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44827A -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 Google Patents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827A
KR20190044827A KR1020170137223A KR20170137223A KR20190044827A KR 20190044827 A KR20190044827 A KR 20190044827A KR 1020170137223 A KR1020170137223 A KR 1020170137223A KR 20170137223 A KR20170137223 A KR 20170137223A KR 20190044827 A KR20190044827 A KR 20190044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nclosure structure
housing unit
presen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동훈
엄춘식
장래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3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827A/en
Publication of KR2019004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82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내부에 지상기기가 위치하여, 상기 지상기기를 보호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구비되며, 외부 충돌에 의한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지상기기 외함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보하고 또한 충돌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for protecting the ground apparatus and a ground member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having a roller member And may include a buffer unit.
Thus,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and also protecting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without regard to the direction of impact.

Description

지상기기 외함 구조{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일반적으로 도로 옆 인도에 설치되어 있는 지상기기 외함은 인도로 돌진하는 차량 및 오토바이 등과 인도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작업들로 인해 예상치 못한 돌발적인 상황 등의 물리적 충격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Generally, ground equipment enclosures installed in roadside sidewalks are vulnerable to physical shocks, such as unexpected sudden outbreaks, caused by vehicles and motorcycles rushing to India and various operations in India.

즉,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해 지상기기 외함의 도어가 뒤틀림 등으로 변형되어 외함의 개방이 원활하지 않거나, 외함 내부의 변압기, 개폐기 등의 손상으로 인한 전력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due to external physical impact, the door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may be deformed by warping or the like, the opening of the enclosure may not be smooth, or power supply due to damage of the transformer, switch, etc. inside the enclosure may be problematic.

이러한 외부의 충격에 대한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지상기기 주변에 지상기기 방호대가 구비되어 방호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직접적인 외부 충돌시의 1차적인 충격을 흡수함에 그 기능이 한정되어 효율적인 방호를 수행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protec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against such an external impact, a protection device for ground equipment has been provided around the ground equipment in the past. However, since its function is limited because it directly absorbs the primary impact upon external collision, There is a limit to not performing protection.

또한 외부의 충돌 방향에 따라 실질적인 방호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ubstantial protective force can not be ensur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collision.

따라서, 지상기기 외함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보하고 또한 충돌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할 수 있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that can protec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and protec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impact.

한국 등록 특허 번호 제10-1267427호Korean Patent No. 10-1267427

본 발명은 지상기기 외함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보하고 또한 충돌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할 수 있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 protection effect against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and protecting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regardless of a collision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내부에 지상기기가 위치하여, 상기 지상기기를 보호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구비되며, 외부 충돌에 의한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완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for protecting the ground apparatus and a ground member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having a roller member And may include a buffer unit.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가 회전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uffer unit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unit, and the roller member is provided to be rot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결합되는 외관부, 상기 외관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내관부 및 상기 외관부와 상기 내관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er tube portion coupled to a side portion of the housing unit, an inner tube portion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portion, And a spr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uter tube portion and the inner tube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내관부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외관부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ner pipe portion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ipe portio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 portions.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내관부는, 하단부에 상기 외관부가 연계되며, 상단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내관부의 상단부와 상단접속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ner pipe portion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ip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ther inner pipe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by the upper end connection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지지부재는,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가 연계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roller member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aring portion contacting with the support member, and a rotation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earing member is inserted, hav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part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onut having an inner hollow for receiving fluid therei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회전부는, 하단부에 상기 베어링부가 접촉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unit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at which the bearing unit is contacted at a lower en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하우징유닛은,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며,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기초대부재 및 상기 기초대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상기기를 수용하는 박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기초대부재의 측부 및 상기 박스부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ousing unit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base member that is partially buried in the ground and is partially exposed to the groun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member, Wherein the buffer uni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side of the base member and a side of the box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박스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방호포스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housing unit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ection post member provided adjacent to the box member.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지상기기 외함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보하고 또한 충돌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and also protecting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impact.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차량 등의 외부 충돌시 충격 흡수뿐만 아니라 충돌 방향의 전환을 통해 충돌에너지가 지상기기 외함에 직접 작용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In another aspec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impact energy from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through impact switching as well as shock absorption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of a vehicle or the like.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서 완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서 완충유닛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에서 지지부재의 양단부가 하우징유닛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에서 지지부재가 상단접속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에서 롤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에서 롤러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unit in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a shock absorber unit in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both ends of a support member are coupled to a housing unit in a buffer unit of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in the shock absorber unit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top joi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ller member in the shock absorber unit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roller member in a shock absorber unit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a,""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reference signs allotted in the same reference notation or the lik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

