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46042A - 접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042A
KR20190046042A KR1020170139137A KR20170139137A KR20190046042A KR 20190046042 A KR20190046042 A KR 20190046042A KR 1020170139137 A KR1020170139137 A KR 1020170139137A KR 20170139137 A KR20170139137 A KR 20170139137A KR 20190046042 A KR20190046042 A KR 2019004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ody
door
connecting piece
hing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494B1 (ko
Inventor
이상진
지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7013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가동도 용이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접이식 도어가 제공된다. 접이식 도어는, 제1도어, 제1도어에 힌지결합되는 제2도어, 제1도어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가 형성된 제1힌지바디, 제2도어의 일측부에 제1힌지바디와 동일 높이에 결합되며 제1절개부와 동일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가 형성된 제2힌지바디, 및 양단부가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에 삽입되며, 제1힌지바디와 제2힌지바디에 각각 축결합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도어{Folding type door}
본 발명은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가동도 용이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어는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물로 창이나 출입구 등에 설치된다. 도어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도어의 구조나 작동방식 등에 따라서 설치에 제약을 받기도 한다. 도어는 대개 힌지를 이용한 회전방식이나 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도어 일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면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거나 도어를 접은 상태로 개방할 수 있어 여유공간이 확보된다. 즉, 필요에 따라 접이식 도어와 같이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접이식 도어의 경우에는 힌지를 이용한 회전구조와 슬라이딩 구조가 함께 적용된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기계적 구조가 조합되어 있어 설치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동작에도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힌지구조나 슬라이딩 구조를 한꺼번에 설치하기 어려워 어느 하나를 먼저 형성한 경우 나머지 부분을 프레임 등에 결합하기 곤란하거나, 설치장소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이 힌지 연결부 등을 조립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 힌지구조는 유연하지 못하여 슬라이딩 구조와 연동하여 원활히 회전하지 못하는 등 작동 상의 문제도 있어 개선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207호, (2013.01.0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설치가 매우 편리하고 가동도 용이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접이식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도어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힌지결합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가 형성된 제1힌지바디; 상기 제2도어의 일측부에 상기 제1힌지바디와 동일 높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절개부와 동일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가 형성된 제2힌지바디; 및 양단부가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에 각각 축결합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접하는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바디 및 상기 제2힌지바디와 동일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측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부프레임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연결편을 관통하여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샤프트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편을 관통하는 수지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는, 상기 측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서로 직접 접하며,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각각 설치된 상기 측부프레임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바디 및 상기 제2힌지바디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외접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바디 또는 상기 제2힌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핀, 상기 연결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핀, 및 상기 제1고정핀과 상기 제2고정핀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탄성코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힌지바디 또는 상기 제2힌지바디와, 상기 연결편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신축되며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된 연결부 구조로 접이식 도어를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구조적으로 설치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장소 등에도 접이식 도어를 매우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되어 설치공간을 적게 사용하고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도어를 적용하여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도 충실하게 부합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구조로 보다 유연한 작동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설치한 후에는 도어를 매우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도어 일부를 확대하여 요부 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힌지 결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도어의 조립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접이식 도어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과정 중 힌지구조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도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도어 일부를 확대하여 요부 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도어(1)는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힌지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를 결합하는 힌지구조는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 및 연결편(300)을 포함하며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제1도어(10)와 제2도어(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300)은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에 삽입되어 각 힌지바디에 축결합된다. 즉, 접이식 도어(1)는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각 단위도어[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에 형성된 힌지바디를 연결편(300)이 각각 축결합되어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연결편(300)이 각 힌지바디에 형성된 서로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적어도 두 개의 회전중심을 이용하여 매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 및 연결편(300)을 포함하는 이와 같은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를 매우 원활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또한,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 외측에는 서로 치합되는 외접기어(101, 201)를 형성하여 각 힌지바디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더욱이, 연결편(300)은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각 절개부[제1절개부(110) 및 제2절개부(21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므로 제1도어(10) 또는 제2도어(20) 상 하단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매우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통상 도어의 상 하단은 프레임이나 프레임을 지지하는 건물의 천정이나 바닥 등이 있어 접근이 어려우나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도어의 측부는 이동공간 내 위치하므로 접근이 자유롭다. 본 발명의 힌지구조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편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도어 측부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도어에 접근하여 매우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각 힌지바디와 연결편(300) 사이에는 탄성부재(도 3, 도 4, 도 7의 600참조)를 배치하여 힌지구조에 탄성을 부여하고 도어 연결부가 탄성력에 의해 보다 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600) 역시 착탈이 매우 용이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힌지바디 역시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부재(500)를 이용하여 각 단위도어의 측부를 통해 결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도어 연결부를 매우 용이하게 조립하고 설치할 수 있다.
