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638A -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2638A KR20190052638A KR1020180135780A KR20180135780A KR20190052638A KR 20190052638 A KR20190052638 A KR 20190052638A KR 1020180135780 A KR1020180135780 A KR 1020180135780A KR 20180135780 A KR20180135780 A KR 20180135780A KR 20190052638 A KR20190052638 A KR 201900526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plate
- stiffener
- strengthening
- longitudinal
- transver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o a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건축물의 구조는 주체 구조의 재료에 따라 목재 구조, 벽돌 구조, 시멘트 블록 구조, 석재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 등으로 나뉜다.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 wooden structure, a brick structure, a cement block structure, a stone structure,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steel structure, and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ubject structure.
이 중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및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갖는 인장 응력이 약하다는 약점을 철근이나 형강, 강판, 강관 등의 강재 골재로 보완하는 구조이다.Among them,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steel structure and the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re structures in which the weakness of the tensile stress of the concrete is complemented by the steel aggregate such as steel bars, steel plates, and steel pipes.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며, 철골 구조는 중요한 뼈대 부분을 강재 부재로 조립하고 강재 부재를 거푸집으로 하거나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철골 콘크리트 구조가 혼합된 방식으로 시공된다.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a reinforced structure is installed and a form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o pour concrete into the formwork. The steel frame structure is formed by assembling an important skeleton portion with a steel member, It is installed by installing concrete. The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constructed by mixing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the steel concrete structure.
이와 같은 종래의 강재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또다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거푸집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 기간이 매우 길고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quires a lot of time and cost to install the formwork, an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formwork again with much time and cost.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is very long, There was a lot of trouble.
더욱이, 다층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종래에는 한 층씩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밖에 없었다. 즉, 최하층의 철근 또는 강재 구조물을 설치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에 그 상층에 다시 철근, 강재 구조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다층 건축물을 시공하였다. 이에 따라, 층수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 기간이 배가되어 다층 건물을 시공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multi-layered building, conventionally, it has been forced to sequentially construct one layer at a time. In other words, after installing the lowest reinforced steel or steel structure and installing concrete, concrete is cured and then reinforced steel, steel structure and form are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concrete is laid and cured repeatedly,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is doubl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floors, and thus,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construct the multi-story building.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 특허 10-2016-0034136에는 복수의 빔을 결합하여 최하층의 하중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최하층의 하중 지지 구조물 상부에 복수의 빔을 결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층부를 이루는 하중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최하층 및 상층부의 하중 지지 구조물에 벽체의 형성을 위한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 및 슬라브의 형성을 위한 데크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의 내부 또는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10-2016-0034136 discloses a method of assembling a load supporting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beams, Installing a load supporting structure constituting one or more upper layer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eams on the uppermost load supporting structure; Installing at least one of a mesh-like structure (exo-keelitone) for forming a wall and a deck plate for forming a slab in the lowermost and upper-layer load supporting structures; And placing the concrete in the interior of the mesh-like structure (exo-squeegee) or on top of the deck plate.
이러한 고속 시공방법에 의하면, 빔을 포함하는 인장 구조체로 이루어진 수직 구조물과 데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수평 구조물을 조립/결합하여 다층 구조물을 만들고 여기에 경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의 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층의 건축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a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by assembling / joining a horizontal structure composed of a vertical structure including a tensile structure including a beam and a deck plate, and a lightweight concrete is laid thereon, Thus,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multi-storey building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그러나 이러한 고속 시공방법에서는 슬라브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주입) 공정에서 데크 플레이트와 같은 수평 부재에 큰 하중이 걸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특허에서는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경량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의 골재를 인공 경량 골재로 대체하여 중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인공 경량 골재로는 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발포 합성수지를 이용한다.However, in such a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a large load is applied to a horizontal member such as a deck plate in a concrete casting (injection) process of forming a slab.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a limit in the above patent to use lightweight concrete. Lightweight concrete is made by replacing aggregate of ordinary concrete with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to reduce its weight. Foamed synthetic resin such as expanded polystyrene is used as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시공에도 슬라브 형성용 수평 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deck plate which can be used as a horizontal member for slab formation even in the case of using ordinary concret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ck plat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횡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부의 측벽들을 관통하는 횡 방향 보강재 및 상기 돌출부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tor including: 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elongated longitudinally extending protrus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ateral direction; a transverse stiffener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s of the protrusion; And a longitudinal stiffener disposed on the beam reinforcing deck plate.
또한,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벽과 상기 횡 방향 보강재 사이의 틈에는 개스킷(gasket)이 설치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Further,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protrusion, the transverse stiffener is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and a gasket is installed in a gap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transverse stiffener .
