 게시한 바 있다. [0004]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automotive parking lot,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06-0032046 and 10-2015-0086614, I posted i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건물 전체가 자동화 주차장을 위한 건물일 경우 적용되는 것으로,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을 두고 상층부에 자동화 주차장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applied when the entire building is a building for an automobile parking lot. In the case where an automobile parking lot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with a neighboring living facility at the lower part thereof, installation thereof is very difficult.
또한, 운전자가 차량에 승하차 하는 공간이 주차장 바닥에 대해 높이를 가지고 위치되고 운전자가 이동시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because a space in which a driver gets on and off the vehicle is located at a height with respect to the floor of the parking lot, and there is no means that the driver can support when mov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저층부의 근린생활시설 공간을 최소한으로 이용하고 안전하게 차량을 상층부의 자동화 주차장으로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ed parking lot equipped with a lift type vehicle parking block, which is capable of safely using the neighborhood living space of the low- The purpose of that is to do.
또한, 차량이 진입 또는 출차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승강 포크바와 플로어부가 평평한 면을 이루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입출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parking lot having a lift type vehicle parking block in which a lift-up fork and a floor portion constituting a space in which a vehicle enters or exits are formed as flat surfaces so that a driver can safely carry out the vehicle.
더불어, 다층 건물의 상층부에 위치된 자동화 주차장으로 권상장치부를 이용해 차량을 승강이동시킴으로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적재공간을 늘리고 다층 건물 자체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automated parking lo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multi-story building is used as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block configured to increase the space for loading the automobile parking space and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multi- The purpose is to provide.
그리고,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주차 진입로를 필요로 하지않아 주차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space, which minimizes the space in which goods are loaded and unload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arking space without requiring an unnecessary parking lot access ro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은, 다수개의 주차실을 형성한 랙과, 운반포크를 이용해 차량을 적재 및 인출하는 차량운반기를 포함하여 다층 건물의 저층부 근린생활시설의 상부에 설치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ck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rooms, and a vehicle transporter for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s using a transportation fork, Of the living room.
이때, 자동화 주차장의 제일 하층에 기준 주차실을 형성하고; 근린생활시설을 관통하여 기준 주차실까지 연통되게 승강통로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a reference parking room is formed at the lowest level of the automated parking lot; The elevator passage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ference parking room through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그리고, 승강 포크바와 플로어부 그리고 권상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urther, it includes a lifting fork bar, a floor part and a hoisting gear part.
구체적으로, 승강 포크바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륜을 받치는 전방 포크군과, 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후륜을 받치는 후방 포크군과, 전방 포크군 및 후방 포크군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보와, 지지보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된 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Specifically, the elevating fork bar includes a front fork group that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right angles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upports the front wheels of the vehicle, a rear fork group that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right angles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support beam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front fork group and the rear fork group, and a mast vert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eam.
그리고, 승강 포크바는 마스트에 연결된 와이어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승강통로를 따라 승.하강한다. The lifting fork bar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lifting path by the lifting force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mast.
한편, 플로어부는, 차량이 진출입하는 출입부를 가지는 평면의 플로어면과, 하강된 승강 포크바의 상부면이 플로어면과 동일선상을 가지도록 안착되게 플로어면 상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승강통로의 바닥을 이룬다. On the other hand, the floor portion includes a flat floor surface having an entrance portion into which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and a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escended elevator fork bar is aligned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floor surface, It forms the bottom.
그리고, 권상장치부는, 기준 주차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트에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당기거나 풀어 마스트을 포함한 승강 포크바를 승.하강 시킨다. The hoist uni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ference parking room, and pulls or looses the wire connected to the mast to raise and lower the hoist and fork bar including the mast.
한편, 승강 포크바의 지지보는, 전방 포크군 및 후방 포크군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포크바의 한 측이 외팔보 형태가 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ing view of the elevating fork bar is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ront fork group and the rear fork group, so that one side of the fork bar is supported at the lower part in a cantilever shape.