접이식 도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가 서로 힌지결합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도어(1)는 제1도어(10)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110)가 형성된 제1힌지바디(100), 제2도어(20)의 일측부에 제1힌지바디(100)와 동일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210)가 형성된 제2힌지바디(200), 및 양단부가 제1절개부(110)와 제2절개부(210)에 삽입되며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에 각각 축결합되는 연결편(300)을 포함한다(도 2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접하는 측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측부프레임(11, 21)이 형성되며 측부프레임(11, 21)은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와 각각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즉, 제1도어(10)는 수직방향으로 제1힌지바디(100)와 측부프레임(11)이 동일 선상에 배열되며, 제2도어(20) 역시 수직방향으로 제2힌지바디(200)와 측부프레임(21)이 동일 선상에 배열된다.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각각 측부프레임(11, 21)을 사이에 두고 제1도어(10)와 제2도어(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서로 직접 접하고 제1도어(10)와 제2도어(20)에 각각 설치된 측부프레임(11, 21)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측부프레임(11, 21)간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고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의 마주보는 면은 각각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접촉 가능한 면이 회전중심과 동일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마모에 강하고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특성을 갖는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의 외측에는 각각 외접기어(101, 201)가 형성된다. 외접기어(101, 2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치합되며 기어간 맞물림으로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다른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의 움직임을 서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외접기어(101, 2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가 서로 접하는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접기어(101, 201)의 크기나 간격 등은 각 힌지바디의 크기나 인접한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부프레임(11, 21)과 측부프레임(11, 21)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 2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도어의 측부프레임(11, 21)의 길이는 동일하되, 연결프레임(12, 22)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너비가 서로 다른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도어(10)와 제2도어(20)는 서로 힌지결합된 연결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데, 각 단위도어가 회전하는 회전중심은 각 연결프레임(12, 22) 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어(10)는 후술하는 베이스프레임(40)에 연결된 연결프레임(12)의 말단에 회전중심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도어(20)는 연결프레임(22)의 내부에 회전중심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연결프레임(12, 22)의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어느 하나를 움직이면 그에 따른 회전력으로 다른 하나를 보다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접이식 도어(1)가 작동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는 이들을 둘러싸는 베이스프레임(4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40)은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외측에서 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와 평행하게 접하여 각 단위도어의 설치공간을 제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구조는 전술한 바대로 각 단위도어가 움직일 수 있는 측부의 공간을 통해 접근하여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인바 이처럼 베이스프레임(40)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설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접이식 도어(1)의 설치과정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어(10) 또는 제2도어(20)의 상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30)가 형성된다. 슬라이더(30)는 베이스프레임(4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4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제1도어(10) 또는 제2도어(20)의 회전중심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회전하며 배치가 바뀌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중에서 회전중심이 고정되지 않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어(10)는 연결프레임(12) 말단이 베이스프레임(40) 측에 고정되어 고정된 회전중심을 형성하므로, 슬라이더(30)는 제2도어(20)의 연결프레임(2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베이스프레임(40)과 평행한 레일(31), 레일(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도어(20)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무빙샤프트(32), 및 베이스프레임(40)과 구름접촉하며 평행이동을 보조하는 롤러(3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는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 각각에 측부프레임(11, 21)과 연결프레임(12, 22)이 교차하는 교차점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 각각은 측부프레임(11, 21)을 사이에 두고 각 단위도어[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 가능하다.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각 힌지바디의 쌍은 위치가 바뀐 외에는 실질적인 구조와 기능이 동등하므로,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단부의 힌지구조를 기준으로 제1힌지바디(100), 제2힌지바디(200), 연결편(300) 등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호 배치되지 않는 한 하단부에 위치한 제1힌지바디(100), 제2힌지바디(200), 연결편(300) 등의 결합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하단부의 힌지 결합구조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힌지 결합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도어의 조립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는 동일한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110) 및 제2절개부(210)를 각각 포함한다. 제1절개부(110)와 제2절개부(210)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편(300)의 양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가 연결편(30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연결편(300)은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 각각에 이중으로 축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프레임(11, 2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연결편(300)을 관통하여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에 각각 결합되는 샤프트핀(400)으로 연결편(300)을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에 각각 축결합할 수 있다. 각 힌지바디 외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접기어(101, 201)가 형성되며 연결편(300)을 매개로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가 연결되면 각 힌지바디의 외접기어(101, 201)가 서로 치합된다.