또한, 상기 종 방향 보강재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상기 횡 방향 보강재의 개구를 통과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Further,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stiffener, and the transverse stiffener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transverse stiffen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 a) 하중 지지 구조물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s of: a) providing load-supporting structures; b) securing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to the load-supporting structures; c) And placing the concrete on top of the deck plate.
또한,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to the load-supporting structur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with a vertical stiffener to provide.
또한,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lso,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is connected to another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by a vertical stiffener .
또한,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another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 And connecting the reinforcing member to the reinforcing member.
또한, 상기 상하연결보강재는 인접하는 층에 설치되는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벽체 안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Further,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s are installed in a wall installed to divide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s installed on adjacent layers.
또한,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은 수직 빔들과 상기 수직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빔들과 수평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빔을 포함하며,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보강 빔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lso, the load-bearing structures may include vertical beams and a reinforcing beam installed between horizontal beams and horizontal beam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 And connecting a reinforcing beam adjacent to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to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s.
본 발명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 빔, 파이프 등에 의해서 보강되므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고속 시공에도 슬라브 형성용 수평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슬라브의 형성하기 위한 수평 구조물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한꺼번에 만들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의 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층의 건축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trusses, beams, pipes, etc., it can be used as a slab-forming horizontal member even in high-speed construction using ordinary concrete. Therefore, even when general concrete is use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nstruct a multi-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structure for forming a slab, and simultaneously place a plurality of layers by placing concrete thereon.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multi-storey building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shown in FIG. 2.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a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concept, an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example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being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 directly connected " or " directly connected "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 between " and " adjacent " or " adjacent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하중 지지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 하중 지지 구조물은 기둥의 기능을 하는 복수의 수직 빔(1)을 포함한다. 수직 빔(1)은 트러스, H형 빔, I형 빔, L형 빔, 관형 빔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빔(1) 사이에는 수평 빔(2)이 설치된다. 수평 빔(2)도 수직 빔(1)과 마찬가지로 트러스, H형 빔, I형 빔, L형 빔, 관형 빔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First, a load supporting structure of a building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This load-bearing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1) functioning as columns. The
한편,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수직 빔(1)이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물의 넓이와 요구 조건에 따라 수직 빔(1)들 사이사이에 추가로 수직 빔(1)을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ur
그리고 최상부 및 최하부의 수평 빔(2)들 사이에는 보강 빔(3)들이 설치된다. 보강 빔(2)도 수직 빔(1)과 마찬가지로 트러스, H형 빔, I형 빔, L형 빔, 관형 빔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And the reinforcing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들을 하중 지지 구조물에 설치한다.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끝단들을 수평 빔(2)들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하중 지지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빔(2) 위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올린 후 볼트로 고정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beam-strengthenin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shown in FIG. 2. FIG.
도 2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11), 종 방향 보강재(12), 횡 방향 보강재(13) 및 개스킷(14)을 포함한다.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횡 방향 보강재(13) 및 종 방향 보강재(12)에 의해서 보강되므로, 비중 2.5 수준의 무거운 콘크리트의 타설에도 견딜 수 있다.2 and 4, the beam-strengthening
플레이트(11)에는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5)가 횡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11)는 강철, 플라스틱,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플레이트(11)의 돌출부(15)를 형성하는 측벽들에는 횡 방향 보강재(1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에는 플레이트(11)와 횡 방향 보강재(13)의 이음매에서 콘크리트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개스킷(14)이 끼워져 있다.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종 방향 보강재(12)는 돌출부(15)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종 방향 보강재(12)로는 H형 빔, 트러스,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종 방향 보강재(12)에는 횡 방향 보강재(13)가 끼워질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The
횡 방향 보강재(13)로는 H형 빔, 트러스,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횡 방향 보강재(13)는 플레이트(11)의 관통구멍과 종 방향 보강재(12)를 개구를 번갈아가며 통과한다.As the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종 방향 보강재(12)들을 수평 빔(2)에 고정한 후에 종 방향 보강재 위(12)에 플레이트(11)를 배치하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평 빔(2)과 플레이트(11)를 결합한 후, 횡 방향 보강재(13)들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하중 지지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다. The beam-strengthening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조립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수평 빔(2)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각각의 돌출부(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종 방향 보강재(12)들의 위에 플레이트(11)를 올리고, 플레이트(11)의 관통구멍과 종 방향 보강재(12)들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횡 방향 보강재(13)를 끼우는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pre-assembled beam-strengthening