일 실시예로, 지지보는, 전방 포크군 및 후방 포크군의 중앙부를 직교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보와, 전방 포크군 및 후방 포크군의 일측 단부를 직교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보로 구성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beam comprises a first support beam that orthogonally supports a central portion of a front fork group and a rear fork group, and a second support beam that orthogonally supports one end of the front fork group and the rear fork group .
한편, 바람직하게 마스트는, 전방 포크군이 형성된 전방과, 후방 포크군이 형성된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s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front side where the front fork group is formed and the rear side where the rear fork group is formed.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승강 포크바는, 제1 지지보와 제2 지지보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마스트와 연결된 연결대와, 연결대의 하부에서 마스트의 하부로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elevating fork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rib and the second supporting rib and connected to the mast, and a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st and supporting the load, do.
한편, 플로어부의 홈부는, 일 실시예로, 전방 포크군이 안착되는 전방 포크홈과, 후방 포크군이 안착되는 후방 포크홈과, 지지보가 안착되는 지지보홈과, 마스트가 안착하는 마스트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roove portion of the floor portion includes, in one embodiment, a front fork groove in which a front fork group is seated, a rear fork groove in which a rear fork group is seated, a support groove in which a support beam is seated, and a mast groove .
그리고, 플로어부는, 플로어면의 일측에 차량의 진출입을 안내토록 돌출된 가이드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floor portion includes a guid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loor surface so as to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한편, 권상장치부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트레인과, 기어트레인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부와, 풀리부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oisting device section includes a motor, 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 pulley portion connected to the gear trai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and a wire connected to the pulley portion.
바람직하게, 승강 포크바의 마스트는 일측에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이동롤러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mast of the lifting fork bar includes a pair of moving rollers having an interval on one side.
그리고, 권상장치부는, 이동롤러의 간격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가이드레일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며, 승강통로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hoist unit includes a guide rail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d so as to fit in the gap of the moving roller, and a guide post vertically installed in the hoistway.
한편, 권상장치부는, 마스트에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와이어측에 승강 포크바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연결된 중량을 가지는 균형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oist unit further comprises a counterbalance having a weight connected to the wire opposite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mast so as to rise and fal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ist pork ba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은, 플로어부를 포함하여 승강통로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차량 출입문 및 운전자 출입문을 포함한 승강룸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the lift-type vehicl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evator room including a floor portion and having a size and shape to cover the elevator passageway and including a vehicle door and a driver's door on one side.
그리고, 플로어부는, 승강 포크바의 홈부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차량 및 운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센서 감지 상태 여부에 따라 권상장치부의 작동 및 출입문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floor part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elevation fork bar is seated in the groove part and a sensor for confirming whether the vehicle and the driver are present or no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
한편, 바람직하게 승강 포크바는, 전륜 또는 후륜의 원호에 맞도록 중앙부의 포크바 높이를 주변부의 포크바 높이보다 낮게 조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fork bar preferably adjusts the height of the fork bar at the center portion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ork bar at the peripheral portion so as to match the arc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은, 차량 입출고를 위해 운전자가 승하차하는 플로어부 공간이 승강 포크바를 포함한 상태에서 평평한 면을 이루어 운전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parking lot having the lift-type vehicl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loor space in which the driver gets on and off for the vehicle entering and leaving, and the elevating fork bar is included in the flat surface, Effect.
더불어, 다층 건물의 상층부에 위치된 자동화 주차장으로 권상장치부를 이용해 차량을 승강이동시킴으로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적재공간을 늘리고 다층 건물 자체의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it is an automated parking lo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a multi-story building. By moving the vehicle up and down using a hoist, the vehicle loading space of the automated parking lot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efficiency of the multi-story building itself can be increased.