본 발명은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외부의 충돌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device enclosure structure, which protects a ground device enclosure and protects the ground device enclosure without being affected by an external impact direction.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차량 등의 외부 충돌시 충격 흡수 및 충돌 방향 전환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지상기기 외함을 보호하여 좀 더 효율적인 보호가 가능하다.
In another aspect,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in two aspects of shock absorption and collision direction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external collision of a vehicle or the like,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protection.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는 내부에 지상기기가 위치하여, 상기 지상기기를 보호하는 하우징유닛(100) 및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측부에 구비되며, 외부 충돌에 의한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부재(210)가 구비되는 완충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nd apparatus inside, A housing unit 100 for protecting the terrestrial equipment and a buffer unit 200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unit 100 and having a roller member 210 for switching a direction by an external impact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유닛(100)에 더하여 완충유닛(20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완충유닛(200)에 의한 외부 충돌로부터 상기 하우징유닛(100)을 보호하는 것에 더하여 외부 충돌 방향을 하우징유닛(100)의 외측으로 전환시켜 상기 하우징유닛(100)을 보호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hock absorbing unit 200 in addition to the housing unit 100 to protect the housing unit 100 from external impact by the shock absorbing unit 200, (100) to protect the housing unit (100).

다시 말해, 외부 충격에 대한 힘의 크기 감소 및 힘의 방향 변형에 의한 하우징유닛(100)을 보호하게 구성된 것이다.
In other words, it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housing unit 100 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against the external impact and directional deformation of the force.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변압기, 개폐기 등의 지상기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지상기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The hous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ground equipment in order to protect ground equipment such as a transformer, a switch, and the like.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기초대부재(110), 박스부재(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며,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기초대부재(110) 및 상기 기초대부재(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상기기를 수용하는 박스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200)은, 상기 기초대부재(110)의 측부 및 상기 박스부재(120)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housing unit 100 may include a base member 110, a box member 120, and the like. That is, the housing unit 10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ember 110 partially buried in the ground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ground, And the buffer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de portion of the base piece member 110 and a side portion of the box member 120. [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

여기서, 상기 기초대부재(110)는 상면에 상기 박스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박스부재(120) 내부에 상기 지상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기본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Here, the base member 110 is provided with the box member 120 on its upper surface, and serves as a base for accommodating the ground apparatus inside the box member 120.

이를 위해서 상기 기초대부재(110)는 지중에 구덩이를 형성한 후에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기초대부재(110)는 지면(G) 상으로 일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지면(G)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base member 110 is formed by using cement after forming a hole in the ground. The base member 110 may be partially protruded on the paper surface G or may be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paper surface G. [

상기 박스부재(120)는 상기 지상기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상기 지상기기를 구비될 수 있는 공간 및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x member 1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round apparatus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space in which the ground apparatus can be provided and a door that can observe the inside can be formed therein.

이러한 박스부재(120)는 상기 지상기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금속재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상기기를 보호하는 박스 형태로 제작 가능한 소재라면 본 발명의 박스부재(120)의 소재가 될 수 있다.The box member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protect the ground device, or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material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box shape for protecting the ground equipment can be a material of the box memb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박스부재(120)에는 상기 완충유닛(2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박스부재(120)에 충돌을 위해 접근하는 외부 물체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켜 내부의 지상기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 shock absorber 200 may be coupled to the box member 120 to mitigate the shock to an external object approaching the box member 120 so as to protect the internal ground apparatus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하우징유닛(100)은, 상기 박스부재(12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방호포스트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unit 10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ection post member 130 provided adjacent to the box member 120.

즉, 상기 완충유닛(200)에 의해서 상기 박스부재(120)를 보호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박스부재(120)에 대한 단계적인 보호를 위해서 상기 완충유닛(200)에 외부 물체가 접근하기 전에 상기 방호포스트부재(130)가 충격을 1차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ox member 120 may be protected by the shock absorber 200. However, in order to protect the box member 120 in a stepwise manner, before the shock absorber 200 approaches the external object, The post member 130 can relieve the impact primarily.