도 2에서는 두 개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층수에 따라서 더 많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 중에서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2층 바닥이 되며,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옥상 바닥이 된다.Although two beam-strengthening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횡 방향 보강재(13)를 바로 위층의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에 상하연결보강재(18)를 통해서 연결한다. 상하연결보강재(18)는 위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횡 방향 보강재(13)에 연결될 수 있다. 약간 사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위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위치를 돌출부(15)의 너비 정도 이동시켜 설치하여, 상하연결보강재(18)가 수직이 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 방향 보강재(12)에 연결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상하연결보강재(18)는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 사이의 층(도 2에서는 2층)의 내부공간을 분할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벽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완공 후에는 상하연결보강재(18)가 벽체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위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최상부의 보강 빔(3)에 상하연결보강재(18)를 통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하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최하부의 보강 빔(3)에 상하연결보강재(18)를 통해서 연결된다. 결국, 위층과 아래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들은 최상부 및 최하부의 보강 빔(3)들에 의해서 위아래로 지지가 되는 구조가 된다.The upper beam-strengthening
상하연결보강재(18)로는 H형 빔, 트러스, 파이프,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다음으로, 하중 지지 구조물인 수직 빔(1) 사이에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 미도시)을 설치한다. 이러한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망형 구조의 벽체 형태를 이룬다. 필요한 경우에는 메시형 구조물의 실내 및 실외 측 표면에 각각 외장재와 내장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Next, a mesh-like structure (exoskeleton,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이 상태에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한다. 그러면, 콘크리트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따라서 흘러내려서 수직 빔(1) 사이의 메시형 구조물을 따라서 내려온다. 따라서 슬라브와 벽체 콘크리트를 한꺼번에 타설할 수 있다. 고층 건물은 5개 층 정도씩 분할해서 한꺼번에 타설할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concrete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am-strengthening
이러한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대부분은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과 함께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고,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와 함께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슬래브)을 이룬다.When concrete is laid in this manner, most of the concrete placed in the mesh-like structure (exo-squeegee) forms a wall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mesh-like structure (exo-squeegee) The reinforced
또한,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에 미리 창문틀이나 문틀을 설치하여 시공 시간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 window frame or a door frame may be installed in advance in a mesh-like structure (exo-squeegee) to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과 2에 도시된 단계 후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보강하는 단계에서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 와이어나 파이프 등의 상하연결보강재(19)를 이용해서 횡 방향 보강재(13)들을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빔(1)에 고정한다. 이러한 강철 와이어나 파이프는 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강철 와이어나 파이프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제거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uses a method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3 in the step of reinforcing the beam-strengthening
도 6과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a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2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횡 방향 보강재만(23)을 구비하며, 도 7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30)는 종 방향 보강재(32)만을 구비한다. 건물의 면적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도 6이나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방향 보강재만을 구비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The beam-strengthening
도 8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플레이트(41)의 돌출부(45)들의 상면에 연결구(46)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 방향 보강재(42)가 연결구(46)를 통해서 상부로 노출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횡 방향 보강재(13)들을 상하연결보강재(18)로 연결하거나, 하부 횡 방향 보강재(13)를 상부 종 방향 보강재(12)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40)를 사용하면 연결구(46)를 통해서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40)의 종 방향 보강재(42)와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40)의 종 방향 보강재(42)를 상하연결보강재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1 to 3,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최상부와 최하부에는 보강 빔(3)들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또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최상부와 최하부의 보강 빔(3)들에 의해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들이 상하로 지지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만 보강 빔(3)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상부의 보강 빔(3)에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연결되고,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최하부의 보강 빔(3)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에 상하연결보강재(18)로 연결하여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8)를 지지할 수도 있다.1 to 3, the beam-strengthening
1: 수직 빔
2: 수평 빔
3: 보강 빔
10, 20, 30, 40: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11: 플레이트
12, 32, 42: 종 방향 보강재
13, 23: 횡 방향 보강재
14: 개스킷
18, 19: 상하연결보강재1: vertical beam
2: Horizontal beam
3: Reinforcing beam
10, 20, 30, 40: Beam-reinforced deck plate
11: Plate
12, 32, 42: longitudinal stiffener
13, 23: transverse stiffener
14: Gasket
18, 19: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s
Claims (11)
상기 돌출부의 측벽들을 관통하는 횡 방향 보강재 및 상기 돌출부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A plate having a plurality of elongated protrusion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t least one of a transverse stiffener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s of the projection and a longitudinal stiffener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s of the projection.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벽과 상기 횡 방향 보강재 사이의 틈에는 개스킷(gasket)이 설치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protrusion, the transverse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gasket is installed in a gap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transverse stiffener.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트러스, 빔 또는 파이프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verse stiffener is a truss, beam or pipe.
상기 종 방향 보강재는 트러스, 빔 또는 파이프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itudinal stiffener is a truss, beam or pipe.