즉, 샤프트핀(400)은 연결편(300)을 각 힌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 샤프트핀(400)은 손쉽게 착탈되므로 연결편(300)을 제1절개부(110) 및 제2절개부(210)에 삽입하고 샤프트핀(40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축결합할 수 있다. 샤프트핀(400)의 외주면에는 샤프트핀(400)과 함께 연결편(30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수지부싱(410)을 형성하여 마모를 줄이고 보다 부드럽게 회전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샤프트핀(400)과 수지부싱(410)은 연결편(30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310)을 각각 통과시켜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에 형성된 샤프트홀(120, 220)에 각각 삽입할 수 있다.
각 힌지바디와 연결편(30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600)가 결합된다. 탄성부재(600)는 제1힌지바디(100)와 연결편(300)의 사이, 및 제2힌지바디(200)와 연결편(300)의 사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일 측은 힌지바디에 고정되고 타 측은 연결편(300)에 고정되어 힌지바디와 연결편(300)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 신축되며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60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힌지구조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의 개폐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탄성부재(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바디(100) 또는 제2힌지바디(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핀(601), 연결편(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핀(602), 및 제1고정핀(601)과 제2고정핀(602)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탄성코일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고정핀을 이용하여 각 힌지바디와 연결편(300)에 매우 용이하게 착탈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고정핀(601)은 제1힌지바디(100)의 제1절개부(110) 내측 또는 제2힌지바디(200)의 제2절개부(210) 내측에 형성된 제1핀고정홈(도 4의 102, 202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2고정핀(602)는 연결편(300)에 형성된 제2핀고정홈(30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탄성코일부(603)는 연결편(300)의 관통공(310) 둘레에 중첩되며 원형의 내부 공간으로 샤프트핀(400)을 통과시켜 컴팩트한 체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착탈이 용이한 동시에 각 힌지바디와 연결편(300) 사이에 배치가 용이한 탄성부재(6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고정핀(601), 제2고정핀(602), 탄성코일부(60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를 이용하여 각 힌지바디와 연결편(300)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신축되며 탄성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도어(10)와 제2도어(20)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재(500)로 고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130, 230)에 수평방향으로 나사부재(500)를 삽입하여 각 단위도어에 힌지바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나사부재(500)는 각 힌지바디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힌지바디를 관통하여 전술한 연결프레임(도 1 및 도 2의 12, 22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도어 연결부를 매우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조립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의 (a)와 같이 연결프레임(22)측에 제2힌지바디(200)를 나사부재(500)로 결합할 수 있다. 나사부재(50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230)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므로 도어 위쪽에 베이스프레임(40) 등이 위치하고 있더라도 방해 받지 않고 제2힌지바디(200)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된 제2힌지바디(200)는 제2도어(도 4의 20참조) 측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그보다 위쪽에 위치한 베이스프레임(40)과는 매우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도어 위쪽에 베이스프레임(40)이 있어 상방으로 접근이 제한되더라도 측부의 공간만을 이용하여 제2도어(20) 상단에 제2힌지바디(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힌지바디(200)에 도 5의 (b)와 같이 연결편(300)을 삽입한다. 연결편(300) 역시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21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므로 베이스프레임(40) 등에 의해 상방으로 접근이 제한되더라도 측부의 공간만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 역시 제1고정핀(601)을 제2힌지바디(200)의 제1핀결합홈(도 4의 202참조)에 삽입하고 제2고정핀(602)을 연결편(300)의 제2핀결합홈(도 3 및 도 4의 301참조)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다. 연결편(300)이 삽입되면 탄성코일부(603)는 제2절개부(210) 내측에 수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도 3 및 도 4의 310참조) 둘레에 중첩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바디(200)의 하부를 통해서 샤프트핀(400)과 수지부싱(410)을 삽입하여 연결편(300)을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다. 사프트핀(400)은 내부에서 관통공(310)과 탄성코일부(603) 내측을 관통하여 고정된다(도 4참조). 샤프트핀(400)과 수지부싱(410)은 전술한 것처럼 제2힌지바디(2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측부프레임[도 5 (c)의 21참조]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므로 역시 측부의 공간만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힌지바디(200)와 연결편(300)을 결합하고 도 5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측부프레임(21)을 제2힌지바디(200)와 동일 선상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측부프레임(21)이 배치될 공간을 활용하여 먼저 샤프트핀(400)과 수지부싱(410)을 결합한 후 다시 해당 공간에 측부프레임(21)설치하여 측부프레임(21)을 제2힌지바디(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로 한정된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도어 연결부를 매우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1도어(도 4의 10참조)와 제2도어(20)는 결합구조가 대칭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이와 같은 과정을 제1도어(도 4의 10참조) 측에 적절히 적용하면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바디(100)와 측부프레임(11)을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힌지바디 외측의 외접기어(101, 201)들은 서로 치합된 상태가 된다.