이를 위해서, 상기 방호포스트부재(130)는 상기 박스부재(120)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외부 충격이 상기 박스부재(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금속소재 등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protective post member 1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box member 120 and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such as a metal material so that an external impact is not transmitted to the box member 120.

도 2는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서 완충유닛(2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에서 완충유닛(200)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er unit 200 in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hock absorber unit 200 in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완충유닛(200)은,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210)가 회전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20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200 coupled to a side of the housing unit 100, (Not shown).

다시 말해, 상기 완충유닛(200)이 상기 롤러부재(210)의 회전에 의해서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의 완화 및 충격 방향 전환을 위해서 상기 롤러부재(21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hock absorber 200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member 220 for supporting the roller member 210 in order to alleviate the shock to the external impact and change the impact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member 210 You can do it.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롤러부재(210)가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측부에 결합되어, 지면(G)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롤러부재(210)는 지면(G)에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2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unit 100 so that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ground G And the roller member 210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220 so as to be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paper surface G. [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지지부재(220)는, 지면(G)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ined toward the ground G. [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가 일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재(210)가 지면(G)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면, 차량 등 지면(G) 상에서 접근하는 외부 물체에 대한 충격 흡수를 더 직접적으로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upport member 22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roller member 210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paper surface G, the impact absorption for an external object approaching the paper G This is done direct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측부에 결합되는 외관부(221), 상기 외관부(221)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롤러부재(210)가 구비되는 내관부(222) 및 상기 외관부(221)와 상기 내관부(222)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 22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tube 221 coupled to a side of the housing unit 100, An inner tube portion 222 having the roller member 210 and a spring portion 223 provided between the outer tube portion 221 and the inner tube portion 222. [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가 상기 스프링부(223)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면, 상기 롤러부재(210)에 의한 충격 방향 전환에 더하여, 탄성에 의한 외부 충격의 흡수의 기능을 더 보강하여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support member 220 includes the spring portion 223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impact direction switching by the roller member 210, the function of absorbing external impact by elasticity is further reinforced .

다시 말해, 상기 롤러부재(210)가 외부 충격에 대한 방향 전환에 더하여 일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더하여 상기 스프링부(223) 등에 의해서 외부 충격의 흡수 능력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oller member 21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bsorbing some impact in addition to the change of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impact. 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223 can absorb the external impact more It is.

이를 위해서, 상기 외관부(221)와 내관부(222)는 서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되며, 이러한 외관부(221)와 내관부(222) 사이에 상기 스프링부(223)가 구비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The outer tube portion 221 and the inner tube portion 222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to each other. The spring portion 223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tube portion 221 and the inner tube portion 222, Absorbing the impact.

즉, 상기 외관부(221)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상기 내관부(222)를 수용할 수 있는 일단부가 개방된 관재 형태로 구성되고, 이러한 외관부(221)의 일단부에 상기 내관부(222)의 일단부가 일부 삽입되어 결합된다.That is, the outer tube portion 22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unit 100, and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221 can receive the inner tube portion 222 is opened. One end of the inner tube portion 222 is partial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one end portion.

그리고, 상기 내관부(222)의 일단부가 상기 외관부(221)의 일단부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내관부(222)의 일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부(221)의 일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다.A flange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tube portion 222 to prevent the one end of the inner tube portion 22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portion 221, At one end of the portion 221, an inwardly extending flange is formed.

그리고, 상기 내관부(222)에는 상기 롤러부재(210)가 회전되게 삽입되어 결합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방향 전환 및 충격 흡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roller member 21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portion 222 to perform a direction change and an impact absorbing function against an external impact.

도 4는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200)에서 지지부재(220)의 양단부가 하우징유닛(100)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200)에서 지지부재(220)가 상단접속재(224)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220 are coupled to the housing unit 100 in the buffer unit 20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pport member 220 in the buffer unit 200 of the structure includes a top connection member 224. As shown in Fig.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내관부(222)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외관부(221)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ner tube portion 222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tube portion 22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ner tube portion 222.

즉, 상기 지지부재(220)가 상기 하우징유닛(100)에 결합되는 일례로서, 상기 지지지부재(220)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유닛(100)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중간부에 상기 롤러부재(210)가 연계되는 구성을 제시한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housing unit 100,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220 are coupled to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roller member 210 is connected.