그리고, 차량의 입고와 출고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주차 진입로를 필요로 하지않아 주차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space in which goods are loaded and unloa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arking space without requiring an unnecessary vehicle parking entryw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기준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적용된 승강 포크바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적용된 플로어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적용된 플로어부에 승강 포크바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배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단면 '①'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단면 '②'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단면 '③'과 단면 '④'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기준층에서 승강 포크바의 승하강을 위한 리프트 장치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단면 'a'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단면 'a'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적용된 포크바의 바퀴지지상태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에 적용된 승강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reference layer of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leva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levating fork bar applied to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floor part applied to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layout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ifting fork bar is seated on a floor part applied to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 type vehicle parking ga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tion '1' of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FIG.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 2 " of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③' and a cross-section '④' of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FIG.
9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lift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n elevating fork bar in a reference layer of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 type vehicle parking ga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 of an automated parking garage with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FIG.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 of an automated parking garage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FIG.
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heel supporting state of a fork bar applied to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 type vehicl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vator room applied to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차량이 진입하는 진행방향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direction refers to the traveling direction portion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enters, and the rear direction refers to the opposite portion or the direction.
또한, 상부 또는 상방은 통상의 바닥면에 대해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upper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indicates a portion having a height with respect to a normal bottom surface or a direction thereof, and the low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indicates a portion or a direction opposite thereto.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1)은,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2)을 구비한 다층 건물의 상층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적재포크(11)를 갖고 차량(C)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주차실(30)을 형성한 랙(10)과, 랙(10)이 형성하는 주차실(30)의 적재포크(11)에 운반포크(21)를 이용해 차량(C)을 적재 및 인출하는 차량운반기(20)를 포함하여 다층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1 and 2, an
이때, 다수개의 주차실(30) 중 자동화 주차장(1)의 제일 하층에는 차량의 입출고를 위해 이동된 차량이 대기되는 기준 주차실(31)을 구비하며, 기준 주차실(31)에 위치된 차량을 차량운반기(20)가 운반포크(21)를 통해 이동시켜 랙(10)이 형성하는 다수개의 주차실(30) 중 비어 있는 주차실로 차량을 적재하게 된다. At this time, a reference parking room (31) in which a vehicle moved for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is waiting is provided on the lowest layer of the automobile parking lot (1) among the plurality of parking rooms (30) The
이러한 기준 주차실(31)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a plurality of
그리고, 이와 같은 차량운반기(20)의 차량 적재 및 인출을 위한 작동 구조는 공지의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structur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1)은,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2)을 가지는 다층 건물의 상부층에 설치되는데, 근린생활시설(2)이 있는 1층으로 주차를 위해 진입한 차량(C)을 자동화 주차장(1)의 기준 주차실(31)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이러한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100)는, 크게 승강 포크바(110)와 플로어부(120) 및 권상장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ft type