즉, 베이스프레임(40) 등의 구조물에 의해 도어 상방의 설치공간 등이 크게 제약된 경우라 하더라도, 각 단위도어 측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힌지 연결부를 매우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제1힌지바디(100), 제2힌지바디(200), 연결편(300) 등의 힌지 결합구조로 접이식 도어의 연결부를 매우 편리하게 조립하고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결합구조는 각 단위도어 하단부에 위치한 제1힌지바디(100), 제2힌지바디(200), 연결편(300) 등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적용되며 따라서 제1도어(10) 및 제2도어(20)의 측부 상, 하단에 각각 제1힌지바디(100), 제2힌지바디(200), 연결편(300) 등으로 이루어진 힌지 결합구조를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접이식 도어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도 6의 작동과정 중 힌지구조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접이식 도어(1)는 도 6의 (a) 및 (b)와 같이 작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어(10)는 회전중심이 연결프레임(12)의 말단에 형성되고, 제2도어(20)는 회전중심이 연결프레임(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도어(20)의 회전중심은 슬라이더(30)의 레일(31)을 따라 평행 이동하는 무빙샤프트(32)와 일치하므로 제2도어(20)는 무빙샤프트(3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도어(20)가 회전되면 제1힌지바디(100), 제2힌지바디(200), 연결편(300), 및 샤프트핀(400) 등으로 이루어진 힌지 연결부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제1도어(1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도어(1)가 양방향으로 접히며 개폐된다.
이때, 연결편(300)은 샤프트핀(400)을 통해 제1힌지바디(100) 및 제2힌지바디(200)에 각각 축결합되어 이중의 회전축을 가지게 되므로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움직이며 제1도어(10)와 제2도어(20)가 원활하게 접히고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1힌지바디(100)와 제2힌지바디(200)는 외접기어(101, 201)로 인해 서로 치합되어 움직임이 동기화되므로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도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도어(1)로 설치가 매우 편리하며 가동도 용이한 개선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힌지바디가 회전하는 동안 외접기어(101, 201) 들이 접하여 움직임을 일치시키는 동시에 각 탄성부재(600)들은 연결편(300)과 제1힌지바디(100)및 연결편(300)과 제2힌지바디(200)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며 반대방향의 복원력을 생성하므로, 도어 연결부에 탄성력이 전달되어 보다 손쉽고 유려하게 접이식 도어(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유연하게 작동되는 구조적 특징과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설치가 매우 용이한 구조적 특징을 모두 갖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이식 도어(1)를 통해 설치가 매우 편리하며 동시에 가동도 용이한 효과적인 도어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접이식 도어 10: 제1도어
11, 21: 측부프레임 12, 22: 연결프레임
20: 제2도어 30: 슬라이더
31: 레일 32: 무빙샤프트
33: 롤러 40: 베이스프레임
100: 제1힌지바디 101, 201: 외접기어
102, 202: 제1핀고정홈 110: 제1절개부
120, 220: 샤프트홀 130, 230: 결합공
200: 제2힌지바디 210: 제2절개부
300: 연결편 301: 제2핀고정홈
310: 관통공 400: 샤프트핀
410: 수지부싱 500: 나사부재
600: 탄성부재 601: 제1고정핀
602: 제2고정핀 603: 탄성코일부

Claims (8)

  1.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힌지결합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가 형성된 제1힌지바디;
    상기 제2도어의 일측부에 상기 제1힌지바디와 동일 높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절개부와 동일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가 형성된 제2힌지바디; 및
    양단부가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에 각각 축결합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접하는 측부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바디 및 상기 제2힌지바디와 동일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측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재로 결합되는 접이식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프레임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연결편을 관통하여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샤프트핀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편을 관통하는 수지부싱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는, 상기 측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서로 직접 접하며,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각각 설치된 상기 측부프레임은 서로 접하지 않는 접이식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바디 및 상기 제2힌지바디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힌지바디와 상기 제2힌지바디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는 외접기어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바디 또는 상기 제2힌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핀, 상기 연결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핀, 및 상기 제1고정핀과 상기 제2고정핀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된 탄성코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힌지바디 또는 상기 제2힌지바디와, 상기 연결편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신축되며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도어.