이를 위해서, 상기 내관부(222)의 양단부에 상기 하우징유닛(100)의 측부에 결합된 외관부(221)가 각각 연계되게 구성된다.To this end, outer tube portions 221 coupled to the side portions of the housing unit 10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ner tube portion 222, respectively.

이에 의하면, 외부 충격이 상기 롤러부재(210)에 전달하는 경우에 이를 내관부(222)에서 지지할 때 양단부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관부(222)와 외관부(221)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223)에 의한 충격 흡수를 상기 내관부(222) 양단부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n external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roller member 210, it can be stably supported at both ends when the internal member 222 supports the external impact. Also, shock absorption by the spring portion 223 located between the inner tube portion 222 and the outer tube portion 221 can be per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tube portion 222.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내관부(222)는, 하단부에 상기 외관부(221)가 연계되며, 상단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내관부(222)의 상단부와 상단접속재(224)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tube portion 222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uter tube portion 221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outer tube portion 222 adjacent to the upper end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connecting member 224.

이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일단부만이 상기 하우징유닛(100)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타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다른 지지부재(220)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This is because only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connected to another neighboring support member 220.

이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220)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유닛(100)에 결합되어 지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타단부는 외부 충격을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재(220)와 협력하여 지지하게 된다.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is coupled to the housing unit 100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cooperates with the neighboring support member 220 .

도 6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200)에서 롤러부재(21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완충유닛(200)에서 롤러부재(210)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ller member 210 in the buffer unit 20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roller member 210 in the buffer unit 200 of the ground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롤러부재(210)는, 상기 지지부재(220)에 접촉되는 베어링부(211) 및 상기 베어링부(211)가 연계되며,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관통홀(212a)이 형성된 회전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member 210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ring portion 211 that contacts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bearing portion 211, And a rotation unit 212 having a through hole 212a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이러한 베어링부(211), 회전부(212)의 구성은 상기 롤러부재(210)가 회전되게 구성되기 위한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bearing portion 211 and the rotation portion 212 is such that the roller member 210 is configured to rotate.

즉, 상기 베어링부(211)가 상기 회전부(212)와 상기 지지부재(220)를 연계하고, 상기 회전부(212)는 상기 베어링부(211)에 접촉되어 회전이 가이드됨으로써, 더 안정적으로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earing portion 211 connects the rotation portion 212 and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rotation portion 212 contacts the bearing portion 211 and is guided by the rotation, It can be don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회전부(212)는,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rotating part 212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onut having an inner hollow for receiving fluid therein.

다시 말해, 상기 회전부(212)는 상기 관통홀(212a)로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게 결합됨으로서, 상기 지지부재(2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otation unit 21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member 220 by inserting the support member 220 into the through-hole 212a.

그리고, 상기 회전부(212)는 회전모멘트를 더 크게 하기 위해서, 자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물 등의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212)의 상부에 외부의 유체를 수용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출입구를 통하여 중공이 형성된 상기 회전부(212) 내부로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rotation moment, the rotation unit 21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fluid such as water to increase its own weight. That is, an entrance port for receiving an external flui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on part 212, and the fluid can be received into the rotation part 212 having the hollow through the entrance port.

그리고, 상기 회전부(212)의 외면에는 외부에서 관찰이 용이한 반사테이프(212c)가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외부의 차량 운전자 등이 야간 등에도 상기 회전부(212)를 쉽게 관찰하여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212)에 상기 반사테이프(212c)를 부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 reflective tape 212c, which is easy to view from the outside,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unit 212. [ That is, the reflective tape 212c can be attached to the rotation unit 212 so that an outside vehicle driver can easily observe and avoid the rotation unit 212 even at nigh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기기 외함 구조의 상기 회전부(212)는, 하단부에 상기 베어링부(211)가 접촉되는 안착(212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unit 212 of the ground equipment enclosu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eat 212b at which the bearing unit 211 contacts the lower end.