주차를 위해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100)의 플로어부(120)로 진입한 차량(C)은 권상장치부(130)의 작동에 따라 승강 포크바(110)에 의해 승강되어 기준 주차실(31)로 위치되며, 차량운반기(20)는 운반포크(21)를 이용해 기준 주차실(31)의 차량을 타 주차실로 이동 적재시킨다. The vehicle C that has entered the
이와 같이, 차량 주차를 위해 별도의 진입로의 필요 없이 다층 건물의 저층부를 이루는 근린생활시설(2)의 공간을 피해 차량을 적재함으로 건물의 공간효율을 높이고, 운전자는 안전하게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Thus,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can be increased by avoiding the space of the
또한, 플로어부(120)는 바닥이 평평한 면으로 지하 공간을 가지지 않아 운전자의 승하차시 안전성을 극대화한다. 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More specifically, an automated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재차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자동화 주차장의 제일 하층에 상술의 기준 주차실(31)을 형성하고, 근린생활시설(2)을 관통하여 기준 주차실(31)까지 연통된 승강통로(R)를 형성한다. 1 and 2, the
이때, 승강통로(R)는 차량(C)을 운반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가지며, 근린생활시설(2)의 다른 공간과는 별도의 벽(143)에 의해 분리된 공간을 가진다. At this time, the lift passage R has a minimum space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C, and has a space separated by a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100)를 구성하는 승강 포크바(110)는, 후술될 플로어부(120)의 홈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주차를 위채 진입한 차량(C)을 권상장치부(130)의 작동에 따라 상부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the elevating
이를 위해, 승강 포크바(110)는, 차량(C)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륜을 받치는 전방 포크군(111)과, 차량(C)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후륜을 받치는 후방 포크군(112)을 가진다. The elevating and lowering
그리고, 승강 포크바(110)는,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보(113)와, 지지보(113)의 일측에 승강통로(R)를 따라 수직하게 연결된 마스트(115)를 포함한다. The elevating and lowering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 포크바(110)는, 마스트(115)에 연결된 와이어(W)가 권상장치부(130)의 작동에 따라 마스트(115)를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승강통로(R)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The elevating
한편, 마스트(115)는 기둥 형태로 차량이 안착된 전방 포크군(111)과 후방 포크군(11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간격을 가지며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가장 최선으로 마스트(115)는 전방 포크군(111)이 형성된 전방과, 후방 포크군(112)이 형성된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The
그리고, 지지보(113)는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데, 포크바의 한 측이 외팔보 형태가 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한다. The support beams 113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the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지지보(113)는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의 중앙부를 직교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보(113a)와,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의 외팔보 부분에 반대되는 일측의 단부를 직교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보(113b)로 구성한다. The
이러한 지지보(113)는 차량(C)이 안착된 전방 포크군(111)과 후방 포크군(112)이 안정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지지한다. The support beams 113 support the
한편,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승강 포크바(110)는, 제1 지지보(113a)와 제2 지지보(113b)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면서 마스트(115)와 연결된 연결대(117)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대(117)의 하부에서 마스트(115)의 하부로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대(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3 and 6, the elevating
이와 같은 연결대(117)와 보강대(118)는 그 위치와 형상이 정해진 것은 아니며, 승강 포크바(110)의 승하강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connecting
한편, 후술에서 상세 기술하겠지만, 승강 포크바(110)의 마스트(115)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이동롤러(116)를 가진다. Meanwhile,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필요에 따라 이러한 한 쌍의 이동롤러(116)는 마스트(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한 쌍씩의 이동롤러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pair of moving
이러한 이동롤러(116)는 후술될 권상장치부(130)의 가이드 포스트(133)의 가이드 레일(133a)을 따라 지지되면서 이동되며, 승강 포크바(11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하강 할 수 있게 한다. The moving
그리고, 승강 포크바(110)는,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이 안착될 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원호에 맞도록 중앙부의 포크바(110-1) 높이 즉 상단부의 위치가 주변부의 포크바(110-2) 높이 즉 상단부 위치보다 낮도록 조정한다. 12, when the vehicle is seated, the height of the fork bar 110-1 at the center por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외부 흔들림에도 차량은 안정적으로 승강 포크바(110)에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vehicle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elevating and lowering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주차대(100)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1)에 적용된 플로어부(120)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Next, the