KR1020170139137A 2017-10-25 2017-10-25 접이식 도어 Active KR10210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37A KR102101494B1 (ko) 2017-10-25 2017-10-25 접이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137A KR102101494B1 (ko) 2017-10-25 2017-10-25 접이식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42A true KR20190046042A (ko) 2019-05-07
KR102101494B1 KR102101494B1 (ko) 2020-04-17

Family

ID=6665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137A Active KR102101494B1 (ko) 2017-10-25 2017-10-25 접이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34Y1 (ko) 2022-10-21 2023-06-13 주식회사 선테크 모헤어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회전 경첩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70A (ja) * 1996-07-11 1998-01-27 Tateshina Seisakusho:Kk 折り戸
KR19980050536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버스 폴딩도어 힌지구조
JP2006241762A (ja) * 2005-03-01 2006-09-14 Kooei Sangyo Kk 蝶番と折れ戸
JP2011184893A (ja) * 2010-03-05 2011-09-22 Toshiro Takamatsu 蝶番装置
CN102518371A (zh) * 2011-12-23 2012-06-27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齿轮传动式折叠门
KR20130000207A (ko) 2011-06-22 2013-01-02 안중식 접이식 도어
US20140167583A1 (en) * 2012-12-18 2014-06-19 Shun-Teng Chen Combination Cabinet with Foldable Door
KR101709054B1 (ko) * 2016-09-05 2017-02-22 송영이 폴딩도어용 힌지
KR101758747B1 (ko) * 2016-11-10 2017-07-18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2축 힌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70A (ja) * 1996-07-11 1998-01-27 Tateshina Seisakusho:Kk 折り戸
KR19980050536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버스 폴딩도어 힌지구조
JP2006241762A (ja) * 2005-03-01 2006-09-14 Kooei Sangyo Kk 蝶番と折れ戸
JP2011184893A (ja) * 2010-03-05 2011-09-22 Toshiro Takamatsu 蝶番装置
KR20130000207A (ko) 2011-06-22 2013-01-02 안중식 접이식 도어
CN102518371A (zh) * 2011-12-23 2012-06-27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齿轮传动式折叠门
US20140167583A1 (en) * 2012-12-18 2014-06-19 Shun-Teng Chen Combination Cabinet with Foldable Door
KR101709054B1 (ko) * 2016-09-05 2017-02-22 송영이 폴딩도어용 힌지
KR101758747B1 (ko) * 2016-11-10 2017-07-18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2축 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34Y1 (ko) 2022-10-21 2023-06-13 주식회사 선테크 모헤어 설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회전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494B1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2254C2 (ru) Шарниры и их составные элементы
US20070261309A1 (en) Automatic door assembly with telescoping door arm
CA2868565C (en) Swing closure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KR20140073466A (ko) 관절형 거치대
KR101644233B1 (ko) 공간활용 여닫이문
KR20180006703A (ko) 접이식 도어 장치
DE602005025432D1 (de) Verdeckte Scharniervorrichtung für Dreh-Kipp-Fenster oder -Türen.
TWI612207B (zh) 鉸接組件及應用其之電子裝置
KR20190046042A (ko) 접이식 도어
KR102602330B1 (ko) 접이식 도어
KR101966790B1 (ko)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KR101758747B1 (ko) 2축 힌지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SE0003829L (sv) Arrangemang vid en skjutport
US1076568A (en) Spring-hinge.
US20180163448A1 (en) Folding apparatus of folding door with three sides
KR102089603B1 (ko) 스텝리스 슬라이드 레일
KR101956718B1 (ko) 접이식 도어의 힌지 장치
JP6877267B2 (ja) 折戸ユニット
EP4350112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folding doors of a furniture cabinet and furniture cabinet provided with folding doors
KR102222181B1 (ko) 폴딩도어의 힌지 조립체
EP2336471A1 (en) Multi-leaf folding door
US1198733A (en) Window-operating mechanism.
KR101195214B1 (ko) 도어에 매설되는 경첩
JP2016011561A (ja) 自動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4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