즉, 상기 베어링부(211)가 상기 회전부(212)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부(212)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시에 안정적으로 상기 회전부(212)를 지지하게 된다.
That is, the bearing portion 211 support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otation portion 212 to thereby stably support the rotation portion 212 when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ortion 2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Bu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하우징유닛 110: 기초대부재
120: 박스부재 130: 방호포스트부재
200: 완충유닛 210: 롤러부재
211: 베어링부 212: 회전부
220: 지지부재 221: 외관부
222: 내관부 223: 스프링부
224: 상단접속재
100: housing unit 110: base member
120: box member 130: protection post member
200: buffer unit 210: roller member
211: bearing part 212: rotating part
220: support member 221:
222: inner tube portion 223: spring portion
224: Upper connection member

Claims (11)

내부에 지상기기가 위치하여, 상기 지상기기를 보호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구비되며, 외부 충돌에 의한 방향을 전환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완충유닛;
을 포함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A housing unit for housing the ground equipment inside the ground unit and protecting the ground equipment; And
A buffer unit provided at a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having a roller member for switching a direct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ground device enclosure structur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가 회전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ffer unit includes:
A support member coupled to a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having the roller member rotated;
And a ground device enclosure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측부에 결합되는 외관부;
상기 외관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내관부; 및
상기 외관부와 상기 내관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
를 포함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n outer tube coupled to a side of the housing unit;
An inner tube portion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portion and having the roller member; And
A spr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uter tube portion and the inner tube portion;
And a ground device enclosure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외관부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tub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er tube portions at both ends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는, 하단부에 상기 외관부가 연계되며, 상단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내관부의 상단부와 상단접속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pip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er pipe portion at a lower end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another inner pipe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portion by an upper end connect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inclined toward the gr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가 연계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부;
를 포함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ller member
A bearing portion contacting the support member; And
A rotating part having the bearing part connected thereto and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ing member is inserted;
And a ground device enclosure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tary part is provided in a donut shape having an inner hollow for receiving fluid there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하단부에 상기 베어링부가 접촉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t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bear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lower end por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며,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기초대부재; 및
상기 기초대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상기기를 수용하는 박스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기초대부재의 측부 및 상기 박스부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unit includes:
A base member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ground; And
A box member provided on the base member for receiving the ground device;
/ RTI >
Wherein the buffer uni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side of the base member and a side of the box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박스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방호포스트부재;
를 포함하는 지상기기 외함 구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using unit includes:
A protective post member provided adjacent to the box member;
And a ground device enclosure structure.
KR1020170137223A 2017-10-23 2017-10-23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Withdrawn KR201900448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223A KR20190044827A (en) 2017-10-23 2017-10-23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223A KR20190044827A (en) 2017-10-23 2017-10-23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27A true KR20190044827A (en) 2019-05-02

Family

ID=6658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223A Withdrawn KR20190044827A (en) 2017-10-23 2017-10-23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8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9475A (en) * 2019-09-26 2020-01-03 江苏科技大学 A protection device for ship power control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27B1 (en) 2011-01-25 2013-05-30 신호테크 주식회사 The Secondary Cover for Ground Equipment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27B1 (en) 2011-01-25 2013-05-30 신호테크 주식회사 The Secondary Cover for Ground Equipment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9475A (en) * 2019-09-26 2020-01-03 江苏科技大学 A protection device for ship power control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005B1 (en) Anti-vibration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building
KR100914141B1 (en) Ground equipment box protection devic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KR101851448B1 (en) Device for protection of vibration
KR101356388B1 (e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eismic structure of the cable and a number of underground power protection devices guyong
KR101793718B1 (en) Lightning rod fixation frame for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supply
KR20200065668A (en)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of measuring control box
ES2643441T3 (en) Impact-resistant and energy absorbing item of street furniture
KR20190044827A (en) The structure of enclosure for ground instrument
KR102627113B1 (en) Absorbing shock device for facility
KR100841114B1 (en) Underground device protection devic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KR100791316B1 (en) Parking lot pillar collision prevention
KR101263518B1 (en) an Impact-absorbing Support Structure for Ship-collision Protectors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KR102053605B1 (en) Pillar pipe for streetlight
KR101973814B1 (en) Shock absorbers for protection of padmounted equipment
KR102301600B1 (en) Pier protection structure
WO2000036322B1 (en) Metal protector for threaded extremities of well drilling tubes
CN220225553U (en) Fire hydrant structure with anti-collision protection assembly
KR20170046397A (en) Base cover for ground utility cabinet
KR20010038608A (en) An equipment to fix the guard cable
KR102070055B1 (en) A device for protecting vehicle door
KR100650064B1 (en) Underground high voltage cable support
KR200362995Y1 (en) Vehicles bumper with roller
KR200468919Y1 (en) Apparatus for fixing a road sign
CN207862810U (en) A kind of road roadblock of municipal works
KR100878761B1 (en) Ground equipment box protection devic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that can easily absorb sh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