플로어부(120)는, 승강통로(R)의 바닥을 이루는 구간으로 차량이 진출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승강 포크바(110)가 하강하여 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e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8(a)(b)를 참조하면, 플로어부(120)는 차량이 진출입하는 출입부를 가지는 평면의 플로어면(120a)을 가지며, 하강된 승강 포크바(110)의 상부면이 플로어면(120a)과 동일선상을 가지도록 안착되게 플로어면(120a) 상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4 to 8 (a) and 8 (b), the
구체적으로, 플로어부(120)의 홈부는, 승강 포크바(110)의 전방 포크군(111)이 안착되는 전방 포크홈(121)과, 후방 포크군(112)이 안착되는 후방 포크홈(122)과, 지지보(113)가 안착되는 지지보홈(123)과, 마스트(115)가 안착하는 마스트홈(12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Specifically, the groove portion of the
이러한 홈부는, 안착되는 승강 포크바(110)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가능한 밀접하게 안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These recesses are sized and shaped such that each component of the ascending
그리고, 일측에는 홈부에 이물질 유입시 배출이 용이하도록 이물질 배출구(125)를 포함한다. One side includes a
이와 같은 이물질 배출구(125)는 이물질 배출을 위한 홀 또는 홈의 형상이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다. The
한편, 플로어면(120a)의 일측에는 차량(C)의 진출입을 안내토록 바닥에서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턱(124)을 포함한다. On one sid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플로어부(120)는, 차량이 진입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하강된 승강 포크바(110)를 포함하여 차량이 입출고를 위해 대기하는 장소를 형성한다. The
이어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주차대(100)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1)에 적용된 권상장치부(130)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a hoist
권상장치부(130)는, 기준 주차실(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포크바(110)의 마스트(115)에 연결된 와이어(W)를 잡아당기거나 풀어 마스트(115)를 포함한 승강 포크바(110)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이를 위해, 권상장치부(130)는, 모터(M)와,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트레인(131)과, 기어트레인(13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부(132)와, 풀리부(132)에 연결된 와이어(W)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o this end, the
그리고, 승강통로(R)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13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이때, 가이드 포스트(133)는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포크바(110)의 이동롤러(116)의 간격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가이드레일(133a)을 구비한다. The guide posts 133 are disposed along the length of the lifting passage R so that the guide posts 1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interval of the moving
승강 포크바(110)는 마스트(115)의 이동롤러(116)가 가이드레일(133a)을 따라 이동함으로 승하강시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elevating
한편, 풀리부(132)는, 기어트레인(131)과 직접 연결된 고정풀리(132a)와, 와이어(W)을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연결풀리(132b), 및 마스트(115)에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와이어(W)를 지탱할 수 있도록 마스트(115)의 상부측에 위치된 구조물에 설치된 지지풀리(13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와이어(W)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연결할 수 있다면 다수개가 이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권상장치부(130)는 마스트(115)에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와이어(W) 측에 승강 포크바(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연결된 중량을 가지는 균형추(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이와 같은 균형추(134)를 이용한 권상장치의 작동은 공지의 기술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device us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은, 저층부에 근린생활시설(2)을 가지는 다층건물에 있어 플로어부(120)로 진입된 차량(C)을 권상장치부(130)의 작동에 따라 승강 포크바(110)에 의해 승강시켜 주차장까지 위치시킴으로, 주차를 위한 불필요한 진입로가 필요없어 다층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높인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ed car park equipped with the lift-type vehicle parking de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orey building having the
또한, 저층에 위치된 플로어부(120)는 포크 승강바(110)를 제외한 다른 구조물이 없고 바닥이 평평한 면을 형성해 운전자가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Further, the
한편, 필요에 따라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은, 플로어부(120)를 포함하여 승강통로(R)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차량 출입문(142) 및 운전자 출입문(141)을 포함하는 승강룸(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13, the automated car park equipped with the lift type vehicle parking ga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and shape including the
그리고, 플로어부(120)에는, 승강 포크바(110)의 홈부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S1)와, 차량 및 운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센서(S2)를 더 포함하여, 센서 감지 상태 여부에 따라 권상장치부(130)의 작동 및 출입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센서(S1, S2)에 의해 운전자는 더욱더 안전하게 차량을 입출고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not.