상기 종 방향 보강재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상기 횡 방향 보강재의 개구를 통과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itudinal stiffener has an opening and the transverse stiffener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transverse stiffener.
b)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는 청구항 1항 내지 6항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중 하나인 시공방법.a) installing load bearing structures,
b) fixing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to the load-bearing structures,
c) pouring concrete over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Wherein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is one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s of claims 1 to 6.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decking deck plate to the load-supporting structure located at the top of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with a vertical stiffener.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decking deck plate to another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decking deck plate with a vertical stiffener.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decking deck plat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other beam-strengthening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 And a connecting step.
상기 상하연결보강재는 인접하는 층에 설치되는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벽체 안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시공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s are installed in a wall provided for dividing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beam-strengthening deck plates installed on adjacent layers.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은 수직 빔들과 상기 수직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빔들과 수평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빔을 포함하며,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보강 빔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ad supporting structures comprise vertical beams and a reinforcing beam installed between horizontal beams and horizontal beam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stiffener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of the beam-decking deck plate to a beam adjacent to the beam-deck deck plate with a vertical stiffe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13499 WO2019093772A1 (en) | 2017-11-08 | 2018-11-08 |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834 | 2017-11-08 | ||
KR20170147834 | 2017-1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638A true KR20190052638A (en) | 2019-05-16 |
KR102197994B1 KR102197994B1 (en) | 2021-01-18 |
Family
ID=6667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5780A Expired - Fee Related KR102197994B1 (en) | 2017-11-08 | 2018-11-07 |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799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047B1 (en) * | 2019-10-22 | 2019-12-06 |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 Chalice Structure |
WO2024076038A1 (en) * | 2022-10-04 | 2024-04-11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Protective wall for saf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7049A (en) * | 2002-06-18 | 2003-12-31 | 배석동 | Corrugated Board Type Deck Plate |
KR20100036712A (en) * | 2008-09-30 | 2010-04-08 | (주) 선암기술연구소 | Corrugated board type composition deck plate system having utility-pipe conduit in flute |
KR20160034117A (en)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 High-spee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b light concrete and strength member |
KR20160034143A (en)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structure usingb light concrete and strength member |
KR20160034136A (en)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for quake-proof building structure using beam and super light concrete |
KR101837914B1 (en) * | 2017-10-19 | 2018-03-13 | 황사석 | Composite beam beam including reinforcing part |
-
2018
- 2018-11-07 KR KR1020180135780A patent/KR1021979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7049A (en) * | 2002-06-18 | 2003-12-31 | 배석동 | Corrugated Board Type Deck Plate |
KR20100036712A (en) * | 2008-09-30 | 2010-04-08 | (주) 선암기술연구소 | Corrugated board type composition deck plate system having utility-pipe conduit in flute |
KR20160034117A (en)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 High-spee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b light concrete and strength member |
KR20160034143A (en)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structure usingb light concrete and strength member |
KR20160034136A (en) | 2014-09-19 | 2016-03-29 |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for quake-proof building structure using beam and super light concrete |
KR101837914B1 (en) * | 2017-10-19 | 2018-03-13 | 황사석 | Composite beam beam including reinforcing par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047B1 (en) * | 2019-10-22 | 2019-12-06 |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 Chalice Structure |
WO2024076038A1 (en) * | 2022-10-04 | 2024-04-11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Protective wall for saf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20240047220A (en) * | 2022-10-04 | 2024-04-12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Protective Barrier for Saf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7994B1 (en) | 2021-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542190B (en) | Composite structural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9518401B2 (en) |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 |
US4646495A (en) | Composite load-bear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s | |
KR101030419B1 (en) | Combined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 |
KR101389203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residential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and modular unit | |
US20100058687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 |
CN108005410B (en) | Assembled steel-concrete combined structure residential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63132B1 (en) |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 |
KR101658648B1 (en) | Beam-column joint and simultaneous construction method of upper and lower part of building using thereof | |
WO2009156586A1 (en) | Method for forming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an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 |
JP7572413B2 (en) | How to build a structure | |
KR20190052638A (en) |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414349Y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 |
CN212562032U (en) | Take entrance to a cave superimposed shear wall to go out muscle connected node structure in side of indulging and violently wall | |
JPS6314937A (en) | Reinforced steel composite column | |
CA2639339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 |
RU62622U1 (en) | REINFORC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F A MULTI-STOREY BUILDING, FRAMEWORK CONSTRUCTION OF A FRAME, INTERIOR ELEMENT | |
KR102721559B1 (en) | Composite beam using modular floor boards and columns for coupling | |
CN116290373B (en) | Steel frame assembled house system of trapezoid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 |
RU2272108C2 (en) | Multistory building frame | |
KR20160034136A (en) |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for quake-proof building structure using beam and super light concrete | |
JP7691854B2 (en) | Joint structure between steel plate concrete wall and slab | |
WO2019093772A1 (en) |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JP7699007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 |
CN117386013B (en) | Prefabricated concrete-wrapped steel special-shaped columns-T-shaped spliced composite honeycomb beam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