1 :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2 : 근린생활시설
100 :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
110 : 승강 포크바
111 : 전방 포크군
112 : 후방 포크군
113 : 포크바 지지보
114 : 진출입용 통로
115 : 마스트
116 : 이동롤러
117 : 연결대
118 : 보강대
120 : 플로어부
120a : 플로어면
121 : 전방 포크홈
122 : 후방 포크홈
123 : 지지보홈
124 : 가이드턱
125 : 이물질 배출구
126 : 마스트홈
130 : 권상장치부
131 : 기어트레인
132 : 풀리부
133 : 가이드포스트
133a : 가이드레일
134 : 균형추
140 : 승강룸
M : 모터
W : 와이어1: Automated parking with lift vehicle parking
2: Neighborhood facility 100: Lift type vehicle parking lot
110: lift and fork bar 111: front fork group
112: rear fork group 113: fork bar support beam
114: entry / exit passage 115: mast
116: moving roller 117: connecting rod
118: Reinforcing bar 120: Floor part
120a: floor surface 121: front fork groove
122: rear fork groove 123: support groove
124: Guide chin 125: Foreign matter outlet
126: mast groove 130:
131: gear train 132: pulley part
133: Guide post 133a: Guide rail
134: Balance 140: Lift room
M: Motor W: Wire
Claims (12)
상기 자동화 주차장의 제일 하층에 기준 주차실(31)을 형성하고;
상기 근린생활시설(2)을 관통하여 상기 기준 주차실(31)까지 연통되게 승강통로(R)를 형성하며;
차량(C)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륜을 받치는 전방 포크군(111)과, 차량(C)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후륜을 받치는 후방 포크군(112)과, 상기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지지보(113)와, 상기 지지보(113)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된 마스트(115)를 포함하여, 상기 마스트(115)에 연결된 와이어(W)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상기 승강통로(R)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 포크바(110)와;
차량(C)이 진출입하는 출입부를 가지는 평면의 플로어면(120a)과, 하강된 상기 승강 포크바(110)의 상부면이 상기 플로어면(120a)과 동일선상을 가지도록 안착되게 상기 플로어면(120a) 상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통로(R)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부(120)와;
상기 기준 주차실(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스트(115)에 연결된 와이어(W)를 잡아당기거나 풀어 마스트(115)을 포함한 승강 포크바(110)를 승.하강 시키는 권상장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A rack (10)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lots (30) and a vehicle transporter (20) for loading and unloading a vehicle using a transportation fork (21) 1. An automated parking lot installed in a vehicle,
Forming a reference parking room (31) at the bottom of the automated parking lot;
(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ference parking room (31) through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2);
A front fork group 111 provided at a plurality of right angles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 to support the front wheels of the vehicle and a rear fork group And a mast 115 vert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eam 113 to support the front fork group 111 and the rear fork group 112 while supporting the front fork group 111 and the rear fork group 112, An ascending / descending fork bar (110)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ascending route (R) by a pulling force of a wire (W) connected to the mast (115);
The floor surface 120a hav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C is position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ed elevating fork bar 110 is aligned with the floor surface 120a, 120a, a floor portion 120 forming the bottom of the elevation passage R;
A lifting and lowering device 1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ference parking room 31 for lift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fork bar 110 including the mast 115 by pulling or loosening the wire W connected to the mast 115, And an automatic parking lot having a lift-type vehicle parking zone.
상기 승강 포크바(110)의 지지보(113)는,
상기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포크바의 한 측이 외팔보 형태가 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되,
상기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의 중앙부를 직교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보(113a)와, 상기 전방 포크군(111) 및 후방 포크군(112)의 일측 단부를 직교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보(113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beam 113 of the elevating fork bar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bar 113,
The front fork group 111 and the rear fork group 112 are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at one side of the fork bar is cantilevered,
A first support beam 113a that orthogonally supports a center portion of the front fork group 111 and the rear fork group 112 and a second support beam 113b that supports one side end of the front fork group 111 and the rear fork group 112 at right angles And a second support beam (113b) for supporting the elevator car.
상기 마스트(115)는,
상기 전방 포크군(111)이 형성된 전방과, 상기 후방 포크군(112)이 형성된 후방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st (115)
Wherein the front fork group (111) is formed on a front side of the front fork group (111) and the rear fork group (112) is formed on a rear side of the vehicle.
상기 승강 포크바(110)는,
상기 제1 지지보(113a)와 제2 지지보(113b)를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마스트(115)와 연결된 연결대(117)와, 상기 연결대(117)의 하부에서 상기 마스트(115)의 하부로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대(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fork bar (110)
A connecting rod 117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rib 113a and the second supporting rib 113b and connected to the mast 115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st 115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117. [ And a reinforcing bar (118) for supporting the load. ≪ RTI ID = 0.0 > [0002] < / RTI >
상기 플로어부(120)의 홈부는,
상기 전방 포크군(111)이 안착되는 전방 포크홈(121)과, 상기 후방 포크군(112)이 안착되는 후방 포크홈(122)과, 상기 지지보(113)가 안착되는 지지보홈(123)과, 상기 마스트(115)가 안착하는 마스트홈(12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part of the floor part (120)
A front fork groove 121 on which the front fork group 111 is seated, a rear fork groove 122 on which the rear fork group 112 is seated, a support groove 123 on which the support beam 113 is seated, And a mast groove (126) on which the mast (115) is seated.
상기 플로어부(120)는,
상기 플로어면(120a)의 일측에 차량(C)의 진출입을 안내토록 돌출된 가이드턱(12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 part (120)
And a guide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floor surface (120a) so as to guide the entry / exit of the vehicle (C) into the automobile parking lot.
상기 권상장치부(130)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트레인(131)과, 상기 기어트레인(13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부(132)와, 상기 풀리부(132)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W)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isting gear unit (130)
A gear train 131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 and a pulley 132 connected to the gear train 131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And the wire (W)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상기 승강 포크바(110)의 마스트(115)는 일측에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이동롤러(116)를 포함하고,
상기 권상장치부(130)는,
상기 이동롤러(116)의 간격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가이드레일(133a)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며, 상기 승강통로(R)에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13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st 115 of the elevating fork bar 110 includes a pair of moving rollers 116 having an interval on one side,
The hoisting gear unit (130)
And a guide post 13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33a so as to be fitted to the gap between the moving rollers 116 and perpendicular to the elevation passage R. [ Automated parking lot with car parking.
상기 권상장치부(130)는,
상기 마스트(115)에 연결된 부분과 반대되는 와이어(W)측에 상기 승강 포크바(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연결된 중량을 가지는 균형추(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isting gear unit (130)
And a weight (134) having a weight connected to the wire (W) side opposite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mast (115)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levating fork bar (110) Automated parking lot with car parking.
상기 플로어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통로(R)를 감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차량 출입문(142) 및 운전자 출입문(141)을 포함한 승강룸(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evator room 140 having a size and shape capable of covering the elevator passage R including the floor part 120 and including a vehicle door 142 and a driver's door 141 on one side Wherein the automatic parking lot has a lift-type vehicle parking space.
상기 플로어부(120)는,
상기 승강 포크바(110)의 홈부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S1)와, 차량 및 운전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센서(S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 감지 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권상장치부(130)의 작동 및 출입문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oor part (120)
A sensor S1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lift fork bar 110 is seated in a groove portion and a sensor S2 for confirming whether a vehicle and a driver are present, ) And the operation of the door. ≪ RTI ID = 0.0 > [0002] < / RTI >
상기 승강 포크바(110)는,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의 원호에 맞도록 중앙부의 포크바(110-1) 높이를 주변부의 포크바(110-2) 높이보다 낮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fork bar (110)
And the height of the fork bar (110-1) at the center portion is adjust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ork bar (110-2) at the peripheral portion so as to match the arc of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548A KR20190052807A (en) | 2017-11-09 | 2017-11-09 |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548A KR20190052807A (en) | 2017-11-09 | 2017-11-09 |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807A true KR20190052807A (en) | 2019-05-17 |
Family
ID=6667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8548A Ceased KR20190052807A (en) | 2017-11-09 | 2017-11-09 |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52807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47518A1 (en) * | 2019-09-09 | 2021-03-18 | 黄才雄 | Single row multi-layer storage bank system with vertical avoidance |
CN113090089A (en) * | 2021-04-13 | 2021-07-09 | 山东欧泰智能化工程有限公司 | Intelligent parking lot parking equipment and system |
KR102350606B1 (en) * | 2021-06-08 | 2022-01-18 | 주식회사 이디테크놀로지 | Smart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Shuttle and Staker Crane and its method |
KR20220101383A (en) * | 2021-01-11 | 2022-07-19 | 이종식 | Vehicle fall arrester for mechanical parking lot |
CN115012714A (en) * | 2022-06-01 | 2022-09-06 | 深圳市金车巢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interactive quick access vehicle device and method with multiple free access ports on the first floor |
KR20230107919A (en) | 2022-01-10 | 2023-07-18 | (주) 군월드 | Automated parking system for ca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046A (en) | 2004-10-11 | 2006-04-14 | 이완영 | Loading and unloading rack of palletless parking system |
KR20150086614A (en) | 2014-01-20 | 2015-07-29 | 이완영 | Automated Parking Turnable |
-
2017
- 2017-11-09 KR KR1020170148548A patent/KR2019005280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046A (en) | 2004-10-11 | 2006-04-14 | 이완영 | Loading and unloading rack of palletless parking system |
KR20150086614A (en) | 2014-01-20 | 2015-07-29 | 이완영 | Automated Parking Turnabl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47518A1 (en) * | 2019-09-09 | 2021-03-18 | 黄才雄 | Single row multi-layer storage bank system with vertical avoidance |
KR20220101383A (en) * | 2021-01-11 | 2022-07-19 | 이종식 | Vehicle fall arrester for mechanical parking lot |
CN113090089A (en) * | 2021-04-13 | 2021-07-09 | 山东欧泰智能化工程有限公司 | Intelligent parking lot parking equipment and system |
KR102350606B1 (en) * | 2021-06-08 | 2022-01-18 | 주식회사 이디테크놀로지 | Smart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Shuttle and Staker Crane and its method |
KR20230107919A (en) | 2022-01-10 | 2023-07-18 | (주) 군월드 | Automated parking system for car |
CN115012714A (en) * | 2022-06-01 | 2022-09-06 | 深圳市金车巢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interactive quick access vehicle device and method with multiple free access ports on the first fl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52807A (en) |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 |
EP1546491B1 (en) | Palletless rack-type parking system with stacker crane | |
JP2005507352A (en) | Elevator system | |
WO2011122992A2 (en) | Two-dimensional, two-storey car park with engagement of an automobile tray by a lateral surface thereof | |
KR20100036428A (en) | Apparatus for staked car parking | |
JP3608154B2 (en) | Double row parking system | |
JP4341565B2 (en) | Boarding device | |
JP4329099B2 (en) | Parking equipment | |
KR19990038666A (en) | Pallet transverse guidance device of elevator parking facility | |
JPH07252952A (en) | Multi-level parking device | |
JP4428892B2 (en) | Parking equipment | |
JP2019090292A (en) | Mechanical parking device replacement method and replacement mechanical parking device | |
KR200237779Y1 (en) | a solid parking facility | |
JP4506567B2 (en) | Weight arrangement method for elevator of parking apparatus | |
JP3603226B2 (en) | A multi-story parking device with a horizontal moving fork and rib pallets. | |
JPH06167134A (en) | Parking device | |
KR910008092B1 (en) | Stereoscopic enclosure and control method | |
JP2666676B2 (en) |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 |
JP4329104B2 (en) | Lifting lift structure of parking device | |
JP2663829B2 (en) |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 |
JP4329100B2 (en) | Parking tower elevator | |
JP2936965B2 (en) |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 |
CN116950473A (en) | Two-column lifting type circular tower garage parking equipment and vehicle parking method | |
JP2666675B2 (en) | Multi-story parking facilities | |
CN111535631A (en) | Novel hydraulic transmission type stereo garage and vehicle storing and tak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